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852B1 - 쌀면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쌀면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852B1
KR101810852B1 KR1020150116245A KR20150116245A KR101810852B1 KR 101810852 B1 KR101810852 B1 KR 101810852B1 KR 1020150116245 A KR1020150116245 A KR 1020150116245A KR 20150116245 A KR20150116245 A KR 20150116245A KR 101810852 B1 KR101810852 B1 KR 10181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unit
conveying
transfer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629A (ko
Inventor
김명상
Original Assignee
김명상
권영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상, 권영황 filed Critical 김명상
Priority to KR102015011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8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21C1/141Tools having mixing or cutting element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ir ax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5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 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4Wa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1Sh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면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장력을 이용한 습식 반죽을 이용하여 쌀로 된 생면을 가공하기 위한 쌀면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쌀면 제조 장치는 본체 최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박스로 형성되어 중공부에서 쌀과 물이 배합된 반죽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믹싱부와, 상기 믹싱부로부터 배출된 반죽이 히팅부에 들어가기 전단계에서 제 1 전송부 벨트위에서 반죽을 얇게 펼쳐서 통과하게 하기 위해 폭 방향으로 얇고 긴 틈을 형성하되, 반죽의 일정한 높이 이상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도록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막음판 하단으로 얇고 긴 틈을 형성하는 두께필터와, 상기 두께필터에 의해 얇게 펼쳐진 반죽이 박스를 통과할 때 내부에서 스팀으로 가열하되, 열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게 하우징으로 박스를 형성한 히팅부와, 상기 믹싱부에서 배출된 반죽을 히팅부를 통과할 때까지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식 제 1 전송부와, 상기 제 1 전송부에서 낙하한 반죽의 일면을 냉각시키며 이송하되, 제 1 전송부의 반대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식 제 2 전송부와, 상기 제 2 전송부에서 낙하한 반죽의 반대편 면을 냉각시키며 이송하되, 제 2 전송부의 반대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식 제 3 전송부와, 상기 제 3 전송부에서 낙하한 반죽을 가늘고 긴 쌀면으로 자르기 위해 회전하는 원형 롤러 표면에 촘촘한 간격으로 다수의 칼날을 구비한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로부터 낙하한 쌀면을 바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동력을 요하는 구성 장치들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모터와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작동 및 속도 조절과, 히팅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 및, 구성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쌀면 제조 장치{A DEVICE FOR MAKING RICE NOODLES}
본 발명은 쌀면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장력을 이용한 습식 반죽을 이용하여 쌀로 된 생면을 가공하기 위한 쌀면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쌀면을 제조하는 방식은 반죽을 위한 쌀가루의 양이 수분 함량보다 월등히 많은 건조식 제조 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수분이 적고 밀도가 높은 반죽을 가공한 후 그 반죽을 롤 또는 냉면처럼 압축하여 면을 가공하는 방식으로 가공을 하게되면, 쌀면의 고유의 특징인 찰진 성질과 생면으로 싱싱함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었다.
또한, 쌀가루를 이용하여 생면을 가공 하는데 있어서는 밀가루에 비해 쌀가루가 가지는 점성(viscosity) 때문에 종래 제면 장비들이 사용하는 반죽기와 압출기 등의 소위 건조식 면 제조 장비로는 제대로 된 쌀 생면을 가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과 동일 계통의 선행기술로서 참고할 수 있는 특허문헌은 등록특허 제10-0851360호, 등록실용신안 제02-0447704호, 공개실용신안 제20-1996-0002260호가 있다.
KR 10-0851360 B1 KR 02-0447704 B1 KR 20-1996-0002260 Y1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는 쌀 생면 가공에 있어서 종래 건조식 면 제조 공법으로 구현할 수 없는 습식 반죽의 활용을 통해 점성이 높고 쫄깃쫄깃한 면을 가공하되, 단일 장치로서 반죽에서부터 생면 생산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는 본체 최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박스로 형성되어 중공부에서 쌀과 물이 배합된 반죽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믹싱부(10)와, 상기 믹싱부로부터 배출된 반죽이 히팅부에 들어가기 전단계에서 제 1 전송부 벨트위에서 반죽을 얇게 펼쳐서 통과하게 하기 위해 폭 방향으로 얇고 긴 틈을 형성하되, 반죽의 일정한 높이 이상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도록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음판(21)과, 상기 막음판(22)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22)를 포함하며, 상기 막음판(21) 하단으로 얇고 긴 틈을 형성하는 두께필터와, 상기 두께필터에 의해 얇게 펼쳐진 반죽이 박스를 통과할 때 내부에서 스팀으로 가열하되, 열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게 하우징으로 박스를 형성한 히팅부(30)와, 상기 믹싱부에서 배출된 반죽을 히팅부를 통과할 때까지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식 제 1 전송부(40)와, 상기 제 1 전송부(40)에서 낙하한 반죽의 일면을 냉각시키며 이송하되, 제 1 전송부의 반대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식 제 2 전송부(50)와, 상기 제 2 전송부(50)에서 낙하한 반죽의 반대편 면을 냉각시키며 이송하되, 제 2 전송부의 반대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식 제 3 전송부(60)와, 상기 제 3 전송부(60)에서 낙하한 반죽을 가늘고 긴 쌀면으로 자르기 위해 회전하는 원형 롤러 표면에 촘촘한 간격으로 다수의 칼날을 구비한 커팅부(70)와, 상기 커팅부(70)로부터 낙하한 쌀면을 바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8)와, 동력을 요하는 구성 장치들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모터와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동력부(90)와, 상기 동력부의 작동 및 속도 조절과, 히팅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100) 및, 구성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본체(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믹싱부(10)는 쌀가루를 물과 섞기 위해 중공부에 설치되고 판형상의 회전하는 날개와 회전축을 구비한 믹싱날개(11)와, 상기 믹싱날개(11)의 회전축에 연장되어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부(9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상기 믹싱날개로 전달하는 믹싱기어(12)와, 반죽을 수용하는 믹싱부 하우징(13) 및 상기 믹싱부 하우징(13)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전송부(40)의 벨트 위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믹싱된 반죽을 배출하기 위한 반죽 배출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께필터(21)는 상기 막음판 전단부에 스팀을 차단하기위한 스팀차단판(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팅부(30)는 스팀을 가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고, 내부의 열을 바깥과 차단하기 위해 히팅부 하우징(31) 및 히팅부 커버(32)를 구비하되, 상기 히팅부 하우징(31)은 상기 제 1 전송부를 에워싸며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 하우징(31)의 믹싱부(10)쪽 방향은 반죽과 제 1 전송부(4)의 벨트가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구(311)가 형성되고, 진입구(311)의 반대 방향에는 열을 함유한 반죽과 제 1 전송부(4)의 벨트가 나올 수 있도록 배출구(312)가 형성되며, 상기 히팅부 하우징(31)의 내부 바닥에는 열선(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히팅부 하우징(31)은 배출구(312)가 형성된 방향의 하단 외측면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죽 분리부재(313)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히팅부 하우징(31)의 하단에는 수분 배출구(3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전송부(40), 제 2 전송부(50) 및 제 3 전송부(60)는 전송벨트(41)(51)(61)와 롤러(42)(52)(62)를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구성되며, 전송벨트의 일측은 롤러의 축이 연장되어 상기 동력부(9)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43)(53)(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송벨트(41)(51)(61)는 테프론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부(70)는 반죽을 가는 면으로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칼날(71)과, 상기 원통형 칼날과 맞닿아 회전하는 쌀면 압력롤러(72)와, 상기 동력부(90)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칼날기어(711)와 롤러기어(721)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원통형 칼날(71)은 칼날의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통형 칼날(71)은 칼날의 표면이 하이퍼 코팅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압력롤러(72)는 테프론 제질로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1)는 철제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외곽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111)들을 다수 포함하고, 상기 지주(111)들 중의 일측은 상기 믹싱부(10)를 지지하고, 횡방향으로 한 쌍의 제 1 보(112), 제 2 보(113) 및 제 3 보(114)가 각각 평형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송부(40), 제 2 전송부(50) 및 제3 전송부(60)를 수평으로 지지하고, 하부에는 상기 지주(111)들과 커팅부(70)와 배출부(80)를 지지하기 위한 하단보(115)가 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단보(115)의 하단은 이동을 위한 캐스터(1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는 수분이 많은 반죽의 가열 공정과 냉각 공정을 적절히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공정을 제공함으로써 건식 방법에 의해 구현하기 어려운 쌀면의 점성을 높이고 쫄깃쫄깃한 질감을 더해 품질 높은 쌀 생면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두께필터와 가열 공정을 통해 습식 반죽의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어 최종 가공된 면의 외관상의 품질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는 위에서 아래로의 반죽의 이동과정을 통해 가공에 필요한 모든 공정 자동으로 거치게 되므로 작업자의 노동력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공정을 위한 경로가 단일 장치 내에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반죽에서 커팅까지 한 장치 내에서 마칠 수 있어 설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캐스터 등을 부가함으로써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좌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믹싱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께필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늘 두께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히팅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투시도,
도 7은 도 5의 B-B를 절단한 히팅부의 평면 절단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우측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의 공정에 있어서 반죽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크게 반죽을 하기 위한 믹싱부(10)와, 반죽을 마치 원단처럼 얇게 펼치기 위한 두께필터(20)와, 얇게 펼쳐진 반죽에 스팀을 가하기 위한 히팅부(30)를 포함하고, 얇게 펼쳐진 반죽을 믹싱부에서 부터 커팅부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공정을 가하며 이송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3 전송부(40)(50)(60)와, 상기 반죽을 가늘고 긴 쌀면 모양으로 자르기 위한 커팅부(70), 그리고 커팅된 쌀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80)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에 대해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모터와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동력부(90)와, 상기 동력부의 작동/정지, 속도 조절, 그리고 히팅부(2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제어부(100)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단단히 지지하기 위한 본체(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는 건식이 아닌 습식 반죽을 이용하여 쌀면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공 전 단계에서 생쌀을 물에 불려 이용하며, 타 공정에 비하여 초기 반죽할 때 물 함량이 기존 면 반죽의 10배 정도 많은 비율로 배합을 한다. 쌀을 맷돌 방식으로 간 쌀가루와 물을 1:1의 비율로 반죽을 하며 압축 방식이 아닌 반죽이 자연스럽게 흘러 가열과 냉각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방식이다. 쌀가루와 물을 배합할 때 물이 많을 경우 벨트 옆으로 흘러내릴 우려가 있고, 물 함량이 너무 적으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배합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믹싱부(10)는 쌀가루와 물의 적절한 배합은 물론 습식 반죽의 침전 현상을 막기 위해 적절한 구조를 가져야 하는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박스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판 형상의 회전 날개와 회전축을 구비한 믹싱날개(11)를 구비하며, 상기 믹싱날개(11)의 회전축에 연장되어 외부에 설치되며, 동력부(90)와 연결된 체인 등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믹싱기어(12)와 박스를 이루기 위한 믹싱부 하우징(13)을 포함한다. 또한, 믹싱날개(11)의 회전을 통해 쌀가루와 물이 적절히 배합된 습식 반죽을 제 1 전송부의 전송벨트(41) 상에 배출하기 위한 반죽 배출구(14)가 관의 형태로 상기 믹싱부 하우징(13) 하단에 설치되어 제 1 전송부의 전송벨트 상부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제조하는 습식 반죽은 물의 표면 장력을 이용하므로 얇게 펼치면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열을 가하기 전단계에 1차적으로 반죽을 얇게 펼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얇게 펼쳐진 반죽은 가열과 냉각 과정을 거쳐 커팅부에 이를 때까지 제 1 내지 제 3 전송부의 전송벨트 위에 마치 원단모양의 얇은 길게 연결된 반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필터(20)를 포함한다. 두께필터는 일정한 높이 이상의 반죽은 통과하지 못하고 밀려서 뒤로 갈 수 있도록 제 1 전송부 전송벨트(41)를 가로질러 길게 형성된 막음판(21)을 구비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2)를 포함한다. 반죽은 제 1 전송부 전송벨트(41)와 상기 막음판(21) 사이에 형성된 얇고 긴 틈을 통해 일정한 두께로 펼쳐지며 이동을 하게 된다.
도 5는 두께필터(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막음판(21) 전단부에 길고 다소 폭이 넓은 스팀차단판(23)이 비스듬하게 결합 된다. 본 구성이 필요한 이유는 믹싱박스로부터 반죽과 함께 배출되는 스팀이 두께필터에 전달되어 두께필터가 열을 함유하게 되면, 일정시간 후 반죽이 필터에 달라붙어 면의 두께가 일정하게 나오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날개형 필터를 추가함으로써 1차 열 전달을 막아서 쌀면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스팀차단판(23)은 철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용접, 나사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6는 히팅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를 절단한 히팅부의 평면 절단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부(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히팅부는 상기 두께필터(20)를 통과한 반죽을 스팀을 통해 두께 약 0.1~0.15cm로 만들기 위한 구성으로, 스팀을 가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고, 내부의 열을 바깥과 차단하기 위해 히팅부 하우징(31) 및 히팅부 커버(32)를 구비하되, 상기 히팅부 하우징(31)은 제 1 전송부를 에워싸며 형성된다. 상기 히팅부 하우징(31) 양측단에는 제 1 전송부 전송벨트(41)와 반죽이 들어가고 나올 수 있도록 진입구(311)와 배출구(312)가 상기 제 1 전송부 전송벨트의 폭 이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스팀 내부의 온도는 97℃ 정도에서 ±0.5℃ 내외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 하우징(31)에는 필요에 따라 배출구(312)가 형성된 방향의 하단 외측면에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죽 분리부재(313)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데워진 쌀반죽이 매우 찰지기 때문에 제 1 전송부의 전송벨트(41) 표면에서 분리를 돕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 1 전송부는 컨베이어 벨트식 전송방식으로 전송벨트(41)와, 롤러(42) 및 동력전달을 받기 위한 기어(4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송부는 히팅공정을 보조하기 위한 구성으로 냉각 공정을 수행하는 제 2 및 제 3 전송부와 역할에서 차이가 있다.
면이 가열되어 나오면 면에 열이 발생하는데, 면을 뜨거운 상태에서 절단을 하면 면이 끊어지고 면과 면이 달라붙어 생면의 특징이 없어진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동안 냉각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믹싱부(10)에서 지속적으로 반죽이 배출되고 히팅부를 통해 반죽이 나오므로 냉각공정은 약 2~3분정도의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면을 고르게 냉각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방식의 이송을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도 1, 2 , 8 내지 11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는 히팅 과정에서 벨트에 접했던 면을 먼저 냉각하기 위한 제 2 전송부와 제 2 전송단계에서 냉각된 반대쪽 면을 냉각하기 위한 제 3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및 제 3 전송부는 상기 제 1 전송부와 같은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전송벨트(51)(61)와, 롤러(52)(62) 및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53)(63)를 각각 포함한다. 냉각과정은 필요에 따라 냉각 팬과 같은 부가적 요소를 외부에 설치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에 부설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내지 3 전송부의 전송벨트(41)(51)(61)의 재질은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지만, 테프론 재질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테프론은 통기성이 좋아 가열공정에서 하단 면에 스팀을, 냉각공정에는 바람을 쐬기 좋기 때문이다.
상기 냉각공정까지 거친 반죽은 제 3 전송부에서 커팅부(70)로 떨어져 가늘고 긴 생면의 형태로 가공이 된다. 커팅부(70)에는 떨어진 반죽을 자르기 위한 칼날을 구비하되 계속적인 작업을 위해 원동형의 외주면에 다수의 칼날이 구비된 원통형 칼날(71)을 구비하고 반죽을 칼날에 압착하기 위한 압력롤러(72)를 포함하여 서로 맞닿아 회전하며 면을 가공한다. 동력을 전달 받기 위한 칼날기어(711)와 롤러기어(721)가 각각 구비되어 동력부(90)로 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한다.
상기 원통형 칼날(71)은 종래 주로 이용되던 형태는 원주를 따라 둥글게 형성된 다수의 칼날들로 떨어지는 반죽을 진행방향과 같은 세로 방향 커팅 방식을 취할 수도 있겠으나, 쌀 성분은 매우 찰기가 높아 잘 달라붙기 때문에 세로방향의 커팅 보다는 가로 방향의 커팅이 더 유리하다. 따라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칼날이 매우 촘촘하게 평형 배열되면서 원동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으로 길게 형성된 칼날, 소위 칠절기어 방식의 칼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칼날들은 면이 칼날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칼날 표면에 하이퍼 코팅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원통형 칼날(71)과 맞닿아 회전하는 압력롤러(72)에 면이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 표면에는 상기 전송부에 적용된 기술인 테프론 재질의 코팅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배출부(80)는 커팅부(70)에서 가공된 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의 받침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서 벨트 방식을 이용해 편리하게 바깥으로 배출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동력부(90)는 믹싱부(10), 제 1 내지 제3 전송부(40)(50)(60), 커팅부(70) 및 배출부(8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주로 모터와 동력전달 체인 또는 벨트로 구성된다.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부(10)와 제 1 내지 제3 전송부(40)(50)(60)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동력모터(911) 및 제 1 동력전달부(912)와, 커팅부(70)와 선택적으로 배출부(80)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동력모터(921) 및 제 2 동력전달부(922)로 이원화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바 이는 면이 전송되는 속도와 커팅 되는 속도가 일치되면 면이 뭉칠수 있기 때문에 커팅속도가 약 5% 정도 빠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속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에 이물질이 끼지 않고 원활하게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동력전달부 하우징(913)(923)을 부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모터에 전원 공급과 속도 조절 및 히팅부의 열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공지의 적절한 회로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쌀면 제조 장치의 본체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체(11)는 단순하면서도 견고하게 철제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외곽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111)들을 다수 포함하고, 상기 지주(111)들 중의 일측은 상기 믹싱부(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횡방향으로는 제 1 내지 제 3 전송부(40)(50)(60)를 지지하기 위하여, 횡방향으로 한 쌍의 제 1 보(112), 제 2 보(113) 및 제 3 보(114)가 각각 평형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지주(111)들과 커팅부(70) 및 배출부(80)를 지지하기 위한 하단보(115)가 사면으로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보(115)의 하단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116)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 방식의 본체는 통기성을 높여 냉각 공정을 원활하게 하고, 제조공정을 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하며,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1은 쌀면에 제조되는 과정에서 반죽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화살표 A는 믹싱부(10)의 반죽 배출구(14)에서 나온 반죽이 히팅부(20)로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고, 화살표 B는 제 1 전송부에서 제 2 전송부로 떨어져 가열공정에서 냉각 공정으로 바뀌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화살표 C는 반죽이 일면이 냉각과정을 거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고, 화살표 D는 제2 전송부에서 떨어져 다른 면을 냉각하기 위해 반죽의 진행방향과 노출면을 바꾸는 공정의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화살표 E는 반죽의 다른 면이 냉각과정을 거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고, 화살표 F는 반죽이 제 3 전송부에서 커팅부로 떨어져 면 가공 공정으로 바뀌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고, 화살표 G는 가공된 면이 배출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위와 같은 경로로 반죽이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말단과 반죽을 넘겨받는 다음 구성요소 시작단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 3 전송부에서 떨어진 반죽은 커팅부(70)의 원통형 칼날(71)과 압력롤러(72)가 맞닿는 라인에 정확히 떨어질 수 있도록 제 3 전송부(60)와 커팅부(70)가 각각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상기 내용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은 물론 그와 균등한 범위에까지 미칠 수 있다 할 것이다.
10: 믹싱부 11: 믹싱 날개
12: 믹싱 기어 13: 믹싱부 하우징
14: 반죽 배출구
20: 두께 필터 21: 막음판
22: 막음판 지지대 23: 스팀차단판
30: 히팅부 31: 히팅부 하우징
32: 히팅부 커버 33: 열선
311: 진입구 312: 배출구
313: 반죽 분리 부재 314: 수분 배출구
40: 제 1 전송부 41: 제 1 전송부 전송벨트
42: 제 1 전송부 롤러 43: 제 1 전송부 기어
50: 제 2 전송부 51: 제 2 전송부 전송벨트
52: 제 2 전송부 롤러 53: 제 2 전송부 기어
60: 제 3 전송부 61: 제 3 전송부 전송벨트
62: 제 3 전송부 롤러 63: 제 3 전송부 기어
70; 커팅부 71: 원통형 칼날
711: 칼날 기어 72: 압력 롤러
721: 롤러 기어
80: 배출부
90: 동력부 911: 제 1 동력모터
912: 제 1 동력전달부 921: 제 2 동력모터
922: 제 2 동력전달부
100: 제어부
110: 본체 111: 지주
112: 제 1 보 113: 제 2 보
114: 제 3 보 115: 하단보
116: 캐스터

Claims (15)

  1. 본체 최상단에 설치되어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한 박스로 형성되어 중공부에서 쌀과 물이 배합된 반죽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믹싱부와,
    상기 믹싱부로부터 배출된 반죽이 히팅부에 들어가기 전단계에서 제 1 전송부 벨트위에서 반죽을 얇게 펼쳐서 통과되게 하기 위해 폭 방향으로 얇고 긴 틈을 형성하되, 반죽의 일정한 높이 이상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도록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막음판 하단으로 얇고 긴 틈을 형성하는 두께필터와,
    상기 두께필터에 의해 얇게 펼쳐진 반죽이 박스를 통과할 때 내부에서 스팀으로 이를 가열하되, 열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게 하우징으로 박스를 형성한 히팅부와,
    상기 믹싱부에서 배출된 반죽을 히팅부를 통과할 때까지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식 제 1 전송부와,
    상기 제 1 전송부에서 낙하한 반죽의 일면을 냉각시키며 이송하되, 제 1 전송부의 반대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식 제 2 전송부와,
    상기 제 2 전송부에서 낙하한 반죽의 반대편 면을 냉각시키며 이송하되, 제 2 전송부의 반대 방향으로 반죽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식 제 3 전송부와,
    상기 제 3 전송부에서 낙하한 반죽을 가늘고 긴 쌀면으로 자르기 위해 회전하는 원형 롤러 표면에 촘촘한 간격으로 다수의 칼날을 구비한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로부터 낙하한 쌀면을 바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와,
    동력을 요하는 구성 장치들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모터와 동력전달부를 구비한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작동 및 속도 조절과, 히팅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 및,
    구성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는 쌀가루를 물과 섞기 위해 중공부에 설치되고 판형상의 회전하는 날개와 회전축을 구비한 믹싱날개와, 상기 믹싱날개의 회전축에 연장되어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상기 믹싱날개로 전달하는 믹싱기어와, 반죽을 수용하는 믹싱부 하우징 및 상기 믹싱부 하우징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전송부의 벨트 위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믹싱된 반죽을 배출하기 위한 반죽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필터는 상기 막음판 전단부에 스팀을 차단하기위한 스팀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스팀을 가하기 위한 물을 수용하고, 내부의 열을 바깥과 차단하기 위해 히팅부 하우징 및 히팅부 커버를 구비하되, 상기 히팅부 하우징은 상기 제 1 전송부를 에워싸며 형성되고, 상기 히팅부 하우징의 믹싱부쪽 방향은 반죽과 제 1 전송부의 벨트가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구가 형성되고, 진입구의 반대 방향에는 열을 함유한 반죽과 제 1 전송부의 벨트가 나올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히팅부 하우징의 내부 바닥에는 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 하우징은 배출구가 형성된 방향의 하단 외측면에는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죽 분리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 하우징의 하단에는 수분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송부, 제 2 전송부 및 제 3 전송부는 전송벨트와 롤러를 구비한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구성되며, 전송벨트의 일측은 롤러의 축이 연장되어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벨트는 테프론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반죽을 가는 면으로 가공하기 위한 원통형 칼날과, 상기 원통형 칼날과 맞닿아 회전하는 쌀면 압력롤러와, 상기 동력부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칼날기어와 롤러기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칼날은 칼날의 방향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칼날은 칼날의 표면이 하이퍼 코팅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롤러는 테프론 제질로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철제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외곽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들을 다수 포함하고, 상기 지주들 중의 일측은 상기 믹싱부를 지지하고, 횡방향으로 한 쌍의 제 1 보, 제 2 보 및 제 3 보가 각각 평형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송부, 제 2 전송부 및 제3 전송부를 수평으로 지지하고, 하부에는 상기 지주들과 커팅부와 배출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단보가 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보의 하단은 이동을 위한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면 제조 장치.
KR1020150116245A 2015-08-18 2015-08-18 쌀면 제조 장치 KR101810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45A KR101810852B1 (ko) 2015-08-18 2015-08-18 쌀면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45A KR101810852B1 (ko) 2015-08-18 2015-08-18 쌀면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629A KR20170021629A (ko) 2017-02-28
KR101810852B1 true KR101810852B1 (ko) 2017-12-26

Family

ID=5854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245A KR101810852B1 (ko) 2015-08-18 2015-08-18 쌀면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7028B (zh) * 2017-07-19 2019-10-22 东阳市新意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小型家用自动压面条机
KR102004895B1 (ko) * 2017-09-25 2019-07-29 김칠현 면 제조 장치
CN108739906A (zh) * 2018-08-24 2018-11-06 连云港飞燕食品有限公司 具有分切功能的和面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76B1 (ko) * 2011-03-02 2011-09-22 주식회사 우리면 쌀국수 제조설비
KR101150015B1 (ko) 2009-11-10 2012-05-31 이병철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가열장치
KR101367643B1 (ko) * 2012-03-29 2014-02-27 한국식품연구원 쌀면발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쌀면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221B1 (ko) 1994-06-22 2001-06-01 윤종용 방방제어기를 이용한 위치제어장치
KR100851360B1 (ko) 2008-05-30 2008-08-08 최종묵 쌀면 제조장치
KR200447704Y1 (ko) 2009-04-03 2010-02-12 최종묵 이송이 가능한 반죽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015B1 (ko) 2009-11-10 2012-05-31 이병철 쌀국수 제조용 쌀박막 가열장치
KR101066976B1 (ko) * 2011-03-02 2011-09-22 주식회사 우리면 쌀국수 제조설비
KR101367643B1 (ko) * 2012-03-29 2014-02-27 한국식품연구원 쌀면발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쌀면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629A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3066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формование и охлаждение жевательной резинки
KR101810852B1 (ko) 쌀면 제조 장치
KR102082543B1 (ko) 식품의 바닥부를 코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226401B2 (en) Gum manufacturing system with loafing and conditioning features
US20130055907A1 (en) Spiral gas-solids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JPH07100021B2 (ja) 食品を粒状材料で被覆する設備および方法
JP2019037247A (ja) プロセス及び包装を改善する極めて効率的な粉末コーティング方法
KR102004895B1 (ko) 면 제조 장치
JPH03224455A (ja) 穀類フレーク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16042797A (ja) 食品用真空押出成型装置
KR101837472B1 (ko) 쌀면 제조 장치
CN111011409B (zh) 一种不需要馍盒的馍片成型工艺及其设备
CA2151249A1 (en)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layered cakes
EP3005882B1 (en) Cooked rice de-clumping method and de-clumping device
KR20190017212A (ko) 곡물 코팅장치
US6811293B1 (en) Mixer-kneader for dough making
KR20220140278A (ko) 분말식품 이송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JPH10327742A (ja) パン生地の焼成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800550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uding confectionery products
KR20130096272A (ko) 식품 제조시 성분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503514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Elongate, Strip-Shaped Bodies and for Producing Baked Products
UA89730C2 (uk) Автоматизована лінія для виробництва тонкого вірменського лаваша
RU267939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ого копчения дисперсных продуктов в пересыпающемся слое
JP2005124452A (ja) クレープフレーク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RU16688U1 (ru)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с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