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529B1 -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529B1
KR101814529B1 KR1020170017925A KR20170017925A KR101814529B1 KR 101814529 B1 KR101814529 B1 KR 101814529B1 KR 1020170017925 A KR1020170017925 A KR 1020170017925A KR 20170017925 A KR20170017925 A KR 20170017925A KR 101814529 B1 KR101814529 B1 KR 101814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liptical
guardrail support
upper portion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 문 김
Original Assignee
봉 문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봉 문 김 filed Critical 봉 문 김
Priority to KR102017001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가드레일 지지체의 상부에는 본체가 삽입되며, 본체 내부에는 공간부가 장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체의 말단부에는 타원형의 제 1 걸림부와 제 2 걸림부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제 2 걸림부의 상부에는 동일한 각도로 내부와 외부에 경사각이 형성되며, 경사각의 상부에는 타원 경사부가 구비되고, 타원 경사부 상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부가 구비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돌출부 상면 중앙에는 마감 홈부으로 구성되어있어, 가드레일 지지체와 결합이 용이하며 급격한 온도 변화에도 본체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와 내입부로 인하여 유연한 대체가 되며, 성형시 발생되는 잔여물을 손쉽게 제거하기 위하여 돌출부보다 낮게 마감 홈부가 구비되어 성형시 잔여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guardrail support}
본 발명은 도로용 가드레일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가이드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로용 가드레일을 설치시 지면과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봉을 설치하게 된다. 지지봉을 설치시 크레인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지지봉을 설치한 후 금속제로 된 커버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로용 가드레일의 선행기술로는 공개번호 10-2011-0087653" 차량출돌시 다양한 흡수 기능을 갖는 3중 철판 구조의 가드레일 및 그 제조방법"과 특허등록 번호 10-1286738" 도로 분리대" 와 본 발명인의 선 출원된 공개번호 10-2016-70600 "도로용 가드레일 지지봉체 "가 있다.
또한,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47939 " 가드레일 지주봉용 캡 "에서는 가드레일 지주봉의 상단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상면과 그 연부에 수직형성된 일정길이의 하향절곡부로 이루어져 지주봉의 상단에 씌워지는 가드레일 지주봉용 캡 과, 하향절곡부의 내측면에 걸림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안은 도로용 가드레일의 구조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지봉과 커버의 결합방법에 관한 것은 전무한 상태이며,설치시 지지봉과 커버를 결합시에 커버의 재질이 금속재질이기 때문에 제품의 중량이 무거워 조립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노후 시 외관이 부식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며, 제품 생산시 제조 원가가 상승 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공개번호 10-2016-70600 "도로용 가드레일 지지 봉체 "는 연장 부재의 상부에는 별도의 공간부가 없어 주변 온도 변화에 수축 및 팽창하여 지지 봉체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47939 " 가드레일 지주봉용 캡 "는 캡외주면에 구비된 걸림턱이 지지봉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 돌부에 거치 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가드레일 설치환경의 특성상 진동 및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하여 연결부위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 지지체의 상부에는 본체가 삽입되며, 본체 내부에는 공간부가 장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말단 내경에는 타원형의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림부의 상부에는 동일한 각도로 내부와 외부에 경사각이 형성되며, 경사각의 상부에는 타원 경사부가 구비되고,
삭제
타원 경사부 상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부가 구비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돌출부 상면 중앙에는 마감 홈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체의 제 1 걸림부와 제 2 걸림부에 의하여 지지체가 손쉽게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설치 환경에 따라 크롬도금을 하여 내구성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와 가드레일 지지체를 삽입시 과도하게 삽입하여 본체에 구비된 제 1 걸림부와 제 2 걸림부가 파손 및 마모될 수 있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 2 걸림부 상부에 경사각이 구비되어 본체에 필요 이상으로 물리적 힘에 의하여 걸림부가 파손 및 마모될 수 없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주변의 극격한 온도 변화에도 효율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절취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와 가이드 레일 지지체의 일부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물이 절단된 본체의 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가드레일 지지체(20)의 상부에는 본체(10)가 삽입되며,
본체(10) 내부에는 공간부(14)가 장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10) 말단 내경에는 타원형의 제1걸림부(10-1)와 제2걸림부(10-2)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림부(10-2)의 상부에는 동일한 각도로 내부와 외부에 경사각 (11)이 형성되며,
경사각(11)의 상부에는 타원 경사부(11-1)가 구비되고, 타원부 경사부(11-1) 상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부(12-1)가 구비된 돌출부(12)가 형성되며,
돌출부(12) 상면 중앙에는 마감 홈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가드 레일: 30.
잔여물: 40.
본 발명은 가드레일 지지체(20)의 상부에 본체(1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본체(10)에 일정한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본체(10)의 말단에 형성된 제 1 걸림부(10-1)와 제 2 걸림부(10-2)에 의하여 가드레일 지지체(20)가 고정됨에 됨에 따라 별도의 볼트나 너트 없이 손쉽게 체결할 수 있어 설치 및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일정한 물리적인 힘은 고무 망치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가드레일 지지체(20)에 본체(10)를 결합하는 것이다.
가드레일 지지체(20)와 본체(10) 결합시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힘에 의하여 제 1 걸림부(10-1)와 제 2 걸림부(10-2)가 마모 및 파손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2 걸림부(10-2) 상부에는 동일한 각도로 내부와 외부에 경사각(11)가 구비되어 본체(10)가 적정한 높이 이하로 내려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경사각(11)에 의하여 본체(10)가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인 본체(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성형비용이 저렴하기에 제품 경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본체(10)는 주로 도로 위에 설치됨에 따라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하여 수축 및 팽창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가드레일 지지체에 이탈되는 문제점을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간부 (14)가 구비되어 극격한 온도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경사각(11)의 상부에는 타원 경사부(11-1)가 구비되고, 타원 경사각(11-1) 내측으로 내입부(12-1)가 구비된 돌출부(1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내입부(12-1)가 구비됨에 따라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하여 돌출부(12)의 팽창 및 수축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기로 성형함에 따라 불필요한 잔여물(40)이 발생하게 되며, 보통 잔여물(40)을 절단하게 되며, 절단을 정확하게 되면 잔여물(40)이 본체(10)의 상면보다 낮아져 설치시에 문제가 없었으나, 절단이 부정확할 경우 잔여물(40)에 의하여 작업자가 상해를 입어 설치 시간이 증가하며, 대량생산시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
또한, 이러한 잔여물(40)은 외관상 좋지 않아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12)보다 낮게 마감 홈부(13)가 구비되어 성형시 잔여물(40)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음에 따라 대량 생산시에도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완성도를 높아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 본체.
10-1 제 1 걸림부.
10-2 제 2 걸림부.
11 경사각.
11-1 타원 경사부.
12 돌출부.
12-1 내입부.
13 마감 홈부.
14 공간부.

Claims (1)

  1. 가드레일 지지체의 상부에는 본체가 삽입되며, 본체 내부에는 공간부가 장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말단 내경에는 타원형의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림부의 상부에는 동일한 각도로 내부와 외부에 경사각이 형성되며, 경사각의 상부에는 타원 경사부가 구비되고,
    타원부 경사부 상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부가 구비된 돌출부가 구비되고, 돌출부 상면 중앙에는 마감 홈부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
KR1020170017925A 2017-02-09 2017-02-09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 KR101814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25A KR101814529B1 (ko) 2017-02-09 2017-02-09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925A KR101814529B1 (ko) 2017-02-09 2017-02-09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529B1 true KR101814529B1 (ko) 2018-01-03

Family

ID=6100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925A KR101814529B1 (ko) 2017-02-09 2017-02-09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043B1 (ko) * 2021-09-28 2022-02-28 김봉문 가드레일의 시선유도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939Y1 (ko) * 2004-01-27 2004-04-28 곽남걸 가드레일 지주봉용 캡
KR101157772B1 (ko) * 2011-09-19 2012-06-25 유한회사 완암산업 울타리용 지주
KR200464206Y1 (ko) * 2011-07-04 2013-01-09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목피지주용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939Y1 (ko) * 2004-01-27 2004-04-28 곽남걸 가드레일 지주봉용 캡
KR200464206Y1 (ko) * 2011-07-04 2013-01-09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목피지주용 캡
KR101157772B1 (ko) * 2011-09-19 2012-06-25 유한회사 완암산업 울타리용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043B1 (ko) * 2021-09-28 2022-02-28 김봉문 가드레일의 시선유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2916B2 (en) Liner for a motor vehicle grille
US6669252B2 (en) Motor vehicle bumper beam, and a bumper fitted with such a beam
KR101769884B1 (ko) 목재용 데크의 연결조립체
KR101814529B1 (ko) 가드레일 지지체의 결합 구조.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JP3112401U (ja) 側溝改修用部材
CA2110872A1 (en) Ladder shoe spur plate
JP2007537376A (ja) 溝を覆うためのアセンブリ
KR930016011A (ko) 쿠션용 편자
KR102393747B1 (ko) 논슬립 모듈이 적용된 y형 신축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물
KR20200041715A (ko) 데크조립체
KR101499459B1 (ko) 조립식 안전 볼라드
KR101307290B1 (ko) 가드레일 구조물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2479855B1 (ko) 지압판기능을 갖는 비탈면 보호망 고정용 앙카핀
KR200300015Y1 (ko) 도로용 가이드 레일
CN209241173U (zh) 新型铝型材汽车防撞梁
KR101378546B1 (ko) 운전자를 보호 및 시공이 편리한 안전 가이드레일
KR101938285B1 (ko) 그레이팅 안전 덮개
KR20170061463A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JP6305716B2 (ja) ガードパイプ用端部緩衝具及びそれを用いたガードパイプ
RU224752U1 (ru) Инструмент со сменной насадкой для садово-огородных, ремонтно-строительных работ и туристско-альпинистского снаряжения
JP6398314B2 (ja) ルーフレール
JP7012808B1 (ja) 履帯用ゴムパッド
KR200362099Y1 (ko) 레일 고정용 클립
KR200341705Y1 (ko) 볼트 고정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