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100B1 -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100B1
KR101810100B1 KR1020150155312A KR20150155312A KR101810100B1 KR 101810100 B1 KR101810100 B1 KR 101810100B1 KR 1020150155312 A KR1020150155312 A KR 1020150155312A KR 20150155312 A KR20150155312 A KR 20150155312A KR 101810100 B1 KR101810100 B1 KR 10181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reading
learner
activity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044A (ko
Inventor
양민화
이애진
김보배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1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09B17/003Teaching reading electrically operated apparatus or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선택된 낱자에 대한 공통성 게임 활동, 메모리 게임 활동, 단어 조합 활동, 전자책(e-book) 읽기 활동, 및 확인 학습 활동 등의 다양한 세부 심화 활동이 제공되며, 특히 음성인식(speech recognition)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된 읽기발음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읽기발음을 음소 수준에서 분석하여 읽기의 정확성을 검사하면서 아울러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발음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패턴을 정밀 분석하도록 하여,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최적화된 학습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Method for Phonics Learning Management to improve Reading Ability and the Recorded Media of the Phonics Learning Management Program read by Computer}
본 발명은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선택된 낱자에 대한 낱자의 이름과 소리를 연습하는 기본 연습 활동과 그리고 선택된 낱자에 대한 공통성 게임 활동, 메모리 게임 활동, 단어 조합 활동, 전자책(e-book) 읽기 활동, 및 확인 학습 활동 등의 다양한 세부 심화 활동이 제공되며, 특히 음성인식(speech recognition)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자(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된 읽기발음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읽기발음을 음소 수준에서 분석하여 읽기의 정확성을 검사하면서 아울러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발음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패턴을 정밀 분석하도록 하여, 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최적화된 학습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각종 한글 읽기 능력 평가 방법 및 이에 기초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들이 학습자 또는 피검사자의 현재 시점에 가지고 있는 읽기 능력을 단순한 종합 점수로 평가하고, 이를 기준으로 점수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반복적으로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순 학습 관리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습 효율 향상에 있어서 한계를 가진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한글 읽기 능력 발달 체계를 따라서 한글을 학습하는 학습자에게서 학습부진이나 학습장애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읽기장애를 진단하는 도구로서 읽기검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진단하는 도구로서 BASA(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읽기검사가 종종 활용되고 있다. BASA 읽기검사는 실시가 비교적 간편하고 그 검사결과로부터 학습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비롯하여 종래의 읽기검사는 피검사자가 지문으로 된 검사지를 소리내어 읽은 후 검사자의 질문에 답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검사자가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검사결과를 평가하므로 검사자마다 검사기준이 다르고 검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려웠다. 또한, 이 경우 검사자는 검사지를 준비하고 검사결과를 도출하는데 시간뿐만 아니라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피검사자는 검사장소의 주변 분위기, 검사시간 등에 대한 부담이 커지므로 실질적으로 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었다.
한편, 네트워크 구축 및 데이터 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프로그램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프로그램은 음성인식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와 원어민의 발음을 비교하여 학습자 발음의 정확성을 평가하도록 하는데,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07597호와 제2003-0040955호에서는 학습자의 발음과 기저장된 표준발음을 비교하여 발음의 정확성을 평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학습자의 발음이 표준발음(원어민 발음)에 얼마나 유사한지를 서로 비교하는 것으로서 단어에 대한 발음 자체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어서 실질적으로 정확한 읽기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읽기검사 오류분석 방법에서는 읽기검사의 정확한 판단을 진행하기 위하여 앞선 피검사자들의 읽기 정확도, 속도 등에 대한 표준화 지표를 산출하지 않아 표준화에 사용되는 사례의 수가 적거나 표준화 지표를 온라인 상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않기 때문에 장시간이 지나면 표준화 지표가 실제 읽기검사 일자에 비해 오래되어 10년 이상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한글 읽기 능력 진단/평가 기술이 가진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제안으로서 본 발명자의 선출원 기술이 되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379431호(2014.03.28)에서는 피검사자로부터 단말로 입력되는 피검사자의 읽기발음을 인식하고 인식된 읽기발음의 정확성 및 유창성을 분석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수단을 가진 분석 프로그램을 제안하면서, 이러한 분석 프로그램에서는 읽기의 정확성 및 유창성을 미리 설정된 지문에 포함된 각각의 낱말별로 분석을 실행하되 읽기발음을 음소단위로 세분화하고 그 세분화된 각 음소단위별로 읽기의 정확성 및 유창성을 판단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언어의 음성체계에서 단어의 의미를 구별짓는 최소의 소리 단위를 의미하며 서로 다른 낱말의 의미를 구별시켜주는 변별적인 기능을 가진 음소를 기본 단위로 하며, 나아가 초성, 중성, 종성까지 구분하여 피검사자의 읽기발음이 정확하고 유창하게 발음하였는지를 구분함으로써 읽기의 정확성 및 유창성을 분석하는 것은, 낱말이나 단어 전체의 발음 전체가 표준 발음과 얼마나 유사성을 가진 것인가를 기준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음소단위나 자음/모음 단위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이기에 분석의 정확도가 높은 뿐만 아니라 분석 자료가 제시하는 평가(예를 들어서 정확성 평가는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지문에 제시된 전체 단어수에 대하여 정확히 발음된 단어수를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읽기발음의 유창성 평가는 지문을 읽은 시간에 대하여 읽은 단어수를 이용하여 나타냄)의 객관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었다.
하지만, 위 등록 특허가 제안하고 있는 것은 피검사자의 검사 시점 현재 수준에서의 읽기발음의 정확성을 보다 객관적인 지표로서 평가하는 수단을 제공함에 그칠 뿐이고, 피검사자의 읽기발음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패턴을 파악하거나 이를 통하여 읽기 장애의 원인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나아가 음소 단위에서의 정확한 발음 유무를 파악함으로써 얻어진 세부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별도로 제시되어야 하는 세부적인 학습 전략이나 학습 단계지표를 제시하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한 아쉬운 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0759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40955호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37943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음성인식기술을 통해 인식된 학습자(피검사자)의 설정 지문에 대한 읽기발음을 음소단위로 구분하여 비교하여 검사함으로써 읽기의 정확성을 검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피검사자)가 가진 읽기발음의 오류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나아가 분석된 학습자(피검사자)의 오류 패턴이 파닉스 발달상으로 어떤 수준에 있는지를 분석하여 그 분석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학습자(피검사자)와 같은 오류 패턴 상태에서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파닉스 발달 단계에 따라서 어떤 음소로부터 학습하여야 하는지 읽기능력의 향상을 위한 학습 단계 지표를 결정하면서, 결정된 학습 단계 지표에 따른 적절한 학습 관리 프로세스를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그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이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아울러, 각 학습자(피검사자)들의 누적된 검사결과로부터 연령대별 오류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학습자(피검사자)의 오류 패턴을 학습자(피검사자)가 속한 연령대의 평균적 오류 패턴과 비교 분석하여 오류 패턴에 대한 정성 분석(예컨대, 연령대의 평균적 오류 패턴과 비교할 때, 다양한 음소들에서 작은 빈도로 오류가 나타나는 오류 패턴 또는 특정 음소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오류 패턴으로 구분 가능; 오류 패턴의 질적 분석)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그 오류 패턴에 대한 정성 분석 결과로부터 이러한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적절한 학습 관리 프로세스를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그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이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은,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학습자 단말에 설치된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단말제어부와 프로그램 실행부를 통하여,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는 단계;
기본 모음 그룹, 기본 초성 그룹, 거센소리 초성 그룹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학습 자료 그룹에 대한 선택을 위한 그룹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을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
학습자 단말에서 그룹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의 하나의 학습 자료 그룹이 선택되면, 선택된 학습 자료 그룹에 속하는 복수개의 낱자(자소)에 대한 선택을 위한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을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하나의 낱자(자소)에 대한 학습 자료가 선택되면, 선택된 낱자에 대한 글자와 소리를 연습하는 기본 학습 활동 및 복수개의 심화 학습 활동의 선택을 위한 화면과, 선택된 기본 학습 활동 또는 심화 학습 활동을 위한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 관리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 그룹 낱자별 심화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해당 심화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심화 학습 활동으로서 전자책(e-book)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이 진행되는 경우에, 전자책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을 통하여 읽기 지문에 대한 읽기 검사가 실행되고, 처리된 읽기 검사 결과에 따라서 오류 패턴을 분석하여, 오류 패턴이 파닉스 발달상으로 어떤 수준인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로부터 재학습시에 파닉스 발달 단계에 따라 어떤 음소부터 재학습을 진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읽기 검사의 분석 결과와 결정된 재학습 지표 또는 재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는 단계에서 학습자의 고유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에서 사전에 등록된 학습자 고유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ID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선택된 낱자에 대한 글자와 소리를 연습하는 기본 학습 활동과 선택된 낱자에 대한 복수개의 심화 학습 활동의 선택을 위한 화면과, 선택된 기본 학습 활동 또는 심화 학습 활동을 위한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에서의 글자와 소리를 연습하는 기본 학습 활동 화면에서는 낱자의 이름과 소리를 소개하는 화면과 해당 낱자를 포함하는 기본 단어를 제시하고 그 소리를 속도 단계를 달리하여 들려주는 활동이 제공되고, 그리고 나아가서 심화 학습 활동으로서, 공통성 게임 활동을 위한 화면, 메모리 게임 활동을 위한 화면, 단어 조합 활동을 위한 화면, 전자책(e-book) 읽기 활동을 위한 화면, 및 확인 학습 활동을 포함한 복수개의 심화 학습 활동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진행되는 전자책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을 통한 읽기 검사와 파닉스 발달 단계 분석 및 그에 따른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의 결정이 학습자 단말을 통하여 진행되기 위하여,
학습자 단말에서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자책 읽기 지문 또는 확인 학습 지문을 표시하고,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읽기발음을 인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음소 단위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지문의 낱말에 대하여 상기 인식된 읽기발음의 정확성을 음소 단위로 분석하는 단계;
음소 단위로 읽기발음이 분석된 상기 지문의 낱말들을 분류하여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오류 패턴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고유정보와 매핑시켜 상기 학습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읽기검사 오류 분석과 파닉스 발달 단계 분석 및 그에 따른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의 결정이 인터넷망을 통한 원격지의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를 통하여 진행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학습자 단말에서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자책 읽기 지문 또는 확인 학습 지문을 표시하고,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읽기발음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인식된 읽기발음 정보를 미리 연결된 인터넷망을 통해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에서 상기 전송받은 읽기발음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음소 단위 분석기준에 따라 상기 지문의 낱말에 대하여 상기 학습자의 읽기발음의 정확성을 음소 단위로 분석하는 단계;
음소 단위로 읽기발음이 분석된 상기 지문의 낱말들을 분류하여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오류 패턴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고유정보와 매핑시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와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자의 고유정보는 생년월일, 이름, 학년, 지역, 성별의 세부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읽기발음의 정확성을 음소 단위로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지문의 낱말에 대하여 상기 학습자의 읽기발음의 오류 항목과 정상 항목을 구분하며 오류 항목의 경우에 음소가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 그 유형을 파악하고 그리고 잘못 대체 발음된 음소를 파악하며, 그리고 상기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오류 항목의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오류 패턴별 분석 기준에 따라서 패턴화하여 분석하게 됨으로써, 상기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는 상기 학습자의 읽기발음 중에서 나타난 음소 유형별 발생 오류의 빈도 분석 정보(예컨대 종성 'ㄱ'의 오류 발생 빈도)와 음소 유형마다 나타난 대체 음소 유형의 빈도 분석 정보(예컨대 종성 'ㄱ'을 'ㅇ'이 대체하는 오류 발생 빈도)를 포함하게 된다. 여기에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는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발음 오류 패턴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표 또는 그래프와 같이 식별력이 높은 수단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각 학습자들의 누적된 검사결과로부터 연령대별 오류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학습자(피검사자)의 오류 패턴을 학습자(피검사자)가 속한 연령대의 평균적 오류 패턴과 비교 분석하여 오류 패턴에 대한 정성 분석 결과(예컨대, 연령대의 평균적 오류 패턴과 비교할 때, 다양한 음소들에서 작은 빈도로 오류가 나타나는 오류 패턴 또는 특정 음소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오류 패턴으로 구분 가능; 오류 패턴의 질적 분석)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형태의 실시 형태로 제공되는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통하여,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학습자 단말에 설치되어 실행되면 학습자 단말의 실행제어부와 프로그램 실행부를 통하여,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는 단계; 기본 모음 그룹, 기본 초성 그룹, 거센소리 초성 그룹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학습 자료 그룹에 대한 선택을 위한 그룹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을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학습자 단말에서 그룹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의 하나의 학습 자료 그룹이 선택되면, 선택된 학습 자료 그룹에 속하는 복수개의 낱자에 대한 선택을 위한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을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하나의 낱자에 대한 학습 자료가 선택되면, 선택된 낱자에 대한 글자와 소리를 연습하는 기본 학습 활동과 선택된 낱자에 대한 복수개의 심화 학습 활동의 선택을 위한 화면과, 선택된 기본 학습 활동 또는 심화 학습 활동을 위한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가 진행되고, 그리고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 관리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 그룹 낱자별 심화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해당 심화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심화 학습 활동으로서 전자책(e-book)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이 진행되는 경우에, 전자책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을 통하여 읽기 지문에 대한 읽기 검사가 실행되고, 처리된 읽기 검사 결과에 따라서 오류 패턴을 분석하여, 오류 패턴이 파닉스 발달상으로 어떤 수준인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로부터 재학습시에 파닉스 발달 단계에 따라 어떤 음소부터 재학습을 진행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읽기 검사의 분석 결과와 학습 제안 결정 및 이에 따른 재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된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수단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학습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 분석 결과를 포함한 성취 수준이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시에 누적 그래프로 제시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실시예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자신의 성취에 대한 점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에 의하면,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하나의 낱자에 대한 학습 자료가 선택되면 선택된 낱자에 대한 글자와 소리를 연습하는 기본 학습 활동과 그리고 선택된 낱자에 대한 복수개의 심화 학습 활동을 선택하여 선택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 관리 제어를 제공하며, 나아가 학습 효과 판단 및 새로운 학습 목표 설정을 평가를 위하여, 음성인식기술을 통해 인식된 학습자(피검사자)의 설정 지문에 대한 읽기발음을 음소단위로 구분하여 비교하여 검사함으로써 읽기의 정확성을 검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피검사자)가 가진 읽기발음의 오류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제공하고, 나아가 분석된 학습자(피검사자)의 오류 패턴이 파닉스 발달상으로 어떤 수준에 있는지를 분석하여 그 분석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학습자(피검사자)와 같은 오류 패턴 상태에서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파닉스 발달 단계에 따라서 어떤 음소로부터 학습하여야 하는지 읽기능력의 향상을 위한 학습 단계 지표를 결정하면서, 결정된 학습 단계 지표에 따른 적절한 학습 관리 프로세스를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각 학습자(피검사자)들의 누적된 검사결과로부터 연령대별 오류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학습자(피검사자)의 오류 패턴을 학습자(피검사자)가 속한 연령대의 평균적 오류 패턴과 비교 분석하여 오류 패턴에 대한 정성 분석(예컨대, 연령대의 평균적 오류 패턴과 비교할 때, 다양한 음소들에서 작은 빈도로 오류가 나타나는 오류 패턴 또는 특정 음소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오류 패턴으로 구분 가능; 오류 패턴의 질적 분석)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그 오류 패턴에 대한 정성 분석 결과로부터 이러한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적절한 학습 관리 프로세스를 학습자가 제시받을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이렇게 축적된 분석 결과들은 문항 반응 이론에 기초하여 보다 개선된 학습 자료나 평가 자료로 업데이트되도록 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흐름도에 도시된 단계 (S500)의 보다 구체적인 실행 단계들에 대한 2가지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1의 흐름도에 도시된 단계 (S200)가 학습자 단말에 나타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흐름도에 도시된 단계 (S300)가 학습자 단말에 나타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f는 단계 (S400)에서 수행되는 글자와 소리를 연습하는 기본 학습 활동 상태와 다양한 심화 학습 활동 상태가 학습자 단말에 나타난 상태를 예시한 도면들.
도 6a 및 도 6b는 단계 (S450)을 거쳐서 단계 (S500)에서 수행되는 심화 학습 활동 상태로서 전자책 읽기 활동 및 그 활동 결과가 학습자 단말에 나타난 상태를 예시한 도면들.
도 7a 및 도 7b는 단계 (S450)을 거쳐서 단계 (S500)에서 수행되는 심화 학습 활동 상태로서 확인 학습 활동 및 그 활동 결과가 학습자 단말에 나타난 상태를 예시한 도면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서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교사용 단말의 가이드 화면에서 수행되는 가이드 정보들이 나타난 상태를 예시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학습자 단말(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DB)의 구성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가 도시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으로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학습자 단말(110)에 설치된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단말 제어부(115)와 프로그램 실행부(114)를 통하여,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는 단계(S100);
기본 모음 그룹, 기본 초성 그룹, 거센소리 초성 그룹, 된소리 초성 그룹, 종성 그룹, 이중 모음 그룹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학습 자료 그룹에 대한 선택을 위한 그룹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도 3 참조)을 학습자 단말(110)의 표시부(113)에 제공하는 단계(S200);
학습자 단말에서 그룹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의 하나의 학습 자료 그룹이 선택되면, 선택된 학습 자료 그룹에 속하는 복수개의 낱자(자소)에 대한 선택을 위한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도 4 참조)을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113)에 제공하는 단계(S300); 및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하나의 낱자(자소)에 대한 학습 자료가 선택되면, 선택된 낱자에 대한 글자와 소리를 연습하는 기본 학습 활동과 선택된 낱자에 대한 공통성 게임 활동을 위한 화면, 메모리 게임 활동을 위한 화면, 단어 조합 활동을 위한 화면, 전자책(e-book) 읽기 활동을 위한 화면, 및 확인 학습 활동을 포함한 심화 학습 활동의 선택을 위한 화면(도 5a 참조)과, 선택된 기본 학습 활동 또는 심화 학습 활동을 위한 학습 자료(도 5b 및 도 5c의 활동1, 도 5d의 활동2, 도 5e의 활동3, 및 도 5f의 활동4 참조)를 학습자 단말(110)의 표시부(113)에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 관리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 그룹 낱자별 심화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해당 심화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110)의 표시부(113)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전자책(e-book) 읽기 활동(도 6a 및 도 6b의 활동5) 또는 확인 학습 활동(도 7a 내지 도 7c의 활동6)이 진행되는 경우에(S450), 전자책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을 통하여 읽기 지문에 대한 읽기 검사가 실행되고, 처리된 읽기 검사 결과에 따라서 오류 패턴을 분석하여, 오류 패턴이 파닉스 발달상으로 어떤 수준인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로부터 재학습시에 파닉스 발달 단계에 따라 어떤 음소부터 재학습을 진행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S500); 및
읽기 검사의 분석 결과와 결정된 재학습 지표 및 이에 따른 재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110)의 표시부(113)에 표시하는 단계(S6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단계 (S500)에서 전자책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을 통한 읽기 검사와 파닉스 발달 단계 분석 및 그에 따른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의 결정이 학습자 단말(110)에 의해 진행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단계 (S500)은,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단말(110)에서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자책 읽기 지문 또는 확인 학습 지문을 표시하고,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읽기발음을 인식하는 단계(S510, S520, S530);
미리 설정된 음소 단위 분석 기준에 따라 상기 지문의 낱말에 대하여 상기 인식된 읽기발음의 정확성을 음소 단위로 분석하는 단계(S540);
음소 단위로 읽기발음이 분석된 상기 지문의 낱말들을 분류하여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단계(S550); 및
상기 분석된 오류 패턴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고유정보와 매핑시켜 상기 학습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S560)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단계 (S500)에서 전자책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을 통한 읽기 검사와 파닉스 발달 단계 분석 및 그에 따른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의 결정이 원격지의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에 의해 진행되기 위하여, 도 2b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단계 (S500)은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단말(110)에서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자책 읽기 지문 또는 확인 학습 지문을 표시하고,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읽기발음을 인식하는 단계(S510, S520, S530);
상기 학습자 단말(110)에서 인식된 읽기발음 정보를 미리 연결된 인터넷망(120)을 통해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S540a);
상기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에서 상기 전송받은 읽기발음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음소 단위 분석기준에 따라 상기 지문의 낱말에 대하여 상기 학습자의 읽기발음의 정확성을 음소 단위로 분석하는 단계(S550a);
음소 단위로 읽기발음이 분석된 상기 지문의 낱말들을 분류하여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단계(S560a);
상기 분석된 오류 패턴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고유정보와 매핑시켜 상기 학습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570a); 및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와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상기 인터넷망(120)을 통해 상기 학습자 단말(110)로 전송하는 단계(S580a)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읽기발음의 정확성을 음소 단위로 분석하는 단계(S540 또는 S550a)에서는 상기 지문의 낱말에 대하여 상기 학습자의 읽기발음의 오류 항목과 정상 항목을 구분하며 오류 항목의 경우에 음소가 초성, 중성, 종성 중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 그 유형을 파악하고 그리고 잘못 대체 발음된 음소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단계(S550 또는 S560a)에서는 오류 항목의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오류 패턴별 분석 기준에 따라서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는 상기 학습자의 읽기발음 중에서 나타난 음소 유형별 발생 오류의 빈도 분석 정보와 음소 유형마다 나타난 대체 음소 유형의 빈도 분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로서 학습자의 읽기발음 오류 패턴이 표 또는 그래프의 수단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분석결과를 데이터 레포지토리에 저장하여 다수의 학습자의 읽기발음의 표준화된 오류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학습자의 고유정보는 생년월일, 이름, 학년, 지역, 성별의 세부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세부 정보를 상기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와 함께 이용하여, 각 학습자들의 누적된 검사결과로부터 구축된 연령대별 오류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오류 패턴을 학습자가 속한 연령대의 평균적 오류 패턴과 비교 분석하여 오류 패턴에 대한 정성 분석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 유형으로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학습자 단말에 설치되어 실행되면 학습자 단말의 실행제어부와 프로그램 실행부를 통하여,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는 단계(S100); 기본 모음 그룹, 기본 초성 그룹, 거센소리 초성 그룹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학습 자료 그룹에 대한 선택을 위한 그룹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을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200); 학습자 단말에서 그룹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의 하나의 학습 자료 그룹이 선택되면, 선택된 학습 자료 그룹에 속하는 복수개의 낱자에 대한 선택을 위한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을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300); 및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하나의 낱자에 대한 학습 자료가 선택되면, 선택된 낱자에 대한 글자와 소리의 연습을 위한 기본 학습 활동과 복수개의 심화 학습 활동의 선택을 위한 화면과, 선택된 기본 학습 활동 또는 심화 학습 활동을 위한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S400)가 진행되고, 그리고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 관리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 그룹 낱자별 심화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해당 심화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S400)에서 심화 학습 활동으로서 전자책(e-book)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이 진행되는 경우에(S450), 전자책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을 통하여 읽기 지문에 대한 읽기 검사가 실행되고, 처리된 읽기 검사 결과에 따라서 오류 패턴을 분석하여, 오류 패턴이 파닉스 발달상으로 어떤 수준인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로부터 재학습시에 파닉스 발달 단계에 따라 어떤 음소부터 재학습을 진행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S500); 및 읽기 검사의 분석 결과와 학습 제안 결정 및 이에 따른 재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S600)가 추가적으로 진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된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학습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 분석 결과를 포함한 성취 수준이 상기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시에 누적 그래프로 제시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단계들을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행하는 동안에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학습자 단말(110)의 표시부(113)에 나타나는 화면의 구체적인 예시들이 도 3 내지 도 7c에 나타나 있고, 이에 덧붙여서 학습자의 한글 읽기 학습을 지도 또는 가이드 하는 교사용 단말에 제공될 수 있는 가이드 화면의 예시들이 도 8a 내지 도 8e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학습자 단말(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110)은 입력부(111), 저장부(112),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프로그램 실행부(113), 표시부(114) 및 단말제어부(115)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학습자 단말(110)이 통신부(11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학습자 단말(110)은 바람직하게는 학습을 진행하는 학습자(피검사자)가 소유한다. 이러한 학습자 단말(110)에는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터넷망을 통해 다운로드되어 수행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110)은 개인용 컴퓨터(PC), 휴대형 정보통신단말(PDA), 노트북PC, 이동통신단말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스마트기기(smart device)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마트기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변경 또는 확장할 수 있는 휴대형 정보통신기기로서 예컨대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스마트패드(smart pad)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스마트기기는 다양한 모바일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학습자; 피검사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마켓 또는 후술되는 읽기검사오류분석 서버에서 다운로드받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학습자(피검사자)는 학습자 단말(110)에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더욱 나아가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진행 중에 필요한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파닉스 학습 관리 과정 및 소정의 읽기검사 오류분석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입력부(111)는 학습자(피검사자)로부터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 및 읽기발음을 입력받으며 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및 명령 등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명령 등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읽기발음의 입력은 학습자(피검사자)가 말하는 음성을 입력받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111)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일반적인 입력수단과 더불어서 음성신호 입력수단으로서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는 이름, 아이디, 비밀번호 등의 기본정보를 포함하여 생년월일, 학년, 지역, 성별 등의 세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세부정보별 읽기검사 오류 패턴을 비교 분석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저장부(112)는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 및 읽기발음을 저장한다. 읽기발음의 경우에는 녹음 파일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112)는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 학습 관리 방법의 수행 중에 필요한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 및 읽기검사 대상으로 제시되는 지문(예컨대, e-book), 그리고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인식 프로그램,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 등을 저장한다. 여기에서, 음성인식 프로그램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113)는 본 실시예에서 이루어지는 읽기검사 오류분석에 따른 각종 정보들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표시부(113)는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대상 지문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나아가 해당 학습자(피검사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표시한다. 뿐만 아니라 읽기검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내메시지나,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과 학습자(피검사자) 고유정보의 입력 과정 등의 진행을 위한 각종 정보를 화면이나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13)는 예컨대, 시각적 정보의 표시를 위한 액정표시장치(LCD)와 청각적 정보의 표시를 위한 스피커 또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실행부(114)는 단말제어부(115)의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부(112)에 저장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및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및 음성인식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읽기검사, 및 오류분석 과정이 진행된다.
단말제어부(115)는 학습자 단말(1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들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제어부(115)에서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명령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부(114)를 제어하여 저장부(112)에 저장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및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제어부(115)는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그 실행 단계에 따른 학습 단계 선택 화면 또는 학습 자료 제시 화면들(도 3 내지 도 5f 참조)이 표시부(113)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나아가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지문(예컨대, 도 6a와 같은 e-book)이 표시부(113)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음성인식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입력부(111)로 입력되는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발음을 인식하도록 제어하며, 미리 설정된 음소 단위 분석기준에 따라 지문의 낱말에 대하여 상기 인식된 읽기발음의 정확성을 음소 단위로 분석하고, 음소 단위로 읽기발음이 분석된 상기 지문의 낱말들을 분류하여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도록 한다. 나아가, 그 분석된 정보를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와 서로 매핑시켜 해당 학습자(피검사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로써 표시부(113)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표시부(113)에 디스플레이는 되는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는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발음 오류 패턴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표 또는 그래프와 같이 식별력이 높은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신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6)는 학습자(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된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 및 읽기발음 음성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통신부(116)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0은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중에 읽기검사 오류분석이 수행되는 시스템이 인터넷망을 통하여 수행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110), 인터넷망(120),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학습자 단말(110)은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 및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포함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학습자(피검사자)로부터 고유정보를 입력받고서, 그 실행 단계에 따른 학습 단계 선택 화면 또는 학습 자료 제시 화면들(도 3 내지 도 5f 참조)이 표시부(113)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나아가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읽기검사 오류분석을 위한 지문이 표시부(113)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데, 이러한 지문은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전자책(e-book)과 같이 학습자(피검사자)가 소리 내어서 읽는 문장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학습자 단말(110)은 음성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에 대한 읽기발음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읽기발음 정보를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와 함께 인터넷망(120)을 통해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후에 학습자 단말(110)은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로부터 해당 학습자(피검사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와 파닉스 발달 단계 분석 및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학습자 단말(110)은 유무선 인터넷통신이 가능한 장치가 된다.
도 10에서 설명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학습자 단말(110)은 도 9에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기능적인 측면에서 일부 차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학습자 단말(110)은 학습자(피검사자)로부터 고유정보 및 읽기발음을 인식하여 저장한 후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로 전송한다. 이후의 읽기발음에 대한 분석 및 오류 패턴 분석과 파닉스 발달 단계 분석 및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 결정은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읽기발음에 대한 분석, 오류 패턴 분석, 파닉스 발달 단계 분석, 및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 결정 과정이 도 9에서는 학습자 단말(110)에서 이루어지지만, 도 10에서는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에서 이루어지며, 학습자 단말(110)은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로부터 그 결과를 수신하면 된다.
인터넷망(120)은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10)과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 간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한다. 이러한 인터넷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피검사자)의 학습자 단말(110)로부터 인터넷망(120)을 통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는 상기 수신된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 및 읽기발음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그 수신된 읽기발음 음성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분석 기준에 따라 지문의 낱말에 대하여 읽기의 정확성(오류 상태)과 그 오류 패턴을 분석하게 된다. 이때, 읽기의 정확성은 미리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상기 지문의 낱말에 대하여 상기 인식된 읽기발음의 정확성(오류)을 음소 단위로 분석하되, 상기 지문의 낱말에 대하여 상기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발음의 오류 항목과 정상 항목을 구분하며 오류 항목의 경우에 음소가 초성, 중성, 종성 중에서 어느 유형에 해당하는지 그 유형을 파악하고 잘못 대체 발음된 음소를 파악하며, 그리고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오류 패턴별 분석 기준에 따라서 패턴화하여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오류 패턴 분석 과정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는 그 분석된 오류 패턴 정보를 해당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해당 학습자(피검사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여 데이터베이스(DB:database)(140)에 저장한 후에 이를 인터넷망(120)을 통해 해당 학습자(피검사자)의 학습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DB:database)(140)는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 및 읽기발음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에는 읽기의 정확성 분석을 위하여 제공되는 음소 단위 분석 기준 및 오류 패턴별 분석 기준이 저장되며, 읽기발음의 분석정보, 읽기검사 오류분석의 최종결과 및 이에 따른 각종 통계처리결과가 저장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40)는 다수의 학습자(피검사자)들에 대한 읽기 정확성,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 패턴 등에 대한 표준화된 지표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데이터 레포지토리(data repository)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레포지토리의 업데이트는 문항 반응 이론을 이용하여 검사시마다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더 많은 수의 사례를 바탕으로 표준화 검사결과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검사결과가 보다 정확해지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검사방법에서는 표준화에 사용되는 사례의 수가 적거나 장시간 지나면 표준화 지표를 산출하는 일자가 실제 읽기검사일에 비해 오래되어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데이터 레포지토리를 자동화하면 업데이트가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사례의 수가 제한적이었던 기존의 문제도 오히려 시간이 지나면서 보강되어 보다 정확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를 구성하기 위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는 송수신부(131), 메모리(132), 분석부(133), 통계처리부(134) 및 서버제어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131)는 인터넷망(120)을 통해 학습자 단말(110)과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학습자(110)로부터 학습자(피검사자) 고유정보 및 학습자(피검사자)로부터 입력된 읽기발음의 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학습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메모리(131)는 학습자 단말(11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고, 나아가 읽기의 정확성 및 유창성 분석을 위한 분석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그 외에도 각종 데이터 및 정보들을 저장하게 된다.
분석부(133)는 미리 설정된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발음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분석기준에 따라 지문의 낱말별로 읽기의 정확성 및 오류 패턴을 분석한다. 특히, 이러한 읽기의 정확성 분석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인식된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발음을 음소단위로 세분화하고 그 세분화된 음소단위별로 분석한다. 이때, 음소단위별 분석은 데이터베이스(140)에 미리 저장된 음소단위 분석기준에 따라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석기준은 각각 음소단위별로 발음을 평가하는데 기준이 되며, 이들 각 기준은 미리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읽기발음의 정확성은 오류 분석부(133a)에서 지문의 낱말별로 오류 발생 상황을 체크함으로써 수행되고, 이러한 오류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패턴 분석부(133b)에서는 초성, 중성, 종성과 같은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 빈도 및 잘못 발음된 대체 음소 유형을 오류 패턴별 분석 기준에 따라서 패턴화하여 분석하여 그 오류 패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통계처리부(134)는 학습자(피검사자)의 수준별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통계적으로 처리한다. 즉,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 중 생년월일, 이름, 학년, 지역, 성별 등의 세부정보별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통계적으로 처리한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40),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령대별 오류 패턴 DB(148)에 수록된 서울에 사는 남자 초등학교 2학년 학생 300명에 대한 읽기발음의 표준적인 오류 패턴과 학습자(피검사자)의 오류 패턴을 비교하는 대비표 또는 그래프로써 그 분석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서버제어부(135)는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13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들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제어부(135)에서 분석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인터넷망(120)을 통해 학습자 단말(110)로부터 전송받은 읽기발음으로부터 읽기의 정확성 및 오류 패턴을 분석하도록 분석부(133)를 제어하고 해당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와 매핑시켜 분석된 오류 분석 결과와 재학습 지표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 후, 이를 인터넷망(120)을 통해 해당 학습자(피검사자)의 학습자 단말(1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DB)의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140)는 학습자(피검사자) 고유정보 DB(141), 읽기발음 정보 DB(142), 음소단위 분석기준 DB(143), 음소단위 분석결과 저장 DB(144), 오류 패턴별 분석기준 DB(145), 오류 패턴 분석결과 저장 DB(146), 오류 패턴별 학습단계지표 연계자료 DB(147), 및 연령대별 오류 패턴 DB(14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학습자(피검사자) 고유정보 DB(141)와 읽기발음 정보 DB(142)는 다수의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검사 오류분석 단말(110)로부터 전송되어 온 다수의 학습자(피검사자)의 고유정보 및 읽기발음 정보를 각각 저장한다. 음소단위 분석기준 DB(143)는 오류분석 서버(130)에서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읽기발음에 대한 낱말을 음소단위별로 정확성(오류 발생 여부)을 평가할 때 이용되는 기준을 저장하고, 읽기발음 정보 DB(142)에서 읽어온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발음 정보를 오류분석 서버(130)에서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음소단위로 분석한 결과는 음소단위 분석결과 저장 DB(144)에 저장된다. 오류 패턴별 분석기준 DB(145)는 초성, 중성, 종성과 같은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 빈도 및 잘못 발음된 대체 음소 유형을 패턴화하여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오류 패턴별 분석 기준을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오류 패턴에 대한 분석 결과는 오류 패턴 분석결과 저장 DB(146)에 저장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제공되는 오류 패턴별 학습단계지표 연계자료 DB(147) 및 연령대별 오류 패턴 DB(148)에는 학습자(피검사자)별 읽기오류 분석 결과에 대한 다양한 추가적인 통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준이나 데이타들이 저장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통계처리를 위하여, 이전 다수의 학습자(피검사자)들의 읽기발음의 오류 패턴을 누적적으로 분석하여 표준화된 오류 패턴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업데이트하는 데이터 레포지토리(data repository)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레포지토리에는 각 학습자(피검사자)의 읽기검사시마다 그 검사결과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오류 패턴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이로써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더 많은 수의 사례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오류 패턴과의 보다 객관적인 비교 검사 결과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이렇게 축적된 분석 결과들은 문항 반응 이론에 기초하여 보다 개선된 학습 자료나 평가 자료로 업데이트되도록 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부분 개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관리 시스템
110: 학습자 단말
120: 인터넷망
130: 읽기검사 오류분석 서버

Claims (13)

  1.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으로서,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학습자 단말에 설치된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실행제어부를 통하여,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을 초기화하는 단계(S100);
    기본 모음 그룹, 기본 초성 그룹, 거센소리 초성 그룹, 종성 그룹, 이중 모음 그룹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학습 자료 그룹에 대한 선택을 위한 그룹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을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200);
    학습자 단말에서 그룹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의 하나의 학습 자료 그룹이 선택되면, 선택된 학습 자료 그룹에 속하는 복수개의 낱자에 대한 선택을 위한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을 학습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300);
    낱자별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하나의 낱자에 대한 학습 자료가 선택되면,
    선택된 낱자에 대한 글자와 소리를 연습하는 기본 학습 활동과 선택된 낱자에 대한 복수개의 심화 학습 활동의 선택을 위한 화면과, 선택된 기본 학습 활동 또는 심화 학습 활동을 위한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S400);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 관리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 그룹 낱자별 심화 학습 자료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해당 심화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S400)에서 심화 학습 활동으로서 전자책(e-book)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이 진행되는 경우에(S450), 전자책 읽기 활동 또는 확인 학습 활동을 통하여 읽기 지문에 대한 읽기 검사가 실행되고, 처리된 읽기 검사 결과에 따라서 음소 유형별 오류 패턴을 분석하여, 음소 유형별 오류 패턴이 파닉스 발달상으로 어떤 수준인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로부터 재학습시에 파닉스 발달 단계에 따라 어떤 음소부터 재학습을 진행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S500); 및
    읽기 검사의 분석 결과와 결정된 재학습 지표 또는 재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단계 (S500)은, 음소 단위로 읽기발음이 분석된 상기 지문의 낱말들을 분류하여 초성, 중성, 종성을 포함하는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단계(S550 또는 S560a); 및 상기 분석된 오류 패턴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고유정보와 매핑시켜 상기 학습자에 대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재학습 지표 또는 자료를 결정하는 단계(S560 또는 S570a)를 포함하고,
    상기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단계(S550 또는 S560a)에서는 오류 항목의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오류 패턴별 분석 기준에 따라서 패턴화하여 분석하고, 상기 읽기검사 오류분석 결과는 상기 학습자의 읽기발음 중에서 나타난 음소 유형별 발생 오류의 빈도 분석 정보와 음소 유형마다 나타난 대체 음소 유형의 빈도 분석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음소 유형별로 발생한 오류를 패턴화하여 분석하는 단계(S550 또는 S560a) 이후에,
    상기 분석결과를 데이터 레포지토리에 저장하여 다수의 학습자의 읽기발음의 표준화된 오류 패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심화 학습 활동의 선택을 위한 화면과, 선택된 심화 학습 활동을 위한 심화 학습 자료를 학습자 단말의 표시부에 제공하는 단계에서의 심화 학습 활동으로서, 공통성 게임 활동을 위한 화면, 메모리 게임 활동을 위한 화면, 단어 조합 활동을 위한 화면, 전자책(e-book) 읽기 활동을 위한 화면, 및 확인 학습 활동을 포함한 복수개의 심화 학습 활동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55312A 2015-11-05 2015-11-05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810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312A KR101810100B1 (ko) 2015-11-05 2015-11-05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312A KR101810100B1 (ko) 2015-11-05 2015-11-05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044A KR20170053044A (ko) 2017-05-15
KR101810100B1 true KR101810100B1 (ko) 2017-12-18

Family

ID=5873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312A KR101810100B1 (ko) 2015-11-05 2015-11-05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084A1 (ko) * 2018-06-21 2019-12-26 곽진 음향 효과 제공시스템
CN109241478A (zh) * 2018-08-02 2019-01-18 李京 一种研究型阅读系统及研究型阅读方法
KR102241494B1 (ko) * 2019-06-27 2021-04-19 (주)미디어포스원 한글 난독증 중재서비스를 위한 cpa 발달용 파닉스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게임 서버
USD922701S1 (en) 2019-12-23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oe care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31B1 (ko) * 2013-01-21 2014-03-2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읽기검사방법, 이를 적용한 읽기검사단말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31B1 (ko) * 2013-01-21 2014-03-2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읽기검사방법, 이를 적용한 읽기검사단말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044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431B1 (ko) 읽기검사방법, 이를 적용한 읽기검사단말 및 시스템
McNamara Validity in language testing: The challenge of Sam Messick's legacy
CN110782921B (zh) 语音测评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Fulcher Scoring performance tests
US20140272908A1 (en) Dynamic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10546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teracy assessment
Bolaños et al. FLORA: Fluent oral reading assessment of children's speech
KR101810100B1 (ko)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파닉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09503563A (ja) 話し言葉のコンピュータによる習熟度評価
Kang et al. The roles of suprasegmental features in predicting English oral proficiency with an automated system
KR20180088097A (ko) 음소이미지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관리 시스템
KR20170036404A (ko) 읽기검사 오류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읽기검사 오류분석 단말 및 시스템
CN111861161B (zh) 基于标准化病人的问诊训练考评方法和装置
Isaacs Fully automated speaking assessment: Changes to proficiency testing and the role of pronunciation
KR101136415B1 (ko) 학습자 인지능력 기반의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1812763B1 (ko) 한글 철자 검사지 생성 및 검사 결과 해석 시스템
KR101812755B1 (ko) 한글 철자 검사지의 검사 결과 해석 시스템
Ghanem et al. Pronunciation features in rating criteria
Hall-Mills Language progress monitoring for elementary students
KR101984063B1 (ko) 영단어 학습을 위한 시스템
KR20130062414A (ko) 학습 패턴 평가 시스템
Herms et al. CoLoSS: Cognitive load corpus with speech and performance data from a symbol-digit dual-task
Nakatsuhara et al. Measuring L2 speaking
JP4923246B2 (ja) 適応型テストシステムとその方法
KR101215405B1 (ko) 영어 단어 실력 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