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141B1 -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 Google Patents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141B1
KR101807141B1 KR1020160047111A KR20160047111A KR101807141B1 KR 101807141 B1 KR101807141 B1 KR 101807141B1 KR 1020160047111 A KR1020160047111 A KR 1020160047111A KR 20160047111 A KR20160047111 A KR 20160047111A KR 101807141 B1 KR101807141 B1 KR 101807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actuator
wedge
center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216A (ko
Inventor
박인태
김종민
이진우
정의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14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33Clutch wear adjustment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은, 후방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단면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설정된 경사를 가지고 계단이 형성된 계단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전방으로 푸시 로드가 연장된 하우징, 상기 홈의 안쪽에 배치되는 폴 캐리어, 상기 폴 캐리어와 설정된 거리를 두고 후방에 배치되고, 선단면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웨지, 선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일측에 지지되며 일측은 상기 폴 캐리어와 힌지결합되는 제1 폴과 선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타측에 지지되며 일측은 상기 폴 캐리어와 힌지결합되는 제2 폴, 상기 제1,2폴의 선단부가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상기 제1,2폴에 연결되는 폴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이 설정위치에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웨지의 후단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 로드를 밀거나 당기도록 배치되어, 플라이휠과 클러치 디스크가 밀착시키거나, 서로 분리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CLUTCH ACTUATOR HAVING ABRASION COMPENSATION DEVICE}
본 발명은 클러치의 마모를 기계적으로 보상하여 클러치의 마모 유격을 안정적으로 제거하여, 클러치의 회전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고,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수동변속기의 클러치는 가압 플레이트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를 플라이휠에 밀착시켜 동력을 전달하고, 클러치 디스크의 밀착 해제로 동력을 끊어 변속모드로 변환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그 작동력이 작동포크로 전달되어 클러치 릴리스 베어링을 움직임으로써 클러치를 해제한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나 듀얼클러치 변속기에 사용되는 클러치의 경우에는, 모터 등을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전자식 액츄에이터를 통해 작동포크를 동작시켜 클러치를 조작하므로, 수동변속기에서와 같이 운전자가 직접 클러치를 조작하는 동작 없이 변속동작을 구현된다.
이와 관련하여 "전기모터식 클러치 액츄에이터 구조(특허공개공보 10-2007-037193호)"이 참고될 수 있다.
이 종래 기술은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 전기 신호를 주면, 이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신호를 받아 모터를 회전시키고, 모터축의 리드 스크루 연결된 센터에 나선 가공된 롤러 캠이 운동하면서, 레버를 밀어 올린다.
그러면, 레버 말단 부위에 접한 릴리스 베어링을 밀고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스프링과 가압 플레이트(Pressure Plate)에 전달된 결합력(Engage Force)이 증가하여 클러치 디스크를 강하게 밀어주어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구동력이 전달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클러치 디스크의 반복되는 변속 작용에 의해, 가압 플레이트나 클러치 디스크의 페이싱면 마모되면, 클러치 디스크의 자유 간격(F: Free travel)이 증가하여 변속시 충격이나 슬립감이 발생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3-0086441 특허공개공보 10-2007-0371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에서 변속기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클러치의 마모를 자동적으로 보상하여 변속시 충격을 줄이고, 변속 슬립감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은, 후방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단면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설정된 경사를 가지고 계단이 형성된 계단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전방으로 푸시 로드가 연장된 하우징, 상기 홈의 안쪽에 배치되는 폴 캐리어, 상기 폴 캐리어와 설정된 거리를 두고 후방에 배치되고, 선단면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웨지, 선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일측에 지지되며 일측은 상기 폴 캐리어와 힌지결합되는 제1 폴과 선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타측에 지지되며 일측은 상기 폴 캐리어와 힌지결합되는 제2 폴, 상기 제1,2폴의 선단부가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상기 제1,2폴에 연결되는 폴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이 설정위치에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웨지의 후단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 로드를 밀거나 당기도록 배치되어, 플라이휠과 클러치 디스크가 밀착시키거나, 서로 분리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계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계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는 상기 웨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웨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선단부에는 걸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가 후퇴할 때, 상기 폴 캐리어를 걸어서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폴캐이어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액추에이터 로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는 길이가 신장 또는 신축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며, 상기 푸시 로드에는 상기 푸시 로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푸시 로드 탄성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상기 폴 캐리어에 하나의 힌지를 통해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각각 상기 폴 캐리어에 힌지를 통해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교차하지 않고 설정된 각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클러치 디스크가 상기 플라이휠에 밀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는 후방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단면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설정된 경사를 가지고 계단이 형성된 계단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 푸시 로드가 연결된 하우징, 상기 홈의 안쪽에 배치되는 폴 캐리어, 상기 폴 캐리어와 설정된 거리를 두고 후방에 배치되고, 선단면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웨지, 선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일측에 지지되며 일측은 상기 폴 캐리어와 힌지결합되는 제1 폴과 선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타측에 지지되며 일측은 상기 폴 캐리어와 힌지결합되는 제2 폴, 상기 제1,2폴의 선단부가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상기 제1,2폴에 연결되는 폴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이 설정위치에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 상기 웨지의 후단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 로드를 밀거나 당기도록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계단이 형성되거나,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계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는 상기 웨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웨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선단부에는 걸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가 후퇴할 때, 상기 폴 캐리어를 걸어서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폴캐이어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액추에이터 로드 탄성부재, 및 상기 푸시 로드는 길이가 신장 또는 신축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며, 상기 푸시 로드에는 상기 푸시 로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푸시 로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상기 폴 캐리어에 힌지를 통해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서로 설정된 각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상기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액추에이터유닛, 및 상기 플라이휠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클러치 디스크를 사용하는 변속기에서 클러치 디스크의 마모를 보상하기 위해서 푸시 로드의 스트로크를 기계적으로 보상할 수 있고, 클러치의 토크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며, 변속충격을 줄이고, 클러치의 슬립감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마모 보상장치와 달리, 기계적인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마모된 양만큼만 스트로크를 보상하여, 별도의 복잡한 제어로직을 사용하지 않고, 마모 보상장치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이 작동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이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클러치 디스크가 마모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마모보상을 시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마모보상 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마모보상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마모보상이 완료되고,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이 작동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은, 플라이휠(100), 클러치 디스크(105), 가압 플레이트(115), 클러치 커버(110), 다이어프램 스프링(120), 릴리즈 베어링(130), 포크(135), 피봇(125), 푸시단(144), 푸시 로드(140), 푸시 로드 탄성부재(142), 하우징(190), 홈(195), 걸림 부재(180), 제1 폴(150a), 제2 폴(150b), 웨지(152), 고정 부재(197), 액추에이터 로드(145), 액추에이터(150), 액추에이터 로드 탄성부재(162), 폴 캐리어(154), 폴 탄성부재(156), 계단부(160),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엔진(미도시)의 회전력은 상기 플라이휠(100)로 전달되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105)는 상기 플라이휠(100)의 일면에 밀착되어, 상기 엔진의 회전력을 상기 플라이휠을 통해서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클러치디스크(105)은 변속기(미도시)의 입력축과 연결된다.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20)은 판스프링 타입으로, 그 일측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115)를 통해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105)를 상기 플라이휠(100)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클러치 커버(110)의 내측에 형성된 피봇(도면부호 미표시)을 중심으로 작동된다.
상기 포크(135)는 상기 릴리즈베어링(130)을 통해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20)의 타측을 밀어내서,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20)이 상기 가압 플레이트(115)를 미는 힘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150)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와 상기 푸시 로드(140)의 상기 푸시단(144)을 통해서 상기 포크(135)의 하단부를 상기 피봇(125)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포크(135)는 상기 릴리즈 베어링(130),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20), 상기 가압 플레이트(115)를 통해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105)와 상기 플라이휠(100) 사이의 밀착력을 유지하거나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푸시 로드(140)와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 사이에 배치되는 마모보상장치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마모보상장치에서, 상기 하우징(190)에는 홈(195)이 형성되고, 상기 홈(195)은 후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홈(195)의 내면에는 계단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계단부(160)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계단부(160)는 후방으로 볼록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90)의 후방에 설정된 거리를 두고, 상기 고정 부재(197)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197)는 고정된 부품이다.
상기 액추에이터(150)에는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가 배치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홈(195)의 안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의 선단에는 걸림 부재(18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 탄성부재(162)는 상기 고정 부재(197)를 기준으로 상기 폴 캐리어(154)를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걸림 부재(180)의 뒤쪽에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 상에 앞쪽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의 웨지(15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180)와 상기 웨지(152) 사이에는 폴 캐리어(154)가 배치된다.
상기 폴 캐리어(154)는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와 분리된 부품이고,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의 길이방향 중심부가 각각 상기 폴 캐리어(154)의 양단부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 폴(150a)의 후단은 상기 웨지(152)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선단은 상기 계단부(160)의 상부측에 지지되며, 상기 제2 폴(150b)의 후단은 상기 웨지(152)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선단은 상기 계단부(160)의 하부측에 지지된다.
즉, 상기 웨지(152)가 상기 포크(135)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의 후단은 벌어지도록 힘을 받고, 반대로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의 선단은 상기 폴 탄성부재(156)로부터 탄성력을 받고, 상기 폴 캐리어(154)의 힌지를 중심으로 모아지도록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이 작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하여,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에 고정되어 배치된 상기 웨지(152)가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190)를 밀어낸다.
상기 하우징(190)는 상기 푸시 로드(140)와 상기 푸시단(144)을 통해서 상기 포크(135)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릴리즈 베어링(130)은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20)의 타측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가압 플레이트(115)를 후퇴시킨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105)와 상기 플라이휠(100) 사이의 밀착력은 제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클러치 디스크가 마모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클러치 디스크(105)가 마모된 경우에, 상기 클러치 디스크(105)와 상기 플라이휠(100) 사이의 밀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릴리즈 베어링(130)은 후방으로 일부 이동해야 하고, 상기 포크(135)의 하단부도 뒤쪽으로 설정된 거리(Δx)만큼 이동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푸시 로드(140)와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 사이의 거리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클러치 디스크(105)의 마모를 보상하기 힘들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140)와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 사이의 거리를 줄여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105)의 마모를 보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마모보상을 시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마모보상 로직이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하여,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를 후방으로 설정거리 당긴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140)는 텔레스코픽 구조로써, 상기 푸시 로드 탄성부재(142)에 의해서 길이가 늘어나고, 상기 하우징(190)도 함께 후방으로 움직인다.
이때,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가 움직이는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고정 부재(197)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90)의 움직임은 제한되고, 상기 웨지(152)와 상기 제1 폴(150a), 상기 웨지(152)와 상기 제2 폴(150b)은 서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웨지(152)와 상기 제1 폴, 및 상기 웨지(152)와 상기 제2 폴(150b)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마모보상 중인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 부재(180)가 상기 폴 캐리어(154)를 살짝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폴 탄성부재(156)에 의해서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의 선단부는 서로 모아지고, 상기 계단부(160)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반대로,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의 후단부는 서로 벌어지도록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마모보상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액추에이터(150)를 제어하여,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를 전방으로 밀고, 상기 웨지(152)가 상기 제1 폴(150a) 및 상기 제2 폴(150b)의 후단부 사이로 낀다.
결과적으로, 상기 웨지(152)가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의 후단부 사이로 삽입된 거리가 늘어남으로써, 상기 푸시 로드(140)와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 사이의 거리가 전체적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줄어든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에서 마모보상이 완료되고,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액추에이터(150)를 통해서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145)에 고정되어 배치된 상기 웨지(152)가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190)를 밀어낸다.
상기 하우징(190)는 상기 푸시 로드(140)와 상기 푸시단(144)을 통해서 상기 포크(135)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상기 릴리즈 베어링(130)은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120)의 타측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가압 플레이트(115)를 후퇴시킨다. 따라서, 상기 클러치 디스크(105)와 상기 플라이휠(100) 사이의 밀착력은 제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과 비교하여 특징적인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계단부(160)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계단부(160)는 후방으로 오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 캐리어(154)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의 후단부와 힌지를 통해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폴 탄성부재(156)는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이 서로 벌어지도록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1과 비교하여 특징적인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계단부(160)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계단부(160)는 후방으로 오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 캐리어(154)의 중심부는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의 중심부와 하나의 힌지를 통해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은 상기 폴 캐리어(154)를 중심으로 x자 형태로 교차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폴 탄성부재(156)는 상기 제1 폴(150a)과 상기 제2 폴(150b)이 서로 벌어지도록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플라이휠
105: 클러치 디스크
110: 클러치 커버
115: 가압 플레이트
120: 다이어프램 스프링
125: 피봇
130: 릴리즈 베어링
135: 포크
140: 푸시 로드
142: 푸시 로드 탄성부재
144: 푸시단
145: 액추에이터 로드
150: 액추에이터
150a: 제1 폴
150b: 제2 폴
152: 웨지
154: 폴 캐리어
156: 폴 탄성부재
160: 계단부
162: 액추에이터 로드 탄성부재
180: 걸림 부재
190: 하우징
195: 홈
197: 고정 부재
200: 제어부

Claims (15)

  1. 후방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단면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설정된 경사를 가지고 계단이 형성된 계단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전방으로 푸시 로드가 연장된 하우징;
    상기 홈의 안쪽에 배치되는 폴 캐리어;
    상기 폴 캐리어와 설정된 거리를 두고 후방에 배치되고, 선단면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웨지;
    선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일측에 지지되며 일측은 상기 폴 캐리어와 힌지결합되는 제1 폴과 선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타측에 지지되며 일측은 상기 폴 캐리어와 힌지결합되는 제2 폴;
    상기 제1,2폴의 선단부가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상기 제1,2폴에 연결되는 폴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이 설정위치에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웨지의 후단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 로드를 밀거나 당기도록 배치되어, 플라이휠과 클러치 디스크가 밀착시키거나, 서로 분리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계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계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는 상기 웨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웨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선단부에는 걸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가 후퇴할 때, 상기 폴 캐리어를 걸어서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 캐리어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액추에이터 로드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길이가 신장 또는 신축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며, 상기 푸시 로드에는 상기 푸시 로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푸시 로드 탄성부재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상기 폴 캐리어에 하나의 힌지를 통해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각각 상기 폴 캐리어에 힌지를 통해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교차하지 않고 설정된 각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9. 제4항에 있어서,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클러치 디스크가 상기 플라이휠에 밀착되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10. 후방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단면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설정된 경사를 가지고 계단이 형성된 계단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 푸시 로드가 연결된 하우징;
    상기 홈의 안쪽에 배치되는 폴 캐리어;
    상기 폴 캐리어와 설정된 거리를 두고 후방에 배치되고, 선단면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형성된 웨지;
    선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일측에 지지되며 일측은 상기 폴 캐리어와 힌지결합되는 제1 폴과 선단부는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타측 상기 계단부에 지지되고, 타단부의 측면은 상기 볼록부의 타측에 지지되며 일측은 상기 폴 캐리어와 힌지결합되는 제2 폴;
    상기 제1,2폴의 선단부가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상기 제1,2폴에 연결되는 폴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이 설정위치에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
    상기 웨지의 후단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 로드를 밀거나 당기도록 배치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높아지도록 계단이 형성되거나,
    상기 계단부에서 상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부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계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는 상기 웨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웨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전방으로 연장된 부분의 선단부에는 걸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상기 액추에이터 로드가 후퇴할 때, 상기 폴 캐리어를 걸어서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 캐리어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거리가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액추에이터 로드 탄성부재; 및
    상기 푸시 로드는 길이가 신장 또는 신축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며, 상기 푸시 로드에는 상기 푸시 로드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푸시 로드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상기 폴 캐리어에 힌지를 통해서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폴과 상기 제2 폴은 서로 설정된 각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모 보상장치.
  15. 제1항에 따른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및
    상기 플라이휠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엔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60047111A 2016-04-18 2016-04-18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KR10180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111A KR101807141B1 (ko) 2016-04-18 2016-04-18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111A KR101807141B1 (ko) 2016-04-18 2016-04-18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216A KR20170119216A (ko) 2017-10-26
KR101807141B1 true KR101807141B1 (ko) 2018-01-10

Family

ID=60301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111A KR101807141B1 (ko) 2016-04-18 2016-04-18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7954A1 (de) * 2019-03-01 2020-09-1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etätigungsmechanismus insbesondere für einen kupplungsstell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5571B (zh) * 2020-09-22 2022-03-29 长春一东离合器股份有限公司苏州研发中心 一种可自动补偿磨损的车用离合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8868A1 (fr) 1998-05-13 1999-11-18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20130151100A1 (en) 2011-12-09 2013-06-13 Hyundai Motor Company Actuator compensation system for clutch and method thereof
KR101293020B1 (ko) 2012-04-26 2013-08-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마모 보상 클러치 액츄에이터
KR101304193B1 (ko) 2012-03-15 2013-09-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8868A1 (fr) 1998-05-13 1999-11-18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20130151100A1 (en) 2011-12-09 2013-06-13 Hyundai Motor Company Actuator compensation system for clutch and method thereof
KR101304193B1 (ko) 2012-03-15 2013-09-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액추에이터
KR101293020B1 (ko) 2012-04-26 2013-08-0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마모 보상 클러치 액츄에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7954A1 (de) * 2019-03-01 2020-09-1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etätigungsmechanismus insbesondere für einen kupplungsste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216A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406B1 (ko) 마모 보상장치, 이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차량
WO2018054161A1 (zh) 一种处理盒
KR101807141B1 (ko)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CN104006157B (zh) 一种汽车变速器驻车机构
SU950200A3 (ru) Привод управлени синхронизатором коробки передач и муфтой сцеплени
EP2475560B1 (fr) Système de freins à maître-cylindre et servofrein électrique
CN105388685B (zh) 镜驱动装置及摄像设备
EP0236420A1 (en) Arrangement in a friction clutch
KR101865730B1 (ko) 마모 보상장치를 구비한 클러치 액추에이터유닛
KR101826572B1 (ko) 마모 보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클러치 디스크 액추에이터유닛
KR101481345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EP2666688B1 (fr) Système de freins de véhicule a servomoteur électrique et piston de réaction hydraulique
KR101776769B1 (ko) 마모 보상장치, 및 이를 구비한 클러치 디스크 액추에이터 유닛
JPS63221979A (ja) 電動式ねじ締付け工具
US20100154582A1 (en) Device for actuating a clutch pedal
DE10342013A1 (de) Reibungskupplung
KR101510047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JP5600556B2 (ja) クラッチ作動装置
KR101519291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CN217230694U (zh) 一种弹力推杆及样品下压机构
CN112119244A (zh) 用于电驱动机动车辆的双速变速器
KR101959015B1 (ko) 차량용 파킹 시스템 및 그것의 파킹로드 조립체
CN112829581B (zh) 一种中央限滑差速装置、包括其的四轮汽车的驱动系统
KR100787365B1 (ko) 차동제한장치
JP2013002461A (ja) ク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