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110B1 -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110B1
KR101813110B1 KR1020150176948A KR20150176948A KR101813110B1 KR 101813110 B1 KR101813110 B1 KR 101813110B1 KR 1020150176948 A KR1020150176948 A KR 1020150176948A KR 20150176948 A KR20150176948 A KR 20150176948A KR 101813110 B1 KR101813110 B1 KR 101813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governor rope
elevator
rope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574A (ko
Inventor
김동복
Original Assignee
(주)모든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든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모든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15017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속기 로프를 밀착가압하기 위해 작동모터와 연동작용하는 제1작동부가 설치된 제1결합체와, 상기 제1결합체의 제1작동부와 상호 대응하여 조속기 로프를 가압하는 제2작동부가 설치된 제2결합체 및 상기 각각의 결합체를 연결고정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속기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속기 로프장력조절장치를 장착함으로써, 1차로 조속기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여 제동을 한 다음, 2차로 조속기를 통해 조속기 로프를 제공함으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단계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제동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승객들의 불안한 심리상태 진정시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GOVERNOR TENSIO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급격한 엘리베이트의 승강 또는 하강시, 1차로 조속기 로프를 장력조절장치를 통해 제동한 다음, 2차로 조속기를 통해 제동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에, 조속기 로프의 장력을 조절함과 거의 동시에, 조속기를 통해 조속기 로프를 제동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엘리베이터를 단계적으로 제동함으로써, 승객들에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로에 설치되어 승객의 층간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하는 승강카와, 상기 승강카의 승강작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상기 승강로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계실로 크게 구성되는데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승강카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승강카의 승/하강 속도를 감지하여 비정상속도가 감지될 경우 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조속기가 각각 설치되게 된다.
상기 조속기는 승기 승강차의 운행시 이 승강차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가 상기 승강차와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면서 상기 승강대의 속도가 정격속도(안전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조속기는 일차적으로 안전회로에 있는 스위치를 동작시켜 정지되도록 동작된다. 만일, 상기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승강차의 속도가 계속 증가하게 되면 상기 세이프티 기어를 동작시켜 결국 상기 승강차를 강제 제동하도록 동작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작동 구조를 살펴보면, 승강로(1)와, 승강로(1)의 최상부에 위치되는 기계실(미도시)과, 메인로프(2)에 매달려 승강로(1)의 가이드레일(3)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대(4)와, 승강대(4)의 반대쪽에 위치되어 승강대(4)와의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추(5)와, 승강대(4)의 하부에 장착되어 비상시 가이드레일(3)을 잡아 승강대(4)를 정지시키는 비상정지장치(6)와, 기계실에 설치되고 메인로프(2)가 감긴 롤러를 회전시켜 승강대(4)를 승강시키는 권상기(7)와, 권상기(7)를 구동시키는 전동기(8)와, 승강대(4)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는 경우 전동기(8)의 전원을 차단하여 권상기(7)의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계속해서 속도가 상승하면 비상정지장치(6)를 작동시키는 조속기(9), 및 승강대(4)의 속도제어, 운행관리제어 및 기타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반(S)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조속기(9)는 통상 기계실에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대(4)의 하부에 설치된 비상정지장치(6)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가 조속기휠에 권취되어 조속기휠을 회전시키다가 승강대(4)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되면 조속기휠의 진자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과속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권상기(7)를 구동하는 전동기(8)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권상기(7)의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승강대(4)를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권상기(7)의 브레이크가 고장나거나 메인로프(2)가 끊어지면 승강대(4)를 멈출 수 없게 되나, 이 경우에는 조속기 휠의 일측에 설치된 진자가 더욱 벌어져 로프고정장치를 당기게 되고 로프고정장치의 로프캐쳐가 조속기 로프(1)에 밀착되어 조속기 로프가 정지됨으로써, 승강대(4)의 하부에 설치되는 비상정지장치(6)가 동작되어 비상정지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실용신안실 1993-0006333 "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시, 급격한 엘리베이터 하강뿐만 아니라 기계의 오작동으로 엘리베이터가 상승할 시에, 1차로 조속기 로프의 장력을 조절한 다음, 2차로 조속기를 통해 조속기 로프를 제동함으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엘리베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속기 로프를 밀착가압하기 위해 작동모터와 연동작용하는 제1작동부가 설치된 제1결합체와, 상기 제1결합체의 제1작동부와 상호 대응하여 조속기 로프를 가압하는 제2작동부가 설치된 제2결합체 및 상기 각각의 결합체를 연결고정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작동부는 작동모터의 작용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점을 중심으로, 원형배열형성된 한 쌍의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부는 제1작동부의 회전판과 상호 대응하게 설치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중점을 중심으로, 한 쌍의 로드와 상호 작용하여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원형배열형성된 한 쌍의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한 쌍의 로드가 일측면에 각각 설치된 밀착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가압부재는 난연성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로드는 고정판 및 회전판 내면에 상호 대향하는 형태로, 외주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속기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속기 로프장력조절장치를 장착함으로써, 1차로 조속기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여 제동을 한 다음, 2차로 조속기를 통해 조속기 로프를 제공함으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단계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제동하여, 엘리베이터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승객들의 불안한 심리상태 진정시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 비상정지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의 작용과정 1을 나타낸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의 작용과정 2를 나타낸 작용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조속기 로프(1)를 밀착가압하기 위해 작동모터(12)와 연동작용하는 제1작동부(11)가 설치된 제1결합체(10)와, 상기 제1결합체(10)의 제1작동부(11)와 상호 대응하여 조속기 로프(1)를 가압하는 제2작동부(21)가 설치된 제2결합체(20) 및 상기 각각의 결합체(10)(20)를 연결고정하는 연결부재(30)로 구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제1결합체(10), 제2결합체(20), 제1작동부(11), 제2작동부(21), 작동모터(12), 연결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체(10)는 중앙에 작동모터(12)의 축이 관통설치되기 위해 통공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결합공이 외측에 근접하게 형성된 지지체와, 상기 통공에 작동모터(12) 축의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구비된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결합체(20)는 제1결합체(10)의 지지체와 상호 대응하게 지지체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체의 결합공과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작동부(11)는 제1결합체(10)에 설치된 작동모터(12)의 축에 고정되어, 상기 작동모터(12)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판(11a)과, 상기 회전판(11a)의 중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배열형성된 한 쌍의 로드(11b)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작동부(21)는 제1작동부(11)의 회전판(11a)과 상호 대응하게 제2결합체(20) 내면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판(21a)과, 상기 제1작동부(11)의 한 쌍의 로드(11b)와 상호 대응하여 조속기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판(21a)의 중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배열형성된 한 쌍의 로드(21b)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모터(12)는 제1결합체(10)의 밀착고정되며, 회전판(11a)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각각의 결합체(10)(20)가 상호 연결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며, 각각의 결합체(10)(20)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의 결합체(10)(20)에 밀착고정설치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11a)과 고정판(21a)에 원형배열 설치된 한 쌍의 로드(11b)(21b)의 각각 측면에는 조속기 로프(1)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하여 제동하기 위해, 난연성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인 밀착가압부재(4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로드(11b)(21b)는 고정판(21a) 및 회전판(11a) 내면에 상호 대향하는 형태로, 외주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작동모터(12)에 작동 시, 회전판(11a)이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로드(11b)(21b) 측면으로 각각 설치된 밀착가압부재(40)가 조속기 로프(1)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서서히 장력을 조절한 후, 강하게 밀착하여 제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먼저, 제1결합체(10)에 설치된 작동모터(12)가 작동하는 작용과 함께, 상기 작동모터(12)의 축에 고정된 회전판(11a)이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판(11a)의 한 쌍의 로드(11b) 측면에 설치된 밀착가압부재(40)가 조속기 로프(1) 일측면을 밀착가압하여, 서서히 제동이 이뤄지게 되며, 상기 작용 후, 고정판(21a)에 형성된 각각의 한 쌍의 로드(21b)에 조속기 로프(1) 타측면에 밀착하는 작용, 즉, 회전판(11a)과 고정판(21a)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로드(11b)(21b)가 상호 조속기 로프(1)를 가압하여, 상기 조속기 로프(1)의 제동이 이뤄지게 된다.
상기 작용과 동시에,
조속기 풀리에 설치된 각 플라이 웨이트가 그 원심력에 의해 회전하여, 스위치를 작동하게 되며, 조속기에 설치된 제동부재에 의해 순간 조속기 로프(1)의 제동이 이뤄진다.
상기와 작용과 연동으로,
승강대 하부에 장착된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여, 권상기를 구동하는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승강대를 정지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은 1차로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서서히 조속기 로프의 제동이 이뤄지는 작용과 연동하여, 조속기에 작용에 따라 조속기 로프의 제동이 이뤄지며, 상기와 같은 작용과 함께,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하여, 비상시에, 엘리베이터를 단계적으로 신속하게 제동함으로써, 급격한 엘리베이터 하강뿐만 아니라 기계의 오작동으로 엘리베이터가 상승할 시에, 보다 신속하게 조속기 로프를 제공하여 엘리베이터를 정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와 같은 작용에 따라, 승객의 심리상태를 안정시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1: 조속기 로프
10: 제1결합체
20: 제2결합체
11: 제1작동부
21: 제2작동부
11a: 회전판
21a: 고정판
11b,21b: 한 쌍의 로드
30: 연결부재
40: 밀착가압부재

Claims (5)

  1. 삭제
  2. 조속기 로프(1)를 밀착가압하기 위해 작동모터(12)와 연동작용하는 제1작동부(11)가 설치된 제1결합체(10)와, 상기 제1결합체(10)의 제1작동부(11)와 상호 대응하여 조속기 로프(1)를 가압하는 제2작동부(21)가 설치된 제2결합체(20) 및 상기 각각의 결합체(10)(20)를 연결고정하는 연결부재(30)를 구비하는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부(11)는 작동모터(12)의 작용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판(11a)과, 상기 회전판(11a)의 중점을 중심으로, 원형배열형성된 한 쌍의 로드(11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작동부(21)는 제1작동부(11)의 회전판(11a)과 상호 대응하게 설치된 고정판(21a) 및 상기 고정판(21a)의 중점을 중심으로, 한 쌍의 로드(11b)와 상호 작용하여 로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원형배열형성된 한 쌍의 로드(21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한 쌍의 로드(11b)(21b)가 일측면에 각각 설치된 밀착가압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가압부재(40)는 난연성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로드(11b)(21b)는 고정판(21a) 및 회전판(11a) 내면에 상호 대향하는 형태로, 외주면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속기 로프 장력조절장치.
KR1020150176948A 2015-12-11 2015-12-11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 KR101813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48A KR101813110B1 (ko) 2015-12-11 2015-12-11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48A KR101813110B1 (ko) 2015-12-11 2015-12-11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74A KR20170069574A (ko) 2017-06-21
KR101813110B1 true KR101813110B1 (ko) 2017-12-29

Family

ID=5928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948A KR101813110B1 (ko) 2015-12-11 2015-12-11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1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74A (ko)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7037B1 (en)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arrangement
JP5809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9747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08047425A1 (fr) Commande de vitesse d'ascenseur et dispositif ascenseur
JP5771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153507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非常時運転方法
CN103818797B (zh) 基于电梯的限速器与安全钳联动系统
KR101577377B1 (ko) 완강기
JP2011195270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開放装置
KR101813110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장력조절장치
KR20120014631A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JP200926301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944056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KR101754298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WO2003089354A1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KR20180018083A (ko) 엘리베이터 하부체대 비상정지장치
KR101054013B1 (ko) 슬립 방지형 엘리베이터 권상장치
CN208838906U (zh) 一种稳固的高楼逃生装置
JP2016008139A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システム
JP200209698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4936880A (zh) 电梯装置
CN106132860B (zh) 电梯装置
JP6553500B2 (ja) ロープ調整装置、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101836774B1 (ko) 엘리베이터용 보조 비상제동장치
JP201319387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