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975B1 -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975B1
KR101804975B1 KR1020160101083A KR20160101083A KR101804975B1 KR 101804975 B1 KR101804975 B1 KR 101804975B1 KR 1020160101083 A KR1020160101083 A KR 1020160101083A KR 20160101083 A KR20160101083 A KR 20160101083A KR 101804975 B1 KR101804975 B1 KR 101804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olishing
recovery
grinding mach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규
배강
김화민
손선영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미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주테크 filed Critical (주)미주테크
Priority to KR102016010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1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 B24B5/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entreless means for supporting, guiding, floating or rotating work for grinding cylindrical surfaces, e.g. on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0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ize and required size of the workpiece acted upon, the measuring or gauging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 B24B49/03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size and required size of the workpiece acted upon, the measuring or gauging being continuous or intermittent according to the final size of the previously ground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5Accessories
    • B24B5/355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1/00Arrangements for automatic control of a series of individual steps in grinding a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삭기의 일측에 마련되고, 연마할 다수의 연마봉을 적재하고, 적재된 연마봉 중의 하나를 연삭기로 공급하는 공급부; 연삭기의 타측에 마련되고, 연삭을 마친 연마봉을 회수하여 적재하거나 순환이송시키는 회수부; 회수부 및 공급부의 전방에 마련되고, 회수부 쪽으로 회수된 연마봉을 다시 공급부 쪽으로 이송하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공급부에 적재된 연마봉을 연삭기로 자동 공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연삭기에서 배출되는 연마봉을 회수부 및 순환부를 통해 다시 공급부로 공급하여 순환 연마 가공함으로써 수회 연마 가공이 필요한 연마봉에 대한 연마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작업인력과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 BALL-STUD INSPECTION APPARATUS }
본 발명은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연삭기로 연삭 가공된 연마봉을 다시 연삭기로 공급하여 2회 이상 반복 연삭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공압제품은 자동차, 우주항공, 기계 그리고 선박 등과 같은 기계 관련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연마봉은 유공압제품의 실린더 작동로드나 샤프트로 사용되는 것으로, 연삭기를 통해 외주면이 정밀하게 연삭 가공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연마봉은 1회 연삭 가공만으로 정확한 외경 치수를 맞출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때는 연삭 가공을 마친 연마봉을 다시 연삭기로 공급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연마봉을 수차례에 걸쳐 연삭 가공할 때에 연삭 가공된 다수의 연마봉을 모아서 다시 적재대에 적재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고,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환봉소재 자동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환봉소재 자동공급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환봉이 적재되는 적재 매거진; 적재 매거진으로부터 환봉을 낱개로 이송시키는 피더; 피더에 의해 낱개로 이송된 환봉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 서포트; 및 가이드 서포트 위에 지지된 환봉을 공작기계로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센터리스 연마기의 연마봉 자동로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센터리스 연마기의 연마봉 자동로딩장치는 센터리스 연마기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 상단부에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장착되어 상부면에 미가공된 연마봉이 적재되는 취부대; 취부대 일측면에 일측면 하단부가 장착된 상승 가이드; 상승 가이드 상단부에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일측 끝단부가 장착되며, 타측 끝단부에는 걸림 턱이 돌출 형성된 경사대; 취부대 일측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프레임 일측면에 장착되어 취부대의 상부면에 적재된 연마봉을 밀어 올려 상승 가이드를 따라 상승시켜 연마봉을 경사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마봉 상승부;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경사대로 이동된 연마봉을 센터리스 연마기에 옮겨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연마봉 이동부;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1733호 (2009년 08월 04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2068호 (2006년 07월 13일 등록)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환봉소재 자동공급장치는 환봉을 1회만 공작기계에 공급할 뿐이고, 공작기계에서 필요한 가공을 모두 실시하기 때문에 가공을 마친 환봉을 다시 공작기계로 공급하지 못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센터리스 연마기의 연마봉 자동로딩장치는 센터리스 연마기에 연마봉을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속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대폭 경감시킴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지만 센터리스 연마기로 연삭 가공된 연마봉을 다시 센터리스 연마기로 순환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1회 연삭 가공을 마친 연마봉을 다시 연삭기로 순환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연삭 가공의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연삭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연삭기에서 배출된 연마봉을 연삭기로 순환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는 연삭기의 일측에 마련되고, 연마할 다수의 연마봉을 적재하고, 적재된 연마봉 중의 하나를 연삭기로 공급하는 공급부; 연삭기의 타측에 마련되고, 연삭을 마친 연마봉을 회수하여 적재하거나 순환이송시키는 회수부; 회수부 및 공급부의 전방에 마련되고, 회수부 쪽으로 회수된 연마봉을 다시 공급부 쪽으로 이송하는 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는 연삭기의 타측에 마련되고, 연삭을 마친 연마봉의 직경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는 공급부가 연삭기의 공급측 전방에 마련되고, 연마할 다수의 연마봉이 적재되는 적재대; 적재대의 후방에 설치되고, 공급체인을 회전 구동하는 공급모터; 공급모터에 접속되고, 적재대에 적재된 연마봉을 공급지지롤러 쪽으로 공급하는 공급체인; 공급체인의 후방에 설치되고, 공급체인에서 낙하하는 연마봉을 착지가이드 쪽으로 유도하는 공급가이드; 공급가이드의 후방에 설치되고, 공급가이드로 유도된 연마봉을 공급지지롤러에 착지시키는 착지가이드;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착지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착지실린더; 연삭기의 공급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연삭기로 공급되는 연마봉을 지지하는 공급지지롤러; 적재대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고, 공급지지롤러에 착지된 연마봉의 일측부위를 밀어서 연마봉의 타측부위가 연삭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이송리니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는 공급모터의 구동축에 다수의 구동롤러가 마련되고, 구동축의 상부에 마련되는 종동롤러 지지축에 복수의 종동롤러가 마련되고, 공급체인은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급체인에 적재대에 적재된 연마봉을 밀어올려 공급지지롤러 쪽으로 떨어뜨리는 한 쌍의 공급브라켓트가 대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는 공급가이드가 공급모터 종동롤러 지지축의 후방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착지가이드가 공급가이드의 후방에 설치되는 착지회전축의 후방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착지실린더의 작동플런저가 접속링크를 통해 착지회전축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는 이송리니어가 리니어본체의 하부에 푸쉬봉이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는 회수부가 연삭기의 배출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연삭기로부터 배출되는 연마봉를 지지하는 회수지지롤러; 연삭기의 배출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연삭을 마친 연마봉을 회수위치로 이송하는 이송휠모터; 연삭기의 배출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연삭을 마친 연마봉을 회수대 쪽으로 유도하는 회수가이드; 고정프레임에 설치되고, 회수가이드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는 회수실린더; 연삭기의 배출측 전방에 마련되고, 연마를 마친 연마봉을 적재하거나 순환부로 이송하는 회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는 회수부가 회수대의 내부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회수대의 후방부위로부터 전방부위로 이동하는 연마봉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는 회수가이드의 전방부위가 프레임에 지지되는 회수회전축에 고정 설치되고, 회수실린더의 작동플런저가 접속링크를 통해 회수회전축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는 측정부가 연삭기의 배출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지지프레임; 수직지지프레임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순환부가 회수부의 전방에 마련되고, 회수부의 전방으로 이송되는 연마봉을 제2이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이어; 공급부의 전방에 마련되고, 제1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연마봉(P)을 적재위치까지 이송하는 제2이송컨베이어; 제2이송컨베이어의 내부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제2이송컨베이어의 적재위치로 이송된 연마봉을 공급부로 밀어주는 적재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에 의하면, 공급부에 적재된 연마봉을 연삭기로 자동 공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연삭기에서 배출되는 연마봉을 회수부 및 순환부를 통해 다시 공급부로 공급하여 순환 연마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에 의하면, 수회 연마 가공이 필요한 연마봉에 대한 연마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작업인력과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연마봉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에 의하면,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를 제작할 수 있게 되고, 고장의 우려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연마봉을 순환가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요부 우측면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공급부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요부 좌측면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회수부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측정부의 요부 정면도,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순환부의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100)는 공급부(110), 회수부(120), 측정부(130), 순환부(140)를 포함한다.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요부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공급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공급부(110)는 연마할 다수의 연마봉(P)을 적재하고, 적재된 연마봉(P) 중의 하나를 연삭기(200)로 공급하는 부분이다.
공급부(110)는 적재대(111), 공급모터(112), 공급체인(113), 공급가이드(114), 착지가이드(115), 착지실린더(116), 공급지지롤러(117), 이송리니어(118)를 포함한다.
적재대(111)는 연마할 다수의 연마봉(P)이 적재되는 것으로, 연삭기(200)의 공급측 전방에 마련된다.
적재대(111)는 상단 착지면의 전방부위가 높고 후방부위가 낮은 형태이며, 그에 따라 적재대(111)의 전방부위에 올려지는 연마봉(P)은 자연스럽게 적재대(111)의 후방부위 쪽으로 이동된다.
공급모터(112)는 공급체인(113)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적재대(111)의 후방에 설치된다.
공급모터(112)의 구동축(112b)에는 다수의 구동롤러(112a)가 마련되고, 구동축(112b)의 상부에 마련되는 종동롤러 지지축(112c)에는 복수의 종동롤러(112d)가 마련된다.
공급체인(113)은 적재대(111)에 적재된 연마봉(P)을 공급지지롤러(117) 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롤러(112a)와 종동롤러(112d)의 사이에 설치된다.
공급체인(113)에는 적재대(111)에 적재된 연마봉(P)을 밀어올려 공급지지롤러(117) 쪽으로 떨어뜨리는 한 쌍의 공급브라켓트(113a)가 대향 설치된다.
공급가이드(114)는 공급체인(113)에서 낙하하는 연마봉(P)을 착지가이드(115) 쪽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공급모터 종동롤러 지지축(112c)의 후방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공급가이드(114)는 전방부위가 높고 후방부위가 낮은 형태로, 전방부위에 올려진 연마봉(P)을 자연스럽게 후방에 설치된 착지가이드(115)로 유도한다.
착지가이드(115)는 공급지지롤러(117) 쪽으로 굴러내리는 연마봉(P)을 안전하게 공급지지롤러(117)에 착지시키는 것으로, 공급가이드(114)의 후방에 설치되는 착지회전축(114a)의 후방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착지가이드(115)의 상단 후방에는 연마봉 받침턱이 마련된다.
착지실린더(116)는 착지가이드(115)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고정프레임(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착지실린더(116)의 작동플런저(116a)는 접속링크(116b)를 통해 착지회전축(114a)에 접속된다.
공급지지롤러(117)는 연삭기(200)로 공급되는 연마봉(P)을 지지하는 것으로, 연삭기(200)의 공급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이송리니어(118)는 공급지지롤러(117)에 착지된 연마봉(P)의 일측부위를 밀어서 연마봉(P)의 타측부위가 연삭기(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적재대(111)의 후방 일측에 설치된다.
이송리니어(118)는 리니어본체(118a)의 하부에 푸쉬봉(118b)이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된 형태이다.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요부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회수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회수부(120)는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을 회수하여 적재하거나 순환이송시키는 부분이다.
회수부(120)는 회수지지롤러(121), 이송휠모터(122), 회수가이드(123), 회수실린더(124), 회수대(125), 스톱퍼(126)를 포함한다.
회수지지롤러(121)는 연삭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연마봉(P)를 지지하는 것으로, 연삭기(200)의 배출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이송휠모터(122)는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을 회수위치로 이송하는 것으로, 연삭기(200)의 배출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이송휠모터(122)는 구동축에 이송휠(122a)이 설치된 형태이고, 프레임에 지지되는 승강실린더(122b)의 플런저 상단에 설치되어 승강 가능하게 된다.
회수가이드(123)는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을 회수대(125) 쪽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연삭기(200)의 배출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회수가이드(123)의 상단 후방에는 연마봉 받침턱(123b)이 마련된다.
각 회수가이드(123)의 전방부위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회수회전축(123a)에 고정 설치된다.
회수실린더(124)는 회수가이드(12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고정프레임(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회수실린더(124)의 작동플런저(124a)는 접속링크(124b)를 통해 회수회전축(123a)에 접속된다.
회수대(125)는 연마를 마친 연마봉(P)을 적재하거나 순환부(140)로 이송하는 부분으로, 연삭기(200)의 배출측 전방에 마련된다.
회수대(125)는 상단 착지면의 후방부위가 높고 전방부위가 낮은 형태이며, 그에 따라 회수대(125)의 후방부위에 올려지는 연마봉(P)은 자연스럽게 회수대(125)의 전방부위쪽으로 이동된다.
스톱퍼(126)는 회수대(125)의 후방부위로부터 전방부위로 이동하는 연마봉(P)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회수대(125)의 내부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스톱퍼(126)는 작동실린더(126a)의 플런저에 완충부재(126b)가 설치된 형태이다.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측정부의 요부 정면도이다.
측정부(130)는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의 직경을 측정하는 부분이다.
측정부(130)는 수직지지프레임(131), 지지플레이트(132), 한 쌍의 측정센서(133)를 포함한다.
수직지지프레임(131)은 연삭기(200)의 배출측에 고정 설치된다.
지지플레이트(132)는 수직지지프레임(131)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 쌍의 측정센서(133)는 지지플레이트(132)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대향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측정부(130)는 연마봉(P)의 회수위치에서 연마봉(P)이 간격이 벌어진 한 쌍의 측정센서(133)의 사이로 진입하면. 엑츄에이터에 의해 양 측정센서(133)의 사이가 좁혀지면서 양 측정센서(133)가 연마봉(P)의 외주 상, 하단면에 접촉되어 연마봉(P)의 직경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연마봉(P)의 직경값은 제어부로 전송된다.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의 순환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순환부(140)는 회수부(120) 쪽으로 회수된 연마봉(P)을 다시 공급부(110) 쪽으로 이송하는 부분이다.
순환부(140)는 제1이송컨베이어(141), 제2이송컨베이어(142), 적재실린더(143)를 포함한다.
제1이송컨베이어(141)는 회수대(125)의 전방으로 이송되는 연마봉(P)을 제2이송컨베이어(142)로 이송하는 것으로, 회수대(125)의 전방에 마련된다.
제2이송컨베이어(142)는 제1이송컨베이어(141)로부터 이송되는 연마봉(P)을 적재위치까지 이송하는 것으로, 적재대(111)의 전방에 마련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41) 및 제2이송컨베이어(142)는 각각 구동모터와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기술 구성은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적재실린더(143)는 제2이송컨베이어(142)의 적재위치로 이송된 연마봉(P)을 적재대(111)로 밀어주는 것으로, 제2이송컨베이어(142)의 내부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적재실린더(143)는 플런저(143a)의 선단에 푸싱부재(143b)가 마련된 형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마봉 순환가공장치(100)는 적재대(111)에 적재된 연마봉(P)을 연삭기(200)에 자동 공급하여 연삭 가공한 후 연삭된 연마봉(P)을 회수하여 다시 연삭기(200)로 순환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부(110)의 적재대(111)에는 연삭 가공할 다수의 연마봉(P)이 적재된다.
공급부(110)의 공급모터(112)가 작동하게 되면 공급체인(113)에 마련된 공급브라켓트(113a)가 적재대(111)에 적재된 연마봉(P) 중에서 최후방의 연마봉(P)을 종동롤러(112d) 쪽으로 상승시킨다.
상기의 공급준비상태에서 공급모터(112)가 다시 작동하게 되면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공급체인(1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종동롤러(112d) 쪽의 공급브라켓트(113a)에 지지된 연마봉(P)이 공급체인(113)에서 벗어나 공급가이드(114) 및 착지가이드(115) 쪽으로 굴러떨어지게 되고, 착지가이드(115) 후방의 연마봉 받침단턱에 걸려 지지된다.
이때 구동롤러(112a) 쪽의 공급브라켓트(113a)는 새로운 연마봉(P)을 종동롤러(112d)의 대기위치로 끌어올리게 된다.
상기 공급모터(112)의 작동은 공급체인(113)이 1/2 회전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다음에 착지실린더(116)가 수축작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착지가이드(115)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연마봉(P)이 공급지지롤러(117)에 착지된다.
다음에 이송리니어(118)이 작동되고, 푸쉬봉(118b)이 연마봉(P)을 연삭기(200) 쪽으로 밀게 된다.
연삭기(200)로 공급된 연마봉(P)은 연삭기(200)를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통과하면서 연삭 가공된다.
이송리니어(118)의 푸쉬봉(118b)은 연마봉(P)을 연삭기(200) 쪽으로 민 다음에 원위치로 복귀된다.
연마봉(P)의 우측부분이 연삭기(200)로 진입한 후에는 착지실린더(116)가 신장작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착지가이드(11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연삭기(200)에서 연삭 가공된 연마봉(P)은 공급측 반대의 배출측으로 배출되며, 이때 연마봉(P)는 회수지지롤러(121)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상태로 이송된다.
연마봉(P)이 연삭기(200)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면 회수부(120)의 이송휠모터(122)가 작동되는 되는 동시에 승강실린더(122b)가 상승 작동되어 이송휠모터(122)가 상승되고, 그에 따라 이송휠(112a)에 접촉되는 연마봉(P)이 회수위치로 이동된다.
연마봉(P)이 회수위치로 이동되면 이송휠모터(122)의 작동이 정지되고, 승강실린더(122b)가 하강 작동된다.
상기 연마봉(P)의 회수위치에서는 측정부(130)의 양 측정센서(133)의 사이에 연마봉(P)이 위치하게 되며, 이때 액츄에이터에 의해 양 측정센서(133)의 사이가 좁혀지면서 양 측정센서(133)가 연마봉(P)의 외주 상, 하단면에 접촉되어 연마봉(P)의 직경이 측정되고, 측정된 연마봉(P)의 직경값은 제어부로 전송된다.
연마봉(P)의 직경 측정이 완료되면 액츄에이터에 의해 양 측정센서(133)의 사이가 다시 벌어지게 된다.
다음에 스톱퍼(126)가 상승 작동되어 완충부재(126b)가 회수대(125)의 상단면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된다.
다음에 회수실린더(124)가 신장 작동되어 회수가이드(123)를 그의 후방부위가 상승되도록 회전시킨다.
상기에서 회수실린더(123)의 후방부위가 상승하게 되면 회수가이드(123)가 연마봉(P)을 회수지지롤러(121)의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연마봉(P)은 회수가이드(123)를 따라 회수대(125) 쪽으로 굴러내려가게 된다.
이때 회수대(125)로 이송되는 연마봉(P)은 스톱퍼(126)의 완충부재(126b)에 걸려 정지된다.
다음에 회수실린더(124)가 수축 작동되어 회수가이드(123)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스톱퍼(126)가 하강 작동되어 완충부재(126)가 회수대(125)의 상단면 위치로 복귀된다.
스톱퍼(126)가 하강 작동되면 연마봉(P)은 회수대(125)의 나머지 부분을 지나서 순환부(140)의 제1컨베이어(141)의 컨베이어벨트에 놓여지게 된다.
다음에 순환부(140)의 제1컨베이어(141)가 작동되면 연마봉(P)은 공급부(110)의 전방에 마련된 제2컨베이어(142) 쪽으로 이동되고, 제1컨베이어(141)의 작동이 정지된 후에 제2컨베이어(142)가 작동되면 연마봉(P)이 제2컨베이어(142) 내부의 적재위치로 이동된다.
연마봉(P)이 적재위치로 이동되면 제2컨베이어(142)의 작동이 정지되고, 적재실린더(143)가 신장 작동되어 연마봉(P)이 공급부(110)의 적재대(111)로 이동된다.
공급부(110)의 적재대(111)로 이동된 연마봉(P)은 다시 연삭기(200)로 공급되어 순환 연삭 가공되며, 회수부(120)의 회수대(125)에 별도의 적재봉(미도시)를 설치하게 되면 연마봉(P)을 더이상 순환시키지 않고 회수대(125)에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110 : 공급부
120 : 회수부
130 : 측정부
140 : 순환부

Claims (11)

  1. 연삭기(200)의 일측에 마련되고, 연마할 다수의 연마봉(P)을 적재하고, 적재된 연마봉(P) 중의 하나를 연삭기(200)로 공급하는 공급부(110);
    연삭기(200)의 타측에 마련되고,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을 회수하여 적재하거나 순환이송시키는 회수부(120);
    회수부(120) 및 공급부(110)의 전방에 마련되고, 회수부(120) 쪽으로 회수된 연마봉(P)을 다시 공급부(110) 쪽으로 이송하는 순환부(140);를 포함하고,
    연삭기(200)의 타측에 마련되고,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의 직경을 측정하는 측정부(130);를 더 포함하되;
    공급부(110)는,
    연삭기(200)의 공급측 전방에 마련되고, 연마할 다수의 연마봉(P)이 적재되는 적재대(111);
    적재대(111)의 후방에 설치되고, 공급체인(113)을 회전 구동하는 공급모터(112);
    공급모터(112)에 접속되고, 적재대(111)에 적재된 연마봉(P)을 공급지지롤러(117) 쪽으로 공급하는 공급체인(113);
    공급체인(113)의 후방에 설치되고, 공급체인(113)에서 낙하하는 연마봉(P)을 착지가이드(115) 쪽으로 유도하는 공급가이드(114);
    공급가이드(114)의 후방에 설치되고, 공급가이드(114)로 유도된 연마봉(P)을 공급지지롤러(117)에 착지시키는 착지가이드(115);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착지가이드(115)를 승강시키는 착지실린더(116);
    연삭기(200)의 공급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연삭기(200)로 공급되는 연마봉(P)을 지지하는 공급지지롤러(117);
    적재대(111)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고, 공급지지롤러(117)에 착지된 연마봉(P)의 일측부위를 밀어서 연마봉(P)의 타측부위가 연삭기(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이송리니어(118);를 포함하며,
    공급모터(112)의 구동축(112b)에 다수의 구동롤러(112a)가 마련되고, 구동축(112b)의 상부에 마련되는 종동롤러 지지축(112c)에 복수의 종동롤러(112d)가 마련되고,
    공급체인(113)은 구동롤러(112a)와 종동롤러(112d)의 사이에 설치되고,
    공급체인(113)에 적재대(111)에 적재된 연마봉(P)을 밀어올려 공급지지롤러(117) 쪽으로 떨어뜨리는 한 쌍의 공급브라켓트(113a)가 대향 설치되며,
    공급가이드(114)는 공급모터 종동롤러 지지축(112c)의 후방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착지가이드(115)는 공급가이드(114)의 후방에 설치되는 착지회전축(114a)의 후방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착지실린더(116)의 작동플런저(116a)는 접속링크(116b)를 통해 착지회전축(114a)에 접속되되;
    이송리니어(118)는 리니어본체(118a)의 하부에 푸쉬봉(118b)이 좌우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수부(120)는
    연삭기(200)의 배출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연삭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연마봉(P)를 지지하는 회수지지롤러(121);
    연삭기(200)의 배출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을 회수위치로 이송하는 이송휠모터(122);
    연삭기(200)의 배출측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연삭을 마친 연마봉(P)을 회수대(125) 쪽으로 유도하는 회수가이드(123);
    고정프레임에 설치되고, 회수가이드(12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는 회수실린더(124);
    연삭기(200)의 배출측 전방에 마련되고, 연마를 마친 연마봉(P)을 적재하거나 순환부(140)로 이송하는 회수대(125);를 포함하며,
    회수부(120)는
    회수대(125)의 내부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회수대(125)의 후방부위로부터 전방부위로 이동하는 연마봉(P)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126);를 더 포함하고,
    회수가이드(123)의 전방부위는 프레임에 지지되는 회수회전축(123a)에 고정 설치되고,
    회수실린더(124)의 작동플런저(124a)는 접속링크(124b)를 통해 회수회전축(123a)에 접속되며,
    측정부(130)는
    연삭기(200)의 배출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지지프레임(131);
    수직지지프레임(131)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32);
    지지플레이트(132)의 상부와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대향 설치되는 한 쌍의 측정센서(133);를 포함하며,
    순환부(140)는
    회수부(120)의 전방에 마련되고, 회수부(120)의 전방으로 이송되는 연마봉(P)을 제2이송컨베이어(142)로 이송하는 제1이송컨베이어(141);
    공급부(110)의 전방에 마련되고, 제1이송컨베이어(141)로부터 이송되는 연마봉(P)을 적재위치까지 이송하는 제2이송컨베이어(142);
    제2이송컨베이어(142)의 내부에 다수개가 좌우방향으로 배열 설치되고, 제2이송컨베이어(142)의 적재위치로 이송된 연마봉(P)을 공급부(110)로 밀어주는 적재실린더(143);를 포함하되;
    적재대(111)는 상단 착지면의 전방부위가 높고 후방부위가 낮은 형태이고,
    공급가이드(114)는 전방부위가 높고 후방부위가 낮은 형태이며,
    회수대(125)는 상단 착지면의 후방부위가 높고 전방부위가 낮은 형태이고,
    이송휠모터(122)는 구동축에 이송휠(122a)이 설치된 형태이고, 프레임에 지지되는 승강실린더(122b)의 플런저 상단에 설치되며,
    회수가이드(123)의 상단 후방에는 연마봉 받침턱(123b)이 마련되고,
    스톱퍼(126)는 작동실린더(126a)의 플런저에 완충부재(126b)가 설치된 형태이며,
    적재실린더(143)는 플런저(143a)의 선단에 푸싱부재(143b)가 마련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01083A 2016-08-09 2016-08-09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KR101804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83A KR101804975B1 (ko) 2016-08-09 2016-08-09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083A KR101804975B1 (ko) 2016-08-09 2016-08-09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975B1 true KR101804975B1 (ko) 2017-12-06

Family

ID=6092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083A KR101804975B1 (ko) 2016-08-09 2016-08-09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61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최강산업 폐 침목 표면 연마 장치
KR20210116850A (ko) * 2020-03-18 2021-09-28 이기정 블랭킹 가공소재 버 제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36B1 (ko) * 2007-04-27 2008-04-21 한국오에스지 주식회사 환봉의 외경 연삭을 위한 무인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36B1 (ko) * 2007-04-27 2008-04-21 한국오에스지 주식회사 환봉의 외경 연삭을 위한 무인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61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최강산업 폐 침목 표면 연마 장치
KR102201958B1 (ko) * 2019-05-31 2021-01-12 주식회사 최강산업 폐 침목 표면 연마 장치
KR20210116850A (ko) * 2020-03-18 2021-09-28 이기정 블랭킹 가공소재 버 제거장치
KR102322979B1 (ko) * 2020-03-18 2021-11-05 이기정 블랭킹 가공소재 버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729B1 (ko) 제조라인의 트레이 자동 공급과 회수 방법 및 그 장치
CN100479986C (zh) 生产设备
CN102729100B (zh) 双主轴机床及装载和卸载方法
CN109562431B (zh) 用于机器的装载和卸载装置、用于加工板状工件的机器、用于这种机器的工件支撑件及装载和卸载这种机器的方法
KR101804975B1 (ko) 연마봉 순환가공장치
CN109941693A (zh) 一种托辊管自动送料下料装置及其工作方法
CN218023571U (zh) 电机转轴自动化加工传送装置
KR101291070B1 (ko) 전조기의 피가공물 자동 로딩언로딩 장치
KR101560380B1 (ko) 공작기계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CN109248965A (zh) 一种三轴冲压送料机械手
CN103286663A (zh) 自动磨床
KR101293651B1 (ko)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
KR20080026521A (ko) 가공 라인
CN216763409U (zh) 一种自动连续上料机构
CN216784825U (zh) 一种自动排料上料系统
CN108381370B (zh) 一种多功能抛光装置及抛光方法
KR101915600B1 (ko) 단조성형기의 원재료 공급장치
CN210150166U (zh) 自动进料装置及自动化磨床
EP1475204A1 (en) Machine for processing wood panels or similar
CN106914790B (zh) 加工定位装置、加工机床及加工方法
JP3911441B2 (ja) ワーク受渡し装置
CN217296262U (zh) 一种整排放料机构
TWM510911U (zh) 電子料件多流道載料設備
CN216763360U (zh) 一种排料传输定位机构
KR102422694B1 (ko) 단관용 정렬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