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809B1 -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 - Google Patents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809B1
KR101806809B1 KR1020160011540A KR20160011540A KR101806809B1 KR 101806809 B1 KR101806809 B1 KR 101806809B1 KR 1020160011540 A KR1020160011540 A KR 1020160011540A KR 20160011540 A KR20160011540 A KR 20160011540A KR 101806809 B1 KR101806809 B1 KR 101806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it
contents
parting lin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116A (ko
Inventor
박상윤
이재철
백성진
박상국
이영수
김석
김호섭
Original Assignee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새한비엔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새한비엔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4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65D35/08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from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3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wrappers disposed one insid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용기를 눌러줄 때마다 외부용기 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용기가 수축됨으로써, 내용물의 잔존량을 남기지않고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에 관한 것으로,
가요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1)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21)가 구비되어진 캡(2)과, 상기 캡(2)의 상부에 토출구(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진 커버(5)로 구성되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는 외부용기(12)와 그 안에 위치한 내부용기(11)의 이중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용기(12)의 하부에는 외기(外氣)의 유입이 내기(內氣)의 토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원활하도록 미세한 슬릿(13)이 다수 구비되어지며,
상기 슬릿(13)은 파팅라인에 바(Bar) 형태의 찝는 부분(14)을 추가하여 파팅라인을 붙이되 미세하게 떨어지도록 에어 흡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찝는 부분(14)는 블로우 성형중에 파팅라인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게함으로써, 상기 찝는 부분(14)에서는 외기 유입이 불가능하나 상기 찝는 부분(14) 사이의 슬릿(13)에서는 외기 유입이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체크밸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금형설계시 용기저부에 언더컷을 부여하여 공기유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내용물의 잔량토출을 용이하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Anti remaining container with an air intake structure on the bottom}
본 발명은 용기 본체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용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용기를 눌러줄 때마다 외부용기 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용기가 수축됨으로써, 내용물의 잔존량을 남기지않고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잔량 방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식품이나 화장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서는, 내용물을 눌러 짜낼 수 있도록 가요성의 합성수지재 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내용물의 점성이 적은 경우에는 용기 내벽에 잘 달라붙지않으므로 내용물의 잔존량을 남기지않고 완전히 사용할 수 있지만,
마요네즈, 고추장, 치약, 로션 등과 같이 점성이 큰 경우에는 용기 내벽에 달라붙기 쉬워서, 아무리 힘을 가해 마지막까지 짜내려해도 잔존물이 어느 정도 남게되므로 내용물의 낭비가 심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하기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 내용물을 완전히 추출하는 잔량방지 용기가 일부 개발되고있다. 잔량방지 용기의 제조방법은 상호 분리력이 우수한 두종류의 수지를 사용하여 브로우 성형하여 용기를 제조하며,이때 내부 필름층을 외측 용기층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압축시 내부 필름층이 균일하게 수축되도록하며, 내측필름층과 외측 용기층 사이에 공기를 넣어주는 방법은 용기 주둥이부의 외측층에 공기 주입구를 제조하거나 용기 하단의 외측층에 공기 주입구를 뚫어서 원터치 캡(one touch cap)이나 압축펌프를 목(neck)부위에 장착 후, 손이나 압축펌프를 사용하여 용기의 내측층과 외측층 사이로 공기를 넣어서 내측층을 압축하여 내용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내측 필름층은 적절한 굽힘 탄성율을 가진 소재를 사용해야 내측층과 외측층 분리와 내용물 추출에 유리하게되는데, 용기내용물을 추출하기 위해 내측층과 외측층 사이에 공기를 불어넣을때 내측 필름층의 불균일한 찌그러짐에 의해 내용물의 전량 추출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하기 위해서는 내측 필름층을 외측용기층에 부분적으로 결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내측 필름층을 균일하게 수축시켜야만 용기 내용물을 모두 배출할 수 있다.
용기의 저부에는 파팅라인의 분리를 방지하기위해 내측층의 필름을 잡아줘서 외측층 용기에 고정시키는 물림부가 외측층에 있어야하고, 물림부는 저부의 파팅라인을 따라 적당한 높이와 두께를 가져야할 것이며, 용기의 내용물을 전량 추출하기 위해서는 내측층과 외측층 사이에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외측층에 구멍을 천공해야하며, 천공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천공방법은 NECK부위에 천공하는 방법과 용기의 저부에 천공하는 방법이 있으며, 내측층 필름 소재와 외측층 소재의 융점차이를 이용하여 펀치를 가열하여 천공하거나, 외측층의 바깥쪽에서 펀치를 박아 넣어서 펀치날로 내측층을 남기고 외측층을 오려내어서 천공하거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천공하는 방법이 있으며, 펀치날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홀이 생기도록 용기의 구조를 설계하여 에어홀을 부여하는 방법 등이있다.
그런데, 내측층 필름 소재와 외측층 소재의 융점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외측층 수지의 융점이 내측층 수지의 융점보다 현저히 낮아야 하므로 용기의 소재 선정에 제약이 따르며 천공방법 또한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고,
펀치날을 이용하는 방법은 외측층의 바깥쪽에서 펀치를 박아넣어서 펀치날로 내측층을 남기고 외측층만을 오려내어서 천공하는 방법이나,이 역시 천공방법이 까다롭고 어려우며 천공 장치 제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스크류를 이용하는 방법은 설비가 간단하여 가장 손쉬운 방법이나, 이 역시 성형후 다른 설비를 이용하여 천공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 저부에 다수의 슬릿을 구성하는 방법은 금형 설계시 저부에 다수의 슬릿을 형성하는 구조를 설계하여 가능하나 이 방법 역시 공기 유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용기 본체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되, 외부용기를 눌러줄 때마다 외부용기 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용기가 수축되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잔존량을 남기지않고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첫번째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내용물이 점성이 큰 경우에도 큰 힘을 주지않더라도 잔존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낭비를 줄이고 사용하기에도 편하도록 함을 두번째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금형설계시 용기저부에 언더컷을 부여하여 공기유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내용물의 잔량토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을 세번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요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구비되어진 캡과, 상기 캡의 상부에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진 커버로 구성되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외부용기와 그 안에 위치한 내부용기의 이중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하부에는 외기(外氣)의 유입이 내기(內氣)의 토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원활하도록 미세한 슬릿이 다수 구비되어지며,
상기 슬릿(13)은 파팅라인에 바(Bar) 형태의 찝는 부분을 추가하여 파팅라인을 붙이되 미세하게 떨어지도록 에어 흡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찝는 부분은 블로우 성형중에 파팅라인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게함으로써, 상기 찝는 부분에서는 외기 유입이 불가능하나 상기 찝는 부분 사이의 슬릿에서는 외기 유입이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체크밸브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찝는 부분은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하단을 파팅라인에서 함께 접합되도록 하되, 외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상기 슬릿은 파팅라인의 중앙에 위치하고, 찝는 부분은 내부용기가 점점 압축될 때에 내부용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힘으로 작용할 것이므로, 상기 찝는 부분은 상기 슬릿의 좌우편의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찝는 부분(14)의 높이(H)는 1~5mm, 두께(D)는 0.1~0.5mm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는 모두 가요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데, 외부용기는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두꺼운 재질로 구성지고, 내부용기는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얇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에 사용하는 수지는 용기의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의 수지를 사용하고, 내부용기는 카프로락탐,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아디픽산의 폴리축합 또는 가수분해중합으로 제조된 수지인 굽힘탄성율 3,000㎏/㎠인 PA6/PA66 코폴리머를 사용하며, PA6/PA66 코폴리머의 중량비율은 5/5인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형 설계시 용기 저부에 안정적인 공기 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언더컷 형태를 부여하며 언더컷이 상기 찝는 부분의 외측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찝는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언더컷은 중앙 슬릿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에서는,
용기 본체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되, 외부용기를 눌러줄 때마다 외부용기 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용기가 수축되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잔존량을 남기지않고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물이 점성이 큰 경우에도 큰 힘을 주지않더라도 잔존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게됨으로써, 내용물의 낭비를 줄이고 사용하기에도 편리하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금형설계시 용기저부에 언더컷을 부여하여 공기유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내용물의 잔량토출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정단면도로서 요부인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뚜껑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뚜껑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뚜껑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내용물을 짜내는 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를 누르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를 눌러 내용물을 짜내는 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를 누르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를 눌러 내용물을 짜내는 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하부, 즉 공기 유입되는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저부, 즉 공기 유입되는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도 및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저부, 즉 공기 유입되는 부분만을 확대 도시한 저면도로서 언더컷의 구조를 나타내는 금형구조 및 이에 대응되는 금형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정단면도 및 언더컷의 구조로서, 용기 성형후 금형이 열릴 때 상부측으로 돌출된 모양의 언더컷이 용기 바닥부를 잡아 당기는 구조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정단면도로서 요부인 뚜껑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를 누르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를 눌러 내용물을 짜내는 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가요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1)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21)가 구비되어진 캡(2)과, 상기 캡(2)의 상부에 토출구(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진 커버(5)로 구성되는데,
상기 용기본체(1)는 외부용기(12)와 그 안에 위치한 내부용기(11)의 이중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용기(12)의 하부에는 외기(外氣)의 유입이 내기(內氣)의 토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원활하도록 미세한 슬릿(13)이 다수 구비된다.
또한, 상기 캡(2)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토출구(21)로의 유로를 개폐제어하기 위한 마개(31)가 탄성지지편(32)과 연결되어진 상부 지지체(3)와, 상기 마개(31)가 상하 이동할 때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 수용부(45)를 제공하는 하부 지지체(4)가 순서대로 결합되어지는데,
상부 지지체(3)는 원통형태로서, 상기 마개(31)는 그 내벽으로부터 탄성 지지편(32)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마개(31)와 내벽간의 간격에는 유로(33)가 형성되며, 하부 지지체(4)의 외측 상부에는 상기 캡(2)의 내측 상단에 밀착되기 위한 돌출턱(42)이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위치한 마개 수용부(45)에는 통공(44)이 구비되며, 상기 마개 수용부(45)의 외측에는 상기 상부 지지체(3)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지지체 끼움부(43)가 형성된다.
한편, 상부 지지체(3)는 탄성 지지편(32)을 포함하므로, 일체로 구성할 경우에는 고무나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하부 지지체(4)는 사용도중 변형 또는 변위가 발생하지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용기(11)는 외부용기(12)와 상단에서 합쳐지는데, 상기 하부지지체(4)의 내측 단턱(41)과 외부용기(12) 사이에서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외부용기(12)의 외벽에는 수나사부(14)가 구비되어있으므로, 상기 캡(2)의 내벽에 구비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어진다.
상기 외부용기(12)와 내부용기(11)는 모두 가요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데, 외부용기(12)는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두꺼운 재질로 구성지고, 내부용기(11)는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얇은 재질로 구성되어야하므로, 바람직하기로는 폴리마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부용기(11)는 수축변형이 매우 용이한 재질이어야하며, 수축변형 시에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찌그러들 수 있어야 한다.
이중 구조를 가진 잔량 방지 용기를 제조시 상호 분리력이 우수한 다른 화학 성분의 수지를 외부용기(12)와 내부용기(11)에 각각 사용하며, 상기 외부용기(12)에 사용하는 수지는 용기의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의 수지를 사용하고, 내부용기(11)는 카프로락탐,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아디픽산의 폴리축합 또는 가수분해중합으로 제조된 수지인 굽힘탄성율 3,000㎏/㎠인 PA6/PA66 코폴리머를 사용하며, PA6/PA66 코폴리머의 중량비율은 5/5인것을 사용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뚜껑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뚜껑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뚜껑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단면도로서, 내용물을 짜내는 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마개(31)는 그 외주연에 연결된 탄성지지편(32)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받게되므로, 평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마개 수용부(45)에 가볍게 안착된 상태가 된다. (도 2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캡(2)에 커버(5)를 닫아주게되면, 끼움봉(51)이 토출구(21)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312)를 눌러주게되므로, 상기 마개(31)의 외주연에 형성된 단턱(311)은 상기 마개 수용부(45)에 더욱 밀착된 상태가 되므로, 용기 안의 물질이 점도가 낮은 경우(예를 들어, 내용물이 간장, 식초 등인 경우)에도 내용물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게되는 것이다. (도 3 참조)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캡(2)에서 커버(5)를 분리한 후 용기본체(1)를 누르게되면,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마개(31)가 위로 올라가게되므로 통공(44)을 통해 유입된 내용물은 상기 마게 수용부(45)와, 유로(33)와, 토출구(21)를 경유하여 외부에 토출되는 것이다. (도 4 참조)
이 상태에서 용기본체(1)의 누르기를 중단하면, 상기 마개(31)는 그 외주연에 연결된 탄성지지편(32)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복원력을 받게되므로, 도 2의 상태로 복원되어질 것이다.
한편, 상기 외부용기(12)의 하부에는 외기(外氣)의 유입이 내기(內氣)의 토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원활하도록 미세한 슬릿(13)이 다수 구비되어있는데,
상기 슬릿(13)은 파팅라인에 바(Bar) 형태의 찝는 부분(14)을 추가하여 파팅라인을 붙이되 미세하게 떨어지도록 에어 흡입구를 형성하고 있다.(슬릿은 찝는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임)
즉, 용기 사출작업시에는 금형의 경계부에 파팅라인이 형성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파팅라인이 모두 견고히 결합된 상태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서는 파팅라인에 바(Bar) 형태의 찝는 부분(14)을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하여, 상기 찝는 부분(14) 사이에는 미세한 슬릿(13)이 구비되게함으로서, 외기(外氣)의 유입이 내기(內氣)의 토출에 비해 크게 원활하게되어 체크밸브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게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를 눌러 내용물을 짜내는 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 누르기를 중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인데,
용기 안의 내용물을 짜내기 위해 용기 외벽을 눌려주면 도 6에서와 같이 내용물이 마개(31)를 위로 밀어올려 통공(44)과, 유로(33)가 개방되어지므로, 내용물은 상기 마개 수용부(45)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21)를 통해 배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슬릿(13)에서는 내기(內氣)의 토출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외기(外氣)의 유입이 내기(內氣)의 토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원활하도록 구성되어있으므로, 내기의 토출은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다.
이 상태에서 용기 누르기를 중단하게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외기가 상기 슬릿(13)을 통해 용기 안으로 유입되어지는데, 외부용기(12)와 내부용기(11) 사이로 유입되므로 내부용기(11)를 수축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마개(31)는 마개 수용부(45)쪽으로 밀착되어, 통공(44)과, 유로(33)가 폐쇄될 것이므로, 내용물은 더 이상 상기 토출구(21)를 통해 배출되지않게된다.
계속 사용하다보면 용기를 눌렀다 폈다하는 과정이 오래도록 반복될 것인데, 상기 마개(31)에서는 용기 안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고, 상기 슬릿(13)에서는 외기가 용기 안으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훨씬 원활히 개방될 것이므로, 용기를 눌렀다 폈다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외부용기(12)와 내부용기(11) 사이로 유입된 외기는 내부용기(11)를 점점 압축하게되므로, 나중에는 내부용기(11)가 완전히 찌브러져서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를 누르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용기를 눌러 내용물을 짜내는 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용기본체(1)의 블로우 성형과정에서 내부용기(1)와 외부용기(12)의 하단을 파팅라인에서 부분적으로 접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파팅라인에서 찝는 부분(14)을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함으로써, 상기 찝는 부분(14)에서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없으나, 상기 찝는 부분(14) 사이의 슬릿(13)에서는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는 체크밸브와 유사한 기능을 하게된다.
이와 같이 내부용기(11)와 외부용기(12)의 하단을 파팅라인에서 부분적으로 접합하게되면, 용기를 눌렀다 폈다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동안 내부용기(11)가 외부용기(12)와 내부용기(11) 사이로 유입된 외기에 의해 점점 압축되어질때에, 내부용기의 하단이 지지되어 말려올라가지않을 것이므로, 내부용기(11)는 완전히 찌브러져서 내용물을 끝까지 배출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7, 도 8 참조)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하부, 즉 공기 유입되는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저부, 즉 공기 유입되는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도 및 단면도로서,
용기본체(1)의 하단에는 파팅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파팅라인에는 내부용기(11)와 외부용기(12)가 부분적으로 접합되도록 찝는 부분(14)과 슬릿(13)이 각각 형성되어있는데, 외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상기 슬릿(13)은 파팅라인의 중앙에 위치하고, 찝는 부분(14)은 내부용기(11)가 점점 압축될때에 내부용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힘으로 작용할 것이므로, 상기 찝는 부분(14)은 상기 슬릿(13)의 좌우편의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 이상 형성되어진다.
이와 같이 찝는 부분(14)은 슬릿(13)의 좌우편에 대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내부용기(11)가 점점 압축되어질때에 내부용기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않고 완전히 찌브러질 수 있게된다.
상기 찝는 부분(14)은, 내부용기(11)가 점점 압축되어질때에 말려올라가거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않고 파팅라인에서 견고히 지지될 수 있어야하며,
찝는 부분(14) 사이의 간격, 즉 슬릿(13)에 의해서는 외기 유입이 적절히 이뤄져서 체크밸브에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데,
찝는 부분(14)의 높이(H)를 1mm 미만의 크기로 하거나 그 두께(D)를 0.1mm 미만의 크기로 할 경우에는 외부용기(12)와 내부용기(11)간의 결합력이 충분치 못하여 사용중에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했으며, 찝는 부분(14)의 높이(H)를 5mm 초과한 크기로 하거나 그 두께(D)를 0.1mm 초과한 크기로 할 경우에는 외부용기(12)와 내부용기(11)간의 결합력이 과다하여 슬릿(13)을 통한 외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했으므로,
반복실험을 통해 상기 찝는 부분(14)의 높이(H)는 1~5mm, 두께(D)는 0.1~0.5mm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게되었다.
이와 같이, 용기 저부의 내측용기(11)를 잡아줘서 외측용기(12)에 고정시키는 찝는 부분(14)을 저부의 파팅라인을 따라 높이1∼5mm, 두께0.1∼0.5mm 가 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함으로서, 내측용기(11)의 하단을 외측용기(12)에 견고히 결합시켜서 저부에서 내측용기(11)를 잡아줌으로서 용기내용물을 추출하기 위해 내측용기(11)와 외측용기(12) 사이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내용물을 토출시 내측용기(11)의 딸려옴에 의한 전량 토출 제약을 해결할 수 있게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저부, 즉 공기 유입되는 부분만을 확대 도시한 저면도로서 언더컷의 구조를 나타내는 금형구조 및 이에 대응되는 금형사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정단면도 및 언더컷의 구조로서, 용기 성형후 금형이 열릴 때 상부측으로 돌출된 모양의 언더컷이 용기 바닥부를 잡아 당기는 구조의 도면으로서,
용기 저부의 에어홀 형성 불균일성을 해소함으로서 에어흡입에 의한 내부 필름 수축을 원활하게하여 기존의 잔량방지 기능의 불균일성을 해결할 수 있게된다.
(비교예 1)
용기본체(1)의 외측용기(12)의 저부가 내측용기(11)의 필름을 잡아줘서 외측용기(12)에 고정시켜서 용기 내용물을 추출하기 위해 내측용기(11)와 외측용기(12)의 사이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내용물을 토출시 내측용기(11)의 딸려옴에 의한 전량 토출 제약을 해결하면서 파팅라인의 분리에 의한 저부의 구멍 발생을 방지하도록 용기 저부의 찝는 부분(14)을 금형 제작시 만들지 않은 것외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했으며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비교예 2)
외측용기(12)의 저부가 내측용기(11)의 필름을 잡아줘서 내측용기(11)를 외측용기(12)에 고정시킴으로서 내측용기(11)와 외측용기(12) 사이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내용물을 토출시 내측용기(11)의 딸려옴에 의한 전량 토출 제약을 해결하기위해 용기 저부의 찝는 부분(14)을 형성하되, 용기 저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찝는 부분(14)을 일정한 간격으로 제거하지 않은 것외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했으며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구분 단위 본발명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용기의 배면 빨림
현상 발생
% 없음 5 90
용기내용물
잔량율
% 0.05
1.5 70
내부용기
압력손실
Mpa 0
0 0
내부용기
압축 상태
- 균일하게
압축됨
용기 저부가
딸려서 올라옴
압축되지
않음
내부용기
두께 균일성
% ±2
±5 ±2
용기 두께
균일성
% ±2
±2 ±3
* 위 실험에서, 용기의 배면 빨림 현상은 용기에 내용물을 충진 후 전량 토출할 때까지 짜낼 때 용기 외각층이 내부로 수축되어 용기 토출을 방해 하는지 여부를 평가했으며, 용기내용물 잔량율은 KSL ISO 8106, 내측용기(11) 압력손실은 KSB 6750, 내측용기(11) 압축상태는 육안평가, 내측용기(11) 두께 균일성은 전자현미경, 용기 두께 균일성은 magnetic thickness gauge 로 측정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하부, 즉 공기 유입되는 부분만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도로서 언더컷의 구조를 나타내는 금형구조 및 이에 대응되는 금형사진과 용기의 정단면도 및 언더컷의 구조로서, 용기 성형후 금형이 열릴 때 상부측으로 돌출된 모양의 언더컷이 용기 바닥부를 잡아 당기는 구조의 도면으로서 용기 저부의 에어홀 형성 불균일성을 해소함으로서 에어흡입에 의한 내부 필름 수축을 원활하게하여 기존의 잔량방지 기능의 불균일성을 해결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패리손(parison)을 금형 내부에서 블로우 성형함에 의해 제조되어지는데, 금형은 용기의 몸통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6a)과 저부 금형(6b)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좌우 대칭구조로 분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저부 금형(6b)은 파팅라인(63)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된 구조로 분할되어있는데, 찝는 부분(14)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61)들이 상기 파팅라인(63)을 따라 형성되어지되, 그 사이에 슬릿(13)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있으며, 상기 돌출부(61)의 외측 인접한 부위에는 언더컷(15)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6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돌출부(6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2에 의한 금형을 사용하여 제조되어진 용기에서는, 언더컷(15)이 상기 찝는 부분(14)의 외측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찝는 부분(14)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언더컷(15)은 움푹 패인 형태로서 제조된 용기를 취출하기위해 금형이 개방되면서 슬릿(13)(찝는 부분들 사이에 해당하는 부위)을 잡아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게될 것이므로, 슬릿(13)의 개도(開道)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되어 에어 통로기능, 즉 체크밸브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즉, 용기의 찝는 부분(14)을 저부 금형(6b) 내 돌출부(61)를 구비하여 형성할 경우에는 슬릿(13) 개도가 너무 좁아져서 에어 통로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찝는 부분(14)의 사이, 즉 슬릿(13)과 인접한 부위에 언더컷(15)을 구비함으로써, 금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강제로 상기 슬릿(13)을 외측으로 당겨서 개도(開道)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언더컷(15)은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중앙 슬릿(13)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주된 에어 통로는 중앙에 형성되고 나머지 슬릿에 의한 공급 유입에서도 좌우 균형을 이루게되므로, 보다 원활한 외기 유입이 가능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되, 외부용기를 눌러줄 때마다 외부용기 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내부용기가 수축되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잔존량을 남기지않고 완전히 사용할 수 있게되며, 내용물이 점성이 큰 경우에도 큰 힘을 주지않더라도 잔존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게됨으로써, 내용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용기본체 2 : 캡
3 : 상부 지지체 4 : 하부 지지체
5 : 커버 6a, 6b : 저부 금형
11 : 내부용기 12 : 외부용기
13 : 슬릿 14 : 찝는 부분
15 : 언더컷 31 : 마개
32 : 탄성 지지편 33 : 유로
41 : 내측 단턱 42 : 돌출턱
43 : 상부 지지체 끼움부 44 : 통공
45 : 마개 수용부 61 : 돌출부
62 : 돌출부 63 : 파팅라인

Claims (7)

  1. 가요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1)의 상단에 결합되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21)가 구비되어진 캡(2)과, 상기 캡(2)의 상부에 토출구(21)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진 커버(5)로 구성되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는 외부용기(12)와 그 안에 위치한 내부용기(11)의 이중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용기(12)의 하부에는 외기(外氣)의 유입이 내기(內氣)의 토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원활하도록 미세한 슬릿(13)이 다수 구비되어지며,
    상기 슬릿(13)은 파팅라인에 바(Bar) 형태의 찝는 부분(14)을 추가하여 파팅라인을 붙이되 미세하게 떨어지도록 에어 흡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찝는 부분(14)는 블로우 성형중에 파팅라인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게함으로써, 상기 찝는 부분(14)에서는 외기 유입이 불가능하나 상기 찝는 부분(14) 사이의 슬릿(13)에서는 외기 유입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언더컷(15)이 상기 찝는 부분(14)의 외측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찝는 부분(14)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찝는 부분(14)은 내부용기(1)와 외부용기(12)의 하단을 파팅라인에서 함께 접합되도록 하되, 외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상기 슬릿(13)은 파팅라인의 중앙에 위치하고, 찝는 부분(14)은 내부용기(11)가 점점 압축될 때에 내부용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힘으로 작용할 것이므로, 상기 찝는 부분(14)은 상기 슬릿(13)의 좌우편의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1개 이상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찝는 부분(14)의 높이(H)는 1~5mm, 두께(D)는 0.1~0.5mm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12)와 내부용기(11)는 모두 가요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데, 외부용기(12)는 상대적으로 단단하고 두꺼운 재질로 구성지고, 내부용기(11)는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얇은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15)은 중앙 슬릿(13)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



KR1020160011540A 2015-10-26 2016-01-29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 KR101806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499 2015-10-26
KR20150148499 2015-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116A KR20170048116A (ko) 2017-05-08
KR101806809B1 true KR101806809B1 (ko) 2017-12-08

Family

ID=6016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540A KR101806809B1 (ko) 2015-10-26 2016-01-29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8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638A (ja) * 2002-05-23 2003-12-03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容器
JP2015048115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二重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638A (ja) * 2002-05-23 2003-12-03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容器
JP2015048115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二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116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534B1 (ko)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방법에 의한 합성수지제 이중 용기
US11427368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ouble walled container
WO2004071887A1 (ja)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79403A (ja)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11211B1 (ko)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KR100992310B1 (ko) 주출용기
KR101806809B1 (ko) 저부 에어 흡입구조의 잔량방지 용기
EP3889057A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synthetic resin container
KR101335812B1 (ko) 이중 브로우 저장 용기 제조방법
CN107000897B9 (zh) 高粘性液体用双层容器
KR101174388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CN101247936B (zh) 用于实施容器的机器和方法以及由此获得的容器
JP6029917B2 (ja) 二重容器、その容器用プリフォーム、及びその容器の製造方法
JP7325246B2 (ja)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の製造方法
KR20100009360U (ko) 브로우 다중 성형용기
JP6850531B2 (ja) 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32734B1 (ko) 내부마개의 제거 전후에도 기밀성이 확보되는 화장품 용기
JP6403392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
KR101549331B1 (ko) 화장품 이중 용기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화장품 이중 용기
KR101247398B1 (ko) 의료용 고무전 및 그 제조방법
JP6572606B2 (ja) 無菌充填用口栓
JP2000202838A (ja) ラミネ―トゴム要素の製造方法及びラミネ―トゴム要素
JP2006507992A (ja) バルブ止め具
KR102112677B1 (ko)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및 용기 성형 방법
KR20180014112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