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080B1 - 치과용 멤브레인 - Google Patents

치과용 멤브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080B1
KR101810080B1 KR1020150077317A KR20150077317A KR101810080B1 KR 101810080 B1 KR101810080 B1 KR 101810080B1 KR 1020150077317 A KR1020150077317 A KR 1020150077317A KR 20150077317 A KR20150077317 A KR 20150077317A KR 101810080 B1 KR101810080 B1 KR 101810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anofibers
electrospinning
biodegradable polymer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908A (ko
Inventor
이지현
구송희
서인용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5007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080B1/ko
Priority to CN201680016677.1A priority patent/CN107567337B/zh
Priority to US15/561,763 priority patent/US20180078346A1/en
Priority to PCT/KR2016/005294 priority patent/WO2016195290A1/ko
Publication of KR2016014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9Electrospin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멤브레인에 관한 것으로, 치과용 멤브레인은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1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제1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큰 사이즈의 섬경을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2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2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제2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작은 사이즈의 섬경을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3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3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멤브레인{Membrane for dental}
본 발명은 치과용 멤브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된 지지체의 분해 속도를 조절하여 기능을 극대화하고, 피부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관한 것이다.
성인의 치아는 32개로, 사고에 의해 치아를 잃거나 유전적으로 치아가 부실하거나 노화 및 안좋은 습관에 의해 치아가 수명을 다해,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시술이 그 동안 이루어져 왔다.
치아가 빠지거나 부실하여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 이것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종전에는 인공으로 만든 크라운이나 브릿지, 끼워넣는 식의 부분틀니, 또는 전체 틀니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용물을 확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옆의 건강한 치아를 깎아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틀니와 같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고 자기치아와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이 최근 대중화되고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할 수 있는 인공치아의 식립을 통해 건강한 구강을 갖도록 하는 장치이며,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게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연 치아와 기능 및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아 역할을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크라운(crown)과, 치조골에 매입되어 치근 역할을 하는 픽스처(fixture)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치과용 임플란트 크라운을 지탱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가 더 구비되고, 어버트먼트와 픽스처를 결합하는 스크루(screw)가 추가된다.
한편, 치과용 멤브레인은 임플란트나 치주 시술시 손상된 뼈나 치주조직에 삽입하여 인접한 연조직이나 바람직하지 못한 세포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뼈 및 치주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는 치과용 차폐막으로 최근 치과용 시술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과용 멤브레인의 기능을 다각화하고 특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11256호에는, 약 100 마이크론 내지 약 0.5 mm의 범위의 두께를 갖는 키토산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이 사람의 구강의 환경에서 대기 중의 산소와 정상 인체 적혈구에 대해 투과성을 가지도록 하는 세공을 포함하고, 상기 키토산은 적어도 400,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가요성 치과 수술용 멤브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이 치과 수술용 멤브레인은 포로겐 입자 및 키토산이 산성 수용액에 분산된 슬러리를 지지체 표면에 도포하고, 도포된 슬러리에서 산성 수용액을 증발시킨 후, 포로겐 입자를 용매로 제거하여 세공이 얻어진 멤브레인이므로, 인간의 세포 조직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 피부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112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생분해성 고분자의 나노 섬유 웹으로 멤브레인을 구현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시술된 멤브레인 제거를 위한 별도의 수술이 필요하지 않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지지체의 분해 속도를 지지체를 구성하는 나노 섬유의 섬경 또는 지지체의 두께로 조절하여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의 세포외 기질과 가장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나노 섬유 웹으로 멤브레인을 구성하여 피부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멤브레인은,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1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제1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큰 사이즈의 섬경을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2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2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제2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작은 사이즈의 섬경을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3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3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3지지체의 제3나노 섬유의 섬경 사이즈는 상기 제1지지체의 제1나노 섬유의 섬경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나노 섬유의 섬경은 100㎚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2나노 섬유의 섬경은 200㎚ ~ 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PLA(polylactic acid ), PLLA(Poly(L-lactic acid)), PGA(Poly(Glycolic acid)),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PCL(Polycaprolactone) 및 PDO(polydioxanon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나노 섬유 중 적어도 하나에는 친수처리용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친수처리용 첨가제는 Tween 80(polysorbate 80), PVP(polyvinyl pyrrolidone), Pluronic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지지체는 성장되는 생체 조직에 접해있고, 상기 제2지지체의 두께는 상기 제1지지체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3지지체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체는 1 ~ 2개월에 분해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지지체는 3 ~ 4개월에 분해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3지지체는 5 ~ 6개월에 분해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은,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및 뼈성장 인자를 함유한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재성장 인자를 함유한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2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의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3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3지지체의 나노 섬유의 섬경 사이즈는 상기 제1지지체의 나노 섬유의 섬경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멤브레인에서, 상기 제1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 상기 제3지지체의 순서로 두께가 점점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 웹을 이용하여 치과용 멤브레인을 구현하여 소정시간 후에 분해됨으로써, 시술된 멤브레인 제거를 위한 별도의 수술이 불필요한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노 섬유의 섬경이 다른 지지체 또는 두께가 상이한 지지체의 적층구조로 치과용 멤브레인을 제조하여,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지지체의 분해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멤브레인의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지지체가 3층 적층된 구조에서, 피부에 밀착된 지지체의 분해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여 재생되는 뼈, 치조골, 피부 등의 생체조직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중간에 있는 지지체의 분해 속도를 느리게하여 멤브레인의 골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에 노출되는 지지체로 외부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의 멤브레인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치과용 시술 또는 수술이 완료되는 기간동안(대략 6개월), 기능에 따라 지지체의 분해 속도를 조절하여 보다 더 안전한 치료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 웹은 인체의 세포외 기질(ECM, Extra Cellular Matrix)과 가장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나노 섬유 웹의 지지체로 적층된 치과용 멤브레인의 피부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지지체들의 나노 섬유에 친수처리용 첨가제를 더 함유하도록 하여, 치과용 멤브레인의 피부 밀착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을 제조하기 위한 전기 방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100)은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1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1지지체(110); 상기 제1지지체(110)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제1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큰 사이즈의 섬경을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2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2지지체(120); 및 상기 제2지지체(120)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제2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작은 사이즈의 섬경을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3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3지지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100)은 임플란트 수술이나, 치주 시술시에 손상된 뼈 또는 치주조직에 삽입되는 치과용 차폐막으로 뼈 및 치주조직의 재생을 돕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불필요한 세포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데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100)은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3나노 섬유가 순차적으로 축적된 제1 내지 제3지지체(110,120,130)가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100)은 사람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시술되며,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있어, 침샘에서 분비되는 타액과 같은 구강 분비물과 사람이 섭취하는 액체에 분해되어 제거를 위한 별도의 수술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조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메탄가스로 완전히 분해되는 고분자로 정의된다. 자연계에서 박테리아 등의 유기물에 의해 그 물리적, 화학적 구조가 변화되는 소위 썩는 플라스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생분해 속도가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특성이 있으며, 비교적 빨리 분해되는 고분자와 천천히 분해되는 고분자의 조성 비율에 따라 분해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나노 섬유의 섬경이 다른 제1 내지 제3지지체(110,120,130)의 3층 적층구조로 치과용 멤브레인(100)을 구현하여, 제1 내지 제3지지체(110,120,130)의 제1 내지 제3나노 섬유의 섬경을 다르게 설정하여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해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멤브레인의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섬경이 작은 섬유는 비표면적이 커서 분해속도가 빠르고, 섬경이 큰 섬유는 비표면적이 작아서 분해속도가 느리다.
그러므로, 제2지지체(120)는 제1 및 제3지지체(110,1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 분해 속도를 느리게 설정하기 위해 제1 및 제3지지체(110,130)의 제1 및 제3나노 섬유보다 굵은 섬경을 가지도록 제2나노 섬유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치과용 멤브레인(100)이 시술될 때, 제1지지체(110)은 구강내 피부에 밀착되는 영역으로 분해 속도를 제2지지체(120)보다 빠르게 하여 재생되는 뼈, 치조골, 피부 등의 생체조직이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지지체(110)의 제1나노 섬유의 섬경이 제2지지체(120)의 제2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가늘게 형성한다.
또한, 제3지지체(130)는 노출면에 배치되어 멤브레인이 밀착된 피부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기공을 가지도록, 제3지지체(130)의 제3나노 섬유의 섬경은 제1 및 제2지지체(110,120)의 제1 및 제2나노 섬유보다 작은 섬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및 제3지지체(110,130)의 제1 및 제3나노 섬유의 섬경은 200㎚미만이고, 제2지지체(130)의 제2나노 섬유의 섬경은 200㎚ ~ 1㎛을 가지고, 제2지지체(120)의 제2나노 섬유는 제1 및 제3지지체(110,130)의 제1 및 제3나노 섬유보다는 굵은 섬경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치과용 멤브레인(100)의 제1 내지 제3지지체(110,120,130) 각각은 생분해성 고분자 및 용매를 혼합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 섬유를 수득하고, 이 나노 섬유를 축적시켜 다수의 기공이 구비된 나노 섬유 웹을 형성하여 제조한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PLA, PLLA, PGA, PLGA, PCL 및 PDO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용매는 DMAc(N,N-Dimethyl acetoamide), DMF(N,N-Dimethylformamide), NMP(N-methyl-2-pyrrolidinone), DMSO(dimethyl sulfoxide), THF(tetra-hydrofuran), (EC(eth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물, 초산(acetic acid), 개미산(formic acid),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아세톤(acetone) 및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ho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지지체에 적용된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 웹은 인체의 세포외 기질(ECM, Extra Cellular Matrix)과 가장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피부에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요성이 우수한 나노 섬유 웹의 적층 구조로 멤브레인을 구현하여, 멤브레인을 시술할 때 치아 및 잇몸의 형상에 맞게 벤딩 작업이 필요하는데, 이 벤딩 작업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을 제조하기 위한 전기 방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을 제조하기 위한 전기 방사 장치는 교반된 방사 용액을 공급하는 교반탱크(20)가 방사 노즐(40)에 연결되어 있고, 방사 노즐(40)과 이격된 하부에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콜렉터(50)가 배치되어 있고, 방사 노즐(40)은 고전압 발생기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생분해성 고분자와 용매를 교반기(30)로 혼합하여 방사 용액을 만든다. 이때, 교반기(30)에서 혼합하지 않고, 전기 방사 장치에 투입되기 전에 미리 혼합된 방사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후, 콜렉터(50)와 방사 노즐(40) 사이에 고전압 정전기력을 인가하면, 방사 노즐(40)에서 방사 용액을 초극세 나노 섬유(210)로 만들어 콜렉터(50)에 방사하고, 콜렉터(50)에는 나노 섬유(210)가 축적되어 치과용 멤브레인에 사용될 지지체의 나노 섬유 웹(200)이 형성된다.
더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방사 노즐(40)로부터 토출되는 방사 용액은 고전압 발생기에 의하여 하전된 방사 노즐(40)을 통과하면서 나노 섬유(210)로 방출되어,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콜렉터(50) 상부에 나노 섬유(2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치과용 멤브레인용 나노 섬유 웹(200)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은 제1 내지 제3방사 노즐(41,42,43)에서 토출된 나노 섬유를 축적하여 형성한다.
생분해성 고분자와 용매가 혼합된 방사 용액은 제1 내지 제3방사 노즐(41,42,43)로 공급되어 섬경이 다른 나노 섬유가 토출되며, 제1 내지 제3방사 노즐(41,42,43)은 전술된 전기 방사 장치의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콜렉터 상부에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먼저, 제1방사 노즐(41)에서 제1나노 섬유를 토출하여 제1지지체(110)을 형성한 후, 제1지지체(110)가 제2방사 노즐(42) 하부로 이동하면 제2방사 노즐(42)에서 제2나노 섬유를 제1지지체(110) 위로 토출하여 제2지지체(120)를 적층한다.
그다음, 제2지지체(120)가 제3방사 노즐(43) 하부로 이동하면 제3방사 노즐(43)에서 제3나노 섬유를 제2지지체(120) 상부로 토출하여 제3지지체(130)을 적층하는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101)은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의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1지지체(111); 상기 제1지지체(111)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의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체(111)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제2지지체(121); 및 상기 제2지지체(121)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의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111,121)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제3지지체(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지지체(111)에서 제3지지체(131)까지 순차적으로 두께가 증가되도록 설계한 것이다. 즉,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3지지체(111,121,131)는 두께가 얇으면 분해속도가 빠르고, 두께가 두꺼우면 분해속도가 느리다.
그러므로, 구강내 피부에 밀착되는 제1지지체(111)는 가장 얇은 두께(t1)를 가지도록 설정하여 가장 먼저 분해되어 재생되는 뼈, 치조골, 피부 등의 생체조직이 가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제2지지체(121)가 그다음 분해되도록 중간 두께(t2)로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제3지지체(131) 분해되도록 가장 두꺼운 두께(t3)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101)을 시술한 후, 제1지지체(111)는 1 ~ 2개월에 분해될 수 있는 두께, 제2지지체(121)는 3 ~ 4개월에 분해될 수 있는 두께, 제3지지체(131)는 5 ~ 6개월에 분해될 수 있는 두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생분해성 고분자의 재료에 따라 분해 속도가 다르지만, 제1지지체(111)가 성장되는 생체 조직에 접해 있는 경우, 제2지지체(121)의 두께는 제1지지체(111)의 두께보다 두껍고, 제3지지체(131)의 두께는 제1 및 제2지지체(111,121)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102)은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및 뼈성장 인자를 함유한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1지지체(112); 상기 제1지지체(112)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재성장 인자를 함유한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2지지체(122); 및 상기 제2지지체(122)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의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3지지체(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102)은 제1지지체(112)의 나노 섬유에 뼈성장 인자를 함유하고, 제2지지체(122)의 나노 섬유에 재성장 인자를 함유하여, 치과용 멤브레인(102) 시술후 뼈 및 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치과용 멤브레인에 포함된 지지체들의 나노 섬유는 친수처리용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피부 밀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친수처리용 첨가제는 방사용액에 생분해성 고분자 및 용매와 혼합됨으로써, 전기방사 공정에 의해 수득된 나노 섬유에는 친수처리용 첨가제가 함유되게 된다.
친수처리용 첨가제는 Tween80, Pluronic, PVP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적층된 나노섬유 웹 지지체의 분해 속도를 조절하여 기능을 극대화시키고, 피부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과용 멤브레인에 적용될 수 있다.
40,41,42,43: 방사 노즐 100,101,102: 치과용 멤브레인
110,111,112,120,121,122,130,131,132: 지지체

Claims (12)

  1.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1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져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구강내 피부에 밀착되는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 위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제1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큰 섬경을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2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져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 위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제2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작은 섬경을 가지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3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져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노출면에 배치되는 제3지지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3지지체의 제3나노 섬유의 섬경은 상기 제1지지체의 제1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노 섬유의 섬경은 10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노 섬유의 섬경은 200㎚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PLA, PLLA, PGA, PLGA, PCL 및 PDO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나노 섬유 중 적어도 하나에는 친수처리용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처리용 첨가제는 Tween 80(polysorbate 80), Pluronic, PVP(polyvinyl pyrrolidone)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의 두께는 상기 제1지지체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3지지체의 두께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체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9. 삭제
  10.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및 뼈성장 인자를 함유한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져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구강내 피부에 밀착되는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 위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및 재성장 인자를 함유한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지고,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2지지체; 및
    상기 제2지지체 위에, 전기방사에 의해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의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만들어져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노출면에 배치되는 제3지지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3지지체의 제3나노 섬유의 섬경은 상기 제1지지체의 제1나노 섬유의 섬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 상기 제2지지체, 상기 제3지지체의 순서로 두께가 점점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KR1020150077317A 2015-06-01 2015-06-01 치과용 멤브레인 KR101810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17A KR101810080B1 (ko) 2015-06-01 2015-06-01 치과용 멤브레인
CN201680016677.1A CN107567337B (zh) 2015-06-01 2016-05-19 牙科用膜
US15/561,763 US20180078346A1 (en) 2015-06-01 2016-05-19 Dental membrane
PCT/KR2016/005294 WO2016195290A1 (ko) 2015-06-01 2016-05-19 치과용 멤브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17A KR101810080B1 (ko) 2015-06-01 2015-06-01 치과용 멤브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908A KR20160141908A (ko) 2016-12-12
KR101810080B1 true KR101810080B1 (ko) 2017-12-19

Family

ID=5744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317A KR101810080B1 (ko) 2015-06-01 2015-06-01 치과용 멤브레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078346A1 (ko)
KR (1) KR101810080B1 (ko)
CN (1) CN107567337B (ko)
WO (1) WO20161952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9465B2 (en) * 2019-12-31 2023-10-10 Ruxandra Vidu Biocompatible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366747B1 (ko) * 2020-01-31 2022-02-2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한 무가교 적층형 3차원 구조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10658A (ko) * 2020-07-17 2022-01-26 엠엑스바이오 주식회사 의료용 나노 섬유 필름
KR102520633B1 (ko) * 2021-02-17 2023-04-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수성이 향상된 치과용 멤브레인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366B1 (ko) * 2003-11-19 2006-04-0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나노 섬유형 부직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차폐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77558B1 (ko) * 2011-11-11 2014-03-25 김수홍 성장인자와 차폐막과 스케폴드를 포함하는 조직 또는 기관 재생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988B1 (ko) * 1995-09-15 1998-06-15 김상응 생분해성 막과 그 제조방법
AU2001273632A1 (en) * 2000-06-23 2002-01-08 Drexel University Polymeric, fiber matrix delivery systems for bioactive compounds
US6685956B2 (en) * 2001-05-16 2004-02-03 The Research Foundation A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Biodegradable and/or bioabsorbable fibrous articles and methods for using the articles for medical applications
KR100946268B1 (ko) * 2007-10-26 2010-03-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골재생 유도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584885B (zh) * 2009-06-25 2012-12-05 同济大学 具有梯度的三层引导组织再生膜的制备方法
KR20130038598A (ko) * 2011-10-10 2013-04-18 주식회사 제노스 골조직 유도 재생용 차폐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25655B (zh) * 2011-11-04 2015-05-06 无锡中科光远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纤维致密双层复合膜、其制备方法及其用途
EP2782608A4 (en) 2011-11-21 2015-07-29 Agratech International Inc CHITOSAN DENTAL SURGICAL MEMBRA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L3108881T3 (pl) * 2012-03-30 2018-12-31 Universitat Politècnica De Catalunya Membrana włókninowa jako układ dostarczania leków
CN104414773B (zh) * 2013-08-23 2017-03-01 深圳迈普再生医学科技有限公司 防粘连组织修复膜及其制备方法
CN104474589B (zh) * 2014-12-23 2019-03-12 山东国际生物科技园发展有限公司 一种引导组织再生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366B1 (ko) * 2003-11-19 2006-04-0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나노 섬유형 부직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차폐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77558B1 (ko) * 2011-11-11 2014-03-25 김수홍 성장인자와 차폐막과 스케폴드를 포함하는 조직 또는 기관 재생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78346A1 (en) 2018-03-22
CN107567337B (zh) 2020-11-17
CN107567337A (zh) 2018-01-09
KR20160141908A (ko) 2016-12-12
WO2016195290A1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8505A1 (en) Novel electrospun synthetic dental barrier membranes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and guided bone regeneration applications
KR101810080B1 (ko) 치과용 멤브레인
Nectow et al. Bio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peripheral nerve guidance conduits
CA2630783C (en) Biocompatible material having biocompatible non-woven nano- or micro-fiber fabric produced by electrospinn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material
CN106492272B (zh) 组织修复用纤维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以及组织修复用制品
CN112553785B (zh) 一种双层引导组织再生膜及其制备方法
CN104068945B (zh) 一种人工皮肤及其制备方法
EP3375461B1 (en) Tissue repair fiber membrane,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and tissue repair product
US11638640B2 (en) In vivo tissue engineering devices, methods and regenerative and cellular medicine employing scaffolds made of absorbable material
EP2682135A1 (en) Non-woven fabric containing bone prosthetic material
KR100564366B1 (ko) 나노 섬유형 부직포를 이용한 조직 재생용 차폐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41999B1 (ko) 신경도관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신경도관
Vashaghian et al. Biomimetic implants for pelvic floor repair
Kanmaz et al. Electrospun polylactic acid based nanofiber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CN109072514A (zh) 引导骨再生术用纳米纤维复合膜及其制备方法
CN105919694A (zh) 一种复层电纺膜及其用途
CN109663144B (zh) 一种具有生物活性的可降解手术缝线及其制备方法
KR101137457B1 (ko) 생분해성 말초신경도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말초신경도관
KR20150053371A (ko) 치주조직 재생용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CN1272079C (zh) 多通道型生物吸收性神经再生导管及其制法
CN108939168A (zh) 一种褪黑素神经导管组合物、神经导管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407688A (zh) 口腔修复膜及其制备方法
Tornello et al. Micro/nanofiber-based scaffolds for soft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Potential and current challenges
Nanofibers Material Science Research India
Serôdio The effect of sonication on Electrospun Silk Fibroin/PEO membranes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