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602B1 - 벽걸이용 선반 - Google Patents

벽걸이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602B1
KR101806602B1 KR1020150009958A KR20150009958A KR101806602B1 KR 101806602 B1 KR101806602 B1 KR 101806602B1 KR 1020150009958 A KR1020150009958 A KR 1020150009958A KR 20150009958 A KR20150009958 A KR 20150009958A KR 101806602 B1 KR101806602 B1 KR 10180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oov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091A (ko
Inventor
이승석
Original Assignee
이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석 filed Critical 이승석
Priority to KR1020150009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60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47B96/028Cantilever 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선반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는 몸체가 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결합봉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선반부재는 판상으로 형성 구비되며, 폭 방향 일측 단부에 상기 프레임이 폭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프레임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홈에는 상기 결합봉이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이 결합홈에 삽입되고, 프레임이 프레임홈에 삽입 안착되어 선반부재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선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벽걸이용 선반{A Wall Shelf}
본 발명은 벽걸이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설치시 프레임이 보이지 않고 운반이 편리한 벽걸이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종래의 조립식 선반(1)을 설명하면 상기 조립식 선반(1)은 프레임(10)과 선반유닛(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가이드 돌기(11)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1)는 프레임(10)의 폭 방향 후방 단부로부터 폭 방향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11)의 하단부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멈춤 돌기(12)가 구비된다. 상기 멈춤 돌기(12)는 상기 가이드 돌기(11)의 하단부로부터 폭 방향 후방을 향하여 연장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고정나사홀(10a)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나사홀(10a)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나사홀(10a)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10)이 벽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선반유닛(20)은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반유닛(20)의 폭 방향 단부에는 절곡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선반유닛(20)의 폭 방향 후방에 구비된 절곡부는 상기 선반유닛(20)의 폭 방향 후방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후방 절곡부의 길이 방향 중심에는 상기 프레임(10)이 삽입 가능하도록 결합홈(도시되지 않은)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의 길이 방향 내측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조립돌기(21)가 구비된다. 상기 조립돌기(21)는 상기 결합홈의 폭 방향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유닛(20)이 상기 프레임(10)에 조립될 시 상기 조립돌기(21)는 가이드 돌기(11)와 마주하며 결합된다. 상기 조립돌기(21)는 상기 멈춤 돌기(12)의 상단에 접촉하여 구비된다.
상기의 조립식 선반은 조립 설치시 프레임(10)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구성품의 부피가 큼으로 운반 및 포장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5755(2013.10.07)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이 선반부재에 삽입되도록 하여, 설치시 미관이 유려하고 운반이 편리한 벽걸이용 선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벽에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선반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는 몸체가 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결합봉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선반부재는 판상으로 형성 구비되며, 폭 방향 일측 단부에 상기 프레임이 폭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프레임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홈에는 상기 결합봉이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이 결합홈에 삽입되고, 프레임이 프레임홈에 삽입 안착되어 선반부재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선반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프레임에는 앵커볼트가 삽입 되도록 볼트홀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홈에는 상기 앵커볼트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볼트홈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프레임에는 조절나사홀이 상기 결합봉의 주위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조절나사홀은 결합봉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결합봉의 중심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절나사홀에는 조절나사가 체결되어; 복수의 조절나사 중 하나 이상이 벽을 가압하므로써 결합봉의 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프레임은 스틸로 형성되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홈에는 자석홈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자석홈에는 자석이 삽입 결합되고; 상기 자석은 프레임이 상기 프레임홈에 삽입될 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결합홈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보조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용 선반은 프레임이 선반부재에 삽입되도록 하여 설치시 미관이 유려하고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선반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선반에 사용되는 선반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벽걸이용 선반이 벽에 설치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을 조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선반부재의 후방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선반부재의 결합홈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프레임 설치시 조절나사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용 선반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벽걸이용 선반이 벽에 설치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을 조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선반부재의 후방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선반부재의 결합홈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프레임 설치시 조절나사의 사용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의 가로 방향을“폭 방향”으로 하고, 벽을 향하는 방향을“후방”으로 하며,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전방”으로 하고,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길이 방향”으로 하며“길이 방향”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내측”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외측”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걸이용 선반은 프레임부(110)와, 선반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선반부재(1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프레임(114)과, 결합봉(1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4)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14)은 벽에 설치되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14)은 후술할 프레임홀(121)에 삽입된다. 상기 프레임(114)은 스틸로 이루어진다. 설치시 프레임(114)이 프레임홈(121)에 삽입되면서 프레임(114)의 폭 방향 전방면은 프레임홈(121)의 바닥면에 밀착된다.
상기 프레임(114)에는 볼트홀(110a)이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볼트홀(110a)은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홀(110a)은 결합봉(111)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볼트홀(110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볼트홀(110a)에는 앵커볼트(113)가 체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앵커볼트(113)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앵커볼트(113)는 상기 프레임(114)이 벽체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앵커볼트(113)는 상기 볼트홀(110a)은 벽체에 관통 체결된다. 앵커볼트(113)의 헤드부분은 후술할 볼트홈(121b)에 나사 체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앵커볼트(113)는 헤드부를 갖는 볼트 방식과 헤드부를 갖지 않고 너트부재로 체결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4)에는 조절나사홀(112)이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나사홀(112)은 각 결합봉(111) 주위로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나사홀(112)은 결합봉(111)의 반경 방향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절나사홀(112)은 상기 결합봉(111)의 반경 방향 중심에 대하여 원부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절나사홀(112)은 각 결합봉(111) 주위마다 4개씩 형성된다. 조절나사홀(112)은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조절나사홀(112)에는 조절나사(115)가 체결된다. 상기 조절나사(115)는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조절나사(115)는 상기 조절나사홀(112)에 체결되어 벽체를 가압하여 결합봉(111)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절나사(115)는 무두볼트로 구비된다.
상기 결합봉(111)은 폭 방향 전방 단부가 프레임(114)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결합봉(111)은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결합봉(111)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봉(111)은 폭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봉(111)은 막대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봉(111)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봉(111)은 결합홈(121a)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봉(111)은 스틸로 구비된다.
상기 선반부재(120)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선반부재(120)는 나무로 형성된다.
상기 선반부재(120)에는 프레임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홈(121)은 상기 선반부재(120)의 폭 방향 후방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홈(12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홈(121)은 폭 방향으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홀(121)의 바닥면에는 결합홈(121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1a)은 프레임홈(121)의 바닥면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1a)은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1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1a)은 상기 결합봉(121)이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결합홈(121a)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1a)의 단면에서 길이 방향 양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된 보조홈부(121a-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봉(111)의 방향이 미세하게 변동된 경우에도 상기 선반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홈(121)의 바닥면에는 볼트홈(121b)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홈(121b)은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홈(121b)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볼트홈(121b)은 프레임홈(121)의 바닥면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볼트홈(121b)은 길이 방향으로 큰 폭을 갖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홈(121b)에는 상기 앵커볼트(113)의 헤드부가 삽입된다.
상기 프레임홈(121)에는 자석홈(121c)이 형성된다. 상기 자석홈(121c)은 프레임홈(121)의 바닥면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자석홈(121c)은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자석홈(121c)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자석홈(121c)에는 자석(123)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자석(123)은 상기 자석홈(121c)에 나사체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자석(123)은 프레임(114)이 프레임홈(121)에 삽입 안착 될 시 상기 상기 프레임(114)에 부착되어 선반부재(120)가 프레임부(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르는 벽걸이용 선반(100)의 장착과정을 설명하면, 벽체(W)에 프레임(114)을 고정하기 위하여 앵커볼트(113)를 체결하여 프레임(114)를 벽체에 체결한다. 이때 앵커볼트(113)는 프레임(114)이 움직일 수 있도록 완전히 체결하지 않는다.
상기 프레임(114)과 벽체(W)의 수평을 확인한 후 조절나사(115)를 이용하여 결합봉(111)의 방향이 폭 방향으로 정면을 향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벽체의 불균형한 형태로 인하여 프레임(114)에 결합된 결합봉(111)의 방향이 좌측으로 휘었을 경우 결합봉으로 부터 길이 방향 좌측에 위치한 A홀(112-1) 및 B홀(112-2)의 조절나사(115)를 조이므로써 결합봉(111)의 방향을 우측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합봉(111)의 방향조정은 길이 방향의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의 조정도 A홀(112-1)과 C(112-3)홀 또는 B(112-2)홀과 D홀(112-4)을 조절나사(115)를 체결하여 조이므로써 가능하다.
상기의 결합봉(111)의 위치 조정이 완료되면 선반부재(120)를 상기 결합봉(111)에 결합한다. 상기 선반부재(120)는 프레임부(110)에 영구적으로 결합하거나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영구적인 결합을 원할 경우 상기 결합홈(121a)에 실리콘을 소량 주입한 후 상기 결합봉(111)에 선반부재(120)를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장탈착이 가능한 조립을 원할 경우 자석(123)을 자석홈(121c)에 나사체결한 후 상기 선반부재(120)를 프레임부(110)에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자석(123)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114)에 선반부재(12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사용자가 선반부재(120)의 탈거를 원할시 선반부재(120)를 프레임부(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벽걸이용 선반(100)은 프레임부(110)가 선반부재(120)에 삽입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부피가 감소하여 포장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벽걸이용 선반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벽걸이용 선반
110: 프레임부 111: 결합봉
114: 프레임 115: 조절나사
120: 선반부재 121: 프레임홈
123: 자석

Claims (5)

  1. 벽에 설치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에 결합되는 선반부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부(110)는 몸체가 되는 프레임(114)과, 상기 프레임(114)에 결합되는 결합봉(1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14)은 스틸로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결합봉(111)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선반부재(120)는 판상으로 형성 구비되며, 폭 방향 일측 단부에 상기 프레임(114)이 폭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프레임홈(121)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홈(121)에는 상기 결합봉(111)이 삽입되도록 결합홈(121a)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111)이 결합홈(121a)에 삽입되고, 프레임(114)이 프레임홈(121)에 삽입 안착되어 선반부재(120)가 프레임(114)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114)에는 앵커볼트(113)가 삽입 되도록 볼트홀(110a)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홈(121)에는 상기 앵커볼트(113)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볼트홈(121b)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14)에는 조절나사홀(112)이 상기 결합봉(111)의 주위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조절나사홀(112)에는 조절나사(115)가 체결되어; 복수의 조절나사(115) 중 하나 이상이 벽을 가압하므로써 결합봉(111)의 방향이 조절되며;
    상기 결합홈(121a)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보조홈부(121a-1)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홈(121b)은 길이 방향으로 큰 폭을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홈(121)에는 자석홈(121c)이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자석홈(121c)에는 자석(123)이 삽입 결합되고; 상기 자석(123)은 프레임(114)이 상기 프레임홈(121)에 삽입될 시 상기 프레임(114)의 일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선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홀(112)은 결합봉(111)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결합봉(111)의 중심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선반.
  4. 삭제
  5. 삭제
KR1020150009958A 2015-01-21 2015-01-21 벽걸이용 선반 KR10180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958A KR101806602B1 (ko) 2015-01-21 2015-01-21 벽걸이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958A KR101806602B1 (ko) 2015-01-21 2015-01-21 벽걸이용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091A KR20160090091A (ko) 2016-07-29
KR101806602B1 true KR101806602B1 (ko) 2017-12-07

Family

ID=5661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958A KR101806602B1 (ko) 2015-01-21 2015-01-21 벽걸이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56B1 (ko) * 2020-11-06 2023-03-08 이학준 설치가 용이한 벽 선반
KR102473427B1 (ko) * 2020-11-09 2022-12-05 고진희 선반의 벽체고정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211A (ja) * 2000-12-01 2002-06-14 Miwa Lock Co Ltd 棚、容器などの取付構造
JP2006068065A (ja) * 2004-08-31 2006-03-16 Daiwa House Ind Co Ltd 不陸調整板及びその取付け構造
JP2008540945A (ja) * 2005-05-13 2008-11-20 ヘファーマン,ダリル,ジェイムズ 装着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599Y1 (ko) 2012-03-26 2014-02-07 주식회사 케이모듈 조립식 선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211A (ja) * 2000-12-01 2002-06-14 Miwa Lock Co Ltd 棚、容器などの取付構造
JP2006068065A (ja) * 2004-08-31 2006-03-16 Daiwa House Ind Co Ltd 不陸調整板及びその取付け構造
JP2008540945A (ja) * 2005-05-13 2008-11-20 ヘファーマン,ダリル,ジェイムズ 装着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091A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6062A (en) Shelf connector
US10047513B2 (en) Beam frame assembly having joint device
KR200273598Y1 (ko) 건축용 장식판 부착장치
US6212707B1 (en) Bowed front bathroom vanity system
US9307836B2 (en) Adjustable 4-post rack
KR101806602B1 (ko) 벽걸이용 선반
US20160095441A1 (en) Bench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KR0140621Y1 (ko) 서랍의 레일고정용 연결꺽쇠
KR20170000826A (ko) 창틀 고정용 브라켓 제조방법
US10253524B2 (en) Combination bracket and rail for mounting a deck board
CN110604400B (zh) 一种新型家具组件及组装方法
US20190186153A1 (en) Railing system
CN210329776U (zh) 一种组合式桌脚
KR102232848B1 (ko) 가구용 수평 걸이구
JP6099391B2 (ja) 横桟取り付け構造
US7857018B2 (en) Carrier of a wood planer for carrying a cutter and a motor
JP6606709B2 (ja) 寸法調整可能な防護柵
KR102674667B1 (ko) 시스템장 브라킷
KR200211404Y1 (ko) 조인트 수단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CN210318050U (zh) 一种隐藏板式家具连接件
JP7340651B2 (ja) 階段用の接続部材
CN210018524U (zh) 顶线组件
KR940002704Y1 (ko) 장식 스탠드용 브라켓
KR101800119B1 (ko) 목재 프레임의 결합구조
JP2523520Y2 (ja) 建築用ほぞ付き梁受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