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487B1 - 재난 알림 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알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487B1
KR101809487B1 KR1020160090067A KR20160090067A KR101809487B1 KR 101809487 B1 KR101809487 B1 KR 101809487B1 KR 1020160090067 A KR1020160090067 A KR 1020160090067A KR 20160090067 A KR20160090067 A KR 20160090067A KR 101809487 B1 KR101809487 B1 KR 101809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ttery
frequency oscillator
light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텅스텐
Priority to KR1020160090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는 반구 형상의 중공체인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고무 재질의 제1 방수부재와,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로 이루어진 제1 케이스부와;
상기 제1 케이스와 마주하여 상기 발광부와 연결된 배터리가 구비되는 반구 형상의 중공체인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고무 재질의 제2 방수부재로 이루어진 제2 케이스부와;
상기 제1 케이스부와 제2 케이스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일측이 회전연결부로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전연결부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체결부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케이스부에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주파수를 송신하는 주파수 발진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에는 ON/OFF스위치가 구비되며, ON/OFF스위치에 의하여 발광부와 주파수 발진기가 배터리로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 또는 차단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난 알림 장치{Device for disaster warning}
본 발명은 재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난당했을 때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발신하여 원거리에서도 조난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전류량이 설정값 이하가 되면 주파수 발진기 또는 LED램프 중 하나만 연결되어 조난 신호의 발신 시간이 연장되는 재난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 등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조난신호 발신장치는 강이나 바다 등에 빠져서 조난당했을 때 위치를 알리는 신호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조난신호 발신장치는 긴 띠 모양의 스트리머(streamer)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간 및 야간에도 눈에 잘 띄도록 표면이 형광 또는 반사 물질로 되어 있고, 표면에 국제조난신호가 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난신호 발신장치(200)는 원통형의 투명 튜브(240)와, 상기 투명 튜브(240)의 내부에 배치된 기판(210)과, 상기 투명 튜브(240)의 일측 및 타측에 개폐되어 상기 기판(210)을 고정하는 제 1 및 제 2 튜브 마개(230,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210)의 양단에는 배터리(213)가 구비되며, 상기 기판(210)의 중심부에는 발광소자(211)가 구비되어 제2 튜브마개(220)에 구비된 스위치(223)의 조작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제2 튜브마개(220)에는 안전핀(221)과 수용성 실(222) 및 스위치(223)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223)는 상기 안전핀(221)이 분리되면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안전핀(221)의 분리에 의해 상기 스위치(223)가 작동되며, 상기 스위치(223)는 조도감지센서에 의해 발광소자(211)를 점등시켜 SOS 구조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킨다.
상기 수용성 실(222)은 상기 투명 튜브(240)의 외주면을 감아서 상기 스위치(223)를 전원 오프(OFF)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성 실(222)은 상기 조난신호 발신장치(200)가 해수 또는 담수에 착수되었을 때, 물에 의해 용해된다. 상기 수용성 실(222)이 물에 녹으면 상기 스위치(223)가 작동하며 상기 조난신호 발신장치(200)가 작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난신호 발신장치는 배터리의 잔량을 수시로 확인해야 하며, 수동으로 조난신호 발신장치의 작동을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동으로 스위치를 작동해야 함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이 확인되기 전까지 발광소자 또는 GPS가 동시에 자동 작동되어 장시간 사용시 한 종류의 조난신호를 발생하는 것보다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6530호(2013.09.0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9910호(2010.05.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086905호(1995.07.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7333호(2015.11.0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조난을 당했을 때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발신하며, 배터리의 전류량이 설정값 이하가 되면 주파수 발진기 또는 LED램프 중 하나만 연결되어 조난 신호의 발신 시간이 연장되는 재난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는 반구 형상의 중공체인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고무 재질의 제1 방수부재와,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로 이루어진 제1 케이스부와;
상기 제1 케이스와 마주하여 상기 발광부와 연결된 배터리가 구비되는 반구 형상의 중공체인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고무 재질의 제2 방수부재로 이루어진 제2 케이스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케이스부와 제2 케이스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일측이 회전연결부로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전연결부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체결부로 상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케이스에는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어 주파수를 송신하는 주파수 발진기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케이스 또는 제2 케이스에는 ON/OFF스위치가 구비되며, ON/OFF스위치에 의하여 발광부와 주파수 발진기가 배터리로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 또는 차단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알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배터리와 주파수 발진기는 일단이 상기 배터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파수 발진기와 연결된 제1 연결선및 제2 연결선으로 연결 구비되며;
상기 ON/OFF 스위치는 상기 배터리와 주파수 발진기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선 또는 제2 연결선 상에 구비되며;
상기 LED 램프는 일단이 제1 연결선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연결선에 연결되어 상기 주파수 발진기와 병렬 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배터리와 주파수 발진기 사이의 연결선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계와, 상기 전류계와 연결되어 배터리 전류량에 따라 상기 LED 램프 또는 주파수 발진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LED램프는 상기 ON/OFF 스위치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파수 발진기와 전류계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전류계로 측정되는 배터리의 전류량이 설정 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LED램프의 작동이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 케이스부의 외면에는 고리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고리부는 원호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제1 케이스에 고정된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와 연결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후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후크는 클립과, 상기 클립과 연결고리를 연결하며 플렉시블한 재질인 연결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는 조난을 당했을 때 조난신호를 자동으로 발신하여 원거리에서도 조난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구 형태로 형성되어 해상 조난시 발광부가 항상 수면에 위치되어 빛이 항상 공기 중으로 발광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터리의 전류량이 설정값 이하가 되면 주파수 발진기 또는 LED램프 중 하나만 연결되어 조난 신호의 발신 시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난신호 발신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의 체결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의 발광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의 체결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서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31)가 마주하는 면을 "내면"으로 하고, 재난 알림 장치(100)의 구면을 "외면"으로 하며, 제1 케이스(111)로부터 제2 케이스(131)로의 방향을 "하향"으로하고, 그 반대 방향을 "상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100)는 재난(화재, 지진, 건물붕괴, 산악 사고 등) 및 수중 조난 등의 상황에서 사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10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재난 알림 장치(100)는 단면이 타원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달걀 모양). 상기 재난 알림 장치(100)는 제1 케이스부(110)와, 제2 케이스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케이스부(110)와 제2 케이스부(130)는 서로 마주하도록 일측이 회전연결부(120)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케이스부(110)와 제2 케이스부(130)는 상기 회전연결부(120)의 반대쪽으로 상기 제1 케이스부(110)와 제2 케이스부(13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케이스부(110)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케이스부(110)는 제1 케이스(111)와, 제1 방수부재(113)와, 발광부(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케이스(111)는 반구 형상이며 일측으로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케이스(111)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케이스(111)의 내면에는 울퉁불퉁하게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케이스(111)는 내면에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발광부(115)로부터 발생하는 빛이 난반사되어 광범위하게 빛이 방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11)의 개구부에는 덮개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재는 원형의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제1 케이스(111)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케이스(111)의 외면에는 연결고리(117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고리(1171)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고리(1171)는 양단이 상기 제1 케이스(111)에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고리(1171)는 상기 제1 케이스(111)의 외면의 정점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고리(1171)에 연결후크(1173)가 연결되어 고리부(117)를 형성한다. 상기 고리부(117)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100)가 의복(예를 들어, 구명 조끼 등) 등에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후크(1173)는 상기 연결고리(1171)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연결후크(1173)는 플렉시블한 재질인 연결라인(1173-1)과 클립(117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라인(1173-1)은 연장되어 일단은 상기 연결고리(1171)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클립(1173-3)이 연결된다. 상기 클립(1173-3)은 의복에 연결되어 조난시 의복으로부터 재난 알림 장치(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방수부재(113)는 상기 덮개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제1 방수부재(113)는 상기 덮개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방수부재(113)는 고무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제1 방수부재(113)는 제2 케이스부(130)에 구비되는 제2 방수부재(133)와 마주하도록 구비되어 조난신호 발생장치(100)의 내부로 물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115)는 상기 제1 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발광부(115)는 상기 덮개부재에 구비된다. 상기 발광부(115)는 판상의 회로기판(1151)과, 상기 회로기판(1151)의 상부에 고정된 복수의 LED램프(1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LED램프(1153)는 상기 제1 케이스(111)의 구면을 향하여 구비된다. 상기 회로기판(11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부(130)에 내장된 배터리(B)와 제3 연결선(30)으로 연결된다.
상기 LED램프(1153)는 백색광을 방출한다. 상기 LED램프(1153)는 620㎚∼660㎚(적색)범위, 440㎚∼470㎚(청색)범위, 500㎚∼540㎚(녹색)범위, 540㎚∼560㎚(황색)범위 파장을 갖는 단색 빛이 방출되거나 상기 파장 중 두 가지 이상의 범위에서 방출되는 파장이 조합되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LED램프(1153)부터 방출되는 빛은 주간과 야간에 식별이 용이하도록 파노라마 형태로 방출된다. 상기 발광부(115)는 상기 제1 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빛을 방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1151)에는 태양전지(11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1155)로는 실리콘태양전지, 화합물박막태양전지(CIGS, CdTe 등) 등이 사용된다. 상기 태양전지(1155)가 구비되어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충전된다.
상기 회로기판(1151)에 태양전지(1155)가 구비됨으로써 햇빛이 있을 때 뿐만 아니라 흐린 날에도 적외선 영역까지 충전되어 오랜 기간 조난되었더라도 배터리의 방전과 상관없이 조난신호가 발신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15)의 회로기판(1151)과 LED램프(1153) 사이의 결합 관계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케이스부(130)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케이스부(130)는 상기 제1 케이스부(110)와 내면이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케이스부(130)는 제2 케이스(131)와, 제2 방수부재(133)와, 주파수 발진기(FO)와, 배터리(B)와, 커버(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케이스(131)는 반구 형상의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케이스(13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케이스(131)의 내부에는 배터리(B)와, 주파수 발진기(F0)와, 전류계(A)와, 제어부(C)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케이스(131)의 내부에는 GPS 및 송신부가 더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B)는 상기 제1 케이스(111)에 구비된 상기 발광부(115)와 연결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B), 주파수 발진기(FO), 전류계(A), 제어부(C), GPS, 발광부(115) 사이의 연결관계는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상기 제2 케이스(131)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B)와 같이 밀도가 높은 물체가 구비됨으로써 강이나 바다 등에 빠졌을 때, 밀도가 높은 상기 제2 케이스부(130)는 항상 제1 케이스부(110)의 하부에 위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100)의 무게중심은 제2 케이스부(130)에 위치된다.
상기 주파수 발진기(FO)는 조난시 ON/OFF 스위치(139)가 ON 되었을 때, 주파수를 송신한다. 상기 주파수 발진기(FO)로는 특정 주파수인 하나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주파수 발진기를 사용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중 주파수 발진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주파수 발진기(FO)는 주파수의 발진을 위해 크리스탈 발진자 등이 사용된다. 상기 크리스털 발진자는 고차의 고조파(harmonic)를 출력하여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송신부는 이동통신 단말기(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송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C)와 연결된 GPS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 송신부를 통한 GPS 정보의 송신에 의하여 재난 알림 장치(100)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여 조난, 재난(지진, 화재 등) 등의 발생시 구조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 방수부재(133)는 상기 제2 케이스(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제2 방수부재(133)는 상기 제2 케이스(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방수부재(133)는 고무 재질로 구비된다. 상기 제2 방수부재(133)는 상기 제1 방수부재(113)와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2 방수부재(133)와 제1 방수부재(113)는 체결부(140)의 결합에 의해 가압되며 조난신호 발생장치(100)의 내부로 물의 유입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132)는 원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132)는 상기 제2 케이스(131)의 내면에 구비된다. 상기 커버(132)는 상기 회로기판(1151)과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버(132)에는 배터리 장착부(135)와, LED 표지판(137)과, ON/OFF 스위치(139)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132)에는 작동 조절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35)는 상기 커버(132)로부터 상향 오목하게 형성되며, 단부에는 상기 커버(132)의 일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35)에는 배터리(B)가 연결되는 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35)에 배터리(B)가 연결되며 상기 재난 알림 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LED 표지판(137)은 상기 커버(132)에 구비된다. 상기 LED 표지판(137)은 상기 배터리(B)와 연결되어 배터리(B)의 잔류량을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ON/OFF스위치(139)는 상기 커버(132)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ON/OFF스위치(139)는 상기 제2 케이스(131)의 구면에 노출되어 구비되거나 제1 케이스(11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ON/OFF 스위치(139)는 상기 배터리(B)와 주파수 발진기(FO) 또는 배터리(B)와 발광부(115)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B)와 발광부(115) 및 주파수 발진기(FO)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거나 차단 해제한다.
상기 작동 조절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는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2가지 이상의 모드로 작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작동 조절 스위치가 일측으로 이동된 경우 주파수 발진기(FO)와 연결되어 주파수 발진기(FO)만 작동되고, 타측으로 이동된 경우 LED램프(1153)와 연결되어 LED램프(1153)만 작동되며, 중간부에 위치될 경우 상기 주파수 발진기(FO) 및 LED램프(1153)가 동시에 연결되어 상기 주파수 발진리(FO) 및 LED램프(1153)가 모두 작동된다.
상기 제2 케이스(131) 내에는 소리발생부(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리발생부의 예로는 압전소자를 적용한 "압전 부저"와, "스피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소리발생부는 상기 작동 조절 스위치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소리발생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조난, 재난(지진, 화재 등) 등의 발생시 소리발생부의 작동에 의해 소리가 발생되어 사고 발생지 근방에서 요구조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으며, 구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연결부(120)는 상기 제1 케이스부(110)와 제2 케이스부(130)가 서로 마주하며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연결부(120)는 제1 힌지(121)와 제2 힌지(123) 및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힌지(121)는 상기 제1 케이스(111)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힌지(121)는 제2 케이스(1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힌지(121)는 상기 제1 케이스(111)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힌지(123)는 상기 제2 케이스(131)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힌지(123)는 상기 제1 힌지(121)가 제2 케이스(131)에 형성된 경우 제1 케이스(1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123)는 상기 제2 케이스(131)로부터 외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힌지(121)와 제2 힌지(123)는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회전연결부(120)의 반대쪽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제1 케이스(111)와 제2 케이스(13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140)는 걸림홈(141)과, 걸림후크(143)와, 막대 형상의 해제버튼(1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홈(141)은 상기 제2 케이스(131)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41)은 상기 제2 케이스(131)의 내면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후크(143)가 걸리도록 홈턱부(141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141)에는 제2 케이스(131)의 외면과 연통되는 버튼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홀에는 상기 해제버튼(145)이 구비된다. 상기 버튼홀에는 상기 해제버튼(145)의 일부가 걸리어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버튼걸림홈(143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143)는 상기 제1 케이스(111)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143)는 상기 제1 케이스(111)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143)는 상기 걸림홈(141)과 결합되도록 걸림턱부(134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후크(143)는 상기 걸림홈(141)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부(1431)가 상기 걸림홈(141)의 홈턱부(1411)에 걸리도록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터리(B), 주파수 발진기(FO), 전류계(A), 제어부(C), GPS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B)와 주파수 발진기(FO)는 일단이 상기 배터리(B)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파수 발진기(FO)와 연결된 제1 연결선(10) 및 제2 연결선(20)으로 연결 구비된다.
상기 ON/OFF 스위치(139)는 상기 배터리(B)와 주파수 발진기(FO)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선(10) 또는 제2 연결선(20) 상에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ON/OFF 스위치(139)가 제2 연결선(20) 상에 구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LED 램프(1153)는 일단이 제1 연결선(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연결선(20)에 연결된 제3 연결선(30) 상에 구비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LED 램프(1153)는 일단이 상기 ON/OFF 스위치(139)와 주파수 발진기(FO)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파수 발전기(FO)와 전류계(A) 사이에 연결된 제3 연결선(30) 상에 구비된다. 상기 LED 램프(1153)는 상기 주파수 발진기(FO)와 병렬 구조로 연결된다. 상기 LED 램프(1153)와 제1 연결선(10)과 연결된 제3 연결선(30)의 단부 사이에는 제2 연결스위치(3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연결스위치(31)는 배터리(B)의 전류량에 따라 차단되거나 차단 해제된다.
상기 제1 연결선(10)과 연결된 제3 연결선(30)의 단부와 주파수 발진기(FO) 사이에는 제1 연결스위치(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스위치(11)는 배터리(B)의 전류량에 따라 차단되거나 차단 해제된다.
상기 제1 연결스위치(11)와 제2 연결스위치(31) 사이에는 상기 작동 조절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조절 스위치는 상기 ON/OFF 스위치(139)와 유사하게 수동으로 작동된다. 상기 작동 조절 스위치의 작동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결스위치(11)와 제2 연결스위치(31)가 모두 차단 해제된 경우에 대하여, 상기 작동 조절 스위치가 제1 연결스위치(11) 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주파수 발진기(FO)는 제2 연결선(20)과 전기적 연결되고, LED램프(1153)는 차단되어 상기 주파수 발진기(FO)만 작동된다.
상기 작동 조절 스위치가 LED램프(1153) 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LED램프(1153)는 제2 연결선(20)과 전기적 연결되고, 주파수 발진기(FO)는 차단되어 LED램프(1153)만 작동된다.
상기 작동 조절 스위치가 상기 제1 연결스위치(11)와 제2 연결스위치(31)의 중간에 위치되면 상기 주파수 발진기(FO) 및 LED램프(1153)가 동시에 제2 연결선(20)과 전기적 연결되어 상기 주파수 발진리(FO) 및 LED램프(1153)가 모두 작동된다.
상기 전류계(A)는 상기 배터리(B)와 주파수 발진기(FO) 사이의 제1 연결선(10)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전류계(A)와 상기 주파수 발진기(FO) 사이에는 상기 제3 연결선(30)의 단부가 위치된다. 배터리 상기 전류계(A)는 상기 배터리(B)의 전류량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전류계(A)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전류계(A)와 연결되어 배터리(B) 전류량에 따라 상기 제1 연결스위치(11) 또는 제2 연결스위치(3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C)에는 GPS 장치가 더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전류계(A)로 측정되는 배터리(B)의 전류량이 설정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1 연결스위치(11)를 차단하여 주파수 발진기(FO)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2 연결스위치(31)를 차단하여 LED 램프(1153)의 작동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C)는 배터리(B)의 전류량이 설정값 이하이면 제2 연결스위치(31)를 차단하여 LED 램프(1153)의 작동이 OFF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알림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재난 알림 장치
110 : 제1 케이스부 111 : 제1 케이스
113 : 제 방수부재 115 : 발광부
117 : 고리부 120 : 회전연결부
121 : 제1 힌지 123 : 제2 힌지
130 : 제2 케이스부 131 : 제2 케이스
133 : 제2 방수부재 135 : 배터리 장착부
137 : LED표지판 139 : ON/OFF 스위치
140 : 체결부 141 : 걸림홈
143 : 걸림후크 145 : 해제버튼

Claims (4)

  1. 반구 형상의 중공체인 제1 케이스(111)와, 상기 제1 케이스(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고무 재질의 제1 방수부재(113)와, 상기 제1 케이스(111)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115)로 이루어진 제1 케이스부(110)와;
    상기 제1 케이스(111)와 마주하여 상기 발광부(115)와 연결된 배터리(B)가 구비되는 반구 형상의 중공체인 제2 케이스(131)와, 상기 제2 케이스(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고무 재질의 제2 방수부재(133)로 이루어진 제2 케이스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케이스부(110)와 제2 케이스부(130)는 서로 마주하도록 일측이 회전연결부(120)로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회전연결부(120)의 반대쪽에 구비되는 체결부(140)로 상기 제1 케이스(111) 및 제2 케이스(13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케이스(131)에는 상기 배터리(B)와 연결되어 주파수를 송신하는 주파수 발진기(FO)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케이스(111) 또는 제2 케이스(131)에는 ON/OFF스위치(139)가 구비되며, ON/OFF스위치(139)에 의하여 발광부(115)와 주파수 발진기(FO)가 배터리(B)로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 또는 차단 해제되며;
    상기 배터리(B)와 주파수 발진기(FO)는 일단이 상기 배터리(B)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파수 발진기(FO)와 연결된 제1 연결선(10) 및 제2 연결선(20)으로 연결 구비되며;
    상기 ON/OFF 스위치(139)는 상기 배터리(B)와 주파수 발진기(FO)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선(10) 또는 제2 연결선(20) 상에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B)와 주파수 발진기(FO) 사이의 연결선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B)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계(A)와, 상기 전류계(A)와 연결되어 배터리(B) 전류량에 따라 상기 발광부(115) 또는 주파수 발진기(FO)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가 더 포함되며;
    상기 발광부(115)는 일단이 상기 ON/OFF 스위치(139)와 주파수 발진기(FO)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주파수 발진기(FO)와 전류계(A)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주파수 발진기(FO)와 병렬 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전류계(A)로 측정되는 배터리(B)의 전류량이 설정 값 이하가 되면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상기 발광부(115)의 작동이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알림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부(110)의 외면에는 고리부(117)가 더 포함되며;
    상기 고리부(117)는 원호 형상으로 양단이 상기 제1 케이스(111)에 고정된 연결고리(1171)와, 상기 연결고리(1171)와 연결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결후크(1173)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후크(1173)는 클립(1173-3)과, 상기 클립(1173-3)과 연결고리(1171)를 연결하며 플렉시블한 재질인 연결라인(117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알림 장치.
KR1020160090067A 2016-07-15 2016-07-15 재난 알림 장치 KR10180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067A KR101809487B1 (ko) 2016-07-15 2016-07-15 재난 알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067A KR101809487B1 (ko) 2016-07-15 2016-07-15 재난 알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487B1 true KR101809487B1 (ko) 2017-12-15

Family

ID=6095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067A KR101809487B1 (ko) 2016-07-15 2016-07-15 재난 알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4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842B2 (ja) * 1991-12-25 2000-10-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金属製触媒担体の製造方法
KR200318222Y1 (ko) 2003-03-27 2003-06-27 장성완 다기능 휴대용 비상조명등
KR101306530B1 (ko) 2012-04-29 2013-09-09 주식회사인스타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842B2 (ja) * 1991-12-25 2000-10-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金属製触媒担体の製造方法
KR200318222Y1 (ko) 2003-03-27 2003-06-27 장성완 다기능 휴대용 비상조명등
KR101306530B1 (ko) 2012-04-29 2013-09-09 주식회사인스타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234B1 (ko)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
US10583903B2 (en) Underwater positioning system for scuba divers
US20160084454A1 (en) Storage enclosure
US20080278338A1 (en) Drowning alert system
MX2014012997A (es) Aparato y metodos para geolocalizar un individuo con respecto a un perimetro.
US20100026571A1 (en) Nautical Safety Beacon
KR101800181B1 (ko) 조난 신호 발생장치
KR101306530B1 (ko)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
KR101809487B1 (ko) 재난 알림 장치
US20200098236A1 (en) First response locator system
KR20120023870A (ko) 수난방재설비시스템
US7125298B1 (en) Man overboard beacon
KR101867879B1 (ko) 태양 전지를 이용한 조난 신호 송출기가 구비된 구명부환
CA2997440A1 (en) Smart buoy
KR101410959B1 (ko) 해상에서의 경비, 안전 및 비상상황을 위한 선박용 무선 통신장치의 기구 결합구조
KR200399149Y1 (ko)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조끼
CN217213089U (zh) 一种水陆漏电定位搜救管控箱
KR101364603B1 (ko) 장착형 조난위치식별장치
KR200399150Y1 (ko)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튜브
KR102398845B1 (ko) 해상인명구조 스마트부표시스템
KR101484124B1 (ko) 휴대형 조난위치식별장치
CN219948525U (zh) 一种救生衣
GB2335774A (en) Child safety distance monitor
KR20090046351A (ko) 조난 신호를 불 빛으로 해주는 구명조끼
CN205337690U (zh) 一种防水发光警示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