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250A - 현관문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현관문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250A
KR20230095250A KR1020210184536A KR20210184536A KR20230095250A KR 20230095250 A KR20230095250 A KR 20230095250A KR 1020210184536 A KR1020210184536 A KR 1020210184536A KR 20210184536 A KR20210184536 A KR 20210184536A KR 20230095250 A KR20230095250 A KR 20230095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rod
control switch
lifting rod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687B1 (ko
Inventor
허재영
Original Assignee
허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영 filed Critical 허재영
Priority to KR102021018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95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Abstract

본 발명은 문이 열렸을 때 자동으로 닫히는 현상의 방지를 위해 문이 열린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이 바닥에 밀착되면서 상기 현관문을 고정시키는 승강 로드와, 승강 로드가 승강될 수 있도록 현관문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통로인 승강 채널과, 상기 승강 로드의 상부에 접촉 또는 해제됨으로써 상기 승강 로드의 승강을 제어시키는 제어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손잡이와 유사한 높이에 설치됨으로써 손으로 조작 가능하여 극히 용이하게 문을 고정시킬 수 있고, 그러면서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고정이 가능함으로써 종래의 현관문 고정 장치와 동일한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현관문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현관문 고정 장치{Door fasteners}
본 발명은 문이 열렸을 때 자동으로 닫히는 현상의 방지를 위해 문이 열린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문이나 현관문 또는 각종 시설물의 문에는 짐이나 사람이 일정한 시간 동안 편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매번 문을 열고닫을 필요가 없게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이 열린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고정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현관문 고정 장치는 발로 레버를 젖혀서 펼치는 형태이며, 특히 젖혀진 레버를 다시 접을 때는 두꺼운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는 좀처럼 젖히기가 힘들어 사용이 불편한 면이 있다.
따라서 보다 편하게 현관문 고정 장치를 제어시킬 수 있도록 손으로 조정 할 수 있는 구조가 요청되나, 현재로서는 손으로 조정할 수 있는 현관문 고정 장치는 아직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4052호(공고일자: 2002. 07. 31)
이에 본 발명은 조작하기 용이하게 현관문의 손잡이 근처에 설치되어, 손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현관문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고정 장치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이 바닥에 밀착되면서 상기 현관문을 고정시키는 승강 로드와, 상기 승강 로드가 승강될 수 있도록 현관문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통로인 승강 채널과, 상기 승강 로드의 상부에 접촉 또는 해제됨으로써 상기 승강 로드의 승강을 제어시키는 제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현관문 내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로드의 상단과 상기 제어 스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공간인 작동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 로드의 상단에는 바람직하게는 승강 로드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는 로드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챔버의 천정과 상기 로드 헤드의 상면 사이에는 승강 로드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가압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작동 챔버에는 상기 승강 로드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상기 현관문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승강 로드까지 관통 삽입되는 핀 형태의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드 헤드의 일단은 바람직하게는 하부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는 타단의 상부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 스위치가 로드 헤드의 하부로 밀려 들어가면서 접촉되면서 상기 로드 헤드를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승강 로드 전체가 상승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현관문의 측단부면을 향해 복귀되도록 복귀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 스위치가 현관문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서 상기 로드 헤드를 밀어올린 후에 상기 제어 스위치에 대한 외부 힘이 제거될 경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일단이 상기 현관문의 측단부면까지 탄성력으로 복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승강 로드의 하단에는 바람직하게는 표면 마찰계수가 큰 부재가 장착되어 승강 로드의 하단이 바닥과 접촉될 경우 상기 현관문 전체의 동작이 정지 가능하되, 승강 로드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 로드의 하부가 상기 현관문의 개방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려나오도록 승강 로드의 하부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며 돌출되게 안내하는 경사 유도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로드의 하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 유도 가이드를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게 돌출되도록 일정한 탄성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승강 로드의 하부는 두 갈레로 분기되어 상기 경사 유도 가이드가 상기 승강 로드가 하강됨에 따라 두 갈레 사이의 폭을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현관문의 개방 방향과 개방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중 어느 쪽으로도 가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고정 장치는 손잡이와 유사한 높이에 설치됨으로써 손으로 조작 가능하여 극히 용이하게 문을 고정시킬 수 있고, 그러면서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고정이 가능함으로써 종래의 현관문 고정 장치와 동일한 고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현관문 고정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고정 장치의 정면 상부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고정 장치의 하부 측면 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고정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로드(30)와, 승강 채널(20)과, 제어 스위치(40)를 포함한다.
승강 로드(30)는 도어(D)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승강 되는 봉 형태의 부재이다. 승강 로드(30)는 하강할 경우 승강 로드(30)의 하단이 지면에 밀착되면서 도어(D)가 열리거나 닫히지 못하도록 도어(D)의 움직임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도어(D)는 본 명세서에서 현관문으로 지칭되고 있지만, 현관문뿐만 아니라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억제시키는 고정 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있는 문이라면 일반 가정집의 현관문뿐만 아니라 복도의 차단용 도어나 각종 시설물의 도어를 모두 포괄한다.
승강 채널(20)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로로서, 승강 로드(30)가 상하로 가변될 수 있는 공간이다.
제어 스위치(40)는 승강 로드(30)의 상부에 접촉 또는 해제됨으로 인해 승강 로드(30)가 하강 또는 상승 되도록 제어하는 작용을 한다.
제어 스위치(40)는 접촉이나 해제로 승강 로드(30)를 승강시킬 수 있는 형태의 공지된 기술 중 어떠한 것도 채택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제어 스위치(40)가 보다 간편하게 승강 로드(30)를 제어시킬 수 있도록 후술하게 될 보다 구체화된 실시예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스위치(40)와 승강 로드(30)의 상단이 서로 접촉될 수 있는 공간인 작동 챔버(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로드(30)의 상단에는 승강 로드(30)의 몸체에 해당하는 로드 몸체(32)의 단면 폭 보다 더 큰 상부 면적을 가지는 로드 헤드(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동 챔버(10)의 천정과 로드 헤드(31)의 상면 사이에는 승강 로드(30)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가압 스프링(11)이 설치됨으로써, 승강 로드(30)가 하강할 때 가압 스프링(11)이 지속적으로 로드 헤드(31)를 가압함으로써 승강 로드(30)의 하단을 지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작동 챔버(10)에는 승강 로드(3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도어(D)의 표면으로부터 승강 로드(30)까지 관통 삽입되는 핀 형태의 스토퍼(12)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2)는 도 3에서는 자세하게 도시되진 않았지만 도 3에서 드러나는 원형 형태의 부재는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 부위이며, 원형 손잡이에 가려진 핀 형태의 부재가 도어(D)의 표면으로부터 도어(D)를 관통함과 동시에 로드 헤드(31)를 함께 관통함으로써, 승강 로드(3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승강 로드(30)를 하강시켜 도어(D)를 정지시키고자 할 때는 스토퍼(12)의 선단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된 원형 손잡이를 살짝 후진시키면 승강 로드(30)가 하강하게 된다.
또한 로드 헤드(31)의 일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하부로 팽만되는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어 스위치(40)는 타단의 상면이 상부를 향해 팽만되는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어 스위치(40)가 로드 헤드(31)의 하부로 접촉되면서 전진하게 되면 로드 헤드(31)를 밀어 올릴 수 있고, 이로써 승강 로드(30) 전체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스위치(40)는 도어(D)의 측 단부면, 즉 도어 손잡이(H)와 연결된 도어 래치(L)가 설치된 측면을 향해 튀어나오는 방향으로 복귀되도록 복귀 스프링(41)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스위치(40)를 도어(D)의 내부로 밀어 넣어서 제어 스위치(40)로 하여금 로드 헤드(31)를 밀어 올린 후에 제어 스위치(40)에 대한 외부 힘이 제거될 경우 제어 스위치(40)의 일단이 도어(E)의 측 단부면까지 탄성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다만 제어 스위치(40)가 복귀하는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의 측단부면에서 돌출되는 위치는 아니며, 제어 스위치(40)의 일단이 도어(D)의 측단부면 근처 내지는 측단부면과 나란한 위치까지이다.
왜냐하면 제어 스위치(40)가 도어(D)의 측단부면 보다 더 돌출되면 도어 래치(L)처럼 문틀에 걸리면서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고 문틀과 간섭이 발생되어 도어(D)가 닫힐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승강 로드(30)의 하단에는 표면 마찰계수가 큰 부재인 하단 마찰부재(33)가 장착되어 승강 로드(30)의 하단이 바닥과 접촉될 경우 도어(D)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의 정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11)이 승강 로드(30)를 하부를 향해 가압하여 승강 로드(30)의 하단이 지면에 밀착될 경우 정지 마찰력이 현저하게 증가되므로 도어(D)의 가변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승강 로드(30)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로드(30)의 하부가 도어(D)의 개방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려 나오도록 승강 로드(30)의 하부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며 돌출되게 안내하는 경사 유도 가이드(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도 4에는 승강 로드(30)의 하부가 한 방향으로 경사 져서 경사 유도 가이드(21)의 한 방향으로 밀려나오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 4의 형태는 도어(D)의 설치 위치에 따라 필요한 경우 승강 로드(30)가 반대 방향의 경사로 돌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경사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의미인 한편, 승강 로드(30)의 하부가 하나의 방향이 아니라, 두 갈래로 형성되어 도어(D)가 닫히는 방향과 열리는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어(D)의 개방 정도를 확고하게 고정시키고자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승강 로드(30)는 하부가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형태가 선택될 수 있고, 통상적인 현관문 고정 장치와 같이 열리는 각도에는 제한은 없으나 단지 도어(D)가 닫히는 것만 방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강 로드(30)의 하부가 어느 한 방향으로 가변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승강 로드(30)의 하부가 경사지게 휘어질 수 있도록 승강 로드(30)는 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D : 도어 H : 도어 손잡이
L : 도어 래치 10 : 작동 챔버
11 : 가압 스프링 12 : 스토퍼
20 : 승강 채널 21 : 경사 유도 가이드
30 : 승강 로드 31 : 로드 헤드
32 : 로드 몸체 33 : 하단 마찰부재
40 : 제어 스위치 41 : 복귀 스프링
42 : 스프링 접속판

Claims (6)

  1. 현관문이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고정시켜 주는 현관문 고정 장치로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이 바닥에 밀착되면서 상기 현관문을 고정시키는 승강 로드와;
    상기 승강 로드가 승강될 수 있도록 현관문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통로인 승강 채널과;
    상기 승강 로드의 상부에 접촉 또는 해제됨으로써 상기 승강 로드의 승강을 제어시키는 제어 스위치;를 포함하는 현관문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 내부에는 상기 승강 로드의 상단과 상기 제어 스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공간인 작동 챔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로드의 상단에는 승강 로드의 폭 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는 로드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챔버의 천정과 상기 로드 헤드의 상면 사이에는 승강 로드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가압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작동 챔버에는 상기 승강 로드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상기 현관문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승강 로드까지 관통 삽입되는 핀 형태의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헤드의 일단은 하부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 스위치는 타단의 상부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어 스위치가 로드 헤드의 하부로 밀려 들어가면서 접촉되면서 상기 로드 헤드를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승강 로드 전체가 상승되며,
    상기 제어 스위치는 상기 현관문의 측단부면을 향해 복귀되도록 복귀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 스위치가 현관문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서 상기 로드 헤드를 밀어올린 후에 상기 제어 스위치에 대한 외부 힘이 제거될 경우 상기 제어 스위치의 일단이 상기 현관문의 측단부면까지 탄성력으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로드의 하단에는 표면 마찰계수가 큰 부재가 장착되어 승강 로드의 하단이 바닥과 접촉될 경우 상기 현관문 전체의 동작이 정지 가능하되,
    상기 승강 로드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 로드의 하부가 상기 현관문의 개방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려나오도록 승강 로드의 하부가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며 돌출되게 안내하는 경사 유도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로드의 하부는 상기 경사 유도 가이드를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게 돌출되도록 일정한 탄성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승강 로드의 하부는 두 갈레로 분기되어 상기 경사 유도 가이드가 상기 승강 로드가 하강됨에 따라 두 갈레 사이의 폭을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현관문의 개방 방향과 개방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 중 어느 쪽으로도 가변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 고정 장치.
KR1020210184536A 2021-12-22 2021-12-22 현관문 고정 장치 KR10259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36A KR102597687B1 (ko) 2021-12-22 2021-12-22 현관문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36A KR102597687B1 (ko) 2021-12-22 2021-12-22 현관문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250A true KR20230095250A (ko) 2023-06-29
KR102597687B1 KR102597687B1 (ko) 2023-11-03

Family

ID=8694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536A KR102597687B1 (ko) 2021-12-22 2021-12-22 현관문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6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52Y1 (ko) 2002-04-27 2002-07-31 김기형 현관문 고정장치
KR200454897Y1 (ko) * 2011-06-07 2011-08-08 이언정 양방향 도어 스토퍼
KR20180116070A (ko) * 2017-04-16 2018-10-24 김지웅 버튼식 문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52Y1 (ko) 2002-04-27 2002-07-31 김기형 현관문 고정장치
KR200454897Y1 (ko) * 2011-06-07 2011-08-08 이언정 양방향 도어 스토퍼
KR20180116070A (ko) * 2017-04-16 2018-10-24 김지웅 버튼식 문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687B1 (ko) 202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5151Y1 (ko) 가스실린더의 밸브핀 승강용 케이블형 개폐부재
KR20230095250A (ko) 현관문 고정 장치
JP6948062B2 (ja) 戸パネルの隙間遮蔽装置
KR100538464B1 (ko) 건축용 문의 열림 각도 고정장치
KR102338343B1 (ko) 도어용 잠금장치
JP4542853B2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KR200325011Y1 (ko)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KR20150076563A (ko) 가구용 영유아안전잠금장치
JP2580430B2 (ja) ブラインド装置
KR200300464Y1 (ko) 문개방 고정구
JP7384650B2 (ja) 止水装置
KR200350534Y1 (ko) 문 고정장치
CN215408166U (zh) 一种拉门装置
KR940000201Y1 (ko) 선풍기 헤드 승강장치의 스프링 안내구조
KR20010019720A (ko) 개폐형 문지방
JPH0449951Y2 (ko)
KR200352803Y1 (ko) 기능성 착석물의 보안장치
KR20120117301A (ko) 창호용 턴첵
JP2006192047A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KR100414007B1 (ko) 주방용 기기의 승강장치
CN211408572U (zh) 烹饪器具
KR200168187Y1 (ko) 개폐형 문지방
JPH03281879A (ja) 引戸の中間停止装置
KR200276350Y1 (ko) 로만 쉐이드의 개폐줄용 스토퍼장치
JP3715915B2 (ja) 間仕切りパネルの接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