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000B1 -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000B1
KR101813000B1 KR1020160144705A KR20160144705A KR101813000B1 KR 101813000 B1 KR101813000 B1 KR 101813000B1 KR 1020160144705 A KR1020160144705 A KR 1020160144705A KR 20160144705 A KR20160144705 A KR 20160144705A KR 101813000 B1 KR101813000 B1 KR 101813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oor
heat sensing
fixing piece
direction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남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엔에스
리나스대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엔에스, 리나스대성(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엔에스
Priority to KR102016014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Abstract

이 건 발명은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취반기 도어와 열감지부 사이에 승하강구가 구비된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구는 힌지 고정된 도어의 하부에 와이어 고정편이 구비되어 와이어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와이어는 방향 전환구를 경유하여 와이어의 타측 단부가 열감지부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편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방향 전환구는 바닥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에 수직부재가 직립되게 형성되어진 방향전환편의 양측에 고정편이 맞대어져 고정핀으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바닥부재와 수직부재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태를 갖는 가이드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부재와 바닥부재는 각각 핀홀이 형성된 전,후방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가 오픈됨에 따라 와이어가 당겨져 상기 열감지부가 하부로 하강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도어의 열고 닫는 과정에서 도어에 연결된 와이어가 방향전환편으로부터 이격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방향전환편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가운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HEAT SENSOR DRAW-DOWN DEVICE FOR COOKING MACHINE}
이 건 발명은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반기의 전면에 구비된 도어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열감지부가 하강하도록 하고, 도어를 닫음과 동시에 열감지부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반기는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양의 밥을 반복적으로 지어야 하는 구내 식당, 레스토랑, 음식 체인점 등에 설치된 것으로 취반 능력을 가져 대폭적인 인력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취반기는 두 개 이상의 밥솥 안치부를 갖는 취반기 본체와, 밥솥 안치부에 제공되는 버너와, 밥솥 안치부와 대응하는 취반기 본체의 전면부에 각각 설치되는 도어와, 취반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취반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박스와, 밥솥 안치부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와, 취반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어 가스의 원활한 연소를 위해 상기 버너로 공급되는 1차 연소공기량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버너 에어셔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취반기의 버너로 공급되는 2차 연소 공기량은 외부로부터 취반기 본체의 다수 개의 통공을 통해 버너로 공급되고, 버너의 중심에는 솥바닥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부의 접촉자가 구비되어 있고, 접촉자가 도어에 연결된 와이어에 연결되어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접촉자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밥솥을 꺼내고 넣는 과정에서 밥솥의 바닥과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도어에 의하여 와이어가 당겨지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로울러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접촉자가 상하강 되지 못함에 따라 솥바닥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와 변형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61255호(2012.06.13)
이 건 발명은 도어의 열고 닫음에 의하여 도어에 연결된 와이어가 당겨지거나 늦추어짐으로서 열감지부가 상하강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로울러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안정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를 통해 열감지부의 마모와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취반기 도어(D)와 열감지부(H) 사이에 승하강구(A)가 구비된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구(A)는 힌지 고정된 도어(D)의 하부에 와이어 고정편(10)이 구비되어 와이어(2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와이어(20)는 방향 전환구(30)를 경유하여 와이어(20)의 타측 단부가 열감지부(H)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편(1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방향 전환구(30)는 바닥부재(311)의 일측 또는 타측에 수직부재(312)가 직립되게 형성되어진 방향전환편(31)의 양측에 고정편(32)이 맞대어져 고정핀(33)으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바닥부재(311)와 수직부재(312)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태를 갖는 가이드부재(313)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부재(312)와 바닥부재(311)는 각각 핀홀(314)이 형성된 전,후방부재(3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D)가 오픈됨에 따라 와이어(20)가 당겨져 상기 열감지부(H)가 하부로 하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고정편(10)은 관통홀(111)이 형성된 고정편 몸체(11)에 상기 관통홀(111)과 교차되는 암나사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을 통하여 삽입되는 와이어(20)는 암나사홀(112)로 삽입되는 나사(12)에 의하여 가압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바닥부재(311)는 저면에 와이어 가이드홈(3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도어의 열고 닫는 과정에서 도어에 연결된 와이어가 방향전환편으로부터 벗겨지거나 이격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향전환편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가운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동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솥을 꺼내거나 넣는 과정에서 솥바닥이 열감지부에 닿아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킨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를 갖는 취반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에 있어 도어가 열려 열감지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를 갖는 취반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에 있어 도어가 열려 열감지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는 도어(D)와 열감지부(H)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20)가 도어(D)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방향전환구(30)로부터 벗겨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작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밥솥을 넣거나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열감지부(H)가 밥솥의 바닥에 맞대어져 마찰 또는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와 열감지부(H) 사이에 승하강구(A)가 구비된 것으로 도어(D)는 지지다리(511)를 갖는 지지패널(512)로 이루어진 받침부(50)에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있고, 열감지부(H)는 받침부(50)의 중앙에 상하 슬라이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승하강구(A)는 힌지 고정된 도어(D)의 하부에 와이어 고정편(10)이 구비되어 와이어(2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있다.
상기 와이어(20)는 도어(D)의 회전력 또는 회전량을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복수개의 방향 전환구(30)를 이용하여 와이어(20)의 이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20)는 방향 전환구(30)를 경유하여 와이어(20)의 타측 단부가 열감지부(H)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편(1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도어(D)가 오픈됨과 동시에 와이어(20)가 당겨져 상기 열감지부(H)가 하부로 하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고정편(10)은 와이어(10)가 도어(D) 또는 열감지부(H)에 용이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관통홀(111)이 형성된 고정편 몸체(11)에 상기 관통홀(111)과 교차되는 형태의 암나사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111)을 통하여 삽입되는 와이어(20)는 암나사홀(112)로 삽입되는 나사(12)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편리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와이어(20)가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향 전환구(30)는 도어(D)의 움직임에 따라 당겨지거나 풀려지는 기능을 갖는 와이어(20) 방향을 전환시켜 도어(D)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열감지부(H)가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도어(D)를 닫음과 동시에 열감지부(H)가 상부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D)의 상태에 따라 이동되는 와이어(20)가 방향 전환구(30)로부터 벗겨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작의 정확성을 얻을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방향 전환구(30)는 방향전환편(31)의 양측에 고정편(32)이 맞대어져 고정핀(33)으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방향전환편(31)의 하부로부터 일정 간격(L)으로 이격된 위치에 오도록 와이어 이탈방지핀(34)이 고정편(32)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향전환편(31)은 바닥부재(311)의 일측 또는 타측에 수직부재(312)가 직립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바닥부재(311)와 수직부재(312)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태를 갖는 가이드부재(3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와이어(20)가 모서리 부분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과정중에 간섭 또는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312)와 바닥부재(311)는 각각 핀홀(314)이 형성된 전,후방부재(315)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고정편(32)에 고정핀(33)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한편, 이 건 발명에서는 바닥부재(311)가 평평한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저면에 길이방향을 갖는 와이드 가이드홈(316)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와이어(20)가 와이어 가이드홈(316)을 따라 왕복이동됨으로써, 정확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S)는 열감지부(H)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이다.
이와 같은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는 먼저,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감지부(H)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하여 열감지부(H)가 상승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열감지부(H)가 상승한 상태는 미도시한 버너의 상부에 솥을 안착시킨 상태에서는 열감지부(H)의 상단이 솥의 하부에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를 오픈시킴과 동시에 도어(D)가 미도시한 힌지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와이어 고정편(10)에 고정된 와이어(20)가 당겨지게 되고, 당겨지는 와이어(20)는 방향전환구(30)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어지는 가운데 열감지부(H)의 하부로 위치된 방향전환구(30)를 통해 와이어(20)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열감지부(H)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S)은 점진적으로 압축되어 도어(D)가 완전이 오픈된 상태에서는 완전히 압축된 상태 즉, 열감지부(H)가 최하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솥을 넣거나 빼내는 상태에서 솥의 바닥과 열감지부(H)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어(D)를 닫음과 동시에 압축된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하여 열감지부(H)가 상승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10:와이어 고정편 11:고정편 몸체
12:나사 20:와이어
30:방향 전환구 31:방향전환편
32:고정편 33:고정핀
34:와이어 이탈방지핀 111:관통홀
112:암나사홀 311:바닥부재
312:수직부재 313:가이드부재
314:핀홀 315:전,후방부재
A:승하강구 D:도어
H:열감지부

Claims (5)

  1. 취반기 도어(D)와 열감지부(H) 사이에 승하강구(A)가 구비된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구(A)는 힌지 고정된 도어(D)의 하부에 와이어 고정편(10)이 구비되어 와이어(2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와이어(20)는 방향 전환구(30)를 경유하여 와이어(20)의 타측 단부가 열감지부(H)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편(1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방향 전환구(30)는 바닥부재(311)의 일측 또는 타측에 수직부재(312)가 직립되게 형성되어진 방향전환편(31)의 양측에 고정편(32)이 맞대어져 고정핀(33)으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바닥부재(311)와 수직부재(312)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태를 갖는 가이드부재(313)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직부재(312)와 바닥부재(311)는 각각 핀홀(314)이 형성된 전,후방부재(3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D)가 오픈됨에 따라 와이어(20)가 당겨져 상기 열감지부(H)가 하부로 하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편(10)은 관통홀(111)이 형성된 고정편 몸체(11)에 상기 관통홀(111)과 교차되는 암나사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1)을 통하여 삽입되는 와이어(20)는 암나사홀(112)로 삽입되는 나사(12)에 의하여 가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311)는 저면에 와이어 가이드홈(3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

KR1020160144705A 2016-11-01 2016-11-01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 KR101813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705A KR101813000B1 (ko) 2016-11-01 2016-11-01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705A KR101813000B1 (ko) 2016-11-01 2016-11-01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000B1 true KR101813000B1 (ko) 2017-12-28

Family

ID=6093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705A KR101813000B1 (ko) 2016-11-01 2016-11-01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0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617B1 (ko) * 2007-09-13 2008-01-1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 인출용 풀링아이
KR101064886B1 (ko) * 2009-12-17 2011-09-16 태흥주방산업(주) 전기 자동 밥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617B1 (ko) * 2007-09-13 2008-01-10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선 인출용 풀링아이
KR101064886B1 (ko) * 2009-12-17 2011-09-16 태흥주방산업(주) 전기 자동 밥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777B1 (ko) 오븐 레인지
CN103876615A (zh) 压力锅及其调压装置
KR101813000B1 (ko) 취반기용 열감지부 승하강 장치
JP5326024B1 (ja) 放電加工機の加工槽の2段式連動スライドドア
KR20130019565A (ko) 기능성 밸브 개폐용 액추에이터
CN106152187B (zh) 一种可升降旋钮
JP4542853B2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JP4393122B2 (ja) 電動昇降吊戸棚
JP4413542B2 (ja) 電動昇降吊戸棚
JPH119355A (ja) 昇降キャビネット
JP6436585B2 (ja) 調理装置
JP4597903B2 (ja) トースター
JP5072918B2 (ja) 電動昇降吊戸棚
JP2006192047A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KR20020050024A (ko) 전자레인지의 도어개폐장치
KR200472829Y1 (ko) 로스터의 돌구이판의 승강장치
CN103271672B (zh) 带盖多士炉
KR20230095250A (ko) 현관문 고정 장치
CN109965714B (zh) 一种带有笼屉升降装置的蒸炉及其使用方法
KR200285796Y1 (ko) 등카버가 개폐되는 센서등
WO2014102043A1 (en) A cooking device comprising control element
KR200281996Y1 (ko) 산업차량용작업기레버의스위치작동장치
KR200284791Y1 (ko) 구이용 테이블
JP5129469B2 (ja) 水廻り設備
KR200377723Y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