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395B1 -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395B1
KR101811395B1 KR1020150155112A KR20150155112A KR101811395B1 KR 101811395 B1 KR101811395 B1 KR 101811395B1 KR 1020150155112 A KR1020150155112 A KR 1020150155112A KR 20150155112 A KR20150155112 A KR 20150155112A KR 101811395 B1 KR101811395 B1 KR 101811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formation
tram
sig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2953A (ko
Inventor
명묘희
송수연
심태일
정미경
이호상
Original Assignee
도로교통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로교통공단 filed Critical 도로교통공단
Priority to KR102015015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3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2Visible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7Override of traffic control, e.g. by signal transmitted by an emergency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트램과 일반 차량이 혼용되는 교차로에서 트램의 교차로 우선 통과를 위한 우선신호제어를 위하여 정보를 연계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정보연계방법에서는, VME BUS 방식으로 신호제어기에서 정보연계장치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쓰기 영역과, 정보연계장치에서 신호제어기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읽기 영역으로 메모리 영역을 정의하여 신호제어기와 상호 연계한다. 신호제어기와의 정보연계는, 쓰기 영역의 갱신 플래그가 세트되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갱신 플래그가 세트되면 메시지를 읽어오는 제1단계와, 읽어온 메시지가 정상인지 확인하는 제2단계와, 읽어온 메시지가 정상이면 갱신 플래그를 ACK로 설정하고 읽어온 메시지를 처리하며, 비정상이면 갱신 플래그를 NACK로 설정하는 제3단계를 거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인 우선신호제어를 수행하는 정보연계장치 및 방법에 의하여 트램 신호교차로에서의 보다 안정적인 우선신호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for controlling traffic light and tram light at a crossroads}
본 발명은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램과 일반 차량이 혼용되는 교차로에서 트램의 교차로 우선 통과를 위한 우선신호제어를 위하여 정보를 연계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램(tram)은 궤도 기반으로 일반 도로에서 주행되는 교통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전문 운전자가 탑승하며, 운전자 시야를 기반으로 한 시계운전 모드로 운영된다. 트램과 일반 차량이 혼용되는 신호교차로에서는 기본적으로 일반 차량들에게 제공되는 차량 신호등과 트램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트램 전용 신호등으로 등기체계가 구성된다.
트램과 일반 차량이 혼용되는 교차로에는 트램이 교차로를 통과하는 철도 건널목과 같은 형태의 교차로와, 트램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진로 분기가 있는 교차로가 있다. 트램의 진로 분기가 있는 교차로에서의 트램 신호 운영 방법과 관련된 내용이 특허등록 제1260373호에 기재되어 있다.
한편, 트램과 같은 대중교통 수단들은 대중 교통의 수송 효율성을 위하여 일반 차량들과는 달리, 교차로 우선 통과를 위한 우선신호제어 (Priority & Preemption Control)를 신호제어기에서 직접 수행하는 우선신호제어 기능이 점차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국내 도로교통 신호제어기 규격서에서는 이러한 우선신호제어에 대한 기본적인 수행구조와 이에 따른 기본적인 인터페이스 방안을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규격서에 제시된 내용만으로 신호제어기 내에서 기능을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규격서에서 정의된 인터페이스는 단순 메모리 참조방식에 의한 인터페이스로서 상호 간에 연계되는 데이터 무결성을 체크하는 로직이 없고, 오정보를 기반으로 불안정한 우선신호제어가 수행될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특히, 우선신호제어는 실제적으로 신호제어기 등기출력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므로, 우선신호제어가 불안정한 경우에는 사고 발생 등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트램과 일반차량이 혼용 운영되는 신호교차로에서의 트램 우선신호제어를 수행하는 정보연계모듈의 수행 기능과, 안정적인 신호운영을 위하여 신호제어기와 정보연계모듈 간의 연계방식과 절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장치는, 교차로로 접근하는 트램의 접근정보를 수집하고, 트램에게 해당 교차로의 신호운영정보를 제공하는 트램정보 수집부; 상기 트램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트램 접근정보와, 교차로 기하정보와, 신호제어기로부터의 신호제어기 운영정보를 기반으로 트램이 교차로를 우선 통과하기 위한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우선신호 제어부; 상기 우선신호 제어부에서 생성된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를 신호제어기 내의 신호등 출력모듈 형식에 맞추어 출력하는 트램신호 출력부; 및, 신호제어기로부터 실시간 신호제어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를 신호제어기로 송신하되, VME BUS 방식으로 특정 메모리 영역을 정의하여 신호제어기와 상호 연계하는 트램신호등 연계부를 구비한다. 정보연계장치.
특정 메모리 영역은, 신호제어기에서 정보연계장치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쓰기 영역과, 정보연계장치에서 신호제어기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읽기 영역을 포함한다. 쓰기 영역과 읽기 영역은 데이터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체크 영역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쓰기 영역과 읽기 영역은 갱신 플래그 영역을 각각 더 포함하며, 갱신 플래그 영역에는 신규 메시지를 대기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리셋 상태와, 신규 메시지가 있음을 나타내는 세트 상태와, 신규 메시지의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ACK 상태와, 신규 메시지가 불완전하여 처리되지 못함을 나타내는 NACK 상태가 기록된다.
쓰기 영역과 읽기 영역은 메시지의 시작을 나타내는 메시지 시작 영역과, 메시지의 총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길이 영역과, 메시지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번호를 저장하는 메시지 시퀀스 영역와,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운영코드 영역과, 메시지의 운영코드에 따른 세부적인 데이터 내용을 지정하는 세부 데이터 영역을 각각 더 구비할 수 있다.
트램정보 수집부는, 교차로로 접근하는 트램의 정보를 특정 지점에 설치된 지점검지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접근하는 트램차량과 통신으로 접근정보를 수집하는 공간검지기를 사용하여 수집하며,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접근하는 트램에게 해당 교차로의 신호운영정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는 직진, 회전, 정지, 경고를 포함하며, 트램 접근정보는 접근하는 트램의 위치와 접근속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장치에서의 신호제어기와의 정보연계방법에서는, VME BUS 방식으로 신호제어기에서 정보연계장치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쓰기 영역과, 정보연계장치에서 신호제어기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읽기 영역으로 메모리 영역을 정의하여 신호제어기와 상호 연계한다.
정보연계방법은, 쓰기 영역의 갱신 플래그가 세트되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갱신 플래그가 세트되면 메시지를 읽어오는 제1단계와, 읽어온 메시지가 정상인지 확인하는 제2단계와, 읽어온 메시지가 정상이면 갱신 플래그를 ACK로 설정하고 읽어온 메시지를 처리하며, 비정상이면 갱신 플래그를 NACK로 설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쓰기 영역과 읽기 영역은 데이터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체크 영역을 각각 포함하며, 제2단계는 데이터 체크 영역이 정상인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쓰기 영역과 읽기 영역은 메시지의 시작을 나타내는 메시지 시작 영역을 각각 더 구비하며, 제2단계는 메시지 시작 영역이 정상인지를 더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쓰기 영역과 상기 읽기 영역은 메시지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번호를 저장하는 메시지 시퀀스 영역을 각각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단계는 시퀀스 번호를 참조하여 시퀀스 번호가 이전의 시퀀스 번호에서 증가된 값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쓰기 영역과 상기 읽기 영역은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운영코드 영역과, 메시지의 운영코드에 따른 세부적인 데이터 내용을 지정하는 세부 데이터 영역을 각각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3단계에서 읽어온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은 운영코드 영역에 기재된 운영코드에 따라서 세부 데이터 영역에 기재된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에 따른 처리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정보연계장치는 쓰기 영역을 통해 수신된 신호제어기 운영정보와 수집된 트램 정보를 분석하여 우선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우선신호를 읽기 영역을 통해 신호제어부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인 우선신호제어를 수행하는 정보연계장치 및 방법에 의하여 트램 신호교차로에서의 보다 안정적인 우선신호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트램과 일반차량이 교행하는 신호교차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트램신호등의 심볼과 세부 내용을 보여준다.
도 3은 트램과 일반차량이 교행하는 교차로에서의 신호등기 제어용 신호출력을 위한 시스템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신호제어기와 정보연계모듈 간의 정보연계를 위한 메모리 프로토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신호제어기에서 쓰기 영역에 데이터를 쓰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정보연계모듈에서 쓰기 영역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트램과 일반차량이 교행하는 교차로의 구성은 도 1과 같다. 이러한 교차로 내에서의 신호등은 일반차량용 신호등기(10)와 트램전용 신호등기(11)로 구성된다. 트램신호등기(11)는 일반차량용 신호등기(10)와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백색바 형태로 트램신호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트램의 운행특성상 일반차량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램 전용차선을 도입하여 트램 선로(13)와 일반차량 선로(12)를 구분하고, 각각의 교차로 진행신호에 따라서 교차로를 교행한다.
일반차량용 신호등기(10)의 제어신호는 기존의 도로교통 신호제어기에서 출력하며 그 구성은 종래의 신호등과 동일하다. 트램신호등은 트램 운전자에게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등으로서, 일반차량용 신호등과 구분이 될 수 있도록 백색바 형태로 제공되며 세부 내용은 도 2와 같다.
트램신호등기(11)의 제어는, 각각 할당된 신호등 출력시간동안 상시 점등되는 일반차량용 신호등 구동방식과 달리, 교차로로 접근하는 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 신호가 출력되며, 교차로를 통과하면 즉시 트램신호등을 정지하는 운행특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또한 동일 방향의 일반차량용 신호와 연동되어서 교차로내 상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반차량용 신호등 연동기능과 등기출력 검지 및 모순검지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차로 내의 트램신호등기(11)는 다음과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 교차로 내의 트램신호등기(11)의 제어신호는 도로교통 신호제어기에서 출력한다.
- 교차로 내의 트램신호등기(11)는 단일출력/단일신호로 구성되어야 한다.
- 교차로 내의 트램신호등은 동일방향 일반차량신호등 출력과 연동되어야 한다.
- 교차로 내의 트램신호등은 교차로에 접근하는 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출력된다.
- 교차로 내의 트램신호등은 트램이 교차로를 통과하면 정지되어야 한다.
트램신호등의 구동은 안정적인 신호출력 및 일반 차량신호와의 상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차량등기를 제어하는 도로교통 신호제어기에서 직접 출력하며 신호출력을 위한 시스템 구조는 도 3과 같다.
도로교통 신호제어기(100)(이하, '신호제어기'라 함)는 주제어부(110)에 일반차량용 신호등의 제어를 위한 일반차량등 출력부에 더하여 트램신호등의 제어를 위한 트램신호등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도로교통 신호제어기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다.
즉, 주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신호구동부(120)를 거쳐서 구동모듈(130)에 인가되고, 구동모듈(130)에서 일반차량용의 4색등기구, 3색등기구 및 트램용의 트램신호등을 포함하는 신호등기(140)를 구동하기 위한 규격의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신호등기(140)에 인가된다.
정보연계모듈(200)은 교차로에 접근하는 트램의 정보를 수집하여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주제어부(110)에 전달하며, 다음과 같이 4개의 기능부로 구성된다.
1. 트램신호등 연계부(210)
표준 신호제어기 규격서에서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신호제어기(100)의 주제어부(100)로부터 실시간 신호제어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정보연계모듈(200)에서 생성되는 우선신호제어 및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를 신호제어기(100)의 주제어부(110)로 송신한다. 송수신방식은 예를 들면 VME BUS 방식으로 특정 메모리 영역을 정의하여 상호 연계한다. 연계주기는 예를 들면 100 밀리초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주기적으로 VME BUS 방식으로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우선신호제어 및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를 기입함으로써 신호제어기(100)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VME BUS 방식으로 메모리의 다른 특정 영역에서 신호제어기 상태정보를 읽어와서 우선신호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2. 트램신호등 출력부(220)
우선신호 제어부(230)에서 생성된 트램신호등 제어정보(직진, 회전, 정지,경고 등)를 신호제어기 내의 신호등 출력모듈 형식에 맞추어 출력하여 트램신호등 연계부(210)를 통해 신호제어기(100)로 연계한다. 생성된 트램 신호등 제어정보와 일반차량 신호등 출력정보(Feedback 정보)를 기반으로 교차로 내의 상충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모순 검지 및 안전신호를 생성하여 연계한다.
3. 우선신호 제어부(230)
트램정보 수집부(240)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트램 접근정보(위치, 접근속도), 교차로 기하정보 및 신호제어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제어기 운영정보를 기반으로 트램이 교차로를 우선 통과하기 위한 우선신호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트램 신호등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4. 트램정보 수집부(240)
트램정보 수집부(240)는 특정 지점에 설치된 지점검지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교차로 내의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접근하는 트램 차량과 통신하여 접근정보를 수집하는 공간검지기를 사용하여 교차로로 접근하는 트램의 트램 접근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접근하는 트램에게 해당 교차로의 신호운영정보(우선신호 정보, 통과 잔여시간 등)를 제공하여 교차로 통과시 트램 운전자에게 안전 운행정보를 제공한다.
< 정보연계모듈과 신호제어기 사이의 정보 연계 프로토콜 >
정보연계모듈(200)과 신호제어기(100)의 주제어기(110)는 VME BUS를 기반으로 양방향 정보연계와 데이터 무결성을 체크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은 메모리 프로토콜 구조를 정의하여 상호간에 정보를 연계한다.
VME BUS 상의 정보들은 특정 오프셋(Offset) 번지를 기반으로 바이트(Byte) 단위로 정의되며, 쓰기(Write) 영역과 읽기(Read) 영역을 별도로 구성한다.
쓰기(WRITE) 영역은 신호제어기(100)에서 정보연계모듈(200)로 제공되는 연계정보 영역으로서, 신호주기, 현시, 진행시간, 등기상태 등 신호제어기 실시간 운영정보를 제공한다.
읽기(READ) 영역은 정보연계모듈(200)에서 신호제어기(100)로 제공되는 연계정보 영역으로서, 우선신호 적용결과(현시 진행정보, 특정 신호등기 구동정보 등)를 제공한다.
쓰기 및 읽기 정보연계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갱신플래그 (Update Flag) 영역
신호제어기(100)와 정보연계모듈(200) 간에 새로운 연계 메시지 생성 여부를 지정한다. 갱신플래그 영역이 세트되면(Flag=1) 신규 메시지가 있음을 나타내며, 이 경우에 데이터를 읽어가는 측(이하, '수신측'이라 함)은 메시지 시작(Start Of Message) 영역부터 세부 데이터 영역까지 읽어들인다. 수신측에서 신규메시지의 처리를 완료한 경우에는 갱신플래그를 ACK(Flag=2)로 표시하고, 신규메시지가 불완전하여 처리되지 못한 경우에는 갱신플래그를 NACK(Flag=3)로 표시한다. NACK가 표시되면 데이터를 쓰는 측(이하, '송신측'이라 함)에서는 다시 데이터를 쓰고 갱신플래그 영역을 세트한다. ACK를 받은 송신측은 플래그를 리셋(Flag=0)한다.
Figure 112015107799902-pat00001
메시지 시작(Start Of Message) 영역 ( SOM 영역)
연계 메시지의 시작영역을 나타낸다. SOM 영역은 특정 데이터(예를 들면, 0x7E)를 지정하여 해당 영역부터 연계 메시지임을 나타낸다. 수신측은 SOM 데이터가 상호간 정의된 특정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갱신플래그 영역을 NACK(메세지 미처리)로 한다.
데이터 체크 (Data Check) 영역
연계 메시지의 데이터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데이터 길이 영역에서 세부 데이터 영역까지의 체크 코드값을 전달한다. 데이터 체크 코드값은 예를 들면 체크섬(Check Sum) 방식, LRC(Longitudinal Redundancy Check) 방식,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방식 등의 다양한 에러확인방식 중에서 상호 간에 사전 정의된 방식을 사용하여 생성한다.
수신측은 수신메세지의 데이터 길이 영역에서 세부 데이터 영역까지에 대해서 생성한 체크 코드값과 수신된 체크 코드값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갱신 플래그 영역을 NACK(메세지 미처리)로 한다.
데이터 길이 (Data Length) 영역
메시지 상의 데이터 길이 영역에서 세부 데이터 영역까지의 총 데이터 수를 지정한다.
어드레스 (Address) 영역
수신측의 주소 정보를 지정한다.
메시지 시퀀스 (Message Sequence) 영역
신호제어기(100)와 정보연계모듈(200) 간의 메시지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메시지 순서를 순차적으로 지정한다. 시퀀스 번호는 정상적인 경우 순차적으로 증가하지만, 비정상인 경우에는 동일한 시퀀스 번호를 유지하여 비정상 상태임을 나타낸다.
운영코드 (Operation Code) 영역
연계 메시지의 종류를 지정하기 위한 운영코드를 나타낸다. 운영코드는 읽기 및 쓰기 영역에 따라서 특정 코드를 정의하여 사용한다. 우선신호제어를 수행하는 정보연계모듈(200)과 신호제어기(100) 간에 연계되는 운영코드의 예시는 표 2와 같다.
Figure 112015107799902-pat00002
세부 데이터 영역
연계 메시지의 운영코드에 따른 세부적인 데이터 내용을 지정한다. 정보를 수신한 신호제어기 또는 정보연계장치는 운영코드에 따라 세부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에 따라 적절한 처리동작을 수행한다.
< 쓰기 및 읽기 영역 연계절차 >
신호제어기(100)의 주제어부(110)는 쓰기 영역을 통하여 우선신호제어를 수행하는 정보연계모듈(200)로 우선신호제어에 필요한 실시간 신호운영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정보연계모듈(200)은 신호제어기(100)의 주제어부(110)로 읽기 영역을 통하여 신호제어기 구동을 위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전송 주기는 예를 들면 100msec일 수 있다.
종래의 단순 메모리 참조방식의 경우에는 메모리 영역의 오류로 인하여 오정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오정보를 기반으로 우선신호를 수행하는 경우 정보연계모듈과 신호제어기는 오동작할 소지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메모리 참조방식의 불안정한 요소를 배제하고자 통신프로토콜 구조를 메모리 영역에 정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하여 메모리 오류에 의한 시스템 오동작 현상을 방지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신호제어기에서의 쓰기 영역에의 쓰기 절차를 설명한다. 도 5의 절차는 정보연계모듈에서의 읽기 영역에의 쓰기 절차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신호제어기(100)의 주제어부(110)는 전송주기(예를 들면 100ms)가 되면(단계 S501의 '예') 신호운용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503). 그리고 갱신플래그가 0인지를 확인하여(단계 S505) 갱신플래그가 0이 아니면 갱신플래그를 리셋하고(단계 S523), 갱신플래그가 0이라면 메시지 시작(SOM) 영역을 초기화한다(단계 S507). 그리고, 시퀀스 번호를 갱신하고 운영코드(OPCODE)를 지정하고(단계 S509) 운영코드에 따른 세부적인 데이터 내용을 세부 데이터 영역에 쓴다(단계 S511). 메시지 상의 데이터 길이 영역에서 세부 데이터 영역까지의 총 데이터 수를 계산하여 데이터 길이 영역에 쓴다(단계 S513). 그리고 상호 간에 사전 정의된 데이터 체크 방식에 따라 데이터 체크 코드값을 계산하여 데이터 체크 영역에 쓴다(단계 S515). 이와 같이 데이터를 모두 기입한 후에 갱신 플래그를 1로 세트하고(단계 S517), 상대방이 데이터를 제대로 수신했음을 나타내는 '갱신 플래그=ACK'로 되는 것을 기다린다(단계 S519). 일정 시간 이내에 갱신 플래그가 ACK로 되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 S523으로 가서 갱신 플래그를 리셋하고 단계 S503부터 다시 반복한다. 반대로, 일정 시간 이내에 갱신 플래그가 ACK가 되면 데이터 전송이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므로 단계 S521에서 갱신 플래그를 리셋하고 단계 S501로 가서 다음 주기를 기다린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정보연계모듈에서의 쓰기 영역에서의 읽기 절차를 설명한다. 도 5의 절차는 신호제어기에서의 읽기 영역에서의 읽기기 절차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정보연계모듈(200)은 쓰기 영역의 갱신 플래그가 세트되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갱신 플래그가 세트되면(단계 S601의 '예') 메시지 시작 영역이 정상인지, 즉 SOM 데이터가 상호간 정의된 특정 데이터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603). 메시지 시작 영역이 정상이 아니면 단계 S621로 가서 갱신 플래그를 NACK로 설정한다.
메시지 시작 영역이 정상이면 단계 S605에 데이터 길이 영역에서 데이터 길이 정보를 읽어와서 지정된 데이터 길이만큼의 데이터를 읽어오고 단계 S607에서 데이터 체크 영역의 데이터 체크 코드값을 수령하여 이 데이터 체크 코드값이 계산된 데이터 체크 코드값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단계 S609). 데이터 체크 코드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621로 가서 갱신 플래그를 NACK로 설정한다.
데이터 체크 코드값이 일치하면 단계 S611에서 메시지 시퀀스 영역의 시퀀스 번호를 참조하여 시퀀스 번호가 이전의 시퀀스 번호에서 증가된 값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613). 시퀀스 번호가 증가된 값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621로 가서 갱신 플래그를 NACK로 설정한다.
시퀀스 번호가 증가된 값이라면 단계 S615로 가서 갱신 플래그를 ACK로 설정하고, 운영코드 영역에 있는 운영코드를 참조하여(단계 S617) 세부 데이터 영역에 있는 정보를 운영코드에 따라 해석한다(단계 S619). 정보연계모듈(200)의 우선신호 제어부(230)는 해석된 정보와 트램정보 수집부(24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우선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우선신호는 읽기 영역을 통해 신호제어부(10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끝나면 다시 단계 S601로 가서 다음 주기의 데이터 전송을 기다린다.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일반차량용 신호등기,
11 트램신호등기,
12 일반차량 선로,
13 트램 선로,
100 신호제어기,
110 주제어부,
120 신호구동부,
130 구동모듈,
140 신호등기,
200 정보연계모듈,
210 트램신호등 연계부,
220 트램신호등 출력부,
230 우선신호 제어부,
240 트램정보 수집부.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장치로서,
    교차로로 접근하는 트램의 접근정보를 수집하고, 트램에게 해당 교차로의 신호운영정보를 제공하는 트램정보 수집부;
    상기 트램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트램 접근정보와, 교차로 기하정보와, 신호제어기로부터의 신호제어기 운영정보를 기반으로 트램이 교차로를 우선 통과하기 위한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우선신호 제어부;
    상기 우선신호 제어부에서 생성된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를 신호제어기 내의 신호등 출력모듈 형식에 맞추어 출력하는 트램신호 출력부;
    신호제어기로부터 실시간 신호제어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를 신호제어기로 송신하되, VME BUS 방식으로 특정 메모리 영역을 정의하여 신호제어기와 상호 연계하는 트램신호등 연계부
    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 메모리 영역은, 신호제어기에서 정보연계장치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쓰기 영역과, 정보연계장치에서 신호제어기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읽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쓰기 영역과 상기 읽기 영역은 데이터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체크 영역과 갱신 플래그 영역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갱신 플래그 영역에는 신규 메시지를 대기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리셋 상태와, 신규 메시지가 있음을 나타내는 세트 상태와, 신규 메시지의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ACK 상태와, 신규 메시지가 불완전하여 처리되지 못함을 나타내는 NACK 상태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연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영역과 상기 읽기 영역은 메시지의 시작을 나타내는 메시지 시작 영역과, 메시지의 총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터 길이 영역과, 메시지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번호를 저장하는 메시지 시퀀스 영역와,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운영코드 영역과, 메시지의 운영코드에 따른 세부적인 데이터 내용을 지정하는 세부 데이터 영역을 각각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연계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램정보 수집부는, 교차로로 접근하는 트램의 정보를 특정 지점에 설치된 지점검지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접근하는 트램차량과 통신으로 접근정보를 수집하는 공간검지기를 사용하여 수집하며,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접근하는 트램에게 해당 교차로의 신호운영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연계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램신호등 제어정보는 직진, 회전, 정지, 경고를 포함하며,
    상기 트램 접근정보는 접근하는 트램의 위치와 접근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연계장치.
  8.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장치에서의 신호제어기와의 정보연계방법에 있어서,
    VME BUS 방식으로 신호제어기에서 정보연계장치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쓰기 영역과, 정보연계장치에서 신호제어기로의 정보 전송을 위한 읽기 영역으로 메모리 영역을 정의하여 신호제어기와 상호 연계하되,
    쓰기 영역의 갱신 플래그가 세트되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갱신 플래그가 세트되면 메시지를 읽어오는 제1단계와,
    읽어온 메시지가 정상인지 확인하는 제2단계와,
    읽어온 메시지가 정상이면 갱신 플래그를 ACK로 설정하고 읽어온 메시지를 처리하며, 비정상이면 갱신 플래그를 NACK로 설정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영역과 상기 읽기 영역은 데이터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 체크 영역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단계는 데이터 체크 영역이 정상인지를 확인하는 것인 정보연계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영역과 상기 읽기 영역은 메시지의 시작을 나타내는 메시지 시작 영역을 각각 더 구비하며,
    제2단계는 메시지 시작 영역이 정상인지를 더 확인하는 것인 정보연계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영역과 상기 읽기 영역은 메시지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번호를 저장하는 메시지 시퀀스 영역을 각각 더 구비하며,
    제2단계는 시퀀스 번호를 참조하여 시퀀스 번호가 이전의 시퀀스 번호에서 증가된 값인지를 더 확인하는 것인 정보연계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영역과 상기 읽기 영역은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운영코드 영역과, 메시지의 운영코드에 따른 세부적인 데이터 내용을 지정하는 세부 데이터 영역을 각각 더 구비하며,
    제3단계에서 읽어온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은 운영코드 영역에 기재된 운영코드에 따라서 세부 데이터 영역에 기재된 세부 데이터를 해석하여 그에 따른 처리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정보연계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영역을 통해 수신된 신호제어기 운영정보와 수집된 트램 정보를 분석하여 우선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우선신호를 읽기 영역을 통해 신호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연계방법.
KR1020150155112A 2015-11-05 2015-11-05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방법 및 장치 KR101811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12A KR101811395B1 (ko) 2015-11-05 2015-11-05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112A KR101811395B1 (ko) 2015-11-05 2015-11-05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53A KR20170052953A (ko) 2017-05-15
KR101811395B1 true KR101811395B1 (ko) 2017-12-22

Family

ID=5873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112A KR101811395B1 (ko) 2015-11-05 2015-11-05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0934B (zh) * 2017-09-11 2019-08-09 北方工业大学 一种配时关联的间歇式公交专用道实时控制方法与系统
CN110738862A (zh) * 2019-11-07 2020-01-31 南京恩瑞特实业有限公司 一种有轨电车的交通信号控制与显示系统
CN113990063B (zh) * 2021-12-25 2022-06-24 通号万全信号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双网融合的路口有轨电车信号优先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997B1 (ko) * 2010-06-09 2012-04-20 길 정보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모달 트램의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JP5001366B2 (ja) 2006-06-30 2012-08-15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迅速な復号のためのack/nackスロット・ポジショニング/複雑さコード
JP5147430B2 (ja) 2008-01-29 2013-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装置
KR101260373B1 (ko) 2011-12-30 2013-05-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트램의 진로 분기가 있는 교차로에서의 트램 신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1366B2 (ja) 2006-06-30 2012-08-15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迅速な復号のためのack/nackスロット・ポジショニング/複雑さコード
JP5147430B2 (ja) 2008-01-29 2013-02-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送受信装置
KR101137997B1 (ko) * 2010-06-09 2012-04-20 길 정보 시스템 주식회사 바이모달 트램의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KR101260373B1 (ko) 2011-12-30 2013-05-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트램의 진로 분기가 있는 교차로에서의 트램 신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53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395B1 (ko) 교차로에서의 일반 차량신호등과 트램 전용 신호등 제어를 위한 정보연계방법 및 장치
ES2307954T3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generar unidades de control logicas para aparatos informaticos esenciales con base en estaciones ferroviarias.
JP5881078B2 (ja) 列車運行制御装置及び列車運行制御方法
CN106528744A (zh) 格式转换方法及系统
CN109088864B (zh) 应答器数据生成与管理系统
EP2419313A1 (en) Collision avoidance method, system and apparatus
CN102857366A (zh) 一种用于高速铁路应答器信息透明传输的轨旁电子装置
CN103081414A (zh) 用于实时等时数据传输的通信系统和方法
CN100452692C (zh) 用于数据传输的方法
KR940017437A (ko) 송신 방법, 수신 방법, 통신 방법 및 쌍방향 버스 시스템
CN203084710U (zh) 车载数据更新系统
CN104133859B (zh) 一种显示器数据同步系统和方法
CN105190454B (zh) 可编程显示器
CN112537311A (zh) 用于安全可靠地至少部分自动化地引导机动车的方法
JP2009126382A (ja) 通告伝達システム
CN106327952A (zh) 示教器的远程控制方法及示教器
CN102955466A (zh) 用于运行自动化系统的方法
JP5769976B2 (ja) 故障検知機能付きats−p地上子
KR20070077465A (ko) 주행 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차량을 구비한 시스템, 특히철도 시스템 및 상기 차량을 안전하게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3579018B2 (ja) 鉄道信号伝送装置
ES2919925T3 (es) Sistema de control de tráfico de trenes y método para llevar a cabo operaciones críticas para la seguridad dentro de un sistema de control de tráfico de trenes
CN109155689A (zh) 通信设备、通信方法、程序和通信系统
CN100562451C (zh) 具有改进的应用编程的铁路控制器
JP2004042768A (ja) 連動・atc統合型装置
CN201405883Y (zh) Mvb-rs422网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