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325B1 -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325B1
KR101810325B1 KR1020160097542A KR20160097542A KR101810325B1 KR 101810325 B1 KR101810325 B1 KR 101810325B1 KR 1020160097542 A KR1020160097542 A KR 1020160097542A KR 20160097542 A KR20160097542 A KR 20160097542A KR 101810325 B1 KR101810325 B1 KR 10181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ser
roaming
identifier
electric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문
김철현
이규제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6009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60L11/1824
    • B60L11/18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충전기에 대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사용자가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충전기와 연동하여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충전기 사용을 허가하는 로밍관리부를 포함하고,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사용자가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 연동하여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충전을 허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는 제1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충전기를 통해 제2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의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충전기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충전기 사용을 허가하는 로밍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SYSTEM FOR ROAMING CHARGE OF ELECTRIC VEHICLE, CHARGER CAPABLE OF ROAMING CHARGE OF ELECTRIC VEHICLE, AND SERVER FOR ROAMING CHARGE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로밍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움직이기 위한 구동 에너지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와 달리 구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이용하는 자동차가 전기차이다.
전기차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배기가스 발생이 전혀 없으며 소음이 적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전기차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내부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최근 들어 전기차가 개발됨에 따라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특정 위치에 구비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충전기 안내 시스템에서는 전기차 사용자에게 충전기의 위치 정보를 안내하여 전기차 사용자가 가까운 충전기를 찾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초기에는 정부 주도의 지원을 통해 전기차 충전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었으며, 충전 요금 없이 무료로 충전기 사용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전기차 사용자는 본인의 차량에 맞는 충전소를 검색하여 자유롭게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무료로 제공되던 전기차의 충전도 최근에는 다양한 충전 서비스 사업자의 등장으로 인해 요금이 부과되고 있으며, 각 사업자 별로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는 고객이 제한되었기 때문에 전기차 사용자 입장에서 이용 가능한 전기차 충전기 인프라가 많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고 제한된 충전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전기차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충전기 인프라를 확장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9593호(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2014.06.27.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충전기를 각각 관리하는 복수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간의 연동을 통해 가입하지 않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는 로밍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전기차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충전기 인프라를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식별자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도 인증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가입하지 않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는 로밍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사용자가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충전기와 연동하여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충전기 사용을 허가하는 로밍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사용자가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 연동하여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충전을 허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는 제1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충전기를 통해 제2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의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충전기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충전기 사용을 허가하는 로밍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충전기를 각각 관리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간의 연동을 통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충전기 인프라를 확장하여 전기차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충전기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식별자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도 가입하지 않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에 의해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에게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에 의해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에게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및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제1충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포함된 예약관리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제1충전기에 포함된 제2제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동에 의해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에게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의해 관리되는 제1충전기(2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차 충전을 위한 로밍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충전기(200)를 관리하며, 제1충전기(200)와 연동하여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라 전기차 충전을 위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한 사용자에 대해서만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로밍 기능을 통해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제2사용자(2)에 대해서도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을 허용함으로써, 특정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만 가입한 사용자가 다양한 충전기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밍관리부(170)를 포함하고, 로밍관리부(17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서 관리하는 제1충전기(200)에 대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제2사용자(2)가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제1충전기(200)와 연동하여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에게 제1충전기(200) 사용을 허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사용자(2)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고,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하고,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되, 사용자 정보는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제2사용자(2)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하되, 제1충전기(200)로부터 식별자, 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구분자에 의해 식별자를 추출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제2사용자(2)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하되, 제1충전기(200)로부터 제1식별자를 수신하고, 제1구분자, 제2식별자, 제2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한 경우, 제2구분자에 의해 제2식별자를 추출하고, 제1구분자에 의해 구분된 제1식별자와 제2식별자를 병합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로밍이 가능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직접 환산하거나,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의 환산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정보는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로밍관리부(170)는 제2사용자(2)의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환산할 수 있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를 진행하고,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하되, 로밍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 충전요금 정보, 및 결제 요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공하여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에서 결제가 진행되도록 하되, 로밍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 충전요금 정보, 및 결제 요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이 실행되도록 한다.
또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충전 예약을 설정하고,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충전 예약 실행 요청 시간별로 상기 설정된 충전 예약을 실행시키는 예약관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제1충전기(200)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제1충전기(200)를 예약하여 이용할 수 있는 예약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최적의 장소에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제1충전기(200)에 포함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대한 오류를 확인하고, 제1충전기(200)의 충전 기능이 정상 동작 가능한 것으로 진단되면, 제1충전기(200)와 연동하여 제1충전기(200)가 충전 실행되도록 하는 진단관리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는 제1충전기(200)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 중 일부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제1충전기(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 충전기 인프라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발생된 오류 정보를 진단하여 제1충전기(200)의 충전 기능만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면 제1충전기(200)와 연동하여 충전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제1충전기(200)와 연동하여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만 가입한 사용자의 제1충전기(200) 사용을 허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충전기(200)에 대한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최적의 시간 및 장소에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여 복수의 제1충전기(200)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충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충전기(20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의해 관리되며 전기차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 연동하여 전기차 충전을 위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1충전기(200)는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250)를 포함하고, 제어부(25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로부터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제2사용자(2)가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인 경우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충전을 허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사용자(2)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경우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2사용자(2)의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고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하여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되, 사용자 정보는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2사용자(2)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직접 판단하거나,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2사용자(2)의 식별자를 판독하고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 식별자를 제공하여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하되, 식별자가 인식 가능한 기준길이와 상이한 경우, 인식된 식별자를 구별하기 위한 구분자를 추가하여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식별자가 기준길이 보다 짧은 경우, 식별자, 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여 기준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식별코드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식별자가 기준길이 보다 긴 경우, 식별자를 기준길이에 따라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로 분할하고, 제1구분자, 제2식별자, 제2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여 기준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제1식별자와 식별코드를 순차적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 제공할 수 있고, 제1구분자는 식별자가 분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고, 제2구분자는 식별자의 종료 지점을 알리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로밍이 가능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환산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직접 환산하고, 환산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경우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의 환산을 요청할 수 있다.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1충전기(20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동에 의해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에게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및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로밍 서버가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였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로밍 서버(50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및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충전기(200) 또는 제2충전기(미도시)에 대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및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의 정보를 관리하도록 연동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를 구비하여 로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충전기 인프라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로밍 서버(500)는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밍제어부(510)를 포함하고, 로밍제어부(51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서 관리되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로밍이 가능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제1충전기(200)와의 연동을 통해 제1충전기(200) 사용을 허가한다.
또한, 로밍제어부(510)는 제2사용자(2)의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하여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되, 사용자 정보는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밍제어부(510)는 로밍이 가능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환산된 충전 정보를 제2사용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로밍제어부(510)는 제1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시스템(400)을 식별하고,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되, 제1충전기(200)로부터 식별자, 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구분자에 의해 식별자를 추출하여 제2전기차 충전 시스템(400)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로밍제어부(510)는 제1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시스템(400)을 식별하고,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되, 제1충전기(200)로부터 제1식별자를 수신하고, 제1구분자, 제2식별자, 제2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한 경우, 제2구분자에 의해 제2식별자를 추출하고, 제1구분자에 의해 구분된 제1식별자와 제2식별자를 병합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전기차 충전 시스템(400)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충전기에 대한 예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에 대해 충전 예약을 설정하고, 설정된 충전 예약에 대한 정보를 선택된 충전기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를 통해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접수되면 충전 예약 실행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와 연동하여 설정된 충전 예약을 실행시키는 예약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충전기로부터 충전기에 포함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기에 포함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대한 오류가 확인되면 충전기의 충전 기능이 정상 동작 가능한지 판단하고, 충전기의 충전 기능이 정상 동작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오류 정보 및 상기 충전기를 통한 충전이 가능함을 안내하고, 충전기와 연동하여 충전기가 충전 실행되도록 하는 진단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 구성들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구축된 서로 다른 복수의 제1충전기(200)와 제2충전기(미도시)를 각각 관리하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및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의 연동을 통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및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각각 로밍관리부를 포함하고, 제1충전기(200)와 제2충전기는 각각 제어부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제2사용자(2)가, 가입하지 않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의해서 관리되는 제1충전기(200)를 이용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로밍 서비스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로밍관리부(170)가 포함되고, 제1충전기(200)에 제어부(250)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도 로밍관리부가 포함되고 제2충전기에도 제어부가 포함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로밍관리부(170)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제2사용자(2)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제1충전기(200)와 연동하여 제1충전기(200) 사용을 허가한다.
구체적으로, 로밍관리부(170)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판독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하여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즉, 제2사용자(2)는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 요청을 접수하면서 소지한 회원 카드를 제1충전기(200)에 인식하게 되므로, 로밍관리부(170)는 해당 회원 카드에서 판독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해 각각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회원 카드에는 각각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대응되는 고유의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제1충전기(200)는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판독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로밍관리부(170)는 사용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충전기(200)로부터 식별자, 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구분자에 의해 식별자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제1충전기(200)로부터 제1식별자를 수신하고, 제1구분자, 제2식별자, 제2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한 경우, 제2구분자에 의해 제2식별자를 추출하고, 제1구분자에 의해 구분된 제1식별자와 제2식별자를 병합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다.
식별자를 통해 사용자가 가입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식별된 경우, 해당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미리 약속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인 경우 제2사용자(2)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제1충전기(200)를 통해 판독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유효하게 가입한 상태인 경우 즉, 가입 기간 내의 유효한 사용자인 경우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로밍이 가능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환산된 충전 정보를 제2사용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따라서 단위 용량당 부과하는 충전요금이나 결제수단과 같은 요금 정책이 상이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충전용량에 대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별 충전요금이 상이할 수 있고, 결제수단이 현금이나 마일리지와 같이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별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로밍관리부(170)는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른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제2사용자(2)는 자신이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른 충전 정보는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충전 요청과 함께 희망하는 충전용량, 희망하는 충전시간 및 희망하는 충전요금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은 사용자의 충전용량에 대응되는 충전요금을 안내하거나 사용자의 충전시간 또는 충전요금에 대응되는 충전용량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로밍관리부(170)는 제2사용자(2)의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환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환산된 충전 정보의 제공은 로밍관리부(170)가 모바일앱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제2사용자(2)에게 직접 제공하는 경우, 또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제2사용자(2)에게 제공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이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 미리 약속된 환산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해당 환산 정보에 기초하여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이 직접 제2사용자(2)의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산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경우,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2사용자(2)의 충전 정보를 환산하여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전달하고, 해당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환산하여 제공하도록 요청한다.
또한, 로밍관리부(170)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결제 정보 중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사용자(2)는 로밍을 통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관리되는 모든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한데,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서 관리되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제2사용자(2)가 충전을 진행함으로 인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이 결제를 처리할 경우 제2사용자(2)는 자신의 마일리지와 같이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만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밍관리부(170)는 제2사용자(2)의 요청에 따라 결제를 진행할 때,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제2사용자(2)가 자신이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통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환산된 충전 정보가 제공되면 제2사용자(2)는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결제를 요청하게 되므로, 로밍관리부(170)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결제 정보를 제공하되, 불필요한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밍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제공한다.
즉,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로 다른 사업자에 해당하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연동해야 하는데, 연동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가 송수신되어야 하므로 각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보안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결제 정보 중에서 로밍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로밍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 충전요금 정보 및 결제 요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결제를 진행해야 하는데, 회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대해 결제를 진행해서는 안 되므로 회원 가입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식별자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제2사용자(2)가 이용한 충전요금을 알아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제2사용자(2)의 충전요금 정보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회원 가입한 제2사용자(2)의 충전 내역에 따라 회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2사용자(2)의 충전 내역을 누적하여 관리해야 하므로,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 시간 정보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식별자, 충전요금 정보, 및 결제 요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로밍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식별자와 결제 요청 시간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회원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 여부를 확인한다. 즉, 결제를 요청한 사용자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회원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회원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시간에 제2사용자(2)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결제를 요청한 사실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충전요금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의 결제가 가능한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제2사용자(2)에게 상기 충전요금을 결제할 수 있을 정도의 마일리지가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제2사용자(2)의 결제가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2사용자(2)에게 상기 충전요금을 결제할 수 있을 정도의 마일리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이를 제2사용자(2)에게 안내하고, 새롭게 마일리지를 충전할 것을 안내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결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접수된 결제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결제 수단에 따라서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이 직접 제2사용자(2)에 대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로밍관리부(170)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접수되는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 완료 정보 중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함으로써 제2사용자(2)의 충전 내역을 누적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밍관리부(17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직접 또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면, 제2사용자(2)에 대해 제1충전기(200)의 사용을 허가한다.
따라서, 제1충전기(200)는 로밍관리부(170)를 통한 허가 신호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의 전기차 충전을 수행한다.
그리고, 로밍관리부(170)는 전기차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제2사용자(2)가 제1충전기(200)를 실제 이용한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함으로써,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제2사용자(2)의 충전 정보를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2사용자(2)의 상황에 따라서 최초 충전 요청한 충전시간을 모두 채우지 못하고 충전을 종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로밍관리부(170)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2사용자(2)의 실제 충전 정보를 전달하고,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 연동하여 결제를 진행했던 충전요금 중 충전하지 않은 시간에 해당하는 요금을 환불한다.
상기에서는, 제2사용자(2)의 제1충전기(200)를 이용한 충전 요청에 따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의 연동을 통해 로밍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충전기(200)가 직접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충전기(200)의 제어부(25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로부터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충전을 허가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제2사용자(2)의 사용자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하여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즉, 제2사용자(2)는 충전 요청을 접수하면서 소지한 회원 카드를 제1충전기(200)에 인식하게 되므로, 제어부(250)는 해당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해 각각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회원 카드에는 각각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대응되는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제1충전기(200)는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판독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제어부(250)는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식별된 경우, 해당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미리 약속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인 경우 제2사용자(2)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유효하게 가입한 상태인 경우 즉, 가입 기간 내의 유효한 사용자인 경우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어떠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및 어떠한 사용자에게 로밍을 허용할 것인지에 대한 로밍 정책을 알고 있는 경우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직접 판단하고, 로밍 정책을 알지 못하는 경우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250)는 판독된 제2사용자(2)의 식별자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공하여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했는지에 따라서 식별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대응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식별자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공하여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하는 경우, 식별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에서 인식 가능한 기준길이와 상이하면 인식된 식별자를 구별하기 위한 구분자를 추가하여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다양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한 회원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하므로 식별자의 길이와 무관하게 모든 회원 카드에 포함된 식별자를 판독할 수 있지만, 각각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미리 설정된 각각의 기준길이에 해당하는 식별자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판독된 식별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에서 인식 가능한 기준길이 보다 짧은 경우, 식별자, 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여 기준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식별코드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공한다.
그 결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해당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구분자 이후의 식별자는 더미 식별자임을 확인하고, 구분자 이전의 식별자를 통해서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50)는 판독된 식별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에서 인식 가능한 기준길이 보다 긴 경우, 식별자를 상기 기준길이에 따라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로 분할하고, 제1구분자, 제2식별자, 제2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여 기준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제1식별자와 식별코드를 순차적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공한다. 이 때, 제1구분자는 식별자가 분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고, 제2구분자는 식별자의 종료 지점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즉, 식별자를 기준길이에 따라 분할함에 따라 제1식별자는 그 자체로 기준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므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가 제1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지만, 분할된 식별자가 남아 있음을 알려야 하기 때문에 제1구분자를 포함하도록 식별코드를 생성한다. 또한, 제2식별자의 경우 기준길이와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기준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식별코드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제2구분자를 기준으로 더미 식별자를 추가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한다.
그 결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제1식별자에 이어서 식별코드가 제공됨에 따라 제1구분자에 의해서 제1식별자가 분할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고, 제2구분자에 의해서 제2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1식별자와 제2식별자를 병합한 식별자를 통해서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50)는 로밍이 가능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환산된 충전 정보를 제2사용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따라서 단위 용량당 부과하는 충전요금이나 결제수단과 같은 요금 정책이 상이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충전용량에 대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별 충전요금이 상이할 수 있고, 결제수단이 현금이나 마일리지와 같이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별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250)는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른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제2사용자(2)는 자신이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른 충전 정보는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충전 요청과 함께 희망하는 충전용량, 희망하는 충전시간 또는 희망하는 충전요금을 입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충전기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충전용량에 대응되는 충전요금을 안내하거나 사용자의 충전시간 또는 충전요금에 대응되는 충전용량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50)는 제2사용자(2)의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환산하게 된다.
한편,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간에 미리 고정된 환산 비율에 대한 환산 정보가 있고, 제어부(250)가 해당 환산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직접 제2사용자(2)의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산 정보를 알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25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2사용자(2)의 충전 정보를 환산하여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 고정된 환산 비율이 미리 약속되어 있으면 해당 환산 비율에 기초하여 해당 충전 정보를 환산하여 제공한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환산 비율이 약속되어 있지 않으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2사용자(2)의 충전 정보를 전달하고 해당 충전 정보를 환산하여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결제 정보 중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환산된 충전 정보가 제공되면 제2사용자(2)는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결제를 요청하게 되므로, 제어부(25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결제 정보를 제공하되,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결제를 요청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밍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제공한다.
즉,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로 다른 사업자에 해당하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의 제1충전기(200)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연동해야 하는데, 연동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정보가 송수신되어야 하므로 각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보안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결제 정보 중에서 로밍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로밍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 충전요금 정보 및 결제 요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결제를 진행해야 하는데, 회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대해 결제를 진행해서는 안 되므로 회원 가입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식별자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제2사용자(2)가 이용한 충전요금을 알아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제2사용자(2)의 충전요금 정보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회원 가입한 제2사용자(2)의 충전 내역에 따라 회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2사용자(2)의 충전 내역을 누적하여 관리해야 하므로,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 시간 정보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제1충전기(200)의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되는 식별자, 충전요금 정보, 및 결제 요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로밍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제2사용자(2)에 대해 충전을 허가하고 제2사용자(2)의 전기차 충전을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1충전기(200) 간의 연동을 통해 제2사용자(2)에게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로밍 서버(500)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제2사용자(2)가, 가입하지 않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의해서 관리되는 제1충전기(200)를 이용하여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로밍 서비스의 구현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로밍 서버(500)의 로밍제어부(51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및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각각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충전기(200) 및 제2충전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한 사용자 정보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사용자 정보를 모두 관리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에게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로밍제어부(51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서 관리되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로밍이 가능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제1충전기(200)와의 연동을 통해 제1충전기(200) 사용을 허가한다.
구체적으로, 로밍제어부(510)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판독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하여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즉, 제2사용자(2)는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 요청을 접수하면서 소지한 회원 카드를 제1충전기(200)에 인식하게 되므로, 로밍제어부(510)는 해당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해 각각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회원 카드에는 각각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대응되는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제1충전기(200)는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판독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로밍제어부(510)는 사용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충전기(200)로부터 식별자, 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구분자에 의해 식별자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로밍제어부(510)는 제1충전기(200)로부터 제1식별자를 수신하고, 제1구분자, 제2식별자, 제2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한 경우, 제2구분자에 의해 제2식별자를 추출하고, 제1구분자에 의해 구분된 제1식별자와 제2식별자를 병합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로밍제어부(510)는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식별된 경우, 해당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미리 약속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인 경우 제2사용자(2)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제1충전기(200)를 통해 판독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유효하게 가입한 상태인 경우 즉, 가입 기간 내의 유효한 사용자인 경우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로밍 서버(500)는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약속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각각의 식별자, 번호 길이, 번호 패턴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미리 구축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로밍제어부(510)는 로밍이 가능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환산된 충전 정보를 제2사용자(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따라서 단위 용량당 부과하는 충전요금과 같은 요금 정책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로밍제어부(510)는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른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제2사용자(2)는 자신이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밍 서버(500)는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약속된 복수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들 간의 충전 정보를 환산하기 위한 환산 정보를 미리 구축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른 충전 정보는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충전 요청과 함께 희망하는 충전용량, 희망하는 충전시간 또는 희망하는 충전요금을 입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충전기는 사용자의 충전용량에 대응되는 충전요금을 안내하거나 사용자의 충전시간 또는 충전요금에 대응되는 충전용량을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로밍제어부(510)는 제2사용자(2)의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환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환산된 충전 정보의 제공은 로밍제어부(510)가 모바일앱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제2사용자(2)에게 직접 제공하는 경우, 또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제2사용자(2)에게 제공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밍제어부(510)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결제 정보 중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환산된 충전 정보가 제공되면 제2사용자(2)는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결제를 요청하게 되므로, 로밍제어부(510)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결제 정보를 제공하되, 불필요한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로밍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제공한다.
즉,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해 로밍제어부(510)는 서로 다른 사업자에 해당하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및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 연동하는데, 연동하는 과정에서 특정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정보가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으로 전달될 경우 각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보안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밍제어부(510)는 결제 정보 중에서 로밍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로밍에 필요한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 충전요금 정보 및 결제 요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결제를 진행해야 하는데, 회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대해 결제를 진행해서는 안 되므로 회원 가입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식별자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제2사용자(2)가 이용한 충전요금을 알아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제2사용자(2)의 충전요금 정보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회원 가입한 제2사용자(2)의 충전 내역에 따라 회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2사용자(2)의 충전 내역을 누적하여 관리해야 하므로,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 시간 정보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은 로밍 서버(500)로부터 제공되는 식별자, 충전요금 정보, 및 결제 요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로밍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상기에서는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결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접수된 결제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복수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들 간의 충전 정보를 환산하기 위한 환산 정보를 미리 구축하고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라 직접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 완료 정보 중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하여 각각 제2사용자(2)의 충전 내역을 누적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밍제어부(51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른 결제가 완료되면, 제2사용자(2)에 대해 제1충전기(200)의 사용을 허가한다.
따라서, 제1충전기(200)는 로밍제어부(510)를 통한 허가 신호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의 전기차 충전을 수행한다.
그리고, 로밍제어부(510)는 전기차 충전이 완료됨에 따라 제2사용자(2)가 제1충전기(200)를 실제 이용한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함으로써,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이 제2사용자(2)의 충전 정보를 누적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및 충전기에 포함된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제1충전기를 예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 제2충전기도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제1충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포함된 예약관리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제1충전기에 포함된 제2제어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모바일앱 관리부(110), 웹 관리부(120), 충전인증부(130), 충전결제부(150), 데이터관리부(160), 및 로밍관리부(170)를 포함한다.
모바일앱 관리부(110)는 모바일앱을 통해 복수의 제1충전기(200)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가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웹 관리부(120)는 웹페이지를 통해 복수의 제1충전기(200)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가 해당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모바일앱 관리부(110) 및 웹 관리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제1충전기(200)의 상태 정보는 제1충전기(200)가 어디에 위치했는지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현재 사용 중인지 또는 미사용 중인지를 나타내는 사용 정보, 단위 용량당 충전요금을 나타내는 가격 정보, 및 언제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예약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충전인증부(130)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충전을 요청하는 사용자를 인증한다. 구체적으로 충전인증부(13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한 사용자를 인증하여 일반 프로세스로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이 진행되도록 하고,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사용자를 인증하여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서비스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인 경우에는 회원 가입시 각각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대응되는 회원 카드가 발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회원 카드 정보를 이용해서 자신이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충전기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로밍 서비스를 통해 자신이 가입하지 않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충전기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증을 위해 판독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다.
충전결제부(150)는 사용자에게 충전요금 정보를 제공하고 충전요금을 결제한다.
구체적으로, 충전결제부(150)는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1충전기(200) 사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결제부(15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제1충전기(200)의 리더부(220)에서 판독되는 회원 카드 정보를 수신하여 기 등록된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충전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충전결제부(150)가 전기차에 대한 충전시간에 기초하여 충전요금 정보를 계산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기차를 소지한 사용자가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을 요청하면서 충전시간이 아닌 희망 충전요금이나 충전용량을 입력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충전결제부(15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또 다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결제부(15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충전요금 또는 충전시간이 수신된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예약된 제1충전기(200)의 가격 정보에 따라 환산된 충전용량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충전용량이 수신된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예약된 제1충전기(200)의 가격 정보에 따라 환산된 충전요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데이터 처리량과 데이터 처리 속도가 제1충전기(200)에 비해서 빠른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의 충전결제부(150)가 충전요금을 계산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충전기(200)의 CPU 또는 MPU 등의 성능에 따라서는 제1충전기(200)에서 직접 충전요금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관리부(160)는 등록된 회원의 고객 정보를 관리한다. 이 때, 고객 정보는 회원 가입시 발급되는 고객의 식별자, 번호 길이, 번호 패턴, 차량 번호, 고객이 사용한 충전량, 충전시간, 인적 사항 정보, 고객 등급 정보, 포인트 정보 등을 포함하고, 데이터관리부(160)는 회원 별로 제1충전기(200) 사용 실적을 누적하여 관리하고, 이용 실적에 따라 마일리지 또는 포인트를 차등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관리부(160)는 복수의 제1충전기(200)로부터 복수의 제1충전기(200) 각각에 대한 상태 정보 즉, 위치 정보, 사용 정보, 가격 정보 및 예약 정보 등을 수신하여 관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관리부(160)는 복수의 제1충전기(200)로부터 사용 정보, 가격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수신할 때 위치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충전기(200)의 사용 정보, 가격 정보 및 예약 정보는 수시로 변할 수 있지만 한 번 설치되면 제1충전기(20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점을 감안하여 데이터관리부(160)는 제1충전기(200)가 설치되는 최초에만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데이터관리부(160)는 복수의 제1충전기(200)의 사용 정보, 가격 정보 또는 예약 정보가 변경되었을 때 변경된 사용 정보, 가격 정보 또는 예약 정보 만을 수신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로밍관리부(1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접수되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의 연동을 통해 상기 제1충전기(200)의 이용을 허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충전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어부(140)는 충전인증부(130)를 통한 사용자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제1충전기(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충전제어부(140)는 충전인증부(130)의 인증 결과에 따라 충전을 요청한 사용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한 회원인 경우 일반 프로세스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충전 예약만 없으면 제1충전기(2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을 요청한 사용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회원인 경우 로밍관리부(170)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만이 제1충전기(2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복수의 제1충전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통해 주고 받는 데이터의 보안을 관리하는 보안관리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예약관리부(190) 및 진단관리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관리부(190)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200)에 대한 예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200)에 대해 충전 예약을 설정하고, 설정된 충전 예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200)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200)를 통해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접수되면 충전 예약 실행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충전기(200)와 연동하여 설정된 충전 예약이 실행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예약관리부(190)는 제1기준시각, 제2기준시각, 및 제3기준시각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접수되는 시각에 따라 사용자가 예약한 충전기(200)와 연동하여 설정된 충전 예약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기준시각은 충전 예약에 따른 충전시작 시각 이후의 일정 시각을 의미하고, 제2기준시각은 제1기준시각 이후의 시각을 의미하고, 제3기준시각은 충전시작 시각 이전의 일정 시각을 의미하며 각각의 기준시각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예약관리부(190)는 충전시작 시각과 제1기준시각 사이에 사용자의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접수되면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접수된 시각에 따라 충전종료 시각을 변경할 수 있고, 제1기준시각과 제2기준시각 사이에 사용자의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접수되면 충전기(200)의 다음 예약 충전시작 시각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충전종료 시각을 지연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고, 제2기준시각까지 사용자의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접수되지 않으면 충전기(200)에 설정된 충전 예약을 취소할 수 있으며, 제3기준시각과 충전시작 시각 사이에 사용자의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접수되면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접수된 시각에 따라 충전종료 시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예약관리부(190)는 제3기준시각 이전의 시각에 해당하는 제4기준시각과 충전시작 시각 사이에 사용자에게 충전시작 시각을 미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예약관리부(190)는 설정된 충전 예약에 따라 전기차 충전이 시작된 경우 설정된 충전 예약에 따른 충전종료 시각과 제5기준시각 사이에 사용자에게 잔여 충전시간 또는 충전종료 시각을 안내함으로써 충전소를 이탈했던 사용자가 충전종료 전에 충전소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5시간은 전기차 사용자들의 요구 또는 평균적인 충전소 이탈 거리와 같은 정보를 반영한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진단관리부(190)는 충전기(200)의 전체 구성 또는 일부 구성에 대한 고장 또는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충전기(200)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기존에는 복수의 충전기(200)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 중 일부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충전기(2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았기 때문에 충전기 인프라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단관리부(190)는 충전기(200)로부터 각 구성의 정상 동작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고, 일부 구성에 오류가 발생하면 1차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리셋하도록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리셋 후에도 오류가 지속되면 해당 오류 정보를 해당 충전기(20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기(200)의 차량인식부(210), 리더기(220) 또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충전기(200)로 충전 요청을 전달할 수 없으므로, 진단관리부(19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앱이나 웹페이지를 통해 충전 요청을 수신하고, 충전기(200)의 제2제어부(252)로 충전 허가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입하지 않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는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여 충전기 인프라를 확장하여 전기차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충전기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최적의 시간 및 장소에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전기에 대한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오류 상황에서 충전기(200)를 효율적으로 진단하여 전기차 충전을 수행함으로써 전기차 인프라를 최적의 효율로 이용할 수 있다.
제1충전기(20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의해 관리되어 전기차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이 접수된 경우에도,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의 연동을 통해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미리 약속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이 접수된 경우에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 연동하여 결제를 진행하고 정산함으로써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충전기(200)는 예약 서비스를 통해 기 예약된 시간에는 대응되는 전기차에 대해서만 충전을 수행하되, 예약되지 않은 시간에는 일반 프로세스로 예약과 무관하게 모든 전기차에 대해서도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충전기(200)는 진단 서비스를 통해 일부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충전기(200)는 리더부(220), 통신부(230), 제어부(250), 충전부(260) 및 충전 케이블(270)을 포함한다.
리더부(220)는 충전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회원 카드를 판독한다. 리더부(220)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의 IC, RFID, NFC 카드 리더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23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 통신하여 제1충전기(200)에 대한 예약 서비스, 진단 서비스 및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30)는 로밍 서비스를 위해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라 리더부(220)에서 판독된 사용자 정보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예약 서비스 및 진단 서비스를 위해 주기적으로 제1충전기(200)의 상태 정보 즉, 위치 정보, 사용 정보, 가격 정보, 예약 정보, 및 오류 정보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로부터 충전 요청이 접수되면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제2사용자(2)가 가입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충전을 허가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제어부(251) 및 제2제어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251)는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251)는 제2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부(2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1제어부(251)는 제2제어부(252)의 제어에 따라 전기차에 대한 충전 시작, 충전 중단 및 충전 종료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제어부(251)는 제2제어부(252)의 제어에 따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의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다.
제2제어부(252)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한 사용자의 충전기 예약 요청이 있는 경우 제1충전기(200)의 위치 정보, 사용 정보, 가격 정보, 및 예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충전기(200)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충전기(200)를 해당 사용자에게 예약하고, 사용자의 충전 예약 실행 요청에 따라 전기차를 인증하여 해당 충전시간에 해당 제1충전기(200)를 예약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또한, 제2제어부(252)는 제1충전기(200)의 전체 구성 또는 일부 구성에 대한 고장 또는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제1충전기(200)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도록 진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제어부(252)는 제1충전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의 정상 동작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일부 구성에 오류가 발생하면 1차적으로 해당 구성의 소프트웨어를 리셋하도록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리셋 후에도 오류가 지속되면 해당 구성을 제외하고 충전부(260)를 제어하여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52)는 충전을 요청하는 제2사용자(2)가 해당 전기차(200)와 연동되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 확인을 요청한다. 그리고, 제2사용자(2)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2사용자(2)의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또는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정보에 대응되도록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환산된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2사용자(2)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을 접수하여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결제를 진행함으로써,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라 충전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제어부(251)와 제2제어부(252)를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밍 기능은 이미 구축되어 있는 제1충전기(200)에 간단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기존의 충전기에는 충전만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부가 이미 구현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52)를 이미 구축된 제1충전기(200)와 연동될 수 있는 별도의 제어모듈로 구성하고 제2제어부(252)를 제1충전기(200)에 연결함으로써 로밍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제1충전기(200)가 구현될 수 있다.
충전부(260)는 제1제어부(251)의 제어에 따라 전기차를 충전한다.
충전 케이블(270)은 전기차에 접속되어 충전부(260)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를 전기차로 공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충전기(200)에서 담당하는 주차 구역으로 이동하여 충전 케이블(270)을 전기차와 접속하여 전기차를 충전한 후, 충전 완료시 충전 케이블(270)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제1충전기(200)를 이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충전 케이블(270)과 전기차의 접속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충전이 시작되었는지 여부 및 충전 완료 후 충전 케이블(270)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제1충전기(200)는 차량인식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인식부(210)는 제1충전기(200)에서 담당하는 주차 구역으로 진입하는 전기차를 인식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인식부(210)는 레이저 센서 등으로 구현되어 전기차가 주차 구역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만을 인식하거나, 카메라로 구현되어 주차 구역으로 진입하는 전기차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전기차를 인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차량인식부(210)가 전기차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전기차를 인식할 경우 전기차가 주차 구역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상기 주차 구역으로 진입하는 전기차가 해당 제1충전기(200)를 예약한 사용자에 대응되는 전기차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제1충전기(20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제1충전기(200)의 사용 정보, 가격 정보 또는 예약 정보 등을 표시함으로써, 현재 충전 진행 상황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충전에 따른 충전요금, 충전용량 또는 충전시간 등을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제2사용자(2)로부터 충전 요청이 접수되는 경우, 제2사용자(2)를 확인하여 로밍 가능 여부 및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의 연동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전기차를 소지한 사용자가 제1충전기(200)를 이용한 충전을 요청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의 모바일앱 관리부(110)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모바일앱을 설치함으로써 충전을 요청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웹 관리부(12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접속하는 방식 또는 기타 기재하지 않은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0)는 로밍확인부(미도시), 충전기예약부(미도시) 및 진단확인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로밍확인부는 사용자가 가입하지 않은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충전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로밍 서비스를 통해 해당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로밍 가능 여부를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로밍 기능의 진행 여부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충전기예약부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 충전기 예약을 요청하고, 해당 요청에 따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제1충전기(200)에 대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기를 예약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충전기예약부를 통해 특정 충전기 예약 요청 정보, 특정 시간 예약 요청 정보, 특정 위치 예약 요청 정보, 특정 용량 예약 요청 정보 및 특정 요금 예약 요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포함하여 충전기 예약을 요청함으로써, 원하는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충전기를 예약할 수 있으며, 충전기예약부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예약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충전기(200)를 예약할 수 있다.
진단확인부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으로부터 복수의 제1충전기(200)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들에 오류가 발생하면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앱 또는 웹페이지를 통해 기 예약된 제1충전기(200)를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로밍관리부(170)는 정보생성부(171), 결제처리부(173), 로밍안내부(175), 및 정산처리부(177)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생성부(171)는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라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정보생성부(171)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판독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하여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즉, 제2사용자(2)는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 요청을 접수하면서 소지한 회원 카드를 제1충전기(200)에 인식하게 되므로, 정보생성부(171)는 해당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2)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식별하고,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생성부(171)는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른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할 수 있다. 즉,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따라서 단위 용량당 부과하는 충전요금과 같은 요금 정책이 상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환산된 충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정보생성부(171)는 제2사용자(2)의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환산한다.
결제처리부(173)는 정보생성부(171)를 통해 제공되는 충전 정보를 확인한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이 접수되면 직접 결제하거나, 결제 정보 중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하여 결제를 처리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사용자(2)는 로밍을 통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관리되는 모든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한데,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서 관리되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제2사용자(2)가 충전을 진행함으로 인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이 결제를 처리할 경우 제2사용자(2)는 자신의 마일리지와 같이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만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결제처리부(173)는 제2사용자(2)의 요청에 따라 결제를 진행할 때,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제2사용자(2)가 자신이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통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로밍안내부(175)는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따라 제2사용자(2)의 로밍 가능 여부를 안내하고,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통해 결제가 진행됨을 안내함으로써, 로밍 서비스에 관한 전반적인 진행 상황을 제2사용자(2)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통한 결제가 완료되면 제1충전기(200)로 충전 허가 신호를 전달하여 충전을 수행시킨다.
정산처리부(177)는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가 완료되고 제1충전기(200)를 통한 충전이 완료된 경우,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과 연동하여 로밍 서비스를 제공한 대가를 정산한다.
이러한 대가는 제2사용자(2)의 충전용량, 충전시간 또는 충전요금에 비례하게 결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간에 미리 설정된 약속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제1제어부(251) 및 제2제어부(2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제2제어부(252)는 인증부(253), 정보확인부(254), 결제처리부(255), 충전관리부(256), 및 로밍처리부(257)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253)는 차량 인식부(210)를 통해 인식된 전기차 정보 및 리더부(220)를 통해 판독된 회원 카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충전기(200)에 할당된 주차 구역으로 진입하는 사용자가 제1충전기(200)를 이용할 권한이 있는 가입한 회원에 해당하는지, 또는 해당 사용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한 회원이 아닌 경우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정보확인부(254)는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미리 약속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증부(253)는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로밍이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충전기(200)에서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직접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정보확인부(254)는 사용자의 충전 정보를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대응되는 충전 정보로 환산하기 위한 환산 비율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결제처리부(255)는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결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결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결제 진행 상황을 제2사용자(2)에게 안내한다. 특히, 결제처리부(255)는 로밍에 필요한 정보로서 사용자의 식별자, 충전요금 정보 및 결제 요청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하여 결제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충전관리부(256)는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제2사용자(2)의 전기차 충전이 가능하도록 제1제어부(251)로 충전 허가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충전관리부(256)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따라 로밍이 수행된 경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의 정산을 위해 로밍에 의해 충전이 수행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로밍처리부(257)는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 및 결제 요청에 따라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충전이 수행된 경우, 충전이 수행된 정보를 바탕으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 연동하여 로밍 서비스를 제공한 대가를 정산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여 가입하지 않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양한 사용자가 불필요한 대기시간 없이 최적의 시간 및 장소에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여 복수의 제1충전기(200)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충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를 통한 로밍 서비스의 제공 과정을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제1충전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충전요청을 접수한다(S1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통해 발급받은 회원 카드를 제1충전기(200)의 리더부(220)에 인식하면서 충전을 요청한다.
다음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인식된 회원 카드를 통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한다(S20).
이 때,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기 위해 각각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회원 카드에는 각각의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대응되는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및 제1충전기(200)는 식별자, 번호 길이, 및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식별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기초하여 충전요청을 접수한 사용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의 회원인지 확인하고(S30), 충전요청을 접수한 사용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의 회원으로 확인되면 일반 프로세스로 진행하여(S32), 미리 설정된 예약이 없으면 충전을 진행하고 해당 사용자의 회원 정보에 충전 내역을 누적하여 관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단계(S30)에서 충전요청을 접수한 사용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의 회원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의 로밍이 가능한지 판단한다(S40).
구체적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식별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미리 약속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제1충전기(200)를 통해 판독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식별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유효하게 가입한 상태인 경우 즉, 가입 기간 내의 유효한 사용자인 경우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고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제2사용자(2)의 충전요청이 접수된 상황을 가정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충전요청을 접수한 제2사용자(2)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제2사용자(2)의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환산된 충전 정보를 제2사용자(2)에게 제공한다(S50).
즉,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따라서 단위 용량당 부과하는 충전요금과 같은 요금 정책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따른 충전 정보를 해당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를 제공받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제2사용자(2)의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적용하는 요금 정책에 따라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환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 정보를 제공받은 제2사용자(2)의 결제요청이 접수되면(S60),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은 직접 결제를 진행한다(S7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제 수단에 따라서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이 직접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제가 완료되면(S80),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제1충전기(200)의 사용을 허가하여 제2사용자(2)의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S90).
다음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결제 완료 정보 중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 또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공함으로써(S100), 제2사용자(2)의 충전 내역을 누적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단계(S40)에서, 충전요청을 접수한 사용자의 로밍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해당 사용자의 제1충전기(200) 사용을 불허하고(S42), 해당 사용자에게 로밍이 불가능한 상태여서 충전이 불가능함을 안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1충전기(200)의 연동을 통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결제를 요청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결제가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진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의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충전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충전요청을 접수한다(S110).
다음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인식된 회원 카드를 통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한다(S120).
다음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식별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기초하여 충전요청을 접수한 사용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의 회원인지 확인하고(S130), 충전요청을 접수한 사용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의 회원으로 확인되면 일반 프로세스로 진행하여(S132), 미리 설정된 예약이 없으면 충전을 진행하고 해당 사용자의 회원 정보에 충전 내역을 누적하여 관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단계(S130)에서 충전요청을 접수한 사용자가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의 회원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의 로밍이 가능한지 판단한다(S140).
구체적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식별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미리 약속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제1충전기(200)를 통해 판독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식별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유효하게 가입한 상태인 경우 즉, 가입 기간 내의 유효한 사용자인 경우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고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제2사용자(2)의 충전요청이 접수된 상황을 가정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충전요청을 접수한 제2사용자(2)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제2사용자(2)의 식별자 및 충전 정보 중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제공함으로써(S150),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제2사용자(2)의 충전에 따른 충전요금이 결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사용자(2)는 로밍을 통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과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서 관리되는 모든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한데,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서 관리되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제2사용자(2)가 충전을 진행함으로 인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이 결제를 처리할 경우 제2사용자(2)는 자신의 마일리지를 이용해서 결제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결제를 진행할 때 해당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통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면(S160), 제1충전기(200)의 사용을 허가하고(S170), 제2사용자(2)의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단계(S140)에서, 충전요청을 접수한 사용자의 로밍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해당 사용자의 제1충전기(200) 사용을 불허하고(S142), 해당 사용자에게 로밍이 불가능한 상태여서 충전이 불가능함을 안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로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와 제1충전기(200)의 연동을 통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에서 직접 결제를 진행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결제가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에서 진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의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충전요청을 접수한다(S210).
다음으로,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제1충전기(200)를 통해 인식된 회원 카드를 통한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한다(S220).
다음으로,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식별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기초하여 충전요청을 접수한 사용자의 로밍이 가능한지 판단한다(S230).
구체적으로,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식별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미리 약속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인 경우 해당 사용자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제1충전기(200)를 통해 판독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식별된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유효하게 가입한 상태인 경우 즉, 가입 기간 내의 유효한 사용자인 경우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에 가입하지 않고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에 가입한 제2사용자(2)의 충전요청이 접수된 상황을 가정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충전요청을 접수한 제2사용자(2)의 로밍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제2사용자(2)의 식별자 및 충전 정보 중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로 제공함으로써(S240),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에서 제2사용자(2)의 충전에 따른 충전요금이 결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가 복수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과 연동하여 각각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가 직접 제2사용자(2)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를 통해 결제가 완료되면(S250), 제1충전기(200)의 사용을 허가하고(S260), 제2사용자(2)의 전기차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다.
추가로, 제1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100) 또는 제1충전기(200)는 제2사용자(2)의 전기차에 대한 충전이 완료된 후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400)으로 로밍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제2사용자(2)의 결제 내역을 누적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계(S230)에서, 충전요청을 접수한 사용자의 로밍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500)는 해당 사용자의 제1충전기(200) 사용을 불허하고(S232), 해당 사용자에게 로밍이 불가능한 상태여서 충전이 불가능함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충전기를 각각 관리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간의 연동을 통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충전기 인프라를 확장하여 전기차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충전기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110: 모바일앱 관리부
120: 웹 관리부 130: 충전인증부
140: 충전제어부 150: 충전결제부
160: 데이터관리부 170: 로밍관리부
180: 보안관리부 190: 예약관리부
195: 진단관리부 200: 충전기
210: 차량인식부 220: 리더부
230: 통신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제어부 251: 제1제어부
252: 제2제어부 270: 충전부
280: 충전케이블 3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23)

  1. 적어도 하나의 충전기를 관리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에 대한 충전요청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제1 사용자 및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 로밍되는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제2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충전 인증부;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제1 사용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요청에 포함된 충전정보에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제1 요금정책을 적용하여 결제를 진행하는 충전 결제부; 및
    상기 충전요청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를 통해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제2 사용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요청에 포함된 충전정보에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제2 요금정책이 적용되도록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및,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연동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요청에 포함된 충전정보를 제공하는 로밍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정보는, 식별자, 식별자 번호길이, 및 식별자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인증부는 기준형식의 식별자 및 상기 기준형식과 다른 형식을 갖는 식별자의 인증이 가능하며,
    상기 로밍관리부는 상기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사용자가 가입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관리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가입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되, 상기 충전기로부터 식별자, 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구분자에 의해 상기 식별자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관리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가입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되, 상기 충전기로부터 제1식별자를 수신하고, 제1구분자, 제2식별자, 제2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구분자에 의해 상기 제2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1구분자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1식별자와 상기 제2식별자를 병합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가 가입한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관리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상기 제2 요금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직접 환산하거나,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또는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로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또는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로부터 환산된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정보는 충전용량 정보, 충전시간 정보 및 충전요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는, 제1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및 제2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간의 연동을 통해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이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이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관리부는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또는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충전기를 통한 충전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충전 예약을 설정하고, 충전 예약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충전 예약 실행 요청 시간별로 상기 설정된 충전 예약을 실행시키는 예약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에 포함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 대한 오류를 확인하고, 충전기 충전 기능이 정상 동작 가능한 것으로 진단되면, 상기 충전기와 연동하여 상기 충전기가 충전 실행되도록 하는 진단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12.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에 대한 충전요청에 따라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제1 사용자 및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 로밍되는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제2 사용자를 식별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를 인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제1 사용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요청에 포함된 충전정보에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제1 요금정책이 적용되도록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충전요청에 포함된 충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충전요청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를 통해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제2 사용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요청에 포함된 충전정보에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제2 요금정책이 적용되도록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및,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과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연동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2 사용자의 충전요청에 포함된 충전정보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정보는, 식별자, 식별자 번호길이, 및 식별자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준형식의 식별자 및 상기 기준형식과 다른 형식을 갖는 식별자의 인증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2 사용자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타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를 직접 판단하거나,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또는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로 상기 제2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를 판독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으로 상기 식별자를 제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하되,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가 인식 가능한 기준길이와 다른 경우, 인식된 식별자를 구별하기 위한 구분자를 추가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를 판독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으로 상기 식별자를 제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하되,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가 인식 가능한 기준길이 보다 짧은 경우, 상기 식별자, 인식된 식별자를 구별하기 위한 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기준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식별코드를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를 판독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으로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제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 판단을 요청하되,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가 인식 가능한 기준길이 보다 긴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식별자를 상기 기준길이에 따라 제1식별자 및 제2식별자로 분할하고, 기 제1구분자, 상기 제2식별자, 제2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기준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식별자와 상기 식별코드를 순차적으로 상기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상기 제1구분자는 상기 식별자가 분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구분자는 상기 식별자의 종료 지점을 알리기 위한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18. 삭제
  19. 제1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1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및 제2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제2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연동하여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로서,
    상기 제1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충전기에 충전요청이 접수 되는 경우, 상기 충전요청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를 통해 상기 제2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충전기를 통한 충전을 허가하는 로밍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밍제어부는 상기 충전기 또는 상기 제1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충전요청에 포함된 충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충전정보의 환산 또는 결제를 위해 상기 수신된 충전 정보에 상기 제2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의 제2 요금 정책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제2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식별자 정보는 식별자, 식별자 번호 길이, 및 식별자 번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제어부는 상기 로밍이 가능한 사용자의 충전 요청에 대해서, 상기 충전 요청에 포함된 충전 정보를 상기 제2 요금정책에 따른 충전 정보로 환산하여 환산된 충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식별자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제2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충전기로부터 식별자, 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구분자에 의해 상기 식별자를 추출하여 상기 제2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의 식별자 정보에 포함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제2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로밍 가능 여부를 확인하되,
    상기 충전기로부터 제1식별자를 수신하고, 제1구분자, 제2식별자, 제2구분자 및 소정의 더미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구분자에 의해 상기 제2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1구분자에 의해 구분된 상기 제1식별자와 상기 제2식별자를 병합한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제2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KR1020160097542A 2016-07-29 2016-07-29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KR10181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542A KR101810325B1 (ko) 2016-07-29 2016-07-29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542A KR101810325B1 (ko) 2016-07-29 2016-07-29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325B1 true KR101810325B1 (ko) 2018-01-26

Family

ID=6102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542A KR101810325B1 (ko) 2016-07-29 2016-07-29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3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082A (ko) * 2018-06-04 2019-12-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를 위한 충전 예약 시스템
WO2021158021A1 (ko) * 2020-02-06 2021-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에 대한 계약 인증서 설치 지원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7406A (ja) 2010-04-14 2011-11-24 Nissan Motor Co Ltd 充電施設情報管理装置、車載充電施設情報送信装置および充電実績情報収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7406A (ja) 2010-04-14 2011-11-24 Nissan Motor Co Ltd 充電施設情報管理装置、車載充電施設情報送信装置および充電実績情報収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082A (ko) * 2018-06-04 2019-12-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를 위한 충전 예약 시스템
KR102082452B1 (ko) * 2018-06-04 2020-02-2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를 위한 충전 예약 시스템
WO2021158021A1 (ko) * 2020-02-06 2021-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에 대한 계약 인증서 설치 지원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557B1 (ko) 전기차 충전기 진단 시스템 및 진단 기능이 탑재된 충전기
CN109849726B (zh) 用于向电动车辆充电的充电系统及用于授权从充电站对电动车辆充电的方法
US20180118045A1 (en) Vehicle Charger Network
US7761307B2 (en)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10375A (ko) 전기차 충전 예약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예약이 가능한 충전기
KR20180010169A (ko) 전기차 충전 예약 시스템 및 전기차 충전 예약이 가능한 충전기
EP3597475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tructure
JP2015116010A (ja) 充電効率管理装置、充電効率管理方法および充電効率管理システム
CN106297028B (zh) 一种电动汽车充电识别和结算系统及实现方法
KR101874479B1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
CN104867194A (zh) 一种智能停车位管理及收费系统和方法
CN111369740A (zh) 新能源车辆的收费管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101810325B1 (ko) 전기차 충전 로밍 시스템, 전기차 충전 로밍이 가능한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 로밍 서버
JP2021026772A (ja) マイクロモビリティの共有サービスシステム
JP7095397B2 (ja) 管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287292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구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15136A (ko) IoT 기반 전기자동차용 상용전원 충전 장치
CN112406615A (zh) 电动汽车充电管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30170889A (ko)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제어장치
WO2019082919A1 (ja) 充電課金システム及び充電課金方法
KR20110087624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10509808B (zh) 管理服务器、信息处理方法以及信息处理系统
KR20120076524A (ko)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4242041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pai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81138B1 (ko) 공중전화 시설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