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398B1 -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398B1
KR101810398B1 KR1020150016258A KR20150016258A KR101810398B1 KR 101810398 B1 KR101810398 B1 KR 101810398B1 KR 1020150016258 A KR1020150016258 A KR 1020150016258A KR 20150016258 A KR20150016258 A KR 20150016258A KR 101810398 B1 KR101810398 B1 KR 10181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velcro
center housing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294A (ko
Inventor
정종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1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3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9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05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ra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이탈 기능을 구비한 비상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 혹은 항공기의 격벽 외벽에 구비된 센터 하우징(100)과, 상기 센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 스크롤(105)과, 상기 센터 하우징(100)의 일측면 외벽에 구비된 해치(110)와, 상기 해치(110)의 대응된 양 측단에 구비된 서보(111)와, 상기 센터 하우징(100)의 내측 격벽에 구비된 봄베(150)와, 상기 봄베(150)와 스크롤(105)은 각각 호스(155)의 양 측단 끝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센터 하우징(100)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브래킷(10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 자동 이탈기능이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가 구비되고,
배터리(250)가 상시 전류와 입력신호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선체 혹은 항공기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게 되면 기울기 센서(210)가 타이머 센서(220)에 입력신호를 보내고, 타이머 센서(220)가 임계시간을 돌파하면 상기 타이머 센서(220)는 게이트(211)로 입력 신호를 전달하고, 게이트(211)는 상기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신호가 해치(110)를 이탈 개방하도록 지시하면서 솔레노이드(160)를 동시에 작동시켜 봄베(150)에 있던 공기를 통해 스크롤(105)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비상 슬라이드 장치가 어디에 있는지 사용자들이 확실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편 위기상황을 스스로 판별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람들을 신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작동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Evacuation slide with tilt sensor}
본 발명은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기울기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팽창되는 비상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운송 수단 및 건물 내외에서 뜻 밖의 재난이 발생했을 시 대부분 사고가 난 운송수단에서 탈출을 해야만 생존 가능성이 있으며, 구조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의 탈출이 매우 중요시되게 되었고,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와 방법들이 발명되거나 고안되었다.
그 중에서 전개형 슬라이드 장치는 다른 구조 수단보다도 신속하게 승객들이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 수단을 제공하며, 그 전개 속도 및 방법 또한 간편하여 각종 시설 등에 채택되어 비상 탈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 20-0183935호에 기술되어 있는 인명구조용 비상 슬라이드 장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고 있는 장치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당해 기술의 요지는 공기가 주입되어 펴졌을 때,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2개의 원통형 바닥튜브와, 연결부에서 바닥튜브와 둔각을 이루면서 연통되어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경사튜브와, 양단이 상기 각 경사튜브와 연통되어 있고 미끄럼 방향으로 2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아치형 튜브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치형 튜브와 상기 2개의 경사튜브를 서로 부착 연결시키는 슬라이드덮개와, 상기 나란히 형성된 2개의 경사튜브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바닥튜브의 상면에 부착되기 위해 상기 연결부 근방에서 꺽여지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튜브의 미끄럼방향 양단부(상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배기밸브, 주입밸브 및 오버밸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기술의 특성상 안에서 밖으로 슬라이드를 펼치어야 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직접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누르기엔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슬라이드 장치가 위급한 상황에서 어디에 있는지 모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비상 슬라이드 장치가 어디에 있는지 사용자들이 확실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편 위기상황을 스스로 판별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람들을 신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비상 슬라이드 장치를 얻고자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슬라이드 장치는 센터 하우징, 상기 센터 하우징 내부의 스크롤, 봄베, 상기 하우징 외벽의 해치, 상기 해치의 대응된 양 측단에 구비된 서보, 상기 봄베와 스크롤을 연결시키는 호스, 상기 호스 일측단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센터 하우징 내주면에 구비된 제어센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은 내주면의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외주면의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센터는 기울기 센서, 타이머 센서, 배터리, 및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해치 일측단 또는 튜브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는 벨크로, 상기 벨크로에 부착된 벨크로 분리 링 및 상기 벨크로 및 벨크로 분리 링을 연결하는 벨크로 링 연결 로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다수의 보강튜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튜브의 일측 말단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하우징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브래킷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는 기울기 센서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것을 감지하는 제 1단계, 기울기 센서에서 타이머 센서로 신호를 발송하는 제 2단계, 타이머 센서가 상기 입력받은 신호가 임계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측정하는 제 3단계, 입력 신호가 임계시간 이상 지속시 상기 타이머 센서가 게이트로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제 4단계, 상기 게이트가 상기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제 5단계,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한 해치가 이탈 개방되는 제 6단계 및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한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 봄베에 저장되어 있던 공기를 스크롤에 주입하여 팽창시키는 제 7단계로 작동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원 발명에 의하면 비상 슬라이드 장치가 어디에 있는지 사용자들이 확실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편 위기상황을 스스로 판별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람들을 신속히 구조할 수 있도록 작동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00)가 해치(110)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터 하우징(100)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터 하우징(100)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00)가 센터 하우징(100)으로부터 이격된 모습을 도사한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플레이트(300)의 일부분 하면을 도시한 실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해치(110)가 개방되어 스크롤(105)이 센터 하우징(100)으로부터 전개되는 모습을 도시한 실제 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롤(105)이 완전 개방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300)가 된 모습을 도시한 실제 실시도.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있어서 도면과 실시예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 플레이트(300)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00)의 외주면에 구비된 튜브(301)가 선체나 항공기의 기울기에 의해 도 7과 같이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하며, 센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 기울기 센서(210)가 기울기를 인지하도록 하여 게이트(211)의 제어에 의해 이상과 같은 기능이 실현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보다 상세히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 혹은 항공기의 격벽 외벽에 구비된 센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스크롤(105)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 하우징 일측면 외벽에 해치(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크롤(105)은 전개 후 내주면은 슬라이딩 플레이트(300)로, 그 외주면이 튜브(301)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롤(105)은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 끝단이 상기 센터 하우징(100)의 내측 격벽에 구비된 봄베(150)와 연결 되어있고, 상기 봄베(150)와 스크롤(105)은 각각 호스(155)의 양 측단 끝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봄베(150)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155)의 일측단 끝 부분에는 솔레노이드(16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솔레노이드(160)와 이격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센터 하우징(100)의 내주면 일측단에 구비된 제어 센터(200)로 상기 솔레노이드(160)의 움직임을 통제한다.
제어 센터(200)는 그 내부에 기울기 센서(210), 타이머 센서(220), 배터리(250), 게이트(211)를 내장하고 있고, 배터리(250)가 상시 전류와 입력신호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선체나 항공기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게 되면 상기 기울기 센서(210)는 타이머 센서(220)에 입력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선체나 항공기가 일정 시간동안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 동시에 타이머 센서(220)가 임계시간을 돌파하고, 타이머 센서(220)는 게이트(211)로 입력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게이트(211)는 이상과 같이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변환하고, 그 후 출력신호는 상기 해치(110)의 대응된 양 측단에 구비된 서보(111)를 통해 해치(110)를 이탈 개방하도록 지시하는 한 편 솔레노이드(160)를 동시에 작동시켜 봄베(150)에 있던 공기를 통해 스크롤(105)에 공기를 주입한다.
스크롤(105)은 전개 후 해치(110)가 개방되면서 선체 혹은 항공기의 일측 외부 격벽에 스크롤(105)이 이격되도록 한다.
선체 혹은 항공기의 일측 외부 격벽으로 이격된 스크롤(105)은 외주면이 튜브(301)가 되고, 내주면이 슬라이딩 플레이트(300)가 되며, 상기 해치(110)의 일측단 끝 부분과 인접된 튜브(301)의 외주면 일측에는 벨크로(311,311`)가 상호 구비되므로, 튜브(301)와 해치(110)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 편, 벨크로(311)는 해치(110)의 일측단 끝 부분에 구비된 벨크로(311)와, 튜브(301)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벨크로(3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벨크로 분리 손잡이 링(312,312`)이 각각 구비되는데, 재 사용을 위해 상기 벨크로 분리 손잡이 링(312,312`)과, 벨크로(311`)의 일측단 끝 부분에 각각 대응하여 벨크로 링 연결 로프(313,313`)가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구비된 벨크로 분리 손잡이 링(312,312`)은 벨크로(311,311`)의 분리를 가능하도록 하는데, 해치(110)의 일측단 끝 부분에 구비된 벨크로(311)는 벨크로 분리 손잡이 링(312)이 부착되고, 튜브(301)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벨크로(311`)는 또 다른 벨크로 분리 손잡이 링(312`)이 부착되므로, 사용자가 상호 대응 이격된 벨크로 분리 손잡이 링(312,312`)을 잡고 떼어내면 튜브(301)와 해치(110)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상과 같이 이격된 튜브(301)가 선체에 설치된 것이라면 다수의 사용자가 손이나 노(109)를 저어 난파 선박으로부터 멀리 벗어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비된 슬라이딩 플레이트(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사용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하단에 다수의 보강 튜브(302)를 구비하도록 한다.
한 편,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사고 현장으로부터 이탈 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300)와, 튜브(301)의 대응된 일측단 끝 부분은 라운딩 되어있도록 하고, 센터 하우징(100)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브래킷(101)이 구비되도록 하여 평상시 선박과 항공기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기울기 센서 자동 이탈기능이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바 특허 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하며, 그 실시범위는 당업자가 본 원 기술로부터 자명한 개선을 할 수 있는 범위에 까지 미칠 수 있도록 한다.
100 : 센터 하우징 101 : 브래킷
105 : 스크롤 110 : 해치
111 : 서보 150 : 봄베
155 : 호스 160 : 솔레노이드
200 : 제어 센터 210 : 기울기 센서
211 : 게이트 220 : 타이머 센서
250 : 배터리 300 : 슬라이딩 플레이트
301 : 튜브 302 : 보강튜브
311,311` : 벨크로 312,312` : 벨크로 분리 링
313,313` : 벨크로 링 연결 로프

Claims (6)

  1. 센터 하우징; 상기 센터 하우징 내부의 스크롤; 봄베; 상기 하우징 외벽의 해치; 상기 해치의 대응된 양 측단에 구비된 서보; 상기 봄베와 스크롤을 연결시키는 호스; 상기 호스 일측단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센터 하우징 내주면에 구비된 제어센터;를 포함하는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은:
    내주면의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외주면의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센터는:
    기울기 센서; 타이머 센서; 배터리; 및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해치 일측단과 튜브 외주면 일측에 상호 구비되는 벨크로; 상기 벨크로에 부착된 벨크로 분리 링; 및 상기 벨크로 및 벨크로 분리 링을 연결하는 벨크로 링 연결 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하단에 다수의 보강 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튜브의 일측 말단은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하우징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브래킷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5.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기울기 센서를 통해 함정이나 항공기의 현재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1단계;
    측정된 기울기와 미리 설정한 기울기를 비교하는 제2단계;
    측정된 기울기가 미리 설정한 기울기를 초과하면 기울기 센서에서 게이트와 타이머 센서로 제1신호를 발송하는 제3단계;
    타이머 센서에서 상기 제1신호의 지속시간과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을 비교하는 제4단계;
    상기 제1신호의 지속시간이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타이머 센서에서 게이트로 제2신호를 발송하는 제5단계;
    제1신호와 제2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면 게이트에서 출력신호를 발송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비상 슬라이드 장치가 작동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비상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 방법.
  6. 삭제
KR1020150016258A 2015-02-02 2015-02-02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KR10181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58A KR101810398B1 (ko) 2015-02-02 2015-02-02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58A KR101810398B1 (ko) 2015-02-02 2015-02-02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294A KR20160095294A (ko) 2016-08-11
KR101810398B1 true KR101810398B1 (ko) 2017-12-20

Family

ID=5671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258A KR101810398B1 (ko) 2015-02-02 2015-02-02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017B1 (ko) * 2019-03-06 2019-10-08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인명구조용 소방 안전 공간 확보장치
KR102454296B1 (ko) * 2021-07-14 2022-10-17 대한민국 비상탈출 대피유도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4696A1 (en) * 2002-10-17 2004-04-22 Goodrich Corporation Extensible evacuation sli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4696A1 (en) * 2002-10-17 2004-04-22 Goodrich Corporation Extensible evacuation sl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294A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74520B1 (en) Bobbin for automatic inflator
KR101810398B1 (ko) 기울기 센서가 구비된 비상 슬라이드 장치
KR101834496B1 (ko) 무인 비행체 용 구조 튜브 장치
KR20160095297A (ko) 구명벌의 자동 탈착 및 이를 이용한 완전 자동 구명벌 작동 시스템
JPH08502704A (ja) 船用救命筏の改良
WO2019098478A1 (ko) 인명 구조용 자동 전개 튜브 및 이를 운반하는 드론
US9415847B2 (en) Man-overboard rescue and retrieval system
KR20170101644A (ko) 원격 및 수동제어가 가능한 투하식 팽창형 구명보트
KR101797848B1 (ko) 휴대형 팽창 비상 사다리
KR101680700B1 (ko) 휴대용 투척식 구명 장치
CN102935270A (zh) 一种高楼紧急避险逃生方法及逃生系统
KR101645302B1 (ko) 소화기가 탑재된 인명구조용 케이스
KR101606928B1 (ko)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구명벌의 자동 탈착 장치
WO2005019026A3 (en) Safety device trigger
CN203922392U (zh) 多功能电梯轿厢
CN109229300B (zh) 一种海上救助系统
KR101613713B1 (ko) 조난신호 및 레이저빔 구조 신호 구명벌
KR101561080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 탈출 시스템
KR102151600B1 (ko) 구명정 투하 방법
RU6252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многоэтажных зданий
US9364692B2 (en) Inflatable lifesaving device
CN206896617U (zh) 一种楼房逃生降落伞
JP3215409U (ja) 小型無人航空機の墜落に伴なう事故防止装置
KR102123749B1 (ko) 수중 구조
US9079640B1 (en) System and process for directing actions of a helmsman of a lifeb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