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157B1 -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157B1
KR101813157B1 KR1020160076375A KR20160076375A KR101813157B1 KR 101813157 B1 KR101813157 B1 KR 101813157B1 KR 1020160076375 A KR1020160076375 A KR 1020160076375A KR 20160076375 A KR20160076375 A KR 20160076375A KR 101813157 B1 KR101813157 B1 KR 101813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amera
aircraft
housing
r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해용
강경우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being self-sup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용 카메라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부에 부착되는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에 있어서, 카메라의 렌즈와 대면하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 내측에 형성되는 제1윈도우, 상기 제1윈도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윈도우 및 상기 제1윈도우 및 제2윈도우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윈도우 또는 제2윈도우의 한 면과 부착되는 히터필름을 구비함으로써, 결빙방지 및 제빙을 하여 카메라가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Camera window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an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 등을 실시간으로 상태를 확인하거나 외부를 촬영하기 위해 설치되는 항공기용 카메라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 및 윈도우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행기, 활공기 및 헬리콥터 등의 항공기는 상공을 비행하는 중에도 로터나 외부프레임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외부카메라 장비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는 비행 중에 발생되는 파손이나 이상상태를 즉시 점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환경을 관측하기 위한 카메라 장비도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과정에서 습도, 기압 및 온도에 따라 카메라 장비가 손상이 생기거나 뿌옇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카메라의 촬영영상의 품질이 낮아지며,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카메라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을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카메라가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윈도우가 부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윈도우도 카메라의 렌즈와 마찬가지로 성에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항연 및 항습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유리에 성에나 서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성에 제거장치 및 기판에 보이지 않는 열선을 형성한 한국등록특허 제07089329호("기판에 보이지 않는 열선을 형성하는 방법과 그 기판을 이용한 부착식 성에 제거 장치 및 유리창용 성애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창(1)에 눈에 보이지 않는 열선(2) 및 전원인가를 위한 전극패드(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 조작부 및 전원부를 이용하여 상기 유리창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한 공법은 종래의 윈도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부분적으로는 해결할 수 있지만, 상기 윈도우와 열선은 빈틈 없이 세밀한 밀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착면 사이에 존재하는 미세 공간 내에 발열 시 공기 팽창에 따라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기포가 발생되어 빛의 굴절 현상으로 인해서 촬영 품질이 저하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7089329호("기판에 보이지 않는 열선을 형성하는 방법과 그 기판을 이용한 부착식 성에 제거 장치 및 유리창용 성애 제거장치", 2007.12.2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윈도우 및 제2윈도우 사이에 열선을 배치하여 외기나 습도의 유입과 같이 외부 불안정 요소로부터 윈도우를 보호함으로써 더 우수한 품질의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는 로터블레이드(11)가 상부에 형성된 항공기(10)의 몸체에 장착되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에 결합되되, 상기 로터블레이드(11)를 촬영하도록 내부에 카메라(20)가 수용되는 카메라 하우징(200);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200)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카메라(20)의 렌즈와 대면하도록 이루어지는 윈도우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부(300)는 제1윈도우(310), 상기 제1윈도우(310)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윈도우(330) 및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 사이에 배치되는 히터필름(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 사이의 공간에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윈도우(310), 히터필름(320) 및 제2윈도우(330)의 테두리를 함께 밀봉하는 마감재(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윈도우(330)의 외측테두리에는 프레임(350)이 결합되어 항공기가 비행시 외부의 부유물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상기 제2윈도우(330) 및 프레임(350) 사이가 패킹되며, 상기 카메라하우징(200)은 상기 하우징(10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면판(210) 및 후면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210) 및 후면판(220)은 서로 결합되어 박스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카메라(20)를 수용하고, 상기 전면판(210)의 상부에 윈도우부(300)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로터블레이드(11)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제작방법은,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100); 상기 제1윈도우(310) 또는 제2윈도우(330)의 면 중, 한 면에 항전(Anti-Electric) 코팅을 하는 항전코팅단계(S200); 항전(Anti-Elctric) 코팅된 면에 상기 히터필름(320)을 부착하는 필름부착단계(S300); 상기 제1윈도우(310), 히터필름(320) 및 제2윈도우(330)를 적층하여 결합하는 적층단계(S400); 및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의 사이에 습도 또는 외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마감재를 이용해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의 테두리를 함께 밀봉하는 마감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항공기 카메라용 윈도우 제작방법은 상기 항전코팅단계(S200) 및 필름부착단계(S300) 사이에 상기 히터필름(320)이 부착되지 않는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의 면에는 항연(Anti-Fog) 코팅을 하는 항연코팅단계(S2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공기 카메라용 윈도우 제작방법은 상기 제2윈도우(33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2윈도우(330)의 외측테두리에 프레임(350)을 결합하는 프레임결합단계(S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결합단계(S600)는 상기 제2윈도우(330) 및 프레임(350) 사이를 개스킷(340)을 이용하여 패킹하는 패킹단계(S6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은, 종래의 하나의 윈도우의 표면에 부착되었던 열선을 두 겹의 윈도우 사이에 삽입 후 밀봉함에 따라 높은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윈도우 및 제2윈도우로 이루어진 두 겹의 윈도우의 양면을 항전(Anti-Electric) 또는 항연(Anti-Fog) 코팅을 함으로써 상기 제1윈도우 및 제2윈도우의 절 및 산화 지연이 가능하며, 높은 온도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이 가능하고 열전도율 및 허용 온도가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하우징의 일면에 부착되는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가 한 겹에서 두 겹에서 늘어남에 따라, 항공기용 카메라가 수용되는 하우징에 외부 불안정 요소가 들어가는 것을 이중으로 방비하기 카메라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선이 형성된 유리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에 하우징이 부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하우징 및 조명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도시된 윈도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부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처리된 윈도우부의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도 2는 본 발명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의 한 실시예로서, 도 2는 항공기에 하우징이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는 헬리콥터와 같은 항공기(10)에 부착되어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공기(10)의 상부에 설치된 로터블레이드(11)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로터의 작동상태나 이상 유무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항공기용 카메라는 항공기를 제작 시에 몸체에 하우징부(100)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보다, 기존에 있는 항공기에 하우징부(100)를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하는 것이 수월하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헬기 및 비행기 등의 몸체에 별도의 하우징부(100)를 장착하여, 내부에 카메라를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추후 도 3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의 한 실시예로서, 도 3은 도 2에서 하우징부인 A부분에 대하여 확대한 도면으로, 카메라하우징 및 조명부가 포함되어있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00)는 복수의 조명부(110)와 카메라하우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명부(110)는 헬기의 로터블레이드 등을 관측하는 도중에 역광이 발생하거나 기상으로 인해서 제대로 파악이 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LED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나의 조명부(110)를 이용하여도 무관하다. 하지만 로터블레이드는 음속에 가까이 회전하기 때문에 하나의 조명부(110)를 이용하는 것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하우징(200) 주변에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조명부(110) 및 카메라하우징(200)은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헬기의 로터블레이드를 관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의 한 실시예로서, 도 4는 카메라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하우징(200)은 전면판(210), 후면판(220), 날개판(230) 및 베이스판(24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카메라(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것이 특징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4에서 도시된 상기 카메라하우징(200)의 각 부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베이스판(24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항공기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날개판(230)은 항공기가 이동시에 상기 전면판(210) 및 후면판(220)이 진동과 같은 내부요소나 악기상 및 기압 등과 같은 외부요소로 인하여 뒤틀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210) 및 후면판(220)은 서로 결합되어 박스형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판(210) 및 후면판(220)은 상기 카메라(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210)의 상부에는 윈도우부(3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윈도우부(300)는 상기 카메라(20)의 촬영방향에 대면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하우징(200)은 대부분이 철판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상기 윈도우부(300)는 촬영이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구성되어져야 한다. 상기 윈도우부(300)에 관련설명은 추후 상세히 기술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선 A-A`에 따른 본 발명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의 한 실시예로서 상기 도 4의 전면판(210) 상부에 형성된 윈도우부(3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내부에 카메라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6은 카메라를 제외하여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부(300)는 카메라(20)의 렌즈가 투영하여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중앙이 투명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투명한 중앙의 외부에는 프레임(350)이 형성되어 있어 항공기가 비행 시 외부의 부유물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해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의 한 실시예로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 B-B`에 따른 윈도우부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6를 참조하여 도 7을 설명하자면, 본 발명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는 항공기용 카메라(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카메라하우징(200)에 부착되는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20)의 렌즈와 대면되는 상기 카메라하우징(200)의 일면 내측에 형성하는 제1윈도우(310), 상기 제1윈도우(310)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형성하는 제2윈도우(330) 및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윈도우(310) 또는 제2윈도우(330)의 한 면에 부착하는 히터필름(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윈도우부(300)는 제1윈도우(310), 히터필름(320) 및 제2윈도우(330)가 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접착제, 용접, 볼트결합 및 리벳결합 등을 이용하여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는 습도 및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윈도우(310), 히터필름(320) 및 제2윈도우(330)의 테두리를 함께 밀봉하는 마감재(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재(360)는 실런트 또는 단면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는 상기 카메라(20)에 의해서 촬영이 가능하게 형성되어져야 되기 때문에, 투명한 재질을 이용해서 제작된다. 즉,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수지인 것이 좋다. 이때 투명한 재질의 유리는 열 강화 유리, 화학적 강화 유리, 광학 유리 및 내열 유리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의 수지는 아크릴 및 폴리 카보네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함에 있어서는 수지류 중에서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가 고글 렌즈 및 헬멧 등에 많이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이유이다. 상기 폴리 카보네이트는 일반적인 유리보다도 높은 강도를 지니고 있으며, 위의 특성은 외압이 강한 항공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기기 때문이다.
상기 히터필름(320)은 회전익 또는 고정익이 설치된 상기 항공기(10)의 결빙시험 시에 낮은 외기온도에 노출된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의 사이에 결합되어 결빙방지 및 제빙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필름(320)의 저항 값에 따라 발열온도를 좌우하기 때문에 너무 낮거나 높은 저항 값을 선택하면 결빙방지 및 제빙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외기온도 0℃~­30℃, LWC 0.5~1.0g/㎥, 항공기 속도 120kts, 로터블레이드 RPM의 내리흐름(downwash) 상황 하에서 상기된 현상에서 원활하게 작동이 되는 값을 찾아서 선택해주어야 한다. 상기 내리흐름(downwash)의 상황 하에서 30Ω 내지 75Ω 정도의 저항을 가진 상기 히터필름(320)이 결빙방지 및 제빙효과에 탁월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의 한 실시예로서, 도 8은 코팅처리된 윈도우부의 분해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윈도우(310)는 제1외부코팅(311) 및 제1내부코팅(312)이 되며, 상기 제2윈도우(330)는 제2외부코팅(331) 및 제2내부코팅(332)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윈도우(310) 또는 제2윈도우(330)의 면 중, 상기 히터필름(320)과 부착되는 면에는 항전(Anti-Electric) 코팅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외부코팅(311) 또는 제2내부코팅(332)은 항전이 되도록 코팅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의 면 중, 상기 히터필름(320)과 부착되지 않은 면에는 항연(Anti-Fog) 코팅이 될 수 있다. 이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1외부코팅(311), 제1내부코팅(312), 제2외부코팅(331) 및 제2내부코팅(332)은 다양한 Upgrade 공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Anti-Elctric Coating, Anti-Fog Coating, Anti-Scratch Coating 및 Anti-Reflect Coating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는 결빙방지, 결로억제 및 제습 등을 위해서 설치가 되기 때문에 항연(Anti-Fog)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히터필름(320)의 CNT Coating Layer와 맞닿는 부분은 항전(Anti-Electric) 코팅이 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히터필름(320)의 CNT 보호층이 상기 제1윈도우(310)의 상면에 부착된다면, 제1외부코팅(311)은 항전(Anti-Electric) 코팅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윈도우(330)의 제2내부코팅(332)도 마찬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제작방법]
도 9 및 도 10은 발명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제작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도 9는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제작방법의 제작 흐름도이며, 도 10은 상기 제작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제작방법은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100), 상기 제1윈도우(310) 또는 제2윈도우(330)의 면 중, 한 면에 항전(Anti-Electric) 코팅을 하는 항전코팅단계(S200), 항전(Anti-Elctric) 코팅된 면에 상기 히터필름(320)을 부착하는 필름부착단계(S300), 상기 제1윈도우(310), 히터필름(320) 및 제2윈도우(330)를 적층하여 결합하는 적층단계(S400) 및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의 사이에 습도 또는 외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마감재를 이용해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의 테두리를 함께 밀봉하는 마감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상기 세척단계(S100)는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를 Glass Cleaner 액상 및 천을 사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에 손상이 생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항공기에 부착되는 윈도우이기 때문에 작은 실금에도 큰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항전코팅단계(S200)는 상기 제1윈도우(310) 또는 제2윈도우(330)의 한 면에 항전코팅을 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필름부착단계(S300)에서 해당되는 면에 상기 히터필름(320)의 CNT 보호층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전코팅단계(S200) 및 필름부착단계(S300) 사이에 상기 히터필름(320) 이 부착되지 않은 상기 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의 면들에 항연코팅을 하는 항연코팅단계(S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항연코팅단계(S210)는 필름이 부착되는 상기 필름부착단계(S300) 이후에 해도 무방하지만, 작업시간을 고려한다면 상기 코팅단계(S200) 및 필름부착단계(S300) 사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단계(S400)는 상기 제1윈도우(310), 히터필름(320) 및 제2윈도우(330)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접착제, 용접, 리벳결합 및 볼트결합 중에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작업 중에 과한 온도를 가하거나 홈을 형성하려 한다면, 윈도우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통하여 결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마감단계(S500)는 외부의 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마감재(360)를 이용하여 마감하는 단계로, 상기 마감재는 실런트 또는 단면테이프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제2윈도우(33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2윈도우(330)의 외측테두리에 프레임(350)을 결합하는 프레임결합단계(S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결합단계(S600)는 상기 제2윈도우(330) 및 프레임(350) 사이를 개스킷(340)을 이용하여 패킹하는 패킹단계(S6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제작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도 10-(a)는 세척된 및 코팅된 상태의 상기 제1윈도우(31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된 상기 제1윈도우(310)는 외부방향으로 항전코팅이 되어있는 상태이다.
도 10-(b)는 항전코팅이 된 상기 제1윈도우(310)의 외부 면에 상기 히터필름(320)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히터필름(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전선이 포함되어 있다.
도 10-(c)는 상기 히터필름(320)의 외부에 상기 제2윈도우(330)를 결합하는 도면이며, 도 10-(d) 및 도 10-(e)는 각각 상기 제2윈도우의 외측테두리에 상기 개스킷(340) 및 프레임(350)을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항공기 11 : 로터블레이드
20 : 카메라
100 : 하우징부 110 : 조명부
200 : 카메라하우징
210 : 전면판 220 : 후면판
230 : 날개판 240 : 베이스판
300 : 윈도우부
310 : 제1윈도우
311 : 제1외부코팅 312 : 제1내부코팅
320 : 히터필름
330 : 제2윈도우
331 : 제2외부코팅 332 : 제2내부코팅
340 : 개스킷 350 : 프레임
360 : 마감재

Claims (9)

  1. 로터블레이드(11)가 상부에 형성된 항공기(10)의 몸체에 장착되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에 결합되되, 상기 로터블레이드(11)를 촬영하도록 내부에 카메라(20)가 수용되는 카메라 하우징(200);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200)의 일면에 형성되되, 상기 카메라(20)의 렌즈와 대면하도록 이루어지는 윈도우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부(300)는
    제1윈도우(310), 상기 제1윈도우(310)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윈도우(330) 및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 사이에 배치되는 히터필름(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 사이의 공간에 외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윈도우(310), 히터필름(320) 및 제2윈도우(330)의 테두리를 함께 밀봉하는 마감재(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윈도우(330)의 외측테두리에는 프레임(350)이 결합되어 항공기가 비행시 외부의 부유물로 인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상기 제2윈도우(330) 및 프레임(350) 사이가 패킹되며,
    상기 카메라하우징(200)은
    상기 하우징부(10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면판(210) 및 후면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210) 및 후면판(220)은 서로 결합되어 박스형의 모양으로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카메라(20)를 수용하고, 상기 전면판(210)의 상부에 윈도우부(300)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100)은 상기 로터블레이드(11)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의한 항공기 카메라용 윈도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를 세척하는 세척단계(S100);
    상기 제1윈도우(310) 또는 제2윈도우(330)의 면 중, 한 면에 항전(Anti-Electric) 코팅을 하는 항전코팅단계(S200);
    항전(Anti-Elctric) 코팅된 면에 상기 히터필름(320)을 부착하는 필름부착단계(S300);
    상기 제1윈도우(310), 히터필름(320) 및 제2윈도우(330)를 적층하여 결합하는 적층단계(S400); 및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의 사이에 습도 또는 외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마감재를 이용해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의 테두리를 함께 밀봉하는 마감단계(S500);
    를 포함하는 항공기 카메라용 윈도우 제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카메라용 윈도우 제작방법은
    상기 항전코팅단계(S200) 및 필름부착단계(S300) 사이에
    상기 히터필름(320)이 부착되지 않는 상기 제1윈도우(310) 및 제2윈도우(330)의 면에는 항연(Anti-Fog) 코팅을 하는 항연코팅단계(S210);
    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 카메라용 윈도우 제작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 카메라용 윈도우 제작방법은
    상기 제2윈도우(330)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2윈도우(330)의 외측테두리에 프레임(350)을 결합하는 프레임결합단계(S600);
    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 카메라용 윈도우 제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결합단계(S600)는
    상기 제2윈도우(330) 및 프레임(350) 사이를 개스킷(340)을 이용하여 패킹하는 패킹단계(S610);
    를 더 포함하는 항공기 카메라용 윈도우 제작방법.
KR1020160076375A 2016-06-20 2016-06-20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 KR101813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75A KR101813157B1 (ko) 2016-06-20 2016-06-20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375A KR101813157B1 (ko) 2016-06-20 2016-06-20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157B1 true KR101813157B1 (ko) 2018-01-30

Family

ID=6107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375A KR101813157B1 (ko) 2016-06-20 2016-06-20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159A (ko) * 2019-03-14 2020-09-23 엑시스 에이비 복합 윈도우를 갖는 모니터링 카메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6656A (ja) * 2011-02-14 2012-09-06 Mitsubishi Heavy Ind Ltd 航空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6656A (ja) * 2011-02-14 2012-09-06 Mitsubishi Heavy Ind Ltd 航空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0159A (ko) * 2019-03-14 2020-09-23 엑시스 에이비 복합 윈도우를 갖는 모니터링 카메라
KR102243358B1 (ko) * 2019-03-14 2021-04-21 엑시스 에이비 복합 윈도우를 갖는 모니터링 카메라
US11178316B2 (en) 2019-03-14 2021-11-16 Axis Ab Monitoring camera having a compound wind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8236B2 (en) Conductive seam cover tape
US9207407B2 (en) Fiber optic connector and bonded cover
SE441053B (sv) Kapslad elektroluminescent lampa samt forfarande for inkapsling av en elektroluminescent lampa
JP2010530830A (ja) 防氷または除曇装置を備えた光学機器および画像収集装置用の防氷または除曇装置
US4645146A (en) Window Panel
EP3509391B1 (en) Graphene heating device
JP2019527631A (ja) 複層複合層を有している複合ペイ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7002139B2 (en) Window mounting for optical sensor
WO2019023897A1 (zh) 拍摄设备和无人机
CN105744123A (zh) 耐复杂环境摄像机
KR101813157B1 (ko) 항공기용 카메라 윈도우 및 그 제작방법
CN104749735B (zh) 一种拼接式共形光学窗口
US20100013984A1 (en) Noncondensing security camera housing window assembly
EP3665516B1 (fr) Module de charge utile pour drone stratospherique
BR112019010703A2 (pt) painel compósito compreendendo um consumidor elétrico
WO2014161999A1 (fr) Vitrage pour aéronef spatial
EP0919069B1 (en) Environmentally resistant, infrared-transparent window structure
KR101905989B1 (ko) 차량용 접합글라스 디스플레이
CN107272182B (zh) 一种用于大口径望远镜光学薄膜保护窗口装置
CN205545515U (zh) 耐高寒酷热密封摄像机
EP3665526B1 (fr) Structure de module de charge utile pour drone stratospherique
US4615438A (en) Helmet shell assembl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N213414241U (zh) 一种高速飞行器外视相机热防护装置
EP4061629B1 (fr) Vitrage feuilleté pour véhicule aérien léger, chauffant sur une partie de sa surface
US10960609B2 (en) Method of making a window assembly having an electrically heated portion and the window assembly made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