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122B1 - 폴딩 가능한 킥보드 - Google Patents

폴딩 가능한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122B1
KR101813122B1 KR1020160095143A KR20160095143A KR101813122B1 KR 101813122 B1 KR101813122 B1 KR 101813122B1 KR 1020160095143 A KR1020160095143 A KR 1020160095143A KR 20160095143 A KR20160095143 A KR 20160095143A KR 101813122 B1 KR101813122 B1 KR 101813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eering shaft
locking
coupling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호
Original Assignee
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호 filed Critical 서정호
Priority to KR102016009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학생이나 주부등이 무거운 짐을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고, 폴딩되었을때 안정적으로 직립(直立)될 수 있으며, 계단처럼 킥보드를 이용할 수 없는 지역도 간편하게 메고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발판을 세워서 폴딩하는 작동을 노약자라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폴딩 가능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딩 가능한 킥보드{A foldable kick board}
본 발명은 폴딩 가능한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학생이나 주부등이 무거운 짐을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고, 폴딩되었을때 안정적으로 직립(直立)될 수 있으며, 계단처럼 킥보드를 이용할 수 없는 지역도 간편하게 메고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발판을 세워서 폴딩하는 작동을 노약자라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폴딩 가능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킥보드는 사용자가 바퀴가 장착된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쪽 발로 지면을 박차 추진력을 얻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으로서, 스케이트보드와 달리 발판에 수직되게 올라온 조향축 및 핸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킥보드는 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와 같이 평상시 출·퇴근의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되거나, 또는 주말에 레포츠용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등 오늘날 심심찮게 볼 수 있는 제품이 되었다.
이러한 킥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위해 발판(104)과 조향축(101)을 절첩부(106)에 의해 서로 절첩되게하여 필요시 조향축과 발판을 최대한 접근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접철식 킥보드는 접어진 킥보드를 세울 수가 없으므로 넓은 보관 공간이 요구되고, 다시 킥보드를 이용하기 위하여는 조향축(101)을 세우고 접철부(106)의 고정구멍들이 맞도록 발판(104)과 조향축(101)을 잘 조정하여 고정핀(109)를 결합시켜야 하며 허리를 굽혀서 장시간 조향축을 잡아 세워야 하는 이용상 불편함이 있다.
또한, 킥보드를 탈 수 없는 거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들어서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킥보드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642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킥보드는 전, 후방발판(11)(12)을 접었을 때 전, 후륜(60)(70)이 좌우방향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판과 조향핸들(40)을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킥보드는 발판(11)(12)과 조향핸들(40)을 접고 펴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이용하기 불편하다.
또한, 계단처럼 캐리어형으로 운반할 수 없는 공간에서는 들어서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6425호 중국실용신안출원번호 00228238.0(2000.05.24) 중국실용신안공고번호 CN2419152Y(2001.02.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조향축과 발판의 접고 펼침을 간편하게 한 폴딩 가능한 킥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단과 같이 킥보드가 이동할 수 없는 공간도 간편하게 메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폴딩 가능한 킥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백(bag)을 간단하게 탑재하여서 학생이나 주부가 등교하거나 시장을 볼 수 있도록 한 폴딩 가능한 킥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폴당 가능한 킥보드는 전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향블럭과; 상기 조향블럭의 상면에 수직으로 결합된 조향축과; 상기 조향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조향축에 안내되어 승강되어 승강되는 승강블럭과; 상기 조향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승강블럭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럭과; 상기 제1결합부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연결블럭을 상기 조향축의 임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록킹수단과; 일단이 상기 승강블럭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과; 상기 제2결합부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발판을 상기 승강블럭에 대해 고정 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제시키는 제2록킹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킥보드는 상기 조향블럭에 멜빵끈을 갖는 가방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멜빵끈을 상기 조향축 또는 핸들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킥보드는 상기 후륜은 상기 발판의 저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블럭이 상기 조향축의 상단부측에 고정되었을때 상기 전륜과 한쌍의 후륜에 의해서 직립하여 세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록킹수단은;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조향축을 감싸는 한쌍의 분할편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편의 단부를 관통하되 일단이 일측 분할편에 지지되는 제1록킹핀과, 상기 제1록킹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심의 캠블럭을 구비하여서 상기 한쌍의 분할편의 단부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분할편이 상기 조향축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하도록 하는 제1록킹레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록킹수단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승강블럭의 양측면에 대향되는 한쌍의 결합편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 및 승강블럭을 관통하되 일단이 일측 결합편에 지지되는 제2록킹핀과, 상기 제2록킹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심의 캠블럭을 구비하여서 상기 한쌍의 결합편의 단부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결합편이 상기 승강블럭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하도록 하는 제2록킹레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발판(270)이 조향축(220)을 따라 안내되고 후륜(272)이 구름회전되면서 발판(270)이 세워지게 되므로 킥보드를 접는 동작이 노약자라도 손쉽게 접을 수 있게 한다.
둘째, 제2록킹레버(283)를 회전시켜서 승강블럭(240)에 대한 발판(27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킨후에 제1록킹레버(263)를 회전시켜 조향축(220)에 대한 연결블럭(25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면, 연결블럭(250)이 조향축(220)에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발판(270)의 자중(自重) 및 후륜(272)의 구름회전으로 바닥에 수평상태로 놓이게 되어 간편하게 펼칠 수 있게 된다.
즉, 킥보드가 접어진 상태에서 제1록킹레버(263)와 제2록킹레버(283)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기만 하면, 발판(270)의 자중에 의해서 그리고 후륜(272)의 회전으로 발판(270)이 수평상태로 놓이게 되므로 킥보드를 간편하게 펼칠 수 있게 한다.
세째, 조향블럭(210)에 가방(300)을 탑재할 수 있게 되므로, 킥보드가 접어진 상태에서 멜빵끈(310)을 어깨에 메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계단등 칵보드를 이용할 수 없는 공간에서 이동을 간편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킥보드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 다른 킥보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킥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킥보드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8은 핸들의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킥보드의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저면도,
도 13은 가방이 탑재된 킥보드의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킥보드에 가방이 탑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킥보드는 학생이나 주부등이 무거운 짐을 탑재하여 이용할 수 있고, 폴딩되었을때 안정적으로 직립(直立)될 수 있으며, 계단처럼 킥보드를 이용할 수 없는 지역도 간편하게 메고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발판을 세워서 폴딩하거나 펼치는 작동을 노약자라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킥보드를 나타낸 도 4 내지 도 7을 참보하면, 이는 전륜(21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향블럭(210)과; 상기 조향블럭(210)의 상면에 수직으로 결합된 조향축(220)과; 상기 조향축(2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핸들(230)과; 상기 조향축(220)에 안내되어 승강되는 승강블럭(240)과; 상기 조향축(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25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승강블럭(24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럭(250)과; 상기 제1결합부(251)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연결블럭(250)을 상기 조향축(220)의 임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록킹수단(260)과; 일단이 상기 승강블럭(2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271)가 형성되고, 타단에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270)과; 상기 제2결합부(271)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발판(270)을 상기 승강블럭(240)에 대해 고정 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제시키는 제2록킹수단(280);을 구비한다.
상기 조향블럭(210)의 상면에는 중공의 한쌍의 조향축(220)이 나란하게 수직으로 고정되며, 조향축(220)의 상단에는 핸들(230)이 결합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230)에는 길이조절봉(231)이 마련되어서 상기 조향축(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블럭(290)에 의해서 조정된 길이가 고정되도록 된다.
상기 조향축(220)의 상단부에는 절개홈(221)이 형성되어서 양단부에 분할편이 형성된 고정블럭(290)을 잠금레버(291)로 조임시킬때 길이조절봉(231)이 조절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블럭(250)과 승강블럭(240)은 회전축(255)으로 연결되어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7,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조향블럭(210)에는 멜빵끈(310)을 갖는 가방(300)이 안착되는 안착부(212)가 마련되고, 상기 멜빵끈(310)을 상기 조향축(220) 또는 핸들(2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소위 "벨크로 테이프"의 몸체를 멜빵끈(310)에 재봉하고 양단부에 암/수 벨크로테이프를 구비하여서, 조향축(220) 또는 핸들(230)에 감싸도록 하여 간편하게 탈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270)이 조향축(220)과 나란하도록 접어진 상태에서는 가방(300)의 멜빵끈(310)을 어깨에 메어서 킥보드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발판(270)은 등받이 역할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도 4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후륜(272)은 상기 발판(270)의 저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쌍으로 마련되어서, 상기 연결블럭(250)이 상기 조향축(220)의 상단부측에 고정되었을때 즉, 발판(270)이 조향축(220)과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었을때 상기 전륜(211)과 한쌍의 후륜(272)에 의해서 직립하여 안정적으로 세워지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록킹수단(26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251)는 상기 조향축(220)을 감싸도록 한쌍의 분할편(251a)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할편(251a)의 단부에는 제1록킹핀(261)이 관통 설치되고, 일단이 일측 분할편에 지지되게 되어 있다.
상기 제1록킹핀(261)의 타단은 편심의 캠블럭(262)을 갖는 제1록킹레버(26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록킹수단(260)은 제1록킹레버(263)의 회전에 의해서 캠블럭(262)이 상기 한쌍의 분할편(251a)의 단부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분할편(251a)의 내주면이 상기 조향축(220)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2록킹수단(28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발판(270)의 제2결합부(271)는 상기 승강블럭(240)의 양측면에 대향되는 한쌍의 결합편(271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271a) 및 승강블럭(240)을 관통하되 일단이 일측 결합편에 지지되는 제2록킹핀(281)과, 상기 제2록킹핀(28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결합편(271a)의 단부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결합편이 상기 승강블럭(240)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하도록 하는 편심의 캠블럭(282)을 갖는 제2록킹레버(284)를 구비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조향블럭(210)에는 브레이크패드(4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핸들(230)에 마련된 브레이크 레버(400)를 작동시키면 와이어(420)의 견인에 의해서 브레이크 패드(420)가 회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420)와 전륜(211)이 마찰됨으로써 정지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의 킥보드의 사용상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킥보드를 이용하여 도로를 주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 내지 도 6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록킹레버(263)의 조임력을 해제하여 연결블럭(250)을 조향축(220)의 최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록킹레버(263)의 조임작동으로 위치고정시키고, 제2록킹레버(283)를 이용하여 승강블럭(240)에 대한 발판(27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발판(270)이 수평하게 놓이도록 한 후 제2록킹레버(283)의 조임작동으로 발판(270)이 수평위치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킥보드를 이용한다.
방향제어를 위해 핸들(230)의 방향을 제어하게 되면 승강블럭(240)에 대해 조향축(220), 연결블럭(250) 및 조향블럭(210)이 회전축(255)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조향블럭(210)의 안착면(212)에는 책가방이나 시장가방과 같은 가방(300)을 안착하여 멜빵끈(310)을 조향축(220)에 묶어서, 등교하거나 시장볼때 무거운 짐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킥보드를 이용하지 못하는 장소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킥보드를 접어서 멜빵끈(310)을 어깨에 메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발판(270)은 등받이 기능을 한다.
상기 킥보드를 접는 동작은 도 5를 참조하면, 제1록킹레버(263)를 회동시켜서 조향축(220)에 대한 연결블럭(25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고, 또한 제2록킹레버(283)를 회동시켜서 승강블럭(240)에 대한 발판(27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블럭(240)을 파지하여 들어올리면 연결블럭(250)이 조향축(220)을 따라 상부로 안내되고 동시에 발판(270)이 제2록킹핀(281)을 중심으로 승강블럭(240)에 대해 회전되어 세워지게 지게 되면서 조향축(220)에 나란하게 위치되게 된다. 이때 후륜(272)이 구름회전되므로 발판(270)의 세워짐 동작이 용이해진다.
도 9 내지 도 11에 상기와 같이 승강블럭(240) 및 연결블럭(250)이 조향축(220)의 상단부측에 위치되고 발판(270)이 조향축(220)에 나란하게 된 위치에서, 상기 제1,2록킹레버(263)(283)를 조임하여 연결블럭(250)을 조향축(220)에 고정시키고 발판(270)을 승강블럭(240)에 고정시킨다.
이 경우 1개의 전륜(211)과 2개의 후륜(272)이 삼각형 형태를 갖추어서 안정적으로 킥보드가 세워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어진 상태의 킥보드를 펼치는 동작은 먼저 제2록킹레버(283)를 회전시켜서 승강블럭(240)에 대한 발판(27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킨후에 제1록킹레버(263)를 회전시켜 조향축(220)에 대한 연결블럭(25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면, 연결블럭(250)이 조향축(220)에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발판(270)의 자중(自重) 및 후륜(272)의 구름회전으로 바닥에 수평상태로 놓이게 되어 간편하게 펼칠 수 있게 된다.
210...조향블럭 211...전륜
212...안착부 220...조향축
230...핸들 240...승강블럭
250...연결블럭 270...발판
272...후륜

Claims (5)

  1. 전륜(211)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향블럭(210)과;
    상기 조향블럭(210)의 상면에 수직으로 결합된 조향축(220)과;
    상기 조향축(2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핸들(230)과;
    상기 조향축(220)에 안내되어 승강되는 승강블럭(240)과;
    상기 조향축(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25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승강블럭(24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럭(250)과;
    상기 제1결합부(251)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연결블럭(250)을 상기 조향축(220)의 임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제1록킹수단(260)과;
    일단이 상기 승강블럭(2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271)가 형성되고, 타단에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270)과;
    상기 제2결합부(271)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발판(270)을 상기 승강블럭(240)에 대해 고정 또는 회전가능하게 고정해제시키는 제2록킹수단(28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가능한 킥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블럭(210)에 멜빵끈(310)을 갖는 가방(300)이 안착되는 안착부(212)가 마련되고,
    상기 멜빵끈(310)을 상기 조향축(220) 또는 핸들(23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가능한 킥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륜(272)은 상기 발판(270)의 저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블럭(250)이 상기 조향축(220)의 상단부측에 고정되었을때 상기 전륜(211)과 한쌍의 후륜(272)에 의해서 직립하여 세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가능한 킥보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수단(260)은;
    상기 제1결합부(251)는 상기 조향축을 감싸는 한쌍의 분할편(251a)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편(251a)의 단부를 관통하되 일단이 일측 분할편에 지지되는 제1록킹핀(261)과,
    상기 제1록킹핀(26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분할편(251a)의 단부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분할편(251a)의 내주면이 상기 조향축(220)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하도록 하는 편심의 캠블럭(262)을 갖는 제1록킹레버(263)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가능한 킥보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록킹수단(280)은;
    상기 제2결합부(271)는 상기 승강블럭(240)의 양측면에 대향되는 한쌍의 결합편(271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271a) 및 승강블럭(240)을 관통하되 일단이 일측 결합편에 지지되는 제2록킹핀(281)과,
    상기 제2록킹핀(28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쌍의 결합편(271a)의 단부를 조임 또는 조임해제하여 상기 결합편이 상기 승강블럭(240)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하도록 하는 편심의 캠블럭(282)을 갖는 제2록킹레버(284)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가능한 킥보드.
KR1020160095143A 2016-07-27 2016-07-27 폴딩 가능한 킥보드 KR101813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143A KR101813122B1 (ko) 2016-07-27 2016-07-27 폴딩 가능한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143A KR101813122B1 (ko) 2016-07-27 2016-07-27 폴딩 가능한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122B1 true KR101813122B1 (ko) 2017-12-29

Family

ID=6093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143A KR101813122B1 (ko) 2016-07-27 2016-07-27 폴딩 가능한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9923A (zh) * 2018-08-26 2018-11-30 薛航 一种多功能可折叠旅行车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083Y1 (ko) 2000-10-31 2001-09-26 주식회사 진성정공 킥보드
KR200295635Y1 (ko) 2002-08-29 2002-11-18 (주)보양니트 가방의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장치
CN202358263U (zh) 2011-11-30 2012-08-01 东莞市庆扬塑胶五金制品有限公司 少儿滑板车的收合结构
CN203727571U (zh) 2013-12-26 2014-07-23 上海坚柏国际贸易有限公司 箱包折叠滑板车
CN204264386U (zh) 2014-12-10 2015-04-15 深圳市博世达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车
CN104743028A (zh) 2015-03-23 2015-07-01 张建威 前驱可折叠自行车及箱包一体装置
CN105564564A (zh) 2016-01-13 2016-05-11 深圳市艾优贝斯特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折叠拖行的滑板车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083Y1 (ko) 2000-10-31 2001-09-26 주식회사 진성정공 킥보드
KR200295635Y1 (ko) 2002-08-29 2002-11-18 (주)보양니트 가방의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장치
CN202358263U (zh) 2011-11-30 2012-08-01 东莞市庆扬塑胶五金制品有限公司 少儿滑板车的收合结构
CN203727571U (zh) 2013-12-26 2014-07-23 上海坚柏国际贸易有限公司 箱包折叠滑板车
CN204264386U (zh) 2014-12-10 2015-04-15 深圳市博世达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车
CN104743028A (zh) 2015-03-23 2015-07-01 张建威 前驱可折叠自行车及箱包一体装置
CN105564564A (zh) 2016-01-13 2016-05-11 深圳市艾优贝斯特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折叠拖行的滑板车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9923A (zh) * 2018-08-26 2018-11-30 薛航 一种多功能可折叠旅行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7889B2 (en) Walkers and methods of use
US6877519B2 (en) Collapsible side wheeled walker
CA2458748C (en) Trolley
US8511694B2 (en) Reversible walker assembly
US9615638B2 (en) Wheeled suitcase with auxiliary wheels on legs and undercarriage therefor
US7938413B2 (en) Knee scooter
US7058996B1 (en) Toilet lifting and transport device and method
US20200155408A1 (en) Ergonomic walker
US6675820B2 (en) Safety support device with adjustable arm support members & method
WO1999039960A1 (en) Hiker-biker utility trail cart
AU2002335593A1 (en) Trolley
US20190161105A1 (en) Sibling board
KR101813122B1 (ko) 폴딩 가능한 킥보드
KR20180101293A (ko) 바퀴 달린 지지대가 부착된 배낭 받침대
DE202005001882U1 (de) Stockkarre
US11766370B2 (en) Wheelchair accessory device for increased mobility
CN205396363U (zh) 超小型便携式折叠滑板车
CN208582688U (zh) 一种老人助力车
US20150059087A1 (en) Physical aid device with a holder
CA2990800A1 (en) Walkers and methods of use
GB2489575A (en) A foldable wheeled support for a load or child
GB2374843A (en) Rider propelled pedal vehicle with pedestrian supervised control
GB2562200A (en) Child carriage
TW201701848A (zh) 救難用擔架結構
JP2001008988A (ja) 炊事作業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