KR101814531B1 -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531B1
KR101814531B1 KR1020160131232A KR20160131232A KR101814531B1 KR 101814531 B1 KR101814531 B1 KR 101814531B1 KR 1020160131232 A KR1020160131232 A KR 1020160131232A KR 20160131232 A KR20160131232 A KR 20160131232A KR 101814531 B1 KR101814531 B1 KR 101814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lor
unit
cosmetic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원
Original Assignee
서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원 filed Critical 서정원
Priority to KR1020160131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된 제품이 배합과정을 거쳐 취출되도록 하는 자동판매기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 및 상황에 따라 맞춤형 화장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고, 원재료를 선택한 이후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원료를 추가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상호 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기능성 원료가 함량된 최종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최종 제품의 용기 용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1회분 용량부터 복수회 나눠서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호에 따라 화장품을 제작하여 취출 예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한 반경에서 최소거리에 위치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에서 즉시 수령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화장품 구매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 간 화장품 조합을 공유하거나, 이용횟수가 높은 사용자 순으로 랭킹을 선정하여 사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률을 장려하며, 화장품이 취출되는 대기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부에 광고의뢰 업체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출력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자동판매기기를 이용하는 대기시간동안 지루함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광고 의뢰업체는 직간접적으로 자사의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켜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automatic vending services purgeable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user's preferen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된 제품이 배합과정을 거쳐 취출되도록 하는 자동판매기기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 및 상황에 따라 맞춤형 화장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고, 원재료를 선택한 이후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원료를 추가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상호 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기능성 원료가 함량된 최종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최종 제품의 용기 용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1회분 용량부터 복수회 나눠서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호에 따라 화장품을 제작하여 취출 예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한 반경에서 최소거리에 위치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에서 즉시 수령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화장품 구매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 간 화장품 조합을 공유하거나, 이용횟수가 높은 사용자 순으로 랭킹을 선정하여 사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률을 장려하며, 화장품이 취출되는 대기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부에 광고의뢰 업체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출력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자동판매기기를 이용하는 대기시간동안 지루함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광고 의뢰업체는 직간접적으로 자사의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켜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미용기구 및 미용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위와 같은 제품을 판매하는 미용용품 판매상점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한편, 자동판매기기는 동전을 투입하거나 카드를 삽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물건을 취출하도록 하여 무인으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로서, 시중에 나와있는 자동판매기기는 차표, 담배, 음료 등에 국한되어 있다.
하지만, 판매자가 상근하지 않아도 되어 인건비가 절감되며,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아 공간상의 제약이 없으며, 구매자가 필요한 때에 언제든지 구매할 수 있어 구입의 편리성 등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자동판매기기는 공공장소에 많이 설치되어져 있다.
이러한 자동판매기기는 다양한 영역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미용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미용제품을 손쉽게 취출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용 제품자동판매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10980호(2014.6.17.등록),(발명의 명칭: 화장품 자동 판매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포장팩 내에 화장품이 수납된 화장품 패키지와, 화장품 패키지를 내부공간 내에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수납된 화장품 패키지를 낱개 단위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본체와, 본체 상에 노출되게 설최된 금전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금액을 확인하여 수납처리하는 투입금액 처리부, 본체에 화장품 패키지의 토출을 지시하는 토출버튼이 마련된 버튼조작부, 본체에 수납된 화장품 패키지를 제어신호에 따라 배출함을 통해 낱개 단위로 배출되게 처리하는 물품토출 구동부, 투입금액 처리부로부터 화장품 패키지의 가격 이상의 투입금액정보가 수신된 후 토출버튼이 조작된 신호가 수신되면 물품 토출구동부를 제어하여 본체에 수납된 화장품 패키지가 배출함으로 토출되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행기술문헌은 화장품이 포장된 완제품 형태가 취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피부상태, 피부색상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품을 배합하여 취출할 수 없고, 직접 가서 기기를 구동시켜 제품을 취출하는 방식에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획일적인 색상 및 용량으로 제작된 화장품을 취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피부색상 또는 기호색상, 피부 상태, 및 사용횟수(용량)에 따라 맞춤형 화장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보다 편리한 화장품 자동 판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는 스마트기기; 및 스마트기기,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화장품 자동판매기기는 사용자가 화면에 제시된 색상 중 선호하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호색상 입력부, 사용자의 피부 색상,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물품의 색상을 포함하는 컬러 센싱 대상체를 측정하는 컬러 센싱부, 선호색상 입력부 또는 컬러 센싱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값을 토대로 소정 연산을 수행하여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량에 따라 다수개의 용기가 적재되어 있고, 이송통로를 통해 선택된 용기가 하나씩 낙하하도록 하는 용기 적재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 적재부와 연통되고, 액상, 분말 타입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원재료를 용기에 공급하는 원재료 공급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 적재부와 연통되고, 복수개의 서로 다른 색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배합량 연산부에서 연산한 값에 따라 원재료 공급부 대비 소정의 비율로 용기에 공급하는 색 공급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 적재부와 연통되고, 주름, 기미, 잡티 개선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재료를 용기에 공급하는 기능성 재료 공급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에 투입된 재료들을 모터를 포함하는 회동수단을 이용하여 혼합하는 배합부, 배합된 최종 제품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취출부, 다수의 보관공간이 구비되고,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약한 최종제품이 소정 기간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보관부, 색상 분류지수 DB, 색상 분류 지수 대비 원재료와 색의 배합 비율 DB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터치방식에 의해 화면이 전환되며 제품의 취출을 위한 단계 별 화면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 결제수단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수단 투입부, 및 스마트기기, 서버와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컬러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값을 전달받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색상 분류 지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색상 지수로 환산하는 색 지수 변환부, 색 지수 변환부로부터 적정 색상 지수를 전달받아 저장된 색상 분류 지수 대비 원재료와 색의 배합 비율을 연산하는 배합량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을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선호화장품 브랜드, 선호색상, 선호 구매지역을 포함하는 화장품 선호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정보 입력 모듈, 취출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원재료, 색상, 기능성 재료 첨가 여부를 포함하는 사항을 선택하는 선택 모듈, GPS 송수신 신호를 활성화시켜 GPS 위성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송수신 모듈, 위치정보 송수신 모듈에 의해 획득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인근에 설치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는 자동 검색 모듈, 사용자가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에 도착하기 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품을 미리 선택하고 제품을 수취할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위치, 수취 시간를 포함하는 사항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수취 예약 모듈,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서버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수취 예약 모듈을 통해 예약한 물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보관 물품 수취모듈,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화장품 브랜드, 구매 지역, 색상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추천하는 추천 정보 제공 모듈, 사용자가 구매한 이력을 토대로 화장품 색상과 어울리는 의류, 악세사리를 포함하는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매장을 추천하는 매장 추천 정보 제공 모듈, 및 사용자 개개인이 배합한 최종 제품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사용자와의 공유 내역이 많은 순서대로 랭킹을 선정하는 랭킹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제품이 보관된 상태를 취출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된 제품이 배합과정을 거쳐 취출되도록 하는 자동판매기기를 구비함으로써 획일적인 색상선택이 아니라, 사용자의 피부색상 및 선호하는 기호색상에 따라 맞춤형 화장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재료를 선택한 이후,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원료를 추가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상호 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기능성 원료가 함량된 최종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최종 제품의 용기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규격 별로 용기가 적재된 용기 적재부를 구비함으로써 1회분 용량부터 복수회 나눠서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까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호에 따라 화장품을 제작하여 취출 예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한 반경에서 최소거리에 위치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에서 즉시 수령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들의 화장품 구매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 간 화장품 조합을 공유하거나, 이용횟수가 높은 사용자 순으로 랭킹을 선정하여 사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률을 장려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장품이 취출되는 대기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부에 광고의뢰 업체로부터 광고 컨텐츠를 출력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자동판매기기를 이용하는 대기시간동안 지루함을 없앨 수 있도록 하고, 광고 의뢰업체는 직간접적으로 자사의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켜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100), 서버(200), 및 스마트기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는 사용자의 피부 색상, 피부상태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작동되는 무인 자동화 기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를 참조하면,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내부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선호색상 입력부(108), 컬러 센싱부(110), 제어부(112), 원재료 공급부(118), 색 공급부(120), 기능성 재료 공급부(122), 용기 적재부(124), 배합부(126), 밀봉부(128), 제품 취출부(130), 물품 보관부(132), 디스플레이부(134), 결제수단 투입부(136), 무선통신부(138), 및 저장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선호색상 입력부(108)는 사용자가 화면에 제시된 색상 중 선호하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다수개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1차 선택하고, 1차 선택된 색상의 채도에 따라 보다 광범위한 색상이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색상을 2차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원색(노랑, 파랑, 흰색, 검정, 빨강, 노랑 등)을 출력한 후 사용자가 노랑색을 1차 색상 선택하였다면, 노랑, 밝은노랑, 옅은 노랑 등으로 2차 세부색상영역이 화면에 출력된다.
선호색상 입력부(108)는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 입력값을 제어부(112)로 전송하여 원재료 공급부(118)와, 색 공급부(120)가 구동하도록 구동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색상 입력부(108)는 디스플레이부(134)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통해 색상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컬러 센싱부(110)는 사용자의 피부 색상,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옷, 가방을 포함하는 소지품의 색상 등의 컬러 센싱 대상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컬러 센싱부(110)는 피부 색상 감지기, 색상 측정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는 방식은, 터치스크린 패널 화면에 구현되어 다양한 색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선호색상 입력부)과, 사용자의 피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옷, 가방 등의 물품의 색상을 포함하는 컬러 센싱 대상체를 센싱하여 기 저장된 색상 중 적합한 색상을 검출하는 방식(컬러 센싱부)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12)는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전면에 출력되는 화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선호색상에 대한 입력값을 전달받아 소정의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2)는 컬러 센싱부(110)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전달받아 변환 및 연산을 수행하는 색 지수 변환부(114)와 배합량 연산부(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색 지수 변환부(114)는 컬러 센싱부(110)를 통해 측정된 값을 토대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된 색상 분류 지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색상 지수로 환산한다.
일례로, 색 지수 변환부(114)는 컬러 센싱부(110)에서 센싱한 대상체가 사용자의 피부일 경우, 피부색과 가장 근접한 색상 분류 지수를 색출하여 매칭시켜 변환한다.
색상 분류 지수는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다. 색상 분류 지수는 각각의 색을 지수로 매칭시켜 놓은 분류군이다. 일례로, 색상 분류 지수는 1에서 10까지 분류되어 있다.
배합량 연산부(116)는 색 지수 변환부(114)로부터 적정 색상 지수를 전달받아 기 저장된 색상 분류 지수 대비 원재료와 색의 배합 비율을 연산한다.
배합량 연산부(116)는 원재료에 입력한 값과 가장 적합한 색으로 배합하기 위하여 원재료 대비 얼만큼의 추가색상을 배합시킬 것인지를 연산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40)에는 색상 분류 지수를 기준으로 원재료와 색의 적정 배합 비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된 값에 따라 색상 분류 지수에 대응되는 배합량이 소정 연산을 수행하여 산출된다. 일 실시예로, 배합량 연산부(116)는 선형 보간법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원재료 공급부(118)는 제어부(112)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 적재부(124)와 연통되고, 액상, 분말 타입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원재료가 저장되어 있으며, 복수 개로 구획화되어 있다.
일 실시예로서, 화장품의 원재료가 베이스일 경우, 액상 타입의 베이스가 구비된다. 여기서, 화장품 원재료는 베이스 뿐만 아니라, 팩트, 아이 섀도우 등 다양한 종류의 색조 화장품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색 공급부(120)는 제어부(112)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 적재부(124)와 연통되고, 복수개의 서로 다른 색이 독립적으로 구획화된 공간에 구비되고, 배합량 연산부(116)에서 연산한 값에 따라 원재료 공급부(118) 대비 소정의 비율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원재료 공급부(118)에 '베이스'가 저장된 경우, 표준이 되는 기준 베이스가 원재료 공급부(118)에 저장되고, 상기 기준 베이스에 선택적으로 명도와 채도가 높거나 낮은 색을 색 공급부(120)에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가령, 피부색이 어두운 사용자의 경우, 한국인의 표준이 되는 기준 베이스에 채도가 낮은 베이스를 선택적으로 부가하여 기준 베이스보다 한 톤 또는 두 톤 가량 낮은 색상의 베이스가 배합되도록 한다.
기능성 재료 공급부(122)는 제어부(112)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 적재부(124)와 연통되고, 주름, 기미, 잡티 개선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재료가 수용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34)에서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면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용기 적재부(124)는 제어부(112)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제품이 취출될 용기가 적재되고, 용기의 용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용기 적재부(124)의 용량 선택 범위는 1회분량인 0.1ml 부터 복수회 나눠서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인 50ml 까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내부영역에는 용량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가진 용기들이 적재되어 있는 적재함(미도시)이 구비되고, 적재함(미도시) 하단으로 이송통로(미도시)를 설치하여, 이송통로를 통해 선택된 용기가 하나씩 낙하하면서 사용자가 제품을 취출할 수 있는 베이스판에 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합부(126)는 용기 적재부(124)를 통해 선택된 용기가 안착되는 플레이트인, 베이스판(미도시)에 떨어지면, 베이스판(미도시) 내부에 구비되고 모터를 포함하는 회동수단이 용기를 회전시킨다. 이 때, 용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며, 회동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배합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밀봉부(128)는 용기에 공급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용기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분을 접합하여 융착시키는 밀봉수단이 구비된다.
제품 취출부(130)는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외부 전면에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고, 배합된 최종 제품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물품 보관부(132)는 스마트기기(300)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약한 최종제품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물품 보관부(132)는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관실의 규격을 고려하여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와 연통된 외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4)는 외부 전면에 배치되고, 터치방식에 의해 화면이 전환되고, 제품의 취출을 위한 단계 별 화면이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134)는 색상 종류, 화장품 원재료 종류, 기능성 재료의 포함여부, 최종 제품의 용량 선택 등 화장품을 취출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출력되고, 현금을 투입할 것인지 카드를 넣을 것인지 등 결제수단을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화면과, 선택한 화장품이 배합되는 대기 시간동안 대기 화면에 소정의 광고가 재생되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34)는 일 실시예이며, 프로그램의 설계에 따라 추가적인 화면이 더 구현될 수도 있으며, 화면 구현 상 불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생략 가능하다.
결제수단 투입부(136)는 외부 전면에 구비되고, 현금, 카드를 포함하는 결제수단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통신부(138)는 스마트기기(300), 서버(200)와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수신 가능하도록 한다.
서버(200)는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100)와 스마트기기(300)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한 개인정보 DB(210),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약한 수취 예약 정보 DB(220), 지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고유식별 정보 DB(230),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위치정보 DB(240) 등이 저장되어 있다.
서버(200)는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에 공급되는 원재료의 공급량이 설정 용량 이하일 경우, 관리자 모드로 접속된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마트기기(300)는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100)와 서버(200)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된다.
스마트기기로는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스마트폰 등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거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스마트기기(300)는 개인정보 입력 모듈(310), 위치정보 송수신 모듈(320), 자동 검색 모듈(330), 개별 검색 모듈(340),선택 모듈(350), 선호도 순위 표시 모듈(360), 수취 예약 모듈(370), 추천 정보 제공 모듈(380), 매장 추천 정보 제공 모듈(390), 랭킹 제공 모듈(400), 및 보관 물품 수취 모듈(4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모듈들은 스마트기기에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다.
스마트기기의 애플리케이션과 화장품 자동판매기기는 무선통신방식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기는 자동판매기기가 단독으로 구동되나,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기기와 자동판매기기 간을 연동시켜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판매기기의 취출 물품을 수취할 시간 등을 예약 가능하도록 한다.
개인정보 입력 모듈(310)은 아이디, 비밀번호, 이메일주소, 비밀번호,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기본 신상정보와 성별, 연령, 선호 화장품 브랜드, 선호 구매 지역, 선호 색상을 포함하는 화장품 선호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정보 입력 모듈(310)에서 입력한 개인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200)에 등록된다.
위치정보 송수신 모듈(320)은 스마트기기(300)의 GPS 송수신 신호를 활성화시켜 GPS 위성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자동 검색 모듈(330)은 위치정보 송수신 모듈(320)에 의해 획득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인근에 설치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한다.
일 실시예로, 'XX 플라자 OOO길 3.2km 위치한 XX점 화장품 자동판매기기' 로 검색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개별 검색 모듈(340)은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위치정보를 찾는 모듈로서, 사용자가 국가 → 도시 → 시(주) → 구 → 동 순으로 선택된 개별정보를 토대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위치정보를 검색한다.
선택 모듈(350)은 취출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원재료, 색상, 기능성 재료 첨가 여부 등을 선택하는 모듈이다.
화장품 원재료가 '베이스'일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선택 모듈(35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선택 모듈(350)은 서로 다른 종류의 베이스의 사진, 설명 등이 구비되고, 베이스의 기본 색상이 표시되고, 베이스의 기본 색상에 추가 색상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기능성 재료를 추가 또는 제외할 것인지 선택하도록 하고, 제품의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선호도 순위 표시 모듈(360)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기간 별로 선택한 원재료의 종류, 선호하는 색상 등을 순위별로 선정하여 표시한다.
수취 예약 모듈(370)은 사용자가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에 도착하기 전 스마트기기(300)를 이용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최종제품을 선택하고, 제품을 수취할 화장품 자동판매기기(100)의 지점과, 수취 시간 등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추천 정보 제공 모듈(380)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화장품 브랜드, 구매 지역, 색상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추천한다.
매장 추천 정보 제공 모듈(390)은 사용자가 구매한 이력을 토대로 화장품 색상과 어울리는 의류, 악세사리를 포함하는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매장의 거리를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가 위치한 반경 소정 거리 이내로 제공한다.
랭킹 제공 모듈(400)은 사용자 개개인이 배합한 최종 제품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사용자와의 공유 내역이 많은 순서대로 랭킹을 선정한다.
보관 물품 수취모듈(410)는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서버(200)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수취 예약 모듈(370)을 통해 예약한 물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보관된 물품을 찾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관 물품 수취모듈(410)을 통해 물품 수취를 요청하고, 서버(200)는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 수취 요청을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수취 예약 정보를 확인하여 일치할 경우, 물품 보관부(132)의 개방을 위한 고유번호를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기기(300)로 송신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스마트기기로 전달받은 고유번호를 물품 보관부(132)의 전면에 출력된 화면에 입력하면 물품이 취출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화장품 자동판매기기 102 - 선호 색상 입력부
110 - 컬러 센싱부 112 - 제어부
114 - 색 지수 변환부 116 - 배합량 연산부
118 - 원재료 공급부 120 - 색 공급부
122 - 기능성 재료 공급부 124 - 용기 적재부
126 - 배합부 128 - 밀봉부
130 - 제품 취출부 132 - 물품 보관부
134 - 디스플레이부 136 - 결제수단 투입부
138 - 무선통신부 140 - 저장부
142 - 색상 분류 지수 DB
144 - 색상 분류 지수 대비 원재료와 색의 배합비율 DB
200 - 서버 210 - 개인정보 DB
220 - 수취 예약 정보 DB 230 - 자동판매기기 고유식별정보 DB
240 - 자동판매기기 위치정보 DB 300 - 스마트기기
310 - 개인정보 입력 모듈 320 - 위치정보 송수신 모듈
330 - 자동 검색 모듈 340 - 개별 검색 모듈
350 - 선택 모듈 360 - 선호도 순위 표시 모듈
370 - 수취 예약 모듈 380 - 추천 정보 제공 모듈
390 - 매장 추천 정보 제공 모듈 400 - 랭킹 제공 모듈
410 - 보관 물품 수취 모듈
1000 -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Claims (3)

  1.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는 스마트기기; 및
    스마트기기, 화장품 자동 판매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는 서버
    를 포함하고,
    화장품 자동판매기기는
    사용자가 화면에 제시된 색상 중 선호하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호색상 입력부,
    사용자의 피부 색상,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물품의 색상을 포함하는 컬러센싱 대상체를 측정하는 컬러 센싱부,
    선호색상 입력부 또는 컬러 센싱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값을 토대로 소정 연산을 수행하여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량에 따라 다수개의 용기가 적재되어 있고, 이송통로를 통해 선택된 용기가 하나씩 낙하하도록 하는 용기 적재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 적재부와 연통되고, 액상, 분말 타입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원재료를 용기에 공급하는 원재료 공급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 적재부와 연통되고, 복수개의 서로 다른 색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배합량 연산부에서 연산한 값에 따라 원재료 공급부 대비 소정의 비율로 용기에 공급하는 색 공급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 적재부와 연통되고, 주름, 기미, 잡티
    개선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에 효과가 있는 기능성 재료를 용기에 공급하는 기능성 재료 공급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용기에 투입된 재료들을 모터를 포함하는 회동수단을 이용하여 혼합하는 배합부,
    배합된 최종 제품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 취출부,
    다수의 보관공간이 구비되고,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약한 최종제품이 소정 기간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물품 보관부,
    색상 분류지수 DB, 색상 분류 지수 대비 원재료와 색의 배합 비율 DB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터치방식에 의해 화면이 전환되며 제품의 취출을 위한 단계 별 화면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
    결제수단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수단 투입부, 및
    스마트기기, 서버와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부
    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컬러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값을 전달받아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색상 분
    류 지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색상 지수로 환산하는 색 지수 변환부,
    색 지수 변환부로부터 적정 색상 지수를 전달받아 저장된 색상 분류 지수 대비 원재료와 색의 배합 비율을 연산하는 배합량 연산부
    를 포함하며,
    스마트기기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을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선호화장품 브랜드, 선호색상,선호 구매지역을 포함하는 화장품 선호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정보 입력모듈,
    취출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원재료, 색상, 기능성 재료 첨가 여부, 제품 용량을 포함하는 사항을 선택하는 선택 모듈,
    GPS 송수신 신호를 활성화시켜 GPS 위성과 통신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송수신 모듈,
    위치정보 송수신 모듈에 의해 획득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인근에
    설치된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는 자동 검색 모듈,
    사용자가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에 도착하기 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품을
    미리 선택하고 제품을 수취할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위치, 수취 시간를 포함하는
    사항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수취 예약 모듈,
    사용자의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서버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수취 예
    약 모듈을 통해 예약한 물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보관 물품 수취모듈,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화장품 브랜드, 구매 지역, 색상을 포함하는 화
    장품을 추천하는 추천 정보 제공 모듈,
    사용자가 구매한 이력을 토대로 화장품 색상과 어울리는 의류, 악세사리를
    포함하는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매장을 추천하는 매장 추천 정보 제공 모듈,
    사용자 개개인이 배합한 최종 제품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다른 사용자와의 공유 내역이 많은 순서대로 랭킹을 선정하는 랭킹 제공 모듈,
    사용자가 기간 별로 선택한 원재료의 종류, 선호하는 색상, 원재료의 배합비율을 포함하는 구매이력을 순위별로 선정하여 표시하는 선호도 순위 표시 모듈,
    을 포함하고,
    물품 보관부에 보관된 물품을 찾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기기의 보관 물품 수취모듈을 통해 물품수취신호를 서버에 요청하고,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 수치 요청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수취 예약정보를 확인하여 일치할 경우 화장품 자동판매기기의 물품 보관부의 개방을 위한 고유번호를 사용자 스마트기기로 송신한 다음, 스마트기기로 전달받은 고유번호를 물품보관부의 전면에 출력된 화면에 입력하여 물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60131232A 2016-10-11 2016-10-11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814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32A KR101814531B1 (ko) 2016-10-11 2016-10-11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232A KR101814531B1 (ko) 2016-10-11 2016-10-11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531B1 true KR101814531B1 (ko) 2018-01-03

Family

ID=6100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232A KR101814531B1 (ko) 2016-10-11 2016-10-11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5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7566A (zh) * 2018-01-30 2018-09-14 深圳市阿西莫夫科技有限公司 化妆品货架的商品销售方法、装置和化妆品货架
KR20190128349A (ko) * 2018-05-08 2019-11-18 신현순 인공지능을 이용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자동 판매기
KR102149431B1 (ko) * 2019-11-20 2020-08-28 염유숙 커스터마이징된 화장품 세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54086B1 (ko) * 2021-09-01 2022-01-20 안효진 고객 맞춤형 화장품 판매 방법
KR20220066617A (ko) * 2020-11-16 2022-05-24 이아이피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화장품 자동 제조 장치
KR102558214B1 (ko) * 2023-01-02 2023-07-24 아아코스메틱(주) 화장품 판매 시스템
US20230252838A1 (en) * 2022-02-07 2023-08-10 Life Spectacular, Inc., D/B/A Proven Skincare Automatic system for dispensing customer-specific personal care articles and produc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987B1 (ko) * 2014-03-25 2015-02-09 아람휴비스(주)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방법
KR101631663B1 (ko) * 2015-03-04 2016-06-24 (주)솔루션아이티 이동 단말,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987B1 (ko) * 2014-03-25 2015-02-09 아람휴비스(주)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방법
KR101631663B1 (ko) * 2015-03-04 2016-06-24 (주)솔루션아이티 이동 단말,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판기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7566A (zh) * 2018-01-30 2018-09-14 深圳市阿西莫夫科技有限公司 化妆品货架的商品销售方法、装置和化妆品货架
KR20190128349A (ko) * 2018-05-08 2019-11-18 신현순 인공지능을 이용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자동 판매기
KR102081500B1 (ko) * 2018-05-08 2020-02-25 신현순 인공지능을 이용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자동 판매기
KR102149431B1 (ko) * 2019-11-20 2020-08-28 염유숙 커스터마이징된 화장품 세트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66617A (ko) * 2020-11-16 2022-05-24 이아이피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화장품 자동 제조 장치
KR102521414B1 (ko) 2020-11-16 2023-04-14 이아이피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화장품 자동 제조 장치
KR102354086B1 (ko) * 2021-09-01 2022-01-20 안효진 고객 맞춤형 화장품 판매 방법
US20230252838A1 (en) * 2022-02-07 2023-08-10 Life Spectacular, Inc., D/B/A Proven Skincare Automatic system for dispensing customer-specific personal care articles and products
KR102558214B1 (ko) * 2023-01-02 2023-07-24 아아코스메틱(주) 화장품 판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531B1 (ko)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장품 취출이 가능한 자동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0861276B1 (en) Method and system of personal vending
JP2017174320A (ja) 飲食物払出装置、及び携帯端末
US20100262554A1 (en) In-store wireless shopping network using hand-held devices
CN110291553A (zh) 用于集成用于订购和分配饮料的饮料分配app的系统和方法
CN106157185A (zh) 购物方法及装置
CN101828208A (zh) 用于促进消费者与分配器交互的系统和方法
KR20210010598A (ko) 무인결제시스템
KR20100022876A (ko)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온라인 쇼핑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8960712A (zh) 一种谷物物流服务系统
KR101745610B1 (ko) 자동판매기 및 그의 무선충전 단말 판매방법
JP2019003429A (ja) 物品回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23005A (ko) 레시피 식재료 통합 구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15943B2 (en) Order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20190011399A (ko) 웰빙간식 서브스크립션 시스템
KR101824570B1 (ko) 고객 데이터 보호 및 유연한 방법에 의한 자동 가격할인 기능을 가진 소매용 판매단말기(pos) 처리시스템
TW201546739A (zh) 以電信整合iBeacon室內定位技術與資訊物流雲端平台的消費服務系統及其方法
KR20200054494A (ko) 무인결제시스템
JP7092956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94994A (ko) 온라인 상품주문 관리시스템
JP2019200568A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及び自動販売機
KR20160094101A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연결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2500A (ko) 사용자 단말장치를 이용한 자동판매기 결제시스템 및 방법
KR101689011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72940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