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730B1 -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730B1
KR101804730B1 KR1020170056186A KR20170056186A KR101804730B1 KR 101804730 B1 KR101804730 B1 KR 101804730B1 KR 1020170056186 A KR1020170056186 A KR 1020170056186A KR 20170056186 A KR20170056186 A KR 20170056186A KR 101804730 B1 KR101804730 B1 KR 101804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virus
vehicle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림아그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림아그로텍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림아그로텍
Priority to KR102017005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축사 출입구에서 차량 방역을 실시하여 차량에 의한 가축 전염병의 확산을 초기에 차단할 수 있고 터널 등에 설치하여 터널 내 화재 진압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축사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에 설치되며 중앙의 방역관리서버와의 통신으로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수신하여 시스템 전체를 기동시키며 관리자 조작 또는 차량 감지 또는 화재 감지에 따라 펌프 기동과 정지, 오존수 생성기의 기동과 정지, 압축기의 기동과 정지, 및 다수의 밸브와 노즐의 개폐를 제어하여 축사 출입 또는 터널 통과 차량의 방역 작업을 실시하면서 시스템의 각 부분에 대한 작동상태 확인정보를 지역정보와 함께 방역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 각 로컬 차량 방역장치와의 통신으로 작동상태 확인정보와 지역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국가적인 방역시스템과의 통신으로 방역 필요 지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지역의 로컬 차량방역장치에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전송하는 중앙의 방역관리서버, 및 방역관리서버와의 통신으로 각 로컬 차량 방역장치의 작동상태 확인정보와 지역정보를 관리자들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표출하는 유/무선 단말기를 포함하여, 차량에 의한 가축 전염병의 확산을 초기에 차단할 수 있고 터널 내 화재시 소화에 사용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The remote disinfection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국가적인 방역관리본부에서 방역시스템이 가동되거나 또는 가동되기 이전에 가축 전염병이 인식되었을 경우 중앙의 서버에서 전송되는 원격 방역 기동신호에 의해 인접 지역의 터널 또는 축사 등의 출입 차량에 대하여 자동 방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 전염병의 확산을 초기에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터널 등에 설치된 경우 터널 내 화재 소화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널 내 화재시 상층부와 하층부 간의 온도차를 발생시켜 화재에 의한 연기를 상부로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난자로 하여금 피난시간을 벌 수 있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원격 차량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류독감이나 구제역 등의 질병은 전염성이 강한 가축 전염병으로 국제수역사무국(Office Internation desEpizooties: OIE)에서 A급으로 분류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가축 전염병은 한번 발생하면 대부분의 경우 차량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급속히 확산되기 때문에 전염병 발생지역의 출입을 신속하게 통제하고 있으며, 특히 발생지역을 출입하는 도로에는 차량 전용 방역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에 대한 방역을 철저하게 실시함으로써 전염병이 다른 지역으로 퍼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5181호(2014.11.19 등록 이하 '특허문헌1'라 약칭함)에는, 무인방역장치의 상황 데이터를 수집하여 위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경보음 발생 또는 SNS로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최적의 방역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무인방역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의하면, 무인방역장치에서 발생하는 각종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가공 처리하여 최적의 방역작업을 구현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21385호(2015.10.29 공개; 이하 '특허문헌2'라 약칭함)에는, 계사, 돈사 및 우사 등의 축사에 출입하는 차량 번호를 기록 및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축사에서 전염성 질병에 대한 감염 발생이 예상되거나 발생하는 경우 해당 축사에 출입한 차량에 대하여 타 축사로의 출입을 금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질병의 전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인식 가축방역체계 구축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 의하면,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를 활용하여 축사를 출입하는 차량을 기록 관리함으로써 해당 축사에 전염성 질병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축사를 통과한 차량들을 추적함으로써 질병의 발생 경로를 추적할 수 있고 또한 질병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는 경로를 미리 확인하고 예방하는데에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도로나 농장입구 등에 설치되는 종래의 차량 전용 방역장치는 차량의 상부나 양측면에서 소독 약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설치되기 때문에, 노즐에서 분사되는 소독 약액이 차량에 제대로 도달되지 못하고 바람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분사되어 흩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소독 약액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관리자가 파이프와 노즐을 풍향 및 풍속에 따라서 직접 관리하고 제어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차량 방역장치는 각종 방역상황, 방역장치의 가동 및 비가동 상태, 약품이나 물 등의 유/무를 관리자나 농가에서 직접 확인하지 않으면 방역에 차질이 생겨 방역 공백상태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따라서 관리자나 농가 등에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경비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터널 등에 설치된 종래의 차량 방역장치의 경우 노즐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게 되면, 화재 발생시 고열에 의하여 연기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노즐에서 분사되는 약액과 연기가 혼합되면서 피난자들을 연기에 의한 피난 경로로부터 방해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인명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KR 10-1465181 B1 2014.11.19. 등록 KR 10-2015-0121385 A 2015.10.2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앙의 서버에서 전송되는 원격 방역 기동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인접 지역의 터널 또는 축사 등에 출입하는 차량에 대하여 자동으로 조기 방역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의한 가축 전염병의 확산을 초기에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터널 등에 설치하여 터널 내 화재 진압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터널 내 화재시 상층부와 하층부 간의 온도차를 발생시켜 화재에 의한 연기를 상부로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난자로 하여금 피난시간을 벌 수 있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원격 차량 방역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방역이 필요한 지역의 축사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에 설치되며 중앙의 방역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의해 시스템 전체를 기동시키며 관리자 조작 또는 차량 감지 또는 화재 감지에 따라 펌프 기동과 정지, 오존수 생성기의 기동과 정지, 압축기의 기동과 정지, 및 다수의 밸브와 노즐의 개폐를 제어하여 해당 축사를 출입하거나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의 방역 작업을 실시하면서 시스템의 각 부분에 대한 작동상태 확인정보를 지역정보와 함께 방역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 각 로컬 차량 방역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작동상태 확인정보와 지역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국가적인 방역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방역 필요 지역의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지역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지역의 로컬 차량방역장치에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전송하는 중앙의 방역관리서버, 및 방역관리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 로컬 차량 방역장치의 작동상태 확인정보와 지역정보를 관리자들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표출하는 유/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 차량 방역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가적인 방역관리본부에서 방역시스템이 가동되거나 또는 가동되기 이전에 가축 전염병이 인식되었을 경우 원격제어를 통해 인접 지역의 터널 또는 축사 등에 출입하는 차량에 대하여 자동 방역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 전염병의 확산을 초기에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터널 등에 설치된 경우 터널 내 화재 진압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널 내 화재시 상층부와 하층부 간의 온도차를 발생시켜 화재에 의한 연기를 상부로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난자로 하여금 피난시간을 벌 수 있도록 하여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후에 압축기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탱크와 배관 및 노즐 내부의 잔류 약제 등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되므로, 설비의 관리 및 유지를 편리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로컬 제어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노즐 설치 예를 확대하여 예시한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은, 다수 개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 국가적 방역시스템(300)에 연결되는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 및 유/무선 단말기(2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다수 개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는 방역이 필요한 지역의 축사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에 각각 설치되며,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의해 시스템 전체를 기동시키며, 로컬 제어반(110)과 다수의 센서 등을 구비하여 관리자 조작 또는 차량 감지 또는 화재 감지에 따라 펌프 기동과 정지, 오존수 생성기의 기동과 정지, 압축기의 기동과 정지, 및 다수의 밸브와 노즐의 개폐를 제어하여 해당 축사를 출입하거나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의 방역 작업을 실시하면서 시스템의 각 부분에 대한 작동상태 확인정보를 각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가 위치하는 지역정보와 함께 방역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는 각각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의 작동상태 확인정보를 각각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가 위치하는 지역정보와 함께 수집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국가적인 방역관리본부에서 운영하는 방역시스템(3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방역시스템이 가동되거나 또는 가동되기 이전에 가축 전염병이 인식되었을 경우, 국가적인 방역시스템(300)으로부터 방역을 필요로 하는 지역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지역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지역의 로컬 차량방역장치에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전송한다.
유/무선 단말기(210)는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와 유/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방역관리서버(200)에서 관리되는 각각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의 작동상태 확인정보와 지역정보를 관리자들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표출한다.
도 2는 도 1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로컬 제어반의 상세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2의 노즐 설치 예를 확대하여 예시한 상세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각각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로컬제어반(110), 저수조(120), 펌프(130), 혼합기(140), 오존수 생성기(150), 제1약제탱크(160a), 제2약제탱크(160b), 제3약제탱크(160c), 압축기(170), 다수 개의 밸브(V1-Vn, MOV1-MOV3, SV1-SV3, CV1-CV11, RV), 및 다수 개의 노즐(180a-180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호스릴(190)을 더 포함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는 로컬 방역을 필요로 하는 각 지역의 축사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에 각각 설치되며,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와의 통신으로 원격 구동되거나 관리자에 의한 키조작으로 수동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컬제어반(110)은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무선 수신하거나 키입력부(114)를 통해 입력되는 관리자의 키조작에 따라 시스템 전체를 기동시키며, 관리자 조작 또는 차량 감지 또는 화재 감지에 따라 펌프 기동과 정지, 오존수 생성기의 기동과 정지, 압축기의 기동과 정지, 및 다수의 밸브와 노즐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면서 시스템 각 부분에 대한 작동상태 확인정보를 자신의 지역정보와 함께 방역관리서버(200)로 무선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로컬제어반(110)은 무선 통신에 의한 원격 제어, 또는 관리자에 의한 수동 조작이 용이하도록 축사의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의 일측에 설치되며, 원격 통신부(111), 차량 감지부(112), 화재 감지부(113), 키입력부(114), 제어부(115), 밸브 구동부(116), 경보 출력부(117), 및 전원 공급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원격 통신부(111)는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방역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15)로 전달하며, 로컬 차량 방역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지역정보와 함께 방역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차량 감지부(112)는 축사의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에 설치되며, 차량의 진입여부를 감지하여 차량 진입 감지신호(S2)를 제어부(115)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 감지부(112)는 차량 무게 인식부(112a)와 차량 번호 인식부(112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 감지부(112)가 차량 무게 인식부(112a)로 구성되는 경우 차량 진입 감지신호(S2)는 차량무게 인식신호(S21)가 될 수 있고, 차량 감지부(112)가 차량 번호 인식부(112b)로 구성되는 경우 차량 진입 감지신호(S2)는 차량번호 인식신호(S22)가 될 수 있으며, 차량 감지부(112)가 차량 무게 인식부(112a)와 차량 번호 인식부(112b)로 구성되는 경우 차량 진입 감지신호(S2)는 차량무게 인식신호(S21)와 차량번호 인식신호(S22)의 논리합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 무게 인식부(112a)는 압력 센서로 구성되어 축사의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의 진입로 바닥면에 설치되며, 차량 무게에 의한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차량의 진입여부를 인식하고 차량무게 인식신호(S21)를 제어부(115)로 전달한다.
차량 번호 인식부(112b)는 카메라와 영상처리부로 구성되어 축사의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의 진입로 상부에 설치되며, 차량의 영상을 촬영 및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차량번호 인식신호(S22)를 제어부(115)로 전달한다.
화재 감지부(113)는 축사 또는 터널 내부에 다수 개소에 설치되어 축사 또는 터널 내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제어부(115)로 전달한다.
키입력부(114)는 관리자에 의한 자동 또는 수동 기능 선택 및 로컬 제어반(110)에 의한 로컬 차량 방역장치의 전체적인 동작 조작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15)로 전달한다.
제어부(115)는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원격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키입력부(114)를 통해 입력되는 관리자의 키조작에 따라 터널 입구 또는 축사 출입구에 설치된 로컬 차량 방역장치를 전체적으로 가동시키며, 키입력부(114)를 통한 관리자의 키조작이나 차량 감지부(112) 또는 화재 감지부(113)의 출력에 따라 펌프의 기동/정지, 오존수 생성기의 기동/정지, 압축기의 기동/정지, 각 밸브와 노즐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펌프 제어신호, 오존수 생성기 제어신호, 압축기 제어신호, 다수의 밸브 제어신호, 및 노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밸브 구동부(116)는 각 밸브(V1-Vn, MOV1-MOV3, SV1-SV3)에 연결되고 제어부(115)에 의해 제어되어, 제어부(115)의 밸브제어신호에 의해 각각의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경보 출력부(117)는 제어부(115)에 의해 제어되어 차량 방역 또는 화재시 피난 안내를 위한 경보음이나 빛을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18)는 비상 발전기를 포함하며, 시스템의 각 부분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저수조(120)는 수동 급수 또는 자동 급수를 위한 수동 개폐밸브(121a)와 자동 개폐밸브(121b)로 구성되는 급수밸브(121), 수위 감지 및 조절을 위한 수위센서(122)와 볼탭(123), 오버플로우관(124)에 연결되는 드레인밸브(DV1), 및 배수를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급수밸브(121)에 급수전이 연결되면 수동 개폐밸브(121a)와 자동 개폐밸브(121b)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탱크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지고, 탱크 내 저수위와 만수위를 수위센서(122)와 볼탭(123)으로 각각 감지하고 급수밸브(121)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거나 오버플로우관(124) 및 드레인밸브(DV1)를 통해 만수위 이상의 초과 급수된 물을 자동 배출하며, 탱크 내 저장된 물은 배출구를 통해 펌프(130) 및 오존수 생성기(15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펌프(130)는 로컬제어반(110)에 의해 기동 또는 정지되며, 저수조(120)와 혼합기(140) 사이에 연결되어 저수조(120)의 배출수를 혼합기(140) 측으로 가압하여 펌핑한다.
혼합기(140)는 1차측에 제3모터구동밸브(MOV3)와 제2모터구동밸브(MOV2)를 거친 압축기(170)의 압축공기와 펌프의 펌핑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약제탱크(160a)가 연결되고 수동 급수 또는 자동 급수를 위한 수동 개폐밸브(SV1a)와 자동 개폐밸브(SV1b)로 구성되는 선택밸브(SV1)가 2차측에 연결되어, 압축기의 압축공기와 펌프(130)에서 가압 및 펌핑되는 물과 제1약제탱크(160a)에서 공급되는 분말 또는 액상 약제를 벤츄리 작용을 통해 혼합하여 제1선택밸브(SV1)를 통해 집합배관(181)으로 공급한다.
오존수 생성기(150)는 로컬제어반(110)에 의해 기동 또는 정지되며, 저수조(120)와 제2약제탱크(160b) 사이에 연결되어 저수조(120)의 배출수로 오존수를 생성하여 제2약제탱크(160b)로 공급하고 오존수 생성 후 남은 잔여물을 릴리프 밸브(RV)를 통해 저수조(120)로 피드백시킨다. 이러한 오존수 생성기(150)는 플라즈마 오존발생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오존과 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2약제탱크(160b)로 공급한다.
제1약제탱크(160a)는 일정 농도 이상의 분말 또는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되며, 1차측에 압축기(170)의 압축공기가 제3모터구동밸브(MOV3) 내지 제1모터구동밸브(MOV1)를 거쳐 탱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펌프(130)의 펌핑수가 제1모터구동밸브(MOV1)를 통해 탱크 내부로 공급되어 압축공기와 펌핑수의 공급을 통해 탱크 내 분말 또는 액상 약제를 혼합기(140)로 공급한다.
제2약제탱크(160b)는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되며, 압축기(170)의 압축공기가 제3모터구동밸브(MOV3)를 통해 탱크 내부로 공급되고 오존수 생성기(150)의 오존수가 탱크 내부로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수동 급수 또는 자동 급수를 위한 수동 개폐밸브(SV2a)와 자동 개폐밸브(SV2b)로 구성되는 제2선택밸브(SV2)가 2차측에 연결되어, 압축기(170)의 압축공기에 의해 액상 약제와 오존수를 혼합하여 제2선택밸브(SV2)를 통해 집합배관(181)으로 공급한다.
제3약제탱크(160c)는 일정 농도 이하의 분말 또는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되며, 압축기(170)의 압축공기가 밸브(V5)를 통해 탱크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1차측에 연결되고 수동 급수 또는 자동 급수를 위한 수동 개폐밸브(SV3a)와 자동 개폐밸브(SV3b)로 구성되는 제3선택밸브(SV3)가 2차측에 연결되어, 1차측에 투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탱크 내 분말 또는 액상 약제를 제3선택밸브(SV3)를 통해 집합배관(181)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각각의 약제탱크(160a-160c)에는 드레인밸브(DV2-DV4)가 하부에 각각 연결되어 탱크 내 불필요한 약제 또는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축기(170)는 로컬제어반(110)에 의해 기동 또는 정지되며, 각 약제탱크(160a-160c)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배관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압축기(170)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각각의 약제탱크(160a-160c)와 노즐(180a-180n)의 각 입력단에 직접 연결하여, 탱크와 노즐의 청소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 가능하며, 이류체 노즐을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구성요소 사이에서 유체(예를 들면 물, 약제, 또는 압축공기 등)를 공급하는 각각의 연결배관에는 유체의 흐름 단속을 위한 개폐밸브(V1-Vn)와, 유체 공급을 일방향으로만 통과시키는 체크밸브(CV1-CVn)가 각각 연결되어, 배관 내 유체의 흐름 단속 및 역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 개의 노즐(180a-180n)은 축사 또는 터널 내 집합배관(181)에 연결되어 축사 또는 터널의 저면 또는 측면에 설치되되 터널 또는 축사 내 상층부와 하층부 간의 온도차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차량의 하부 또는 측면에서 약제 분사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컬제어반(110) 또는 관리자의 키조작에 따라 자동 개폐되어 각 선택밸브(SV1-SV3)를 통해 공급되는 약제를 방제구역 내 차량으로 방출한다. 여기서 집합배관(181)은 외부에서 물과 약제를 직접 공급하기 위한 송수구(182)가 일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송수구(182)를 통해 공급되는 약제의 유량과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및 유량계(183)가 더 부착되어, 유량 및 압력 측정값인 센서신호(S1)를 이용하여 송수구를 통한 약제의 공급 및 작동상태를 제어부(115)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노즐(180a-180n)은 노즐로부터 1m 직하의 평면에 도달한 물방울의 99%가 1000㎛ 미만인 크기의 물방울 입자를 만드는 미분무 노즐로 구성하여,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방울의 큰 표면적과 빠른 기화속도에 의해 축사 또는 터널 내부의 하층부를 급속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분무 노즐로 구성되는 경우 분사되는 물방울 입자의 크기가 1/10 작아질수록 물방울의 표면적은 10배, 기화속도는 100배 증가하게 되므로, 각각의 미분무 노즐에서 분사되는 작은 물방울 입자는 증가된 질량 유속과 기화속도로 기상 냉각, 가연물의 표면 적심, 및 복사열 차단 등에 의해 축사 또는 터널 내 주변공기의 온도를 빠르게 냉각(cooling 효과)시킬 수 있게 되며, 수증기 증발에 의해 산소농도를 저하시켜 질식(Smothering by Steam)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축사 또는 터널 내 화재 발생시 급속 냉각 및 질식 작용 등의 복합 작용으로 신속한 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호스릴(190)은 터널 내 각 방제구역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관리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개폐되어 각 선택밸브(SV1-SV3)를 통해 공급되는 약제를 방제구역 내 차량으로 직접 방출하도록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각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에서 각각의 약제탱크(160a-160c)에는 관리자가 필요로 하는 사용 용도에 따라 차량 방역을 위해 필요한 방역용 약제를 투입하여 저장하거나, 소화를 위해 필요한 소화용 약제를 투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먼저, 차량 방역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제1약제탱크(160a)는 일정 농도 이상의 방역용 분말 또는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제2약제탱크(160b)는 방역용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될 수 있고, 제3약제탱크(160c)에는 일정 농도 이하의 방역용 분말 또는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화재 소화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제1약제탱크(160a)는 일정 농도 이상의 소화용 분말 또는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될 수 있으며, 제2약제탱크(160b)는 소화용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될 수 있고, 제3약제탱크(160c)에는 일정 농도 이하의 소화용 분말 또는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로컬제어반(110)의 전원 공급부(118)에서 제어부(115)와 펌프(130)와 오존수 생성기(150)와 압축기(170) 등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저수조(120)의 급수밸브(121)에 급수전이 연결되면, 저수조(120) 내부에서는 탱크 내 저수위를 수위센서(122)가 감지하고 급수밸브(121)의 자동 개폐밸브(121b)를 개방(수동 급수인 경우 수동 개폐밸브(121a)를 수동 개방)하여, 탱크 내부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급수 도중에, 저수조(120) 내부에서는 탱크 내 만수위를 볼탭(123)으로 감지하고, 만수위가 감지되면 급수밸브(121)를 폐쇄하여 일정량의 물이 탱크 내에 저장될 수 있게 하며, 만수위 이상의 초과 급수된 물은 오버플로우관(124) 및 드레인밸브(DV1)를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 방역용 약제 또는 소화용 약제의 투입 및 저수가 이루어지고 나서, 국가적인 방역관리본부에서 방역시스템이 가동되거나 또는 가동되기 이전에 가축 전염병이 인식되어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에서 원격 방역 기동신호가 원격 통신부(111)를 통해 무선 수신되거나, 키입력부(114)를 통해 관리자의 키조작이 있게 되면,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의 로컬제어반(110)은 원격 방역 기동신호 또는 관리자의 키조작에 따라 시스템 전체를 기동시켜 축사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에서의 차량 방역 준비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로컬 제어반(110)은 키입력부(114)를 통한 관리자의 키조작 또는 차량 감지부(112)의 차량 감지신호, 또는 화재 감지부(113)의 화재 감지신호의 입력 여부를 제어부(115)에서 확인하여, 밸브 구동부(116)를 통해 다수의 밸브(V1-Vn, MOV1-MOV3, SV1-SV3)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면서 펌프(130)의 기동과 정지, 오존수 생성기(150)의 기동과 정지, 압축기(170)의 기동과 정지, 및 다수의 노즐(180a-180n)의 개폐를 제어하고, 아울러 시스템 각 부분에 대한 작동상태 확인정보를 지역정보와 함께 방역관리서버(200)로 무선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즉, 원격 통신부(111)를 통해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로부터 원격 방역 기동신호가 수신되거나, 차량 무게 인식부(112a)에 의한 압력 변화를 통해 차량의 진입여부가 감지되거나, 차량 번호 인식부(112b)에 의한 영상 촬영 및 분석을 통해 차량의 진입여부가 감지되거나, 화재 감지부(113)에 의한 화재 감지신호가 제어부(115)로 전달되면, 로컬제어반(110)은 제어부(115)를 통해 펌프 제어신호, 오존수 생성기 제어신호, 압축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펌프(130)와 오존수 생성기(150) 및 압축기(170)를 기동시키고, 다수의 밸브 제어신호와 노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밸브(V1-Vn, MOV1-MOV3, SV1-SV3)와 노즐(160a-160c)의 개폐를 제어하여 로컬 차량 방역장치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경보 출력부(117)를 통해 가축 전염병 방역 안내, 또는 화재시 피난 안내를 위한 경보음이나 빛을 출력하고, 아울러 로컬 차량 방역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지역정보와 함께 원격 통신부(111)를 통해 방역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로컬제어반(110)의 제어부(115)에 의해 펌프(130)와 오존수 생성기(150)가 기동되면, 펌프(130)는 저수조(120)와 혼합기(140) 사이에서 저수조(120)의 배출수를 혼합기(140) 측으로 가압하여 펌핑하게 되고, 아울러 오존수 생성기(150)는 저수조(120)와 제2약제탱크(160b) 사이에서 저수조(120)의 배출수로 오존수를 생성하여 제2약제탱크(160b)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제2약제탱크(160b)에서 오존수와 액상 약제가 혼합될 수 있게 하면서 오존수 생성 후 남은 잔여물은 릴리프 밸브(RV)를 통해 저수조(120)로 피드백시키게 된다.
아울러 로컬제어반(110)의 제어부(115)에 의해 압축기(170)가 기동되고, 밸브(V5)가 개방되면 제3약제탱크(160c)에 압축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되며, 밸브(V5)와 제3모터구동밸브(MOV3)가 개방되면 제2약제탱크(160b)와 제3약제탱크(160c)에 압축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되고, 밸브(V5)와 제2모터구동밸브(MOV2) 및 제3모터구동밸브(MOV3)가 개방되면 제2약제탱크(160b)와 제3약제탱크(160c) 및 혼합기(140)에 압축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되며, 밸브(V5)와 제1모터구동밸브(MOV1) 내지 제3모터구동밸브(MOV3)가 모두 개방되면 제1약제탱크(160a) 내지 제3약제탱크(160c) 및 혼합기(140)에 압축공기가 모두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약제탱크(160a)에서는 밸브(V5)와 제1모터구동밸브(MOV1) 내지 제3모터구동밸브(MOV3)가 모두 개방되면 압축기(170)의 압축공기가 밸브(V5)와 제3모터구동밸브(MOV3) 내지 제1모터구동밸브(MOV1)를 차례로 거쳐 탱크 내부로 유입되고 펌프(130)의 펌핑수가 제1모터구동밸브(MOV1)를 통해 탱크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되므로 압축 공기와 펌핑수에 의해 탱크 내 분말 또는 액상 약제를 혼합기(140)로 공급하게 되고, 혼합기(140)에서는 제3모터구동밸브(MOV3)와 제2모터구동밸브(MOV2)를 거쳐 유입되는 압축기(170)의 압축공기에 의해 펌프(130)에서 가압 및 펌핑되는 펌핑수 및 제1약제탱크(160a)에서 공급되는 분말 또는 액상 약제를 벤츄리 작용을 통해 혼합하여 제1선택밸브(SV1)를 통해 집합배관(181)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2약제탱크(160b)에서는 밸브(V5)와 제3모터구동밸브(MOV3)가 개방되면 압축기(170)의 압축공기가 제3모터구동밸브(MOV3)를 통해 탱크 내부로 공급되므로 압축공기에 의해 액상 약제와 오존수를 혼합하여 제2선택밸브(SV2)를 통해 집합배관(181)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제3약제탱크(160c)에서는 밸브(V5)가 개방되면 압축기(170)의 압축공기가 탱크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되므로 압축공기에 의해 탱크 내 분말 또는 액상 약제를 제3선택밸브(SV3)를 통해 집합배관(181)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집합배관(181)의 일측에는 송수구(182)가 연결되고 약제의 유량과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및 유량계(183)가 부착되어 외부에서 집합배관으로 물과 약제를 직접 공급하면서 송수구(182)를 통한 약제의 공급 및 작동상태를 측정하여 제어부(115)에 전달할 수도 있게 된다.
이후 다수 개의 노즐(180a-180n)에서는 축사 또는 터널 내 집합배관(181)에 공급되는 약제를 로컬제어반(110) 또는 관리자의 키조작에 따라 자동 개폐되어 각 선택밸브(SV1-SV3)를 통해 축사 또는 터널의 저면 또는 측면에서 방제구역 내 차량의 하부 또는 측면으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각의 노즐이 미분무 노즐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미분무 노즐에서 분사되는 작은 물방울 입자는 증가된 질량 유속과 기화속도로 기상 냉각, 가연물의 표면 적심, 및 복사열 차단 등에 의해 축사 또는 터널 내 주변공기의 온도를 빠르게 냉각(cooling 효과)시킬 수 있게 되어, 터널 또는 축사 내 상층부와 하층부 간의 온도차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수증기 증발에 의해 산소농도를 저하시켜 질식(Smothering by Steam)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축사 또는 터널 내 화재 발생시 급속 냉각 및 질식 작용 등의 복합 작용으로 신속한 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관리자가 터널 내 각 방제구역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호스릴(190)을 수동 조작하게 되는 경우, 각 선택밸브(SV1-SV3)를 통해 공급되는 약제 또는 송수구(182)를 통해 외부에서 집합배관으로 직접 공급되는 물과 약제를 방제구역 내 차량으로 직접 방출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압축기(170)가 별도의 배관을 통해 각각의 약제탱크(160a-160c)와 노즐(180a-180n)의 각 입력단에 직접 연결된 경우에는, 압축기(170)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각각의 약제탱크(160a-160c)와 노즐(180a-180c)에 직접 공급하여, 탱크와 노즐 및 배관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a-100n : 로컬 차량 방역장치 110 : 로컬제어반
111 : 원격 통신부 112 : 차량 감지부
112a : 차량무게 인식부 112b : 차량번호 인식부
113 : 화재 감지부 114 : 키입력부
115 : 제어부 116 : 밸브 구동부
117 : 경보 출력부 118 : 전원 공급부
120 : 저수조 121 : 급수밸브
122 : 수위센서 123 : 볼탭
124 : 오버플로우관 130 : 펌프
140 : 혼합기 150 : 오존수 생성기
160a-160c : 약제탱크 170 : 압축기
180a-180n : 노즐 181 : 집합배관
182 : 송수구 183 : 압력 및 유량계
190 : 호스릴 200 : 방역관리서버
210 : 유/무선 단말기 300 : 국가방역시스템
400 : 유/무선 통신네트워크 MOV1ㅡMOV3 : 모터구동밸브
DV1-DV4 : 드레인밸브 SV1-SV3 : 선택밸브
RV : 릴리프 밸브 V1-Vn : 밸브
CV1-CVn : 체크밸브

Claims (10)

  1. 삭제
  2. 방역이 필요한 지역의 축사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에 설치되며,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의해 시스템 전체를 기동시키며 관리자 조작 또는 차량 감지 또는 화재 감지에 따라 펌프 기동과 정지, 오존수 생성기의 기동과 정지, 압축기의 기동과 정지, 및 다수의 밸브와 노즐의 개폐를 제어하여 해당 축사를 출입하거나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의 방역 작업을 실시하면서 시스템의 각 부분에 대한 작동상태 확인정보를 지역정보와 함께 방역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
    상기 각각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의 작동상태 확인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지역정보와 함께 저장 및 관리하고, 국가적인 방역관리본부에서 운영하는 방역시스템(300)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국가적인 방역시스템(300)으로부터 방역을 필요로 하는 지역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지역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지역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에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전송하는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 및
    상기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와 유/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방역관리서버(200)에서 관리되는 각각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의 작동상태 확인정보와 지역정보를 관리자들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표출하는 유/무선 단말기(210);를 포함하는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로컬 차량 방역장치(100a-100n)는,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와의 통신으로 방역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의해 시스템 전체를 기동시키며, 관리자 조작 또는 차량 감지에 따라 펌프 기동과 정지, 오존수 생성기의 기동과 정지, 압축기의 기동과 정지, 및 다수의 밸브와 노즐의 개폐를 제어하면서 시스템의 각 부분에 대한 작동상태 확인정보를 지역정보와 함께 방역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로컬제어반(110);
    급수를 위한 급수밸브(121), 수위 감지 및 조절을 위한 수위센서(122)와 볼탭(123), 오버플로우관(124)에 연결되는 드레인밸브(DV1), 및 배수를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여, 탱크 내 저수위와 만수위를 수위센서(122)와 볼탭(123)으로 각각 감지하고 급수밸브(121)를 개폐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거나 오버플로우관(124) 및 드레인밸브(DV1)를 통해 만수위 이상의 초과 급수된 물을 자동 배출하며 배출구를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저수조(120);
    로컬 제어반(110)에 의해 기동 또는 정지되며, 저수조(120)와 혼합기(140) 사이에 연결되어 저수조(120)의 배출수를 혼합기(140) 측으로 가압 및 펌핑하는 펌프(130);
    1차측에 펌프(130)의 펌핑수와 제1약제탱크(160a)의 약제 및 압축기(170)의 압축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연결되고 선택밸브(SV1)가 2차측에 연결되어 압축공기와 펌핑수 및 제1약제탱크(160a)의 분말 또는 액상 약제를 벤츄리 작용을 통해 혼합하여 제1선택밸브(SV1)를 통해 집합배관(181)으로 공급하는 혼합기(140);
    로컬제어반(110)에 의해 기동 또는 정지되는 플라즈마 오존발생기로 구성되며 저수조(120)와 제2약제탱크(160b) 사이에 연결되어 저수조(120)의 배출수로 오존과 물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플라즈마 오존수를 생성하여 제2약제탱크(160b)로 공급하고 오존수 생성 후 남은 잔여물은 릴리프 밸브(RV)를 통해 저수조(120)로 피드백시키는 오존수 생성기(150);
    일정 농도 이상의 분말 또는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되며, 1차측에 압축기(170)의 압축공기가 제1모터구동밸브(MOV1) 내지 제3모터구동밸브(MOV3)를 통해 탱크 내부로 공급되고 펌프의 펌핑수가 제1모터구동밸브(MOV1)를 통해 탱크 내부로 공급되어 압축공기와 펌핑수의 공급을 통해 탱크 내 분말 또는 액상 약제를 혼합기(140)로 공급하는 제1약제탱크(160a);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되며, 1차측에 압축기(170)의 압축공기가 제3모터구동밸브(MOV3)를 통해 탱크 내부로 공급되고 오존수 생성기(150)의 오존수가 탱크 내부로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제2선택밸브(SV2)가 2차측에 연결되어, 압축기(170)의 압축공기에 의해 액상 약제와 오존수를 혼합하여 제2선택밸브(SV2)를 통해 집합배관(181)으로 공급하는 제2약제탱크(160b);
    일정 농도 이하의 분말 또는 액상 약제가 투입 및 저장되며, 압축기(170)의 압축공기가 밸브(V5)를 통해 탱크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1차측에 연결되고 제3선택밸브(SV3)가 2차측에 연결되어, 1차측에 투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탱크 내 분말 또는 액상 약제를 제3선택밸브(SV3)를 통해 집합배관(181)으로 공급하는 제3약제탱크(160c);
    로컬제어반(110)에 의해 기동 또는 정지되며, 각각의 제1 내지 제3 약제탱크(160a-160c) 및 혼합기(14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배관으로 연결되는 압축기(170);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1m 직하의 평면에 도달한 물방울 입자의 99%를 1000㎛ 미만인 크기로 만들어 물의 기화에 의해 축사 또는 터널 내부의 하층부를 급속 냉각시키는 미분무 노즐로 구성되어, 터널 또는 축사 내 상층부와 하층부 간의 온도차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축사 또는 터널의 저면 또는 측면 하층부에 설치되되 축사 또는 터널 내 차량의 하부 또는 측면에 약제 분사가 가능하게 설치되며, 축사 또는 터널 내 집합배관(181)에 연결되어 로컬제어반(110) 또는 관리자의 키조작에 따라 자동 개폐되어 각 선택밸브(SV1-SV3)를 통해 공급되는 약제를 방제구역 내 차량으로 방출하는 다수 개의 노즐(180a-180n); 및
    터널 내 각 방제구역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며, 관리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개폐되어 각 선택밸브(SV1-SV3)를 통해 공급되는 약제를 방제구역 내 차량으로 직접 방출하는 호스릴(19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반(110)은,
    중앙의 방역관리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방역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15)로 전달하며, 축사의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에 설치된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지역정보와 함께 방역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원격 통신부(111);
    축사의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차량 무게에 의한 압력 변화로 차량의 진입여부를 인식하는 차량 무게 인식부(112a)와, 축사의 출입구 또는 터널 입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영상을 촬영 및 분석하고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112b)를 포함하여, 차량의 진입여부 및 인식된 차량번호를 제어부(115)로 전달하는 차량 감지부(112);
    축사 또는 터널 내부에 다수 개소에 설치되어 축사 또는 터널 내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제어부(115)로 전달하는 화재 감지부(113);
    관리자에 의한 자동 또는 수동 기능 선택 및 동작 조작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15)로 전달하는 키입력부(114);
    국가적인 방역시스템 가동시 방역관리서버(200)에서 전송되는 원격 방역 기동신호를 상기 원격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하여 터널입구 또는 축사 출입구에 설치된 시스템 전체를 기동시키며, 키입력부(114)를 통한 관리자의 키조작이나 차량 감지부(112)의 출력, 또는 화재 감지부(113)의 출력에 따라 펌프의 기동/정지, 오존수 생성기의 기동/정지, 압축기의 기동/정지, 각 밸브와 노즐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펌프 제어신호, 오존수 생성기 제어신호, 압축기 제어신호, 다수의 밸브 제어신호, 및 노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5);
    각 밸브에 연결되어 제어부(115)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각의 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 구동부(116);
    가축 전염병 방역 안내, 또는 화재시 피난 안내를 위한 경보를 경보음이나 빛으로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117); 및
    비상 발전기를 포함하며, 시스템의 각 부분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축기(170)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각각의 약제탱크(160a-160c)와 혼합기(140)와 노즐(180a-180n)의 각 입력단에 직접 연결되어, 각 탱크와 혼합기와 노즐의 청소 및 이류체노즐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배관(181)은,
    외부에서 물과 약제를 직접 공급하기 위한 송수구(182)가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송수구(182)를 통해 공급되는 약제의 유량과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및 유량계(183)가 부착되어, 송수구를 통한 약제의 공급 및 작동상태를 제어부(115)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
KR1020170056186A 2017-05-02 2017-05-02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 KR101804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86A KR101804730B1 (ko) 2017-05-02 2017-05-02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86A KR101804730B1 (ko) 2017-05-02 2017-05-02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730B1 true KR101804730B1 (ko) 2017-12-04

Family

ID=6092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186A KR101804730B1 (ko) 2017-05-02 2017-05-02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7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259B1 (ko) * 2019-06-12 2020-03-23 장희정 안개분무 시스템
CN112473055A (zh) * 2020-11-04 2021-03-12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车辆的消杀防疫系统、方法和无人驾驶车辆
KR20220045522A (ko) * 2020-10-05 2022-04-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분사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방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09080A (ko) 2021-01-28 2022-08-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림아그로텍 방역 차량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259B1 (ko) * 2019-06-12 2020-03-23 장희정 안개분무 시스템
KR20220045522A (ko) * 2020-10-05 2022-04-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분사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방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6278B1 (ko) * 2020-10-05 2022-06-0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존분사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방역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473055A (zh) * 2020-11-04 2021-03-12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车辆的消杀防疫系统、方法和无人驾驶车辆
KR20220109080A (ko) 2021-01-28 2022-08-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림아그로텍 방역 차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730B1 (ko) 원격 차량 방역시스템
KR101204008B1 (ko)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
KR101563655B1 (ko) 다기능 화재감지기
WO2007061711A2 (e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10220108B2 (en) Decontamination system for on-board a vehicle
KR102215883B1 (ko) 게이트형 살균 장치
DE60209297T3 (de) System und Verfahren zur Brandunterdrückung für den Innenraum eines Flugzeugs - Feuerschutz für Ablaufmassebehälter
KR101707593B1 (ko) 거점식 연무 방제 설비
KR101573763B1 (ko) 거점식 연무 방제 시스템
US20150258233A1 (en) Decontamination system for a building or enclosure
KR101681515B1 (ko) 소화설비를 구비한 건물 내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08959B1 (ko) 소규모급수시설의 통합관리시스템
US6588286B1 (en) NoFoam system for testing a foam delivery system on a vehicle
JP2008093191A (ja) 消火設備
KR101280071B1 (ko) 터널의 화재 방재 시스템
DE202006021007U1 (de) Feuerlöschanlage für ein Gehäuse
JP6140261B2 (ja) 泡消火設備
JP6580463B2 (ja) 泡消火設備
KR101482021B1 (ko) 무인 방역 시스템 및 방역 차량 이동경로 확인 방법
JP2007089855A (ja) 消火設備
US6739174B2 (en) NoFoam system for testing a FOAM delivery system on a vehicle
KR101524779B1 (ko) 금연구역 소화 시스템
KR20120121679A (ko) 차량의 방역약제 살포장치
KR101301344B1 (ko) 가스 자동소화설비의 화이어 락아웃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