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640B1 -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Google Patents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9640B1 KR101809640B1 KR1020150104888A KR20150104888A KR101809640B1 KR 101809640 B1 KR101809640 B1 KR 101809640B1 KR 1020150104888 A KR1020150104888 A KR 1020150104888A KR 20150104888 A KR20150104888 A KR 20150104888A KR 101809640 B1 KR101809640 B1 KR 1018096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rotation
- rotating
- driving circuit
- magnetic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1—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H02K7/063—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rotary unbalanced masses integrally combined with motor parts, e.g. motors with eccentric 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원(POWER SOURCE)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외부의 특정의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 자성체가 형성되고,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축(112)이 형성되는 출력회전체(110)와; 외주면에 자성체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출력회전체(110)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열되며, 상기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으로 접근함과 멀어짐을 반복하는 형태로 각각 편심 회전하여 자력에 의한 힘으로 상기 출력회전체(100)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구동회전체(120); 및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부의 동력원(150)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입력부(1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력원(POWER SOURCE)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외부의 특정의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력에 의한 힘을 다발적으로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출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동력원의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를 포함한 각종 회전장치에 필요한 동력은 전동기의 회전작동에서 얻어 이용하고 있으며, 전동기의 작동에는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며, 이 전기는 수력, 화석연료, 핵연료 등에 의해서 발전된 전기가 공급된다.
근래에 와서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해 탄산가스 배출억제 및 에너지 절감이 요구 되면서 회전 작동을 하는 구동장치에 영구자석(PERMANENT MAGNET)과 전자석(ELECTRO MAGNET) 등을 적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킴으로써, 당해 구동장치에 이용하는 에너지 절감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서, 일본특허공보 제2006-246605호에서 살펴보면,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을 하는 구동장치의 구동축에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설치하여 전기를 발생시켜서 당해 구동장치의 에너지로 이용하는 에너지 절감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자력회전장치에서는 영구자석과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회전장치에 제어부·식별장치·발생한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등, 여러 종류의 장치를 부가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에서 영구자석 만으로는 자력의 제어가 어렵게 되므로 자력을 제어하기 위해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사용하여 자력을 제어하면서 전기를 발생시켜 당해 장치에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자력제어를 위해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조합해서 사용함으로 장치는 대형화되고, 부가 장치가 소요되어 비용이 증가 되며, 또 관리도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공개공보 제2010-0099675호에는 영구자석을 조합하여 자력을 발생 및 제어하여 동력화하는 '자력제어 자력동력화장치 및 방법' 의 기술이 출원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자력동력화장치에서는 전동기의 출력 발생을 위해 영구자석만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영구자석의 자력의 제어를 위하여 복수의 영구자석이 장착되는 원형의 고정자석체 내부로 복수의 영구자석이 장착되어 회전하는 원형의 회전자석체를 설치하여, 고정자석체와 회전자석에의 영구자석이 동일 자극으로 마주칠 시 발생되는 척력을 구동장치의 에너지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자력동력화장치는 회전자석체에 대해 고정자석체가 일정 거리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호간에 자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자석체가 충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로 출력되는 출력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또한, 고정자석체가 회전자석체를 둘러싸는 전체 영역에 영구자석이 분포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영구자석이 필요로 되어 제작 비용이 상승할 수 밖에 없고, 무게 증가에 의해 장치의 취급 및 유지 관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력축이 구비된 출력회전체의 외주면에 자력에 의한 인력 및 척력을 다발적으로 가하도록 함으로써, 출력회전체의 회전력을 증폭시켜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전력을 공급하는 동력원의 가동 시간을 줄여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 자성체가 형성되고, 회전력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축이 형성되는 출력회전체와; 외주면에 자성체가 형성되고, 상기 출력회전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출력회전체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열되며, 상기 출력회전체의 외주면으로 접근함과 멀어짐을 반복하는 형태로 각각 편심 회전하여 자력에 의한 힘으로 상기 출력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구동회전체; 및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부의 동력원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입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의 축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회전축에 대해 편심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구동회전체를 편심 회전시키는 캠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는, 상기 출력회전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접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출력회전체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접근하도록 편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축의 일측을 수직 방향으로 모두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시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가 모두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동연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회전축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로킷; 및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동력원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벨트;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구동회전체의 바깥 방향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연장된 양측의 단부가 축방향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축지지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동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회전축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직 배열되는 스프로킷; 및 상기 스프로킷을 모두 연결하여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인벨트;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력회전체는,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극의 자성체와 (-)극의 자성체가 번갈아가며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대는, 상기 출력축에 수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출력축을 관통시키는 관통공과; 상기 회전축에 각각 수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삽입하는 복수의 삽입공; 및 상기 관통공과 상기 복수의 삽입공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에 따르면, 편심 회전에 의해 자성체 간에 접근과 멀어짐이 다발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하여, 자력에 의해 출력회전체의 회전력을 대폭 높임으로써, 출력회전체와 일체로 형성된 출력축으로 출력되는 동력을 증폭시킬 수 있으며, 동력원의 구동하는 시간을 줄여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는 편심 회전에 의해 자성체가 서로 접근시 쳐주는 힘을 이용하여 출력회전체의 회전력을 증폭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성체의 수를 줄여 원재료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자력의 세기와 방향 등을 조절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가 필요 없어 콤팩트하고 심플하며 가볍게 제작이 가능하여 회전력이 필요한 다양한 장치에 적용 및 취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증폭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력증폭장치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증폭장치를 정면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력증폭장치의 일 요부 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력증폭장치의 캠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증폭장치를 정면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동력증폭장치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증폭장치를 정면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력증폭장치의 일 요부 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동력증폭장치의 캠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증폭장치를 정면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증폭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1에 도시된 동력증폭장치를 측부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동력증폭장치의 정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병의 설명에서 출력축(112)이 향하는 방향이 '정면' 이고, 출력축(112)에 대해 직교를 이루는 방향이 '측면' 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증폭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회전체(110)와, 구동회전체(120) 및 회전입력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력회전체(1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외주면 상에는 자성체가 형성된다. 출력회전체(110)의 중심축 상에는 축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축(112)이 구비되며, 출력축(112)을 중심으로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이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출력축(112)은 본 발명의 동력증폭장치(10)에 의해 회전 토크가 증가된 동력을 외부의 특정 장치로 전달한다.
구동회전체(12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자성체가 형성되고,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는 동시에 출력회전체(110)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가 이격 배열되어, 자력에 의한 작용으로 출력회전체(110)를 가속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회전체(120)의 개수는 사용되는 외부 장치에 요구되는 출력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증감될 수 있다.
회전입력부(140)는 외부에 설치되는 동력원(150)에 의한 회전력을 구동회전체(120)에 연결된 회전축(230)으로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입력부(140)는 구동회전체(120)와 연결되는 회전축(2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로킷(142a) 및 상기 스프로킷(142a)과 외부에 설치되는 동력원(150)을 연결하는 체인밸트(144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력원(150)은 레버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고, 전동 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증폭장치(10)는 출력회전체(110)의 외주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동회전체(120)를 다양한 형태로 회전시켜 출력회전체(110)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축(112)의 회전력을 상승시키도록 한다.
상기한 회전입력부(140)는 복수의 구동회전체(120) 중 어느 하나의 구동회전체(120)와 연결된 회전축(23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복수의 구동회전체(120)는 동력원(15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구동회전체(120)가 회전하면, 다른 모든 구동회전체(12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연결부(145)가 구비된다.
회동연결부(145)는 복수의 회전축(230)의 일측을 수직 방향으로 모두 연결하여 서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회전입력부(140)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회전축(230)에 스프로킷(142b)을 형성하고, 스프로킷(142b)을 체인벨트(144b)로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원(150)에 의해 어느 하나의 구동회전체(120)가 회전하면, 회동연결부(145)에 의해 복수의 구동회전체(120)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출력회전체(110)에 자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한 회전입력부(140)는 캠부재(130)로부터 일 측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의 축지지대(100)에 인접하는 위치의 회전축(2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연결부(145)는 캠부재(130)로부터 회전입력부(140)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타측의 축지지대(100)에 인접하는 위치의 회전축(230)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동력증폭장치(10)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동회전체(120)를 결합하여 편심 회전시키기 위한 캠부재(130)와, 캠부재(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230)이 더 포함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캠부재와 구동회전체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캠부재(130)는 상기한 복수의 구동회전체(120)를 복수의 회전축(230)에 각각 편심되도록 결합한다. 즉, 구동회전체(120)는 축 방향의 중심이 캠부재(130)에 연결된 회전축(23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의 일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도록 결합되어, 상기한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캠부재(130)가 회전시 각각의 구동회전체(120)는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으로 접근함과 멀어짐을 반복하는 형태로 편심 회전한다. 이때, 캠부재(130)는 구동회전체(120)의 축 방향의 양측단부에 한 쌍이 각각 결합되어 구동회전체(120)의 양측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230)은 캠부재(130)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회전체(120)의 바깥쪽 축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연장된 양측 단부가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축지지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축지지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메임프레임(105)에 설치되거나, 지면에 직접 설치되어 동력증폭장치(10)의 전체 구조를 지지한다.
한편, 축지지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회전체(110)의 출력축(112)과, 복수의 구동회전체(120)에 각각 연결된 회전축(230)에 수직 배치되는 면에 상기한 출력축(112)을 통과시키는 관통공(102)이 형성되고, 복수의 회전축(230)에 각각 수직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축(230)을 삽입하는 복수의 삽입공(10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관통공(102) 및 복수의 삽입공(104)에는 각각 출력축과 회전축(230)을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미도시함)이 삽입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동력증폭장치(10)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동력원을 가동하면 회전입력부(140)에 의해 어느 하나의 회전축(23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축(230)에 연결된 캠부재(130)를 회전시킴으로써, 캠부재(130)에 결합된 구동회전체(120)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구동회전체(120)가 회전하면, 회전입력부(140)의 반대쪽에 형성된 회동연결부(145)에 의해 서로 연결된 모든 구동회전체(120)가 각각의 회전축(230)과 캠부재(130)에 의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편심 회전한다. 이때, 구동회전체(120)와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은 각각 자성체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자력에 의한 힘을 가한다. 이러한 복수의 구동회전체(120)가 출력회전체(110)에 작용하는 다발적인 자력에 의해 출력회전체(110)의 회전 토크를 점점 증가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증폭된 동력을 회전축(230)을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증폭장치(10)는 동력원(150)을 초기 가동하여 복수의 구동회전체(120)가 회전하면, 출력회전체(110)를 서서히 돌리기 시작하면서 점점 가속 회전한다. 출력회전체(110)의 가속 회전이 일정 속도 이상에 이르면, 출력회전체(110)의 회전토크가 점점 증가하여 출력축(112)을 통해 증폭된 회전력을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출력회전체(110)와 구동회전체(120)는 상호간에 자력에 의한 인력 또는 척력을 서로 가하게 되어, 구동회전체(120)와 출력회전체(110)가 서로를 가속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회전체(120)가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을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구동회전체(120)가 출력회전체(110)를 척력을 가해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회전체(120)가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에 최대한 가까워진 후 다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출력회전체(110)가 구동회전체(120)에 척력을 가해 구동회전체를 가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자성체의 배치 구조에 따라서는 구동회전체(120)가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을 향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 출력회전체(110)가 구동회전체(120)를 끌어 당겨서 가속시키고, 구동회전체(120)가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 구동회전체(120)가 출력회전체(110)를 당겨서 가속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자력을 이용하기 위해 출력회전체(110)는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N 극과 S 극이 번갈아가며 위치되도록 형성한다. 구동회전체(120)는 하나의 원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절반으로 나눈 상태에서, 일측 반원에는 N극이, 타측 반원에는 S극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로 인해, 자력에 의한 인력과 척력을 적절하게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동력원(150)을 일정 시간 동안 가동한 후에는 구동회전체(120)와 출력회전체(110)가 동시에 가속 회전을 하여 높은 회전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구동회전체(120)와 출력회전체(110)의 가속 회전이 이루어지면, 동력원(150)의 가동을 중단하더라도 구동회전체(120)의 가속 회전에 의해 출력회전체(110)를 지속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출력축(112)을 통해 높은 출력이 지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출력축(112)으로 출력되는 동력을 보다 증폭시키는 동시에 동력원(150)의 가동 시간을 줄이도록 하여 에너지 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구동회전체(120)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복수의 구동회전체(120)는 출력회전체(110)를 회전시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접하는 순서에 따라 연속하여,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접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구동회전체(120)가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에 가장 가깝게 접근하도록 위치했을 때, 즉, 구동회전체(120)의 중심축이 출력회전체(110)의 중심축에 수직하도록 위치했을 때,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에 인접하는 구동회전체(120)는 그 중심축이 출력회전체(110)의 중심축을 향하는 수직 선상에 대해서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θ1, θ2) 만큼 회전이 덜 이루어진 상태로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회전체(120) 간의 중심축(C)이 위치되는 각도가 대략 45°가 되도록 구성한 경우,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어느 하나의 구동회전체(120)와, 여덟번째 뒤에 위치되는 구동회전체(120)가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에 동시에 접근하여 각각 자력을 작용한다. 그리고, 그 사이에 위치되는 여섯개의 구동회전체(120)는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에 순차로 연속하도록 접근하여 다발적인 자력을 작용한다. 참고로, 도 5에는 구동회전체(120) 간의 중심축(C)이 위치되는 각도가 대략 45°가 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5°~ 90°사이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회전입력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원(150)으로부터 회전축(230)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스프로킷(142a)이 캠부재(130)와 축지지대(100a) 사이의 회전축(230)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회전입력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원(150)으로부터 회전이 전달되는 회전축(230)이 축지지대(100a)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축지지대(100a) 외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스프로킷(142a)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230)에 형성되는 스프로킷(142a)이 다른 인접하는 회전축(230)과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되므로, 직경을 크게 확장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230)에 보다 높은 회전토크를 가하여 높은 초기 동력을 입력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동력증폭장치 100: 축지지대
110: 출력회전체 112: 출력축
120: 구동회전체 130: 캠부재
140: 회전입력부 142a, 142b: 스프로킷
144a, 144b: 체인밸트 230: 회전축
110: 출력회전체 112: 출력축
120: 구동회전체 130: 캠부재
140: 회전입력부 142a, 142b: 스프로킷
144a, 144b: 체인밸트 230: 회전축
Claims (11)
- 외주면에 자성체가 형성되고, 중심축 상에 형성되는 출력축(112)과 일체로 회전하는 출력회전체(110);
상기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동시에 상기 출력회전체(110)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열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출력회전체의 외주면과 인접 위치되는 자성체가 형성되어, 상기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으로 접근과 멀어짐을 반복하는 형태로 각각 편심 회전하여 상기 출력회전체(110)를 자력에 의해 회전시키는 복수의 구동회전체(120); 및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력원(150)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입력부(1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120)를 각각의 회전축(230)에 편심되게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시키는 복수의 캠부재(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120)는, 상기 출력회전체(1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접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출력회전체(110)의 외주면에 순차적으로 접근하도록 편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130)는, 상기 구동회전체(120)의 축방향의 양단에 한 쌍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축(230)의 일측을 수직 방향으로 모두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120) 중 어느 하나가 회전시 상기 복수의 구동회전체(120)가 모두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동연결부(14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입력부(140)는,
상기 회전축(23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프로킷(142a); 및
상기 스프로킷(142a)과 상기 동력원(150)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벨트(144a);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연결부(145)는,
상기 복수의 회전축(23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3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직 배열되는 스프로킷(142b); 및
상기 스프로킷(142b)을 모두 연결하여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인벨트(144b);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캠부재(130)로부터 상기 구동회전체(120)의 바깥 방향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연장된 양측의 단부가 축방향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축지지대(10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지지대(100)는,
상기 출력축(112)에 수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출력축(112)을 관통시키는 관통공(102);
상기 회전축(230)에 각각 수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30)을 삽입하는 복수의 삽입공(104); 및
상기 관통공(102)과 상기 복수의 삽입공(104)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112) 및 상기 회전축(2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30) 중 상기 회전입력부(140)의 회전이 입력되는 어느 하나는, 상기 축지지대(100)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부위에 상기 스프로킷(14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전체(110)는,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극의 자성체와 (-)극의 자성체가 번갈아가며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4888A KR101809640B1 (ko) | 2015-07-24 | 2015-07-24 |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4888A KR101809640B1 (ko) | 2015-07-24 | 2015-07-24 |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1727A KR20170011727A (ko) | 2017-02-02 |
KR101809640B1 true KR101809640B1 (ko) | 2018-01-18 |
Family
ID=5815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4888A KR101809640B1 (ko) | 2015-07-24 | 2015-07-24 |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964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4068B1 (ko) | 2022-07-29 | 2023-07-11 | (주)푸드포트 | 회전 에너지 변환장치 |
WO2024190998A1 (ko) * | 2023-03-13 | 2024-09-19 | ㈜푸드포트 | 자기회전력 발전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1746B1 (ko) * | 2020-01-14 | 2021-09-14 | 류욱현 | 자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
KR20210155376A (ko) * | 2020-06-15 | 2021-12-22 | 김종인 | 출력을 향상시킨 발전장치 |
KR102421202B1 (ko) * | 2020-08-05 | 2022-07-14 | 류욱현 | 자성휠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61229A (ja) | 2011-02-03 | 2012-08-23 | Shuichi Sakoda | 回転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46605A (ja) | 2005-03-03 | 2006-09-14 | Kohei Minato | 磁力回転装置 |
KR20100099675A (ko) | 2010-08-24 | 2010-09-13 | 손덕순 | 자력제어 자력동력화장치 |
-
2015
- 2015-07-24 KR KR1020150104888A patent/KR10180964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61229A (ja) | 2011-02-03 | 2012-08-23 | Shuichi Sakoda | 回転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4068B1 (ko) | 2022-07-29 | 2023-07-11 | (주)푸드포트 | 회전 에너지 변환장치 |
WO2024190998A1 (ko) * | 2023-03-13 | 2024-09-19 | ㈜푸드포트 | 자기회전력 발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1727A (ko) | 2017-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9640B1 (ko) | 자력을 이용한 동력증폭장치 | |
KR101894672B1 (ko) | 정, 역방향 상대속도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 |
US10483831B2 (en) | Permanent magnet applying motor | |
US8575803B2 (en) | Magnetic coupling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rotating members arranged with opposing interaction surfaces | |
WO2009093181A3 (en) | Electromagnetic device with reversible generator-motor operation | |
PE20070412A1 (es) | Sistemas de generacion de energia | |
JP2012180934A (ja) | 磁気駆動装置 | |
WO2007021310A3 (en) | Monopole filed electric motor generator | |
US10804789B2 (en) | Coaxial electromagnetic apparatus | |
US20020158531A1 (en) | Device for kinetic energy accelerator/amplifier | |
US9906088B2 (en) | Rotor-holding structure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for hybrid vehicle | |
AU2006345546A8 (en) | Single field rotor motor | |
JP2014100027A (ja) | マグネットモータ及び駆動機構 | |
MX2007012301A (es) | Mecanismo de rotacion. | |
JP5598840B2 (ja) | 回転体装置 | |
KR20180124460A (ko) | 전기 발전기 | |
BRPI0517020A (pt) | estrutura de rotor - estator para máquinas eletrodinámicas | |
WO2007143692A3 (en) | Electromagnetic engine | |
KR20100099675A (ko) | 자력제어 자력동력화장치 | |
KR20080079562A (ko) | 영구자석을 이용한 회전동력에너지 발생장치 | |
KR101655323B1 (ko) | 동력전달장치 | |
KR101718706B1 (ko) | 고출력유지모터 | |
JP2011097815A (ja) | 磁力駆動エンジン | |
US20170310202A1 (en) | Structure of magnet module and yoke module of dynamo hub | |
US10122224B2 (en) | Electric moto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