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719B1 - 롱텀 에볼루션을 위한 허가된 공유 액세스 - Google Patents

롱텀 에볼루션을 위한 허가된 공유 액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719B1
KR101804719B1 KR1020167028525A KR20167028525A KR101804719B1 KR 101804719 B1 KR101804719 B1 KR 101804719B1 KR 1020167028525 A KR1020167028525 A KR 1020167028525A KR 20167028525 A KR20167028525 A KR 20167028525A KR 101804719 B1 KR101804719 B1 KR 101804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bandwidth resources
lsa
realloc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2980A (ko
Inventor
모하매드 마무누르 라쉬드
라스 바니탐비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3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제안된 3GPP LTE 프로토콜 증강은 LSA 대역 리클레임인 경우에 사용자 경험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및 최적의 리소스 재할당 및 베어러 변경을 달성하기 위해 eNB가 그 네트워크 코어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게 한다. 진화형 노드 B(eNB)에서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을 위한 방법은, 인컴벤트로부터,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 무선 대역 리소스를 획득하는 단계와, 운영자 감독 및 관리(OA&M) 엔티티로부터, 획득된 LSA 무선 대역 리소스를 양도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결정하는 최적의 대역 리소스 재할당의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와,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네트워크 코어로 통신하는 단계와, 네트워크 코어로부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되, 인스트럭션이 통신되는 제안에 기초하는 단계와, 수신된 인스트럭션에 따라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롱텀 에볼루션을 위한 허가된 공유 액세스{LICENSED SHARED ACCESS FOR LONG TERM EVOLUTION}
본 출원은 본 명세서의 전체에서 참조로서 인용되는 2014년 5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280,363호에 대해 우선권 주장을 한 것이다.
실시예는 전반적으로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LTE 네트워크에서 허가된 공유 액세스(Licensed Shared Access : LSA)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및 다른 매체와 같은 각종 타입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예를 들어, 대역폭 및 송신 전력)를 공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복수의 액세스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액세스 시스템의 예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포함한다.
현재, 3GPP LTE 표준에서는 LSA 대역 릴리스(release)로 인해 eNB 리소스 재할당을 위한 프로토콜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eNB가 베어러(bearer) 변경 제안을 그의 EPS 코어로 통신하는 시그널링 메커니즘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안된 동적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전체적인 장점을 실현하기 위해, 3GPP LTE 표준에서는 현재의 리소스 할당 프로토콜 및 베어러 관리 시그널링에 대해 증강을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반드시 축적대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상이한 관점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를 기술할 수 있다. 상이한 문자를 갖는 동일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컴포넌트의 상이한 예를 나타낼 수 있다. 도면은 일반적으로 본 문서에 기술된 각종 실시예를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도시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동적 주파수 공유를 위한 하이 레벨 블록도의 예를 도시하고,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 시스템을 도시하는 하이 레벨 도면을 도시하고,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LTE에 대해 허가된 공유 액세스를 도시하는 하이 레벨 개요의 플로우차트이고,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LTE에 대해 허가된 공유 액세스를 위한 예시적인 절차를 도시하고,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스테이션의 기능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법(예를 들어,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머신의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후술하는 설명 및 도면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그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예시적인 실시예를 충분히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는 구조, 논리, 전기, 프로세스, 및 다른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의 부분 및 특징은 다른 실시예의 부분 및 특징에 포함되거나, 그들로 대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들 특허청구범위의 모든 이용가능한 균등예를 포함한다.
"예시적인"이란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예시적인"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다른 실시예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용한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통신 스테이션", "스테이션", "휴대형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및 "사용자 장치(UE)"란 용어는 셀룰라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무선 단말, 랩탑 컴퓨터, 펨토셀, HDR(High Data Rate) 가입자국,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단말, 또는 다른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디바이스는 이동형(모바일) 또는 고정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란 용어는 고정 스테이션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노드, 기지국 또는 당 분야에서 알려진 몇몇 다른 유사한 기술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이동국, 사용자 장치(U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당 분야에서 알려진 몇몇 다른 유사한 기술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양도(relinquish)", "릴리스(release)" 및 "반환(return)"이란 용어는 그 인컴벤트(incumbent)로의 LSA 대역의 양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LTE와 같은 셀룰라 네트워크는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접속하거나 통신하게 할 수 있다. 현재의 LTE 네트워크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 HetNet) 구성으로 구성된 대형 셀 및 소형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대형 셀 및 소형 셀의 기지국(예를 들어, 강화형 Node Bs(eNodeBs))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 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 즉, 각종 타입의 통신 콘텐츠에 적합한 대역은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접속하거나 통신하게 하도록 기지국에 대해 이용가능해야 한다.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는 이용가능한 대역을 확장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3GPP LTE 시스템의 용량을 상당히 증강시킬 수 있다. LSA 대역 공유 프레임워크는 주요 무선 장치 벤더, 운영자, 조정자, 집행 바디(government bodies) 및 표준화 바디(standardization bodies)에 의해 강력하게 지원되고 긴급하게 대기를 받게 된다. 이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지 않은 채로 달리 유지되는 무선 대역의 큰 부분이 LTE 네트워크에 걸쳐 점차 증가하는 트래픽 요구에 충족하기 위해 네트워크 운영자에 대해 이용 가능해지도록, 인컴베트 대역 홀더는 2차 사용자(즉, 네트워크 운영자)의 그룹에 의해 그 허가된 대역의 사용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 통합된 공유 액세스를 허용한다.
그러나, 사용되지 않은 대역을 공유하는 장점을 실현하기 위해, LSA 리소스 관리는 차용 대역의 획득 및 양도를 제공하기 위해 LTE 시스템 설계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특히, LSA 프레임워크를 이용할 때, LTE 네트워크는 인컴벤트 대역 홀더에 의해 대역 리클레임을 효율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이용가능한 대역의 동적 속성에 적응시켜야 한다.
LTE 네트워크가 현재 사용 중인 LSA 대역을 양도(즉, 릴리스)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할 때,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로 허가되고 LSA 대역의 이용가능성에 기초하여 대역 리소스를 할당한 다수의 확립된 베어러가 존재할 수 있다. 일단 LSA 대역이 이용 불가능하게 되면, 이들 베어러의 허가된 QoS 레벨을 유지하기 위한 나머지 무선 리소스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들 사용자에 의해 그들의 할당된 LSA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요구되는 QoS 레벨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가입자의 요구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운영자는 LSA 대역이 인컴벤트에 의해 갑자기 리클레임(reclaim)될 때 이들 무선 리소스에서의 급격한 드롭에 대해 준비되어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현재의 3GPP LTE 사양에서 리소스 할당 및 베어러 관리 시그널링은 고정 대역 액세스 모델에 의해 정의되기 때문이다.
동적 대역 릴리스를 수용하는 리소스 재할당 및 베어러 변경을 관리하기 위한 어떠한 프로토콜 및 시그널링 메커니즘도 현재 3GPP LTE 표준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메커니즘 없이, LSA 대역 리클레임이 발생할 때 LTE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QoS 경험에 대한 악영향을 제어할 수 없다. 이용가능한 대역 리소스의 잠재적으로 큰 부분의 다가올 손실을 수용하기 위해, 진화형 노드 B(eNB)는 이들 확립된 베어러(즉, 현재 사용 중인 애플리케이션) 간에 리소스 재할당을 수행하고 어느 베어러의 QoS가 나머지 대역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사용자 경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변경(또는 릴리스)하는지를 판정하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eNB는 그 진화형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 EPS) 코어(즉, 네트워크 코어)로 그 제안된 리소스 변경을 통신하는 능력을 가져야 하며, 이는 또한 필요하다면, 이들 제안을 평가하고 베어러에 대해 업데이트를 개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제안된 3GPP LTE 프로토콜 증강은 LSA 대역 리클레임인 경우에 사용자 경험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리소스 재할당 및 베어러 변경을 달성하기 위해 eNB가 그 네트워크 코어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동적 LSA 주파수 공유를 위한 하이 레벨 블록도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화살표(104)에서, 추가의 LSA 대역 대역(106)으로부터 대역을 수신하거나 또는 대역을 추가의 LSA 대역 대역(106)으로 반환하는 레가시 대역(102)을 포함하는 시스템(100)의 예를 도시한다. 레가시 대역(102)은 TDD(Time Division Duplexing) 대역(108)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대역(110)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LSA 대역 대역(106)으로부터의 추가의 대역은 TDD 또는 FDD 대역일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통상의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 시스템(200)을 도시하는 하이 레벨 도면을 도시한다. 현재의 LSA 시스템에서, 인컴벤트(201a-c)는 원래의 대역 소유자이다. 예를 들어, 인컴벤트(201a-c)는 몇몇 유럽 국가에서 2.3-2,4GHz로부터 전자 뉴스 수집(Electronic News Gathering : ENG) 대역을 소유할 수 있다. LSA 레포지토리(repository)(203)는 대역 공유의 더 짧은 텀의 양태의 대역 이용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LSA 레포지토리(203)는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LSA 콘트롤러(205)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LSA 레포지토리(203) 데이터베이스 콘텐츠를 LSA 허가를 위한 대역 액세스 조건으로 변환하는 한편, 운영자 감독 및 관리(Operator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 OA&M)(207)는 네트워크 운영자의 네트워크에 대해 동작, 감독 및 관리를 제공한다. OA&M은 네트워크 운영자의 eNBs, 또는 모바일 사용자(211)를 서빙하는 기지국(209a-b)에 대해 제한된 숏텀(short term)의 추가 대역을 관리한다.
도 3은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LTE(300)에 대해 허가된 공유 액세스를 도시하는 하이 레벨 개요의 플로우차트이다. LTE 네트워크가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 대역의 임박한 릴리스와 부합해야 할 때 LTE에 대한 LSA는 확립된 베어러 간에 나머지 리소스의 유연한 재할당을 위한 강력한 프로토콜 및 시그널링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통상적인 3GPP LTE 표준은 사용자 장치(UE)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능(AF) 요청,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서비스 흐름 또는 QoS/차징 정책 변화의 허용으로 인한 정책 및 차징 규칙 기능(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 PCRF) 엔티티에서의 새로운 정책 및 차징 제어(policy and charging control : PCCF) 규칙의 고안, 정책 및 차징 강화 기능(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 : PCEF) 엔티티에서의 베어러에 관련된 몇몇 사전정의된 이벤트의 검출 및 UE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응답하여 확립된 베어러에 할당된 리소스를 변경하는 몇몇 제한된 프로토콜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들 시나리오는 어느 것도 그 이용가능한 대역의 상당한 부분을 양도할 것을 필요로 하고 비실행 능력으로 하여금 그 허용된 구성 및 QoS 파라미터로 그 확립된 베어러를 지원하게 하는 eNB에 대한 지시를 언급하지 않는다. 나머지 리소스를 재할당하고 베어러 변경을 달성하는 메커니즘 없이, LSA 대역 양도 동안 다수의 사용자의 QoS 경험에 대해 제어되지 않는 유해한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3GPP LTE 사양에 대해 제안되는 알려진 증강이 현재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개시된 메커니즘은 eNB가 나머지 대역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사용자의 QoS 경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리소스 재할당 및 요청 베어러 대역 리소스 할당 변경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운영자는 그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eNB의 수렴 영역에서 몇몇 LTE 호환가능한 LSA 대역 리소스를 기회주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eNB는 캐리어 군집화(Carrier Aggregation : CA) 기법을 채용함으로써 그 주요 LTE 대역을 보완하도록 추가의 LSA 대역 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다. 운영자의 네트워크 내의 OA&M 엔티티는 LSA 관리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하도록 담당하고, 특정의 지리적 위치에서 특정의 LSA 대역을 획득하거나 또는 양도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OA&M이 양도 지시를 수신할 때, 지시에서 특정된 지리적 영역 내의 LSA 대역을 현재 이용하는 eNB로 대응하는 양도 커캔드를 송출할 것이다. LSA 대역 리클레임인 경우에 사용자 경험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리소스 재할당 및 베어러 변경을 달성하기 위해 eNB가 그 EPS 코어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이 동작(302-312)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동작(302)에서, eNB는 인컴벤트로부터 LSA 대역을 획득하여 이용한다. eNB는 추가의 LSA 대역을 소유하여 유지되지만, 확립된 베어러에 대해 QoS 영향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는 동작(304)으로 진행한다.
동작(304)에서, eNB는 획득된 LSA 대역을 양도하기 위해 OA&M 엔티티에 의해 지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OA&M 엔티티는 서빙 셀인 eNB에 통지하고 여기서 LSA 대역이 양도되어야 한다. 제어는 동작(306)으로 진행한다.
동작(306)에서, eNB는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결정하는 최적의 대역 리소스 재할당의 분석을 수행하고, 이는 OA&M에 의해 특정된 LSA 대역이 양도된 이후에 유지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석은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분재하는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최적의 재할당은 사용자의 QoS 경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최소 수에 영향을 미치며, 베어러 하드 드롭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 eNB는 OA&M 지시에서 식별된 LSA 대역의 손실을 대비하여 이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을 실행한다. 이 알고리즘은 LSA 대역이 이용 불가능하게 된 후에 나머지 리소스를 최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현재의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s : RAB)에 대해 어떤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eNB는 몇몇 현재의 RAB가 그 현재의 레벨과 상이한 QoS 레벨에서 지원될 수 있고 및/또는 몇몇 RAB가 더 이상 지원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판정할 수 있다. 제어는 동작(308)으로 진행한다.
동작(308)에서, eNB는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그 제안된 베어러 변경을 그 네트워크 코어로 통신한다. eNB가 베어러에 대해 제안된 변경을 결정하도록 담당하는 정책 및 차징 제어 기능(PCRF)에 직접 접속되지 않으므로, eNB는 제안된 강화형 무선 액세스 베어러(Enhanced Radio Access Bearer : E-RAB) 업데이트(변경 또는 소거)의 리스트와 함께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도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 MME)로 그 제안을 통신할 수 있다. MME는 제안된 E-RAB 업데이트를 EPS 베어러 리소스 변경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변경 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 S-GW)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 P-GW)를 통해 네트워크 코어의 정책 및 차징 제어 기능(policy and charging control function : PCRF)으로 라우팅한다. PCRF는 제안된 변경을 평가하고 eNB 제안에 기초하여 베어러 업데이트 커맨드를 P-GW, S-GW 및 MME를 통해 각각 eNB로 반환하여, 필요하다면, MME가 E-RAB 변경을 프로세싱하게 한다. PCRF는 변경된 베어러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이 그에 따라 적응하게 하기 위해 임박한 QoS 영향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 AF)을 시그널링한다.
동작(310)에서, eNB는 동작(308)에서 통신되는 제안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코어 PCRF 엔티티로부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인스트럭션을 수신한다. 제어는 동작(312)으로 진행한다.
동작(312)에서, eNB는 동작(310)에서 수신된 인스트럭션에 따라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한다. 이들 메시징 절차는 다음에 도 4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4는 양도된 LSA 대역 리소스의 임박한 손실에 응답하여 리소스 재할당 및 베어러 변경/재구성을 달성하는 시그널링 및 메시징 메커니즘의 메시징 절차를 도시한다. LSA 대역 대역을 양도하기 위한 OA&M 지시는 eNB에서 나머지 무선 대역 리소스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사용자에 대한 부정적인 QoS 경험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확립된 베어러 간에 대역 리소스 재할당의 알고리즘을 실행하게 하는 트리거를 생성한다. eNB는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결정하는 최적의 대역 리소스 재할당의 분석을 수행하고 네트워크 코어가 적절한 베어러 업데이트 또는 소거 절차(들)로 평가하고 응답할 수 있도록 리소스 재할당 분석 알고리즘의 결과에 기초하여 베어러 변경 제안을 통신하도록 트리거된다. eNB가 사용 중인 LSA 대역을 릴리스하도록 지시될 때 3GPP 사양에 대한 프로토콜 및 메시지 증강은 리소스 재할당 및 베어러 변경을 달성하는 메커니즘을 상세히 기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또는 기지국)(209)는 LSA 대역을 양도하기 위한 지시를 전달하는 메시지 M1(410)을 OA&M(207)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M1(410)은 양도될 LSA 대역을 식별하는 지리적 영역 등과 같은 LSA 밴드 기술(descriptive)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및/또는 관리 프레임을 입력할 수 있다. 메시지 M1(410)은 eNB(209)에서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을 실행하게 하는 LSA 양도(즉, 릴리스) 트리거를 생성한다. 벤더 특정일 수 있는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은 LSA 대역이 이용 불가능하게 된 후에 나머지 리소스를 최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현재의 무선 액세스 베어러(Radio Access Bearers : RAB)에 대해 어떤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정한다. eNB는 몇몇 현재의 E-RAB가 그 현재의 레벨과 상이한 QoS 레벨에서 지원될 수 있고 및/또는 몇몇 E-RAB가 더 이상 지원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판정할 수 있다.
eNB는 E-RAB 변경 및/또는 소거를 위한 제안을 전달하는 이들 E-RAB와 연관된 MME(402)로 메시지 M2(412)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M2(412)는 3GPP 36.413 3GPPTS36.413V11.4.0(2013-06),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Access Network(E-UTRAN); S1 Application Protocol(S1AP)(Releasel1)"에 제안된 바와 같은 S1AP 메시지 구조, 즉, S1AP 메시지: E-RAB 리소스 변경 제안(Resource Modification Proposal)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M2(412)는 리소스 재할당 및 베어러 변경을 필요로 하는 사전정의된 트리거에 응답하여 동시에 복수의 UE(211)에 대한 E-RAB 변경을 제안하도록 eNB(209)에 의해 MME(402)로 송신된다. 메시지 M2(412) 구조는 이하에서 표 1에 정의되어 있다.
[표 1]
Figure 112016099337811-pct00001
MME(402)는 요청 레퍼런스 식별(ID)을 포함하는 ACK(414)와 응답할 수 있다. MME(402)가 요청에 기초하여 동작을 프로세싱하거나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면, 긍정응답의 원인 필드에 그것을 표시할 것이다. ACK(414)는 S1AP 메시지 구조로서 S1AP 메시지: 즉 E-RAB 리소스 변경 제안 메시지 M1(410)의 수신을 긍정응답하도록 MME(402)에 의해 eNB(209)로 송신되는 E-RAB 리소스 변경 제안 긍정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ACK(414) 메시지 구조는 이하에서 표 2에 정의되어 있다.
[표 2]
Figure 112016099337811-pct00002
MME(402)는 EPS 베어러 레벨에서 그들에 대해 제안된 E-RAB 변경의 암시를 판정하도록 E-RAB과 EPS 베어러 사이에서 1대1 매핑 정보를 사용한다. 결과에 기초하여, MME(402)는 EPS 베어러 리소스 변경 제안을 전달하는 메시지 M3(416)을 서빙 게이트웨이(S-GW)(404)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 M3(416)은 또한 S-GW(404)에 의해 적절한 P-GW/PCEF(406)로 포워딩된다. 메시지 M3(416)은 GTPv2-c 메시지 구조 (3GPP 29.274 [4]): GTPv2-c 메시지: 이하의 표 3에 정의된 메시지 베어러 리소스 변경 제안을 포함할 수 있다.
[표 3]
Figure 112016099337811-pct00003
P-GW/PCEF(406)가 베어러 리소스 변경 제안 메시지 M3(416)을 수신한 후에, 제안된 변경을 필요한 PCC 규칙 업데이트로 변환한다. P-GW/PCEF(406)는 제안이 수신되고 프로세싱되는 것을 표시하는 긍정응답 메시지 ACK(418)를, S-GW(404)를 거쳐 MME(402)로 송신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요청이 프로세싱될 수 없거나 혹은 거부되면, 그 원인은 ACK(418)의 원인 피드에 포함된다. ACK(418)는 긍정응답 GTPv2-c 메시지: 이하의 표 4에 정의된 베어러 리소스 변경 제안 긍정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표 4]
Figure 112016099337811-pct00004
ACK(418)를 송신하는 것에 추가하여, PCEF(406)는 3GPP 29.212, 3GPP TS 29.212 V12.4.0(2014-03),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and Terminals; Policy and Charging Control (PCC); Reference points(Release 12)"의 섹션 4.5.1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변환된 PCC 업데이트 요청을 전달하는 메시지 M4(420)을 Gx 인터페이스를 거쳐 PCRF(408)로 송신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PCRF(408)가 요청 메시지 M4(420)를 평가할 때 LSA 관련 정책을 조회할 수 있도록 메시지 M4는 이들 규칙 업데이트 요청과 통신되는 LSA에 특정한 신규 Event-Trigger-Avp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신규 Event-Trigger-Avp 값은 3GPP 29.212: LSA RELEASE INDICATION(46)의 섹션 5.3.7에 정의된 값의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신용 제어 요청(Credit Control Request : CCR) 커맨드에서 사용될 때, 이 Event-Trigger-Avp 값은 PCC 규칙 업데이트 요청을 생성한 이 PCEF(406)는 그 인컴벤트로의 몇몇 LSA 대역의 반환으로 인해 리소스 이용가능성 변화에 관련된 것을 표시한다.
PCRF(408)는 이들 업데이트 요청에 응답하여 PCEF(406)에 변경된 PCC 규칙을 제공한다. 대역 리소스의 손실을 반영하는 새롭게 제공된 규칙에 기초하여, PCEF(406)는 3GPP 29.274, 3GPPTS 29.274V12.1.0 (2013-06),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and Terminals; 3GPP Evolved Packet System (EPS) Evolv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Tunneling Protocol for Control plane (GTPv2-C); Stage3 (Releasel2)"의 섹션 7.2.15 및 7.2.9.2에서 각각 기술된 바와 같은 업데이트 베어러 요청 및/또는 소거 베어러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베어러 업데이트 및/또는 소거 절차를 개시한다. M4(420)의 통신 시에, PCEF(408)는 MME(402)에 의해 송신되는 베어러 리소스 변경 제안 메시지 M3(416)의 절차 레퍼런스 ID를 포함한다. 따라서, MME(402)는 P-GW/PCEF(406) 메시지로부터의 M5(422) 응답 메시지를 이전에 송신된 요청 M3(416)과 상관시킨다. 상관을 위해, GTPv2-C 업데이트 및 소거 베어러 요청 메시지는 타입 PTI의 신규 절차 레퍼런스 I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MME(402)는 후속적으로 적절한 E-RAB 변경 요청/E-RAB 릴리스 커맨드를 전달하는 메시지 M6(424)를 eNB(209)로 송신하여 그 대응하는 E-RAB를 변경하도록 지시한다. eNB(209)가 이들 커맨드를 eNB(209)에 의해 이전에 송신된 E-RAB 리소스 변경 제안 메시지 M2(412)와 상관시킬 수 있도록, MME(403)는 E-RAB 변경 요청에 절차 레퍼런스 ID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S1AP 메시지 내의 신규 절차 레퍼런스 ID 필드에 E-RAB 릴리스 커맨드 M6(424)을 포함할 수 있다. eNB(209)는 무선 리소스 커맨드(RRC) 레벨에서 대응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를 변경하도록 적절한 스텝을 취한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 스테이션의 기능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9) 또는 UE(211)(도 2)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통신 스테이션(500)은 또한 휴대형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셀룰라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무선 단말, 랩탑 컴퓨터, 펨토셀, HDR(High Data Rate) 가입자국,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단말, 또는 다른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디바이스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통신 스테이션(5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501)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 스테이션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통신 스테이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물리층 회로(50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스테이션(500)은 무선 매체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층(MAC) 회로(504)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스테이션(50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506) 및 메모리(50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물리층 회로(502) 및 프로세싱 회로(504)는 도 3 및 도 4에 상세하게 도시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MAC 회로(504)는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는 무선 매체 구성 프레임 또는 패킷에 대해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PHY 회로(502)는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HY 회로(502)는 변조/복조, 업변환/다운변환, 필터링, 증폭 등을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의 프로세싱 회로(50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안테나(501)는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물리층 회로(502)에 접속될 수 있다. 메모리(508)는 메시지 프레임을 구성하여 송신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각종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싱 회로(506)를 구성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통신 성능을 갖는 랩탑 또는 휴대용 컴퓨터, 웹 태블릿, 무선 전화, 스마트폰, 무선 헤드셋, 페이저, 인스턴트 메시징 디바이스, 디지털 카메라, 액세스 포인트, 텔레비전, 의료 디바이스(예를 들어, 심장 박동률 모니터, 혈압 모니터 등) 또는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및/또는 송신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501)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501)는, 예를 들어, 다이폴 안테나, 모노폴 안테나, 패치 안테나, 루프 안테나, 마이크로칩 안테나 또는 RF 신호의 송신에 적합한 다른 타입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방향성 또는 단방향성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안테나 대신에, 복수의 애퍼쳐를 갖는 하나의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각각의 애퍼쳐는 개별적인 안테나로 간주될 수 있다. 몇몇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의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안테나의 각각과 송신국의 안테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간 다이버시티 및 상이한 채널 특성을 이용하도록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은 하나 이상의 키보드, 디스플레이,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복수의 안테나,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스피커,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LCD 스크린일 수 있다.
통신 스테이션(500)은 몇몇의 개별적인 기능적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 이상의 기능적 요소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요소와 같은 소프트웨어 구성의 요소의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요소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RFIC(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s) 및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을 적어도 수행하는 각종 하드웨어 및 논리 회로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의 기능적 요소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요소 상에서의 대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동작을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하나 혹은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으로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는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비일시적인 메모리 메커니즘(50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및 다른 저장 디바이스와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통신 스테이션 STA(5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메모리(508) 상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법(예를 들어,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머신(6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머신(600)은 스탠드얼론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거나 혹은 다른 머신에 접속(예를 들어, 네트워크화)될 수 있다. 네트워크화된 구성에서, 머신(600)은 서버 머신, 클라이언트 머신의 용량으로, 혹은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례에서, 머신(600)은 피어 투 피어(P2P)(또는 달리 분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작동할 수 있다. 머신(600)은 퍼스널 컴퓨터(PC), 태블릿 PC, 셋탑 박스(STB),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 전화, 웹 기기,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 혹은 기지국과 같은 해당 머신에 의해 취해질 동작을 특정하는 (순차적인 혹은 다른)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일 수 있다. 또한, 단지 하나의 머신이 도시되어 있으나, "머신"이란 용어는 클라우트 컴퓨팅, SaaS(software as a service), 또는 다른 컴퓨터 클러스터 구성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스트럭션 세트(복수의 세트)를 개별적으로 혹은 결합하여 실행하는 임의의 머신 집합첼를 포함하도록 또한 취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예시들은, 로직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 모듈, 또는 메커니즘을 포함하거나, 혹은 이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모듈은 동작할 때 특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유형의 엔티티(예를 들어, 하드웨어)이다. 모듈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일례에서, 하드웨어는 구체적으로 특정의 동작(예를 들어, 하드와이어)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하드웨어는 구성가능한 실행 유닛(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회로 등) 및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인스트럭션은 동작 시에 특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행 유닛을 구성한다. 구성은 실행 유닛 또는 로딩 메커니즘의 지시 하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행 유닛은 디바이스가 동작 중일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예에서, 실행 유닛은 하나를 초과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하에서, 실행 유닛은 하나의 시점에서 제1 모듈을 구현하는 제1 인스트럭션 세트에 의해 구성되고 제2 모듈을 구현하는 제2 인스트럭션 세트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다.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600)은 하드웨어 프로세서(602)(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프로세서 코어, 또는 임의의 그 조합), 메인 메모리(604) 및 정적 메모리(60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인터링크(예를 들어, 버스)(608)를 통해 서로 간에 통신할 수 있다. 머신(600)은 디스플레이 유닛(610), 영숫자 입력 디바이스(612)(예를 들어, 키보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네비게이션 디바이스(614)(예를 들어, 마우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디스플레이 유닛(610), 입력 디바이스(66) 및 UI 네비게이션 디바이스(614)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머신(600)은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구동 유닛)(616), 신호 생성 디바이스(618)(예를 들어, 스피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20),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컴패스, 가속계, 또는 다른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62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머신(600)은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예를 들어, 프린터, 카드 판독기 등)와 통신하거나 이들을 제어하도록 직렬(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병렬, 또는 다른 유선 혹은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IR),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 NFC) 등) 접속과 같은 출력 콘트롤러(62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616)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법 또는 기능을 구현하거나 혹은 이들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구조 또는 인스트럭션(624)(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하나 이상의 세트가 저장되는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62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624)은 또한 머신(600)에 의한 그 실행 동안 메인 메모리(604) 내에, 정적 메모리(606) 내에, 또는 하드웨어 프로세서(602) 내에, 전적으로 혹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일례에서, 하드웨어 프로세서(602), 메인 메모리(604), 정적 메모리(606), 또는 저장 디바이스(616)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은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622)는 하나의 매체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624)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매체 또는 복수의 매체(예를 들어, 중앙 집중형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연관된 캐쉬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란 용어는 머신(600)이 본 발명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법을 수행하게 하는 머신(600)에 의해 실행을 위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인코딩하고, 또는 전달할 수 있거나, 혹은 이러한 인스트럭션에 의해 또는 이와 연관된 데이터르 구조를 저장하고, 인코딩하고, 또는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의 예는 고체 상태 메모리, 및 광학 매체와 자기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대형의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는 레스팅 매스(resting mass)를 갖는 복수의 파티클을 갖는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대형의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의 특정 예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부 하드 디스크 및 착탈가능한 디스크와 같은 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 광학 디스크;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624)은 다수의 전송 프로토콜(예를 들어, 프레임 지연, IP(internet protocol),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 중 임의의 하나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20)를 통해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626)를 통해 또한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는 특히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이동 전화 네트워크(예를 들어, 셀룰라 네트워크), POTS(Plain Old Telephone) 네트워크, 및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로서 알려진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패밀리 표준, WiMax®로서 알려진 IEEE 802.16 패밀리 표준), IEEE 802.15.4 패밀리 표준, P2P(peer-to-peer)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20)는 통신 네트워크(626)에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링크(예를 들어, 이더넷, 동축, 또는 전화 잭) 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20)는 SIMO(single-input multiple-output),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또는 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매체"란 용어는 머신(6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인코딩하거나 전달할 수 있고,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 혹은 다른 유형의 매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하도록 취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HetNet는 매크로, 마이크로, 펨토, 또는 피코 셀과 같은 복수의 상이한 셀 타입을 이용하는 셀룰라 네트워크 시스템(예를 들어, 3GPP 시스템)일 수 있다. 적용된 셀 타입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시간, 공간, 또는 주파수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오버래핑하거나 오버래핑하지 않을 수 있다. HetNet는 또한 WiFi(IEEE 802.11 a/b/g/n/ac/ad), WiFi for TVWS(IEEE 802.11af), mmWave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비셀룰라 기술 네트워크에 결합된 셀룰라 네트워크일 수 있다. HetNet의 기술의 커버리지 영역 혹은 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시간, 공간, 또는 주파수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오버래핑하거나 오버래핑하지 않을 수 있다.
유선 접속은 이더넷, USB(Universal Serial Bus), 파이어와이어(Firewir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과 같은 직렬 및 병렬 유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근접성 무선 매체(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표준, 적외선(IR),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자기 문자 감지 등에 기초하는 것과 같은 무선 주파수(RF)), 숏텀 무선 매체(예를 들어, Bluetooth, WLAN, Wi-Fi, 등), 롱텀 무선 매체(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무선 통신 기술,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무선 통신 기술,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무선 통신 기술, 및/또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 통신 기술(예를 들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FOMA(Freedom of Multimedia Access), 3GPP LTE(Long Term Evolution), 3GPP LTE Advanced(Long Term Evolution Advanced)), FOMA(Freedom of Multimedia Access),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3GPP LTE Advanced(Long Term Evolution Advanced)를 포함할 수 있는 셀룰라 광대역 무선 통신 기술),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CDPD(Cellular Digital Packet Data), Mobitex, 3G(Third Generation), CSD(Circuit Switched Data), HSCSD(High-Speed Circuit-Switched Data), UMTS(3G)(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Third Generation)), W-CDMA UMTS(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Plus), UMTS-TD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Time-Division Duplex), TD-CDMA(Time Division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CDMA(Time Division -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3GPP Rel. 8(Pre-4G)(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8(Pre-4th Generation)), 3GPP Rel. 9(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9), 3GPP Rel. 10(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0), 3GPP Rel. 11(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1), 3GPP Rel. 1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2), 3GPP Rel. 13(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elease 13), (Rel. 14, Rel. 15, 등과 같은) 후속의 릴리스, UTRA(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LTE Advanced(4G)(Long Term Evolution Advanced(4th Generation)), cdmaOne(2G), CDMA2000(3G)(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Third generation)), EV-DO(Evolution-Data Optimized or Evolution-Data Only), AMPS(1G)(Advanced Mobile Phone System (1st Generation)), TACS/ETACS(Total Access Communication System/Extended Total Access Communication System), D-AMPS(2G) (Digital AMPS(2nd Generation)), PTT(Push-to-talk), MTS(Mobile Telephone System), IMTS(Improved Mobile Telephone System), AMTS(Advanced Mobile Telephone System), OLT(Norwegian for Offentlig Landmobil Telefoni, Public Land Mobile Telephony), MTD(Swedish abbreviation for Mobiltelefonisystem D, or Mobile telephony system D), Autotel/PALM(Public Automated Land Mobile), ARP(Finnish for Autoradiopuhelin, "car radio phone"), NMT(Nordic Mobile Telephony), Hicap(High capacity version of NTT(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DPD(Cellular Digital Packet Data), Mobitex, DataTAC, iDEN(Integrated Digital Enhanced Network),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CSD(Circuit Switched Data),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WiDEN(Wideband Integrated Digital Enhanced Network), iBurst, Unlicensed Mobile Access (UMA, 3GPP Generic Access Network, 또는 GAN 표준이라 또한 칭해짐), 사운드 파형을 통한 전자 상호작용, IEEE 802.11a/b/g/n/ac/ad/af, WiFi, WiFi for TVWS, IEEE 802.16e/m, WiMAX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화형 노드 B(eNB)에서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을 위한 방법은, 인컴벤트(incumbent)로부터,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 무선 대역 리소스를 획득하는 단계와, 운영자 감독 및 관리(Operator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 OA&M) 엔티티로부터, 획득된 LSA 대역 리소스를 양도(relinquish)하기 위한 지시(directive)를 수신하는 단계와,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결정하는 최적의 대역 리소스 재할당의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와,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네트워크 코어로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코어로부터,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인스트럭션은 통신되는 제안에 기초함 - 와, 상기 수신된 인스트럭션에 따라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 스테이션은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을 수행하되, 통신 스테이션이 물리층 회로 및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UE)로서, 양도될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 대역을 식별하는 LSA 밴드 기술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및/또는 관리 프레임을 전달하는 메시지 M1을 수신하고 - 상기 메시지 M1은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의 실행을 트리거함 - , 상기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 베어러 리소스 변경 제안을 전달하는 메시지 M2를 이동도 관리 엔티티(MME)로 송신하고, 상기 MME로부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강화형 무선 액세스 베어러(E-RAB) 업데이트 커맨드를 전달하는 메시지 M6을 수신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이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로서, 상기 동작은, 인컴벤트로부터,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 무선 대역 리소스를 획득하고, 운영자 감독 및 관리(OA&M) 엔티티로부터, 획득된 LSA 대역 리소스를 양도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하고,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결정하는 최적의 대역 리소스 재할당의 분석을 수행하고,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네트워크 코어로 통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코어로부터,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 상기 인스트럭션은 통신되는 제안에 기초함 - , 상기 수신된 인스트럭션에 따라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의 주지사항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상세한 설명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도면은 예시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예"라 또한 지칭된다. 이러한 예는 도시되거나 기술된 것에 추가하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되거나 기술된 단지 이들 요소가 제공될 수 있는 예를 또한 고려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거나 기술된 특정의 예(또는 하나 이상의 그 양태)에 대해, 혹은 다른 예(또는 하나 이상의 그 양태)에 대해, 도시되거나 기술된 이들 요소의 임의의 결합 또는 치환을 이용하는 예(또는 하나 이상의 그 양태)를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도면의 플로우차트 및 블록도는 본 발명의 각종 양태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가능한 구현예의 아키텍처, 기능, 및 동작을 도시한다. 이러한 관점으로, 플로우차트 및 블록도의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 기능(들)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몇몇 다른 구현예에서, 블록에 도시된 기능은 도면에 도시된 순서와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음에 또한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실제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혹은 블록들은 때때로 수반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블록도 및/또는 플로우차트의 각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플로우차트의 블록들의 조합은 특정된 기능이나 작용, 혹은 특수용 하드웨어 및 컴퓨터 인스트럭션의 결합을 수행하는 특수용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에 또한 주목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 또는 기법은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 및 휴먼 구현 절차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또는 다른 타입의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인스트럭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란 용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인스트럭션이 상이한 형태의 유선 또는 무선 전송에 의한 것과 같이, 컴퓨터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을 나타내도록 또한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임의의 그 조합에 대응한다. 복수의 기능은 원하는 대로 하나 이상의 모듈로 수행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ASIC,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동작하는 다른 타입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 문서에서, "하나의"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또는 "하나 이상의"의 임의의 다른 사례 또는 사용과는 독립적으로, 특허 문서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하나 또는 하나를 초과한다는 것을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이 문서에서, "또는"이란 용어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A 또는 B"는 "B가 아닌 A", "A가 아닌 B", 및 "A 및 B"를 포함하기 위해 비배타적인 것을 지칭하도록 사용된다. 이 문서에서, "포함하는" 및 "여기서"란 용어는 "구비하는" 및 "여기에서"란 용어와 각각 균등한 용어로서 사용된다. 또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 및 "구비하는"이란 용어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즉, 특허청구범위의 이러한 용어 이후에 열거되는 것 이외의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디바이스, 제품, 조성물, 치환, 또는 프로세스는 해당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것으로 또한 간주된다. 또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제1", "제2", 및 "제3" 등과 같은 용어는 단지 라벨로서 사용되고, 그 오브벡트에 대해 수치적인 요건을 부여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참조 부호를 지칭할 때 사용되는 "-"(대쉬 기호)는 대쉬 기호에 의해 표시된 범위 내의 모든 요소에 대해, 이전의 문단에서 기술된 비배타적인 의미에서의 "또는"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3A-103B가 "103B가 아닌 103A", "103A가 아닌 103B", 및 "103A 및 103B"을 포함하도록, 103A-B는 범위 {103A, 103B}에서 요소의 비배타적인 "또는"을 의미한다.
상기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또는 하나 이상의 그 양태)는 서로 간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을 검토하여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요약서는 읽는 자가 본 교시의 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37 C.F.R. §1.72(b)에 부합하여 제공된다.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도록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종 특징은 본 발명을 개략 설명하기 위해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 이것은 청구하지 않은 개시된 특징이 임의의 특허청구범위에 필수적인 것을 의도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특정의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의 범위 아래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예 또는 실시예로서 실시예의 설명에 포함되며,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적인 실시예로서 그 자신을 지지하고, 이러한 실시예는 각종의 결합 또는 최환으로 서로 간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특허청구범위가 부여하는 균등예의 전체 범위와 함께,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진화형 노드 B(eNB)에서 무선 대역 리소스(radio spectrum resource) 재할당을 위한 방법으로서,
    인컴벤트(incumbent)로부터,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 Licensed Shared Access) 무선 대역 리소스를 획득하는 단계와,
    운영자 감독 및 관리(Operator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 OA&M) 엔티티로부터, 상기 획득된 LSA 대역 리소스를 양도(relinquish)하기 위한 지시(directive)를 수신하는 단계와,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결정하는 최적의 대역 리소스 재할당의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는 상기 획득된 LSA 대역 리소스를 양도한 이후에 남는 대역 리소스를 포함함 - 와,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네트워크 코어로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코어로부터,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인스트럭션은 통신된 제안에 기초함 - 와,
    상기 수신된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LSA 밴드 대역(LSA band spectrum)을 양도하기 위한 OA&M 지시는 상기 eNB에서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사용자에 대한 부정적인 서비스 품질(QoS) 경험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확립된 베어러들(bearers) 사이에 대역 리소스 재할당을 위한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이 실행되게 하는 트리거를 생성하는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코어가 적절한 베어러 업데이트 또는 소거 절차(들)로 평가하고 응답할 수 있도록 리소스 재할당 분석 알고리즘의 결과에 기초하여 베어러 변경 제안을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NB는 제안된 강화형 무선 액세스 베어러(Enhanced Radio Access Bearer : E-RAB) 변경 또는 소거의 리스트와 함께,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도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 MM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코어로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통신하는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NB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도 관리 엔티티(MME)는 제안된 강화형 무선 액세스 베어러(Enhanced Radio Access Bearer : E-RAB) 업데이트를 진화형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 EPS) 베어러 리소스 변경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변경 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 S-GW)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 P-GW)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코어의 정책 및 차징 제어 기능(policy and charging control function : PCRF)으로 라우팅하고, 상기 PCRF는 제안된 변경을 평가하고 eNB 제안에 기초하여 베어러 업데이트 커맨드를 상기 P-GW, S-GW 및 MME를 통해 각각 상기 eNB로 반환하여, 필요하다면 상기 MME가 E-RAB 변경을 프로세싱하게 하는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LSA 무선 대역 리소스를 양도하기 위한 지시는 양도될 상기 LSA 대역 리소스를 식별하는 지리적 영역을 포함하는 LSA 밴드 기술(descriptive)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결정하는 최적의 대역 리소스 재할당의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는, 벤더 특정의(vendor specific)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 방법.
  8. 무선 대역 리소스 재할당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통신 스테이션은 물리층 회로 및 프로세싱 요소를 포함하고,
    양도될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 대역을 식별하는 LSA 밴드 기술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및/또는 관리 프레임을 전달하는 메시지 M1을 수신하고 - 상기 메시지 M1은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의 실행을 트리거함 - ,
    상기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 베어러 리소스 변경 제안을 전달하는 메시지 M2를 이동도 관리 엔티티(MME)로 송신하고,
    상기 MME로부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강화형 무선 액세스 베어러(E-RAB) 업데이트 커맨드를 전달하는 메시지 M6을 수신하는
    통신 스테이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스테이션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정책 및 차징 강화형 기능(P-GW/PCEE)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어서 상기 P-GW/PCEE에 의해 상기 E-RAB 업데이트 커맨드로 변환되는 규칙 업데이트를 생성하는 정책 및 차징 규칙 기능(PCRF)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서빙 게이트웨이(S-GW)를 통해, 상기 MME로부터,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상기 E-RAB 업데이트 커맨드를 전달하는 메시지 M6을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통신 스테이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M2는 3GPP 36.413 3GPPTS36.413V11.4.0(2013-06), "3rdGenerationPartnership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Access Network(E-UTRAN); SI Application Protocol(SlAP)(Releasel1)"에 정의된 S1AP 메시지 구조, 또는 S1AP 메시지: E-RAB 리소스 변경 제안(Resource Modification Proposal)을 포함하는
    통신 스테이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스테이션, 메시지 M2에 응답하여, 요청 레퍼런스 식별(Request Reference Identification)을 전달하는 긍정응답 메시지(Acknowledgement message)를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상기 긍정응답 메시지는 S1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구조 메시지: E-RAB 리소스 변경 제안 긍정응답인
    통신 스테이션.
  12. 제 8 항에 있어서,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강화형 무선 액세스 베어러(E-RAB) 업데이트 커맨드를 전달하는 상기 메시지 M6는 절차 레퍼런스(Procedure Reference) ID를 갖는 S1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메시지를 포함하는
    통신 스테이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스테이션은 진화형 노드 B(eNB)인
    통신 스테이션.
  14. 머신에 의해 실행될 때, 머신으로 하여금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로서,
    상기 동작은
    인컴벤트로부터, 허가된 공유 액세스(LSA) 무선 대역 리소스를 획득하고,
    운영자 감독 및 관리(OA&M) 엔티티로부터, 획득된 LSA 대역 리소스를 양도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하고,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결정하는 최적의 대역 리소스 재할당의 분석을 수행하고 -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는 상기 획득된 LSA 대역 리소스를 양도한 이후에 남는 대역 리소스를 포함함 -,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네트워크 코어로 통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코어로부터,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는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 상기 인스트럭션은 통신된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에 기초함 기초함 - ,
    상기 수신된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를 재할당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LSA 대역 리소스를 양도하기 위한 OA&M 지시는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사용을 최적화하고 사용자에 대한 부정적인 서비스 품질(QoS) 경험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확립된 베어러들 사이에 대역 리소스 재할당을 위한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을 실행하게 하는 트리거를 생성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통신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코어가 적절한 베어러 업데이트 또는 소거 절차(들)로 평가하고 응답할 수 있도록 리소스 재할당 분석 알고리즘의 결과에 기초하여 베어러 변경 제안을 통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은 진화형 노드 B(eNB)를 포함하고, 상기 eNB는 제안된 강화형 무선 액세스 베어러(E-RAB) 변경 또는 소거의 리스트와 함께,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도 관리 엔티티(MME)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코어로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8. 제 14 항에 있어서,
    eNB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도 관리 엔티티(MME)는 제안된 강화형 무선 액세스 베어러(E-RAB) 업데이트를 진화형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 리소스 변경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변경 메시지를 서빙 게이트웨이(S-GW)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코어의 정책 및 차징 제어 기능(PCRF)으로 라우팅하고, 상기 PCRF는 제안된 변경을 평가하고 eNB 제안에 기초하여 베어러 업데이트 커맨드를 상기 P-GW, S-GW 및 MME를 통해 각각 상기 eNB로 반환하여, 필요하다면 상기 MME가 E-RAB 변경을 프로세싱하게 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LSA 무선 대역 리소스를 양도하기 위한 지시는 양도될 상기 LSA 대역 리소스를 식별하는 지리적 영역을 포함하는 LSA 밴드 기술 정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대역 리소스의 제안된 재할당을 결정하는 최적의 대역 리소스 재할당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벤더 특정의 리소스 재할당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KR1020167028525A 2014-05-16 2015-04-15 롱텀 에볼루션을 위한 허가된 공유 액세스 KR101804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80,363 US9374827B2 (en) 2014-05-16 2014-05-16 Licensed shared access for long term evolution
US14/280,363 2014-05-16
PCT/US2015/025936 WO2015175134A1 (en) 2014-05-16 2015-04-15 Licensed shared access for long term evolu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980A KR20160132980A (ko) 2016-11-21
KR101804719B1 true KR101804719B1 (ko) 2017-12-04

Family

ID=5448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525A KR101804719B1 (ko) 2014-05-16 2015-04-15 롱텀 에볼루션을 위한 허가된 공유 액세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74827B2 (ko)
EP (1) EP3155834A4 (ko)
JP (1) JP6374095B2 (ko)
KR (1) KR101804719B1 (ko)
CN (1) CN106165467B (ko)
BR (1) BR112016024041A2 (ko)
WO (1) WO2015175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6752A1 (en) * 2014-05-23 2017-03-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Frequency band sharing amongst cells
US9615260B2 (en) * 2014-06-02 2017-04-04 Intel Corporation Adaptive quality of service for wireless networks
US9485664B2 (en) * 2014-06-19 2016-11-01 Intel Corporation Idle mode cell selection for licensed shared access
KR102208433B1 (ko) * 2014-08-21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7530665A (ja) * 2014-10-08 2017-10-1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二重接続に対して重複したe−rabを取り扱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045219B2 (en) 2016-10-10 2018-08-07 At&T Mobility Ii Llc Spectrum access sharing front-end processor for mobile management entities
US10492078B2 (en) 2017-04-04 2019-11-26 At&T Mobility Ii Llc Shared spectrum broker
US11523315B2 (en) * 2018-05-25 2022-12-0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hared spectrum with high availability for private enterprise networks
CN110708676B (zh) * 2018-07-09 2021-10-26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s1口集群消息处理方法、网络节点及基站
CN112840690B (zh) * 2018-08-22 2024-03-2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实现使用智能合约的频谱分配的方法和设备
US11503479B2 (en) * 2019-05-10 2022-11-15 Parallel Wireless, Inc. Backhaul dynamic link distance
CN114064256A (zh) * 2020-07-31 2022-02-18 伊姆西Ip控股有限责任公司 分配计算资源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4140B2 (en) 2009-03-10 2013-02-12 Stmicroelectronics, Inc. Frame based, on-demand spectrum contention data frame acquisition
US8711721B2 (en) * 2010-07-15 2014-04-29 Rivada Network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spectrum arbitrage
CN104221415A (zh) * 2012-02-25 2014-12-17 英特尔公司 用于管理频谱服务的动态共享的方法和设备
JP2013187672A (ja) * 2012-03-07 2013-09-19 Ntt Docomo Inc 通信システム、モビリティ管理エンティティ、基地局、および通信方法
EP2845430A1 (en) 2012-05-04 2015-03-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existence management service for spectrum sharing
WO2014005645A1 (en) 2012-07-06 2014-01-09 Nokia Siemens Networks Oy Use of licensed shared spectrum in a radio access network where signal propagation is unknown
US20150319621A1 (en) 2012-10-29 2015-11-0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llocation of a Shared Resource
US9148792B2 (en) * 2013-03-11 2015-09-29 Intel Corporation Dynamic certification system for wireless spectrum sharing
US9554416B2 (en) * 2013-04-26 2017-01-24 Intel IP Corporation Shared spectrum reassignment in a spectrum sharing context
US9713147B2 (en) * 2013-12-20 2017-07-18 Intel Corporation License shared access in cellula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34717A1 (en) 2015-11-19
EP3155834A4 (en) 2018-03-28
CN106165467B (zh) 2020-02-11
KR20160132980A (ko) 2016-11-21
CN106165467A (zh) 2016-11-23
WO2015175134A1 (en) 2015-11-19
JP2017520200A (ja) 2017-07-20
JP6374095B2 (ja) 2018-08-15
US9374827B2 (en) 2016-06-21
EP3155834A1 (en) 2017-04-19
BR112016024041A2 (pt)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719B1 (ko) 롱텀 에볼루션을 위한 허가된 공유 액세스
US11343706B2 (en) Device requested protocol data unit session modification in the 5G system
US10716096B2 (en) Enabling network slicing in a 5G network with CP/UP separation
US10608710B2 (en) Filter coefficient configuration in new radio systems
US11212716B2 (en) Per UE network controlled small gap (NCSG) signalling
US20210160747A1 (en) Beamforming Measurements Based on PSS/SSS
KR102123107B1 (ko) 셀 특성들에 기초하여 구성 정보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한 기술들
WO2018093939A1 (en) Rach-less handover
US20210360729A1 (en) Devices for per-cc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EP3257183B1 (en) Cellular and wlan aggregation
WO2018063461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plink bearer and access category mapping
WO2015187269A1 (en) Adaptive quality of service for wireless networks
KR20160142858A (ko)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의 재접속
EP29821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adio bearer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20240155517A1 (en) Enhanced uplink power control
KR20160145748A (ko) 인가 공유 액세스를 위한 동시적 이차 셀 해제 기법
US20220038948A1 (en) Computing workload transport over control plane in next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US20240129790A1 (en) Sdt and cn buffering co-existence in inactive state
US20240178976A1 (en) Enhanced srs carrier switching in 5g networks
US20240121745A1 (en) Data plane for ng cellular networks
WO2020143615A1 (zh) 小区无线网络临时标识的配置方法及设备
WO2023141074A1 (en)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 transmissions
WO2024097004A1 (en) Ursp rules update via pcf cp procedure
WO2023177571A1 (en) Multiple path over ue-to-network and ng-uu
WO2023064243A1 (en) User equipment paging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