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198B1 - 채혈기 - Google Patents

채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198B1
KR101809198B1 KR1020170074720A KR20170074720A KR101809198B1 KR 101809198 B1 KR101809198 B1 KR 101809198B1 KR 1020170074720 A KR1020170074720 A KR 1020170074720A KR 20170074720 A KR20170074720 A KR 20170074720A KR 101809198 B1 KR101809198 B1 KR 101809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t body
opening
lancet
stopp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훈
이태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아이
Priority to KR1020170074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27Multiple blood sampling, e.g. at periodic or pre-established intervals

Abstract

본 발명은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는, 채혈 침, 내부에 채혈 침이 고정 결합되고 일측에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된 란셋 몸체, 란셋 몸체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홀더를 포함하는 란셋(Lancet)과, 내부에 란셋 몸체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에 채혈 침이 노출되도록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수용 공간을 향해 제1 멈춤단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란셋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어 란셋 몸체의 타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제2 개구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하우징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은 제2 개구부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제2 개구부의 내부로 돌출되어 제1 걸림턱에 걸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작동 버튼을 포함하며, 란셋 몸체는, 조작부가 눌렸을 때에, 제1 걸림턱이 돌출부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탄성 부재에 의해 제1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개구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걸림턱이 제1 멈춤단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혈기{Blood lancet device}
본 발명은 채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채혈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 환자의 혈당 측정, 환자의 각종 혈액 검사 등을 위해 환자로부터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고자 할 때에 란셋(lancet)을 사용한다. 란셋은 전방에 환자의 피부로 침투할 수 있는 채혈 침이 장착되어 있는 소형의 몸체를 구비하는 기구로, 란셋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불편하기 때문에 채혈기에 장착하여 장전 및 격발함으로써 환자의 피부로 침투시켜 혈액을 채취한다.
이러한 채혈기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27981호(일회용 자동채혈침, 2001년 4월 6일 공개)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27981호에 개시된 종래 채혈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채혈기는 하우징(101), 란셋(102), 침(103), 홀더(104), 스프링(105) 및 스위치(1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전방에 침(103)이 설치된 란셋(102)은 하우징(101)의 내측에 설치되고, 란셋(120)에 연결된 스프링(105)와 하우징(101)의 외측에 설치된 스위치(106)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채혈기는 1회 사용한 후, 하우징(101)의 전방에 설치된 홀더(104)를 통해 란셋(102)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란셋(102)에 형성된 걸림턱(102a)이 스위치(106)에 형성된 돌기(106a)에 걸려져 다시 고정되므로, 채혈기를 재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오염된 침(103)에 의해 사용자의 채혈 부위가 세균 또는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위치(106)의 반복 사용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구조의 일회용 채혈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채혈기의 구성 부품이 많아 그 구조가 복잡하므로 생산성 및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위치(106)의 반복 사용을 방지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스위치(106)의 반복 사용 구조를 파손하는 등 스위치(106)를 억지로 재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조로 채혈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채혈기가 요구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27981호 (일회용 자동채혈침) (2001년 4월 6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채혈기의 란셋을 재장전시키고자 할 때에, 란셋 몸체에 형성된 걸림 턱이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멈춤단에 걸려 란셋 몸체의 이동을 제한하여 란셋의 재장전이 불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채혈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는, 채혈 침, 내부에 상기 채혈 침이 고정 결합되고 일측에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된 란셋 몸체, 상기 란셋 몸체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홀더를 포함하는 란셋(Lancet)과, 내부에 상기 란셋 몸체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채혈 침이 노출되도록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제1 멈춤단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란셋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란셋 몸체의 타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개구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제2 개구부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작동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란셋 몸체는, 상기 조작부가 눌렸을 때에, 상기 제1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개구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걸림턱이 상기 제1 멈춤단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 멈춤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탄성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란셋 몸체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로부터 걸림 해제될 때에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도록 탄성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멈춤단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란셋 몸체가 상기 제1 개구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걸림턱이 맞닿은 상기 제1 멈춤단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 멈춤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에 따르면, 채혈기의 란셋을 재장전시키고자 할 때에, 란셋 몸체에 형성된 걸림 턱이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멈춤단에 걸려 란셋 몸체의 이동을 제한하여 란셋의 재장전이 불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채혈기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채혈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를 구성하는 란셋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를 재사용하고자 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채혈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를 구성하는 란셋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1)는 란셋(Lancet)(100), 하우징(200), 탄성 부재(300) 및 작동 버튼(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란셋(Lancet)(100)은 채혈 침(110)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란셋(100)은 채혈 침(110), 란셋 몸체(120) 및 보호 홀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채혈 침(110)은 바늘 형상을 가지고, 란셋 몸체(1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길게 형성되며, 일단에 채혈 침(1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내부에 채혈 침(11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란셋 몸체(120)는 일측에 제1 걸림턱(121) 및 제2 걸림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121)은 작동 버튼(400)의 타단에 형성된 돌출부(420)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것으로, 란셋 몸체(120)의 장전 및 격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걸림턱(112)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제1 멈춤단(214)에 걸릴 때에 란셋 몸체(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채혈 침(110)이 노출되도록 결합된 란셋 몸체(120)의 일단에 수직 형상의 제2 걸림턱(112)이 형성되고, 반대측 타단에 경사진 형상의 제1 걸림턱(121)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걸림턱(121) 및 제2 걸림턱(112)의 형상 및 위치는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한편, 란셋 몸체(120)는 제1 걸림턱(121)과 인접하는 타단에 탄성 부재(300)가 결합되는 고정단(123)이 형성될 수 있다. 란셋 몸체(12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보호 홀더(130)는 란셋 몸체(120)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란셋 몸체(120)의 일단에 노출된 채혈 침(110)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비록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보호 홀더(130)는 란셋 몸체(1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채혈기(1)를 사용할 때에 란셋 몸체(120)의 일단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내부에 란셋 몸체(120)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211)이 형성되며, 일단에 채혈 침(110)이 노출되도록 제1 개구부(212)가 형성되고, 일측에 제2 개구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내부에 수용 공간(211)이 형성된 하우징 몸체(210)와, 하우징 몸체(2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개구부(212)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몸체(210)는 서로 대칭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하우징 몸체(210A, 210B)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 커버(220)는 회전에 의해 채혈 침(110)의 깊이, 강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내부에 수용 공간(211)을 향해 제1 멈춤단(2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멈춤단(214)은 채혈기(1)의 재사용을 위해 란셋 몸체(120)를 재장전시키도록 란셋 몸체(1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란셋 몸체(120)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걸림턱(112)에 걸려 란셋 몸체(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멈춤단(214)은 하우징(200)의 내부면으로부터 제1 개구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탄성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멈춤단(214)은 란셋 몸체(120)에 형성된 제1 걸림턱(121)이 작동 버튼(400)에 형성된 돌출부(420)에 걸린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해 변형되어 란셋 몸체(120)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도 3의 상세도 B에서, 위치 I), 제1 걸림턱(121)이 돌출부(420)로부터 걸림 해제될 때에 제2 걸림턱(112)에 걸리도록 탄성에 의해 복귀될 수 있다(도 3의 상세도 B에서, 위치 II).
한편, 하우징(200)은 제1 멈춤단(214)의 변형을 제한하기 위한 제2 멈춤단(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멈춤단(215)은 제1 멈춤단(214)와 인접한 위치(보다 정확하게는, 제1 멈춤단(214)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멈춤단(215)은 채혈기(1)의 재사용을 위해 란셋 몸체(120)가 제1 개구부(212)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란셋 몸체(120)에 형성된 제2 걸림턱(112)이 맞닿은 제1 멈춤단(214)의 변형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에서는 제1 멈춤단(214) 및 제2 멈춤단(215)이 하우징(200)의 일단 내부에 란셋 몸체(120)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 각각 1 개씩 한 쌍이 형성된 예들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멈춤단(214) 및 제2 멈춤단(215)의 개수 및 위치는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탄성 부재(3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란셋 몸체(120)의 타단에 결합되어 란셋 몸체(120)의 타단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부재(300)는 일단이 란셋 몸체(120)의 타단에 형성된 고정단(123)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우징(200)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탄성 부재(300)로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란셋 몸체(120)의 격발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종류의 탄성 부재(300)도 사용 가능하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작동 버튼(400)은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2 개구부(213)와 인접한 위치에서 하우징(200)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버튼(400)은 일단에 제2 개구부(213)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410)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 개구부(213)의 내부로 돌출되어 제1 걸림턱(121)에 걸리는 돌출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란셋 몸체(120)는 초기 위치에서 제1 걸림턱(121)이 작동 버튼(400)에 형성된 돌출부(420)에 걸린 상태에서 탄성 부재(300)에 의해 지지되어 장전될 수 있다(도 3의 상세도 A).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1)의 란셋(100)을 구성하는 란셋 몸체(120)는, 작동 버튼(400)의 조작부(410)가 눌렸을 때에, 란셋 몸체(120)에 형성된 제1 걸림턱(121)이 작동 버튼(400)의 돌출부(420)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탄성 부재(300)에 의해 제1 개구부(2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란셋 몸체(120)는 채혈기(1)의 재사용을 위해 제1 개구부(212)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제2 걸림턱(112)이 제1 멈춤단(214)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1)의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를 재사용하고자 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채혈기(1)를 사용하기 위해 란셋(100)의 보호 홀더(130)를 제거한 채혈기(1)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에서는 작동 버튼(400)을 눌러 란셋(100)을 격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8에서는 채혈기(1)의 재사용을 위해 보호 홀더(130)를 결합한 상태에서 란셋 몸체(1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란셋 몸체(120)는 초기 위치에서 제1 걸림턱(121)이 작동 버튼(400)에 형성된 돌출부(420)에 걸린 상태에서 압축된 탄성 부재(300)에 의해 지지되어 장전될 수 있다(도 6의 상세도 A). 이때, 하우징(200)의 내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1 멈춤단(214)은 탄성에 의해 변형되어 란셋 몸체(120)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6의 상세도 B).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기(1)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작동 버튼(400)의 조작부(410)를 누르면, 작동 버튼(400)은 하우징(200)의 제2 개구부(213)와의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작동 버튼(400)의 타단에 형성된 돌출부(420)가 회전에 의해 란셋 몸체(120)의 제1 걸림턱(121)을 밀다가 제1 걸림턱(121)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면, 란셋 몸체(120)는 제1 개구부(212)가 형성된 전방을 향해 격발되어 채혈 침(1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멈춤단(214)은 탄성에 의해 란셋 몸체(120)의 일측으로부터 제2 걸림턱(112)에 걸리는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도 7의 상세도 B).
마지막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혈기(1)의 재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란셋 몸체(120)의 일단에 보호 홀더(130)를 결합한 상태에서 란셋 몸체(120)를 후방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경우, 란셋 몸체(120)에 형성된 제2 걸림턱(112)은 탄성에 의해 복귀된 제1 멈춤단(214)에 걸리므로 란셋 몸체(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도 8의 상세도 B). 따라서, 란셋 몸체(120)는 제1 걸림턱(121)이 작동 버튼(400)에 형성된 돌출부(420)에 다시 걸려 재장전될 수 없으므로(도 8의 상세도 A), 채혈기(1)를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이 제2 멈춤단(215)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2 멈춤단(215)은 란셋 몸체(12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제2 걸림턱(112)이 맞닿은 제1 멈춤단(214)의 변형을 제한하여(도 8의 상세도 B) 란셋 몸체(120)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채혈기
100: 란셋(Lancet) 110: 채혈 침
120: 란셋 몸체 121: 제1 걸림턱
122: 제2 걸림턱 130: 보호 홀더
200: 하우징 210: 하우징 몸체
211: 수용 공간 212: 제1 개구부
213: 제2 개구부 214: 제1 멈춤단
215: 제2 멈춤단 220: 하우징 커버
300: 탄성 부재 400: 작동 버튼
410: 조작부 420: 돌출부

Claims (3)

  1. 채혈 침, 내부에 상기 채혈 침이 고정 결합되고 일측에 제1 걸림턱 및 제2 걸림턱이 형성된 란셋 몸체, 상기 란셋 몸체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홀더를 포함하는 란셋(Lancet);
    내부에 상기 란셋 몸체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채혈 침이 노출되도록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제1 멈춤단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란셋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란셋 몸체의 타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개구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제2 개구부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작동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멈춤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탄성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에 걸린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란셋 몸체의 일측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로부터 걸림 해제될 때에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도록 탄성에 의해 복귀되며,
    상기 란셋 몸체는,
    상기 조작부가 눌렸을 때에, 상기 제1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로부터 걸림 해제되어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개구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걸림턱이 상기 제1 멈춤단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멈춤단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란셋 몸체가 상기 제1 개구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걸림턱이 맞닿은 상기 제1 멈춤단의 변형을 제한하는 제2 멈춤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KR1020170074720A 2017-06-14 2017-06-14 채혈기 KR101809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720A KR101809198B1 (ko) 2017-06-14 2017-06-14 채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720A KR101809198B1 (ko) 2017-06-14 2017-06-14 채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198B1 true KR101809198B1 (ko) 2018-01-10

Family

ID=6099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720A KR101809198B1 (ko) 2017-06-14 2017-06-14 채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1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237B1 (ko) * 2000-09-20 2003-04-26 차은종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용 자동채혈침
KR100971171B1 (ko) 2009-12-14 2010-07-20 홍관호 재사용 방지기능 안전란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237B1 (ko) * 2000-09-20 2003-04-26 차은종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용 자동채혈침
KR100971171B1 (ko) 2009-12-14 2010-07-20 홍관호 재사용 방지기능 안전란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1099B2 (en) Puncture aid with protection against reuse
US7713280B2 (en) Lancets
US9131954B2 (en) Safety lancet for doubly preventing reuse thereof
EP2298161A1 (en) Puncture device and puncture needle cartridge
JP2008523861A (ja) 皮膚に刺す装置
KR101071657B1 (ko) 니들 보호용 팁 절취 및 란셋 재사용 방지 장치가 구비된 채혈기
JP2006305143A (ja) 穿刺針カートリッジ
KR101716529B1 (ko) 일회용 채혈 기구
WO2008009984A1 (en) Skin pricking device
US8114109B2 (en) Single-use skin pricking device
KR101809198B1 (ko) 채혈기
KR20190055856A (ko) 당뇨 환자 전용 채혈기
GB2465391A (en) Skin pricking device
JP5190066B2 (ja) 穿刺装置
KR200404886Y1 (ko) 일회용 사혈침 기구
JP4997246B2 (ja) 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
JP6278336B2 (ja) 穿刺器具
KR101491812B1 (ko) 채혈기
JP2010172709A (ja) 穿刺針カートリッジ
KR101602633B1 (ko) 채혈기
CN218852705U (zh) 一种免擦拭一次性末梢采血针及采血装置
US20240057910A1 (en) Disposable blood collecting device
JP4691199B2 (ja) 穿刺針カートリッジ
KR102418238B1 (ko) 안전 카테터 조립체
CN111449660B (zh) 采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