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594B1 -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594B1
KR101805594B1 KR1020160055138A KR20160055138A KR101805594B1 KR 101805594 B1 KR101805594 B1 KR 101805594B1 KR 1020160055138 A KR1020160055138 A KR 1020160055138A KR 20160055138 A KR20160055138 A KR 20160055138A KR 101805594 B1 KR101805594 B1 KR 10180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ushing
driving
drive roller
hous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478A (ko
Inventor
현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16005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59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3/00Power drives for actions or mechanisms
    • B41J23/02Mechanical powe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5Roller pairs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6Details of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 롤러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종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서로 가압되도록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를 결합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구동 롤러의 중심 부분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를 상기 종동 롤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지스트 롤러의 중심과 양단부의 반송력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폭이 작은 용지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Apparatus for aligning paper edge of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용지의 선단을 드럼의 화상 선단과 정렬시켜 용지를 급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을 일컫는 것으로, 이들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함께 화상이 형성되는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용지 이송 롤러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 용지 이송 롤러들은 용지가 적재된 트레이로부터 용지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화상이 형성된 후 배지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용지 이송 롤러들 중에서 레지스트 롤러(regist roller)는 용지의 흐트러짐(skew)을 방지하고 드럼의 화상 선단과 용지의 선단을 맞추어 용지를 2차 급지하는 역할을 한다.
레지스트 롤러는 일반적으로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롤러 및 구동 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 롤러로 구성된다. 여기서, 레지스트 롤러의 구동 롤러는 용지 이송(paper feeding) 기능을 가져야 하므로 보통은 마찰력이 좋은 고무 재질로 제조된다. 그리고, 레지스트 롤러의 종동 롤러는 보통 POM(폴리옥시메틸렌; Poly Oxy Methylene)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 또는 SUM(쾌삭강; steel use machinability)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조된다. 이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는 롤러의 양단부에서 스프링과 같은 탄성 기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되는데, 이 결합력을 반송력이라 한다.
이때, 레지스트 롤러의 구동 롤러 및 종동 롤러의 반송력은 스프링 힘의 특성상 롤러의 양단부에 집중되기 때문에, 롤러의 좌우 단부에서 반송력이 크고 롤러의 중심 부분은 상대적으로 반송력이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롤러의 양단부와 중심 부분 사이에 반송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롤러의 중심 부분의 반송력이 약하게 되면, 폭이 작은 용지들의 경우 반송시 반송력 여유도가 부족하게 되고, 이는 레지스트 롤러 본연의 기능인 용지 선단을 정렬하는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레지스트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부 커버(5)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 1의 레지스트 롤러의 단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종래의 레지스트 롤러는 구동 롤러(1)와 종동 롤러(2), 그리고 레지스트 롤러의 단부에 설치되어 구동 롤러(1)와 종동 롤러(2)를 결합시키는 스프링(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 모터(미도시)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 롤러(1)가 회전하면, 구동 롤러(1)와 맞물려 있는 종동 롤러(2)가 구동 롤러(1)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레지스트 롤러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레지스트 롤러 측으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미도시)에서, 이송 롤러의 좌우 단부의 스프링의 힘의 차이가 발생하여 반송력이 균일하지 않게 되면, 레지스트 롤러 측으로의 용지 급지시에 용지의 흐트러짐(skew)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레지스트 롤러는 이송 롤러에서 급지되어 오는 용지가 구동 롤러(1)와 종동 롤러(2) 사이에 도착하더라도 구동 롤러(1)를 회전시키지 않고 기다리고 있다가 용지에 버클(buckle)이 발생하게 한다. 그러면, 용지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서, 즉 레지스트 롤러에서 정지해 있게 된다. 이러한 버클이 발생하면, 용지는 구동 롤러(1)와 종동 롤러(2) 사이에서 자동으로 좌우 균형을 맞추게 된다. 이렇게 용지의 좌우 균형이 맞춰져서 용지의 선단이 정렬되면, 구동 롤러(1)가 작동하여 용지는 드럼 측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드럼에서 양호한 인쇄 품질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레지스트 롤러는 양단부에서의 스프링(3)에 의한 압력과 중앙에서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도 3은 용지의 선단 위치에 따른 레지스트 롤러의 반송력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x축의 숫자는 용지의 좌측 선단으로부터 우측 선단으로의 위치를 나타내고, y축의 숫자는 레지스트 롤러의 반송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레지스트 롤러를 통과하는 용지의 작용하는 반송력은 용지의 중심으로부터 용지의 좌측 및 우측 선단 방향으로 그 크기가 증가한다. 즉, 용지의 좌측 및 우측 선단에서의 레지스트 롤러의 반송력이 용지의 중심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폭이 작은 용지, 즉 레지스트 롤러의 양단부를 지나지 않는 크기의 용지는 종종 좌우 선단이 흐트러져 드럼 측으로 이송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47333호(1998. 9. 15)
선행기술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25797호(1994. 12. 8)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레지스트 롤러의 중심과 양단부의 반송력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폭이 작은 용지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지 롤러에 의해 드럼 측으로 급지되는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는 레지스트 롤러로서,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 롤러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종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서로 가압되도록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를 결합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구동 롤러의 중심 부분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를 상기 종동 롤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 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 롤러의 중심 부분을 둘러싸고, 타단이 상기 구동 롤러의 후방 측에 위치한 하우징 홀더에 고정되는 부싱; 및 상기 부싱과 상기 하우징 홀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부싱을 상기 구동 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롤러는 중심 부분이 반경방향을 따라 절개된 환형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싱은 일단이 상기 환형 절개부에 결합되는 반환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싱은 상기 하우징 홀더의 결합 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홀더의 결합 홈은 상기 단턱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부싱은 타단에 상기 하우징 홀더 측으로 연장된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상기 부싱과 상기 하우징 홀더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롤러의 중심 부분을 종동 롤러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레지스트 롤러의 양단부 측의 반송력과 레지스트 롤러의 중심 부분 측의 반송력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지스트 롤러의 양단부 측을 지나지 않는 폭이 작은 용지의 급지시에도 용지가 흐트러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급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의 레지스트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 1의 레지스트 롤러의 단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용지의 선단 위치에 따른 레지스트 롤러의 반송력의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가압 부재와 스프링을 제거한 상태로 레지스트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가압 부재가 하우징 홀더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는 급지 롤러에 의해 드럼 측으로 급지되는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는 장치로서, 구동 롤러(10), 종동 롤러(20), 구동 롤러(10)와 종동 롤러(20)를 결합시키는 스프링(30) 및 구동 롤러(10)를 종동 롤러(20)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40)를 포함한다.
구동 롤러(10)는 구동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롤러로서, 용지 이송 기능을 수행해야 하므로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종동 롤러(20)는 구동 롤러(10)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구동 롤러(10)의 회전에 의해 구동 롤러(10)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이 종동 롤러(2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롤러(10)와 종동 롤러(20)는 함께 레지스트 롤러를 구성한다.
스프링(30)은 구동 롤러(10)와 종동 롤러(20)의 양단부 측에 각각 설치되고, 구동 롤러(10)와 종동 롤러(20)가 서로 가압되도록 구동 롤러(10)와 종동 롤러(20)를 결합시킨다.
가압 부재(40)는 구동 롤러(10)의 중심(구동 롤러(10)의 양단부 사이의 중간 지점) 부분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구동 롤러(10)를 종동 롤러(20) 방향으로 가압하여, 레지스트 롤러의 중심 부분의 약한 반송력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압 부재(40)는 구동 롤러(10)의 중심 부분에 접촉하는 부싱(41) 및 부싱(41)을 구동 롤러(10) 측으로 가압하여 구동 롤러(10)가 종동 롤러(20) 측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부싱(41)의 일단은 구동 롤러(10)의 중심 부분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부싱(41)의 타단은 구동 롤러(10)의 후방 측에 위치한 하우징 홀더(50)에 고정된다. 이 하우징 홀더(50)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측면에 구비된 도어(미도시)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부재이다. 탄성 부재는 부싱(41)과 하우징 홀더(50) 사이에 설치되고, 부싱(41)이 구동 롤러(10) 측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의 양단부의 반송력과 레지스트 롤러의 중간 지점의 반송력의 차이가 감소하여 레지스트 롤러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거의 비슷한 반송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레지스트 롤러의 양단부를 지나지 않는 폭이 작은 용지의 급지 시에도 용지의 선단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롤러(10)는 중심 부분, 즉 부싱(41)이 가압하는 부분이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두께로 절개된 환형 절개부(11)를 구비한다. 그리고, 부싱(41)은 일단이 환형 절개부에 결합되는 반환형부(41a)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동 롤러(10)의 환형 절개부(11)와 부싱(41)의 반환형부(41a)에 의해, 부싱(41)은 구동 롤러(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구동 롤러(10)와 종동 롤러(20)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는 부싱(41)과 간섭하지 않는다.
한편, 레지스트 롤러의 구동 시에 구동 롤러(10)와 부싱(41)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구동 롤러(10)의 환형 절개부(11)와 부싱(41)의 반환형부(41a)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싱(41)과 하우징 홀더(50)는 서로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싱(41)은 하우징 홀더(50)의 결합 홈(51)에 끼워져 고정되는 단턱(41b)을 구비하고, 하우징 홀더(50)의 결합 홈(51)은 부싱(41)의 단턱(41b)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싱(41)과 하우징 홀더(50)는 후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도어가 개방되어 하우징 홀더(50)가 도어와 함께 이동하더라도 부싱(41)은 하우징 홀더(5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부싱(41)은 그 타단에 하우징 홀더(50) 측으로 연장된 샤프트(41c)를 구비한다. 그리고 탄성 부재는 부싱(41)의 샤프트(41c)의 외측에 끼워져서 부싱(41)과 하우징 홀더(50)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는 하우징 홀더(50)와 부싱(41) 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는 구동 롤러(10)의 중심 부분을 종동 롤러(2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레지스트 롤러의 양단부 측의 반송력과 레지스트 롤러의 중심 부분 측의 반송력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지스트 롤러의 양단부 측을 지나지 않는 폭이 작은 용지의 급지시에도 용지가 흐트러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급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급지 롤러에 의해 드럼 측으로 급지되는 용지의 선단을 정렬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로서,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 롤러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종동 롤러;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가 서로 가압되도록 상기 구동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를 결합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구동 롤러의 중심 부분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 롤러를 상기 종동 롤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일단이 상기 구동 롤러의 중심 부분을 둘러싸고, 타단이 상기 구동 롤러의 후방 측에 위치한 하우징 홀더에 고정되는 부싱; 및
    상기 부싱과 상기 하우징 홀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부싱을 상기 구동 롤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롤러는 중심 부분이 반경방향을 따라 절개된 환형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싱은 일단이 상기 환형 절개부에 결합되는 반환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하우징 홀더의 결합 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단턱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홀더의 결합 홈은 상기 단턱이 걸림 고정되는 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타단에 상기 하우징 홀더 측으로 연장된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상기 부싱과 상기 하우징 홀더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60055138A 2016-05-04 2016-05-04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 KR10180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38A KR101805594B1 (ko) 2016-05-04 2016-05-04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38A KR101805594B1 (ko) 2016-05-04 2016-05-04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478A KR20170125478A (ko) 2017-11-15
KR101805594B1 true KR101805594B1 (ko) 2017-12-07

Family

ID=6038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138A KR101805594B1 (ko) 2016-05-04 2016-05-04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5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323B1 (ko) * 2005-09-29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JP2010228901A (ja) * 2009-03-30 2010-10-14 Oki Data Corp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323B1 (ko) * 2005-09-29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JP2010228901A (ja) * 2009-03-30 2010-10-14 Oki Data Corp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478A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577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61293A (ja) 画像処理装置、シート搬送装置
JP5479439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137559A (ja) 給紙装置
JP2001019216A (ja) 用紙搬送装置
EP2546062A1 (en) Printer capable of preventing paper jam
JP632338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シート搬送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WO2012137871A1 (ja) シート搬送装置
KR101805594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선단 정렬 장치
US9708142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US20080309001A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124412B1 (en) Sheet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ation device
US20150266683A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68021B2 (ja) 自動原稿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20169456A1 (en) Medium conveying apparatus including guide mechanism swingably supported about two axes
JP3536522B2 (ja) ロール紙給送装置
JP2006315828A (ja) シート分離搬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搬送装置
JP2002179276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の給紙機構
US7703770B2 (en) Sheet discharge device
JP5545330B2 (ja) 画像処理装置、シート搬送装置
JP2000095393A (ja) 給紙装置
US11981526B2 (en)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JP5764685B2 (ja) 画像形成装置
JP528416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JP2006347730A (ja) 用紙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