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858A -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의 재접속 - Google Patents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의 재접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858A
KR20160142858A KR1020167030637A KR20167030637A KR20160142858A KR 20160142858 A KR20160142858 A KR 20160142858A KR 1020167030637 A KR1020167030637 A KR 1020167030637A KR 20167030637 A KR20167030637 A KR 20167030637A KR 20160142858 A KR20160142858 A KR 20160142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lsa
rrc
connec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091B1 (ko
Inventor
사티쉬 찬드라 자
모하마드 마무누르 라쉬드
라스 바니삼비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4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04W76/028
    • H04W76/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여기서 개시되는 제안된 3GPP LTE 프로토콜 개선안은 LSA(Licensed Shared Access) 스펙트럼 리소스들의 손실시에 LSA 주파수 대역들로부터 1차 LTE 주파수 대역들로의 핸드오프가 중단된 동안에 최적화된 UE 재접속을 위해 3GPP LTE 표준으로 현재의 핸드오프 시그널링을 개선함으로써 제안된 동적 주파수 공유 시스템들의 완전한 이점을 구현한다. 사용자 장치(UE)는 LSA 주파수 스펙트럼의 손실시에 접속 상태를 판정하고, UE가 수립된 접속의 상태에 있을 때에 재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UE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에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 상기 요청 메시지는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전달함 - ,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에 따라 1차 LTE 주파수 대역에 최적으로 접속하고, 접속 또는 재접속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의 재접속{INTERRUPTED HANDOFF RECONNECTION FOR LICENSED SHARED ACCESS}
본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2014년 6월 2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293,42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예들은 일반적으로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예들은 LTE 네트워크들에서의 LSA(Licensed Shared Access)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및 다른 미디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널리 배포되어 있다. 이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어,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3GPP LTE 시스템들, 및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모든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베어러 서비스 요구사항들을 지원하기 위해 가용 무선 스펙트럼에 대한 충분한 액세스를 필요로 한다.
LSA는 스펙트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허가된 스펙트럼에 대한 조정된 공유 액세스를 허용함으로써 가용 스펙트럼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새롭고 획기적인 체계이다. 현재, LSA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중단된 핸드오프시에, 1차(primary) LTE 주파수 대역 상에서 eNB(Evolved Node B)에 대해, 사용자 장치(UE)의 효율적인 재접속을 위해 3GPP LTE 표준으로 제공되는 프로토콜이 없다. 따라서, 제안되는 동적 주파수 공유 시스템의 완전한 혜택을 실현하기 위해, 중단된 LSA 핸드오프시에 UE 재접속을 위해 3GPP LTE 표준으로의 통상의 핸드오프 시그널링에 대한 개선이 현재 필요하다.
반드시 축적대로 그려지는 것이 아닌 도면들에서, 동일한 번호들은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낼 수 있다. 상이한 문자 접미사를 갖는 동일한 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의 상이한 실례들을 표현할 수 있다. 도면들은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로써 도시하되, 이로 제한되진 않는다.
도 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공유하는 동적 주파수에 대한 고차원 블록도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LSA(Licensed Shared Access) 시스템을 설명하는 고차원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 재접속을 설명하는 고차원의 개요 흐름도이다.
도 4(a)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 재접속에 대한 예시적인 절차를 도시한다.
도 4(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 재접속에 대한 예시적인 절차를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통신 스테이션의 기능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술들(예를 들어, 방법들)이 수행될 수 있는 머신의 예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들은 당업자가 특정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특정 실시예들을 충분히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구조적 변화, 논리적 변화, 전기적 변화, 프로세스 변화, 및 다른 변화를 통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에 포함되거나 그것들을 대신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제시된 실시예들은 그 청구범위의 모든 이용가능한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예시적"의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역할을 함"을 의미하도록 여기서 사용된다. "예시적"으로서 여기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반드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통신 스테이션(communication station)", "스테이션(station)", "핸드헬드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및 "사용자 장치(UE)"의 용어들은 셀룰러폰, 스마트폰, 태블릿, 넷북, 무선 단말, 랩탑 컴퓨터, 펨토셀, HDR(High Data Rate) 가입자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단말, 또는 다른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디바이스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디바이스는 이동형 또는 고정형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용어는 고정형 스테이션일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노드,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지칭되거나 혹은 당업계에 알려진 몇몇의 다른 유사한 전문 용어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은 "모바일 스테이션", "사용자 장치(UE)",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불리거나 혹은 당업계에 알려진 몇몇의 다른 유사한 전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포기(relinquish)", "해제(release)" 및 "반환(return)"의 용어들은 LSA 스펙트럼의 점유자(incumbent)에 대한 LSA 스펙트럼의 양도(surrender)를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LTE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들은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들에 접속하거나 그것들과 통신하게 할 수 있다. 현대의 LTE 네트워크들은 이종 네트워크(HetNwt; Heterogeneous Network) 구성에서 설정되는 대형 셀 및 소형 셀의 양쪽을 포함할 수 있다. 대형 셀 및 소형 셀의 베이스 스테이션들(예를 들어, 진화형 노드 B(eNodeB)들)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콘텐츠의 다양한 타입들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들), 즉 스펙트럼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접속하거나 그것들과 통신하기 위해 베이스 스테이션에 필요로 된다.
LSA는 가용 스펙트럼을 확장시키는 메카니즘을 제공함으로써 3GPP LTE 시스템의 능력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현재, 다수의 LTE 호환가능 스펙트럼 대역들(예를 들어, 2.3GHz 대역에서 100MHz, 2.6GHz 대역에서 100+MHz)이 LSA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고려되고 있다. LSA 스펙트럼 공유 체계는 주요한 무선 장비 벤더들, 오퍼레이터들, 규제 기관들, 정부 단체들 및 표준화 단체들이 강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시급하게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이 체계에서, 현 스펙트럼 보유자(an incumbent spectrum holder)는 2차 사용자들의 그룹(즉,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의한 그 허가된 스펙트럼의 미사용 부분에 대한 조정된 공유 액세스를 허용하고, 그와 달리 미사용된 채로 남아 있는 무선 스펙트럼의 대부분은 LTE 네트워크들을 통해 계속 증가하는 트래픽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게 이용가능하게 된다.
이용가능 스펙트럼으로부터 점점 더 많은 데이터 레이트를 얻기 위해 계속되고 있는 혁신에도, 라이센싱을 위한 가용 스펙트럼의 공동 관리(pool)는 제약을 받고 있어서 증가하는 요구와 함께 증가할 수 없기 때문에, 예상되는 트래픽 성장은 모바일 광대역 오퍼레이터들이 더이상 그들의 고정형의 허가된 스펙트럼을 갖고서 상기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것임을 나타낸다. LSA 체계는, 1차 스펙트럼 보유자(PSH; Primary Spectrum Holder)로도 알려진 현 사용자(an incumbent user)로 하여금, 2차 스펙트럼 보유자(SSH)들의 그룹으로 그 허가된 스펙트럼의 미사용 부분에 대한 조정된 액세스를 공유하도록 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제약사항을 해소한다. 그러나, PSH는 스펙트럼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를 유지하고 SSH들로부터 스펙트럼을 반환 요구할 수 있다. 보충용 스펙트럼을 획득하기 위해 LSA 체계를 이용하는 경우, LTE 네트워크들은 PSH들에 의한 스펙트럼 반환 요구를 적절하게 수용함으로써 이용가능 스펙트럼의 동적인 성질에 적응하도록 요구받는다.
LTE 베이스 스테이션 E Node B(eNB)는 PSH에 의한 다음번의 반환 요구를 통지받으면 LSA 대역을 해제한다. 짧은 유예 기간(short grace period)이 주어지면, eNB는 그 시간 내에 스펙트럼 해제를 위한 단계들을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의 한 단계는 LSA 대역을 통해 그 eNB들에 접속되어 있는 LTE 사용자 장치(UE)들을 LTE 오퍼레이터의 1차 LTE 대역으로 이동시키거나 핸드오버하는 것이다. LSA 개선된 LTE 시스템들에서, 점유자에 의한 LSA 대역의 반환 요구시에 오퍼레이터의 인가 1차 LTE 대역으로의 사용자 장치(UE)의 핸드오버가 빈번할 수 있다. eNB는 LSA 대역(들) 상에서 UE들에게 1차 LTE 대역으로 복귀할 것을 지시하기에 충분한 시간 또는 유예 기간을 허용받지 못할 수 있거나, 혹은 LSA 대역은 핸드오버 프로세스의 완료 전에 이용불가능하게 될 수 있어, UE들과 eNB들 사이의 손상된 연결을 초래한다. 이렇게 핸드오프 동안에 탈락된 UE들은 그 1차 LTE 대역들 상에서 선택 및 재연결하도록 강요받는다. 현재의 3GPP 사양은 UE들에게 완벽한 RRC 접속 수립/재수립 프로세스를 수행할 것을 요구하여, 무선 리소스 제어(RRC) 및 NAS(Non-Access-Stratum) 보안 활성화와 같은 OTA(over the air) 시그널링 리소스 및 다른 오버헤드 페널티들, 및 다양한 베어러 수립들을 초래한다.
현재의 3GPP 핸드오버 메카니즘들은 중단된 LAS 핸드오버 시나리오들을 위해 설계되어 있지 않다. 변경이 없는 경우, LSA 핸드오버가 빠진 현재의 핸드오버 메카니즘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OTA(over-the-air) 시그널링의 매우 갑작스럽고 큰 급등(spike) 및 지연된 접속을 생성한다. 도 1-6은 감소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갖는 LSA 대역들로부터 UE들의 중단된 LSA 핸드오버시에 급속한 재접속을 위해 다양한 핸드오버 시그널링 메카니즘들을 상세히 열거한다. LSA 대역이 점유자에 의해 반환 요구되는 경우에 UE에 의해 전송된 RRC 접속 수립/재수립 요청에 있어서 새로운 접속 수립/재수립 이유(cause)가 도입된다. 새로운 접속 수립/재수립 이유는 EUTRAN(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게 LSA 대역의 손실 때문에 그 1차 LTE 대역과 연관된 셀로 접속할 것을 UE가 요청하고 있음을 통지할 것이다. LSA 대역 및 1차 LTE 대역의 양쪽이 동일 eNB 내 2개의 셀로서 배치됨에 따라, EUTRAN은 공통의 eNB와의 새로운 1차 LTE 대역 접속을 위해 LSA 대역 상의 이전 접속으로부터의 (수립된 베어러의 보안 파라미터들과 같은) 정보를 재이용함으로써 RRC 접속 수립/재수립 프로세스를 최소화한다. 새롭게 도입된 접속 수립/재수립 이유는 OTA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지연을 개선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공유하는 동적 LSA 주파수의 예를 도시하는 고차원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은 화살표 104에서 추가적인 LSA 주파수 대역(106)으로부터 스펙트럼을 수신하거나 추가적인 LSA 대역(106)으로 스펙트럼을 되돌려 보내는 1차(레거시) LTE 대역(102)을 포함하는 시스템(100)의 예를 나타낸다. 1차 LTE 대역(102)은 시분할 다중화(TDD) 대역(108)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D) 대역(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LSA 주파수 대역(106)으로부터의 추가적인 스펙트럼은 TDD 대역 또는 FDD 대역일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종래의 LSA 시스템(200)을 도시하는 고차원의 도면을 나타낸다. 종래의 LSA 시스템에서, 점유자들(201a-c)은 원래의 스펙트럼 소유자들이다. LSA 저장소(203)는 스펙트럼 가용성 및 스펙트럼 공유의 단기(shorter term) 측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LSA 저장소(203)는 LSA 제어기(205)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LSA 제어기(205)는 정보 관리를 수행하고 LSA 저장소(203)의 데이터베이스 콘텐츠를 LSA 주파수 허가권자들을 위해 스펙트럼 액세스 상태로 변환하는 반면에, OA&M(Operator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207)는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네트워크를 위한 동작, 운영, 및 관리를 제공한다. OA&M(207)은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의 eNB들, 또는 사용자 장치(들)(211)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209a-b)을 위해 제한된 단기의 추가적인 스펙트럼을 관리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UE(211)에 의한 LSA에서의 중단된 핸드오프 재접속을 위한 방법(300)을 나타내는 고차원의 개요 흐름도이다. 개선된 시그널링 메카니즘은 LSA 주파수 대역(106)이 이용 불가능하게 되면 중단된 핸드오프시에 UE들(211)을 그들의 1차 LTE 대역들(102)에 재접속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종래 생산되는 상당량의 OTA 트래픽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경험되는 수반되는 핸드오프 지연을 감소시킨다. UE(211)는 그 eNB(209)와의 수립된 접속을 가질 수 있거나, LSA 주파수 대역(106)의 반환 요구시에 eNB(209)와의 통신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 유휴 상태에서 그 eNB(209)에 접속될 수 있다.
LSA 주파수 대역(106) 해제 때문에 UE(211)가 RRC 접속 요청을 행하고 있음을 eNB(209)에게 통지하는 메카니즘은, RRC 접속 메시지 및 재수립 요청 메시지에서 새로운 RRC 접속 수립/재수립 이유를 정의함으로써 실현된다. 새로운 접속 수립/재수립 이유, 즉 RRC 접속 요청 메시지 및 RRC 접속 재수립 요청 메시지에서의 LSASpectrumRelease는, 점유자(201)에 의한 LSA 주파수 대역(106)의 반환 요구 때문에 LSA 주파수 대역(106) 상에서 수립된 접속성 또는 유휴의 접속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들을 위해 제공된다. LSA 대역이 이용 불가능하게 된 후에 UE들(211)이 수립된 접속(즉, LSA 주파수 대역(106) 상에서의 RRC-접속 상태)을 갖으면, RRC 접속 수립/재수립 이유는 UE(211)에 의해 전송된 RRC 접속 재수립 요청 메시지에서 재수립 이유로서 명시된다. EUTRAN은 LSA 주파수 대역(106) 상에서 UE(211)의 이전 접속으로부터 수립된 베어러들 및 AS/NAS(Access-Stratum/Non-Access-Stratum) 보안 파라미터들과 같은 정보를 재사용함으로써 RRC 접속 재수립 프로세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LSASpectrumRelease 이유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EURTAN은 LSA 주파수 대역(106)의 손실 및 후속 비가용성을 통지받았을 때 LSA 주파수 대역(106)으로부터 핸드오프된 UE(211)들에게 접속 수용 우선권을 제공할 수 있다.
LSA 주파수 대역(106)에 접속된 UE(211)들이 LSA 주파수 대역(106)의 반환 요구시에 RRC-유휴 상태에 있으면, RRC 접속 수립/재수립 이유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에서 수립 이유로서도 표시될 것이다. EUTRAN은 RRC 접속 수립 프로세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LSASpectrumRelease 이유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EUTRAN은 LSA 주파수 대역(106)의 비가용성으로 인해 LSA 주파수 대역(들)(106)으로부터 재접속하는 UE들에게 접속 수용 우선권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RRC 접속 수립/재수립 방법은 LSA 개선된 LTE 네트워크 시스템(100)에서 점유자(201)에 의한 LSA 주파수 대역(106)의 반환 요구시에 OTA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접속 수립/재수립 지연을 감소시킨다. 현재의 3GPP 사양은 RRC 접속/재접속 시그널링을 위한 LSA 특정 조항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LSA 주파수 대역(106)의 반환 요구 이벤트 동안에 필요 이상으로 보다 많은 OTA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재접속 지연을 초래한다.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 재접속에 대한 예시적인 방법은 동작들 302-318에서 상세히 열거된다.
동작 302에서, UE(211)는 점유자(201)에 의한 LSA 주파수 대역(106)의 반환 요구시에 LSA 주파수 대역(106) 상에서 그 eNB(209)와의 접속성을 손실한다. 제어는 동작 304로 진행한다. 동작 304에서, UE(211)는 그 eNB 접속이 RRC-접속 상태 또는 RRC 유휴 상태를 갖는지를 판정한다. UE(211)가 RRC-접속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으면, 제어는 동작 306으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고, UE(211)가 RRC-유휴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으면, 제어는 동작 312로 진행한다.
동작 306에서, UE는 LSASpectrumRelease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재수립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UE(211)가 그 1차 LTE 주파수 대역(102)에 최적으로 재접속되는 동작 308로 제어가 진행하고, 그 후에 동작 310에서 RRC 접속 재수립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동작 312에서, UE(211)는 LSASpectrumRelease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동작 314에서 전송하기 전에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도착을 대기한다. 제어는 UE(211)가 그 1차 LTE 주파수 대역(102)에 최적으로 접속되는 동작 316으로 진행하고, 그 후에 RRC 접속 셋업 완료 메시지를 동작 318에서 전송한다.
도 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M1(402) 및 메시지 M2(404)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eNB(209)에 의해 수행되는 포기된 LSA 스펙트럼 리소스들의 손실에 임박한 때에 중단된 핸드오프에 응답하여 UE(211) 재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메시징 메카니즘의 메시징 절차도를 나타낸다. LSA 주파수 대역(106) 손실시에 UE가 RRC-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에 UE(211) 재접속이 수행된다. LSA 주파수 대역(106)이 반환 요구될 때에 UE(211)가 LSA 주파수 대역(106) 상에서 eNB(209)에 접속되면, RRC 접속 수립/재수립 이유는 RRC 접속 재수립 요청 메시지, 즉 UE(211)에 의해 전송되는 M1(402) 내의 LSASpectrumRelease 이유로서 표시된다.
LSA 주파수 대역(106)이 점유자에 의해 반환 요구되고, 또한 LSA 주파수 대역(106) 손실로 인해 접속-상태 UE(211)가 중단되면, UE(211)는 LSASpectrumRelease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재수립 요청 메시지, 즉 M1(402)을 전송한다. eNB(209)는 관련 LTE 1차 주파수 대역(102)에 대한 UE(211)의 재접속(412)을 최적화한다. 최적화는 그에 따라 그 절차를 맞춤화하기 위해 LSA 주파수 대역(106)에 대한 UE(211)의 이전 접속으로부터 정보의 재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eNB(209)는 수립된 접속 동안에 중단된 UE(211)에 대해 접속 수용 우선권을 제공할 수 있다. UE(211)는 LTE 1차 주파수 대역(102) 상에서 접속되었을 때에 RRC 접속 재수립 완료 메시지, 즉 M2(404)를 전송한다.
업데이트된 RRC 접속 재수립 요청 메시지 M1(402)의 파라미터 필드들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도 4(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M3(408) 및 메시지 M4(410)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eNB(209)에 의해 수행되는 포기된 LSA 스펙트럼 리소스들의 손실에 임박한 때에 중단된 핸드오프에 대응하여 UE(211) 재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메시징 메카니즘의 메시징 절차도를 나타낸다. UE(211) 접속은 LSA 주파수 대역(106) 손실시에 UE(211)가 RRC-유휴 상태에 있을 때에 수행된다. LSA 주파수 대역(106)이 반환 요구될 때에 UE(211)가 LSA 주파수 대역(106) 상에서 eNB(209)에 접속되면, RRC 접속 수립/재수립 이유는 UE(211)에 의해 전송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 내의 LSASpectrumRelease 이유로서 표시된다.
LSA 주파수 대역(106)이 점유자에 의해 반환 요구되고, 또한 LSA 주파수 대역(106) 손실로 인해 유휴-상태 UE(211)가 중단되면, UE(211)는 RRC 접속 수립을 즉시 요청하지 않는다. 또한, UE(211)는 LTE 1차 주파수 대역(102)과 연관된 eNB(209)를 단순히 재선택하고, RRC 접속 요청을 행하기 전에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도착을 대기한다.
UE(211)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데이터 도착을 경험할 때에, UE(211)는 LSASpectrumRelease 이유로서 표시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 즉 M3(408)를 전송한다. eNB(209)는 관련 LTE 1차 주파수 대역(102)에 대한 UE(211)의 접속(414)을 최적화한다. 또한, eNB(209)는 수립된 접속 동안에 중단된 UE(211)에 대해 접속 수용 우선권을 제공할 수 있다. UE(211)는 LTE 1차 주파수 대역(102) 상에서 재접속되었을 때에 RRC 접속 셋업 완료 메시지 M4(410)를 전송한다.
업데이트된 RRC 접속 요청 메시지 M3(408)의 파라미터 필드들을 표 2에 도시한다.
Figure pct00002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예시적인 통신 스테이션(500)의 기능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eNB(209) 또는 UE(211)(도 2)로서의 사용에 적합할 수 있는 통신 스테이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또한, 통신 스테이션(500)은 핸드헬드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넷북, 무선 단말, 랩탑 컴퓨터, 펨토셀, HDR 가입자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단말, 또는 다른 PCS 디바이스로서의 사용에 적합할 수 있다.
통신 스테이션(5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501)를 이용해서 다른 통신 스테이션들에게 신호를 전송하고 다른 통신 스테이션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시버(510)를 갖는 물리적 계층 회로(5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계층 회로(502)는 무선 매체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스테이션(500)은 여기서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506) 및 메모리(5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계층 회로(502) 및 프로세싱 회로(506)는 도 3 및 도 4에 상세히 열거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의하면, MAC 회로(504)는 무선 매체를 놓고서 경합하며 또한 무선 매체 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프레임들 또는 패킷들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물리적 계층 회로(502)는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리적 계층 회로(502)는 변조/복조, 업컨버전/다운컨버전, 필터링, 증폭, 등을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의 프로세싱 회로(506)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 이상의 안테나(501)는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구성된 물리적 계층 회로(502)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508)는 메시지 프레임들을 설정 및 전송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싱 회로(506)를 구성하고, 여기서 설명되는 다수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08)는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한 임의의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는 ROM, RAM, 자기 디바이스 저장 매체, 광 저장 매체, 플래시-메모리 디바이스 및 기타 저장 디바이스 및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은 PDA, 무선 통신 능력을 갖는 랩탑 또는 휴대용 컴퓨터, 웹 태블릿, 무선 전화, 스마트폰, 무선 헤드셋, 호출기, 인스턴트 메시징 디바이스, 디지털 카메라, 액세스 포인트, 텔레비전, 의료 기구(예를 들어, 심박수 측정기, 혈압 측정기, 등), 또는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부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501)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501)는 예를 들어 다이폴 안테나, 모노폴 안테나, 패치 안테나, 루프 안테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또는 RF 신호의 전송에 적합한 다른 타입의 안테나를 포함해서 하나 이상의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 이상의 안테나를 대신하여, 다수의 개구를 갖는 단일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들에서, 각 개구는 별도의 안테나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실시예들에서, 안테나들 각각과 전송 스테이션의 안테나들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이한 채널 특성 및 공간 다이버시티를 위해 안테나들은 유효하게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은 키보드, 디스플레이,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다수의 안테나, 그래픽 프로세서, 응용 프로세서, 스피커, 및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 LCD 화면일 수 있다.
통신 스테이션(500)이 여러 별도의 기능 요소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기능 요소들 중 2 이상은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들, 및/또는 기타 하드웨어 요소들을 포함한 프로세싱 요소들과 같은 소프트웨어-구성 요소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RFIC(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및 여기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적어도 수행하는 다수의 하드웨어 및 논리 회로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의 기능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요소들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상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여기서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는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비일시적 메모리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는 ROM, RAM, 자기 디바이스 저장 매체, 광 저장 매체, 플래시-메모리 디바이스, 및 기타 저장 디바이스 및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스테이션(5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메모리 상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여기서 논의되는 기술들(예를 들어,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술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머신(6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머신(600)은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거나 혹은 다른 머신들에 접속(예를 들어, 네트워크화)될 수 있다. 네트워크화된 배치에서, 머신(600)은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버 머신, 클라이언트 머신으로서, 또는 양쪽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에서, 머신(600)은 피어-투-피어(P2P)(또는 다른 분산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머신(600)은 PC, 태블릿 PC, 셋탑 박스(STB), PDA, 이동 전화, 웹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 또는 그 머신 예를 들어 베이스 스테이션에 의해 취해지는 동작들을 명시하는 (순차적이거나 그렇지 않은)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일 수 있다. 또한, 단일 머신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머신"의 용어는 클라우드 컴퓨팅, SaaS(software as a service), 또는 다른 컴퓨터 클러스터 구성과 같은 여기서 논의되는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인스트럭션의 세트(또는 다수의 세트들)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머신들의 임의의 집합도 포함하도록 취해져야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예들은 다수의 구성요소들, 모듈들, 또는 메카니즘들 혹은 논리를 포함하거나 이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모듈들은 동작시에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유형 개체들(예를 들어, 하드웨어)이다. 모듈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예에서,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에 내장된)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명확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하드웨어는 구성가능 실행 유닛들(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들, 회로들, 등) 및 동작시에 특정 동작을 실행하도록 실행 유닛들을 구성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하는 것은 실행 유닛들 또는 로딩 메카니즘의 지시 하에서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실행 유닛들은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을 때에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예에서, 실행 유닛들은 1 이상의 모듈의 부재일 수 있다. 예컨대, 동작하에서, 실행 유닛들은 시간 상으로 한 순간에 제 1 모듈을 구현하도록 제 1 인스트럭션 세트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제 2 모듈을 구현하도록 제 2 인스트럭션 세트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다.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600)은 하드웨어 프로세서(602)(예를 들어, CPU, GPU, 하드웨어 프로세서 코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메인 메모리(604) 및 정적 메모리(60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의 일부 또는 전체는 인터링크(예를 들어, 버스)(608)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머신(600)은 전력 관리 디바이스(632), 그래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 알파뉴메릭 입력 디바이스(612)(예를 들어, 키보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탐색 디바이스(614)(예를 들어, 마우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그래픽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0), 알파뉴메릭 입력 디바이스(612) 및 UI 탐색 디바이스(614)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머신(600)은 저장 디바이스(즉, 드라이브 유닛)(616), 신호 생성 디바이스(618)(예를 들어, 스피커), 안테나(들)(630)에 결합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트랜시버(620), 및 GPS 센서, 나침반, 가속도계, 또는 기타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628)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머신(600)은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프린터, 카드 리더, 등)을 제어하거나 통신하기 위해 직렬(예를 들어, USB), 병렬, 혹은 다른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IR), NFC, 등) 접속과 같은 출력 제어기(634)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616)는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의해 이용되거나 구현되는 데이터 구조 또는 인스트럭션(624)(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이 저장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62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624)은 메인 메모리(604) 내에, 정적 메모리(606) 내에, 또는 머신(600)에 의한 그 실행시에 하드웨어 프로세서(602) 내에, 완벽하게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예에서, 하드웨어 프로세서(602), 메인 메모리(604), 정적 메모리(606), 또는 저장 디바이스(616)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622)가 단일 매체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624)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단일 매체 또는 다수의 매체(예를 들어, 중앙형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관련 캐시들 및 서버들)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용어는 머신(6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인스트럭션을 저장, 인코딩, 또는 전달할 수 있고, 또한 머신(600)으로 하여금 본 발명의 기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수행하게 하거나, 이러한 인스트럭션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러한 인스트럭션과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 인코딩, 또는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예들은 고체-상태 메모리들과, 광학 및 자기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대형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대부분이 휴면하고 있는 복수의 입자들을 갖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대형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특정 예들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분리가능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스트럭션(624)은 다수의 전송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프레임 릴레이, I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 중 임의의 하나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트랜시버(620)를 거쳐서 전송 매체를 이용해서 통신 네트워크(626) 상에서 추가로 전송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은 그 중에서도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모바일 전화 네트워크(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POTS(Plain Old Telephone) 네트워크,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로 알려진 IEEE 802.11 계통의 표준들, WiMax®로 알려진 IEEE 802.16 계통 표준들), IEEE 802.15.4 계통 표준들, 및 피어-투-피어(P2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트랜시버(620)는 통신 네트워크(626)에 접속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잭(예를 들어, 이더넷, 동축, 또는 폰 잭) 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트랜시버(620)는 SIMO(single-input multiple-output) 기술,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 또는 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매체"의 용어는 머신(6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인스트럭션을 저장, 인코딩 또는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들 혹은 다른 무형 매체를 포함하는 임의의 무형 매체를 포함하도록 취해져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UE는 LSA 주파수 스펙트럼의 손실시에 접속 상태를 판정하고, UE가 수립된 접속 상태에 있을 때에 재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UE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에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 상기 요청 메시지는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전달함 - ,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에 따라 1차 LTE 주파수 대역에 최적으로 접속하고, 접속 또는 재접속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는, 머신에 의한 실행시에, 머신으로 하여금, LSA 주파수 대역 스펙트럼의 손실시에 접속 상태를 판정하는 동작과, UE가 수립된 접속 상태에 있을 때에 재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UE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에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 상기 요청 메시지는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전달함 - 과,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에 따라 1차 LTE 주파수 대역에 최적으로 접속하는 동작과, 접속 또는 재접속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게 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EUTRAN은 UE가 수립된 접속 상태에 있을 때에는 재접속 요청 메시지를 또는 UE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 요청 메시지는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함 - ;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에 따라 1차 LTE 주파수 대역에 최적으로 접속할 것을 UE에게 지시하고; UE가 LTE 주파수 대역에 최적으로 접속된 후에 접속 또는 재접속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Claims (25)

  1. 프로세서 및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UE)로서,
    상기 트랜시버는,
    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eNB(Evolved Node B)에 전송 - 상기 메시지는 요청에 대한 LSA(Licensed Shared Access)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cause)를 표시함 - 하고,
    상기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와 연관된 정보에 따라 1차 LTE(Long Term Evolution) 주파수 대역 상에서 상기 eNB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유휴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업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도착을 대기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접속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재수립 요청(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의 재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LSASpectrumRelease"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유휴의 이전 상태에서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1차 LTE 주파수 대역으로의 접속 후에 RRC 접속 셋업 완료(Connection Setup Complete)의 접속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접속의 이전 상태에서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1차 LTE 주파수 대역으로 접속한 후에 RRC 접속 재수립 완료(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의 재접속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8.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로서,
    상기 인스트럭션은, 사용자 장치(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시에, 상기 UE로 하여금,
    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eNB에 전송하는 동작 - 상기 메시지는 상기 요청에 대한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함 - 과,
    상기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와 연관된 정보에 따라 1차 LTE 주파수 대역 상에서 상기 eNB에 접속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유휴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업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도착을 대기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접속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재수립 요청(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의 재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12. 제 8 항에 있어서,
    "LSASpectrumRelease"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유휴의 이전 상태에서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1차 LTE 주파수 대역으로의 접속 후에 RRC 접속 셋업 완료의 접속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접속의 이전 상태에서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1차 LTE 주파수 대역으로 최적으로 접속한 후에 RRC 접속 재수립 완료의 재접속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인스트럭션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15. eNB로서,
    접속을 요청하는 UE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메시지는 상기 요청에 대한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함 - ,
    상기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와 연관된 정보에 따라 1차 LTE 주파수 대역 상에서 접속할 것을 상기 UE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eNB.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유휴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eNB.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접속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전달하는 RRC 접속 재수립 요청의 재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eNB.
  18. 제 15 항에 있어서,
    "LSASpectrumRelease"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eNB.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유휴의 이전 상태에서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1차 LTE 주파수 대역으로의 접속 후에 RRC 접속 셋업 완료의 접속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eNB.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접속의 이전 상태에서 동작되는 경우에 상기 1차 LTE 주파수 대역에 접속한 후에 RRC 접속 재수립 완료의 재접속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eNB.
  21.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후에 접속을 수립하는 방법으로서,
    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eNB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메시지는 상기 요청에 대한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함 - 와,
    상기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와 연관된 정보에 따라 1차 LTE 주파수 대역 상에서 상기 eNB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유휴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업링크 데이터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도착을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RRC-접속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RRC 접속 재수립 요청의 재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LSASpectrumRelease"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LSA 주파수 대역의 손실 이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67030637A 2014-06-02 2015-04-30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의 재접속 KR101871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93,426 2014-06-02
US14/293,426 US9560690B2 (en) 2014-06-02 2014-06-02 Interrupted handoff reconnection for licensed shared access
PCT/US2015/028585 WO2015187273A1 (en) 2014-06-02 2015-04-30 Interrupted handoff reconnection for licensed shared ac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858A true KR20160142858A (ko) 2016-12-13
KR101871091B1 KR101871091B1 (ko) 2018-06-25

Family

ID=5470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637A KR101871091B1 (ko) 2014-06-02 2015-04-30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의 재접속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0690B2 (ko)
EP (1) EP3149999B1 (ko)
JP (1) JP6416287B2 (ko)
KR (1) KR101871091B1 (ko)
CN (1) CN106256150B (ko)
WO (1) WO2015187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0690B2 (en) 2014-06-02 2017-01-31 Intel Corporation Interrupted handoff reconnection for licensed shared access
US9485664B2 (en) * 2014-06-19 2016-11-01 Intel Corporation Idle mode cell selection for licensed shared access
EP3198921B1 (en) * 2014-09-22 2019-07-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handling a communication failure in a spectrum sharing communication system
US10104662B2 (en) * 2014-12-18 2018-10-16 Intel Corporation Licensed shared access reverse link and message feedback control
US20170171752A1 (en) * 2015-12-14 2017-06-15 Qualcomm Incorporated Securing signaling interface between radio access network and a service management entity to support service slicing
US10581495B2 (en) * 2017-08-18 2020-03-03 Nokia Technologies Oy Physical layer configuration continuity during radio resource control restoration
CN110049578B (zh) * 2018-01-17 2021-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连接修改方法、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9397B2 (en) * 2010-07-28 2014-04-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MBMS) service feedback
CN102457922A (zh) * 2010-10-15 2012-05-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小区频率切换方法、系统及装置
EP2681949A1 (en) * 2011-02-28 2014-01-0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change of operating frequency
EP2509345A1 (en) * 2011-04-05 2012-10-10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small data transmissions for machine-type-communication (MTC) devices
KR20120122819A (ko) * 2011-04-30 2012-11-07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연결을 재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2171200A1 (zh) * 2011-06-16 2012-12-20 华为技术有限公司 动态频谱分配方法、中心控制单元、基站及频谱分配系统
US8811341B2 (en) * 2011-08-12 2014-08-19 Blackberry Limited Releasing time domain measurement restrictions
WO2013062388A2 (ko) * 2011-10-27 2013-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EP2795953A1 (en) 2011-12-22 2014-10-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dynamic spectrum allocation
EP2870790B1 (en) 2012-07-06 2017-11-1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se of licensed shared spectrum in a radio access network where signal propagation is unknown
US20150319621A1 (en) * 2012-10-29 2015-11-0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llocation of a Shared Resource
JP2015537475A (ja) * 2012-11-15 2015-12-2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的共有スペクトルに配備される無線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チャネル明け渡し手順
US9961607B2 (en) * 2013-08-09 2018-05-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assisted cell selection at connection re-establishment
US9462478B2 (en) * 2014-03-28 2016-10-04 Intel Corporation Dynamic shared access spectrum selection
US9560690B2 (en) 2014-06-02 2017-01-31 Intel Corporation Interrupted handoff reconnection for licensed shared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49999A1 (en) 2017-04-05
US20150351148A1 (en) 2015-12-03
US9560690B2 (en) 2017-01-31
WO2015187273A1 (en) 2015-12-10
KR101871091B1 (ko) 2018-06-25
CN106256150B (zh) 2020-04-07
JP6416287B2 (ja) 2018-10-31
EP3149999B1 (en) 2019-02-20
CN106256150A (zh) 2016-12-21
EP3149999A4 (en) 2018-02-21
JP2017515426A (ja)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091B1 (ko) Lsa를 위한 중단된 핸드오프의 재접속
CN106664621B (zh) 授权共享接入的频谱释放时的切换
CN106165467B (zh) 针对长期演进的授权共享接入
US9578544B2 (en)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ing for dual connectivity networks
JP6469732B2 (ja) ライセンス共有アクセスのためのユーザー装置、方法、エボルブドノードb、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339237B2 (ja) ライセンスされた共有アクセスのための短縮されたハンドオーバー遅延
US9699802B2 (en) User equipment uplink toggling for dual connectivity networks
CN106465231B (zh) 针对授权共享接入的同步辅小区释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