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119B1 -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119B1
KR101810119B1 KR1020160134831A KR20160134831A KR101810119B1 KR 101810119 B1 KR101810119 B1 KR 101810119B1 KR 1020160134831 A KR1020160134831 A KR 1020160134831A KR 20160134831 A KR20160134831 A KR 20160134831A KR 101810119 B1 KR101810119 B1 KR 10181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unit
server
forma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긍희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은 메타데이터와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구비한 원본 동영상 파일이 입력되면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의 생성을 제어하는 작업 할당 제어부,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부터 작업 할당을 받아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종류에 맞게 정해진 크기와 파일 형식을 갖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동영상 변환부, 그리고 상기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스토리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UNI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원격 대학(open university)은 멀티미디어 콘텐츠(multi-media contents)를 각 교육 과정과 교육 과목에 맞게 다양한 종류로 제작하여 통신망을 통해 해당 수강생들에게 제공하여, 장소에 무관하게 수강하는 학과의 과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작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파일의 형식, 폴더 규격, 저작 툴(tool) 등이 서로 상이하므로, 각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수강생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즉, 수강생들의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작뿐만 아니라 내용이 변경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신속한 갱신(upgrade)과 수강생들에게 빠른 올려주기(upload)를 실시해야 하고, 이러한 제작, 갱신 및 올려주기 등과 같은 관리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손실, 수강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구성은 HTML(HyperTextMarkup Language) 페이지(page), 동영상, 음성파일, 문서파일 등일 수 있고, 폴더 규격은 콘텐츠 데이터가 저장되는 폴더, 서비스 경로를 담은 파일이 저장되는 폴더 등으로 정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제작, 갱신 및 올려주기와 같은 관리 동작이 콘텐츠 관리 운영자가 수동으로 실시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고, 관리해야 하는 종류와 양으로 인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관리 부담이 발생한다.
또한, 비효율적인 관리 동작으로 인해, 제작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저장 동작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저장 공간 확보에 대한 경제적인 손실 또한 발생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수강을 위해 제작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교수와 같은 많은 강의자에 의해 내용 추가, 수정 또는 교체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일관성 있는 관리가 불가능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비스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검증이 어려워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64646(공개일자: 2002년 08월 09일, 발명의 명칭: 사이버 대학 강의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시간 편집 시스템 및 스튜디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작, 관리 및 서비스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은 메타데이터와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구비한 원본 동영상 파일이 입력되면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의 생성을 제어하는 작업 할당 제어부,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부터 작업 할당을 받아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종류에 맞게 정해진 크기와 파일 형식을 갖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동영상 변환부, 그리고 상기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스토리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영상 종류는 학부용과 대학원용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영상 종류가 학부용인 경우, 상기 동영상 변환부는 500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WMA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일반형, 800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800Kbyte와 400Kbyte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 그리고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동영상 I형, 800Kbyte 및 400Kbyte 크기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동영상 II형, 1.2Mbyte, 800Kbyte 및 400Kbyte 크기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TV 멀티형에 맞게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종류가 대학원용인 경우, 상기 동영상 변환부는 500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WMA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일반형, 800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800Kbyte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 그리고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동영상 I형, 800Kbyte 및 56Kbyte 크기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동영상 II형에 맞게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은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원본 동영상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가능 목록을 상기 제작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제작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다운로드 목록에 해당하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상기 스토리지부에서 검색해 상기 제작자 단말로 전송하여 선택된 상기 다운로드 목록에 대한 멀티미디어 폴더부가 작성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압축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작자 단말로부터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이 전송되면, 전송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전송 경로를 판정하고,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압축을 해제하여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생성하여 상기 등록부로 전송 경로와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출력하고, 상기 등록부는 상기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가 입력되면, 상기 전송 경로를 이용하여 스토리지부에 상기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저장하고, 상기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각 폴더에 저장된 변환 데이터 파일을 검사하여 각 폴더에 정해진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등록 성공 상태를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 출력하여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가 상기 변환 데이터 파일을 서버부로 업데이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전송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전송 종류에 따라 정해진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지정된 서버부의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대한 전송 경로를 판정하여, 판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변환 데이터 파일을 지정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전송 종류는 학부용 인터넷, 학부용 모바일, 학부용 텔레비전, 대학원용 인터넷 및 대학원용 모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종류가 학부용 인터넷인 경우, 상기 서버부는 웹 서버, 스트림 서버 및 다운로드 서버를 포함하고, 작업 할당 제어부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 경로로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의 js 파일에 저장되어 전송 경로를 변경한 후, 전송 경로가 변경된 js 파일과 css 형식의 파일 및 html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고, MP3 및 MP4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서버로 전송하며, MP4 형식의 변환 데이터를 스트림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학부용 동영상 I형을 위해,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다운로드 서버(522)로는 MP3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고, 스트림 서버(521)로는 800Kbyte 크기의 WMV 형식의 파일이 전송되고, 학부용 동영상 II형을 위해,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다운로드 서버(522)로는 MP3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고, 스트림 서버(521)로는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며, 학부용 TV 멀티형을 위해,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다운로드 서버(522)로는 MP3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고, 스트림 서버(521)로는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과 1.2M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전송 종류가 학부용 모바일인 경우, 상기 서버부는 모바일 스트림 서버와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를 포함하고, 작업 할당 제어부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 경로를 이용하여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인 400Kbyte 크기의 MP4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을 상기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로 전송하고, 4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을 모바일 스트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생성된 전송 경로로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상기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와 모바일 스트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종류가 학부용 텔레비젼인 경우, 상기 서버부는 텔레비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상기 스토리지부에 저장된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텔레비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종류가 대학원용 인터넷인 경우, 상기 서버부는 LMS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상기 스토리지부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압축하여 상기 LMS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종류가 대학원용 모바일인 경우, 상기 서버부는 모바일 스트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 경로를 이용하여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인 400Kbyte 크기를 갖는 MP4 파일을 상기 모바일 스트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수동으로 일일이 해당 데이터, 파일 또는 정보 등을 해당 서버로 전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고 제작자 단말의 업무량 역시 크게 줄어든다.
또한, 콘텐츠 관리 유닛은 제작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파일 저장 상태를 검사하여 올바르고 각 폴더에 정해진 형식의 폴더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만 서버부로의 업데이팅 동작이 행해지므로, 비정상적으로 멀티미디어 폴더부가 작성되었을 때 불필요한 업데이팅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 유닛에는 각 원본 동영상 파일에 관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있으므로, 서비스 종류나 신규 플랫폼이 개발되는 경우에도 콘텐츠 관리 유닛은 변경된 서비스 환경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작자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멀티미디어 폴더부 및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등록 동작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에서 서버부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업데이팅하는 동작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로서, 전송 종류가 학부용 인터넷인 경우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에서 서버부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업데이팅하는 동작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로서, 전송 종류가 학부용 모바일인 경우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에서 서버부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업데이팅하는 동작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로서, 전송 종류가 대학원용 인터넷인 경우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에서 서버부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업데이팅하는 동작에 대한 데이터 흐름도로서, 전송 종류가 대학원용 모바일인 경우의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콘텐츠 관리 유닛의 초기 화면의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한 예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등록을 위한 제작자 단말과 콘텐츠 관리 유닛의 화면의 예이다.
도 20과 도 2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js 파일의 한 예이고, 도 20은 js 파일의 전송 경로가 변경 되기 전 파일 내용을 도시하고 도 21은 전송 경로가 변경된 후 파일 내용을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콘텐츠 관리 유닛에서 서버로의 전송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를 참고로 하면, 본 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이하,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은 '콘텐츠 관리 유닛'이라 함)(10), 콘텐츠 관리 유닛(10)과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예, 제1 데이터베이스)(20), 콘텐츠 관리 유닛(10)과 통신망(110)을 통해 통신하는 제작자 단말(30), 콘텐츠 관리 유닛(10)과 통신망(110)을 통해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강자 단말(40), 콘텐츠 관리 유닛(10)과 통신망(120)을 통해 통신하는 학부용 서버부(예, 제1 사용자용 서버부)(50), 그리고 콘텐츠 관리 유닛(10)과 통신망(120)을 통해 통신하는 대학원용 서버부(예, 제2 사용자용 서버부)(60)를 구비한다.
콘텐츠 관리 유닛(10)은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동영상 파일이 입력되는 작업 할당 제어부(11), 작업 할당 제어부(11)에 연결되어 있는 동영상 변환부(12), 작업 할당 제어부(11)에 연결되어 있는 등록부(13), 작업 할당 제어부(11)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14), 작업 할당 제어부(11)에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15), 작업 할당 제어부(11)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16), 그리고 작업 할당 제어부(11)에 연결되어 있는 스토리지부(17)를 구비한다.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입력되는 동영상 파일에 대한 작업 처리를 위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동영상 파일(이하, '원본 동영상 파일'이라 함)은 교수와 같은 강의자가 강의 내용을 강의하는 동영상(이하, 원본 동영상이라 함)에 관련된 데이터인 동영상 데이터(이하, '원본 동영상 데이터'으로 함)을 구비하고 있는 파일로서,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원본 동영상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metadata)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메타데이터에는 동영상 파일에 대한 식별정보, 동영상 종류, 제작 연도, 제작 일시, 과목(즉, 교과목 코드), 학기, 강의 회차, 강의 요약 등과 같은 원본 동영상 정보, 원본 동영상의 출연자(예, 강의자)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원본 동영상 파일이 동영상을 만든 사람의 단말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면,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동영상 변환부(12)에게 작업 할당을 실시하여 동영상 변환부(12)가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메타데이터에 저장된 동영상 종류에 따라 정해진 형태의 복수의 데이터 파일(이하, 변환된 데이터 파일을 '변환 데이터 파일'이라 함 함)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동영상 종류는 학부용과 대학원용이 존재한다.
학부용은 일반형, 동영상 I형, 동영상 II형, TV 멀티형 및 오디오형을 구비하며, 대학원용은 일반형, 동영상 I형 및 동영상 II형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원본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동영상 종류가 학부용인 경우, 동영상 변환부(11)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일반형, 동영상 I형, 동영상 II형, TV 멀티형 및 오디오형으로 나눠진 종류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해당 원본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동영상 종류가 대학원용인 경우, 동영상 변환부(11)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일반형, 동영상 I형 및 동영상 II형으로 나눠진 종류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본 예에서, 일반형, 동영상 I형, 동영상 II형, TV 멀티형 및 오디오형은 데이터 크기와 파일 형식(즉, 확장자 종류)으로 구분된다.
이처럼, 동영상 변환부(12)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는 트랜스코더(transcoder)를 이용하여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정해진 크기의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여 정해진 종류의 변환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제작자 단말(30)로 복수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전송하여 제작자 단말(30)에서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을 기초로 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한다.
제작자 단말(30)은 변환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단말로서, 변환 데이터 파일의 각 형식과 내용에 따라 각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정해진 형태의 폴더로 저장시켜 제작자 단말(30)의 지정 위치에 복수의 폴더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생성한다.
이처럼, 콘텐츠 관리 유닛(10)으로부터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폴더부가 완성되면, 제작자 단말(30)은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압축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를 생성하여 콘텐츠 관리 유닛(10)으로 전송한다.
제작자 단말(30)로부터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가 전송되면,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등록부(13)를 동작시켜 전송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에 포함된 파일이 형식에 따라 올바르게 정해진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각 파일이 올바르게 해당 폴더에 올바르게 저장되어 있는 경우, 등록부(13)는 제작자 단말(30)로 등록 성공 상태를 전송하여 제작자 단말(30)에서 콘텐츠 관리 유닛(10)으로의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등록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졌음을 알려준다.
이처럼,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등록 동작이 정상적으로 행해지면,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수강자 단말(40)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위해 학부용 서버부(50)와 대학원용 서버부(60)로 파일과 데이터 등의 전송 동작을 실시한다.
따라서, 수강자는 수강자 단말(40)을 이용하여 학부용 서버부(50)나 대학원용 서버부(60)에 접속하여 원하는 형태로 자신이 원하는 과목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받아 수강자 단말40)을 통해 출력해 수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파일이 올바르게 해당 폴더에 올바르게 저장되지 않는 경우, 등록부(13)는 제작자 단말(30)로 등록 실패 상태를 전송하여, 제작자 단말(30)에서 콘텐츠 관리 유닛(10)으로의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등록 동작이 실패임을 알려준다.
메모리(14)는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이다.
메모리(14)에는 제작자 단말(30)와 수강자 단말(40)의 출력부(34)의 디스플레이 모듈(341)로 출력되는 화면과 메뉴 등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통신부(15)는 통신망(110)을 이용하여 콘텐츠 관리 유닛(10)과 제작자 단말(30) 간의 통신, 그리고 콘텐츠 관리 유닛(10)과 수강자 단말(40)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5)는 SAN(storage area network) 또는 10G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출력부(16)는 작업 할당 제어부(11)의 동작에 따라 작업 할당 제어부(11)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출력부(16)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스토리지부(17)는 주 스토리지(171)와 백업 동작을 위한 백업 스토리지(172)를 구비한다.
주 스토리지(171)은 작업 할당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원본 동영상 데이터, 변환 데이터 파일,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가 압축 해제한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 등이 저장된다.
백업 스토리지(172)는 각 폴더에 정해진 형식과 내용에 맞게 해당 파일이 올바르게 저장되어 있는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가 백업용으로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예, 제2 데이터베이스)(18)는 콘텐츠 관리 유닛(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작업 할당 제어부(11)와 연결되어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18)에는 원본 동영상 파일, 동영상 경로 정보, 메타데이터, 출연자 정보, 강의 요약 등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20)에는 전송된 메타데이터, 동영상 경로 정보, 출연자 정보, 강의 요약 등이 저장되어 있다.
제작자 단말(30)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콘텐츠 관리 유닛(10)으로부터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각 정해진 폴더에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여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형성하고, 형성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압축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를 콘텐츠 관리 유닛(10)으로 전송하여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를 콘텐츠 관리 유닛(10)으로 등록시키는 동작을 실시한다.
수강자 단말(40)은 학부생이나 대학원생과 같이 서버부(50, 6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다운받아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강생의 단말이다.
이러한 제작자 단말(30)과 수강자 단말(40)은 제작자나 수강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피씨(tablet personal computer) 등의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과 같이 이동 가능한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제작자 단말(30)과 수강자 단말(40)은 각각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는 한 예로 제작자 단말(30)의 구조를 도시하지만, 수강자 단말(40)의 구조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제작자 단말(30)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31), 사용자 입력부(32), 통신부(31)와 사용자 입력부(32)에 연결된 동작 제어부(33), 동작 제어부(33)에 연결된 출력부인 디스플레이부(34) 및 동작 제어부(33)에 연결된 저장부(35)를 구비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31-35)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제작자 단말(30)은 이들 구성 요소(31-35)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통신부(31)는 제작자 단말(30)과 콘텐츠 관리 유닛(10)과 같은 다른 전자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한 예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31)는 이동통신 모듈(311), 인터넷 모듈(3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313)을 구비한다.
사용자 입력부(32)는 제작자 단말(3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입력 등과 같은 입력 동작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켜 동작 제어부(33)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32)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jog) 스위치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제어부(33)는 사용자 입력부(32)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부(34)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제작자 단말(30)의 동작 중 발생한 데이터의 처리를 실시하고 제어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33)는 사용자 입력부(32)의 동작에 따라 콘텐츠 관리 유닛(10)으로부터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생성하고,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압축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를 콘텐츠 관리 유닛(10)으로 등록하여,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에 포함된 각 파일들이 학부용 서버부(50)와 대학원용 서버부(60)로 전송되어 업데이팅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34)는 제작자 단말(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33)의 동작에 따라 동작 제어부(33)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나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저장부(35)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제어부(1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와 정보,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다.
학부용 서버부(50)는 웹 서버(51), 동영상 서버(52) 및 모바일 서버(53)를 구비한다
동영상 서버(52)와 모바일 서버(53)은 각각 동영상을 서비스하기 위한 서버로서, 각각 스트림(stream) 서버(521)와 모바일 스트림 서버(531) 그리고 다운로드 서버(522)와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532)를 구비한다.
웹 서버(51)와 동영상 서버(52)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인터넷으로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이고, 모바일 서버(53)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로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이다.
대학원용 서버부(60)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서버(61)와 모바일 스트림 서버(62)를 구비한다.
LMS 서버(61)는 인터넷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이고, 모바일 스트림 서버(62)는 모바일 서버로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로 서비스 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버이다.
도 1에 도시한 통신망(110, 120)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통신망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면,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동작이 시작된다.
동작이 시작된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초기 화면은 도 10 또는 도 11과 같다. 도 10은 화면의 상태를 이미지 위주로 표시한 상태이고 도 11은 화면의 상태를 목록 상태로 표시한 상태이다.
먼저, 도 3을 참고로 하여, 입력된 원본 동영상 데이터 파일을 변환 데이터 파일로 생성하는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작업 할당 제어부(11)와 등록부(13)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외부로부터 원본 동영상 파일이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11).
이때, 작업 할당 제어부(11)로 입력되는 원본 동영상 파일은 이미 설명한 것처럼 메타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고, 메타데이터는 원본 동영상 파일에 대한 원본 동영상 정보, 교과목 정보, 출연자 정보 및 제작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본 동영상 정보는 원본 동영상 파일의 식별정보, 동영상 종류, 제작 연도, 제작 일시, 과목(즉, 교과목 코드), 학기, 강의 회차 및 강의 요약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동영상 종류는 학부용과 대학원용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한다.
이처럼, 외부로부터 원본 동영상 파일이 입력되면(S11),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입력된 원본 동영상 파일을 스토리지부(171)와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한다(S12).
다음,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저장된 원본 동영상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읽어 동영상 종류를 판정한다(S13).
다음,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원본 동영상 파일의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판정된 동영상 종류를 동영상 변환부(12)로 출력한다(S14).
[변환 데이터 파일 생성]
작업 할당 제어부(11)로부터 동영상 종류와 동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동영상 변환부(12)는 작업 할당 제어부(11)로부터 작업 할당을 받은 상태가 되어 입력된 동영상 종류에 따라 정해진 형태로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동작을 시작한다.
따라서, 동영상 변환부(12)는 먼저 입력된 원본 동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종류를 메모리(14)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한 후(S15), 입력된 원본 동영상 데이터에 대한 동영상 종류를 판정한다(S16).
본 예에서, 원본 동영상 데이터의 종류, 즉 동영상 종류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학부용과 대학원용이다.
학부용은 일반형, 동영상 I형, 동영상 II형, TV 멀티형 및 오디오형을 구비한다.
일반형은 500Kbyte와 56Kbyte의 크기의 WMV(window media video)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WMA(window media audio)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한다.
동영상 I형은 56Kbyte와 800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800Kbyte, 400Kbyte 및 56Kbyte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 그리고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한다.
동영상 II형은 800Kbyte, 400Kbyte 및 56Kbyte 크기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한다.
TV 멀티형은 1.2Mbyte, 800Kbyte, 400Kbyte 및 56Kbyte 크기 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한다.
이때, 일반형, 동영상 I형, 동영상 II형 및 TV 멀티형에서 56kbyte 크기의 영상 데이터는 생략될 수 있다.
오디오형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한다.
대학원용은 일반형, 동영상 I형, 동영상 II형을 구비한다.
여기서, 일반형은 500Kbyte와 56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WMA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한다.
동영상 I형은 56Kbyte와 800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800Kbyte와 56Kbyte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 그리고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한다.
동영상 II형은 800Kbyte 및 56Kbyte 크기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한다.
대학원용의 경우에도 56kbyte 크기의 영상 데이터는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 변환부(12)는 판정된 동영상 종류가 학부용인지 대학원용인지에 따라 이미 정해진 크기와 형식으로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구비하는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하여 정해진 크기의 형식을 갖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주 스토리지(171)에 저장한다(S17).
예를 들어, 판정된 동영상 종류가 대학원용이면, 동영상 변환부(12)는 입력된 동영상 데이터를 일반형, 동영상 I형 및 동영상 II형으로 변환하고, 이를 위해 각 형태(일반형, 동영상 I형 및 동영상 II형)에 맞게 정해진 크기와 형식으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 후 후, 주 스토리지(171)와 데이터베이스(18)에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
이때, 동영상 변환부(12)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해당 원본 동영상 파일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게 주 스토리지(171)와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한다.
본 예에서, 주 스토리지(171)와 데이터베이스(18)로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는 명령 동작은 작업 할당 제어부(11)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동영상 변환부(12)에 의해 저장이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이때, 동영상 데이터를 해당 크기와 형식으로 변환하는 동작은 이미 기재한 것처럼 트랜스코더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판정된 동영상 종류에 맞게 입력된 원본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동작이 완료되면, 동영상 변환부(12)는 작업 할당 제어부(11)로 변환 동작 완료 신호를 출력하여(S18), 자신의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작업 할당 제어부(11)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멀티미디어 폴더부 작성 동작]
이와 같이, 동영상 변환부(12)로부터 동영상 종류에 맞게 원본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동작이 완료되었다는 변환 동작 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제작자 단말(30)과의 동작을 통해 변환 데이터 파일을 기초로 하여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작업 할당 제어부(11)와 제작자 단말(30) 간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주 스토리지(171)에 저장되어 있는 각 변환 데이터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가능 목록을 작성하여(S21), 제작자 단말(30)로 작성된 다운로드 가능 목록과 제작자 단말(30)으로 출력되는 화면 등에 관련된 화면 영상 데이터 전송한다(S22).
이때, 다운로드 가능 목록은 주 스토리지(171)에 저장되어 있는 각 원본 동영상 파일에 대한 변환 데이터 파일의 목록을 기초로 하여 작성된 목록으로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원본 동영상 파일에 대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식별해 다운 로드 가능 목록이 작성되고, 화면 영상 데이터는 메모리(14)에 저장되어 있다.
이처럼, 작업 할당 제어부(11)에서 제작자 단말(30)로 다운로드 가능 목록과 해당 화면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며, 제작자 단말(30)의 동작 제어부(33)는 전송된 다운로드 가능 목록을 저장부(35)에 저장한다(S23).
다음, 동작 제어부(33)는 전송된 해당 화면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41)에 다운로드 가능 목록이 표시되는 다운로드 화면을 출력하여 제작자가 다운로드 가능 목록을 확인하도록 한다(S24).
이처럼, 제작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 모듈(341)에 다운로드 화면이 표시되면, 제작자는 사용자 입력부(3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41)의 화면에 표시되는 다운로드 가능 목록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목록을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제작자 단말(30)의 동작 제어부(33)는 제작자의 선택 동작에 의해 사용자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가능 목록 중에서 목록 선택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S25).
사용자 입력부(32)를 통해 다운로드 가능 목록 중 목록 선택이 이루어진 상태로 판단되면, 제작자 단말(30)의 동작 제어부(33)는 입력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가능 목록 중에서 사용자 입력부(32)에 의해 선택된 다운로드 목록을 판정하고(S26), 판정된 다운로드 목록에 대한 정보(예, 식별정보)를 작업 할당 제어부(11)로 전송한다(S27).
따라서,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전송된 다운로드 목록의 정보를 이용하여 주 스토리지(171)에서 저장되어 있는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검색하여(S28), 검색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제작자 단말(30)로 전송한다(S29).
예를 들어, 제작자 단말(30)에 의해 선택된 다운로드 목록이 학부용의 TV 멀티형인 경우, 제작자 단말(30)로 다운로드 되는 변환 데이터 파일은 1.2Mbyte, 800K, 400K 및 56Kbyte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가 된다. 작업 할당 제어부(11)로부터 선택된 다운로드 목록에 대한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전송되면, 제작자 단말(30)의 동작 제어부(33)는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 저장부(35)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지정 위치에 저장한다(S210).
이때, 제작자 단말(3)의 동작 제어부(33)는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인터넷(internet)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관련된 변환 데이터인 1.2Mbyte의 영상 데이터와 800Kbyte의 영상 데이터만을 저장부(35)나 지정 위치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할당 제어부(11)로부터 선택된 다운로드 목록에 관련된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전송되면,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을 해당 서버부(50, 60)로의 업데이팅 동작을 위해 제작자는 사용자 입력부(32)를 이용하여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 각각을 제작자 단말(30)의 지정 위치[예, 로컬 디스크(C:)]에 형성된 멀티미디어 폴더부에 이동시키거나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멀티미디어 폴더부는 이미 정해진 이름과 형식으로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폴더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각 폴더에 저장되는 변환 데이터 파일의 내용과 형식은 이미 정해져 있으므로, 제작자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의 형식과 내용에 따라 정해진 이름의 폴더를 각각 생성한 후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을 해당 폴더로 이동시키거나 저장해 복수의 폴더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폴더부 구조의 한 예는 도 12와 같다.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형성 시, 각 폴더에 저장되는 파일은 작업 할당 제어부(11)로부터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뿐만 출연자 등으로부터 제공받은 파일일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제작자 단말(30)의 동작 제어부(33)는 이미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부(32)의 동작에 따른 제작자의 의도대로 해당 폴더를 지정 위치에 생성하고 생성된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저장 또는 이동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S211).
다음, [표 1]에 인터넷용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폴더와 각 폴더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과 내용의 한 예를 도시한다.
폴더명 내용 형식 콘텐츠 저장위치 대상
학부 대학원
Audio 콘텐츠 재생용 음성 MP3 스트림 서버, 다운로드 서버
Dictionary 용어사전 js, css, html 웹 서버
Download 다운로드 파일 ZIP 다운로드 서버
es00_default** 들어가기 영상 MP4 스트림 서버
es00_ot 오리엔테이션 영상 MP4 스트림 서버
es** 학습하기 영상 MP4 스트림 서버, 다운로드 서버
es00_deep** 심화학습 MP4 스트림 서버
es00_extra** 추가 메뉴 영상 MP4 스트림 서버
es00_sum** 정리하기 MP4 스트림 서버
es00_think 생각하기 또는 생각해보기 MP4 스트림 서버
es00_work** 과제안내 또는 과제 MP4 스트림 서버
es00_quiz** 연습하기 또는 점검하기 MP4 스트림 서버
Html 콘텐츠 구동을 위한 파일 js, css, j_Query 웹 서버
Ounviewer 오프라인 동영상 재생을 위한 파일 js, css, j_Query 웹 서버
[표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표 1에서 콘텐츠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각 해당 서버로 전송되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에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전송될 해당 서버에 대한 전송 경로를 나타내는 js 파일이 모두 저장되어 있다.
[표 1]에서 폴더 명에 기재된 '**'는 해당 내용의 변환 데이터 파일의 개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폴더의 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중에서 '학습하기 영상'에 해당하는 변환 데이터 파일이 세 개인 경우, '학습하기 영상'에 해당하는 각 변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세 개의 폴더가 필요하고, 이때, 각 폴더의 이름은 'es01', 'es02' 및 'es03'이다.
따라서, 제작자는 이들 세 개의 폴더('es01', 'es02' 및 'es03')를 생성하고 각 생성된 폴더마다 하나의 '학습하기 영상'에 해당하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송된 각 변환 데이터 파일의 형식과 내용에 따라 정해진 이름의 폴더에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이 모두 저장되어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에 대한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생성이 완료되면, 제작자는 사용자 입력부(32)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압축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를 생성한다(S213).
다음, 제작자 단말(30)의 동작 제어부(33)는 사용자 입력부(3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부(34)의 디스플레이 모듈(341)에 표시되는 메뉴 중에서 도 13에 도시한 메뉴 중에서 등록하기 메뉴, 즉 'HTML 문서마스터 등록' 메뉴가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214).
제작자의 동작에 의해 'HTML 문서마스터 등록' 메뉴가 선택되어 해당 상태의 신호가 사용자 입력부(32)로 인가되면, 제작자 단말(30)의 동작 제어부(33)는 디스플레이 모듈(341)로 도 14와 같은 등록 화면을 출력한다(S215 이로 인해, 제작자는 사용자 입력부(32)를 이용하여 등록을 원하는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를 선택하고, 동작 제어부(33)는 사용자 입력부(32)의 신호에 의해 제작자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를 판정한다(S216).
또한, 제작자는 사용자 입력부(32)를 이용하여 등록 화면에 해당 멀티미디어 콘압축 폴더부의 제목, 부제목, 촬영자, 촬영일자, 제작 프로듀서, 출연자, 키워드, 내용을 입력하게 되며, 'LOD 전송'(즉, 인터넷 전송) 버튼과 '모바일 변환 전송' 버튼 등과 같은 서버로의 전송 버튼의 체크 여부를 선택하여 콘텐츠 관리 유닛(10)로 등록된 후 해당 서버부(50, 60)의 전송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지 여부 또한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4의 등록 화면에 대한 입력 동작을 완료하면, 제작자는 '다음' 버튼을 선택하게 되고, 이러한 '다음' 버튼이 선택된 상태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33)는 도 15와 같은 등록 실시 화면을 출력하여 '등록'버튼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 (S217).
제작자에 의해 '등록'버튼이 선택된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33)는 압축 상태인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를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작업 할당 제어부(11)로 전송한다(S218).
[멀티미디어 폴더부 등록동작]
다음, 도 5를 참고로 하여, 등록부(13)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예의 경우, 데이터베이스(18)에는 각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가 주 스토리지(171)에 저장될 전송 경로가 이미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가 제작자 단말(30)로부터 전송되면, 전송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와 함께 전송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에 대한 전송 경로를 데이터베이스(18)에 요청하여 전송 받는다(S31).
다음,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전송된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압축 상태를 해제하여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생성한다(S32).
그런 다음,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서버(50, 60)로의 전송 버튼의 동작으로 인해 서버로의 전송 개시 동작이 제작자 단말(40), 즉 제작자에 의해 행해졌는지 판단한다(S33).
이를 위해,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작자 단말(30)에 의해 전송 동작이 선택된 상태인지 판정하거나 제작자 단말에 의해 전송 개시 동작을 위한 선택 버튼이 동작되었는지 판정한다
따라서,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상태가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가 전송될 때 도 14의 서버로의 전송 버튼(예, 'LOD 전송'버튼, '모바일 변환 전송')이 선택된 상태로 전송된 경우 또는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가 전송된 후 추후 도 16와 같은 선택 화면을 통하여 제작자 단말(30)에 의해 서버로의 전송 버튼(예, 'LOD 전송', '스마트 서비스 전송')이 선택된 상태인지 판정한다.
따라서, 서버로의 전송 버튼이 동작된 상태로 판정되면(S33),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등록부(13)로 해당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와 이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가 저장될 전송 경로는 등록부(12)로 전달하여 등록부(13)를 동작시킨다(S34)
이처럼, 작업 할당 제어부(11)로부터 전송 경로와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가 입력되면, 등록부(13)는 동작을 시작하여 입력된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주 스토리지(171)에 저장한다(S35). 이때, 주 스토리지(171)로의 저장 위치는 전송 경로에 따라 정해진다.
다음, 등록부(13)는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각 폴더를 검사하여, 정해진 이름의 폴더에 정해진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 판정한다(S36).
예를 들어, 폴더명이 'Audio'의 폴더에 저장된 변환 데이터 파일의 형식이 MP3 인지 판단한다.
적어도 하나의 폴더에 적어도 하나의 변환 데이터 파일이 올바르게 저장되어 있지 는 경우, 즉, 정해진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는 폴더가 하나라도 존재하면(S36), 등록부(13)는 멀티미디어 폴더부에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저장이 잘못된 상태(즉,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파일 저장이 비정상인 상태)로 판정한다.
예를 들어, 'Audio'의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 MP3 형식의 파일 즉, MP3 파일이 아니라 MP4 형식의 파일, 즉, MP4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등록부(13)는 해당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파일 자장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해당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변환 데이터 파일 저장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면(S37), 등록부(13)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에 대한 등록 상태를 실패로 판정하고(S38), 도 17과 같이 등록 실패 화면과 함께 등록 실패 내용, 등록 실패 상태를 제작자 단말(30)로 전송하고(S39) 작업 할당 제어부(11)로도 등록 실패 상태를 통지한다(S391).
이처럼,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등록부(13)로부터 등록 실패 상태가 전송되면, 제작자 단말(30)의 동작 제어부(33)는 등록 실패 상태와 등록 실패 내용이 표시되는 등록 실패 화면을 디스플레이 모듈(341)로 출력하여(S310), 제작자가 해당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에 대한 등록 동작이 실패했고, 출력된 등록 실내 내용을 이용하여 등록 실패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작자는 등록 실패 원인을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각 폴더에 정해진 내용과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올바르게 저장하게 된다.
하지만, 각 정해진 이름을 갖는 모든 폴더에 저장된 변환 데이터 파일의 형식이 각 해당 폴더에 정해진 형식의 파일인 경우(S37), 등록부(13)는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각 폴더에 정상적으로 해당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 판정한다.
이처럼, 멀티미디어 폴더부에 정상적으로 정해진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으면, 등록부(13)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에 대한 등록 상태를 성공으로 판정하고(S311), 백업 스토리지(172)에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저장한다(S312).
다음, 등록부(13)는 제작자 단말(30)로 도 18 및 도 19의 등록 성공 화면과 함께 등록 성공 상태를 전송하고(S313) 또한, 작업 할당 제어부(11)로 출력하여(S314), 제작자 단말(30)의 디스플레이 모듈(341)로 등록 성공 상태가 출력되도록 하며(S315), 또한 작업 할당 제어부(11)로 멀티미디어 등록이 여부를 알려준다.
따라서, 제작자 단말(40)의 사용자는 도 18의 화면의 해당 객체(예, HM)가 설정 색상(예, 빨간색)으로 변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등록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정하고, 해당 객체를 선택하게 되면 도 19와 같이 상세한 등록 내용을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등록부(13)는 1차적으로 멀티미디어 폴더부에 저장되어 있는 변환 데이터 파일의 형식을 검사하여, 각 폴더에 정해진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해당 서버부(50, 60)로의 업데이팅 동작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작자 단말(30)에 의해 정해진 형태로 멀티미디어 폴더부가 생성되지 않을 경우, 불필요하게 행해지는 작업 할당 제어부(11)의 업데이팅 동작으로 인한 시간 낭비가 방지되도록 한다.
[서버로의 전송 동작]
다음, 도 6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수강자 단말(40)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위하여,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작업 할당 제어부(11)에서 행해지는 해당 서버부(50, 60)로의 변환 데이터 파일 업데이팅 동작을 설명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이러한 작업 할당 제어부(11)의 업데이팅 동작 즉, 전송 동작은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각 폴더에 저장된 파일의 형식이 올바른 상태인 등록 성공 상태인 경우에만 행해진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학부용 서버부(50)의 웹 서버(51)와 동영상 서버(52)는 인터넷을 통해 학부생인 수강자의 단말(40)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학부용 서버부(50)의 모바일 서버(53)는 스마트 폰과 같은 학부생의 수강자의 모바일 단말인 수강자 단말(40)로의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웹 서버(51)에는 js, css 및 html 형식의 파일이 저장되고, 동영상 서버(52)의 스트림 서버(521)에는 MP4 형식의 파일이 저장되며, 동영상용 서버(52)의 다운로드 서버(522)에는 주 스토리지(171)에 저장되어 있는 MP3 형식의 파일 및 MP4 형식의 파일이 저장된다.
또한, 모바일 서버(53)의 모바일 스트림 서버(531)와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532)에는 MP4 형식의 파일이 저장된다.
대학원용 서버부(60)의 LMS 서버(61) 역시 인터넷을 통해 대학원생인 수강자의 단말(40)로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모바일 스트림 서버(62)는 모바일 단말인 수강자 단말(40)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스트림 서버(62)는 MP4 형식의 파일이 저장된다.
이처럼, 각 해당 서버부(50, 60)로 정해진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의 업데이팅 동작을 위해,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전송될 서버(50, 60)의 종류를 판정해서 판정된 해당 서버(51, 521, 522, 531, 532, 61, 62)로의 전송 동작을 제어한다.
전송 종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학부용 인터넷, 학부생을 대상으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학부용 모바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대학원용 인터넷, 그리고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대학원용 모바일이다.
학부용 인터넷
먼저, 도 6를 참고로 하여,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전송 종류가 학부용 인터넷인 경우를 설명한다.
판정된 전송 종류가 학부용 인터넷이면,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되어 있는 원본 동영상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파일 정보를 생성한다(S41).
이때, 파일 정보는 제작연도, 교과목 코드, 학기 및 강의 회차로 이루어져 있고, 그 형식의 한 예는 M18376 16 2 01일 수 있다. 여기서, 'M'은 멀티미디어를 의미하고, '18376'는 교과목 코드를 의미하며, '16'은 연도, '2'는 학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 2'는 2학기를 의미한다. 또한, '01'는 강의 회차를 의미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해당 서버(51, 52)로 전송될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각 폴더에는 이미 전송 경로를 저장할 수 있는 js 파일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해당 js 파일의 전송 경로를 초기 상태에서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이 실질적으로 전송되는 정확한 전송 경로로 변경해야 한다. 이때, 각 변환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정확한 전송 경로는 작업 할당 제어부(11)에 의해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18)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데이터베이스(18)의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정확한 전송 경로를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정확한 전송 경로를 판정하고(S42), 주 스토리지(171)의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에서, 해당 서버51, 521, 522)로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에 해당하는 js 파일(예, 도 20)을 해당 폴더에서 읽어와 판독된 js 파일 속의 전송 경로를 삽입하여 js 파일(예, 도 21)의 저장 내용을 변경한다(S43).
다음,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해당 전송 경로로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전송해 해당 서버(51, 52)로의 전송을 실시한다(S44, S46, S48). 이때,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웹 서버(51)로 변경된 js 파일도 전송한다. 이로 인해, 각 서버(51, 521, 522)는 전송된 파일들의 저장 동작을 실시한다(S45, S47, S49).
즉,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생성된 신규 js 파일, html 등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css 형식의 파일 및 html 형식의 파일을 웹 서버(51)로 전송하여(S44) 웹 서버(50)가 전송된 형식의 파일들을 저장하도록 한다(S45)).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주 스토리지(171)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MP3 및 MP4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 서버(522)로 전송하여(S46), 다운로드 서버(522)가 전송된 데이터와 파일을 저장하도록 한다(S47)).
또한,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MP4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스트림 서버(511)로 전송하고(S48), 스트림 서버(511)는 전송된 MP4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S49).
이때, 학부용 동영상 I형을 위해,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다운로드 서버(522)로는 MP3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고, 스트림 서버(521)로는 800Kbyte 크기의 WMV 형식의 파일이 전송된다.
학부용 동영상 II형을 위해,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다운로드 서버(522)로는 MP3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고, 스트림 서버(521)로는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된다.
학부용 TV 멀티형을 위해서는,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다운로드 서버(522)로는 MP3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고, 스트림 서버(521)로는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과 1.2M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된다.
그런 다음,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데이터베이스(18)에서 원본 동영상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 웹 페이지의 경로 정보인 멀티미디어 강의 경로 정보, 원본 동영상 파일의 출연자 정보, 해당 원본 동영상의 강의 요약을 읽어온 후(S410), 메타데이터, 출연자 정보,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 멀티미디어 강의 경로 정보 및 강의 요약을 데이터베이스(20)로 전송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20)에 전송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S411).
이처럼, 데이터베이스(20)에 각 변환 데이터 파일이 해당 서버(51, 52)에 실제로 저장되어 있는 전송 경로인 변경된 js 파일에 기록된 전송 경로가 저장되므로, 수강자 단말(40)은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전송 경로를 이용하여 해당 서버(51, 52)에 저장된 원하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전송받아 해당 동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학부용 모바일
다음, 도 7을 참고로 하여, 선택된 전송 종류가 학부용 모바일인 경우를 설명한다.
판정된 전송 종류가 학부용 모바일이면,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먼저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532)와 모바일 스트림 서버(531)에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는 위치를 알려주는 전송 경로를 생성한 후(S51), 데이터베이스(18)로 전송하고(S52) 또한 데이터베이스(20)로도 전송한다(S53).
다음, 생성된 전송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주 스토리지(171)에 저장되어 있는 변환된 데이터 파일인 동영상 파일 즉, MP4 형식의 파일을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532)와 모바일 스트림 서버(531)로 각각 전송하여(S54, S56), 각 해당 서버(532, 531)가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도록 한다(S55, S57).
이때, 모바일 스트림 서버(531)로는 저화질 또는 일반 화질 동영상(예, 제1 화질)을 위한 400Kbyte MP4 파일이 전송되고,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532)로는 저화질 동영상을 위해 400Kbyte 크기의 MP4 파일과 저화질 동영상보다 화질이 좋은 고화질 동영상(예, 제2 화질)을 위해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된다.
다음,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데이터베이스(18)에서 원본 동영상 파일에 대한 메타데이터,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 원본 동영상 파일의 출연자 정보, 해당 원본 동영상의 강의 요약을 읽어온 후(S58) 데이터베이스(2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20)에 전송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S59).
학부용 텔레비전
본 예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전송 종류는 학부용 텔레비전 송출 모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학부용 서버부(50)는 텔레비전 서버를 추가로 구비한다.
따라서,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주 스토리지(171)에 저장되어 있는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텔레비전 서버로 전송하여 텔레비전 서버가 전송된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텔레비전 서버에 의해 원본 동영상 데이터는 텔레비전 송출센터로 전송된다
대학원용 인터넷
도 8을 참고로 하여, 선택된 전송 종류가 대학원용 인터넷인 경우를 설명한다.
판정된 전송 종류가 대학원용 인터넷이면,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주 스토리지(171)의 저장 데이터와 파일을 이용하여 주 스토리지(171)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다시 압축하여 전송용 압축 파일을 생성한다(S61).
다음,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전송용 압축 파일을 LMS 서버(61)로 전송한다(S62).
따라서, LMS 서버(61)는 전송된 전송용 압축 파일을 저장한다(S63).
이처럼, LMS 서버(61)에 전송용 압축 파일이 전달되면, LMS 서버(61)는 전송용 압축 파일을 압축 해제한 후, 해제된 각 변환 데이터 파일을, 이미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웹 서버, 스트림 서버 및 다운로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대학원용 모바일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대학원용 서버부(60)에는 다운로드 서버가 존재하지 않고 모바일 스트림 서버(62)만 존재하므로, 선택된 전송 종류가 대학원용 모바일인 경우는 도 7에 도시한 학부용 모바일의 경우에서 다운로드 서버와의 동작을 제외한 나머지 동작과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즉, 선택된 전송 종류가 대학원용 모바일인 경우, 작업 할당 제어부(11)는 먼저 변환 데이터 파일이 모바일 스트림 서버(621)에 저장되는 저장 경로인 전송 경로를 생성하고(S71), 생성된 전송 경로에 따라 대학원용 서버부(60)의 해당 모바일 스트림 서버(62)로 저화질 동영상을 위한 400Kbyte 크기를 갖는 MP4 형식의 파일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전송하여 모바일 스트림 서버(62)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S72, S73).
이러한 것처럼, 각 판정된 종류에 따라 해당 서버부(50, 60)로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동작이 완료되면,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출력부(16)로 도 22와 같은 전송 완료 화면을 출력하여 전송 완료 여부 및 전송 성공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콘텐츠 관리 유닛(10)의 작업 할당 제어부(11)의 동작을 의해, 전송 종류에 따라 해당 데이터, 파일, 정보 등이 학부용 서버부(50)와 대학원용 서버부(60)의 각 해당 서버로 자동으로 업데이팅된다. 따라서, 수동으로 일일이 해당 데이터, 파일 또는 정보 등을 해당 서버로 전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고 제작자 단말(30)의 업무량 역시 크게 줄어든다.
이로 인해, 학부용 서버부(50)와 대학원용 서버부(60)로의 업데이팅 동작이 용이하게 행해지므로, 변경되거나 수정된 자료 등에 대한 업데이팅 동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콘텐츠 관리 유닛(10)은 제작자 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파일 저장 상태를 검사하여 올바르고 각 폴더에 정해진 형식의 폴더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만 서버부(50, 60)로의 업데이팅 동작이 행해지므로, 비정상적으로 멀티미디어 폴더부가 작성되었을 때 불필요한 업데이팅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콘텐츠 관리 유닛(10)에는 각 원본 동영상 파일에 관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있으므로, 서비스 종류나 신규 플랫폼이 개발되는 경우에도 콘텐츠 관리 유닛(10)은 변경된 서비스 환경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용이하다.
[수강자 단말]
이와 같이, 학부용 서버부(50)와 대학원용 서버부(60)로 해당 데이터, 정보 및 자료 등의 업데이팅 동작이 완료되면, 수강자 단말(40)은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콘텐츠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콘텐츠 관리 서버는 접속 시 입력된 수강자 단말(40)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강자 단말(40)로 수강 가능 목록을 전송한다. 이 때, 콘텐츠 관리 서버는 수강자 단말(40)의 신분, 즉 학부생인지 대학원생인지 알고 있으므로, 해당 신분에 해당하는 수강 가능 목록을 전송한다. 이때, 수강자 단말(40)의 종류, 즉 모바일 기기 또는 일반 컴퓨터에 따라서 수강 가능 목록의 화면이 달라진다. 도 23 및 도 24에 수강 가능 목록의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하고, 도 23는 모바일 기기를 위한 화면이고, 도 24는 일반 컴퓨터를 위한 화면이다.
따라서, 수강자 단말(40)은 자신의 신분, 즉 수강자가 대학원생인지 학부생인지 따라, 수강 방식, 즉 인터넷을 이용할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할지 아니면 텔레비전을 통해 이용할 지의 선택, 그리고 원하는 콘텐츠, 즉 수강 항목을 선택하게 된다.
수강자 단말(40)은 선택된 항목을 판정하여, 웹서버(51)와 접속하고, 웹서버(51)는 데이터베이스(20)에서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즉,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가 저장되어 있는 해당 서버(51, 52, 53, 60)의 전송 경로를 읽어와 수강자 단말(40)로 전송한다.
따라서, 수강자 단말(40)은 전송된 전송 경로에서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게 된다. 시청 화면의 예는 도 25(모바일 기기) 및 도 26(일반 컴퓨터)에 도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콘텐츠 관리 유닛 11: 작업 할당 제어부
12: 동영상 변환부 13: 등록부
17: 스토리지부 18, 20: 데이터베이스
30: 제작자 단말 40: 수강자 단말
50: 학부용 서버부 51: 웹 서버
52: 동영상 서버 53: 모바일 서버
521: 스트림 서버 522: 다운로드 서버
531: 모바일 스트림 서버 532: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
60: 대학원용 서버부 61: LMS 서버
62: 모바일 스트림 서버

Claims (10)

  1. 메타데이터와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구비한 원본 동영상 파일이 입력되면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의 생성을 제어하는 작업 할당 제어부,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부터 작업 할당을 받아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동영상 파일의 동영상 종류에 맞게 정해진 크기와 파일 형식을 갖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동영상 변환부,
    상기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스토리지부, 그리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와 통신하여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판독하여 동영상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동영상의 종류와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변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동영상 변환부는 입력된 동영상의 종류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동영상의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원본 동영상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크기와 형식을 갖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 변환부에 의해 원본 동영상 데이터의 변환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스토리지부에 저장되어 있는 변환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 가능 목록을 작성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로 다운로드 가능 목록을 전송하고,
    상기 제작자 단말은 상기 다운로드 가능 목록 중 원하는 다운로드 목록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다운로드 목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전송된 상기 다운로드 목록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상기 스토리지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제작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작자 단말은 상기 제작자 단말의 지정 위치에 형성된 정해진 이름과 형식에 의해 생성된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복수의 폴더 중에서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 각각의 형식과 내용에 따라 정해진 이름의 폴더로 전송된 변환 데이터 파일을 이동하거나 저장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압축해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가 전송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와 함께 전송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전송 경로를 판정하여 해당 서버로 상기 멀티미디어 압축 폴더부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2. 제1항에서,
    상기 동영상 종류는 학부용과 대학원용을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종류가 학부용인 경우, 상기 동영상 변환부는 500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WMA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일반형, 800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800Kbyte와 400Kbyte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 그리고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동영상 I형, 800Kbyte 및 400Kbyte 크기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동영상 II형, 1.2Mbyte, 800Kbyte 및 400Kbyte 크기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TV 멀티형에 맞게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상기 동영상 종류가 대학원용인 경우, 상기 동영상 변환부는,
    500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WMA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일반형, 800Kbyte의 크기의 WMV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800Kbyte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 그리고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동영상 I형, 800Kbyte 및 56Kbyte 크기의 MP4 형식의 영상 데이터와 MP3 형식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는 동영상 II형에 맞게 상기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3. 제1항에서,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부터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가 입력되면, 상기 전송 경로를 이용하여 스토리지부에 상기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저장하고, 상기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의 각 폴더에 저장된 변환 데이터 파일을 검사하여 각 폴더에 정해진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등록 성공 상태를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로 출력하여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가 상기 변환 데이터 파일을 서버부의 해당 서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등록부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4. 제3항에서,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전송 종류를 판정하고, 판정된 전송 종류에 따라 정해진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경로를 판정하여, 판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변환 데이터 파일을 지정된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5. 제4항에서,
    상기 전송 종류는 학부용 인터넷, 학부용 모바일, 학부용 텔레비전, 대학원용 인터넷 및 대학원용 모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6. 제5항에서,
    상기 전송 종류가 학부용 인터넷인 경우, 상기 서버부는 웹 서버, 스트림 서버 및 다운로드 서버를 포함하고,
    작업 할당 제어부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 경로로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의 js 파일에 저장되어 전송 경로를 변경한 후, 전송 경로가 변경된 js 파일과 css 형식의 파일 및 html 형식의 변환 데이터 파일을 상기 웹 서버로 전송하고,
    학부용 동영상 I형을 위해,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다운로드 서버(522)로는 MP3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고, 스트림 서버(521)로는 800Kbyte 크기의 WMV 형식의 파일이 전송되고,
    학부용 동영상 II형을 위해,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다운로드 서버(522)로는 MP3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고, 스트림 서버(521)로는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며,
    학부용 TV 멀티형을 위해, 변환 데이터 파일 중에서, 다운로드 서버(522)로는 MP3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고, 스트림 서버(521)로는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과 1.2Mbyte 크기의 MP4 파일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7. 제5항에서,
    상기 전송 종류가 학부용 모바일인 경우, 상기 서버부는 모바일 스트림 서버와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를 포함하고,
    작업 할당 제어부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 경로를 이용하여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인 400Kbyte 크기의 MP4 파일과 8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을 상기 모바일 다운로드 서버로 전송하고, 400Kbyte 크기의 MP4 파일을 모바일 스트림 서버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8. 제5항에서,
    상기 전송 종류가 학부용 텔레비젼인 경우, 상기 서버부는 텔레비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상기 스토리지부에 저장된 원본 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텔레비전 서버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9. 제5항에서,
    상기 전송 종류가 대학원용 인터넷인 경우, 상기 서버부는 LMS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상기 스토리지부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 해제 멀티미디어 폴더부를 압축하여 상기 LMS 서버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10. 제5항에서,
    상기 전송 종류가 대학원용 모바일인 경우, 상기 서버부는 모바일 스트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 할당 제어부는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의 전송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송 경로를 이용하여 해당 변환 데이터 파일인 400Kbyte 크기를 갖는 MP4 파일을 상기 모바일 스트림 서버로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KR1020160134831A 2016-10-18 2016-10-18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KR10181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831A KR101810119B1 (ko) 2016-10-18 2016-10-18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831A KR101810119B1 (ko) 2016-10-18 2016-10-18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119B1 true KR101810119B1 (ko) 2018-01-19

Family

ID=6102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831A KR101810119B1 (ko) 2016-10-18 2016-10-18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11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1564B (zh) 内容生成系统、内容生成装置以及内容生成方法
CN109324811B (zh) 一种用于更新教学录播数据的装置
US20060184497A1 (en) Network-information-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CN101272469A (zh) 用于教学与会场的录制系统及方法
US20050270430A1 (en) Wireless projection system
CN102790768B (zh) 一种媒体服务提供方法、装置及系统
JP2005228107A (ja) オンライ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オンライン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
WO2003001430A1 (fr) Procede de distribution de contenu, donnees de scenario, support d'enregistrement, et procede de creation de donnees de scenario
US20220210342A1 (en) Real-time video production collaboration platform
CN102682817A (zh) 剧本编辑装置、方法和系统以及图像拍摄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081019B1 (ko) 융합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2737442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distance education based on asynchronous interaction
CN114547518A (zh) 基于互动白板的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1198091B1 (ko) 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10119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유닛
JP4129162B2 (ja) コンテンツ作成実演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作成実演方法
WO2003025816A1 (en)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o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US20110231514A1 (en) Content delivery apparatus, content delivery method, content playback method, content delivery program, content playback program
CN101410796B (zh) 构建用于制作自动化控制的宏组件
US20090106703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user-customized content
KR20030025771A (ko) 인터넷상의 교육용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4409B1 (ko) 강의목차, 강의교재와 연동되는 동영상 강의 저작도구 및그 저작방법
JP2022024440A (ja) 現場情報管理装置
KR20170073197A (ko) 차세대 이러닝 고화질 동영상 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Pein et al. Integrating mobile computing solutions into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