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472B1 -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두개 고정기 - Google Patents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두개 고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472B1
KR101813472B1 KR1020150050836A KR20150050836A KR101813472B1 KR 101813472 B1 KR101813472 B1 KR 101813472B1 KR 1020150050836 A KR1020150050836 A KR 1020150050836A KR 20150050836 A KR20150050836 A KR 20150050836A KR 101813472 B1 KR101813472 B1 KR 10181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ite
operator
fasteners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295A (ko
Inventor
데이비드 비안코
마시모 카비나
안드리아 게미니아니
지아루카 마누주아토
티에리 스토츠
Original Assignee
쎄플라 쏘씨에타 쿠퍼라티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플라 쏘씨에타 쿠퍼라티바 filed Critical 쎄플라 쏘씨에타 쿠퍼라티바
Publication of KR20150120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5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1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iagnosis of head, e.g. neuroimaging, craniograph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Abstract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한 턱 받침(52) 및 바이트(54)를 포함하는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 장치(1)용 두개 고정기(20)로서, 상기 바이트(54)는 바이트 자체의 센트링 위치에 대해 소정의 배향을 갖는 센트링 표면을 가지며, 바이트는 바이트 센트링 위치에 대해 소정의 배향을 갖는 체결 표면에 대하여 상기 표면의 체결을 통해 차단 위치에서 차단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바이트(54)는 또한 시상면 상의 정확한 센트링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된다.
게다가, 두개 고정기의 사용의 방법이 기재된다.

Description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두개 고정기{CRANIOSTAT FOR ACQUIRING EXTRAORAL DENTAL RADIOGRAPHIES}
본 발명은 구강외 치과 디지털 방사선영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X-선 소스와 X-선 센서 둘 모두가 환자의 구강 외측에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은 방사선영상 획득 중에 환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치 장치는 두개 고정기의 이름으로 종래 기술에 공지되었다.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 장치는 두 가지 종류의 방사선영상: 2-차원(2D) 방사선영상 또는 용적(3D) 방사선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2-차원 방사선영상법의 분야에서, 파노라마 방사선영상법 및 원격 방사선영상법이 포함된다.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법(panoramic radiography)(이는 또한 오르토팬토모그래피(orthopantomography)라고도 알려져 있다)은 미리 설계된 곡선 면 주변의 좁은 층 외부의 해부학적 구조에 흐릿함이 있는, 환자 턱을 근사화하는 곡선 방식의 방사선 영상을 생성한다(웰란더 커브로 공지됨). 이 기술은 50년도 이래로 알려졌다.
원격 방사선 영상법(teleradiography)은 최소 배율과 기하학적 왜곡을 구비하는, 여러 투사로부터 두개골 또는 다른 해부학적 영역의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는 투사 방사선영상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두 원근법은 측면영상법(latero-lateral) 및 전후 영상법(antero-posterior)라고 표시된다.
콘 빔 볼륨 방사선 영상법(Cone beam volumetric radiography)(이는 또한 CBCT로 알려져 있다)은 3차원 볼륨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획득 후 처리되는 일련의 2차원 방사선 영상을 여러 투사 각도로부터 획득하는 것이다.
구강외 방사선영상법은 공지된 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며, 전형적으로 C-암의 2개의 단부에서 X-선 소스와 X-선 센서가 각각 배치되는 동시에 환자는 이들 사이에 배치된다. 전형적으로 X-선 소스와 X-선 센서가 배치 장치(두개 고정기)에 의해 유지되는 환자의 머리 주위에서 회전한다. 기계적 부분이 이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수행되는 운동은 소위 궤적으로 불린다.
우수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환자는 획득 시간, 즉 X-선 방출 동안에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다른 한편, 환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경우에는 환자는 여전히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것이 쉬운 반면 환자가 불편하거나 또는 스트레스 하에 있는 경우, 환자가 움직이는 경향이 더 크다.
또 다른 중요 사안은 두개 고정기가 방사선 영상의 진단상의 타당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공물을 형성하지 못하도록 X-선에 대해 가능한 투과성이어야 하는 데 있다. 이는 심지어 방사선 투과성 재료가 방사선 영상에서 보이기 시작하는 두께의 증가에 따라 재료(비금속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음)와 또한 두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두께의 감소는 두개 고정기가 대상물의 견고성, 이에 따라 환자의 고정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강성이지 못하게 하는 위험성을 야기한다.
게다가, 환자와 고정 장치 사이에 물리적 접촉이 있는 경우, 두개 고정기의 접촉 부분들은 폐기되거나 또는 환자들 간에 소독되어야 한다.
안전상의 요인으로, 전기적 부품(케이블, 모터, 액추에이터, 센서)들은 환자에게 근접하게 배치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두개 고정기는 소아 환자로부터 키가 큰 성인 환자까지(99 퍼센트)의 임의의 환자를 배치할 수 있어야 하고, 이에 따라 폭 넓은 가변성(두골 직경이 14 cm 내지 18,5 cm)을 나타내는 두골 치수에 들어 맞아야 한다.
하기에서 기재될 모든 종류의 획득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 장치는 상당한 개수의 상이한 궤적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C-암이 환자 주위에서 폭 넓은 운동 가능성을 필요로 한다. 궤적은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반-원형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X-선 소스 또는 X-선 센서가 삽입될 수 없는 "충돌 방지 실린더"를 형성할 수 있다. 가능한 작은 충돌 방지 실린더가 형성되면, 환자의 머리 및 두개 고정기가 이 내측에 수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두개 고정기는 궤적에 대한 한계를 구성하지 않도록 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종류의 획득, 원격 방사선 영상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두개 고정기는 획득 중에 X-선 경로에 의해 제거되어야 한다.
최종적으로, 두개 고정기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환자의 신속하고 용이한 배치를 허용해야 한다.
환자의 머리의 정확한 배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해부학적 구조 부분, 또한 해부학적 구조 부분을 기초로 한 가상의 평면이 필요하다. 이는 프랑크프루트 평면(Frankfurt plane)으로 주요하게 그리고 폭 넓게 공지되었는데, 이 평면은 눈 바로 아래에서 각각의 이도 또는 외이도의 상부 가장자리 그리고 왼쪽 궤도의 하부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가상 평면이다.
일련의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법에서, 소정의 평면 주위에서 제한된 층 외측의 해부학적 구조의 흐릿함을 통해 획득되는 다양한 종류의 획득이 있다. 각각의 종류의 획득은 환자를 배치하기 위한 특정 요건을 갖는다. 주요 종류의 획득만을 재현하기 위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법 또는 오르토팬토모그래피(orthopantomography): 환자는 개대 획득 궤적에 대해 시상 대칭 위치(sagittally symmetric position) 및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환자의 프랑크푸르트 평면에 따라 배향된다. 2개의 치열궁은 통상적인 폐색 위치에서 중첩되지 않아야 하며, 영상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치열궁은 치열궁이 초점 트로프(focal trough) 내에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동일한 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당겨져야 한다.
-TMJ(Latero-lateral Temporomandibular Joint): 이 경우에 초점 평면은 하악과두(condyle head)를 시상으로(sagittally) 절단한다. 선호되는 배치가 항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프랑크프루트 평면에 따라 구현된다. 효과적인 진단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개 입을 벌린 상태에서 동일한 획득을 연속하여 반복할 필요가 있고, 환자는 환자의 재배치 없이 차단된다.
-TMJ(Frontal or postero-anterior Temporomandibular Joint): 이 경우에 초점 평면은 하악과두를 왕관 형태로 절단한다. 선호되는 배치는 이도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미궁까지 이어지는 평면에 따라 수행된다(머리가 전방을 향하여 기울어짐). 효과적인 진단을 구현하기 위하여, 대개 입을 벌린 상태에서 동일한 획득을 연속적으로 반복할 필요가 있고, 환자는 환자의 재배치 없이 차단된다.
-바이트-윙: 이는 파노라마 투사와 매우 유사한 투사이지만 대신에 이의 전체 높이에서 치열궁을 획득하고, 영상은 치아의 관 부분(coronal portion)에 제한된다. 환자는 파노라마 획득 시와 같이 있어야 하지만 이는 매우 제한된 분야이며, 바이트는 소정의 높이에 있어야 한다.
3-차원 획득 시에, 모든 관측 시야가 재구성되며, 관측 시야의 중심에서 해부학적 부분이 분석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작은 관측 시야의 경우(대략 5 cm 높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하악 평면과 환자를 정렬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 있고, 하악 평면은 이상적으로 턱으로부터 하학골까지 이어진다. 이 방식으로, 가능한 금속성 인공물이 치관의 평면 상에 배치되고, 특히 세번째 어금니가 앞니의 동일한 평면 상에 있다.
전형적인 구강외 장치 내에서, 상이한 획득 프로그램의 개수는 대략 30개이며 모든 이들 프로그램은 전술된 종류의 프로그램의 변형이다. 두개 고정기는 진단의 목적으로 필요한 모든 종류의 영상의 획득을 허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고 경제적인 제조 및 전술된 요건에 다른 두개 고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방법 및 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선호되는 실시 형태 및 이점이 종속항에서 특정된다.
본 발명의 두개 고정기는 특정 지지부 상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 통합 대상물이다. 두개 고정기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제거는 두개 고정기가 X-선 경로에 있음에 따라 원격 방사선 영상법이 수행될 때 그리고 장치 교정 중에 필요하다(원격 방사선 영상법이 수행되는 동안에 환자는 또 다른 특정 배치 장치에 의해 차단됨). 제거 시스템은 사용 중에 두개 고정기의 필요한 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오퍼레이터에 대해 단순하고 인체공학적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두개 고정기-지지부의 결합은 4개의 특정 핀 홀 내에 삽입된 4개의 핀을 이용하여 구현되며, 이 핀들 중 하나는 다른 핀보다 길다.
명확함을 위해, 두개 고정기는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환자의 턱 및 바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 부분;
-환자의 이마 및 관자놀이를 차단하기 위한 상부 부분.
환자의 완전한 고정은 두 부분의 협력을 통해 구현된다.
두개 고정기의 하부 부분은 환자의 상이한 해부학적 부분을 지지하는 고정된 또는 제거가능한 부분을 위한 지지 기저, 두개 고정기의 상부 부분을 지지하는 로드, 환자에 대한 바이트, 턱 지지부 및 다양한 종류의 획득을 위한 다른 지지부를 포함한다. 하부 기저는 입을 다물거나 또는 벌린 상태에서 턱관절 방사선영상을 획득하는데 유용한 환자에 대한 리세스를 갖는다.
하부 기저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및 특정 획득 요건에 따라서 기저 자체에 대해 조절가능한 높이를 갖는 바이트를 제공한다. 바이트는 높이 조절가능하고, 상이한 높이에서 차단되어야 한다. 바이트는 단지 소정의 높이가 요구되는 바이트-윙 위치에 대해 최소값과 최대값(소정의 높이가 존재하지 않음) 사이에 포함된 임의의 높이에서 지속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스프링에 의해 로딩된 작은 레버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체크되어야 하는 노치 또는 착색 기준 점과 같이 바이트 스템에 대한 표시의 필요 없이 정확한 높이에 도달되는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려준다.
바이트의 형상은 최소 방사선불투과성을 보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아치 형상이 L-형상 대신에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바이트는 환자들 간에 변경되는 환자의 위생을 위하여 일회용 커버와 함께 사용되고, 바이트는 선택적으로 오토클레이빙가능하고 단지 한 가지의 재료로 제조된다.
재료의 두께는 방사선영상 내에서 바이트가 보이지 않고, 방사선불투과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능한 얇다.
바이트 높이의 조절은 자유롭고, 원하는 높이가 도달되면 바이트는 기저의 전방 부분 내에 배치된 레버를 통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차단된다.
차단될 때까지, 바이트는 이의 시트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고, 이는 환자의 배치를 돕지만, 바이트가 이의 레버를 통하여 이의 정확한 높이에 차단될 때 자동으로 센트링되고 이에 따라 환자는 시상면 상에 정확히 배치되는 것이 보장된다.
실시 형태에 따라서, 바이트는 수직 방향으로 바이트를 차단하는 것에 추가로 시상면에 대칭인 위치에서 바이트 자체를 시상으로 회전시키는 레버를 통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차단된다.
두개 고정기의 상부 부분을 지지하는 기저로부터 2개의 로드가 분기되고, 로드와 바이트 지점 사이의 거리는 충돌 없이 센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가능한 짧지만 동시에 로드가 획득 평면, 이에 따라 흐릿한 영역 외에 있는 것이 보장된다.
턱 지지부는 또한 제거가능하여 두개 고정기의 사용의 사용의 최대 유용성이 허용된다(턱관절의 열린 입 획득). 결합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 2개의 핀을 통해 구현된다.
두개 고정기의 상부 부분에 관해, 이의 조절 메커니즘은 마찰을 통하여 작동가능하다. 이에 따라 두개 고정기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사선불투과성이 보장되며 금속으로 인해 인공물의 산란이 방지된다.
환자의 머리에 대한 복수의 지지 지점은 환자의 배치를 편안하게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우 안정적이다.
매우 큰 환자와 충돌 방지 실린더 사이의 직경 차이는 약 2-3 cm로 매우 제한된다. 따라서, 두개 고정기의 제한된 두께는 복합적인 궤도를 구현하고 방사선영상 내에서 두개 고정기의 최대 방사선불투과성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두개 고정기 내에서, 전자석 또는 프리-로딩된 스프링을 이용하는 시스템과는 상이한 포지셔닝 원리(positioning philosophy)가 선택된다. 이러한 시스템 내에서, 두개 고정기 보유 능력은 제1 경우에 오퍼레이터가 조절 메커니즘을 얼마나 많이 조이는지와 스프링이 얼마나 많이 프리-로딩되는 지에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은 매우 안정적이지만 또한 매우 확고하여 환자에 대해 매우 편리하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두개 고정기 내에서, 조절 시스템은 오퍼레이터가 환자에 대한 접촉 지점에 접근하고 그 뒤에 그 위치에서 접촉 지점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조절이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더욱 적합해지고 편안해진다. 오퍼레이터는 각각의 조절에 대한 촉각적 및/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획득한다.
도 1은 파노라마, 용적, 원격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두개 고정기의 사시도.
도 3은 두개 고정기의 지지부의 사시도.
도 4는 두개 고정기 하부 부분과 이에 연결된 이의 지지부 사이의 결합의 상세도.
도 5는 두개 고정기의 하부 부분의 도면.
도 6은 바이트의 차단 메커니즘의 상세도.
도 7, 도 7a, 도 7b, 도 7c는 바이트 스템의 상세도.
도 8은 두개 고정기 기저와 턱 지지부 사이의 결합 시스템의 상세도.
도 9는 코 지지부의 상세도.
도 10은 두개 지지부의 상부 부분의 상세도.
도 11은 이마 지지부의 사시도.
도 12는 크로스빔 내에 삽입된 이마 지지부의 시상 섹션.
도 13은 암 차단 메커니즘의 사시도.
도 14, 도 14a, 도 14b는 암 차단 기구의 작동 상세도.
도 15a 및 도 15b는 두개 고정기 내에 배치된 환자의 수평 섹션의 상면도.
도 1은 공지된 전형적인 구강외 방사선영상 장치(extraoral radiographic apparatus, 1)를 도시하며, 상기 장치는 환자(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X-선의 시준된 번들을 투사하는 X-선 소스(7); 환자를 투과한 후에 X-선의 강도를 측정하도록 배열된 2-차원 X-선 센서(8); X-선 소스와 센서 사이에 있는 환자의 배치를 위한 장치(5); 단부 상에 X-선 소스(7) 및 센서(8)가 지지되는 C-암(6); 다양한 위치로부터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환자 주위에서 상기 C-암의 회전 및 병진운동을 허용하는 기계적 시스템; 장치의 다양한 부분들의 작동을 조절 및 동조하기 위한 전기적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C-암(6)의 위치는 기저(2)를 통하여 지면에 고정된 칼럼(3)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칼럼(4)의 덕택으로 환자의 키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구강외 장치(1)는 원격 방사선 촬영을 위한 암(1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추가 환자의 배치 장치(13)가 고정되고 원격 방사선 촬영 센서(15)가 지지부(12) 상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두개 고정기(craniostat, 20)는 도 1에서의 도면부호(5)로 도시된 위치에 연결될 때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1)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다. 두개 고정기는 환자 배치 장치(5)의 일부인 특정 지지부(30) 상에 배치되고, 지지부(30)는 도 3에 도시된다.
도 4는 두개 고정기(20)의 하부 부분(22)과 장치(1)에 이 두개 고정기를 연결하는 지지부(30) 사이의 결합을 나타낸다. 결합 두개 고정기-지지부는 이의 특정 홀 내에 끼워 맞춤되는 4개의 핀(45, 46)을 통하여 구현되며, 핀들 중 하나의 핀이 다른 핀보다 더 길다. 더 긴 핀(46)은 각각의 홀 내의 최소한의 결합 공차로 인해 최상의 결합 정밀성을 보장하는 것이고, 반면 두개 고정기의 정확한 배치 및 안정성이 나머지 더 짧은 핀(45)에 의해 보장된다. 상이한 결합 공차의 선택은 사람 오퍼레이터에 의해 결합의 용이 및 제조 비용과 결부된다. 스프링-로딩 압력 플레이트는 최대 안정성을 보장하는 완전한 결합 두개 고정기-지지부가 도달되는 것을 사람 오퍼레이터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핀에 대해 작용한다. 스프링은 핀(46)이 이의 전체 길이에 대해 이이 홀 내에 삽입될 때 압축되고, 이의 작동은 오퍼레이터가 청각적(금속성 클릭) 및 촉각적(수직 운동의 마찰) 피드-백을 제시한다. 스프링-로딩 압력 플레이트는 긴 핀(46)에 대해 필수적이고 3개의 짧은 핀(45)에 대해서는 선택적이다.
명확함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 고정기(20)는 상부 부분(21)과 하부 부분(22)으로 분할될 수 있다. 쌍을 이루는 로드(23)가 2개의 부분(21, 22)을 연결한다. 바로 하기의 문장에서, 두개 고정기의 하부 부분이 기재될 것이다.
도 5에서, 두개 고정기(20)의 하부 부분은 턱받침(chin rest, 52)이 장착되고 지지부(30) 상에 배열된 것으로 도시된다. 두개 고정기의 하부 부분(22)은 바이트(bite, 53)를 차단하기(block) 위한 레버(54)가 제공된 고정된 기저(41)를 갖는다. 턱받침(52) 및 바이트(54)는 상이한 획득물의 요구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점선으로 도시된, 로드(23)와 이의 차단된 위치에 있는 바이트(54) 사이의 거리(d)는 로드(23)가 충돌 방지 실린더 내에서 초점 트로프(focal trough)로부터 빠져나오도록 가능한 가장 넓다.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서, 거리(d)는 55 mm이다.
레버(53)가 비차단 위치(이의 두 가지의 말단 위치들 중 하나의 위치,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좌측)에 있을 때, 바이트(54)는 원호 이중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피벗회전하고 선형 이중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수직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한다. 이 배열은 환자가 있을 대 특히 만족스러우며, 즉 사람이 우선적으로 레버(53)를 통하여 바이트(54)를 비차단하고, 이를 2개의 로드(23)들 중 하나의 로드를 향하여 회전시키며, 턱받침(52) 상에 환자의 턱을 놓고, 그 뒤에 환자의 구강 내에 바이트(54)를 배치하여 이를 수직 방향으로 조절한다. 오퍼레이터가 레버(53)를 통하여 바이트(54)의 위치를 차단할 때, 예를 들어, 레버가 전적으로 우측에 있을 때, 바이트(54)는 이의 특정 형상으로 인해 이의 정확한 시상 위치에 자동으로 배치된다.
도 6은 바이트(54)를 차단하기 위하여 기저(41) 내에 수용된 기구를 도시한다. 레버(53)가 이의 비차단 위치에 있을 때, 스템(61)은 블록(62)의 홀(63)의 원형 섹션을 갖는 부분 내에 있으며, 이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한다. 레버(53)가 차단된 위치에 있을 때, 블록(62)은 캠(65)에 의해 가압되어 스프링(64)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압축된다. 삼각형 섹션을 갖는 홀(63)의 일부는 스템(61)에 결합되어 마찰을 통하여 이를 차단한다. 스템(61)은 시상면 상에서 자동-센트링 및 더 높은 마찰 둘 모두를 허용하는 삼각형 가로방향 섹션을 갖는다. 축 A-A'는 블록의 기능을 더 잘 이해하고 도 6a에 도시된 섹션의 평면을 도시한다. 홀(63)은 부분적으로 삼각형이고 부분적으로 둥근 섹션을 가지며, 스템(61)은 차단 시에 홀(63)의 삼각형 부분에 결합되는 삼각형 섹션을 갖는다. 레버(53)가 재차 비차단 위치로 보내질 때, 캠(65)은 회전하고 스프링(64)은 화살표와 상반된 방향으로 블록(62)을 가압하며, 이에 따라 바이트(54)의 스템(61)과 홀(63)의 삼각형 섹션 사이에 자유로운 결합이 야기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섹션은 적어도 바이트 자체의 특정 축방향 길이에 대해 홀의 경계 표면의 일부가 수렴하고 마주보는 2개의 벽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벽은 바람직하게는 홀(63)의 직경 및 종방향 축을 수용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 구조로 배치되며, 이러한 직경은 2개의 마주보고 수렴하는 벽에 의해 정해진 각의 이등분선과 일치된다.
홀(63)의 주변 경계 표면의 나머지 부분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실시 형태에서 원통형이며, 즉 원형 섹션을 가지며, 웨지-형 부분과 원통형 부분이 서로 이음매 없이 결합된다.
스템(61)은 이의 축방향의 종방향 신장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치수가 더 작지만 홀(63)의 섹션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섹션을 가지며, 상기 스템(61)은 턱받침에 대한 바이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즉 스템 자체의 표면의 일부를 웨징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스템은 웨지, 바람직하게는 홀(63)의 수렴하는 벽으로부터 이동하는, 상기 벽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홀(63)의 수렴하는 벽의 동일한 각도를 갖는, 2개의 마주보고 수렴하는 벽을 갖는다.
체결 수단, 즉 레버에 의해 제어되는 기구는 홀(63)의 웨지-형 부분 내로 상기 스템의 웨지-형 부분의 웨징 방향으로 스템을 가압하고(thrust), 이에 따라 이의 자체 종방향 축 주위에서 이의 회전 및 축방향으로 스템이 차단된다. 동시에, 홀(63) 내의 스템(61)의 비체결 상태에서 스템(61)이 이의 자체 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회전할지라도, 전술된 체결 상태에서 스템은 홀(63)의 스템(61)의 실질적으로 웨지-형 형상으로 인해 이의 회전이 차단되며, 상기 스템, 이에 따라 바이트의 웨지-형 섹션은 스템(61)의 홀(63)의 웨지-형 표면의 형상과 배향에 의해 형성된, 원하는 센트링 위치에서 가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된 형태에 의해 표현된 일반적인 사상에 있어서 스템(61) 및 이의 수용 홀(63) 둘 모두는 홀(63) 내의 스템(61)의 체결 상태와 같은 형상 및 소정의 각 배향을 갖는 상보적인 접촉 표면을 가지며, 상기 표면들은 접촉하고 이의 자체 축 주위에서 스템의 소정의 각 배향을 형성한다.
도 7은 바이트-윙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때 소정의 높이에서 환자의 배치를 필요로 하는 바이트(54)의 추가 세부사항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바이트(54)의 스템(61)은 이의 가로방향 섹션의 특정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부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형 섹션을 가지며, 이의 하부 섹션의 대략 절반이 바이트 자동-센트링과 결부된 전술된 요인으로 인해 삼각형 또는 웨비-형상으로 된다. 게다가, 소정의 높이에서, 스템(61)은 수평 리세스(71)를 갖는다. 기저(41) 내측에는 스템(61)에 대해 시각적으로 비감지 방식으로 일정하게 마찰하는 스프링(73)에 의해 프리-로딩된 작은 레버(72)가 있다. 리세스(71)가 작은 레버(72)와 대응할 때, 바이트-윙 획득을 위해 정확한 위치 도달이 통지되는 오퍼레이터에 대한 청각적 및 촉감적 피드-백이 있다. 또한, 바이트-윙 위치에 대한 바이트(54)의 차단이 레버(53)를 통하여 발생된다.
도 7a는 환자의 치아 사이에서 유지되는 바이트(54)의 시상 섹션을 도시하고, 도 7b는 바이트(54) 단부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환자가 이의 앞니로 무는 부분은 작다. 도 7a에서, 부분의 전방 부분(74)이 도시되며, 이는 동일한 평면 상에 있는 상부 앞니(101)와 하부 앞니(102)의 막힘(stop)을 보장하기 위하여 둔각(blunted angle)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며, 이 방식으로 파노라마 영상이 가능한 정확하게 포커싱된다. 다른 한편, 후방 부분(75)는 테이퍼지고 둥글게 형성되어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더욱 안착되고(웰란더 커브(Welander curve), 103) X-선이 투과하는 재료의 두께가 감소된다. 도 7b에서 각도(α)로 도시된 이 테이퍼링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니에 대해 충분한 배치 위치를 보장해야 한다. 선호되는 실시 형태에서, 각도(α)는 15° 내지 25°이다.
바이트(54)의 경우, 이는 방사선 영상이 보이지 않는 목적으로 최적화되고 인공물(artefact)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는 방사선 투과성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게다가, 이의 프로파일은 플라스틱 재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정 형상을 갖는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의 아치형 부분(76)의 하측에는 바이트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리세스(77)가 있다. 이의 강성을 유지시키는 목적에 따라, 바이트(54) 내에는 근위 부분에서 결합되고 바이트 원위 부분에서 분리되는 2개의 립(78)이 있고, 상기 립 상에서 환자에 의해 전달된 응력이 방출된다.
도 8에서, 턱받침(52)과 기저(41) 사이의 결합이 도시된다. 결합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 2개의 핀(81, 82)을 통하여 구현되며, 핀(81)은 감소된 결합 공차를 갖는 홀 내에 삽입된다. 핀(82)의 결합은 오퍼레이터가 홀 내로 핀을 더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더 느슨해지며, 핀(81)의 정확한 결합이 조립 안정성을 보장한다. 환자의 머리의 무게는 원하는 고정성을 보장하도록 충분하며, 이에 따라 스프링-로딩 압력 플레이트 또는 유사 장치가 제공되지 않는다. 턱받침(52)의 존재는 턱관절의 실제로 모든 획득에서 요구되지만 이러한 동안에 턱받침(52)은 제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턱받침(52)이 제거될 때, 이는 코 지지부(90)로 교체되고, 이 상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해코가시(anterior nasal spine)가 배치된다. 코 지지부(90)는 전술된 동일한 공차에 따라 턱받침(52)의 핀(81, 82)이 삽입되는 동일한 홀 내에 2개의 핀(91, 92)을 통하여 삽입된다. 환자(100)가 코 지지부(90) 상에 있을 때, 두개 고정기(20)의 기저(41) 상의 리세스(93)는 환자의 재배치의 요구 없이 환자의 입을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 두개 고정기의 상부 부분이 더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두개 고정기의 상부 부분은 환자가 원하는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키고, 이를 위한 가장 적합한 지점이 환자의 이마(시상면 상에서), 두골의 횡방향 부분(횡방향), 두정골의 말단 부분(후방)인 것으로 여겨진다.
도 10에서, 두개 고정기의 상부 부분(21)이 도시되며, 이는 두골의 횡방향 부분에 대한 2개의 이동식 받침(107) 및 이마 받침(105)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21)은 로드(23) 상에서 높이 조절가능하다. 특히, 상부 부분(21)은 로드(23) 상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하는 홀을 갖는 크로스빔(104)을 포함한다. 크로스빔(104) 상에는 이마 받침(105)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는 홀이 있다.
또한, 크로스빔(104) 상에서 현저한 비대칭의 환자의 두골의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피벗회전가능한 2개의 암(106)이 제공된다. 2개의 암(106)의 단부에서, 이들의 삽입 받침 주위에서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피벗회전하는 2개의 작은 아치(107)가 제공된다. 암(106)과 작은 아치(107) 둘 모두는 환자의 머리의 수직 또는 종방향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받침을 갖는다.
각각의 아치(107)의 두 단부에는 환자의 피부 위에 있는 2개의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한 고무 팁 또는 패드(108)가 있다. 게다가, 각각의 암(106)의 단부에는 환자를 추가로 고정하기 위하여 환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을 둘러싸는 일반적으로 연성의 굽힘가능 재료의 선택적(도시되지 않음) 밴드의 삽입을 허용하는 슬롯(109)이 제공된다. 밴드의 사용은 선택적이며 개개의 오퍼레이터의 취향이다.
도 11에서, (도시되지 않은) 크로스빔(104)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이마 받침(105)이 도시된다. 이마 받침(105)은 특정 아치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넓은 받침 표면(111) 상에서 말단을 이루고, 상기 표면 상에서 작고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한 쿠션이 고정되며, 이 쿠션은 환자의 안락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성 재료(실리콘, 검, 폼)으로 제조된다. 받침 표면(111)의 프로파일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더 우수하게 맞춤되도록 약간 아치형이다.
명확함을 위해 도 11로부터 제거된 크로스빔(104) 내측에는 엔드-오프-스트로크 장치(end-of-stroke device)가 있다. 이마 받침(105)은 2개, 1개의 상부 및 1개의 하부 하한을 갖는 크로스빔(104) 내측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한다. 하한은 받침(111)이 이마 받침(105)이 슬라이딩하는 시트보다 크기 때문이다. 상한은 이마 받침(1050 상에서 다소 일정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2개의 작은 톱니(113)가 제공된 엔드-오프-스트로크 장치(112)로 인함이다. 이마 받침(105)의 상부 단부 내의 리세스(114)와 톱니(113) 사이의 접합부는 이마 받침(105)의 우발적 적출을 방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조립체는 의도적 압력이 세척, 교체, 등을 위해 크로스빔(104) 내의 이의 시트로부터 이마 받침(105)의 적출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선택적 중간 리세스는 특정 획득을 위해 필요한 경우 이마 받침(105)의 소정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2는 크로스빔(104) 내의 이의 시트에 삽입된 이마 받침(105)의 시상 섹션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이마 받침(105)의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작동 메커니즘은 볼드 화살표 및 점선 화살표를 통하여 도 12에서 강조된다. 기본적으로, 환자가 이의 이마를 받침 표면(111)에 배치할 때, 환자는 볼드 화살표(c)로 도시된 주어진 압력을 인가한다. 힘의 벡터는 두 지점(A, B)에서 a 및 b 화살표로 도시된 2가지의 성분을 가지며, 이에 따라 마찰로 인해 이마 받침(105)의 슬라이딩이 방지된다. 다른 한편, 오퍼레이터의 손가락이 지점(E 및/또는 F)에 작용할 때, 즉 압력(e 및 f)을 인가할 때, 이는 지점(A, B)에서 화살표(a', b')로 도시된 2가지의 성분을 갖는다. 따라서, 이마 받침(105)의 슬라이딩이 크로스빔(104) 내의 이의 시트 내에서 허용된다. 이마 받침(105)의 프로파일은 상기 받침(105)이 시트 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취하는 임의의 위치에서 슬라이딩 및 차단 메커니즘이 임의의 위치에서 작용할 수 있도록 고찰된다.
이마 받침(105) 상에는 오퍼레이터가 이마 받침(105)의 위치의 높이 조절을 원할 때 오퍼레이터가 압력을 정밀하게 인가하는 지점(E, F) 내에 2개의 리세스가 있다. 이는 두께의 방향으로 이의 높이 조절이 수행되는 이마 받침(105)의 프로파일로부터 자명해진다.
도 13은 암(106)의 차단 기구의 상세사항을 도시하며, 이 내에 블록 스크류(133)를 유도하는 페룰(ferrule) 또는 스크류 너트(134)가 삽입된다. 암(106)(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은 피벗(131) 상에 이의 받침점(fulcrum)을 가지며, 이는 폭 넓은 가변성을 나타내는 환자의 두골의 폭에 따라 조절가능하다. 차단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때, 블록 스크류(133)는 크로스빔(104)과 일체구성되는 블록(132)과 접촉하고, 이에 따라 시스템을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마찰이 생성된다. 블록 스크류(133)는 페룰(134)의 회전을 통한 제어로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되는 구조물 자체로부터 돌출되는 레버(135)와 연결된, 페룰(134) 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나사산 및 본질적으로 정지된 상태로 인해 페룰의 회전은 스크류의 축방향 운동을 수반한다.
레버(135)는 2가지의 말단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며, 이의 제1 위치는 도 10(상향)에 도시되고 이의 제2 위치는 도 15b(외향)에 도시된다. 레버(135)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위치에 있을 때, 암(106)이 마찰 없이 이의 피벗(131) 주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다른 한편, 레버(135)가 하향 회전할 때, 이는 차단되어 2가지의 말단 위치 사이에 포함된 임의의 위치, 환자의 두골에 비례하는 위치에서 블록(132)과 만난다.
오퍼레이터는 두개 고정기(20) 내에 환자가 배치된 후에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암(106)의 위치를 조절하여 그 뒤에 레버(135)가 하향 회전한다.
도 14는 암(106)의 차단 메커니즘의 작동의 상세 사항을 도시한다. 도면은 시스템 페룰(134)-스크류(133)의 회전 축을 따른 섹션을 도시한다. 블록(132)과 블록 스크류(133) 사이의 거리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환자의 두골이 작을 때, 스크류(133)-블록(132)의 거리는 커지며, 이에 따라 블록에 도달되어 큰 두골에 대해 필요한 스크류의 회전보다 더 큰 스크류(133)의 회전이 필요할 것이며, 이는 스크류(133)의 나사산의 길이에 의해 보장된다. 페룰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는 블록 스크류(133)가 블록(132)과 접촉하고, 스크류 나사산(133)과 페률(134)의 결합된 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어 암(106)을 차단한다. 차단은 암(106)의 개방 방향으로만 작용하며, 이는 밀폐 방향으로 환자의 머리가 있기 때문이다.
스레드(141)의 섹션은 실질적으로 부등변 사각형이고, 페룰과의 기울어진 표면의 각도는 상이하다. 스크류(133)의 직경(m), 스레드의 스타트(start)의 개수, 리드(lead, p), 및 선택된 각도는 오퍼레이터가 레버(135)를 조작할 때 유체 운동(fluid movement)을 생성하도록 협력하고, 다른 한편, 레버(135)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비례하여 차단 위치에 있을 때, 이의 마찰은 환자를 차단하기에 충분하다.
도 14는 마찰에 의해 이동하는 부분들을 차단하는 표면 결합 시스템에 따른 선호되는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동일한 원리에 따라 많은 가능한 실시 형태가 제공되며, 이의 일부는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다.
도 14a는 웨지 장치(wedge device)를 도시하며, 스크류(133)와 개념적으로 동일한 강성의 블록(133a)의 운동은 웨지(142)에 의해 차단된다. 강성의 블록(133a)-블록(132a) 사이의 거리에 따라, 웨지(142)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비례하는 가변량(variable quantity)을 낮출 것이다.
다른 한편, 도 14b는 톱니 장치(saw tooth device)를 도시하며, 스크류(133)와 개념적으로 동일한 강성의 블록(133b)의 운동은 경면 톱니(specular saw tooth, 143)에 의해 차단된다. 이 구성의 단점은 불연속적으로 작용하는데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속적인 조절이 허용되지 못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매우 작은 환자(100b)와 매우 큰 환자(110a)의 두골의 수평 섹션을 도시한다. 두 도면들 간의 비교는 암(106)의 이마 받침(105)의 다양한 위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15a에서, 이마 받침(105)은 상향 배치되고 이의 아치형 프로파일로 인해 크로스빔(104)에 대해 다소 돌출된다. 암(106)은 최대의 외향 신장 상태에 있고, 이에 따라 레버(135)는 이의 상향 비차단 위치에 매우 근접한다. 역으로, 도 15a에서, 이마 받침(105)은 이의 엔드-오프-스트로크 위치에서 하향 배치되고, 환자의 이마를 향하여 현저히 돌출되며, 암(106)은 이의 최대 내향 신장 상태에 있고, 이에 따라 레버(135)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이의 말단 차단 위치에 있다.
도 15a 및 도 15b 둘 모두에서, 충돌 방지 실린더의 섹션이 점선 원(151)으로 도시된다. 이에 따라, 두 가지의 말단 위치에서 심지어 매우 큰 환자의 경우 환자-두개 고정기 조합이 상기 실린더 내에 있다. 특히, 레버(135)가 점유하는 공간 - 레버의 위치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비례함 - 은 더 작은 두개 직경으로 인해 암(106)의 밀폐를 통해 구속받지 않은 공간과 동일하다. 이 방식으로, 환자-두개 고정기의 조합은 충돌 방지 실린더(151) 내에 항시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배치 요건이 각각의 획득에 대해 상이하다(파노라마 영상; 턱관절 영상; 바이트-윙 영상, 3-차원 영상). 하기에서, 파노라마 획득의 경우 환자 배치를 위한 방법이 설명되며, 이는 가장 분명하고 통상적인 경우이다. 오퍼레이터는 하기 단계를 수행한다:
-획득된 영상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방사선영상 장치(1) 내에서 이의 지지부(30) 상에 두개 고정기(20)를 고정하고; 배치되면, 오퍼레이터는 제거가능한 부속품(바이트(54), 턱받침 52)을 배치하고; 오퍼레이터는 레버(53)를 이의 비차단 위치에 배치하고; 오퍼레이터는 이마 받침(105)을 들어 올리며; 오퍼레이터는 암(106)을 완전히 개방하고; 오퍼레이터는 일회용 보호부로 바이트(54)를 덮고 이 바이트를 로드(23)들 중 하나의 로드를 향하여 회전된 홀(63) 내에 삽입하며;
-오퍼레이터는 환자(100)를 장치(1) 내에 들어가게 하고; 환자는 핸들(9)을 파지하며;
-우선, 오퍼레이터는 두개 고정기(20)의 하부 부분(22)을 조절하며; 환자는 이의 턱을 턱받침(52)에 두고, 오퍼레이터는 환자의 머리에 대한 적합한 경사를 제공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칼럼(4)의 높이를 조절하고;
-환자는 이의 입을 벌리고 바이트(54)는 전방 부분(74)이 환자의 하부 앞니(102)와 접촉할 때까지 회전하고 하강하며;
-환자는 환자의 앞니가 전방 부분(74)에 배치되도록 바이트(54)를 물고;
-오퍼레이터는 레버(53)를 사용하여 바이트(54)의 위치를 차단하며, 정확한 위치에서의 환자의 차단은 단지 레버를 움직일 필요가 있는 오퍼레이터 그리고 바이트의 위치가 이미 고정된 장치(1) 내에서 강제로 압착할 필요가 없는 환자의 경우에 특히 용이하고;
-성공적으로 오퍼레이터는 두개 고정기(20)의 상부 부분(21)을 조절하고, 오퍼레이터는 로드(23) 상에서 슬라이딩하도록 크로스빔(104)의 높이를 조절하고; 오퍼레이터는 환자의 머리와 접촉하도록 이마 받침(105)을 하강시키고; 선택적으로 오퍼레이터는 슬롯(109) 내에서 탄성 밴드를 고정하고 환자의 머리의 후방 부분을 차단하며;
-조작자는 암(106)의 개방을 조절하여 아치(107)가 환자의 두골의 측면과 접촉하고; 접촉이 발견되면 이는 레버(135)를 이동시켜 환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위치에서 암(106)을 차단한다.
이제 오퍼레이터는 장치(1)로부터 떨어지며 X-선 방출이 개시된다.
1 구강외 장치
2 기저
3 고정된 칼럼
4 슬라이딩 칼럼
5 환자 배치
6 C-암
7 X-선 발생기
8 X-선 센서
9 핸들
11 원격 방사선 촬영 암
12 원격 방사선 촬영 센서 지지부
13 원격 방사선 촬영 환자 배치
15 원격 방사선 촬영 X-선 센서
20 두개 고정기
21 두개 고정기 상부 부분
22 두개 고정기 하부 부분
23 로드
30 두개 고정기 지지부
41 두개 고정기 기저
45 짧은 핀
46 긴 핀
52 턱받침
53 레버
54 바이트
61 바이트 스템
62 블록
63 홀
64 스프링
71 바이트윙 리세스
72 작은 레버
73 스프링
74 전방 부분
75 후방 부분
76 아치형 부분
77 아치형 부분 상의 리세스
78 립
81 정밀 핀
82 루즈 핀
90 노즈 지지브
91 정밀 핀
92 루즈 핀
93 리세스
100 환자
100a 큰 환자
100b 작은 환자
101 상부 앞니
102 하부 앞니
103 웰란더 커브
104 크로스빔
105 이마 받침
106 암
107 아치
108 고무 팁
109 밴드 슬롯
111 이마 받침 표면
112 엔드-오프 스트로크 장치
113 톱니
114 리세스
131 피벗
132 블록
133 블록 스크류
133a 강성 블록
133b 강성 블록
134 페룰 또는 스크류 너트
135 레버
141 스레드 프로파일
142 웨지
143 톱니
151 충돌 방지 실린더

Claims (10)

  1.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 장치(1)용 두개 고정기(20)에 있어서,
    상기 두개 고정기의 하부 부분의 고정된 기저(41)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에는 레버, 환자 배치 장치의 지지로부터 제거가능한 턱 받침(52) 및 바이트(54)가 제공되고,
    상기 바이트(54)를 차단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 수단은 레버(53), 상기 바이트(54)의 스템(61)을 수용하기 위한 홀(63)을 가지는 블록(62)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스템(61)은 자체 축에 대해 소정의 배향을 갖는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가로방향 삼각형 또는 웨지-형 섹션을 갖는 하부 부분(61)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트는 상기 홀(63)의 체결 표면에 대해 접촉 표면의 체결을 통해 차단 위치에서 차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63)은 또한, 체결된 상태에서 블록(62)의 평면 상의 센트링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바이트 센트링 위치를 형성하는 소정의 배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 고정기(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63)의 체결 표면은 상기 체결 표면에서 웨지 형상 또는 삼각형 단면 섹션을 가지는 홀(3)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템(61)의 접촉 표면은 스템(61)의 상기 삼각형 또는 웨지형 단면 섹션을 형성하고, 웨지형상 또는 삼각형 단면 섹션을 가지는 홀(63)의 체결 표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 고정기(20).
  3. 제1항에 있어서, 바이트(54)의 말단 부분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 상부 앞니(101)와 하부 앞니(102)의 정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비-둔각을 갖는 전방 부분(74) 및 X-선이 투과하는 재료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웰란더 커브(103))에 맞춤되도록 테이퍼지고 만곡되는 후방 부분(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 고정기(20).
  4. 제1항에 있어서, 바이트(54)는 방사선불투과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근위 부분에서 결합되는 바이트의 원위 부분과 분리된 2개의 립(78) 및 바이트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리세스(77)를 포함하고, 상기 립 상에서 환자에 의해 전달된 응력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 고정기(20).
  5. 제1항에 있어서, 바이트(54)는 바이트-윙 방사선영상의 획득 동안에 바이트(54)의 정확한 배치를 위하여 오퍼레이터에 피드-백을 제공하는 리세스(7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 고정기(20).
  6. 제1항에 있어서, 두개 고정기(20) 자체는 이의 지지부(30)로부터 제거가능하고 또는 턱 받침(52)은 두개 고정기(20)의 하부 부분(22)으로부터 제거가능하며, 턱 받침(52)과 두개 고정기의 하부 부분(22) 사이 또는 기저(30)와 두개 고정기(20)의 결합은 2개 이상의 핀(45, 46, 81, 82)의 존재를 통하여 구현되며, 상기 핀(46, 81)들 중 하나는 다른 핀(45, 82)에 대해 더 작은 결합 공차 또는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 고정기(20).
  7. 제 1항에 따른 두개 고정기를 포함하는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 장치(1) 내에 환자를 배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오퍼레이터가 상기 장치(1) 내에 환자(100)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오퍼레이터가 두개 고정기(20)의 하부 부분(22)을 조절하는 단계,
    환자가 환자의 턱을 턱 받침(52)에 배치하는 단계,
    오퍼레이터가 환자의 머리를 기울이도록 슬라이딩 칼럼(4)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환자가 자신의 입을 벌리도록 하는 단계,
    바이트(54)의 전방 부분(74)이 환자의 하부 앞니(102)와 접촉할 때까지 바이트(54)를 회전하고 하강하는 단계,
    -환자의 앞니가 전방 부분(74)에서 고정되도록 오퍼레이터가 환자에게 바이트(54)를 물어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오퍼레이터는 레버(53)를 사용하여 바이트(54)의 위치를 수직 방향 및 시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수평 리세스(71)의 존재를 통하여 오퍼레이터에 제공된 피드-백으로 인해 소정의 높이에서 바이트(54)를 차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 고정기의 하부 부분의 고정된 기저(41)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에는 레버, 환자 배치 장치의 지지로부터 제거가능한 턱 받침(52) 및 바이트(54)가 제공되고,
    바이트(54)의 말단 부분에서, 동일한 평면에 배치된 상부 앞니(101)와 하부 앞니(102)의 정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비-둔각을 갖는 전방 부분(74) 및, X-선이 투과하는 재료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웰란더 커브(103))에 맞춤되도록 테이퍼지고 만곡되는 후방 부분(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 고정기(2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 고정기의 하부 부분의 고정된 기저(41)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에는 레버, 환자 배치 장치의 지지로부터 제거가능한 턱 받침(52) 및 바이트(54)가 제공되고,
    두개 고정기(20) 자체는 그 지지부(30)로부터 제거가능하고 또는 턱 받침(52)은 두개 고정기(20)의 하부 부분(22)으로부터 제거가능하며, 턱 받침(52)과 두개 고정기의 하부 부분(22) 사이 또는 기저(30)와 두개 고정기(20)의 결합은 2개 이상의 핀(45, 46, 81, 82)의 존재를 통하여 구현되며, 상기 핀(46, 81)들 중 하나는 다른 핀(45, 82)에 대해 더 작은 결합 공차 또는 더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개 고정기(20).
KR1020150050836A 2014-04-17 2015-04-10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두개 고정기 KR101813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BO2014A000220 2014-04-17
ITBO20140220 2014-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95A KR20150120295A (ko) 2015-10-27
KR101813472B1 true KR101813472B1 (ko) 2017-12-29

Family

ID=5089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836A KR101813472B1 (ko) 2014-04-17 2015-04-10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두개 고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39609B2 (ko)
EP (1) EP2942014B1 (ko)
KR (1) KR101813472B1 (ko)
CN (1) CN1049975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0304S1 (en) * 2014-04-24 2018-02-13 Cefla Societá Cooperativa Head support
KR20170119676A (ko) * 2015-02-27 2017-10-27 트로피 Cbct 이미징 디바이스를 위한 교합 블록
ITUA20162728A1 (it) 2016-04-20 2017-10-20 Cefla Soc Cooperativa Cefalostato
FI127695B (fi) * 2017-03-17 2018-12-14 Planmeca Oy Röntgenkuvauslaite ja potilastukijärjestely
CN109480895A (zh) * 2018-11-29 2019-03-19 枣庄市立医院 一种医学影像学普通x线摄片体位辅助装置
CN113967031B (zh) * 2021-10-29 2024-03-01 陈勇 一种ct检查头颅的头部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3442A1 (en) * 2005-02-28 2006-08-31 Antony Quarry Dental sensor clamp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6641A (en) 1974-10-21 1976-02-03 Pennwalt Corporation Head immobilizing device for panoramic x-ray apparatus
FI92973C (fi) * 1991-05-06 1995-02-10 Planmeca Oy Menetelmä ja laite panoraamaröntgenkuvauksessa
CN2376267Y (zh) * 1999-06-04 2000-05-03 威海市文登中心医院 一种曲面x光机咬颌器
DE102004041440A1 (de) * 2004-08-27 2006-03-02 Dürr Dental GmbH & Co. K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Soll-Relativlage eines Patienten in einem dentalen Panorama-Röntgengerät bzw. der Soll-Bahn, auf welcher dieses bezüglich eines Patienten bewegt wird sowie eine dafür geeignete Vorrichtung
US20060227939A1 (en) * 2005-04-11 2006-10-12 Gendex Corporation Bite piece for a dental x-ray system
DE102006021639A1 (de) * 2006-05-08 2007-11-15 Sirona Dental Systems Gmbh Dentales Röntgengerät, umfassend eine an einem Trägerteil angebrachte Patientenpositionierung mit einer Stirnstütze
KR101787119B1 (ko) * 2009-07-30 2017-11-15 다카라 텔레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방사선 촬상 장치 및 방사선에 의한 촬상 방법, 및 데이터 처리 장치
FI126561B (fi) * 2010-02-23 2017-02-15 Planmeca Oy Hammaslääketieteellisen röntgenlaitteiston potilastuki
CN201719264U (zh) * 2010-06-11 2011-01-26 天津医药集团众健康达医疗器械有限公司 全景x射线机颌托
EP2734115B1 (en) 2011-07-22 2018-06-27 Trophy Shield for patient positioning in extra-oral imaging
CN203524692U (zh) * 2013-07-01 2014-04-09 四川九九天目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用于口腔ct的下颌固定装置
CN203388877U (zh) * 2013-07-19 2014-01-15 薛永福 放射科全景牙摄影定位器
KR101796350B1 (ko) * 2014-04-17 2017-11-09 쎄플라 쏘씨에타 쿠퍼라티바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두개 고정기
KR101838349B1 (ko) * 2014-04-17 2018-03-13 쎄플라 쏘씨에타 쿠퍼라티바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두개 고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3442A1 (en) * 2005-02-28 2006-08-31 Antony Quarry Dental sensor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7154A1 (en) 2015-10-22
EP2942014A3 (en) 2016-03-02
US9439609B2 (en) 2016-09-13
CN104997530A (zh) 2015-10-28
EP2942014B1 (en) 2018-03-21
KR20150120295A (ko) 2015-10-27
CN104997530B (zh) 2019-08-20
EP2942014A2 (en)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350B1 (ko)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두개 고정기
KR101813472B1 (ko)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두개 고정기
KR101838349B1 (ko) 구강외 치과 방사선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두개 고정기
KR101798698B1 (ko) 영상화용 환자 헤드 지지 장치
KR101510859B1 (ko) 방사선 영상 촬영용 두부 고정장치
US11701071B2 (en) Dental bite block for 2D imaging
US9456792B2 (en) Adjustable head positioning device for use with cone beam CT scanner
US10441227B2 (en) Cephalostat
JP2003190150A (ja) 口内法x線撮影用補助具
KR101600609B1 (ko) 엑스선 촬영장치의 정렬 바이트 및 이를 갖는 엑스선 촬영장치
EP3171823B1 (en) Prothesis for temporomandibular joint
RU174690U1 (ru) Опора для подбородка при конусно-лучевой томографии челюстно-лицевой области
CN110573082A (zh) X射线成像设备和患者支撑件
Carver Orthopantomography and cephalo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