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142B1 - 파스너 테이프 - Google Patents

파스너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142B1
KR101808142B1 KR1020150080811A KR20150080811A KR101808142B1 KR 101808142 B1 KR101808142 B1 KR 101808142B1 KR 1020150080811 A KR1020150080811 A KR 1020150080811A KR 20150080811 A KR20150080811 A KR 20150080811A KR 101808142 B1 KR101808142 B1 KR 10180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ook
reinforcing
urethane resin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244A (ko
Inventor
홍권기
손락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매터리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매터리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매터리얼스
Priority to KR102015008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14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강연도 보강층과, 직조되어 형성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층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층과 함께 직조되는 복수 개의 후크를 구비하는 후크층과, 금속 분말과 합성 고분자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결합되는 금속 수지층과,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상부에서 상기 후크층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는 측부 차단벽을 구비하는 차단층 및 섬유사 또는 파일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테이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파스너 테이프{Fastener Tape}
본 발명은 파스너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파스너 테이프는 직물로 형성되는 베이스층의 일면에 후크가 결합되며 타면에 스폰지와 같은 발포체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파스너 테이프의 스폰지는 자동차 시트용 우레탄 수지 발포체를 형성하는 몰딩 과정에서 우레탄 수지와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상기 파스너 테이프는 우레탄 수지 몰딩용 주형에 형성되는 파스너 고정 프레임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우레탄 수지를 몰딩용 주형에 충진하고 발포시켜 자동차 시트용 우레탄 수지 발포체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우레탄 수지는 주형의 복수 개의 투입구를 통하여 주형으로 주입되며 내부 공간을 채우면서 스폰지와 접촉하여 스폰지에 압력을 가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폰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는 우레탄 수지의 압력에 의하여 스폰지의 외부로 추가로 배출되지만, 우레탄 수지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우레탄 수지를 통과하여 주형 외부로 배출되기 용이하지 않다. 특히, 상기 스폰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우레탄 수지 발포체의 내부에서 파스너 테이프 근처에 보이드(void)를 형성하여 우레탄 수지 발포체와 파스너 테이프의 부분적인 결합 강도를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스폰지와 같은 발포체는 표면에 형성되는 기공으로 우레탄 수지가 유입되도록 하여 파스너 테이프와 우레탄 수지 발포체의 전체적인 강도를 증가시키지만, 한편으로는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를 우레탄 수지 발포체의 내부에 배출하여 우레탄 수지 발포체의 내부에 보이드를 형성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우레탄 수지의 몰딩 과정에서 우레탄 수지의 내부로 추가적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우레탄 수지와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파스너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스너 테이프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강연도 보강층과, 직조되어 형성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층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층과 함께 직조되는 복수 개의 후크를 구비하는 후크층과, 금속 분말과 합성 고분자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결합되는 금속 수지층과,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상부에서 상기 후크층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는 측부 차단벽을 구비하는 차단층 및 섬유사 또는 파일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층의 베이스층은 상기 강연도 보강층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상면의 양측을 따라 상면이 소정 폭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부 차단벽은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상면에서 노출되는 영역에 직접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층은 단부 차단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부 차단벽은 상기 베이스층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부 차단벽의 양측 단부 사이에서 상기 후크층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부 차단벽은 상면이 상기 측부 차단벽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테이프는 상기 하부 결합층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일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 파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파일은 복수 개가 상기 하부 결합층의 하면에서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합성 섬유사가 상기 하부 결합층과 함께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층은 직물(Woven), 모켓(Moquette), 트리코(tricoat) 또는 라셀(raschel)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층은 상기 강연도 보강층과 동일 면적으로 형성되며, 하부 표면에 다수 개의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스너 테이프는 우레탄 수지의 몰딩 과정에서 우레탄 수지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하부 결합층 또는 하부 결합층과 보강 파일과 접촉하므로 추가적인 공기의 배출이 감소되며 우레탄 수지 발포체에 보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테이프는 우레탄 수지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하부 결합층 또는 하부 결합층과 보강 파일과 결합되므로 우레탄 수지 발포체와 결합력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파스너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부 결합층의 표면에 대한 확대 사진이다.
도 5는 도 1의 하부 결합층에 보강 파일이 결합된 상태의 확대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파스너 테이프와 몰딩용 금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파스너 테이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테이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파스너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부 결합층의 표면에 대한 확대 사진이다. 도 5는 도 1의 하부 결합층에 보강 파일이 결합된 상태의 확대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테이프(100)는,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강연도 보강층(110)과 후크층(120)과 금속 수지층(130)과 차단층(140) 및 하부 결합층(1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는 보강 파일(16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면 또는 상부 방향은 도 1에서 상부를 향하는 면 또는 방향을 의미하며, 하면 또는 하부 방향은 하부를 향하는 면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폭 방향은 도 1에서 "W" 방향을 의미하며, 길이 방향은 "L"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강연도 보강층(110)은 소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강연도 보강층(110)은 바람직하게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평면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강연도 보강층(110)은 파스너 테이프(100)의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강연도 보강층(110)은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며, PVC 수지, PET 수지, PP 수지, PC 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연도 보강층(110)은 파스너 테이프(100)의 강도 또는 강연도를 증가시키며, 사용 중에 파스너 테이프(100)가 꺽이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강연도 보강층(110)은 우레탄 수지의 몰딩 과정에서 우레탄 수지가 차단층(140)의 외측면으로 일부 유입되면서 우레탄 수지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강연도 보강층(110)은 파스너 테이프(100)와 우레탄 수지 발포체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후크층(120)은 베이스층(121)과 후크(12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후크층(120)은 판상의 베이스층(121)의 상면에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후크(122)가 결합된다. 상기 후크층(120)은 강연도 보강층(110)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후크층(120)은 별도의 접착제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층(120)은 하면에 금속 수지층(130)이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금속 수지층(130)은 강연도 보강층(110)과 후크층(12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층(121)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층(121)은 바람직하게는 강연도 보강층(110)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층(121)은 강연도 보강층(110)의 상면에 결합될 때 강연도 보강층(110)의 상면이 소정 폭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강연도 보강층(110)은 상면의 양측에 소정 폭으로 노출되는 영역이 형성되며, 차단층(140)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121)은 강연도 보강층(110)과 동일한 길이 또는 작은 길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강연도 보강층(110)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층(121)이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양단에 소정 길이로 노출되며, 차단층(140)이 결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층(121)은 섬유가 판상으로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층(121)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사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가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위사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경사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파스너 테이프(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위사와 직조된다. 상기 섬유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베이스층(121)은 파스너 테이프(100)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직물 베이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22)는 복수 개가 베이스층(121)의 상면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크(122)는 소정 높이를 갖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가 베이스층(121)에 결합되며 베이스층(121)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크(122)는 베이스층(121)과 함께 직조되면서 베이스층(121)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후크(122)는 복수 개가 파스너 테이프(100)의 폭 방향(W)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파스너 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후크(122)는 상단부에 버섯 모양, 우산 모양, 십자 모양과 같은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후크(122)의 상단부가 열에 의하여 용융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22)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합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후크(122)는 일반적인 파스너 테이프(100)에 사용되는 후크(12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122)는 베이스층(121)과 마주하는 직물(미도시) 또는 다른 후크(미도시)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금속 수지층(130)은 베이스층(121)의 하면에 직접 코팅되거나 또는 별도의 필름이 접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금속 수지층(130)은 금속 분말과 합성 고분자 수지가 혼합되어 혼합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 분말은 철(Fe) 파우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합성 고분자 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 고분자 수지는 후술하는 발포제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수지층(130)을 포함하는 파스너 테이프(100)는 발포제의 몰딩 공정시 몰딩용 금형의 프레임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층(140)은 측부 차단벽(141) 및 단부 차단벽(14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차단층(140)은 측부 차단벽(141)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층(140)은 후크층(120)의 측부를 차단하여 후크(122) 사이로 우레탄 수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차단층(140)은 모두 탄성력이 있는 발포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차단층(140)은 스폰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 차단벽(141)은 소정 폭과 높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부 차단벽(141)은 강연도 보강층(1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측부 차단벽(141)은 강연도 보강층(110)의 상면에서 후크층(120)의 양측을 따라 후크층(120)이 결합되지 않는 노출 영역에 직접 결합된다. 상기 측부 차단벽(141)은 후크층(120)의 측부와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부 차단벽(141)은 바람직하게는 후크층(12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측부 차단벽(141)은 파스너 테이프(100)가 몰딩용 주형에 장착될 때 상면이 몰딩용 주형에 접촉되면서 높이가 감소된다. 상기 측부 차단벽(141)은 우레탄 수지의 몰딩 과정에서 우레탄 수지가 후크층(120)의 측부를 통하여 후크층(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단부 차단벽(142)은 소정 길이와 높이를 갖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부 차단벽(142)은 상면이 측부 차단벽(14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부 차단벽(142)은 후크층(12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부 차단벽(142)은 측부 차단벽(141)의 양단부 사이에서 후크층(120)의 상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단부 차단벽(142)은 후크층(12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강연도 보강층(1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부 차단벽(142)은 우레탄 수지의 몰딩 과정에서 우레탄 수지가 측부 차단벽(141) 사이를 통하여 후크층(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바람직하게는 강연도 보강층(110)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강연도 보강층(110)의 하면에 별도의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섬유사 또는 파일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는 직물 또는 편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위사와 경사가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직물(Woven) 또는 모켓(Moquett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Woven) 또는 모켓(Moquette)은 각각 도비(dobby)와 자카드(jacquard)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트리코(tricoat) 또는 라셀(raschel)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물(Woven), 모켓(Moquette), 트리코(tricoat) 또는 라셀(raschel)은 각각 직물과 편물을 구분하는 일반적인 명칭이므로 여기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위사와 경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므로 우레탄 수지와 접촉되는 하부 표면에 다수의 홈 또는 홀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우레탄 수지와 접촉될 때 우레탄 수지가 홈 또는 홀로 유입되도록 하여 우레탄 수지와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스폰지와 달리 내부에 기공이 거의 없으므로 우레탄 수지와 접촉될 때 내부로부터 공기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스폰지와 달리 우레탄 수지의 압력에 의하여 수축되는 정도가 작으므로 내부로부터 공기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하부 결합층(150)은 우레탄 수지 발포체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며 우레탄 수지 발포체에 보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보강 파일(160)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재질, 나이론(nylon) 재질 또는 아크릴(acrylic) 재질과 같은 재질의 합성 섬유사로 형성된다. 다만, 여기서 상기 보강 파일(16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강 파일(160)은 하부 결합층(150)의 하면에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 파일(16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일 형상을 유지한다. 상기 보강 파일(160)은 복수 개가 하부 결합층(150)의 하면에서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 파일(160)은 바람직하게는 하부 결합층(150)이 직조될 때 함께 직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 파일(160)은 하부 결합층(150)과 직조되면서 하부 결합층(150)과의 직조 방법에 따라 적정한 이격 거리로 배열된다.
상기 보강 파일(160)은 하부 결합층(150)의 하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하므로, 이격 공간으로 우레탄 수지가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강 파일(160)은 우레탄 수지 발포체의 내부로 연장되어 우레탄 수지 발포체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 파일(160)은 파스너 테이프(100)와 우레탄 수지 발포체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 테이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파스너 테이프와 몰딩용 금형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파스너 테이프(100)는 몰딩용 금형(10) 내부의 프레임(12)에 안착되며, 후크층(120)과 차단층(140)이 프레임(12)의 내부 하면 방향을 향하고 하부 결합층(150)과 보강 파일(160)이 위쪽을 향하도록 안착된다. 이때, 상기 금속 수지층(130)은 프레임(12)의 하부에 위치하는 자성 물질(미도시)와 작용하여 파스너 테이프(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특히 우레탄 수지가 투입되는 경우에 우레탄 수지의 압력에 의하여 파스너 테이프(100)가 프레임(12)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차단층(140)은 프레임(12)의 내부 하면의 양측과 양측면 및 양측단면에 접촉되도록 안착된다.
상기 몰딩용 금형(10) 내부로 우레탄 수지가 투입되는 경우, 우레탄 수지는 파스너 테이프(100)의 하부 결합층(150)에 접촉되면서 하부 결합층(150)의 홈 또는 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우레탄 수지는 보강 파일(160)이 하부 결합층(150)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먼저 보강 파일(160) 사이로 유입되면서 보강 파일(160)과 결합된다.
상기 우레탄 수지가 하부 결합층(150)과 접촉되는 경우에, 우레탄 수지의 압력에 의하여 차단층(140)이 상하 방향으로 수축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층(140)은 프레임(12)의 내부 하면과 더욱 접촉하게 되며 우레탄 수지가 후크층(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차단층(140)은 측부 차단벽(141)과 단부 차단벽(142)을 구비하므로 파스터 테이프의 측부로 유입되는 우레탄 수지믈 모두 차단한다.
한편, 상기 우레탄 수지가 프레임(12)의 내측 벽면과 강연도 보강층(110)의 외측면을 통과하여 차단층(140)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차단층(140)은 후크층(120) 방향으로 다소 변형된다. 또한, 상기 강연도 보강층(110)은 우레탄 수지에 의하여 후크층(120) 방향으로 변형되지 않으므로, 우레탄 수지의 내부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파스너 테이프는 우레탄 수지와의 결합력이 더욱 증가된다. 다만, 상기 강연도 보강층(110)과 프레임(12)의 내측 벽면 사이의 이격이 작은 경우에 우레탄 수지는 차단층(140)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100: 파스너 테이프
110: 강연도 보강층 120: 후크층
130: 금속 수지층 140: 차단층
150: 하부 결합층 160: 보강 파일

Claims (7)

  1.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며,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강연도 보강층과,
    직조되어 형성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층과 함께 직조되는 복수 개의 후크를 구비하는 후크층과,
    금속 분말과 합성 고분자 수지가 혼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결합되는 금속 수지층과,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상면에서 상기 후크층의 양측을 따라 연장되는 측부 차단벽을 구비하는 차단층 및
    섬유사 또는 파일사가 직조되어 형성되며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층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결합층은 위사와 경사가 직조되어 하부 표면에 다수 개의 홈 또는 홀이 형성되며, 우레탄 수지가 상기 홈 또는 홀로 유입되어 결합되며 공기의 배출을 감소시키며
    상기 후크층의 베이스층은 상기 강연도 보강층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상면의 양측을 따라 상면이 소정 폭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부 차단벽은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강연도 보강층의 상면에서 노출되는 영역에 직접 결합되어 상기 후크층의 측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테이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단부 차단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부 차단벽은 상기 베이스층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부 차단벽의 양측 단부 사이에서 상기 후크층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테이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층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일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 파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파일은 복수 개가 상기 하부 결합층의 하면에서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합성 섬유사가 상기 하부 결합층과 함께 직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테이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층은 직물(Woven), 모켓(Moquette), 트리코(tricoat) 또는 라셀(raschel)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테이프.
  7. 삭제
KR1020150080811A 2015-06-08 2015-06-08 파스너 테이프 KR10180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11A KR101808142B1 (ko) 2015-06-08 2015-06-08 파스너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811A KR101808142B1 (ko) 2015-06-08 2015-06-08 파스너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44A KR20160144244A (ko) 2016-12-16
KR101808142B1 true KR101808142B1 (ko) 2017-12-12

Family

ID=5773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811A KR101808142B1 (ko) 2015-06-08 2015-06-08 파스너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224B1 (ko) * 2018-04-11 2020-01-07 송위현 곡선형 파스너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49297B1 (ko) * 2018-05-23 2023-06-30 주식회사 아이케이씨 시트 패드용 파스너 테이프
KR101934488B1 (ko) * 2018-09-06 2019-03-25 주식회사 지아이매터리얼스 곡선형 파스너 테이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084B1 (ko) * 2008-12-12 2011-10-28 타이완 파이호 리미티드 체결 조립체 및 체결조립체가 구비된 쿠션
KR101423243B1 (ko) * 2014-04-07 2014-07-25 한국특수섬유기술 (주) 파스너 테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084B1 (ko) * 2008-12-12 2011-10-28 타이완 파이호 리미티드 체결 조립체 및 체결조립체가 구비된 쿠션
KR101423243B1 (ko) * 2014-04-07 2014-07-25 한국특수섬유기술 (주) 파스너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244A (ko)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142B1 (ko) 파스너 테이프
KR20210042365A (ko) 수하물용 단단할 쉘을 형성하는 방법, 수하물용 쉘 및 수하물
KR101509375B1 (ko) 성형면 파스너
KR20100122847A (ko) 보강된 토양 구조물들에 사용하기 위한 가요성 안정화 스트립
GB2468869A (en) Fastener strip for use with cushion body
US20100055405A1 (en) Tile laying mat
US20200047650A1 (en) Injection-molded hook strip type seat covering fixing structure for a seat cushion of a car
KR100546426B1 (ko) 몰드-인 성형용 걸림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지성형체의제조방법
KR102044182B1 (ko) 성형면 파스너
KR101892506B1 (ko) 구조물 보강용 섬유 보강재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으로 만들어진 섬유 보강재 및 그 섬유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 방법
US6124019A (en) Upholstery component with secured cover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101423243B1 (ko) 파스너 테이프
KR102057645B1 (ko) 파스너 테이프 제조 방법
CN111823977B (zh) 粘扣带
KR101578051B1 (ko) 사출 머쉬룸 후크 테이프
KR101934488B1 (ko) 곡선형 파스너 테이프
US20150289581A1 (en) Shoe, in particular sports shoe
KR102063224B1 (ko) 곡선형 파스너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11150B1 (ko) 섬유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과 섬유보강재 지오그리드
JP4553801B2 (ja) 表面倣い性がある固化材を用いた構造体の構築方法
KR101372471B1 (ko) 파스너
KR20120098035A (ko) 파스너
JP6513750B2 (ja) 排水シート
KR101436581B1 (ko) 파스너
KR102339390B1 (ko)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