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700B1 -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700B1
KR101812700B1 KR1020170048598A KR20170048598A KR101812700B1 KR 101812700 B1 KR101812700 B1 KR 101812700B1 KR 1020170048598 A KR1020170048598 A KR 1020170048598A KR 20170048598 A KR20170048598 A KR 20170048598A KR 101812700 B1 KR101812700 B1 KR 101812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control device
control
main contro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류태하
변필상
Original Assignee
가락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락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락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절환 장치를 포함한 제어 장비의 상태를 점검하여 최대한 방송을 유지하는 절환 장비 기술의 확보가 목적으로,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로서, 일반 상태에서 방송을 제어하는 주 제어 장비; 주 제어 장비의 고장 시 대처하여 방송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음원 장비;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송 장비; 주 제어 장비 및 보조 제어 장비와 오디오 음원 장비 및 방송 장비를 연결해 주는 절환기; 를 포함하며, 주 제어 장비는, 제어를 담당하는 MPU, MPU의 정상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 및 외부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각각의 보조 제어 장비는, 제어를 담당하는 MPU, MPU의 정상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 및 외부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정상적인 일반 상태에서는 주 제어 장비가, 절환기를 통해 오디오 음원 장비로부터 음원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와, 방송 장비로부터 방송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 데이터를 받아들여, 이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개의 앰프와 같은 단말로 방송을 출력 제어하게 되나, 주 제어 장비가 그러한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어느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가 주 제어 장비의 제어를 대신 행하게 되도록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EXCHAN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UDIO DEVICE HAVING SELF WATCHDOG FUNCTION}
본 발명은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유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재난 방송 장비, 보안 방송 장비, 전관 방송 장비 등의 음향 장비에서,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을 가지고 고장 진단시 다중 제어 장비로 절환되도록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내 방송 시스템/전관 방송 시스템은 사무실 빌딩이나 호텔 등 단일 건물이나 인접건물에서 원하는 지역의 전체, 층별, 구역별 방송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스템으로서, 여러 가지의 각기 다른 음원을 동시에 송출하여 각 지역이나 구역별로 각기 다른 음원을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건물의 규모나 그 필요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설계된다.
이러한 전관 방송 시스템 중 특히 빌딩 등에 설치되는 방송 시스템은 중앙 방송실에 송신 장치를 설치하고, 각 회의실 등에 수신 장치를 설치한다. 수신 장치인 스피커 또는 텔레비전 등을 통해 중앙 방송실에서 각 회의실로 방송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의실 방송 시스템 등에서도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오디오 방송뿐만 아니라 영상 및 자막 방송도 함께 제공되고 있다.
전관 방송 시스템이 근래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전관 방송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네트워크 구조는 도 1과 같은 트리(tree) 구조 또는 미도시된 링(ring) 구조를 구조로 사용한다.
도 1과 같은 트리 구조는 컨트롤 장비(10)와 허브(20)가 직접 연결되고, 상기 허브(20)를 통해 각각의 단말(31, 32, 30n)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단말은 앰프, 리모트 앰프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트리 구조의 방송 시스템은 중압 집중식 방식으로, 배선이 단말장비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트리 구조/링 구조의 방송 시스템 및 종래기술은 트리 구조일 경우 중앙 집중식 방식으로 배선이 단말장비에 각각 연결되어야 하므로 배선 작업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링 구조일 경우 모든 장비에 충돌 탐지 프로토콜이 구축되어야 하는 단점과 네트워크 망 파손시 방송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트리 구조/링 구조의 방송 시스템 및 종래기술은 네트워크 망의 트래픽에 대한 방송 보완 기능이 없으며, 트래픽이 과다 발생하면 방송이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망 파손시 A/S 기능이 없는 단점이 있다.
이상의 제1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99084호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방송시스템) 의 제2 종래기술은, 네트워크를 이중화해 네트워크 망 파손시에도 지속적인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네트워크의 트래픽 감시를 통해 효율적인 네트워크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을 제안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종래기술은, 네트워크를 이중화하고, 하나의 네트워크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다른 네트워크로 대체를 하여 정상적인 방송을 유지하면서, 이상이 발생한 네트워크의 자동 리셋을 통해 자동 복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종래기술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도 2은 상기 제2 종래기술에서 트리 구조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방송 시스템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200)와 관리자 단말(100)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메인 컨트롤러(200)와 복수의 단말(401 ~ 400n)은 이중화된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여기서 이중화된 네트워크는 제1 및 제2 네트워크(30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컨트롤러(200)와 이중화된 제1 및 제2 네트워크(301)(302)는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유선 또는 무선을 병합하여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무선 연결일 경우, 기존 배선 설치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제1네트워크(301)와 제2네트워크(302)의 IP주소는 서로 상이하며, 이러한 IP 주소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전환을 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트리 구조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은 이중화된 제1 및 제2 네트워크(301)(302)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메인 컨트롤러(200)와 각각의 단말(단말A, 단말B, 단말C)이 연결된다. 이때 메인 컨트롤러(200)는 각 네트워크별 트래픽을 감시하고, 트래픽 감시 결과를 기초로 트래픽 제어를 한다. 예컨대, 트래픽 감시 결과 특정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과다한 경우 일부 단말은 제1 네트워크(301)를 사용하도록 하고, 일부 단말은 제2 네트워크(302)를 사용하도록 네트워크를 분산하여, 트래픽 과열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보장한다.
삭제
아울러 특정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른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전환을 하여, 특정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방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자동 리셋 동작을 하여, 자동으로 네트워크 장애를 복구한다. 이러한 복구 동작으로도 장애가 복구가 되지 않으면, 네트워크 장애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장애를 관리자에게 통보해준다. 이로써 관리자는 원격에 위치하면서도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장애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단말들도 이중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연결된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네트워크 전환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전환한다. 네트워크 전환은 IP주소를 이용하여 전환하도록 한다.
아울러 특정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른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전환을 하여, 특정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방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자동 리셋 동작을 하여, 자동으로 네트워크 장애를 복구한다. 이러한 복구 동작으로도 장애가 복구가 되지 않으면, 네트워크 장애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장애를 관리자에게 통보해준다. 이로써 관리자는 원격에 위치하면서도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장애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는 상기 제2 종래기술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방송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단말(401 ~ 400n), 관리자 단말(100), 메인 컨트롤러(200) 및 이중화된 제1 및 제2 네트워크(301)(3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네트워크(301) 및 제2네트워크(302)는 트리 구조의 부호이며, 이를 링 구조로 구현한 경우에는 제1네트워크(501) 및 제2네트워크(502)로 변경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제1네트워크(301) 및 제2네트워크(302)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트리 구조 및 링 구조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중복 설명을 회피하기 위해서 이하에서 트리 구조 및 링 구조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단말(401 ~ 400n)은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앰프, 리모트 앰프를 의미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는 상기 단말(401 ~ 400n)과 이중화된 네트워크로 접속하며, 상기 이중화된 네트워크 트래픽 감시를 통해 사용 네트워크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전환을 제어하며, 특정 네트워크의 장애시 네트워크 전환 제어와 장애 발생 네트워크의 자동 복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중화된 네트워크는 제1 및 제2 네트워크(301)(302)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401 ~ 400n)과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는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301)(30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는 상기 이중화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기(201);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기(201)를 통해 연결되는 이중화된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트래픽 감시부(202); 상기 트래픽 감시부(202)의 트래픽 감시 결과에 따라 각 단말과 연결할 네트워크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결정부(203); 상기 네트워크 결정부(203)의 제어에 따라 이중화된 네트워크 중 사용할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네트워크 전환부(204);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기(201)를 통해 연결되는 이중화된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네트워크 결정부(203)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상태 감지부(205); 상기 네트워크 통신상태 감지부(205)에서 네트워크를 감지한 결과 임의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 발생 네트워크를 자동 리셋하여 자동 복구를 수행하는 장애 네트워크 자동 리셋부(206) 및 상기 네트워크 통신상태 감지부(205)에서 감지한 네트워크 장애 정보, 네트워크 정보 및 트래픽 감시 결과 정보를 연계된 관리자 단말로 통보해주는 네트워크 장애 통보부(20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방송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기(201)는 제1네트워크(301) 및 제2네트워크(302)와 연결되어 메인 컨트롤러(200)와 단말(401 ~ 400n) 간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해준다. 이때, 트래픽 감시부(202)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기(201)와 연결되어, 해당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실시간 감시한다. 여기서 트래픽 감시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점유된 채널 수, 해당 채널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감시된 트래픽 감시 결과 정보는 네트워크 결정부(203)에 전달되며, 네트워크 결정부(203)는 트래픽 감시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전환을 결정한다. 즉, 네트워크의 점유 채널 수,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을 고려하여 네트워크 트래픽 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기준으로 네트워크 전환을 결정한다. 예컨대, 특정 네트워크에만 트래픽이 과열되어 있으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리고, 채널을 점유하지 못한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단말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지속적인 방송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제2 종래기술은 네트워크 결정부(203)에서 감시한 트래픽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할 네트워크 또는 전환할 네트워크를 결정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결정 방식은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적절한 경우에는 현재 사용 네트워크를 그대로 사용토록 네트워크를 결정하며, 특정 네트워크가 과열된 상태이면 과열되지 않은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전환을 결정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결정에 따라 네트워크 전환부(204)는 네트워크 전환을 하게 된다. 즉, 단말과 메인 컨트롤러, 또는 단말과 단말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종래기술의 다른 특징으로서 네트워크 통신상태를 감지하여 네트워크 전환을 하며, 동시에 자동으로 장애 복구를 시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네트워크 통신상태 감지부(205)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기(201)와 연결되어,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를 감지한다. 즉, 특정 네트워크의 통신 신호를 감지하여, 통신 신호가 정상적으로 발생하는지 등을 검출하여 통신 상태를 감지한다. 이러한 통신 상태 감지 결과는 네트워크 결정부(203) 및 장애 네트워크 자동 리셋부(206)에 각각 전달된다.
상기 네트워크 결정부(203)는 통신상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통신 상태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통신상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통신 상태 신호가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감지 신호의 검출 주기가 길어지는 경우 또는 네트워크 통신상태 신호가 아주 미약한 경우에는 해당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네트워크 전환부(204)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네트워크 대신에 다른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네트워크 전환을 제어한다.
아울러 장애 네트워크 자동 리셋부(206)도 통신상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통신 상태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통신상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통신 상태 신호가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감지 신호의 검출 주기가 길어지는 경우 또는 네트워크 통신상태 신호가 아주 미약한 경우에는 해당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네트워크 장애로 판단한 경우에는 해당 네트워크 자동 리셋을 수행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자동 리셋을 수행한 후에는 다시 네트워크 통신상태 감지부(205)에서 발생한 통신상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장애가 해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네트워크 장애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해당 네트워크 자동 리셋을 수행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자동 리셋 과정은 네트워크 장애가 해소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2 종래기술은 네트워크 망 파손시에 예비 네트워크로 망 전환을 하여 방송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불량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리셋하여 장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A/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네트워크 장애시 방송이 불가능하고, 서비스 담당자가 직접 수동으로 리셋을 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장애 발생시 서비스 담당자가 수동으로 네트워크를 점검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장애 복구시까지는 방송이 중단되어, 큰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은 네트워크 자동 리셋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장애 복구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네트워크 통신상태 감지부(205)는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경우, 이를 네트워크 장애 통보부(207)에 전달한다.
상기 네트워크 장애 통보부(205)는 네트워크 장애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생성하고, 기 등록된 관리자 단말(100)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인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장애가 복구된 경우, 장애 복구 데이터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트래픽 감시 결과도 관리자 단말(100)로 전송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리자는 방송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수동 점검할 필요가 없으며,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이중화해 네트워크 망 파손시에도 지속적인 방송이 가능하며, 네트워크의 트래픽 감시를 통해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사용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이중화하고, 하나의 네트워크 망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다른 네트워크로 대체를 하여 정상적인 방송을 유지하면서, 이상이 발생한 네트워크의 자동 리셋을 통해 자동 복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어떠한 상황에서도 방송이 유지되어야 하는 비상 방송 시스템에서 중앙 제어 장비의 오류 또는 고장으로 방송이 되지 않는 상황을 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여러 대의 중앙 제어 장비를 절환 장비를 통과하여 후단에 방송 장비를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제1 종래기술은 물론, 상기 제2 종래기술 역시, 절환 장비 자체의 고장에 대한 대책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또한, 다수의 제어 장비간에 제어 정보의 공유 방법이 없어 중앙 장비의 절환시 기존의 방송 제어 정보가 손실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99084호 (공개일: 2015년 8월 3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절환 장치를 포함한 제어 장비의 상태를 점검하여 최대한 방송을 유지하는 절환 장비 기술의 확보가 목적이다.
아울러, 이를 위해 절환 장비와 제어 장비 모두에 장비 오류 기술을 포함하며, 방송 상태를 공유하며, 방송 신호를 절환하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중앙 제어 장비와 후단의 방송 장비의 오디오 신호, 통신 제어 신호, 제어 상태 데이터, 전원 공급의 절환 연결을 그 기술적인 기반으로 한다.
세부적으로, 절환 장비는 중앙 장비와 통신을 통해 상호 상태를 점검하여 주 제어 장비와 다수의 부 제어 장비를 자동으로 신호 선로를 절환함이 특징이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절환 장비 자체의 고장을 점검하는 기능이 있어, 절환 장비 자체의 고장에 대처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절환이 발생하면 동작 중이던 제어 장비의 제어 정보를 부 제어 장비로 동기화한다.
필요한 제어 장비들의 입력 전원만 인가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거나 일부 장비의 전원만 인가하여 실시간 제어 신호 동기화를 가능하게 함이 특징이다.
즉,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로서, 일반 상태에서 방송을 제어하는 주 제어 장비(Prime Controller)(100); 상기 주 제어 장비의 고장 시 대처하여 방송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Spare Controller)(200, 300);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음원 장비(Audio Device)(400);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송 장비(500); 상기 주 제어 장비 및 상기 보조 제어 장비와 상기 오디오 음원 장비 및 상기 방송 장비를 연결해 주는 절환기(Exchanger)(600); 를 포함하며, 상기 주 제어 장비(100)는, 제어를 담당하는 MPU(110), 상기 MPU(110)의 정상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Watchdog)(130) 및 외부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Communication agent)(140)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각각의 보조 제어 장비(200)는, 제어를 담당하는 MPU(210), 상기 MPU(210)의 정상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Watchdog)(230) 및 외부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Communication agent)(240)를 포함하며, 정상적인 일반 상태에서는 주 제어 장비(100)가, 절환기(600)를 통해 오디오 음원 장비(400)로부터 음원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와, 방송 장비(500)로부터 방송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 데이터를 받아들여, 이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개의 앰프와 같은 단말로 방송을 출력 제어하게 되나, 주 제어 장비(100)가 그러한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어느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가 상기 주 제어 장비(100)의 제어를 대신 행하게 되도록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제어 장비(100)는,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DB(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각각의 보조 제어 장비(200)는,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DB(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환기(600)는, 후단 오디오 신호와 제어 장비의 오디오 입출력부를 연결하거나 통신 신호선을 연결하거나 방송 상태 정보(Status data)를 교환하거나 감시기의 정보를 교환하는 경로 변환기(Route Exchanger)(650), 각 제어 장비의 전원 유입을 제어하는 전원 분배기(Power Distributor)(660),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640), 절환기를 제어하는 MPU(610), 절환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630) 및 제어 정보 공유를 위한 DB(6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는, 제1 보조 제어 장비(200) 및 제2 보조 제어 장비(300)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보조 제어 장비이며, 상기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와 상기 제2 보조 제어 장비(300) 간에는 우선 순위가 정해져 있어, 제1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200)가 주 제어 장비(100)를 대신하며, 주 제어 장비(100) 및 제1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200)가 모두 불능일 경우에, 다음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300)가 이들을 대신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제어 장비(100) 및 보조 제어 장비(200, 300)는, 절환기(600)와, 오디오 신호, 제어 데이터, 감시 정보 및 상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절환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각 제어 장비(100, 200, 300)와 오디오 음원 장비(400) 간의 오디오 신호를 절환하여 주고, 각 제어 장비(100, 200, 300)와 방송 장비(500) 간의 제어 데이터를 절환하여 주며, 오디오 신호, 제어 데이터, 감시 정보 및 상태 데이터의 일련의 신호 세트를 스위칭함으로써, 각 제어 장비(100, 200, 300)의 어느 일측 제어 장비의 포트와 연결되도록 스위칭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환기(600)는,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경우, 주 제어 장비(100)를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에 직결시키는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절환 및 바이패스 기능을 위해서, 제어 장비(100, 200, 300) 및 절환기(600)의 기능이 정상적인지를 감시하는 감시기(130, 230, 630)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제어 장비(100) 및 보조 제어 장비(200, 300)는, 상기 절환기(600)와, 오디오 신호, 제어 데이터, 감시 정보 및 상태 데이터의 일련의 신호 세트를 주고 받으며, 상기 절환기(600)는, 상기 오디오 음원 장비(40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방송 장비(500)로부터의 제어 데이터를 스위칭하여 각 제어 장비(100, 200, 300) 중의 어느 하나의 제어 장비로 연결하여 주는 경로 변환기(650)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변환기(650)는,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제어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입력단의 바이패스용의 제1 릴레이(651)와, 출력단의 바이패스용의 제2 릴레이(654)와, 상기 제1 릴레이(651) 및 제2 릴레이(654) 사이의 주 제어 장비용 버퍼(652), 보조 제어 장비용 버퍼(653) 및 경로 변환기의 버퍼(6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제어 장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에서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각종 상태 데이터는 현재 실행 중인 상태 데이터와 동기화되도록하며, 이를 위해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각종 상태 데이터가 절환기(600)의 DB(620)에 임시 저장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방법은, 상기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절환 방법으로서, '제어 전원(Control Power)이 온(on)?'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 상기 S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어 전원이 온'이 아니면 바이패스용의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가 턴오프되도록 하여(S18),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의 입력 신호를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절환기(600)를 거치치 않고 직접 제어 장비로 직결되도록 하는 단계(S19); 상기 S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어 전원이 온'이면, 바이패스용의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가 턴온되도록 하여, 주 제어 장비의 정상 상태 여부에 따라, 주 제어 장비(100)와 보조 제어 장비(200) 간의 절환, 혹은 제1 제어 장비의 정상 상태 여부에 따라,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와 제2 보조 제어 장비(300) 간의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S13); 상기 S13 단계 이후, 절환기의 감시기(630)를 통해 절환기의 MPU(610)의 정상 상태 여부를 계속 감시하는 단계(S15); 및 상기 S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절환기의 MPU가 정상 상태이면 반복해서 수행하고,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환기(600) 스스로 전원 해제를 행하고 상기 S18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S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방법은, 상기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절환 방법으로서, (c) 상기 주 제어 장비(100)의 감시기(130)의 감시 신호(WSp)를 검사하여(S24), 주 제어 장비의 감시기(130)의 감시 신호(WSp)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주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p)가 정상이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를 주 제어 장비(100)에 연결하는 단계(S27); (e)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주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p)가 정상이 아니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를 정상인 보조 제어 장비들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보조 제어 장비에 연결시키는 단계(S31); (f)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230)의 감시 신호(WSi)를 검사하여(S36),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230)의 감시 신호(WSi)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7); 및 (g) 상기 (f)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i)가 정상이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를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200)에 연결한 상태에서 프로세스를 종료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S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h) 상기 (f)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i)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로의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h) 단계는, (h1)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로의 절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현재 N번째 보조 제어 장비가 최하위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인지 여부(N=No)를 판단하는 단계(S38)와, (h2) 상기 (h1)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가 정상이 아니면서 최하위 보조 제어 장비이면, 프로세스를 종료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주 제어 장비로의 절환을 검토하게 되는 단계와, (h3) 상기 (h1)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가 정상이 아니면서 최하위 보조 제어 장비가 아닌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를 선택하면서(S39), 상기 (e)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 이전에, (a) '제어 전원(Control Power)이 온(on)?'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 및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제어 전원이 온'이면, 바이패스용의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가 턴온되도록 하는 단계(S2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d')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주 제어 장비의 전원을 인가하고(S29),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를 주 제어 장비(100)에 연결한 상태에서 프로세스를 종료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e) 단계 이후에,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이전 제어 장비의 전원을 해제하고(S32), 기 설정된 전원 선택 모드에 따라서(S33), 연결된 보조 제어 장비(200)의 전원을 인가하고 다른 보조 제어 장비들의 전원 인가/해제를 행하는 단계(S3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방법은, 상기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절환 방법으로서, (A) 주 제어 장비(100)의 감시기(130)를 감시하여, 주 제어 장비(100)가 정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주 제어 장비(100)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 제어 장비 동기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S53); (D)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주 제어 장비(100)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제어 장비 동기 모드를 실행하게 되는 단계(S63); 및 (E) 주 제어 장비의 DB(120)와 절환기 DB(620)의 연결을 해제하고, 현재 동작 중인 보조 제어 장비의 활성화된 DB와 절환기 DB(620)를 동기화하는 단계(S6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C) 상기 (B) 단계 이후, 주 제어 장비의 DB(120)와 절환기의 DB(620)를 동기화하며, 보조 제어 장비(200)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는 전원 상태이면 보조 제어 장비의 DB(220)와도 동기화시키는 단계(S57); 및 (F) 상기 (E) 단계 이후에, 다른 보조 제어 장비(300)의 DB(320)와 동기화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65), 동기화해도 된다면, 다른 보조 제어 장비의 DB(320)와 동기화를 행하게 되는 단계(S6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절환 장치를 포함한 제어 장비의 상태를 점검하여 최대한 방송을 유지하는 절환 장비 기술의 확보가 가능하며, 절환 장비와 제어 장비 모두에 장비 오류 기술을 포함하며 방송 상태를 공유하므로, 복귀시에도 바로 복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에 따른 트리 구조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제2 종래기술에 따른 트리 구조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제2 종래기술에 따른 트리 구조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주 제어 장비와 후단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두 가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바, 도 5는 절환기가 정상 상태에서 주 제어 장비와 보조 제어 장비를 절환하는 방식을 나타내며, 도 6은 절환기가 고장 상태에서 바이패스로 주 제어 장비와 연결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절환기가 바이패스 연결을 결정하는 방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절환기가 고장 판단을 하고 절환하는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어 신호가 DB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을,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주 제어 장비와 후단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두 가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바, 도 5는 절환기가 정상 상태에서 주 제어 장비와 보조 제어 장비를 절환하는 방식을 나타내며, 도 6은 절환기가 고장 상태에서 바이패스로 주 제어 장비와 연결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절환기가 바이패스 연결을 결정하는 방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절환기가 고장 판단을 하고 절환하는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어 신호가 DB를 동기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다중 절환 장치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는, 일반 상태에서 방송을 제어하는 주 제어 장비(Prime Controller)(100), 주 제어 장비의 고장 시 대처하여 방송을 제어하는 N개 (1개 이상의) 보조 제어 장비 (Spare Controller)(200, 300), 오디오 음원 장비(Audio Device)(400), 방송 장비(500), 제어 장비와 오디오 음원 장비 및 방송 장비를 연결해 주는 절환기(Exchanger)(600)로 구성된다.
주 제어 장비(100)는, 제어를 담당하는 MPU(110),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DB(120), MPU의 정상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Watchdog)(130), 외부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Communication agent)(140), 기타 오디오 입출력부(150)와 전원 유입부(160)로 구성된다.
각각의 보조 제어 장비(200) 역시, 주 제어 장비(100)와 유사하게, 제어를 담당하는 MPU(210),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DB(220), MPU의 정상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Watchdog)(230), 외부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Communication agent)(240), 기타 오디오 입출력부(250)와 전원 유입부(260)로 구성된다.
절환기(600)는, 후단 오디오 신호와 제어 장비의 오디오 입출력부를 연결하거나 통신 신호선을 연결하거나 방송 상태 정보(Status data)를 교환하거나 감시기의 정보를 교환하는 경로 변환기(Route Exchanger)(650), 각 제어 장비의 전원 유입을 제어하는 전원 분배기(Power Distributor)(660),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640), 절환기를 제어하는 MPU(610), 절환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630), 제어 정보 공유를 위한 DB(620)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정상적인 일반 상태에서는 주 제어 장비(100)가, 절환기(600)를 통해 오디오 음원 장비(400)로부터 음원(오디오 신호)과, 방송 장비(500)로부터 방송 제어 신호(제어 데이터)를 받아들여,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개의 앰프와 같은 단말로 방송을 출력 제어하게 되나, 어떤 이유로 주 제어 장비(100)가 그러한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어느 보조 제어 장비가 상기 주 제어 장비(100)의 제어를 대신 행하게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는, 제1 보조 제어 장비(200) 혹은 제2 보조 제어 장비(300)의 두 개 이상의 보조 제어 장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제1 보조 제어 장비(200) 혹은 제2 보조 제어 장비(300) 간에는 우선 순위가 정해져 있어, 제1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200)가 주 제어 장비(100)를 대신하며, 주 제어 장비(100) 및 제1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200)가 모두 불능일 경우에, 다음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300)가 이들을 대신하여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 제어 장비(100) 및 보조 제어 장비(200, 300)는, 절환기(600)와, 오디오 신호 및 제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뿐 아니라, 감시 정보, 상태 데이터 등을 주고 받으며, 절환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바, 특히,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각 제어 장비(100, 200, 300)와 오디오 음원 장비(400) 간의 오디오 신호를 절환하여 주고, 각 제어 장비(100, 200, 300)와 방송 장비(500) 간의 제어 데이터를 절환하여 준다.
즉,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신호, 제어 데이터, 감시 정보, 상태 데이터 등의 일련의 신호 세트를 스위칭함으로써, 각 제어 장비(100, 200, 300)의 어느 일측 제어 장비의 포트와 연결되도록 스위칭되어진다.
아울러, 이 경우, 파워 절환도 같이 이루어져야 하는바, 이전 제어 장비(일례로 100)와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일례로 200)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절환기(600)는, 경로 변환기(650)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경우, 주 제어 장비(100)를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에 직결시키는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이상의 절환 및 바이패스 기능을 위해서는, 제어 장비(100, 200, 300) 및 절환기(600)의 기능이 정상적인지를 감시하여야 하는바, 이를 위해 상기 제어 장비(100, 200) 및 절환기(600)는 각각, 감시기(130, 230, 630)를 구비함으로써, 정상 동작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일례로 100)의 각종 상태 데이터는 현재 실행 중인 상태 데이터와 동기화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일례로 100)의 각종 상태 데이터가 절환기(600)의 DB(620)에 임시 저장되어 진다. 이렇게 하는 동기화하는 이유는, 갑자기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일례로 100)가 동작 불능이 될 경우, 다른 제어 장비(일례로 제1 보조 제어 장비(200))로 절환되면서,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일례로 100)의 각종 상태 데이터가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에 그대로 기록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방송에 있어서의 단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중 절환 방법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 제어 장비와 후단 장비와 연결을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더욱 안정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세부적으로 주 제어 장비와 보조 제어 장비 간의, 혹은 보조 제어 장비들 간의 절환은, 절환기(600)가 정상 상태에서, 주 제어 장비와 보조 제어 장비를 절환하는 것으로, 도 5에서 보듯이, 제어 전원(Control Power)이 '온(on)'인 상태에서, 입력단의 제1 릴레이(651) 및 출력단의 제2 릴레이(654)의 가동단자가 모두 제1 고정단자(도 5에서의 하측 단자)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로서, 특히, 경로 제어신호(Route control)가 '0'이면, 경로 변환기의 버퍼(655) 출력값이 '1'이 되어, 주 제어 장비용 버퍼(652)가 동작함으로써, 입력 신호(Signal in)가 "제1 릴레이(651)-주 제어 장비용 버퍼(652)-제2 릴레이(654)"를 통해 출력 신호(Signal out)로 출력되어 진다.
반면, 제어 전원(Control Power)이 '온(on)'인 상태에서, 특히, 경로 제어신호(Route control)가 '1'이면, 경로 변환기의 버퍼(655) 출력값이 '0'이 되어, 이번에는 보조 제어 장비용 버퍼(653)가 동작함으로써, 입력 신호(Signal in)가 "제1 릴레이(651)-보조 제어 장비용 버퍼(653)-제2 릴레이(654)"를 통해 출력 신호(Signal out)로 출력되어 진다.
즉, 주 제어 장비와 보조 제어 장비 간의, 혹은 보조 제어 장비들 간의 절환은, 절환기(600)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주 제어 장비용 버퍼(652) 및 보조 제어 장비용 버퍼(653)의 어느 하나만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제1 위치로 사용함으로써, 수행되어 진다.
반면, 만약 절환기(600)가 고장으로 판명되면, 본 발명에서는 절환기(600)의 전원을 차단하여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주 제어 장비를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와 직접 연결시키게 된다 (도 6 참조).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 전원(Control Power)이 '오프(off)'인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릴레이(651) 및 상기 제2 릴레이(654)의 가동단자가 모두 제2 고정단자(도 6에서의 상측 단자)에 접속되어 지므로, 입력 신호(Signal in)가 절환기(600)의 버퍼(652, 653)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제1 릴레이(651)" 및 "제2 릴레이(654)"를 통해 출력 신호(Signal out)로 출력되어 진다.
정리하자면, 절환기의 제어 전원 유입에 따라 입출력 단에 연결된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가 동작하여 바이패스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절환기의 바이패스 결정에 대한 흐름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어 전원(Control Power)이 온(on)?'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1), '제어 전원이 온'이 아니면 바이패스용의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가 도 6에서와 같이 턴오프되도록 하여(S18),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의 입력 신호를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절환기(600)를 거치치 않고 직접 주 제어 장비(100)로 직결되도록 한다. 즉, 바이패스의 경우에는, 절환으로 인한 혼란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주 제어 장비(100)만이 작동되도록 한다(S19).
반면, '제어 전원이 온'이면, 바이패스용의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가 턴온되도록 하고(S13), 이 경우에는 주 제어 장비의 정상 상태 여부에 따라, 주 제어 장비(100)와 보조 제어 장비(200) 간의 절환, 혹은 제1 제어 장비의 정상 상태 여부에 따라,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와 제2 보조 제어 장비(300) 간의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절환기의 감시기(630)를 통해 절환기의 MPU(610)의 정상 상태 여부를 계속 감시하며(S15), 상기 절환기의 MPU가 정상 상태이면 반복해서 수행하고,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환기(600) 스스로 전원 해제(power off)를 행하고(S17), 바이패스용 제1 및 제2 릴레이(651,654)를 오프시켜(S18), 역시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의 입력 신호가 절환기(600)를 거치치 않고 직접 주 제어 장비(100)로 직결되도록 한다(S19).
고장 판단 및 장비 절체 방법
이제,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핵심이 되는 고장 판단 및 제어 장비 전환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각 장비의 고장은, 제어 장비 내부의 감시기(Watchdog)의 신호 송수신으로 판단한다.
각 제어 장비들은, 각자의 감시기 신호를 절환기로 전송하여, 장비의 고장 여부 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도록 하는바, 먼저, 주 제어 장비의 감시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주 제어 장비의 전원을 차단하고, 순차적으로 보조 제어 장비의 전원을 유입하여 감시기의 신호을 수신하며. 또다시 보조 제어 장비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다른 보조 제어 장비를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환기(600)는, 스스로의 감시기(630) 고장이 판단되면, 감시기가 절환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자동으로 바이패스 상태로 절환기를 조정한다. 이때 주 제어 장비로 전원을 유입하여 주 제어 장비를 동작하도록 유도한다.(도 7 참조)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제어 전원(Control Power)이 온(on)?'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21), '제어 전원이 온'이면, 바이패스용의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가 턴온되도록 하고(S23), 제어 장비 들의 정상 상태 여부에 따라, 제어 장비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우선, 주 제어 장비(100)의 감시기(130)의 감시 신호를 검사하여(S24), 주 제어 장비의 감시기(130)의 감시 신호(WSp)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바(S25), 주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p)가 정상이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등을 주 제어 장비(100)에 연결하고(S27), 주 제어 장비의 전원을 인가하며(S29), 프로세스를 종료함으로써(S40),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한다.
한편, 주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p)가 정상이 아니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등을,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보조 제어 장비(일례로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에 연결시키고(S31),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이전 제어 장비(일례로 주 제어 장비)의 전원을 해제한다(S32).
아울러, 기 설정된 전원 선택 모드에 따라서(S33), 연결된 제어 장비(200)의 전원을 인가하고(power on)(S34), 역시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200)의 감시기(230)의 감시 신호를 검사하여(S36), 역시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230)의 감시 신호(WS1)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바(S37),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1)가 정상이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등을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200)에 연결한 상태에서 프로세스를 종료함으로써(S40),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한다.
반면,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230)의 감시 신호(WS1)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37),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1)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와 제2 보조 제어 장비(300) 간의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먼저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로의 절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바, 즉, 현재 N번째 보조 제어 장비가 최하위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인지 여부(N=No)를 판단하게 되며(S38),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가 정상이 아니면서 최하위 보조 제어 장비이면, 프로세스를 종료하여(S40),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주 제어 장비로의 절환을 검토하게 된다.
한편, 상기 S3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300)를 선택하게 되는바(S39), 역시 S31 단계로 리턴하여,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등을, N번째 보조 제어 장비(300)(일례로 제2 보조 제어 장비(300))에 연결시키고(S31),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이전 제어 장비(일례로 제1 보조 제어 장비)의 전원을 해제한다(S32).
아울러, 역시 기 설정된 전원 선택 모드에 따라서(S33), 연결된 제어 장비(200)의 전원을 인가하고 다른 보조 제어 장비들의 전원 인가/해제를 행하는 단계(S34), 역시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200)의 감시기(230)의 감시 신호를 검사하여(S36), 역시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230)의 감시 신호(WS1)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바(S37),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1)가 정상이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등을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200)에 연결한 상태에서 종료함으로써(S40),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330)의 감시 신호(WS2)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37),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2)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로의 절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바, 즉, 현재 N번째 보조 제어 장비가 최하위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인지 여부(N=No)를 판단하게 되며(S38),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로의 절환이 가능하지 않으면, 프로세스를 종료하여(S40),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주 제어 장비로의 절환을 검토하게 되고, 가능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를 선택하게 된다(S39).
결국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로의 절환을 위해 상기 S31 내지 S39 단계의 루프를 반복하게 된다.
전원 유입 제어 및 동기화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전원 선택 방법(Power select mode)(도 8의 S34)을 두고 있는바, 일례로 주 제어 장비가 동작 중인 정상 상태에서는 보조 제어 장비에 유입되는 전력을 모두 차단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혹은 지속적으로 몇 개의 보조 제어 장비를 대상으로 전원을 유입하면서 실시간으로 제어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원 선택 방법(Power select mode) 중에서 후자의 경우에, 실시간으로 제어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 제어 장비(100)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주 제어 장비의 DB(120)와 절환기(600)의 DB(620)가 동기화된다.
한편, 보조 제어 장비(200 또는 300)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는 전원 상태이면, 절환기(600)의 DB(620)와 보조 제어 장비(200 또는 300)의 DB(220 또는 320)가 동기화된다.
예를들어,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에 제어 권한이 있는 경우, 주 제어 장비(100)의 DB(120)와 절환기(600)의 DB(620)의 연결을 해제하고, 현재 동작 중인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의 DB(220)가 주 제어 장비의 역할을 대신하며, 절환기의 DB(620)와 동기되는바, 바람직하게는,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의 고장에 대비하여, 동시에 다른 제2 보조 제어 장비(300)와도 동기화되는 것이 좋다.
이를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주 제어 장비(100)의 감시기(130)를 감시하여, 주 제어 장비(100)가 정상인가(활성화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바(S51), 주 제어 장비(100)가 정상(활성화)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 제어 장비 동기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바(S53), 주 제어 장비의 DB(120)와 절환기 DB(620)를 동기화하며, 보조 제어 장비(200)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는 전원 상태이면 보조 제어 장비의 DB(220)와도 동기화시킨다(S57). 이후, 프로세스를 종료하여(S70),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S51 단계의 판단 결과, 주 제어 장비(100)가 정상(활성화)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제어 장비 동기 모드를 실행하게 되는바(S63), 주 제어 장비의 DB(120)와 절환기 DB(620)의 연결을 해제하고, 현재 동작 중인 보조 제어 장비의 활성화된 DB(일례로 220)와 절환기 DB(620)를 동기화하며(S66), 다른 보조 제어 장비(300)의 DB(320)와 동기화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65), 동기화 해도 된다면, 다른 보조 제어 장비의 DB(320)와 동기화를 행하게 된다(S67).
삭제
이때, 상기 S65 단계의 판단이 필요한 이유는, 기존의 어느 보조 제어 장비에서 합선이나 기타 이유로 계속해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보조 제어 장비와 동기화를 행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보조 제어 장비와의 동기화는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행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종래기술)
100: 관리자 단말 200: 메인 컨트롤러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기 202: 트래픽 감시부
203: 네트워크 결정부 204: 네트워크 전환부
205: 네트워크 통신상태 감지부 206: 장애 네트워크 자동 리셋부
207: 네트워크 장애 통보부 301: 제1 네트워크
302: 제2 네트워크
(본 발명)
100: 주 제어 장비 200: 제1 보조 제어 장비
300: 제2 보조 제어 장비 400: 오디오 음원 장비
500: 방송 장비 600: 절환기
110,210,610: MPU 120,220,620: DB
130,230,630: 감시기 140,240,640: 통신부
150,250: 오디오 입출력부 650: 경로 변환기
160,260: 전원 유입부 660: 전원 분배기

Claims (16)

  1.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로서,
    일반 상태에서 방송을 제어하는 주 제어 장비(Prime Controller)(100);
    상기 주 제어 장비의 고장 시 대처하여 방송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Spare Controller)(200, 300);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음원 장비(Audio Device)(400);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송 장비(500);
    상기 주 제어 장비 및 상기 보조 제어 장비와 상기 오디오 음원 장비 및 상기 방송 장비를 연결해 주는 절환기(Exchanger)(600);
    를 포함하며,
    상기 주 제어 장비(100)는, 제어를 담당하는 MPU(110), 상기 MPU(110)의 정상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Watchdog)(130) 및 외부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Communication agent)(140)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각각의 보조 제어 장비(200)는, 제어를 담당하는 MPU(210), 상기 MPU(210)의 정상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Watchdog)(230) 및 외부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Communication agent)(240)를 포함하며,
    정상적인 일반 상태에서는 주 제어 장비(100)가, 절환기(600)를 통해 오디오 음원 장비(400)로부터 음원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와, 방송 장비(500)로부터 방송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 데이터를 받아들여, 이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개의 앰프와 같은 단말로 방송을 출력 제어하게 되나, 주 제어 장비(100)가 그러한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어느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가 상기 주 제어 장비(100)의 제어를 대신 행하게 되도록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2.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로서,
    일반 상태에서 방송을 제어하는 주 제어 장비(Prime Controller)(100);
    상기 주 제어 장비의 고장 시 대처하여 방송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Spare Controller)(200, 300);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음원 장비(Audio Device)(400);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송 장비(500);
    상기 주 제어 장비 및 상기 보조 제어 장비와 상기 오디오 음원 장비 및 상기 방송 장비를 연결해 주는 절환기(Exchanger)(600);
    를 포함하며,
    상기 절환기(600)는, 후단 오디오 신호와 제어 장비의 오디오 입출력부를 연결하거나 통신 신호선을 연결하거나 방송 상태 정보(Status data)를 교환하거나 감시기의 정보를 교환하는 경로 변환기(Route Exchanger)(650), 각 제어 장비의 전원 유입을 제어하는 전원 분배기(Power Distributor)(660),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640), 절환기를 제어하는 MPU(610), 절환기의 동작을 감시하는 감시기(630) 및 제어 정보 공유를 위한 DB(620)로 구성되며,
    정상적인 일반 상태에서는 주 제어 장비(100)가, 절환기(600)를 통해 오디오 음원 장비(400)로부터 음원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와, 방송 장비(500)로부터 방송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 데이터를 받아들여, 이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개의 앰프와 같은 단말로 방송을 출력 제어하게 되나, 주 제어 장비(100)가 그러한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어느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가 상기 주 제어 장비(100)의 제어를 대신 행하게 되도록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장비(100)는,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DB(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각각의 보조 제어 장비(200)는,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DB(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는, 제1 보조 제어 장비(200) 및 제2 보조 제어 장비(300)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보조 제어 장비이며,
    상기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와 상기 제2 보조 제어 장비(300) 간에는 우선 순위가 정해져 있어, 제1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200)가 주 제어 장비(100)를 대신하며, 주 제어 장비(100) 및 제1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200)가 모두 불능일 경우에, 다음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300)가 이들을 대신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장비(100) 및 보조 제어 장비(200, 300)는, 절환기(600)와, 오디오 신호, 제어 데이터, 감시 정보 및 상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절환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각 제어 장비(100, 200, 300)와 오디오 음원 장비(400) 간의 오디오 신호를 절환하여 주고, 각 제어 장비(100, 200, 300)와 방송 장비(500) 간의 제어 데이터를 절환하여 주며, 오디오 신호, 제어 데이터, 감시 정보 및 상태 데이터의 일련의 신호 세트를 스위칭함으로써, 각 제어 장비(100, 200, 300)의 어느 일측 제어 장비의 포트와 연결되도록 스위칭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6.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로서,
    일반 상태에서 방송을 제어하는 주 제어 장비(Prime Controller)(100);
    상기 주 제어 장비의 고장 시 대처하여 방송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Spare Controller)(200, 300);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음원 장비(Audio Device)(400);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송 장비(500);
    상기 주 제어 장비 및 상기 보조 제어 장비와 상기 오디오 음원 장비 및 상기 방송 장비를 연결해 주는 절환기(Exchanger)(600);
    를 포함하며,
    상기 절환기(600)는,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경우, 주 제어 장비(100)를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에 직결시키는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절환 및 바이패스 기능을 위해서, 제어 장비(100, 200, 300) 및 절환기(600)의 기능이 정상적인지를 감시하는 감시기(130, 230, 630)를 각각 구비하되며,
    정상적인 일반 상태에서는 주 제어 장비(100)가, 절환기(600)를 통해 오디오 음원 장비(400)로부터 음원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와, 방송 장비(500)로부터 방송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 데이터를 받아들여, 이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개의 앰프와 같은 단말로 방송을 출력 제어하게 되나, 주 제어 장비(100)가 그러한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어느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가 상기 주 제어 장비(100)의 제어를 대신 행하게 되도록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장비(100) 및 보조 제어 장비(200, 300)는, 상기 절환기(600)와, 오디오 신호, 제어 데이터, 감시 정보 및 상태 데이터의 일련의 신호 세트를 주고 받으며,
    상기 절환기(600)는, 상기 오디오 음원 장비(40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및 상기 방송 장비(500)로부터의 제어 데이터를 스위칭하여 각 제어 장비(100, 200, 300) 중의 어느 하나의 제어 장비로 연결하여 주는 경로 변환기(650)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 변환기(650)는,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제어 데이터를 스위칭하는 입력단의 바이패스용의 제1 릴레이(651)와, 출력단의 바이패스용의 제2 릴레이(654)와, 상기 제1 릴레이(651) 및 제2 릴레이(654) 사이의 주 제어 장비용 버퍼(652), 보조 제어 장비용 버퍼(653) 및 경로 변환기의 버퍼(6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8.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로서,
    일반 상태에서 방송을 제어하는 주 제어 장비(Prime Controller)(100);
    상기 주 제어 장비의 고장 시 대처하여 방송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Spare Controller)(200, 300);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음원 장비(Audio Device)(400);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송 장비(500);
    상기 주 제어 장비 및 상기 보조 제어 장비와 상기 오디오 음원 장비 및 상기 방송 장비를 연결해 주는 절환기(Exchanger)(600);
    를 포함하며,
    상기 주 제어 장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에서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각종 상태 데이터는 현재 실행 중인 상태 데이터와 동기화되도록하며, 이를 위해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각종 상태 데이터가 절환기(600)의 DB(620)에 임시 저장되어지되며,
    정상적인 일반 상태에서는 주 제어 장비(100)가, 절환기(600)를 통해 오디오 음원 장비(400)로부터 음원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와, 방송 장비(500)로부터 방송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제어 데이터를 받아들여, 이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개의 앰프와 같은 단말로 방송을 출력 제어하게 되나, 주 제어 장비(100)가 그러한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 중의 어느 하나의 보조 제어 장비가 상기 주 제어 장비(100)의 제어를 대신 행하게 되도록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9. 제 7 항의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절환 방법으로서,
    '제어 전원(Control Power)이 온(on)?'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
    상기 S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어 전원이 온'이 아니면 바이패스용의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가 턴오프되도록 하여(S18),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의 입력 신호를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절환기(600)를 거치치 않고 직접 제어 장비로 직결되도록 하는 단계(S19);
    상기 S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제어 전원이 온'이면, 바이패스용의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가 턴온되도록 하여, 주 제어 장비의 정상 상태 여부에 따라, 주 제어 장비(100)와 보조 제어 장비(200) 간의 절환, 혹은 제1 제어 장비의 정상 상태 여부에 따라, 제1 보조 제어 장비(200)와 제2 보조 제어 장비(300) 간의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S13);
    상기 S13 단계 이후, 절환기의 감시기(630)를 통해 절환기의 MPU(610)의 정상 상태 여부를 계속 감시하는 단계(S15); 및
    상기 S11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절환기의 MPU가 정상 상태이면 반복해서 수행하고,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전환기(600) 스스로 전원 해제를 행하고 상기 S18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S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의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절환 방법으로서,
    (c) 상기 주 제어 장비(100)의 감시기(130)의 감시 신호(WSp)를 검사하여(S24), 주 제어 장비의 감시기(130)의 감시 신호(WSp)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주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p)가 정상이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를 주 제어 장비(100)에 연결하는 단계(S27);
    (e)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주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p)가 정상이 아니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를 정상인 보조 제어 장비들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보조 제어 장비에 연결시키는 단계(S31);
    (f)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230)의 감시 신호(WSi)를 검사하여(S36),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230)의 감시 신호(WSi)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7); 및
    (g) 상기 (f)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i)가 정상이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를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200)에 연결한 상태에서 프로세스를 종료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S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h) 상기 (f)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의 감시기의 감시 신호(WSi)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로의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는,
    (h1)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로의 절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현재 N번째 보조 제어 장비가 최하위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인지 여부(N=No)를 판단하는 단계(S38)와,
    (h2) 상기 (h1)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가 정상이 아니면서 최하위 보조 제어 장비이면, 프로세스를 종료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함으로써 주 제어 장비로의 절환을 검토하게 되는 단계와,
    (h3) 상기 (h1) 단계의 판단 결과, 현재 동작 중인 제어 장비가 정상이 아니면서 최하위 보조 제어 장비가 아닌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의 보조 제어 장비를 선택하면서(S39), 상기 (e) 단계로 리턴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a) '제어 전원(Control Power)이 온(on)?'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 및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제어 전원이 온'이면, 바이패스용의 제1 및 제2 릴레이(651, 654)가 턴온되도록 하는 단계(S2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d')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주 제어 장비의 전원을 인가하고(S29), 절환기(600)의 경로 변환기(650)는 오디오 음원 장비(400) 및 방송 장비(500)를 주 제어 장비(100)에 연결한 상태에서 프로세스를 종료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e) 단계 이후에, 충돌을 피하기 위해 이전 제어 장비의 전원을 해제하고(S32), 기 설정된 전원 선택 모드에 따라서(S33), 연결된 보조 제어 장비(200)의 전원을 인가하여 장비들의 전원을 인가/해제하는 단계(S3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8 항의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절환 방법으로서,
    (A) 주 제어 장비(100)의 감시기(130)를 감시하여, 주 제어 장비(100)가 정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주 제어 장비(100)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주 제어 장비 동기 모드를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S53);
    (D)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주 제어 장비(100)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보조 제어 장비 동기 모드를 실행하게 되는 단계(S63); 및
    (E) 주 제어 장비의 DB(120)와 절환기 DB(620)의 연결을 해제하고, 현재 동작 중인 보조 제어 장비의 활성화된 DB와 절환기 DB(620)를 동기화하는 단계(S6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 이후, 주 제어 장비의 DB(120)와 절환기의 DB(620)를 동기화하며, 보조 제어 장비(200)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는 전원 상태이면 보조 제어 장비의 DB(220)와도 동기화시키는 단계(S57); 및
    (F) 상기 (E) 단계 이후에, 다른 보조 제어 장비(300)의 DB(320)와 동기화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65), 동기화해도 된다면, 다른 보조 제어 장비의 DB(320)와 동기화를 행하게 되는 단계(S6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048598A 2017-04-14 2017-04-14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 KR101812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98A KR101812700B1 (ko) 2017-04-14 2017-04-14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98A KR101812700B1 (ko) 2017-04-14 2017-04-14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700B1 true KR101812700B1 (ko) 2017-12-27

Family

ID=6093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598A KR101812700B1 (ko) 2017-04-14 2017-04-14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7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64B1 (ko) 2018-12-26 2019-02-12 주식회사 젠프로 실시간 pc 자가 진단을 이용한 방송의 상태 및 고장 유무의 판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20200074567A (ko) * 2018-12-17 2020-06-25 가락전자 주식회사 방송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2230799B1 (ko) * 2020-07-28 2021-03-22 주식회사 인터엠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 접점 라인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정보를 구성하는 기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730B1 (ko) * 2012-07-30 2013-03-26 최대종 절체기능을 갖는 복수의 앰프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730B1 (ko) * 2012-07-30 2013-03-26 최대종 절체기능을 갖는 복수의 앰프를 이용한 방송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567A (ko) * 2018-12-17 2020-06-25 가락전자 주식회사 방송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2146729B1 (ko) * 2018-12-17 2020-08-24 가락전자 주식회사 방송 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946964B1 (ko) 2018-12-26 2019-02-12 주식회사 젠프로 실시간 pc 자가 진단을 이용한 방송의 상태 및 고장 유무의 판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KR102230799B1 (ko) * 2020-07-28 2021-03-22 주식회사 인터엠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 접점 라인을 통한 통신을 위해 정보를 구성하는 기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700B1 (ko) 자체 고장 진단 기능이 있는 음향 장비용 다중 절환 장치 및 방법
WO2018233645A1 (zh) 基于CANopen协议的列车网络数据传输方法、系统及其装置
EP0806750A1 (en) Audio communication system for a life safety network
JP4282613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US20030023892A1 (en) Peer-to-peer redundancy control scheme with override feature
US11646909B2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in a redundantly operab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coupling communication device
KR101567802B1 (ko)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방송시스템
CN112698991B (zh) 基于1比1心跳的双机热备系统和方法
JP2008177710A (ja) メディアサービスシステム、メディアサービス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lan冗長化方法
JP6080199B2 (ja) 信号処理装置、受信信号処理システム及び受信信号処理方法
JP3465663B2 (ja) デジタル無線通信監視方式
KR100925967B1 (ko) 재난 방송용 복합 교환기 및 그 구동 방법
CN113630410B (zh) 一种网络三角形双备份会议系统
JPS63316541A (ja) リング網での障害箇所の検出方法
JP2012129864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ユーザアクセス装置を制御する方法
JPH06177865A (ja) 回線切替制御方法
KR200406350Y1 (ko) 자동절체기능을 보유한 멀티모니터 공유기
KR100656567B1 (ko) 자동절체기능을 보유한 멀티모니터 공유기
KR101155384B1 (ko) 직통전화의 통신선로 선택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H0453316A (ja) 通信伝送システム
JP2022053733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JP2004120618A (ja) 複数系統伝送方式
JPH09128672A (ja) 防災システム
JPH021433B2 (ko)
JPH05235975A (ja) 光リングlan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