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719B1 -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719B1
KR101808719B1 KR1020160059557A KR20160059557A KR101808719B1 KR 101808719 B1 KR101808719 B1 KR 101808719B1 KR 1020160059557 A KR1020160059557 A KR 1020160059557A KR 20160059557 A KR20160059557 A KR 20160059557A KR 101808719 B1 KR101808719 B1 KR 10180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pipe
fitting
ferrul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323A (ko
Inventor
심세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한훌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한훌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한훌로텍
Priority to KR102016005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71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3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말단부에 확관부를 갖는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의 확관부에 삽입되는 패럴; 합성수지관과 패럴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이 테두리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톱니부를 구비하는 피팅; 피팅과 체결되는 너트; 및 너트에 체결되고, 피팅의 톱니부와 맞물리는 톱니부를 측면에 구비하는 링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nut unlocking of synthetic resin tube join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 공정에는 다양한 액상의 화학 약품 또는 물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다양한 액상의 화학 약품은 예를 들어, 불산, 황산, 염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산성 용액도 있고,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암모늄 등을 함유하는 알칼리성 용액도 있으며, 세정액에 사용되는 화학 약품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오존화된 희석 불산은 반도체 기판의 세정, 식각 등의 공정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화학 약품들은 튜브나 파이프 등을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을 통해 이송되는데, 이때 불소계 수지를 만든 합성수지관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반도체 제조설비의 이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을 통해 흐르는 약품은 고순도이고 맹독성이므로, 약품의 누출은 반도체 제품의 생산 수율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합성수지관, 이 합성수지관의 연결과 개폐 등을 위한 유니온, 너트, 커넥터, 밸브 등에 대해서는 한층 더 엄격한 밀봉성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너트의 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말단부에 확관부를 갖는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의 확관부에 삽입되는 패럴; 합성수지관과 패럴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이 테두리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톱니부를 구비하는 피팅; 피팅과 체결되는 너트; 및 너트에 체결되고, 피팅의 톱니부와 맞물리는 톱니부를 측면에 구비하는 링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링의 톱니부는 링 측면과 경사를 이루는 판 형태로 구성되는 제1경사부; 제1경사부와 연결되는 제2경사부; 제2경사부와 링 측면을 연결하는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는 하기 일반식 6, 7 및/또는 8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6]
0.2 ≤ L5/L4 ≤ 0.6
상기 식에서, L4는 링의 톱니부의 전체 길이, L5는 제2경사부의 길이다.
[일반식 7]
0.5 ≤ W2/W1 ≤ 0.9
상기 식에서, W1은 제1경사부의 폭, W2는 제2경사부의 폭이다.
[일반식 8]
10 ≤ A3 ≤ 25
상기 식에서, A3은 제1경사부와 링 측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는 패럴의 말단부에 원호면으로 구성되는 라운드부; 및 피팅의 내부에 형성되고 패럴의 라운드부와 대응되는 라운드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는 하기 일반식 1 및/또는 2를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1]
0.8 ≤ T1/L1 ≤ 1.2
상기 식에서, T1은 패럴의 라운드부의 수직방향 최대 두께, L1은 패럴의 라운드의 수평방향 최대 길이다.
[일반식 2]
30 ≤ A1 ≤ 60
상기 식에서, A1은 패럴의 라운드부의 원호면 중앙에서의 접선 및 패럴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는 합성수지관, 패럴 및 피팅 각각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테이퍼부; 및 피팅의 테이퍼부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는 하기 일반식 3, 4 및/또는 5를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3]
0.3 ≤ L3/L2 ≤ 0.7
상기 식에서, L2는 패럴의 전체 길이, L3은 패럴의 테이퍼부의 경사면 길이다.
[일반식 4]
2 ≤ A2 ≤ 6
상기 식에서, A2는 패럴의 테이퍼부의 경사면 및 패럴의 중심축과 평행한 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일반식 5]
0.1 ≤ T3/T2 ≤ 0.5
상기 식에서, T2는 합성수지관의 두께, T3은 피팅의 돌기부의 두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팅과 링의 톱니부에 의해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패럴과 피팅의 라운드부 및/또는 피팅의 돌기부에 의해 밀봉성능이 개선되어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패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립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패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립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링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조립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패럴의 부분 확대도로서, 제1실시형태의 이음부 구조는 패럴(20)과 피팅(30)의 라운드부(27, 32)에 의한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실시형태의 이음부 구조는 합성수지관(10), 패럴(20), 피팅(30), 너트(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은 대부분의 길이를 차지하는 본체부(11) 및 말단부에 형성되는 확관부(12)로 구성될 수 있다. 확관부(12)는 인위적으로 직경을 확대한 부위이다. 합성수지관(10)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열을 가할 경우 직경을 용이하게 확대할 수 있다. 확관부(12)의 직경은 전체 길이에 걸쳐 본체부(11)의 직경보다 크다. 확관부(12)의 두께는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할 수 있고, 본체부(11)의 두께와도 동일할 수 있다. 확관부(12)의 내부(13)에는 후술하는 패럴(20)이 삽입되고, 확관부(12)의 내경은 외경과 대응하여 변할 수 있다.
확관부(12)는 본체부(11)와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합성수지관(10)의 제1테이퍼부(14), 합성수지관(10)의 최대 직경부(15), 합성수지관(10)의 제2테이퍼부(16), 합성수지관(10)의 균일 직경부(17)로 구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의 제1테이퍼부(14)는 합성수지관(10)의 말단을 향해 합성수지관(10)의 최대 직경부(15) 직전까지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부위로서,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의 최대 직경부(15)는 확관부(12) 중 직경이 가장 큰 부위로서, 도면에서는 모서리 형태이나,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의 제2테이퍼부(16)는 합성수지관(10)의 말단을 향해 합성수지관(10)의 최대 직경부(15) 직후부터 합성수지관(10)의 균일 직경부(17) 직전까지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부위로서,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의 균일 직경부(17)는 합성수지관(10)의 말단까지 직경이 균일한 부위로서, 그 직경은 본체부(11)의 직경보다 크고 합성수지관(10)의 최대 직경부(15)의 직경보다는 작다. 합성수지관(10)의 테이퍼부(14, 16)의 길이와 경사각도 및 합성수지관(10)의 균일 직경부(17)의 길이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의 최대 직경부(15)를 기준으로 합성수지관(10)의 복수의 테이퍼부(14, 16)를 형성하는 이유는 패럴(20), 피팅(30) 및 너트(40)와의 체결 시에 밀봉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며, 합성수지관(10) 내에 높은 압력이 걸려도 합성수지관(10)이 빠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합성수지관(10)을 확관한 후 패럴(20)을 삽입하면, 패럴(20)의 돌기부 부분인 경계부(22)에서 합성수지관(10)의 외경이 크고 합성수지관(10)의 끝단 부분은 수축하여 외경이 작기 때문에, 합성수지관(10) 내에 높은 압력이 걸려도 합성수지관(10)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은 불소계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 비닐 에테르 코폴리머(tetrafluoroethyene-perfluoro alkyl vinyl ether copolymer)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 고분자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0 내지 700,000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고분자 수지는 반도체 설비용 관의 수지로서 매우 적합하다. 합성수지관(10)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 비닐 에테르 코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고분자 수지에 안료 등과 같은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첨가제의 함량은 예를 들어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은 통상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의 직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의 직경은 예를 들어 1/4인치, 3/8인치, 1인치, 1과 1/2인치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직경의 관을 사용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 직경이 1/4인치인 경우, 관 두께는 1.2±0.102 mm일 수 있다. 관 직경이 3/8 내지 1인치인 경우, 관 두께는 1.57±0.102 mm일 수 있다. 관 직경이 1과 1/2인치인 경우, 관 두께는 2.2±0.102 mm일 수 있다.
한편, 합성수지관(10)은 복층 구조의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관(10)은 JIS K 7361-1에 의해 측정한 투과율(transmittance)이 두께 1.48 mm를 기준으로 73% 이상인 제1관; 및 제1관의 외부 및 내부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고, JIS K 7361-1에 의해 측정한 투과율이 두께 1.47 mm를 기준으로 73% 미만인 제2관을 포함하는 복층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층관은 내측에 배치되는 제1관 및 외측에 배치되는 제2관, 또는 내측에 배치되는 제2관 및 외측에 배치되는 제1관으로 구성되는 이중관일 수 있다. 또한, 복층관은 내측으로부터 제1관, 제2관, 제1관, 또는 내측으로부터 제2관, 제1관, 제2관으로 구성되는 삼중관일 수 있다. 또한, 제1관 및 제2관 중 적어도 하나는 안료를 포함하여 유색을 가질 수 있다. 제1관의 두께는 제2관의 두께보다 같거나 크고, 제2관의 두께는 0.1 내지 2 mm일 수 있다.
제1관 및 제2관은 각각 독립적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 500,000 내지 700,000의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 비닐 에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며, 제1관의 퍼플루오로 알킬기 중에서 탄소수는 105 내지 300이고 불소수는 210 내지 500이며, 제2관의 퍼플루오로 알킬기 중에서 탄소수는 1 내지 104이고 불소수는 1 내지 209일 수 있다. 제1관의 JIS K 7374에 의해 측정한 이미지 클리어니스(image clearness)는 광학적 빗(optical comb)의 폭 2 mm를 기준으로 98 내지 100%, 폭 1 mm를 기준으로 96 내지 97.9%, 폭 0.5 mm를 기준으로 94 내지 96.9%, 폭 0.25 mm를 기준으로 91 내지 93.9%, 폭 0.125 mm를 기준으로 80 내지 90.9%일 수 있다. 제2관의 JIS K 7374에 의해 측정한 이미지 클리어니스는 광학적 빗의 폭 2 mm를 기준으로 92 내지 100%, 폭 1 mm를 기준으로 83 내지 91.9%, 폭 0.5 mm를 기준으로 65 내지 82.9%, 폭 0.25 mm를 기준으로 48 내지 64.9%, 폭 0.125 mm를 기준으로 30 내지 47.9%일 수 있다.
제1관의 ASTM D3418에 의한 융점은 300 내지 314℃, ASTM D3418에 의한 결정화 온도는 280 내지 295℃, ASTM D638에 의한 연신율은 23℃에서 370 내지 384%, 200℃에서 510 내지 530%, ASTM D790에 의한 굴곡 탄성률은 23℃에서 350 내지 515 MPa, 200℃에서 40 내지 52 MPa, ASTM D695에 의한 압축 탄성률은 23℃에서 350 내지 535 MPa, 200℃에서 75 내지 90 MPa, ASTM D696에 의한 선팽창계수는 25 내지 50℃에서 10 내지 12.89×10-5/k, 25 내지 200℃에서 10 내지 17.34×10-5/k일 수 있다.
제2관의 ASTM D3418에 의한 융점은 315 내지 330℃, ASTM D3418에 의한 결정화 온도는 296 내지 310℃, ASTM D638에 의한 연신율은 23℃에서 385 내지 400%, 200℃에서 490 내지 509%, ASTM D790에 의한 굴곡 탄성률은 23℃에서 516 내지 700 MPa, 200℃에서 53 내지 65 MPa, ASTM D695에 의한 압축 탄성률은 23℃에서 536 내지 700 MPa, 200℃에서 60 내지 74 MPa, ASTM D696에 의한 선팽창계수는 25 내지 50℃에서 12.9 내지 16×10-5/k, 25 내지 200℃에서 17.35 내지 25×10-5/k일 수 있다.
제1관의 질소 투과도(permeation)는 7.6 내지 10.5×10-11 ㎤·㎝/㎠·sec·㎝Hg, 30일간 염화수소 투과도는 2250 내지 3300 ㎍·㎜/㎠,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핑 용매와의 접촉 55일 후 중량 변화는 0.41 내지 0.5 g,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핑 용매와의 접촉 55일 후 투과도 변화는 18.5 내지 21 g/㎡·day, Ra 조도는 0.04 내지 0.09 ㎛, Rz 조도는 0.3 내지 0.5 ㎛, 파열 압력은 30℃에서 1.8 내지 1.89 MPa, 100℃에서 0.95 내지 1.029 MPa일 수 있다.
제2관의 질소 투과도는 4 내지 7.5×10-11 ㎤·㎝/㎠·sec·㎝Hg, 30일간 염화수소 투과도는 1000 내지 2249 ㎍·㎜/㎠,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핑 용매와의 접촉 55일 후 중량 변화는 0.2 내지 0.409 g, 포토레지스트 스트리핑 용매와의 접촉 55일 후 투과도 변화는 15 내지 18.4 g/㎡·day, Ra 조도는 0.01 내지 0.039 ㎛, Rz 조도는 0.1 내지 0.29 ㎛, 파열 압력은 30℃에서 1.9 내지 2 MPa, 100℃에서 1.03 내지 1.2 MPa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관(10)을 복층관으로 구성할 경우, 투명도와 다른 물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식별성을 높이면서 유체 투과도와 탄성률 등과 같은 다른 물성도 개선할 수 있다.
패럴(parrel)(20)은 합성수지관(10)에 삽입됨과 동시에 피팅(30)에 삽입되어 밀봉성능을 향상시키는 부재이다. 패럴(20)은 불소계 수지 등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패럴(20)은 합성수지관(10)과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럴(20)의 외경은 길이방향을 따라 변할 수 있으나, 내경은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할 수 있다. 패럴(20)은 크게 구분하여 관 삽입부 및 피팅 접촉부로 구성될 수 있다.
관 삽입부는 합성수지관(10)의 확관부(12)의 내부(13)에 삽입되고, 확관부(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구체적으로 합성수지관(10)의 확관부(12)에 삽입되는 가장 안쪽부터 순차적으로 패럴(20)의 제1테이퍼부(21), 경계부(22), 패럴(20)의 제2테이퍼부(23), 패럴(20)의 균일 직경부(24)로 구성될 수 있다. 패럴(20)의 제1테이퍼부(21)는 합성수지관(10)의 제1테이퍼부(14)와 대응되는 부위로서, 피팅 쪽 말단부인 피팅 접촉부를 향해 경계부(22) 직전까지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부위이며,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계부(22)는 합성수지관(10)의 최대 직경부(15)와 대응되는 부위로서, 도면에서는 모서리 형태이나,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럴(20)의 제2테이퍼부(23)는 합성수지관(10)의 제2테이퍼부(16)와 대응되는 부위로서, 피팅 접촉부를 향해 경계부(22) 직후부터 패럴(20)의 균일 직경부(24) 직전까지 외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부위이며,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럴(20)의 균일 직경부(24)는 합성수지관(10)의 균일 직경부(17)와 대응되는 부위로서, 걸림부(25) 직전까지 외경이 균일한 부위이며, 그 외경은 경계부(22) 및 확경부(26)의 외경보다 작다. 패럴(20)의 테이퍼부(21, 23)의 길이와 경사각도 및 패럴(20)의 균일 직경부(24)의 길이 등은 확관부(12)에 대응되도록 설계된다.
피팅 접촉부는 합성수지관(10) 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걸림부(25), 확경부(26), 라운드부(27)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부(25)는 균일 직경부(24)와 확경부(26)의 경계 부위로서, 단차를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5)에 합성수지관(10)의 말단이 밀착될 수 있으며, 걸림부(25)의 높이는 합성수지관(1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확경부(26)는 걸림부(25)를 통해 외경이 확대된 부위로서, 그 외경은 걸림부(25)의 높이만큼 균일 직경부(24)의 외경보다 크고 길이방향으로 균일하다. 라운드부(27)는 확경부(26) 직후부터 피팅 쪽 말단까지 라운드 처리된 원호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라운드부(27)에 의해 고압에서도 밀봉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밀봉 성능의 극대화를 위해, 라운드부(27)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1]
0.8 ≤ T1/L1 ≤ 1.2
상기 식에서, T1은 라운드부(27)의 종단면에서 수직방향 최대 두께, L1은 라운드(27)의 종단면에서 수평방향 최대 길이다. 상기 T1은 라운드부(27)의 시작 지점인 확경부(26)와 라운드부(27)의 경계점에서 내경까지의 두께(높이)로서, 라운드부(27)의 최대 두께(높이)에 해당한다. 상기 L1은 상기 경계점에서 피팅 쪽 말단까지의 수평방향 길이(폭)로서, 라운드부(27)의 최대 길이(폭)에 해당한다. 상기 T1/L1의 비율은 라운드부(27)의 곡률 및 곡률 반경과 관련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일 수 있다. 상기 T1/L1의 비율이 1일 경우, 라운드부(27)의 종단면 형상은 1/4 원이 될 수 있다.
또한, 밀봉 성능의 극대화를 위해, 패럴(20)은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2]
30 ≤ A1 ≤ 60
상기 식에서, A1은 라운드부(27)의 원호면 중앙에서의 접선 및 패럴(20)의 중심축(X)이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A1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5도일 수 있다.
피팅(fitting)(30)은 2개의 합성수지관(1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실시형태에서는 직경이 큰 제1합성수지관(10) 및 직경이 작은 제2합성수지관(도면의 우측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 리듀서(reducer)를 예시한 것이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고, 또한 동일한 직경을 갖는 2개의 합성수지관(10)을 연결할 수도 있다. 피팅(30)은 원통형 및/또는 다면체로 구성될 수 있고, 외주면 및/또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부위별로 외경 및/또는 내경이 다를 수 있다. 단차 부위는 단면으로 볼 때 직선 및/또는 곡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피팅(30)은 불소계 수지 등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피팅(30)은 일측 말단부에 합성수지관(10)의 확관부(12)와 패럴(20)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인 관 수용부(31)를 포함한다. 관 수용부(31)는 안쪽부터 바깥쪽으로 순차적으로 라운드부(32), 피팅(30)의 균일 직경부(33), 피팅(30)의 테이퍼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운드부(32)는 패럴(20)의 라운드부(27)와 대응되는 부위로서, 패럴(20)의 라운드부(27)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 처리된 원호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럴(20)과 피팅(30)의 체결시 두 라운드부(27, 32)가 맞물리면서 밀착됨으로써, 고압에서도 밀봉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패럴(20)과 피팅(30)의 밀봉(seal) 부분이 R로서, 고압에서 밀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피팅(30)의 균일 직경부(33)는 합성수지관(10)의 균일 직경부(17)와 대응되는 부위로서, 라운드부(32) 직후부터 피팅(30)의 테이퍼부(34) 직전까지 내경이 균일한 부위이며, 그 내경은 합성수지관(10)의 균일 직경부(17) 외경 및 패럴(20)의 확경부(26)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피팅(30)의 테이퍼부(34)는 합성수지관(10)의 제2테이퍼부(16)와 대응되는 부위로서, 관 수용부(31)의 입구부터 안쪽을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부위이며,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피팅(30)의 관 수용부(31)에는 합성수지관(10)이 삽입되되, 그 최대 직경부(15)까지만 삽입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관(10)의 제1테이퍼부(14)는 삽입되지 않고 피팅(3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합성수지관(10)의 최대 직경부(15)와 피팅(20)의 관 수용부(31) 입구가 맞물리면서 1차 밀봉구조를 형성하고, 패럴(20)과 피팅(30)의 두 라운드부(27, 32)가 맞물리면서 2차 밀봉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피팅(30)의 외주면에는 너트(20)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피팅(30)의 한쪽 부위만 설명하였으나, 반대쪽 부위도 대칭구조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반대쪽 부위에 대한 도면 부호 및 설명은 생략한다.
너트(40)는 합성수지관(10)과 패럴(20)의 조립체가 피팅(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피팅(30)과 체결되어 합성수지관(10)을 고정할 수 있다. 너트(40)는 다면체 및/또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외주면 및/또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부위별로 외경 및/또는 내경이 다를 수 있다. 단차 부위는 단면으로 볼 때 직선 및/또는 곡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너트(40)는 불소계 수지 등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너트(40)는 피팅(30)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인 피팅 수용부(41)를 포함하고, 내주면에 피팅(30)과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피팅 수용부(41)의 내부 측면 모서리부(43)는 피팅(30)과의 체결시 합성수지관(10)의 본체부(11)와 확관부(12)의 경계부 및/또는 제1테이퍼부(14)를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3차 밀봉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패럴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B 부분의 확대도로서, 제2실시형태의 이음부 구조는 피팅(130)의 돌기부(136)에 의한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2실시형태의 이음부 구조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관(110), 패럴(120), 피팅(130), 너트(1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실시형태는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따라서 제1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합성수지관(110)은 본체부(111) 및 확관부(112)로 구성되고, 확관부(112)의 직경은 전체 길이에 걸쳐 본체부(111)의 직경보다 크다. 확관부(112)의 내부(113)에는 패럴(120)이 삽입되고, 확관부(112)의 내경은 외경과 대응하여 변할 수 있다. 확관부(112)는 본체부(111)와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합성수지관(110)의 제1테이퍼부(114), 합성수지관(110)의 최대 직경부(115), 합성수지관(110)의 제2테이퍼부(116)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2실시형태에서는 균일 직경부가 없고, 합성수지관(110)의 제2테이퍼부(116)가 합성수지관(110)의 말단까지 길게 연장된다. 합성수지관(110)의 제1테이퍼부(114) 및 합성수지관(110)의 최대 직경부(115)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합성수지관(110)의 제2테이퍼부(116)는 합성수지관(110)의 말단을 향해 합성수지관(110)의 최대 직경부(115) 직후부터 합성수지관(110)의 말단까지 직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부위로서,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패럴(120)은 관 삽입부 및 피팅 접촉부로 구성되며, 관 삽입부는 합성수지관(110)의 확관부(112) 형상과 대응되어 그 내부(113)에 삽입된다. 관 삽입부는 패럴(120)의 제1테이퍼부(121), 경계부(122), 패럴(120)의 제2테이퍼부(12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2실시형태에서는 균일 직경부가 없고, 패럴(120)의 제2테이퍼부(123)가 걸림부(125) 직전까지 길게 연장된다. 패럴(120)의 제1테이퍼부(121) 및 경계부(122)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패럴(120)의 제2테이퍼부(123)는 합성수지관(110)의 제2테이퍼부(116)와 대응되는 부위로서, 피팅 접촉부를 향해 경계부(122) 직후부터 걸림부(125) 직전까지 외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부위이며,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피팅 접촉부는 걸림부(125), 확경부(126), 라운드부(127)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의 피팅 접촉부도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 일반식 1 및 2를 만족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밀봉 성능의 극대화를 위해, 패럴(120)은 하기 일반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3]
0.3 ≤ L3/L2 ≤ 0.7
상기 식에서, L2는 패럴(120)의 전체 길이, L3은 제2테이퍼부(123)의 경사면 길이다. 상기 L3/L2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6,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일 수 있다.
또한, 밀봉 성능의 극대화를 위해, 패럴(120)은 하기 일반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4]
2 ≤ A2 ≤ 6
상기 식에서, A2는 제2테이퍼부(123)의 경사면 및 패럴(120)의 중심축(X)과 평행한 면이 이루는 각도, 즉 테이퍼 각도이다. 상기 A2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도일 수 있다.
피팅(130)은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관 수용부(131) 그리고 외주면에 나사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관 수용부(131)는 라운드부(132), 테이퍼부(134), 돌기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2실시형태에서는 균일 직경부가 없고, 테이퍼부(134)가 관 수용부(131) 입구부터 라운드부(132) 직전까지 길게 연장되며, 관 수용부(131)의 내주면에 제1실시형태에서는 없는 돌기부(136)가 형성된다. 라운드부(132)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테이퍼부(134)는 합성수지관(110)의 제2테이퍼부(116)와 대응되는 부위로서, 관 수용부(131)의 입구부터 라운드부(132) 직전까지 안쪽을 향해 내경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부위이며, 평면 및/또는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기부(136)는 관 수용부(131)의 내주면인 테이퍼부(134)로부터 돌출되면서 형성되고, 돌기부(136)의 개수는 1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일 수 있다. 돌기부(136)는 중심축(X)과 수직인 반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약간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부(136)는 테이퍼부(134)의 내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돌기부(136)의 끝은 뾰족할 수 있고, 돌기부(136)의 단면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일 수 있다. 돌기부(136)의 끝이 뾰족함으로써, 합성수지관(110)가 피팅(130)에 용이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합성수지관(110)의 제2테이퍼부(116) 및 돌기부(136) 사이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밀봉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1차 내지 3차 밀봉구조에 추가적으로, 돌기부(136)에 의해 4차 밀봉구조가 형성됨으로써, 4차에 걸친 밀봉구조에 의해 밀봉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관(110)의 편심이 있어도, 피팅(130)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136) 부분이 편심 합성수지관(110)을 눌려줌으로써, 누출(leak)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밀봉 성능의 극대화를 위해, 합성수지관(110) 및 피팅(130)은 하기 일반식 5를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5]
0.1 ≤ T3/T2 ≤ 0.5
상기 식에서, T2는 합성수지관(110)의 제2테이퍼부(116)의 두께, T3은 돌기부(136)의 두께이다. 상기 T3/T2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32일 수 있다.
너트(140)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피팅 수용부(141), 나사부(142), 내부 측면 모서리부(143)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조립도이며, 도 10은 도 8에서 링의 상세도로서, 제3실시형태의 이음부 구조는 피팅(230)과 링(250)의 톱니부(238, 254)에 의한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고, 또한 패럴(220)과 피팅(230)의 라운드부(227, 232)에 의한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3실시형태의 이음부 구조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관(210), 패럴(220), 피팅(230), 너트(24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링(250)을 포함한다. 제3실시형태는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따라서 제1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합성수지관(210)은 본체부(211), 확관부(212), 내부(213), 제1테이퍼부(214), 최대 직경부(215), 제2테이퍼부(216), 균일 직경부(217)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패럴(220)은 제1테이퍼부(221), 경계부(222), 제2테이퍼부(223), 균일 직경부(224), 걸림부(225), 확경부(226), 라운드부(227)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피팅(230)은 관 수용부(231), 라운드부(232), 균일 직경부(233), 테이퍼부(234), 나사부(235)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피팅(230)은 추가적으로 테두리부(237) 및 톱니부(238)를 구비할 수 있다. 테두리부(237)는 피팅(230)의 외주면에 링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톱니부(238)는 링(250)의 톱니부(254)와 맞물려서, 너트(240)가 잠금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풀림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톱니부(238)는 테두리부(237)의 너트 방향 측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부(238)의 개수는 1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일 수 있다. 톱니부(238)는 경사부와 걸림부로 구성될 수 있다. 경사부는 테두리부(237)의 측면과 전체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또한 테두리부(237)의 측면과 부분적으로만 접촉하여 부분적으로는 이격될 수 있다. 걸림부는 테두리부(237)의 측면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너트(240)는 피팅 수용부(241), 나사부(242), 내부 측면 모서리부(243)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성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너트(240)는 추가적으로 핀 수용부(244)를 구비할 수 있다. 핀 수용부(244)는 링(250)의 핀(259)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핀 수용부(244)는 너트(240)의 피팅 방향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핀 수용부(244)의 개수는 1 내지 10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개일 수 있다.
링(250)은 피팅(230)에 형성된 톱니부(238)와 맞물리는 톱니부(254)를 구비함으로써, 잠금 방향으로는 너트(240)가 회전하지만, 풀림 방향으로는 너트(24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피팅(230)과 링(250)의 두 톱니부(238, 254)에 의해 너트(240)의 풀림을 방지한다. 링(250)은 고무,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링(250)은 본체부(251), 톱니부(254), 톱니 고정부(258), 핀(259)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251)는 중앙을 비롯하여 대부분이 뚫린 고리 형상으로 구성되며, 피팅 방향 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252) 및 그 반대 측면에 형성되는 핀 수용부(253)를 구비할 수 있다. 홈(252)은 본체부(251)의 반경 방향으로 피팅 방향 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그 폭은 본체부(251) 측면 전체 폭의 80 내지 90%일 수 있다.
톱니부(254)는 본체부(251)의 측면 홈(252)에 삽입될 수 있고, 또한 본체부(2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부(254)의 개수는 2 내지 30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개일 수 있다. 톱니부(254)의 최대 폭은 측면 홈(252)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톱니부(254)는 제1경사부(255), 제2경사부(256), 걸림부(257)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경사부(255)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구성되고, 본체부(251)의 측면과 경사를 이루며, 제1경사부(255)의 일단은 본체부(251)의 측면과 접촉하고, 나머지 부위는 본체부(251)의 측면과 이격되며, 타단은 제2경사부(256)와 연결된다. 제1경사부(255)의 경사방향과 피팅(230)의 톱니부(238)의 경사부의 경사방향은 평행할 수 있고, 상하 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다. 제1경사부(255)의 양 측면은 원호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 링(250)의 내경 및 외경과 거의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2경사부(256)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구성되고, 본체부(251)의 측면과 경사를 이루며, 제2경사부(256) 전체는 본체부(251)의 측면과 이격되고, 제2경사부(256)의 일단은 제1경사부(255)와 연결되며, 타단은 걸림부(257)와 연결된다. 제2경사부(256)의 폭은 제1경사부(255)의 폭보다 작고, 따라서 제2경사부(256)의 양 측면은 측면 홈(252)을 형성하는 측벽과 이격된다.
걸림부(257)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구성되고, 본체부(251)의 측면과 수직을 이룰 수 있으며, 걸림부(257)의 일단은 제2경사부(256)과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부(251)의 측면과 접촉한다.
톱니부(254)의 제1경사부(255), 제2경사부(256), 걸림부(257)는 각각 판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피팅(230)의 톱니부(238)와 맞물릴 경우 적절한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링(250)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다.
톱니부(254)의 적절한 탄성 변형 및 링(25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링(250)의 톱니부(254)는 하기 일반식 6 내지 8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6]
0.2 ≤ L5/L4 ≤ 0.6
상기 식에서, L4는 톱니부(254)의 전체 길이, L5는 제2경사부(256)의 길이다. 상기 L5/L4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4일 수 있다.
[일반식 7]
0.5 ≤ W2/W1 ≤ 0.9
상기 식에서, W1은 제1경사부(255)의 폭, W2는 제2경사부(256)의 폭이다. 상기 W2/W1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8,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71일 수 있다.
[일반식 8]
10 ≤ A3 ≤ 25
상기 식에서, A3은 제1경사부(255)와 본체부(251)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A3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도일 수 있다.
톱니 고정부(258)는 인접하는 톱니부(254) 사이에 삽입되어 톱니부(254)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톱니 고정부(258)는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톱니부(254)와 밀착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톱니 고정부(258)의 양 측면은 원호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 링(250)의 내경 및 외경과 거의 대응되는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핀(259)은 너트(240)의 핀 수용부(244) 및 링(250)의 핀 수용부(253)에 각각 삽입되어 링(250)을 너트(24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4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합성수지관 이음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조립도로서, 제4실시형태의 이음부 구조는 피팅(330)과 링(350)의 톱니부(338, 354)에 의한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고, 또한 피팅(330)의 돌기부(336)에 의한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4실시형태의 이음부 구조는 제3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관(310), 패럴(320), 피팅(330), 너트(340), 링(350)을 포함한다. 제4실시형태는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2실시형태 또는 제3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따라서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합성수지관(310)은 본체부(311), 확관부(312), 내부(313), 제1테이퍼부(314), 최대 직경부(315), 제2테이퍼부(316)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의 구성은 제2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패럴(320)은 제1테이퍼부(321), 경계부(322), 제2테이퍼부(323), 걸림부(325), 확경부(326), 라운드부(327)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의 구성은 제2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피팅(330)은 관 수용부(331), 라운드부(332), 테이퍼부(334), 나사부(335), 돌기부(336)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의 구성은 제2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피팅(330)은 테두리부(337) 및 톱니부(338)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의 구성은 제3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너트(340)는 피팅 수용부(341), 나사부(342), 내부 측면 모서리부(343), 핀 수용부(344)를 구비할 수 있고, 이들의 구성은 제3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링(350)은 본체부(351), 측면 홈, 핀 수용부, 톱니부(354), 제1경사부, 제2경사부, 걸림부, 톱니 고정부, 핀(359)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의 구성은 제3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10, 110, 210, 310: 합성수지관
11, 111, 211, 311: 본체부
12, 112, 212, 312: 확관부
13, 113, 213, 313: 내부
14, 114, 214, 314: 제1테이퍼부
15, 115, 215, 315: 최대 직경부
16, 116, 216, 316: 제2테이퍼부
17, 217: 균일 직경부
20, 120, 220, 320: 패럴
21, 121, 221, 321: 제1테이퍼부
22, 122, 222, 322: 경계부
23, 123, 223, 323: 제2테이퍼부
24, 224: 균일 직경부
25, 125, 225, 325: 걸림부
26, 126, 226, 326: 확경부
27, 127, 227, 327: 라운드부
30, 130, 230, 330: 피팅
31, 131, 231, 331: 관 수용부
32, 132, 232, 332: 라운드부
33, 233: 균일 직경부
34, 134, 234, 334: 테이퍼부
35, 135, 235, 335: 나사부
136, 336: 돌기부
237, 337: 테두리부
238, 338: 톱니부
40, 140, 240, 340: 너트
41, 141, 241, 341: 피팅 수용부
42, 142, 242, 342: 나사부
43, 143, 243, 343: 내부 측면 모서리부
244, 344: 핀 수용부
250, 350: 링
251, 351: 본체부
252: 측면 홈
253: 핀 수용부
254, 354: 톱니부
255: 제1경사부
256: 제2경사부
257: 걸림부
258: 톱니 고정부
259, 359: 핀

Claims (12)

  1. 말단부에 확관부를 갖는 합성수지관;
    합성수지관의 확관부에 삽입되는 패럴;
    합성수지관과 패럴을 수용하고,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이 테두리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톱니부를 구비하는 피팅;
    피팅과 체결되는 너트; 및
    너트에 체결되고, 피팅의 톱니부와 맞물리는 톱니부를 측면에 구비하는 링을 포함하며,
    링의 톱니부는 링 측면과 경사를 이루는 판 형태로 구성되는 제1경사부; 제1경사부와 연결되는 제2경사부; 제2경사부와 링 측면을 연결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하기 일반식 6, 일반식 7 및 일반식 8을 만족하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일반식 6]
    0.2 ≤ L5/L4 ≤ 0.6
    상기 식에서, L4는 링의 톱니부의 전체 길이, L5는 제2경사부의 길이다;
    [일반식 7]
    0.5 ≤ W2/W1 ≤ 0.9
    상기 식에서, W1은 제1경사부의 폭, W2는 제2경사부의 폭이다;
    [일반식 8]
    10 ≤ A3 ≤ 25
    상기 식에서, A3은 제1경사부와 링 측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패럴의 말단부에 원호면으로 구성되는 라운드부; 및 피팅의 내부에 형성되고 패럴의 라운드부와 대응되는 라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일반식 1]
    0.8 ≤ T1/L1 ≤ 1.2
    상기 식에서, T1은 패럴의 라운드부의 수직방향 최대 두께, L1은 패럴의 라운드의 수평방향 최대 길이다.
  8. 제6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2를 만족하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일반식 2]
    30 ≤ A1 ≤ 60
    상기 식에서, A1은 패럴의 라운드부의 원호면 중앙에서의 접선 및 패럴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이다.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합성수지관, 패럴 및 피팅 각각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테이퍼부; 및 피팅의 테이퍼부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3을 만족하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일반식 3]
    0.3 ≤ L3/L2 ≤ 0.7
    상기 식에서, L2는 패럴의 전체 길이, L3은 패럴의 테이퍼부의 경사면 길이다.
  11. 제9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4를 만족하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일반식 4]
    2 ≤ A2 ≤ 6
    상기 식에서, A2는 패럴의 테이퍼부의 경사면 및 패럴의 중심축과 평행한 면이 이루는 각도이다.
  12. 제9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5를 만족하는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일반식 5]
    0.1 ≤ T3/T2 ≤ 0.5
    상기 식에서, T2는 합성수지관의 두께, T3은 피팅의 돌기부의 두께이다.
KR1020160059557A 2016-05-16 2016-05-16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KR10180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57A KR101808719B1 (ko) 2016-05-16 2016-05-16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57A KR101808719B1 (ko) 2016-05-16 2016-05-16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323A KR20170129323A (ko) 2017-11-27
KR101808719B1 true KR101808719B1 (ko) 2017-12-15

Family

ID=6081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557A KR101808719B1 (ko) 2016-05-16 2016-05-16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288A (ko) * 2022-09-21 2024-03-28 주식회사유한훌로텍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957B1 (ko) * 2020-09-17 2021-02-17 일우산업 주식회사 패킹홈이 일체로 형성된 확관부를 구비한 다중벽 합성수지관
KR102288442B1 (ko) * 2021-03-03 2021-08-10 주식회사 이앤아이비 플렉시블 호스 커넥션 피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692A (ja) * 1999-02-17 2000-08-29 Onda Seisakusho:Kk 継手用ロックリング
JP2016070388A (ja) * 2014-09-30 2016-05-0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692A (ja) * 1999-02-17 2000-08-29 Onda Seisakusho:Kk 継手用ロックリング
JP2016070388A (ja) * 2014-09-30 2016-05-0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288A (ko) * 2022-09-21 2024-03-28 주식회사유한훌로텍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KR102679638B1 (ko) * 2022-09-21 2024-07-01 주식회사유한훌로텍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323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719B1 (ko)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US20140091532A1 (en) Plug-In Piece
TW201250147A (en) Tube joint
KR101808705B1 (ko)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 방지구조
KR200452915Y1 (ko) 배관 연결부재
KR102135898B1 (ko)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KR101808723B1 (ko)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 방지구조
US10473244B2 (en) Tube connector assembly
JP7182454B2 (ja) 変換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継手
KR101384508B1 (ko) 유체공급배관 연결용 피팅기구
JP5818855B2 (ja) 管継手
KR200482068Y1 (ko) 튜브의 체결구조
JP2006313006A (ja) 集積パネルと流体デバイスとの接続構造
JP7245636B2 (ja) スリーブ、およびそれを備えた継手
KR102679638B1 (ko)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너트 풀림 방지구조
KR101915472B1 (ko) 부산물 트랩 방지용 배관
JP2009085288A (ja) ヘッダー
JP2011122628A (ja) 管体接続金具
KR102622037B1 (ko) 배관 연결구
JP7308727B2 (ja) 流路継手構造
WO2021095366A1 (ja) 管継手
KR100446186B1 (ko) 튜브커플러
JP2018048697A (ja) 樹脂管用管継手
US20230175621A1 (en) Inner ring and pipe joint
JP2017227242A (ja) 管継手及び管継手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