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513B1 -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513B1
KR101808513B1 KR1020170087581A KR20170087581A KR101808513B1 KR 101808513 B1 KR101808513 B1 KR 101808513B1 KR 1020170087581 A KR1020170087581 A KR 1020170087581A KR 20170087581 A KR20170087581 A KR 20170087581A KR 101808513 B1 KR101808513 B1 KR 101808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port
computer
signal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철수
곽제봉
곽제영
Original Assignee
임철수
곽제봉
곽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0288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085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임철수, 곽제봉, 곽제영 filed Critical 임철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513B1/ko
Priority to CN201810757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271118A/zh
Priority to US16/032,332 priority patent/US11048349B2/en
Priority to MYPI2018702410A priority patent/MY193294A/en
Priority to EP18182914.4A priority patent/EP342879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5Network adapters, e.g. SCI, Myri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3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participants; by removing partici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2Plur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input device of the same type are in communication with a 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Abstract

본 발명은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있어서, 다수의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본체; 상기 컴퓨터본체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제2통신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장치;
상기 제1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컴퓨터본체가 생성한 신호를 수신 받고, 모니터에 신호를 전송하며, 키보드 및 마우스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제1통신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장치;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가 상기 컴퓨터본체의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연결통신포트식별부;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통신포트와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의 통신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해당 제2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하며, 정보에 해당되는 통신포트를 통신포트선택부를 통하여 선택하면 선택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computer system and method allowing multiple user to concurrently use with one computer main body}
본 발명은 한대의본체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각자의 모니터 측에 별도의 중앙처리장치나 주기억장치 없이 한대의컴퓨터를 다수가 동시에 사용하는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사용자들 디스플레이부 즉 모니터에 별도의 중앙처리장치나 주기억장치 없이 컴퓨터의 데이터를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여 컴퓨터본체한대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개인용 컴퓨터처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온라인 게임이나 금융업무 등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행위들,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업무도 볼 수 있으며, 미디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볼 수 도 있는 개인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최근 한대의컴퓨터본체에 사용자 수만큼 별도의 그래픽장치, 사운드장치,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장치를 연결하여 한대의컴퓨터본체를 다수의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컨트롤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한대의컴퓨터본체로 다수의사용자들이 독립적으로 컴퓨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4-0045499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4-0045482를 살펴보면 전체적인 한대의컴퓨터로 다수의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나타나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785264 또한 한대의컴퓨터로 다수의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특허내용이다. 상기와 같이 특허가 등록된 멀티유저 멀티미디어 인터넷 컴퓨터 시스템은 멀티유저의 사용자들 간 독립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멀티유저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유저당 확장키트를 구비하는 것인데 상기 특허는 한대의컴퓨터로 다수의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위해 별도의 특수한 메인보드를 제조 및 제작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위의 멀티유저시스템과 관련된 특허내용들은 멀티유저프로그램에 의해 본체 한대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디스플레이부 및 사운드, 입력장치들을 사용자별로 연결하여 주로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컴퓨터본체 한 대에 다수의 통신장비를 연결하여 멀티유저의 시스템을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경우 특히 학교의 컴퓨터 교실에서 컴퓨터수업을 진행하기위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로봇코딩 프로그램인 엔트리, 스크래치, 아두이노 등을 실행하여 사용할 경우 유저별 각각의 멀티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컴퓨터본체의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연결되게 되는데 이때 통신포트연결이 교란되어 수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본체에 10명의 사용자단말기 즉 멀티유저용단말기가 연결되어 10명이 동시에 엔트리라는 컴퓨터로봇교육을 받고 있다고 가정을 할 때
로봇교육을 받기위해서는 교육생 각각이 가지고 있는 로봇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포트를 유저용단말기(본 발명에서는 제2통신장치) USB포트에 연결하여야 하는데 먼저 어느 한명이 연결하면 컴퓨터본체 10개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의 통신포트와 연결된다.
이후 다른 사람들이 연결하면 컴퓨터본체에 연결된 통신포트가 서로 교란되어 A라는 사람이 로봇을 작동하면 A로봇이 작동하는 것이 아니고 B 또는 D 등의 로봇이 작동하고 B라는 사람이 로봇을 작동하면 B로봇이 작동하는 것이 아니고 A 또는 E로봇이 작동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이 가끔 발생할 확률이 아니라 매일 수업시간마다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특히 학교의 컴퓨터교실에서 컴퓨터수업을 진행하기위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로봇코딩 프로그램인 엔트리, 스크래치, 아두이노 등을 실행하여 사용할 경우 유저별 각각의 멀티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컴퓨터본체의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연결될 때 통신포트연결이 교란되지 않고 각각 정확한 위치와 연결되어 안정적인 수업이 가능하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 본체; 상기 컴퓨터본체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제2통신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장치;
상기 제1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컴퓨터본체가 생성한 신호를 수신받고, 모니터에 신호를 전송하며, 키보드 및 마우스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제1통신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장치;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가 상기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의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연결통신포트식별부;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의 통신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본체; 상기 컴퓨터본체가 생성한 신호를 수신 받고, 모니터에 신호를 전송하며, 키보드 및 마우스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컴퓨터본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가 상기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의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연결통신포트식별부;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의 통신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해당 제2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는,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통신포트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의 통신포트를 통신포트선택부를 통하여 선택하면, 선택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의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는, 상기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통신포트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포트선택부를 해당 제2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 시
다수의 통신포트 정보 중 해당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연결될 통신포트정보가 가장상위에 표시되게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통신포트와 구분되게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는,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전송한신호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연결 지정된 통신포트와 일치하면 통신포트연결을 변경하지 않고, 일치하지 않으면 지정된 통신포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본체; 상기 컴퓨터본체가 생성한 신호를 수신 받고, 모니터에 신호를 전송하며, 키보드 및 마우스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컴퓨터본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통신장치가 상기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의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식별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운영방법은,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본체에 연결된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단계;
b)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제2통신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b)단계에서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하는 단계;
d)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모듈이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에 연결된 모니터에 통신포트선택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e) 제2통신장치사용자 또는 통신장치사용자가 상기 d)단계에서 출력한 통신포트선택화면을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선택하는 단계;
f) 제어부가 상기 e)단계에서 선택한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사용자 또는 통신장치사용자가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운영방법은,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본체에 연결된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운영중인S/W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이상이 각각 연결되도록 지정하는 단계;
b)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이상이 각각 연결되는 단계;
c)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제2통신장치가 연결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d) 제어부가 상기 c)단계에서 전송받은 신호가 상기 a)단계에서 지정한 통신포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식별에 따라 상기 a)단계에서 지정한 운영중인S/W와 통신포트연결이 일치하면 통신포트연결을 변경하지 않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a)단계에서 지정한 통신포트로 변경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운영방법은,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본체에 연결된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단계;
b)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제2통신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b)단계에서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사용자 또는 통신장치사용자가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사용자들 디스플레이부에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및 핵심 주변장치들을 설치하지 않고 한대의컴퓨터로 다수의사용자들 각자가 개인컴퓨터처럼 각각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가 컴퓨터본체의 다수의 통신포트와 연결 시 서로 교란을 일으키지 않고 안정적인 시스템운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학교에서 컴퓨터교육 중 로봇과 연관된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각 사용자들이 각각의 로봇을 작동함에 통신교란으로 인한 수업 불가능의 문제가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학교에서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할 경우 예산절감은 물론 미세먼지 및 발열이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교실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다른 방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다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다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식별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한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식별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른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식별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른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다른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식별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른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다른 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다른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다른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 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 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시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 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제3, 제4 등과 같은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기 구성요소들의 속성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의 일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제1통신장치(20)'는 컴퓨터본체(1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제2통신장치(30)에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장치이며, '제2통신장치(30)'는 제1통신장치(20)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인 것을 말하고, '통신장치(40)'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통신장치(20)를 형성하지 않고 컴퓨터본체(10) 즉 서버(10)로부터 신호를 바로 받는 통신장치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다수의 통신포트(13)'란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존재하며 로봇수업 등을 하기위해 다수의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 각각 로봇을 연결하면 시스템적으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와 제2통신장치(30)에서 운영하는S/W 또는 통신장치(40)에서 운영하는S/W가 각각 연결되는 통신포트를 말하며, 이때 컴퓨터본체(10)에는 COM1, COM2, COM3 . . . . 식으로 약 200여개의 통신포트가 존재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통신포트(13)는 컴퓨터본체(10)에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운영체제인 OS내에 포함되어 있거나 OS와 별도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란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 로봇을 연결할 경우 컴퓨터본체(10)의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데 이때 컴퓨터본체(10)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통신포트(13)와 연결됐는지를 식별하는 식별부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식별한 통신포트의 대응정보(80)'란 다수의 통신포트(13) 예를 들어 통신포트가 10개가 있다고 할 경우 1번부터 10번까지에서 7번과 연결됐다고 가정할 경우 '식별한 통신포트의 대응정보'는 '7'이 되며 7이라는 숫자를 모니터화면에 출력하면 사용자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통신포트선택화면'이란 식별한 통신포트의 대응정보를 이용하여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말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다른 방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다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다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식별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한 화면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식별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른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고,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식별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른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다른 화면이며, 도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식별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른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다른 화면으로서,
도1 내지 도2를 살펴보면, 컴퓨터본체(10)에 다수의 제1통신장치(20)가 연결되어있고 상기 다수의 제1통신장치(20)와 다수의 제2통신장치(30)가 연결되며, 각각의 제2통신장치(30)에는 모니터(45), 키보드(50), 마우스(6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컴퓨터본체(10)와 각각의 제1통신장치(20)는 그래픽카드연결부 및 USB연결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통신장치(20)와 제2통신장치(30)는 UTP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본체(10); 상기 컴퓨터본체(10)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제2통신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장치(20);
상기 제1통신장치(20)를 통해 상기 컴퓨터본체(10)가 생성한 신호를 수신 받고, 모니터(45)에 신호를 전송하며, 키보드(50) 및 마우스(60)의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1통신장치(2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장치(30);
다수의 제2통신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30)가 상기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의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는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13)와 제2통신장치(30)에서 운영중인S/W의 통신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3 내지 도5를 살펴보면 도1 내지 도2와는 달리 제1통신장치(20)를 형성하지 않고 컴퓨터본체(10)와 통신장치(40)가 직접 통신을 송수신 하는 방법으로서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본체(10); 상기 컴퓨터본체(10)가 생성한 신호를 수신 받고, 모니터(45)에 신호를 전송하며, 키보드(50) 및 마우스(60)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컴퓨터본체(1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40);
다수의 통신장치(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40)가 상기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의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는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13)와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의 통신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80)를 해당 제2통신장치(30)와 연결된 모니터(45)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80)를 해당 통신장치(40)와 연결된 모니터(45)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6 내지 도7을 살펴보면 제1통신장치(20)는 컴퓨터본체(10)의 그래픽카드와 연결되는 그래픽카드연결포트(23), 컴퓨터본체(10)USB포트와 연결되는 USB연결포트(22), 그래픽카드연결포트(23)와 USB연결포트(22)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제1신호처리부(21), 제1신호처리부(21)에서 처리한 신호를 제2통신장치(30)로 전송하기위한 제2통신장치역결포트(24)로 이루어지며,
제2통신장치는, 제1통신장치(2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기위한 제1통신장치연결부(35) 신호를 처리하는 제2신호처리부(31) 모니터(45)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32), 마이크와 스피커로 연결되는 음향신호처리부(33), 키보드(50), 마우스(60) 및 각종 USB신호를 분배 처리하는 USB허브(34)로 이루어지며,
도8을 살펴보면 통신장치(40)는 컴퓨터본체(10)로부터 네트웍허브(70)를 통하여 신호를 전송받기위한 컴퓨터본체연결부(38)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39) 모니터(45)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32), 마이크와 스피커로 연결되는 음향신호처리부(33), 키보드(50), 마우스(60) 및 각종 USB신호를 분배 처리하는 USB허브(34)로 이루어지고,
도1과 도3을 살펴보면 컴퓨터본체(10)는, 컴퓨터의 각종기능, 각 기능들을 컨트롤하는 제어부(11),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서 운영되는S/W의 기능수행을 위해 통신이 연결되는 다수의 통신포트(13),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가 어느 통신포트와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 통신포트(13)를 선택하기위한 통신포트선택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시스템에서 도9 내지 도12를 살펴보면, 특히 학교컴퓨터교육 중 로봇교육을 진행할 경우 다수의 사용자들이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의 USB연결부(34-1)에 로봇을 연결하면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와 통신을 연결하기위하여 사용자모니터(45)에 도10 내지 도12와 같이 통신포트선택화면(81)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통신포트선택화면(81)의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본인이 사용하는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와 연결된 통신포트(13)를 선택하여야 하는데 사용자는 본인이사용하고 있는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가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것과 연결됐는지를 알 수 없어 선택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본체(10)에 형성된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가 반드시필요하며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가 본인이 사용 중인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가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통신포트(13)와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 및 제어부(11)는 컴퓨터운영체제인 OS에 포함되어 설치되거나 OS와 별도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가 본인이 사용 중인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와 7번포트가 연결됐음을 식별 시 이에 대응되는 정보는 7이므로 그 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면 제어부(11)는 7번포트와 연결됐음에 대응되는 'COM7'이라는 정보를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와 연결된 모니터(45)에 도9와 같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도9의 출력모양은 여러 가지 모양 중 하나의 예이며 7번포트와 연결됐음에 대응되는 모든 정보 및 표현방법은 대응되는 정보출력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사용자는 도10과 같은 통신포트 선택화면(81)에서 통신포트(13)를 선택 시 도9에서와 같이 'COM7'이라는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음으로 'COM7'을 선택하면 다수의 통신포트(13)중 'COM7'이란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는 것이다.
다수의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사용자들이 각각본인이 사용 중인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와 의 통신포트연결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선택하면, 각각의 통신포트(13)와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연결이 확정됨으로 통신이 서로 교란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 사용자가 통신포트(13)를 인위적으로 선택하지 않고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가 연결통신포트(13)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통신포트(13)와 제2통신장치(3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통신포트(13)와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와 제2통신장치(3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13)를 선택할 수 있는 통신포트선택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는, 다수의 제2통신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80)의 통신포트(13)를 통신포트선택부(14)를 통하여 선택하면, 선택한 통신포트(13)와 제2통신장치(30)의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방법의 일실시예로서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와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13)를 선택할 수 있는 통신포트선택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는, 다수의 통신장치(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80)의 통신포트(13)를 통신포트선택부(14)를 통하여 선택하면, 선택한 통신포트와 통신장치(40)의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도11, 도12를 살펴보면 도9에서와 같이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가 식별한 통신포트(13)의 대응정보(80)를 출력하지 않고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 연결된 모니터(45)에 출력되는 통신포트선택화면(81)을 통하여 해당통신포트(81-3)를 다른 통신포트들(81-1)과 구별되도록 출력하여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사용자가 바로 해당통신포트(81-3)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와 제2통신장치(3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13)를 선택할 수 있는 통신포트선택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통신포트선택부(14)를 해당 제2통신장치(30)와 연결된 모니터(45)에 출력 시 다수의 통신포트(13) 정보 중 해당 제2통신장치(30)에서 운영중인S/W가 연결될 통신포트정보가 가장상위(81-2)에 표시되게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통신포트(81-1)와 구분되게(81-3)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와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13)를 선택할 수 있는 통신포트선택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통신포트선택부(14)를 해당 통신장치(40)와 연결된 모니터(45)에 출력 시 다수의 통신포트 정보 중 해당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가 연결될 통신포트정보가 가장상위(81-2)에 표시되게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통신포트(81-1)와 구분되게(81-3)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에서 해당 통신포트를 가장 상위(81-2)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은 다수의 통신포트 중 연결하고자하는 해당통신포트를 도11, 도12와 같이 다른 통신포트들(81-1)보다 상위(81-2)에 표시되도록 하여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 사용자들로 하여금 가장상위(81-2)에 있는 통신포트를 선택하면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가 연결되어 있는 통신포트에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11, 도12와 같이 해당통신포트(81-3)를 다른 통신포트들(81-1)과 구분되도록 해당통신포트(81-3)를 진하게 처리하거나 칼라로 처리하거나 깜빡깜빡하게 처리하여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 사용자들로 하여금 구분되어 있는 통신포트(81-3)를 선택하면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가 연결되어 있는 통신포트에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제2통신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30)에서 운영중인S/W와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가 전송한신호가 제2통신장치(30)에서 운영중인S/W연결 지정된 통신포트와 일치하면 통신포트연결을 변경하지 않고, 일치하지 않으면 지정된 통신포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통신장치(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와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통신포트(13)를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가 전송한신호가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연결 지정된 통신포트와 일치하면 통신포트연결을 변경하지 않고, 일치하지 않으면 지정된 통신포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서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본체(10);
상기 컴퓨터본체(10)가 생성한 신호를 수신 받고, 모니터에 신호를 전송하며, 키보드(50) 및 마우스(60)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컴퓨터본체(1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
다수의 제2통신장치(30) 중 어느 하나이상의 제2통신장치(30)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40) 중 어느 하나이상의 통신장치(40)가 상기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의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식별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상세한 설명은 도1 내지 도4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의 순서도이며,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다른 운영방법의 순서도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다른 운영방법의 순서도로서,
도13을 살펴보면,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본체(10)에 연결된 다수의 제2통신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30)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40)가 컴퓨터본체(1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13)와 각각 연결되는 단계(101);
b)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가 제2통신장치(30)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40)가 연결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는 단계(102);
c) 제어부(11)가 상기 b)단계에서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와 연결된 모니터(45)에 출력하는 단계(103);
d)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모듈이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에 연결된 모니터(45)에 통신포트선택화면(81)을 출력하는 단계(104);
e) 제2통신장치(30)사용자 또는 통신장치(40)사용자가 상기 d)단계에서 출력한 통신포트선택화면(81)을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선택하는 단계(105);
f) 제어부(11)가 상기 e)단계에서 선택한 컴퓨터본체(10)에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13)와 제2통신장치(30)사용자 또는 통신장치(40)사용자가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4를 살펴보면, 다른 실시예로서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본체(10)에 연결된 다수의 제2통신장치(30) 중 어느 하나이상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40) 중 어느 하나이상의 운영중인S/W와 컴퓨터본체(10)에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이상이 각각 연결되도록 지정하는 단계(201);
b) 다수의 제2통신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30)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40)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13) 중 어느 하나이상이 각각 연결되는 단계(202);
c)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가 제2통신장치(30)가 연결된 통신포트(13) 또는 통신장치(40)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13)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는 단계(203);
d) 제어부(11)가 상기 c)단계에서 전송받은 신호가 상기 a)단계에서 지정한 통신포트(13)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204);
e) 상기 d)단계의 식별에 따라 상기 a)단계에서 지정한 운영중인S/W와 통신포트연결이 일치하면 통신포트연결을 변경하지 않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a)단계에서 지정한 통신포트로 변경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2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5를 살펴보면, 다른 실시예로서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본체(10)에 연결된 다수의 제2통신장치(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30)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40)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단계(301);
b) 연결통신포트식별부(12)가 제2통신장치(30)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40)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11)에 전송하는 단계(302);
c) 제어부(11)가 상기 b)단계에서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30)사용자 또는 통신장치(40)사용자가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3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본체'란 일반적인컴퓨터본체 또는 서버용컴퓨터 또는 대형 중앙서버 등 신호를 처리하는 모든 장치는 본 발명의 컴퓨터본체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컴퓨터본체와 제2통신장치(30)는 제1통신장치(20)를 통해서 연결하고, 통신장치(40)는 제1통신장치(20)를 통하지 않고 컴퓨터본체(10)와 바로 연결되며, 컴퓨터본체(10)와 제2통신장치(30) 또는 통신장치(40)간의 연결은 유선연결, 무선연결, 다이렉트연결, 인터넷연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5와 같이 컴퓨터본체(10)는 대형서버에 해당되며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의 시스템구축으로서 대형서버(10)를 통해 인터넷망(72)을 통하여 통신장치(4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대형서버는 본 발명에서 컴퓨터본체(10)에 해당되며, 인터넷으로 연결된 각 단말기(40)들은 본 발명에서 통신장치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 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발명의 일실시 예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한대의 컴퓨터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10 : 컴퓨터본체 11 : 제어부
12 : 연결통신포트식별부 13 : 다수의 통신포트
14 : 통신포트선택부 20 : 제1통신장치
21 : 제1신호처리부 22 : 컴퓨터본체의 USB연결포트
23 : 컴퓨터본체의 그래픽카드 연결포트
24 : 제2통신장치연결포트 30 : 제2통신장치
31 : 제2신호처리부 32 : 영상신호처리부
32-1 : 모니터연결부 33 : 음향신호처리부
33-1 : 스피커연결부 33-2 : 마이크연결부
34 : USB허브 34-1 : USB연결부
35 : 제1통신장치연결부 36 : 키보드연결부
37 : 마우스연결부 38 : 컴퓨터본체연결부
39 : 신호처리부 40 : 통신장치
45 : 모니터
50 : 키보드 60 : 마우스
70 : 네트웍허브 71 : 통신케이블
72 : 인터넷 망 80 : 식별한통신포트의 대응정보
81 : 통신포트선택화면 81-1 : 다른 통신포트
81-2 : 가장상의 81-3 : 구분되게, 해당통신포트
101 :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통신장치가 컴퓨터본체통신포트와 각각연결 하는 단계
102 :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제2통신장치가 연결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103 : 제어부가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하는 단계
104 : 소프트웨어모듈이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에 연결된 모니터에 통신포트선택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105 : 통신포트를 선택하는 단계
106 : 선택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되는 단계
201 :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과 컴퓨터본체의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이상이 각각 연결되도록 지정하는 단계
202 :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통신장치가 컴퓨터본체의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하는 단계
203 :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제2통신장치가 연결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204 : 제어부가 전송받은 신호가 지정한 통신포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205 : 일치한 통신포트이면 통신포트를 변경하지 않고, 일치하지않으면 지정된 통신포트로 변경하는 단계
301 :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통신장치가 컴퓨터본체통신포트와 각각연결 하는 단계
302 :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제2통신장치가 연결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303 : 제어부가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되는 단계

Claims (16)

  1.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본체;
    상기 컴퓨터본체로부터 신호를 수신 받아 제2통신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장치;
    상기 제1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컴퓨터본체가 생성한 신호를 수신 받고, 모니터에 신호를 전송하며, 키보드 및 마우스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제1통신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장치;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가 상기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의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연결통신포트식별부;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의 통신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2.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본체;
    상기 컴퓨터본체가 생성한 신호를 수신 받고, 모니터에 신호를 전송하며, 키보드 및 마우스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컴퓨터본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가 상기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의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연결통신포트식별부;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의 통신연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해당 제2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해당 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통신포트와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통신포트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의 통신포트를 통신포트선택부를 통하여 선택하면, 선택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의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와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통신포트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의 통신포트를 통신포트선택부를 통하여 선택하면, 선택한 통신포트와 통신장치의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통신포트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포트선택부를 해당 제2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 시
    다수의 통신포트 정보 중 해당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연결될 통신포트정보가 가장상위에 표시되게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통신포트와 구분되게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와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선택할 수 있는 통신포트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포트선택부를 해당 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 시
    다수의 통신포트 정보 중 해당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연결될 통신포트정보가 가장 상위에 표시되게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통신포트와 구분되게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전송한신호가 제2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연결 지정된 통신포트와 일치하면 통신포트연결을 변경하지 않고, 일치하지 않으면 지정된 통신포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가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전송한신호가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연결 지정된 통신포트와 일치하면 통신포트연결을 변경하지 않고, 일치하지 않으면 지정된 통신포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13.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터본체;
    상기 컴퓨터본체가 생성한 신호를 수신 받고, 모니터에 신호를 전송하며, 키보드 및 마우스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컴퓨터본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통신장치가 상기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의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됐는지를 식별하여 그 식별된 통신포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통신포트식별부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에서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14.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본체에 연결된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단계;
    b)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제2통신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b)단계에서 전송받은 신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와 연결된 모니터에 출력하는 단계;
    d)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모듈이 제2통신장치 또는 통신장치에 연결된 모니터에 통신포트선택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e) 제2통신장치사용자 또는 통신장치사용자가 상기 d)단계에서 출력한 통신포트선택화면을 통해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선택하는 단계;
    f) 제어부가 상기 e)단계에서 선택한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사용자 또는 통신장치사용자가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운영방법.
  15.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본체에 연결된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이상의 운영중인S/W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이상이 각각 연결되도록 지정하는 단계;
    b)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통신포트 중 어느 하나이상이 각각 연결되는 단계;
    c)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제2통신장치가 연결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d) 제어부가 상기 c)단계에서 전송받은 신호가 상기 a)단계에서 지정한 통신포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식별에 따라 상기 a)단계에서 지정한 운영중인S/W와 통신포트연결이 일치하면 통신포트연결을 변경하지 않고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a)단계에서 지정한 통신포트로 변경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운영방법.
  16.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본체에 연결된 다수의 제2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2통신장치 또는 다수의 통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장치가 컴퓨터본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와 각각 연결되는 단계;
    b) 연결통신포트식별부가 제2통신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 또는 통신장치가 연결된 소프트웨어적으로 형성된 통신포트를 식별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c) 제어부가 상기 b)단계에서 전송받은 신호에 해당되는 통신포트와 제2통신장치사용자 또는 통신장치사용자가 운영중인S/W가 통신이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대의본체로 다수가사용하는 컴퓨터장치 운영방법.
KR1020170087581A 2017-06-22 2017-07-11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180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757174.0A CN109271118A (zh) 2017-06-22 2018-07-11 多个用户使用一个本体的计算机装置及其运行方法
US16/032,332 US11048349B2 (en) 2017-06-22 2018-07-11 Computer system allowing multiple users to concurrently use with single main compu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MYPI2018702410A MY193294A (en) 2017-06-22 2018-07-11 Computer system allowing multiple users to concurrently use with single main compu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18182914.4A EP3428797A1 (en) 2017-06-22 2018-07-11 Computer system allowing multiple users to concurrently use with single main compu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878 2017-06-22
KR20170078878 2017-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513B1 true KR101808513B1 (ko) 2018-01-18

Family

ID=6102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581A KR101808513B1 (ko) 2017-06-22 2017-07-11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48349B2 (ko)
EP (1) EP3428797A1 (ko)
KR (1) KR101808513B1 (ko)
CN (1) CN109271118A (ko)
MY (1) MY1932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55A (ko) * 2018-06-20 2019-12-30 임철수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948B1 (ko) * 2018-10-29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Ssp의 번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6697A1 (en) 2001-10-04 2004-12-09 Tomoyoshi Yamashita Area light source and lightguide used therefor
JP2005507397A (ja) 2001-10-09 2005-03-17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速溶性の経口製剤
US7200144B2 (en) * 2001-10-18 2007-04-03 Qlogic, Corp. Router and methods using network addresses for virtualization
US7225247B2 (en) * 2002-10-17 2007-05-29 Intel Corporation Serial port redirection using a management controller
US7400648B2 (en) * 2004-05-28 2008-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USB communications port
US7644160B2 (en) * 2004-10-20 2010-01-05 Digi International Inc. Login specific virtual ports
KR100785264B1 (ko) 2006-05-15 2007-12-12 김상 멀티유저멀티미디어 인터넷 컴퓨터 시스템
WO2010098597A2 (ko) * 2009-02-26 2010-09-02 Lim Cheol Soo Tv와 pc기능을 겸한 영상처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8982734B2 (en) * 2012-06-26 2015-03-17 Intel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routing information flows in networks using spanning trees and network switching element resources
US9730268B2 (en) * 2013-06-07 2017-08-08 Apple Inc. Communication between host and accessory devices using accessory protocols via wireless transport
CN103702054A (zh) * 2013-12-03 2014-04-02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多路信号源输出的可视化方法、装置、及电视机
KR20150124356A (ko) * 2014-04-28 2015-11-05 임철수 한대의컴퓨터를 다수가사용하는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55A (ko) * 2018-06-20 2019-12-30 임철수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2096708B1 (ko) 2018-06-20 2020-05-27 임철수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71118A (zh) 2019-01-25
MY193294A (en) 2022-10-03
EP3428797A1 (en) 2019-01-16
US11048349B2 (en) 2021-06-29
US20190018504A1 (en)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rdner et al. The Immersive Education Laboratory: understanding affordances, structuring experiences, and creating constructivist, collaborative processes, in mixed-reality smart environments
CN102157081A (zh) 一种基于同步文字教学内容显示的多媒体教学装置
US10348819B2 (en) Student group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808513B1 (ko) 한대의본체로 다수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 및 그 운영방법
CN102481049A (zh) 利用具备整合信号处理功能的主控器实现电子讲台系统
KR101681691B1 (ko) 화면 분할을 통한 다중 접속이 가능한 전자 칠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CN109951601B (zh) 一种家教学习机的系统切换方法及系统、家教学习机
US20040063086A1 (en) Interactive learning computer system
JP6900232B2 (ja) 電子機器および方法
US20110125927A1 (en) Personal computer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or multiple outputs
KR101869649B1 (ko) 사용자 단말, 학습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학습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저장매체
CN115951973A (zh) 模型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040214151A1 (en) Automatic and interactive computer teaching system
JP2022061452A (ja) ヒューマン・インターフェイス・デバイスのレイテンシ決定
JP6353795B2 (ja) 端末結合表示システム及び端末結合表示プログラム
KR102502209B1 (ko) 교육용 웹 유도기능 및 온라인 퀴즈 소통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008150A (ko) 언어교육용 단말기 및 언어교육시스템
KR102585795B1 (ko) 멀티미디어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언어 번역 제공 방법
US20230351914A1 (en) Virtual reality simulations for training
KR102504454B1 (ko) 교사용 일정 관리기능을 갖는 온라인 수업도구 서비스 제공 시스템
Yu et al. Developing a 3D virtual environment for hearing impaired learners’ learning of CNC machine operation
WO2022249900A1 (ja) 情報処理装置
JP2017181997A (ja) 学習支援プログラム、学習支援サーバ装置及び学習支援方法
KR20110100365A (ko) 멀티 유저 교육 시스템 및 방법
JP2022098220A (ja) 学習支援方法、学習支援システム、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