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179B1 - 복층형 염전 - Google Patents
복층형 염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2179B1 KR101812179B1 KR1020170062387A KR20170062387A KR101812179B1 KR 101812179 B1 KR101812179 B1 KR 101812179B1 KR 1020170062387 A KR1020170062387 A KR 1020170062387A KR 20170062387 A KR20170062387 A KR 20170062387A KR 101812179 B1 KR101812179 B1 KR 1018121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frame
- drying
- plunger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복층형 염전을 제시하며, 골조를 이루면서 지면에 시공되어 지지력을 제공하고, 태양광 및 공기의 소통이 가능한 건조공간을 갖는 골조프레임; 및 상기 골조프레임의 건조공간에 설치된 상태로 상면에 염수가 공급되어 건조되면서 소금을 생성시키는 건조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패널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골조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결합되어 복층을 이루고, 상기 골조프레임의 수평방향을 따라 제각기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이동이 허용되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건조패널에 의한 태양광의 간섭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복층형 염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수가 건조되는 건조패널을 복층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소금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건조패널들을 각각 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그늘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는 복층형 염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은 해수를 염전으로 끌어와 바람과 태양열로 수분과 함께 유해성분을 증발시켜서 만든 가공되지 않은 천일염과, 바닷물을 전기분해하여 나트륨이온과 염소이온은 투과하는 이온수지막으로 불순물과 중금속 등을 제거하고 얻는 염화나트륨의 결정체인 정제염으로 분류된다.
이 중, 천일염은 몸에 좋은 알칼리성 소금으로 산화가 낮고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등 다양한 양이온들을 함유하고 있어 연화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우리의 전통식품 김치, 장류, 젓갈류 등 그 고유의 맛과 풍미를 유지 시켜왔다.
이러한 천일염은 바람과 태양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건조시켜서 얻는 것이므로 해안가에 조성되는 천일염전에서 해수를 증발시킨 후 결정화시켜서 생산된다.
그런데, 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기존 방식은 넓은 면적의 염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염전이 지면상에 조성됨에 따라 토사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들이 쉽게 유입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9611호에 개시된 염전을 살펴보면, 지면에 염전이 설치되어 있어서 제한된 면적에서의 소금 생산량이 한정되어 있고, 지면상의 이물질들이 쉽게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상면에서 염수가 건조되는 건조패널들을 복수로 구성하여 복층으로 설치함으로써 제한된 면적에서의 소금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지면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복층형 염전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복층구조에 따라 하부의 건조패널에 그늘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층형 염전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건조패널에 공급된 염수를 강제로 증발시킬 수 있으며, 소금을 모으기 위한 밀대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복층형 염전을 제시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복층형 염전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조를 이루면서 지지력을 제공하고, 태양광 및 공기의 소통이 가능한 건조공간을 갖는 골조프레임; 및 상기 골조프레임의 건조공간에 설치된 상태로 상면에 염수가 공급되어 건조되면서 소금을 생성시키는 건조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패널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골조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결합되어 복층을 이루고, 상기 골조프레임의 수평방향을 따라 제각기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이동이 허용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건조패널들이 복수를 이루면서 복층형으로 설치됨에 따라 제한된 면적에서의 소금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지면에 존재하는 이물질들의 유입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복층형 염전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층을 이루는 건조패널들이 제각기 골조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건조패널들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하부에 위치하는 건조패널에 그늘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층형 염전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건조패널에 가열부재가 구비될 경우에는 패널본체가 가열부재를 구성하는 난방필름에 의해 가열되므로 날씨에 상관없이 염수를 증발시켜 소금을 생산할 수 있는 복층형 염전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밀대가 구동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므로 건조패널에서 결정화된 소금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복층형 염전을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염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염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폭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슬라이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길이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패널슬라이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밀대와 밀대 구동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염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폭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슬라이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길이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패널슬라이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밀대와 밀대 구동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염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골조프레임(100) 및 건조패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골조프레임(100)은 지면에 시공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태양광 및 공기의 소통이 가능한 구조로 시공되면서 내측에 건조공간을 형성한다.
예컨대, 골조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상태를 이루는 복수의 수직바(111)와 수평바(112)로 이루어진 프레임본체(1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골조프레임(100)은 내부에 바람이 소통하면서 태양광이 조사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한편, 골조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10)의 외곽에 외곽구조물(115)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외곽구조물(115)은 프레임본체(110)의 외곽을 차폐하는 형태로 시공되는 방충망 또는 비닐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외곽구조물(115)은 방충망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프레임본체(110)의 외곽을 통기가능하게 차폐하면서 해충이 건조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비닐막으로 구성될 경우에는 건조공간을 투광가능하게 차폐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건조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골조프레임(100은 건조공간에 설치되는 건조패널(200)에 인접상태로 설치되는 작업로가 시공될 수 있다. 작업로는 염전작업을 위한 작업자의 이동로를 이룬다.
상기 건조패널(200)은 염수의 증발이 이루어지면서 소금을 결정화시켜서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건조패널(200)은 골조프레임(100)의 건조공간에 설치되어 미도시된 염수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염수를 상면에 수용하며, 태양광 및 공기를 통해 염수 중의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러한 건조패널(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건조패널(200)의 수직방향으로 복층을 이루면서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건조패널(200)은 용도에 따라 염수의 1차 증발이 이루어지는 증발지와 2차 증발이 이루어지면서 소금의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결정지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패널(200)은 골조프레임(100)의 건조공간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프레임(100)의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패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패널레일(120)에 결합되어 작업자에 의한 가압이나 기구적인 외력을 통해 패널레일(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건조패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을 이루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가 가능하므로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패널에 의한 그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레일(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찬넬형태를 이루면서 마주보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건조패널(200)의 양단부를 이동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앵글형태나 각 파이프형태로 형성되어 건조패널(200)의 양단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패널레일(120)은 미도시된 롤러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건조패널(2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건조패널(200)은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본체(210) 및 패널하우징(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널본체(210)는 상면에 염수가 공급되는 부재로써, 스테인리스스틸 소재로 이루어지는 판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패널하우징(220)은 패널본체(210)의 외곽에 염수가 고일 수 있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전술한 패널레일(1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위를 이룬다.
이러한 패널하우징(220)은 상부가 개구된 함체형으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파이프(221)를 통해 패널본체(210)를 안착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패널본체(210)의 외곽으로 돌출되어 염수가 고일 수 있도록 테두리를 형성한다.
한편, 패널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펜스(215)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염수의 수용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구획펜스(215)는 필요에 따라 복수로 설치되어 패널본체(210)의 상면을 다단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즉, 패널본체(210)는 구획펜스(215)에 의해 상면이 구획됨에 따라 염수를 구획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으며, 구획된 부분을 증발지나 결정지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패널본체(210)는 패널하우징(2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부재(230)에 의해 가열되면서 염수의 수분을 강제로 증발시킬 수 있다.
즉, 가열부재(230)는 패널본체(210)의 하부에 열기나 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본체(21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난방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난방필름은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지며, 패널본체(2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골조프레임(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슬라이더(130)가 설치되어 건조패널(100)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건조패널(100)은 패널슬라이더(130)의 구동에 의해 패널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다.
예컨대, 패널슬라이더(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131), 피니언기어(132) 및 피니언모터(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랙기어(131)는 건조패널(200)을 구성하는 패널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톱니형태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피니언기어(132)는 회전운동을 통해 랙기어(131)를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골조프레임(100)을 구성하는 프레임본체(110) 또는 패널레일(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랙기어(131)에 치합된다.
피니언모터(133)는 피니언기어(13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랙기어(13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건조패널(200)을 이동시킨다.
한편, 건조패널(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패널슬라이더(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휠(135), 로프(136) 및 휠모터(1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로프휠(135)은 골조프레임(100)을 구성하는 프레임본체(110) 또는 패널레일(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로 구성되어 이격상태로 설치되면서 패널레일(1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로프(136)는 로프휠(135)에 결합되면서 폐루프상태를 이루며, 일부분이 건조패널(200)에 고정된다.
휠모터(137)는 로프휠(135)들 중 하나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로프(136)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건조패널(200)을 이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 염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300) 및 밀대 구동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밀대(300)는 건조패널(200)의 상면에서 생성된 소금을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패널(200)을 구성하는 패널본체(210)에 대응하는 폭으로 제작되어 패널본체(210)의 상면에 밀착된다.
밀대 구동부재(400)는 밀대(300)를 이동시키면서 패널본체(210)의 상면에 생상된 소금을 한 쪽으로 수집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밀대 구동부재(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410), 구동와이어(420) 및 구동모터(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롤러(410)는 골조프레임(100)을 구성하는 프레임본체(110) 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로 구성되어 이격상태로 설치되면서 건조패널(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구동와이어(420)는 구동롤러(410)에 결합되면서 폐루프상태를 이루며, 일부분이 밀대(300)에 고정되어 밀대(300)와 함께 이동한다.
여기서, 구동롤러(410) 및 구동와이어(420)는 복수 조를 이루면서 밀대(3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430)는 구동롤러(410) 중 하나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구동와이어(4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밀대(300)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밀대(300)와 밀대 구동부재(400)는 골조프레임(100)에 설치되므로 소금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건조패널(200)을 밀대(300)가 설치된 구간으로 이동시킨 후 밀대 구동부재(400)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밀대(300)와 밀대 구동부재(400)는 건조패널(200)에 설치되어 건조패널(400)과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건조패널(400)이 위치에 관계 없이 밀대(300)를 이동시켜서 소금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염전의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복층으로 배치된 건조패널(200)의 패널본체(210) 각각에 미도시된 염수공급기를 통해 염수를 공급한다.
염수는 패널하우징(220)에 의해 패널본체(210)의 상면에 고이게 되며, 태양광 및 바람에 의해 수분이 증발되면서 소금을 생성한다.
작업자는 각각의 건조패널(200)을 이동시켜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함으로써 하부의 패널에 그늘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때, 작업자는 건조패널(200)을 직접 패널레일(120)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패널슬라이드(130)를 작동시켜서 건조패널(200)을 이동시켜 배열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난방필름(230)에 전원을 공급하여 패널본체(210)를 가열하면서 염수의 증발을 촉진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건조패널(200)의 상면에 소금이 결정화되어 생성되면, 밀대 구동부재(400)를 작동시켜 밀대(300)를 이동시키면서 건조패널(200) 상면의 소금을 한 쪽으로 수집한 후 수집된 소금을 건조패널(200)에서 하역한다.
이때, 작업자는 건조패널(200)을 소금의 하역이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염전에 의하면, 건조패널(200)들이 복수를 이루면서 복층형으로 설치됨에 따라 제한된 면적에서의 소금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건조패널(200)들이 제각기 골조프레임(10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건조패널(200)들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하부에 위치하는 건조패널(200)에 그늘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층형 염전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골조프레임
110 : 프레임본체
115 : 외곽구조물
120 : 패널레일
130 : 패널슬라이더
131 : 랙기어
132 : 피니언기어
133 : 피니언모터
135 : 로프휠
136 : 로프
137 : 휠모터
200 : 건조패널
210 : 패널본체
220 : 패널하우징
230 : 가열부재
300 : 밀대
400 : 밀대 구동부재
410 : 구동롤러
420 : 구동와이어
430 : 구동모터
110 : 프레임본체
115 : 외곽구조물
120 : 패널레일
130 : 패널슬라이더
131 : 랙기어
132 : 피니언기어
133 : 피니언모터
135 : 로프휠
136 : 로프
137 : 휠모터
200 : 건조패널
210 : 패널본체
220 : 패널하우징
230 : 가열부재
300 : 밀대
400 : 밀대 구동부재
410 : 구동롤러
420 : 구동와이어
430 : 구동모터
Claims (10)
- 골조를 이루면서 지면에 시공되어 지지력을 제공하고, 태양광 및 공기의 소통이 가능한 건조공간을 갖는 골조프레임;
상기 골조프레임의 건조공간에 설치된 상태로 상면에 염수가 공급되어 건조되면서 소금을 생성시키는 건조패널;
상기 건조패널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건조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건조패널의 상면에 생성된 소금을 모으는 밀대; 및
상기 밀대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밀대를 이동시키는 밀대 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패널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골조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면서 결합되어 복층을 이루고, 상기 골조프레임의 수평방향을 따라 제각기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이동이 허용되는 복층형 염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조프레임은,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바와, 수직바에 직교상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조공간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본체; 및
마주보는 한 쌍이 한 조를 이루면서 상기 프레임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건조패널의 양단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본체의 수직방향으로 복수 조가 이격상태로 설치되는 패널레일을 포함하는 복층형 염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골조프레임은,
상기 건조패널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패널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건조패널을 이동시키는 패널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복층형 염전.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널슬라이더는,
상기 건조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랙기어;
상기 패널레일 또는 상기 골조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랙기어에 치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랙기어를 직선운동시키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피니언모터를 포함하는 복층형 염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패널은,
판상을 이루는 패널본체; 및
상기 패널본체의 상면에 염수가 고일 수 있도록 상기 패널본체의 외곽을 따라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골조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골조프레임에 이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패널하우징을 포함하는 복층형 염전.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건조패널은,
상기 패널본체의 하부에 열기나 화기를 제공하면서 상기 패널본체에 고인 염수의 수분을 강제로 증발시키는 가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복층형 염전.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패널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패널본체의 저면에 밀착되고,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면상발열체로 이루어져 상기 패널본체를 가열하는 난방필름을 포함하는 복층형 염전.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대 구동부재는,
상기 골조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상기 건조패널의 양단부에 인접상태로 각각 배치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밀대에 일부분이 고정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밀대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와이어; 및
상기 골조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롤러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복층형 염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조프레임의 외곽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공간을 투광가능하게 차폐하는 비닐막을 더 포함하는 복층형 염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387A KR101812179B1 (ko) | 2017-05-19 | 2017-05-19 | 복층형 염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2387A KR101812179B1 (ko) | 2017-05-19 | 2017-05-19 | 복층형 염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2179B1 true KR101812179B1 (ko) | 2017-12-26 |
Family
ID=6093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2387A KR101812179B1 (ko) | 2017-05-19 | 2017-05-19 | 복층형 염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217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12679A (zh) * | 2020-09-22 | 2021-01-12 | 四川涪丰药业有限公司 | 一种用于干燥枳壳的烘干设备 |
KR102430766B1 (ko) * | 2022-04-05 | 2022-08-08 | 조정례 | 조립형 소금생산장치 |
KR20240132556A (ko) | 2023-02-27 | 2024-09-04 | 손영범 | 친환경 실내 천일염 생산 플랜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8121B1 (ko) | 2010-12-09 | 2011-10-28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세이프푸드 | 소금제조장치 |
-
2017
- 2017-05-19 KR KR1020170062387A patent/KR1018121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8121B1 (ko) | 2010-12-09 | 2011-10-28 |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세이프푸드 | 소금제조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12679A (zh) * | 2020-09-22 | 2021-01-12 | 四川涪丰药业有限公司 | 一种用于干燥枳壳的烘干设备 |
KR102430766B1 (ko) * | 2022-04-05 | 2022-08-08 | 조정례 | 조립형 소금생산장치 |
KR20240132556A (ko) | 2023-02-27 | 2024-09-04 | 손영범 | 친환경 실내 천일염 생산 플랜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2179B1 (ko) | 복층형 염전 | |
KR101812180B1 (ko) | 발전기능을 갖는 타워형 염전 | |
DE10317479A1 (de) | Abreinigungsanlage für Photovoltaik-Generatoren und Sonnenkollektoren | |
DE3010042A1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estillieren von wasser | |
JPH11207318A (ja) | 塩水蒸留温室 | |
KR102015952B1 (ko) | 태양광 발전 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형 경사 염전 | |
WO1999026884A1 (fr) | Appareil de distillation alimente par l'energie solaire | |
US4136668A (en) | Solar heat storage and utility system | |
KR102063099B1 (ko) | 스마트형 무인 염전시스템 | |
KR101266062B1 (ko) | 지반이 가열되는 천일염전 및 이를 이용한 천일염 생산방법 | |
KR200454519Y1 (ko) |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 |
CA3238785A1 (en) |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water, organics, and/or mineral recovery | |
KR20140031574A (ko) |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염전 설비 | |
JP5365117B2 (ja) | 透過可視光制御方法及び透過可視光制御装置 | |
DE1960745A1 (de) | Verfahren zur Waermeisolierung von Koerpern | |
DE2710313A1 (de) | Vorrichtung zum erwaermen von in becken enthaltenen fluessigkeiten | |
US20160122206A1 (en) | Solar still countercurrent flow system and apparatus | |
CN110282852B (zh) | 立式蒸发干燥器 | |
KR102056357B1 (ko) | 재제염 제조장치 | |
EP4013921A1 (de) | Doppelfassadenanordnung | |
Hummel | Solar distillation with economies of scale, innovation and optimization | |
SU1792916A1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адочной соли из рапы | |
Sonnenfeld et al. | Heliothermal lakes | |
EP2547966B1 (de) | Fassade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 wärmetechnischen eigenschaften der fassade | |
EP3209951B1 (de) | Sonnenkollektor zur wärmeenergiegewinnung aus sonnenlich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