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073B1 -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073B1
KR101814073B1 KR1020140010683A KR20140010683A KR101814073B1 KR 101814073 B1 KR101814073 B1 KR 101814073B1 KR 1020140010683 A KR1020140010683 A KR 1020140010683A KR 20140010683 A KR20140010683 A KR 20140010683A KR 101814073 B1 KR101814073 B1 KR 10181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seudomonas
soil
growth
rhizob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726A (ko
Inventor
김창진
박동진
장종옥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10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0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염의 토양 환경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혼합한 미생물 복합제는 고염 환경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에 있어서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의 발아율 및 생체중 증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혼합하여 콩과 녹비작물의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방법{Microbe complex and the same method for enhancing effect of Leguminous Manures growth in the high salinity land}
본 발명은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인구는 많으나 전국토의 60% 이상이 산지이므로, 경제발전에 따라 소요되는 새로운 공업 단지, 주택 단지, 항만 등에 필요한 용지를 공급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필요한 용지 공급을 위해 본래 바다 또는 하천이었으나 육지로 변경시켜 이들 용지를 공급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방조제관리법(防潮堤管理法)에서는 농수산업의 재해방지와 생산력증가를 목적으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보존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간척지 같은 경우에는 흙으로 메워져 있으나, 토양의 염 농도가 높아 일반 식물을 재배할 수 없기에 그 효용성이 많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각 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간척지의 식물 효용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대두되고 있고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토양의 염류 축적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으며, 특히, 객토 등의 토양 개량, 피해 최소화를 위한 경종방법 개선과 내염성 작물의 개발 등이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다수의 작물은 중성작물(glycophyte)로서 염류축적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생육 장해 및 수량감소를 나타낸다. 염류 축적이 식물 생장에 미치는 치명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식물체에 비해 토양 용액의 낮은 삼투압으로 수분 스트레스 유발, 2) 영양 불균형, 3) 식물에 해가 되는 이온 효과, 4) 위 요인이 모두 합해진 복합 효과 등에 의해 식물 생육은 크게 영향을 받는다. 식물 체내에서는 광합성작용, 단백질합성, 탄수화물 및 지방 대사 등 주요한 대사과정이 염장해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고 결과적으로 생육장해 및 수량감소로 나타난다.
간척지와 같은 토양의 비옥도를 개선하기 위해 질소를 고정할 수 있는 녹비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필요하며, 내염성이 있는 미생물을 활용하여, 식물의 생장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강구 중에 있다. 고염 환경인 간척지 토양의 경우 토양 비옥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두과작물과 같은 녹비가 필요하나, 현재까지 녹비로서 헤어리베치를 이용하고, 헤어리베치에 접종하여 간척지와 같은 고염환경에서 질소 고정율을 높일 수 있는 근류균 접종제에 대해서는 개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권리자로 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2861호(헤어리베치 근류 내염성 리조비윰 속 균주)에 연관된 것이다. 상기 균주는 헤어리베치에서 분리된 리조비윰 속 균주가 고염 환경에서 생장이 우수하며, 헤어리베치에 접종하였을 때 근류 형성능 및 질소 고정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균주는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KCTC)에 기탁번호 KCTC 12024BP로 기탁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계속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혼합하여 미생물 복합제를 헤어리베치 종자에 코팅시킨 결과, 고염 환경 토양에서 헤어리베치의 발아율 및 생체증 증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혼합하여 콩과 녹비작물의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착제로서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 및
피복제로서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균주를 포함하는 콩과 녹비 작물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1 내지 2%(v/v) CMC(carboxylmethyl cellulose) 및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를 혼합하여 전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ⅱ) 펄라이트(perlite) 및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포함하여 피복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착제와 피복제로 구성된 콩과 녹비작물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i) 콩과 녹비 작물의 종자에 전착제로서 리조비윰 속(Rhizobium sp.)을 처리하여 1차 코팅시키는 단계; 및
ⅱ) 피복제로서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균주를 처리하여 2차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콩과 녹비작물의 생육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뿌리에서 분리된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혼합하여 헤어리베치 종자에 코팅시켜 고염에서 상기 미생물 복합제를 처리한 헤어리베치의 발아율 및 생체중 증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혼합하여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종자에 미생물제제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고염 토양에서 무처리구 및 단일처리구와 복합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종자의 헤어리베치 발아율의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고염 토양에서 무처리구 및 단일처리구와 복합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헤어리베치의 생체중 증가의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착제로서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 및
피복제로서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균주를 포함하는 콩과 녹비 작물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를 제공한다.
상기 리조비윰 속 균주는 수탁번호 KCTC12024BP로 기탁된 리조비윰 속 RHH84(Rhizobium sp. RHH84)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슈도모나스 속 균주는 수탁번호 KCTC18268P로 기탁된 슈도모나스 속 BN084004(Pseudomonas sp. BN084004)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콩과 녹비작물은 헤어리베치, 자운영, 크로버 및 네마장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미생물 복합제는 고염 환경의 토양에서 생육을 증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염 환경의 토양은 간척지, 바다매립지, 비닐하우스 또는 염류집적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간척지인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착제는 CMC(Carboxylmethyl cellulose)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피복제는 펄라이트(perlite)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의 근류에서 분리한, 근류 형성능 및 질소 고정능을 가지며, 호염성인 헤어리베치 근류 리조비윰 속 RHH84(Rhizobium sp. RHH84)(KCTC12024BP) 균주와 2% CMC를 혼합하여 헤어리베치 종자에 전착제로서 1차 코팅을 한 후, ACC deaminase 활성을 가지고 있는 슈도모나스 속 BN084004(Pseudomonas sp. BN084004)(KCTC18268P) 균주를 혼합하여 헤어리베치 종자표면에 분의 처리 하였다(도 1 참조).
또한, 고염 환경 토양에서 상기 미생물 복합제의 헤어리베치 발아율 증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일 처리구로는 헤어리베치 종자에 리조비윰 속 KCTC12024BP 균주를 처리하였고, 무처리구로는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종자에 1% CMC를 처리하여 상기 미생물 복합제를 처리한 종자와 헤어리베치 발아율을 비교하였을 때, 상기 미생물 복합제를 처리한 종자의 헤어리베치 발아율(73.3%)이 무처리구(50%) 및 단일 처리구(40%)의 발아율보다 효과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또한, 고염 환경 토양에서 상기 미생물 복합제의 헤어리베치 생체중 증가를 확인한 결과, 고염 환경 토양에서 무처리구 및 단일처리구와 복합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헤어리베치의 생체중을 비교하였을 때, 상기 복합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헤어리베치의 생체중은 무처리구의 생체중보다 2.2배 높게 나타났으며, 단일처리구의 생체중은 무처리군의 생체중 보다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리조비윰 속 KCTC12024B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 BN084004 균주를 혼합한 미생물 복합제는 고염 환경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에 있어서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의 발아율 및 생체중 증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리조비윰 속 KCTC12024B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 BN084004 균주를 혼합하여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 1 내지 2%(v/v) CMC(carboxylmethyl cellulose) 및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를 혼합하여 전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ⅱ) 펄라이트(perlite) 및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포함하여 피복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착제와 피복제로 구성된 콩과 녹비작물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계 i)의 CMC 및 리조비윰 속 균주를 1:1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계 i)의 리조비윰 속 균주는 2×108 cfu/ml 내지 2×1010 cfu/ml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109 cfu/ml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단계 ⅱ)의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는 107 내지 108 cfu/g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콩과 녹비작물은 헤어리베치, 자운영, 크로버 및 네마장황으로 구성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미생물 복합제는 고염 환경의 토양에서 생육을 증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염 환경의 토양은 간척지, 바다매립지, 비닐하우스 또는 염류집적지로 구성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간척지인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혼합한 미생물 복합제는 고염 환경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에 있어서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의 발아율 및 생체중 증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혼합하여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 콩과 녹비 작물의 종자에 전착제로서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를 처리하여 1차 코팅시키는 단계; 및
ⅱ) 피복제로서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처리하여 2차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콩과 녹비작물의 생육 증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콩과 녹비작물은 헤어리베치, 자운영, 크로버 및 네마장황으로 구성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헤어리베치인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콩과 녹비작물의 발아율 및 생체중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염 환경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 작물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착제는 CMC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피복제는 펄라이트(perlite)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혼합한 미생물 복합제는 고염 환경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에 있어서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의 발아율 및 생체중 증가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와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혼합하여 콩과 녹비작물의 생육 증진 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ACC deaminase 활성 슈도모나스 속 BN084004( Pseudomonas sp . BN084004)(KCTC18268P) 균주의 배양
ACC deaminase 활성을 가지고 있는 슈도모나스 속 BN084004(Pseudomonas sp. BN084004)(기탁번호: KCTC18268P)균주를 1% 트립톤(tryptone), 0.5%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및 1%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는 LB broth 배지에서 37℃ 130 rpm으로 하루 동안 배양하여 복합제제로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리조비윰 RHH84 ( Rhizobium sp . RHH84 )( KCTC12024BP ) 균주, 슈도모나스 속 BN084004( Pseudomonas sp . BN084004 )( KCTC18268P ) 균주의 제제화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의 근류에서 분리한, 근류 형성능 및 질소 고정능을 가지며, 호염성인 헤어리베치 근류 리조비윰 속 RHH84(Rhizobium sp. RHH84)(KCTC12024BP) 균주를 0.04% 효소 추출물(yeast extract), 1% 만니톨(mannitol), 0.05% K2HPO4, 0.02% MgSO4·7H2O, 및 0.01% NaCl을 포함한 YM broth 배지에서 30℃, 130 rpm으로 3일 동안 배양한 배양체와 ACC deaminase 활성을 가지고 있는 슈도모나스 속 BN084004(Pseudomonas sp. BN084004)(KCTC18268P) 균주를 1% 트립톤(tryptone), 0.5%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및 1%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는 LB broth 배지에서 37℃ 130 rpm으로 하루 동안 배양한 배양체를 미생물 복합제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종자에 2% CMC 및 호염성인 헤어리베치 근류 리조비윰 속 RHH84 균체를 2×109 cfu/ml의 동량으로 혼합하여 전착제로서 1차 코팅을 하였다. 그런 다음, 펄라이트(perlite)에 슈도모나스 속 BN08004 균체를 107 내지 108 cfu/g으로 혼합한 후, 1차 코팅이 된 상기 종자표면에 분의 처리하였다(도 1). 미생물 복합제에 대해 발아력 및 생체중 증가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대조구는,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종자에 1% CMC 를 처리하였다(무처리구).
< 실시예 3> 고염 토양에서 복합 미생물제제의 발아율 증가 효과 확인
고염 토양에서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한 미생물 복합제를 사용하여 분의 처리한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종자의 발아율 증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2013년 1월, 20 내지 22℃ 온도로 유지되는 자연광 조건의 온실에서 헤어리베치 종자 파종 후, 2주일 동안 발아율을 관찰하였다. 폿트 실험에 사용한 토양조건은 간척지 토양과 상토의 비율(v:v)을 7:3으로 혼합하고 염화나트륨(NaCl)을 관주하여 염 농도를 최종 0.5%로 조정한 토양을 사용하였다. 파종에 사용한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종자는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미생물 복합제제를 종자코팅 하여 파종에 이용하였고, 단일 처리구는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종자에 2% CMC와 리조비윰 속 RHH84 균주 2×109 cfu/ml의 동량으로 혼합 코팅하여 파종에 이용하였고, 무 처리구는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종자에 1% CMC를 코팅 하여 파종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염 토양에서 무처리구 및 단일처리구와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미생물 복합제를 처리한 종자의 헤어리베치 발아율을 비교하였을 때, 상기 미생물 복합제를 처리한 종자의 헤어리베치 발아율(73.3%)이 무처리구(50%) 및 단일 처리구(40%)의 발아율보다 효과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 실시예 4> 고염 토양에서 미생물 복합제의 식물 생체중 증가 효과 확인
고염 토양에서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한 미생물 복합제를 사용하여 분의 처리한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식물 생체중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2013년 1월, 20 내지 22℃가 유지되는 자연광 조건의 온실에서 헤어리베치 종자 파종 후, 6 주일 후, 생체중을 확인하였다. 폿트 실험에 사용한 토양은 간척지 토양과 상토의 비율(v:v)을 7:3으로 혼합하고 염화나트륨(NaCl)을 추가로 관주하여 염 농도를 최종 0.5%로 조정한 토양을 사용하였다. 파종에 사용한 복합제제로 코팅한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종자는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미생물 복합제를 사용하여 분의 처리한 종자를 파종에 이용하였고, 단일 처리구는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종자에 2% CMC와 리조비윰 속 RHH84 균주 2×109 cfu/ml의 동량으로 혼합한 종자를 파종에 이용하였으며 무 처리구는 헤어리베치(Hairy Vicia villosa Roth) 종자에 1% CMC를 처리한 종자를 파종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염 토양에서 무처리구 및 단일처리구와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미생물 복합제를 처리한 헤어리베치의 생체중을 비교하였을 때, 상기 복합 미생물제제를 처리한 헤어리베치의 생체중은 무처리구의 생체중보다 2.2배 높게 나타났으며, 단일처리구의 생체중은 무처리군의 생체중 보다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024BP 2011092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268P 20140117

Claims (16)

  1. 전착제로서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 및
    피복제로서 슈도모나스(Pseudomonas sp.) 균주를 포함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
  2. 제 1항에 있어서, 리조비윰 속 균주는 수탁번호 KCTC12024BP로 기탁된 리조비윰 속 RHH84(Rhizobium sp. RHH8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슈도모나스 속 균주는 수탁번호 KCTC18268P로 기탁된 슈도모나스 속 BN084004(Pseudomonas sp. BN084004)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착제는 CMC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피복제는 펄라이트(perlite)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복합제는 고염 환경의 토양에서 생육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
  7. 제 6항에 있어서, 고염 환경의 토양은 간척지, 바다매립지, 비닐하우스 또는 염류집적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
  8. i) 1-2%(v/v) CMC(carboxylmethyl cellulose) 및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를 혼합하여 전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ⅱ) 펄라이트(perlite) 및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포함하여 피복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착제와 피복제로 구성된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CMC 및 리조비윰 속 균주를 1:1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의 제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리조비윰 속 균주는 2×108cfu/ml 내지 2×1010cfu/m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의 제조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ⅱ)의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는 107 내지 108 cfu/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용 미생물 복합제의 제조 방법.
  12. i) 헤어리베치의 종자에 전착제로서 리조비윰 속(Rhizobium sp.) 균주를 처리하여 1차 코팅시키는 단계; 및
    ⅱ) 피복제로서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를 처리하여 2차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 방법.
  13. 삭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헤어리베치의 발아율 및 생체중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고염 환경의 토양에서 헤어리베치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착제는 CMC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거나 상기 피복제는 펄라이트(perlite)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 방법.
KR1020140010683A 2014-01-28 2014-01-28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683A KR101814073B1 (ko) 2014-01-28 2014-01-28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683A KR101814073B1 (ko) 2014-01-28 2014-01-28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726A KR20150089726A (ko) 2015-08-05
KR101814073B1 true KR101814073B1 (ko) 2018-01-02

Family

ID=5388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683A KR101814073B1 (ko) 2014-01-28 2014-01-28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215B1 (ko) 2019-07-15 2020-10-22 전라북도 순창군(농업기술센터장) 질소고정력과 작물 생육촉진효과를 가지는 라이조비움 트로피씨(Rhizobium tropici) Sunchang180605 균주, 이를 이용한 토양 개량 방법 및 콩과 작물의 생육 촉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263B1 (ko) * 2020-12-16 2023-04-11 대한민국 보리의 염분 스트레스 내성을 증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크리벤시스 h38e-23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5637155A (zh) * 2022-09-09 2023-01-24 北京师范大学 一种用于改良盐碱地的生物碳系统调理模块及制备方法
CN116333924B (zh) * 2023-02-22 2024-03-22 鲁东大学 一种盐碱地专用生物有机调理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5426A (ja) * 2010-06-25 2012-01-12 Osaka Prefecture Univ 新規ピシウム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5426A (ja) * 2010-06-25 2012-01-12 Osaka Prefecture Univ 新規ピシウム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215B1 (ko) 2019-07-15 2020-10-22 전라북도 순창군(농업기술센터장) 질소고정력과 작물 생육촉진효과를 가지는 라이조비움 트로피씨(Rhizobium tropici) Sunchang180605 균주, 이를 이용한 토양 개량 방법 및 콩과 작물의 생육 촉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726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em et al. Current and potential uses and management of Casuarinaceae in the tropics and subtropics
Van der Putten et al. Biotic soil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mmophila arenaria
Wiseman et al. Suppression of Rhizoctonia solani anastomosis group 8 in Australia and its biological nature
CN103703121A (zh) 新型枯草芽孢杆菌菌株及其对植物根腐病的防治用途
KR101814073B1 (ko) 고염의 토양에서 콩과 녹비작물 생육 증진을 위한 미생물 복합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16171B (zh) 一株耐盐碱太平洋芽孢杆菌及其活菌制剂与应用
CN107937326B (zh) 一种用于防治西洋参根腐病的多粘类芽孢杆菌及其应用
US20130288341A1 (en) Microbial reclamation of saline and sodic soil
CN105964680B (zh) 一种滨海盐碱地连作棉花土壤生态修复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7853093A (zh) 一种滩涂盐碱地的生物改良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30096879A (ko) 불용성염 가용화 활성이 있는 신규 균주 바실러스 아리압하타이 엘케이에스28
CN103952355A (zh) 一种复合微生物解磷菌剂及其制备方法
CN109730088A (zh) 一种改善石漠化地植物生长的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9097303A (zh) 多粘类芽孢杆菌及其芽孢悬浮液、微生物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
CN106212146A (zh) 一种利用回收改良基质建立苗圃的方法
CN105018367B (zh) 一株诱导植物抗病抗逆的海洋生境芽孢杆菌
CN101608168A (zh) 有机钾肥菌种剂及生物有机肥的生产方法
CN108076718A (zh) 一种滨海盐碱地土壤改良技术
CN108373978A (zh) 一种微生物制剂及其应用
CN104774788B (zh) 垃圾堆肥中草坪耐盐强化复合微生物菌群的制备方法及应用
KR20160017784A (ko)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바실러스 퍼밀러스 및 바실러스 라테로스포러스 균주 혼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243349B1 (ko) 환경스트레스 완화 및 식물생장촉진 기능을 갖는 슈도모나스 오란티아카 ib5―10 및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사구식물의 복원방법
CN111621424A (zh) 一株耐盐碱的新木霉及其应用
KR101864259B1 (ko)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콩과 녹비작물 종자 코팅제
CN110066663A (zh) 一种滩涂盐碱地旱田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