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395B1 - 유리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395B1
KR101804395B1 KR1020170002771A KR20170002771A KR101804395B1 KR 101804395 B1 KR101804395 B1 KR 101804395B1 KR 1020170002771 A KR1020170002771 A KR 1020170002771A KR 20170002771 A KR20170002771 A KR 20170002771A KR 101804395 B1 KR101804395 B1 KR 101804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eating
cooling
unit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희
하재호
Original Assignee
한동희
세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희, 세향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동희
Priority to KR102017000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395B1/ko
Priority to PCT/KR2017/015678 priority patent/WO201812833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86H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bu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93Tools and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chu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5/00Annealing glass products
    • C03B25/04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continuous way
    • C03B25/06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continuous way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유리 성형 장치는 유리가 수용된 몰드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외부에서 상기 가열 유닛으로 상기 몰드를 공급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에서 가열이 완료된 몰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가열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몰드가 수용되는 복수의 안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안착 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몰드가 냉각될 수 있게 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 성형 장치{Glass foa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리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유리를 성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유리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 소재는 태양전지 커버, 박막 액정표시장치(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전계 발광 소자(organic electro luminescent)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각종 모바일 전자 기기의 커버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모바일 전자 기기의 커버로 사용되는 강화 유리는 몰드에 대상물을 넣고 고열로 가열하였다가 냉각시켜서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유리 성형 장치는 복수의 챔버 각각에서 예열, 가열 및 냉각 단계가 각각 실시된다. 따라서, 각각의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다음 공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몰드를 매번 이송해야 함으로써, 택 타임(Tact time)을 감소시키기 어려워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리의 가열이 전기 저항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전기 히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전기 히터는 전력 소비가 커서 생산비를 낮추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991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택 타임이 감소될 수 있는 유리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리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성형되는 유리의 품질이 균일하면서도 우수한 유리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는 유리가 수용된 몰드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외부에서 상기 가열 유닛으로 상기 몰드를 공급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에서 가열이 완료된 몰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가열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몰드가 수용되는 복수의 안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안착 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몰드가 냉각될 수 있게 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열 유닛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챔버 부재; 상기 챔버 부재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몰드가 위치될 수 있는 가열 공간이 형성되며, 고주파 방식으로 상기 몰드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의 일부분에 출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몰드가 상기 가열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는, 가열 공간을 감싸도록 형성된 베이스 부재; 및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가열 공간을 감싸는 부분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발열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챔버 부재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출입홀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 및 상기 챔버 부재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송 유닛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마다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파지 부재, 상기 파지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 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 부재, 상기 승강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열 유닛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유닛은,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단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파지 부재, 상기 파지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 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 부재 및 상기 승강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유닛은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이송 유닛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어느 하나의 이송 유닛이 가열 유닛으로부터 가열된 몰드를 배출하면 나머지 하나의 이송 유닛이 가열 유닛에 가열되지 않은 몰드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 부재는, 상기 몰드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몰드가 출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에 상기 몰드가 출입되는 방향을 따라서 길이를 갖도록 인입되게 형성된 인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 부재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채워지거나 이송될 수 있는 냉각관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 유닛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착 부재가 일정 간격 마다 위치된 제1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 동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안착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되다가 회전이 일정 시간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동되어 상기 몰드를 냉각시키는 냉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 유닛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착 부재가 일정 간격 마다 위치된 제1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 동력 부재,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의 하측에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안착 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몰드에 접촉되도록 하강되어 상기 몰드를 냉각시키는 냉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 유닛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착 부재가 일정 간격 마다 위치된 제1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 동력 부재,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 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몰드에 접촉되면 상기 몰드를 냉각시키는 냉각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 부재가 상기 몰드에 접촉되거나 상기 몰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축을 승강시키는 제2 동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 유닛은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의 가열 유닛은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 유닛은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가열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을 기준으로 반대 영역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 유닛은, 전기 히터 및 고주파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는 가열 유닛에서 가열된 몰드가 이송 유닛에 의해 순차적으로 냉각 유닛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가열 공정보다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냉각 공정이 냉각 유닛에서 별도로 실시됨으로써, 유리를 성형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는 가열 유닛에서 가열된 몰드가 이송 유닛에 의해 한번만 냉각 유닛으로 이송됨으로써, 각각의 공정별로 이동을 실시하는 종래의 유리 성형 장치보다 택 타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는 고주파 히터로 유리를 가열함으로써, 전기 히터만으로 유리를 가열하는 경우보다 소비 전력을 낮춰서 유리를 성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유리를 제조하는 경우, 안착 부재 안에서 몰드가 균일하게 냉각되어 유리 조직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된 유리의 품질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유리 성형 장치에서 가열 유닛과 이송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리 성형 장치에서 냉각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리 성형 장치의 가열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Ⅱ-Ⅱ'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몰드가 이송 유닛에 의해 가열부에 출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냉각 유닛에서 안착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몰드가 냉각 부재에 의해 냉각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냉각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냉각 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안착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이송 유닛의 변형예를 가열 유닛 및 냉각 유닛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유리 성형 장치에서 가열 유닛과 이송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유리 성형 장치에서 냉각 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100)는 가열 유닛(110), 이송 유닛(120) 및 냉각 유닛(130)을 포함한다.
가열 유닛(110)은 유리가 수용된 몰드(M)를 가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몰드(M)의 내부에는 주로 평판 형태를 갖는 미성형 유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목적하는 유리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몰드(M)는 상부(M1, 도 8 참조)와 하부(M2, 도 8 참조)로 분리되어 제조된 유리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챔버 부재(111)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후술할 가열부(113)가 위치될 수 있다. 챔버 부재(111)는 일례로 육면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챔버 부재(111)의 일측에는 몰드(M)가 출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출입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출입 도어(112)는 챔버 부재(111)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되도록 이루어져서 몰드(M)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열부(113)는 상기 챔버 부재(111)의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가열부(113)에는 상기 몰드(M)가 위치될 수 있는 가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가열부(113)는 고주파 방식으로 상기 몰드(M)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13)는 고주파 히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주파 히터는 일반적인 전기 히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전력 소비가 낮다. 예를 들어, 고주파 히터는 전기 히터보다 대략 50% 정도 낮은 전력을 소비하면서 동일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유닛(110)은 고주파 히터로 유리를 가열함으로써, 전기 히터만으로 유리를 가열하는 종래의 가열 유닛(110)보다 소비 전력을 낮춰서 유리를 성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는 가열부에서 예열과 가열을 일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다른 공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몰드를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시간만큼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간 몰드를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리의 성형이 가능한 온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는 종래의 유리 성형 장치보다 택 타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113)는 일례로, 베이스 부재(113a) 및 발열 부재(113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3a)는 가열 공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113a)의 수직 단면의 형상은 튜브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13a)에서 몰드(M)가 안착되는 부분은 평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3a)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베이스 부재(113a)는 내화성 시멘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발열 부재(113b)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113a)의 가열 공간을 감싸는 부분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주파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발열 부재(113b)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면, 유도 전류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고, 이러한 열이 몰드(M)에 전달될 수 있다. 발열 부재(113b)는 일례로 코일 또는 동관일 수 있다. 이러한 발열 부재(113b)는 베이스 부재(113a) 내부에 스프링 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베이스 부재(113a)는 몰드(M)가 발열 부재(113b)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발열 부재(113b)에서 발생된 열이 몰드(M)로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유닛(110)을 사용하여 유리를 제조하는 경우, 가열부(113)의 가열 공간 안에서 몰드(M)가 균일하게 가열되어 유리 조직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된 유리의 품질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14)는 상기 가열부(113)의 일부분에 출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14)는 상기 몰드(M)가 상기 가열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M)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114)는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114a) 및 동력 부재(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3a)의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출입홀(113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114a)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챔버 부재(111)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14a)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일 수 있다. 이동 부개(114a)가 두 개인 경우, 두 개의 이동 부재(114a)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이격된 두 개의 이동 부재(114a)는 몰드(M)의 좌측 영역 및 우측 영역 각각을 가압할 수 있다.
이동 부재(114a)는 외력에 의해 상기 출입홀(113h)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114a)는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M)를 가압할 수 있다.
동력 부재(114b)는 상기 챔버 부재(111)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114a)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114a)를 승강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동력 부재(114b)는 일례로 선형 모터, 유압 실린더 및 공압 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동력 부재(114b)는 이동 부재(114a)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부(114)는 몰드(M)가 상기 가열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M)를 가압함으로써, 몰드(M) 내부의 유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리가 가열되는 정도에 따라 가압부(114)가 몰드(M)의 상부를 가압하여 몰드 내부의 유리에 그 가압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목적하는 형상의 유리를 보다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리 성형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유닛(110)은 안착 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부재(115)는 상기 가열부(113)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상기 몰드(M)가 안착될 수 있다. 안착 부재(115)의 형상은 일례로 상기 몰드(M)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진 육면체일 수 있다.
몰드(M)가 안착 부재(115)에 의해 가열부(113)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됨으로써, 몰드(M)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가열부(113)의 가열 공간의 가운데에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안착 부재(115)의 두께는 몰드(M)의 상측에서부터 베이스 부재(113a)까지의 거리와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부(113)에서 발생된 열이 몰드(M)에 균일하게 가해짐으로써, 몰드(M)의 특정 부분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몰드(M) 내부의 유리가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몰드(M)는 이송 유닛(12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송 유닛(120)은 몰드(M)를 챔버 부재(111)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챔버 부재(111)로부터 몰드(M)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유닛(18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송 유닛(180)에 의한 몰드의 이송이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부재(115)에서 상기 몰드(M)가 안착되는 상면에는 상기 안착 부재(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입된 인입홈(115h)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홈(115h)은 안착 부재(115)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홈(115h)은 안착 부재(115)의 상면 중앙부위, 중앙부위에서 편심된 위치 또는 상면 가장자리 등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송 유닛(120)에 포함된 파지 부재(121)가 인입홈(115h)에 삽입된 다음, 몰드(M)를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켜서 가열부(113)로부터 챔버 부재(111)의 외부로 몰드를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유닛(110)은 인입홈(115h)이 형성된 안착 부재(115)에 의해 몰드(M)의 이송의 보다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 유닛(110)은 전원 공급 유닛(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유닛(116)은 상기 가열부(113)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유닛(116)은 가열부(113)로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여 몰드(M)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 유닛(110)은 상술한 구조 이외에 통상의 히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구조를 이외에 통상의 전기 히터, 전기 히터와 고주파 히터가 결합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히터를 가열 유닛(110)으로 적용할 수 있다.
냉각 유닛(130)은 상기 이송 유닛(120)에 의해 상기 가열 유닛(110)으로부터 이송된 몰드(M)가 수용되는 복수의 안착 부재(134)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안착 부재(134)가 회전되면서 상기 몰드(M)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몰드(M)의 냉각은 상온에서 열교환에 의한 방법이 될 수 있고, 안착 부재(134)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관을 설치하여 냉각하는 방법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100)는 가열 유닛(110)에서 가열된 몰드(M)가 이송 유닛(120)에 의해 순차적으로 냉각 유닛(13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가열 공정보다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냉각 공정이 냉각 유닛(130)에서 별도로 실시됨으로써, 유리를 성형하기 위한 전체적인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100)는 가열 유닛(110)에서 가열된 몰드(M)가 이송 유닛(120)에 의해 한번만 냉각 유닛(130)으로 이송됨으로써, 각각의 공정별로 이동을 실시하는 종래의 유리 성형 장치보다 택 타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100)는 가열 유닛(110)에서 예열과 가열을 일괄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다른 공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몰드를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시간만큼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공정간 몰드를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유리의 성형이 가능한 온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100)는 종래의 유리 성형 장치보다 택 타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이송 유닛(120)은 일례로, 파지 부재(121), 승강 부재(122), 회전 부재(123), 제1 슬라이딩 부재(124) 및 제2 슬라이딩 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 부재(121)는 베이스부(121a)와, 지지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21a)는 일례로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판(plate) 형상일 수 있다. 지지부(121b)는 상기 베이스부(121a)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121b)는 상기 베이스부(12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마다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부재(121)의 전체적인 형상은 연산 기호인 플러스(+)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21b)는 가열 유닛(110)에서 가열이 완료된 몰드(M)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지지부(121b)의 형상은 일례로 막대 형상의 두 개의 부재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승강 부재(122)는 상기 파지 부재(12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 부재(121)를 승강시킬 수 있다. 몰드(M)가 파지 부재(121)의 지지부(121b)에 위치된 상태에서, 승강 부재(122)는 파지 부재(12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드(M)가 가열 유닛(110)으로부터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도 있고, 몰드(M)가 후술한 냉각 유닛(130)에 안착될 수도 있다.
회전 부재(123)는 상기 승강 부재(1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부재(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부재(123)는 파지 부재(121)를 회전시켜서 복수의 지지부(121b) 각각이 가열 유닛(110) 또는 냉각 유닛(130)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회전 부재(123)는 일례로 회전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1 슬라이딩 부재(124)는 상기 회전 부재(123)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열 유닛(110)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 부재(12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제1 슬라이딩 부재(124)는 일례로 레일 또는 LM가이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회전 부재(123)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부재(125)는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124)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딩 부재(125)는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슬라이딩 부재(12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100)에서 상기 가열 유닛(110)은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의 가열 유닛(110a, 110b)은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부재(125)는 가열 유닛(110)이 배치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슬라이딩 부재(12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지 부재(121)가 제2 슬라이딩 부재(125)에 의하여 각각의 가열 유닛(110)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2 슬라이딩 부재(125)는 일례로 제1 슬라이딩 부재(124)와 마찬가지로 레일 또는 LM가이드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제1 슬라이딩 부재(124)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 부재(122)는 파지 부재(121)의 일측에 결합되고, 회전 부재(123)는 승강 부재(122)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1 슬라이딩 부재(124)는 회전 부재(123)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2 슬라이딩 부재(125)는 제1 슬라이딩 부재(124)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승강 부재(122), 회전 부재(123), 제1 슬라이딩 부재(124), 제2 슬라이딩 부재(125)는 파지 부재(121)를 승강, 회전,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파지 부재(121)에 이들이 결합되는 순서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이송 유닛(12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가열 유닛(110)에서 몰드(M)의 가열을 실시한 다음, 파지 부재(121)에 포함된 지지부(121b)가 제1 슬라이딩 부재(124)에 의하여 가열 유닛(110)에서 가열이 완료된 몰드(M)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파지 부재(121)는 승강 부재(122)에 의하여 상승되고, 제1 슬라이딩 부재(124)는 파지 부재(121)를 가열 유닛(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 슬라이딩 부재(125)는 파지 부재(121)를 냉각 유닛(130)으로 이동시키고, 회전 부재(123)는 파지 부재(121)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다. 승강 부재(122)는 파지 부재(121)를 하강시켜서 몰드(M)를 냉각 유닛(130)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파지 부재(121)는 가열 유닛(110)으로 이송된 다음 전술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열 유닛(110)에서 가열된 몰드(M)가 이송 유닛(120)에 의해 냉각 유닛(130)으로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다.
전술한 냉각 유닛(130)은 일례로 제1 회전 플레이트(131) 및 제1 동력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플레이트(131)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 부재(134)가 제1 회전 플레이트(131)의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일정 간격 마다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유닛(130)이 8개의 안착 부재(134)를 포함하는 경우, 안착 부재(134)는 원형의 제1 회전 플레이트(131)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마다 위치될 수 있다.
제1 동력 부재(132)는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동력 부재(132)는 제1 회전 플레이트(131)의 하측에 결합되어 제1 회전 플레이트(1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몰드(M)는 안착 부재(134) 상에 위치되어 냉각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 부재(134)의 형상은 일례로 상기 몰드(M)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진 육면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M)의 하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안착 부재(134)의 상면의 형상도 이와 대응되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도 8은 몰드가 냉각 부재에 의해 냉각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 유닛(130)은 냉각 부재(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 부재(133)는 상기 안착 부재(134)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1)가 회전되다가 회전이 일정 시간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M)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동되어 상기 몰드(M)를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 부재(134) 상에 몰드(M)가 위치된 상태에서 제1 회전 플레이트(131)의 회전이 일정 시간 정지된 상태에서 냉각 부재(133)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몰드(M)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부재(13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경우, 냉각 부재(133)의 상측에는 별도의 동력원(133a)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원(133a)은 일례로 리니어 모터, 유압 실린더 및 공압 실린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제1 회전 플레이트(131) 상에 8개의 안착 부재(134)가 위치되고 8개의 냉각 부재(133)가 안착 부재(134)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냉각 부재(133)는 3개일 수 있으며, 3개의 냉각 부재(133)는 8개의 안착 부재(134)들 중에서 3개의 안착 부재(134)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냉각 부재(133)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냉각 부재(133)가 몰드(M)를 냉각하는 방법은 상기 냉각 부재(133)의 내부에 낭각수가 채워지거나 이송될 수 있는 냉각관이 설치되는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상기의 방식 이외에 몰드(M)로 냉각된 압축 공기 또는 미세 분무(water-mist)를 몰드(M)로 분사하여 몰드(M)를 냉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 부재(134)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채워지거나 이송될 수 있는 냉각관(C)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관(C)을 통하여 냉각수, 예컨대 냉각된 냉매가 이동하면서 안착 부재(134)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낮춤으로써, 몰드(M)의 열이 낮아질 수 있다.
도 9는 냉각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변형예에 따른 냉각 유닛(230)은 제1 회전 플레이트(131), 제1 동력 부재(132), 제2 회전 플레이트(235) 및 냉각 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 플레이트(131)와 제1 동력 부재(132)는 전술한 냉각 유닛(130, 도 3 참조)에 포함된 제1 회전 플레이트(131, 도 3 참조)와 제1 동력 부재(132, 도 3 참조)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회전 플레이트(235)는 회전축(236)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 플레이트(235)는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13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 플레이트(235)는 제1 회전 플레이트(131)와 동일한 크기 및 넓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236)의 상단은 제2 회전 플레이트(235)의 중심에 결합되고, 하단은 제1 회전 플레이트(131)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냉각 부재(133)는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235)의 하측에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냉각 부재(133)는 상기 안착 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냉각 부재(133)는 상기 몰드(M)에 접촉되도록 하강되어 상기 몰드(M)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냉각 부재(133)의 상측에 결합된 동력원(133a)이 제2 회전 플레이트(235)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변형예에 따른 냉각 유닛(230)은 복수의 냉각 부재(133)가 개별적으로 승강되면서 냉각이 필요한 몰드(M)만 선택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몰드(M)들 각각이 냉각 유닛(230)에 공급된 순서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냉각 부재(133)중에서 먼저 냉각된 몰드(M)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냉각 부재(133)중에서 냉각이 완료되어 내부의 유리가 제거되어야 하는 몰드(M)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냉각 부재(133)만 상승하여 몰드(M)의 냉각을 중단하고, 나머지 냉각 부재(133)들은 몰드(M)의 냉각을 계속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몰드(M)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냉각 유닛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냉각 유닛(330)은 제1 회전 플레이트(131), 제1 동력 부재(132), 제2 회전 플레이트(335), 냉각 부재(133) 및 제2 동력 부재(33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 플레이트(131), 제1 동력 부재(132) 및 제2 회전 플레이트(335)는 전술한 냉각 유닛(230, 도 9 참조)에 포함된 제1 회전 플레이트(131, 도 9 참조), 제1 동력 부재(132, 도 9 참조) 및 제2 회전 플레이트(235, 도 9 참조)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냉각 부재(133)는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335)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 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몰드(M)에 접촉되면 상기 몰드(M)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2 동력 부재(337)는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335)의 회전축(336)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 부재(133)가 상기 몰드(M)에 접촉되거나 상기 몰드(M)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335)의 회전축(336)을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제2 동력 부재(337)가 제2 회전 플레이트(335)를 승강시키면, 앞서 설명한 냉각 부재(133)는 제2 회전 플레이트(335)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변형예에 따른 냉각 유닛(330)은 하나의 제2 동력 부재(337)에 의해 일괄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변형예에 따른 냉각 유닛(230, 도 9 참조)은 냉각 부재(133)마다 냉각 부재(133, 도 9 참조)를 승강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133a, 도 9 참조)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제2 변형예에 따른 냉각 유닛(330)은 냉각 부재(133)를 승강하기 위한 각각의 동력원(133a, 도 9 참조)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유닛(330)의 제조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구조 이외에 상기 냉각 유닛은 회전 플레이트(131)의 하부에 상기 회전 플레이트(131)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동력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동력 부재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상승시켜 밀착 부재(133)와 접촉시켜 냉각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1은 안착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 부재(234)는 변형예로 몸체부(234b)와 인입부(234a)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34b)는 상기 몰드(M)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34b)는 상기 몰드(M)가 출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234b)는 일측이 개구된 육면체일 수 있다. 몰드(M)는 몸체부(234b)의 개구된 일측을 통하여 출입될 수 있다.
인입부(234a)는 상기 몸체부(234b)의 바닥면에 상기 몰드(M)가 출입되는 방향을 따라서 길이를 갖도록 인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입부(234a)는 몸체부(234b)에서 개구된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입부(234a)에 전술한 파지 부재(121)에 포함된 지지부(121b)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입부(234a)는 지지부(121b)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안착 부재(234)가 몰드(M)를 냉각하는 방법은 일례로, 안착 부재(234)의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안착 부재(234)에서 상기 몰드(M)와 마주하는 부분에 다수의 노즐을 형성하여 냉각된 압축 공기 또는 미세 분무(water-mist)를 몰드(M)로 분사하는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안착 부재(234)는 몰드(M)를 감싼 상태에서 몰드(M)를 냉각시킴으로써 몰드(M) 내부의 유리가 균일하게 냉각될 수 있으므로, 유리 조직이 안정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된 유리의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2는 이송 유닛의 변형예를 가열 유닛 및 냉각 유닛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 유닛(220)은 변형예로, 파지 부재(121)와, 승강 부재(222) 및 회전 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 부재(121)는 베이스부(221a)와 지지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21a)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21b)는 상기 베이스부(221a)의 양단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221b)는 베이스부(221a)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가열 유닛(110)의 내부에 위치된 몰드(M)에 가까워지거나 몰드(M)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즉, 전술한 이송 유닛(220)은 베이스부(221a)와 지지부(221b)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변형예에 따른 이송 유닛(220)에 포함된 파지 부재(121)는 지지부(221b)가 베이스부(221a)에 상대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승강 부재(222)는 상기 파지 부재(12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 부재(121)를 승강시킬 수 있다. 파지 부재(121)의 지지부(221b)가 몰드(M)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태에서 승강 부재(222)에 의해 파지 부재(121)가 일정 높이 상승할 수 있다.
회전 부재(223)는 상기 승강 부재(2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부재(2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부재(223) 및 승강 부재(222)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120, 도 2 참조)에 포함된 회전 부재(123, 도 2 참조) 및 승강 부재(122, 도 2 참조)와 유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변형예에 의하면, 가열 유닛(110)은 이송 유닛(220)을 사이에 두고 냉각 유닛(130)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가열 유닛(110), 이송 유닛(220) 및 냉각 유닛(130)이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이송 유닛(22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가열 유닛(110)에서 몰드(M)의 가열을 실시한 다음, 파지 부재(121)에 포함된 지지부(221b)가 베이스부(221a)에 대해 멀어지도록 이동되어 가열 유닛(110)에서 가열이 완료된 몰드(M)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파지 부재(121)는 승강 부재(222)에 의하여 상승되고, 지지부(221b)가 베이스부(221a)에 대해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회전 부재(223)가 파지 부재(121)를 대략 180도 회전시키면, 몰드(M)가 안착된 지지부(221b)는 냉각 유닛(13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지지부(221b)가 베이스부(221a)에 대해 재차 멀어지도록 이동되어 몰드(M)가 냉각 유닛(130)의 안착 부재(134) 상에 위치되면, 지지부(221b)는 승강 부재(222)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지지부(221b)가 베이스부(221a)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되어 몰드(M)의 이송이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 유닛(220)은 가열 유닛(110)에서 가열된 몰드(M)를 회전 동작과 승강 동작만 실시하여 냉각 유닛(130)으로 이송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에서 따른 이송 유닛(220)보다 몰드(M)의 이송이 더욱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200)는 두 개의 이송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이송 유닛(120)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이송 유닛(120) 중 어느 하나의 이송 유닛(120)이 가열 유닛(110)으로부터 가열된 몰드(M)를 배출하면, 나머지 하나의 이송 유닛(120)이 가열 유닛(110)에 가열되지 않은 몰드(M)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200)는 몰드(M)가 가열 유닛(110)으로부터 배출됨과 동시에 공급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체적인 택 타임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300)는 두 개의 가열 유닛(110c, 110d)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가열 유닛(110c, 110d)은 상기 이송 유닛(120)을 기준으로 반대 영역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300)는 가열 유닛(110c, 110d)들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100, 도 1 참조)보다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두 개의 가열 유닛(110)에 포함된 고주파 히터의 동작시 고주파 발생시 서로의 고주파에 의해 고주파 히터의 동작이 원활하지 않게 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100)에 의해 제조된 유리의 상하 단면의 형상은 일례로, 전체적으로 휘어진 형상, 중앙은 평평하고 양단 중 어느 하나만 라운드지게 휘어진 형상 및 양단 모두 휘어진 형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성형 장치(100)가 상기와 같은 유리만 제조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유리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유리 성형 장치
110: 가열 유닛 111: 챔버 부재
112: 출입 도어 113: 가열부
114: 가압부 120, 220: 이송 유닛
121, 221: 파지 부재 121a, 221a: 베이스부
121b, 221b: 지지부 122,222: 승강 부재
123,223: 회전 부재 124: 제1 슬라이딩 부재
125: 제2 슬라이딩 부재 130: 냉각 유닛
131: 제1 회전 플레이트 132: 제1 동력 부재
133: 냉각 부재 134, 234: 안착 부재
234b: 몸체부 234a: 인입부

Claims (18)

  1. 유리가 수용된 몰드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
    외부에서 상기 가열 유닛으로 상기 몰드를 공급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 유닛에서 가열이 완료된 몰드를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가열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몰드가 수용되는 복수의 안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착 부재가 회전되면서 상기 몰드가 냉각될 수 있게 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유닛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파지 부재; 상기 파지 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 부재; 상기 파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상기 파지 부재를 가열 유닛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파지 부재를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거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파지 부재; 상기 파지 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 부재; 및 상기 파지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챔버 부재;
    상기 챔버 부재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몰드가 위치될 수 있는 가열 공간이 형성되며, 고주파 방식으로 상기 몰드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가열부의 일부분에 출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몰드가 상기 가열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가열 공간을 감싸도록 형성된 베이스 부재; 및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가열 공간을 감싸는 부분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주파 전류가 흐르는 발열 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챔버 부재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출입홀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최대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부재; 및
    상기 챔버 부재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 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이송 유닛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어느 하나의 이송 유닛이 가열 유닛으로부터 가열된 몰드를 배출하면 나머지 하나의 이송 유닛이 가열 유닛에 가열되지 않은 몰드를 공급하는 유리 성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부재는,
    상기 몰드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상기 몰드가 출입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에 상기 몰드가 출입되는 방향을 따라서 길이를 갖도록 인입되게 형성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부재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채워지거나 이송될 수 있는 냉각관이 설치된 유리 성형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착 부재가 일정 간격 마다 위치된 제1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 동력 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안착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되다가 회전이 일정 시간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몰드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이동되어 상기 몰드를 냉각시키는 냉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안착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냉각 부재; 및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동력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착 부재가 일정 간격 마다 위치된 제1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 동력 부재;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2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의 하측에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안착 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몰드에 접촉되도록 하강되어 상기 몰드를 냉각시키는 냉각 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안착 부재가 일정 간격 마다 위치된 제1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 동력 부재;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회전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되는 제2 회전 플레이트;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 부재와 대응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몰드에 접촉되면 상기 몰드를 냉각시키는 냉각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냉각 부재가 상기 몰드에 접촉되거나 상기 몰드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제2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축을 승강시키는 제2 동력 부재;를 포함하는 유리 성형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은 복수개이며,
    상기 복수의 가열 유닛은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된 유리 성형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은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가열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을 기준으로 반대 영역에 각각 위치된 유리 성형 장치.
KR1020170002771A 2017-01-09 2017-01-09 유리 성형 장치 KR10180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71A KR101804395B1 (ko) 2017-01-09 2017-01-09 유리 성형 장치
PCT/KR2017/015678 WO2018128332A2 (ko) 2017-01-09 2017-12-28 유리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71A KR101804395B1 (ko) 2017-01-09 2017-01-09 유리 성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395B1 true KR101804395B1 (ko) 2017-12-04

Family

ID=6092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771A KR101804395B1 (ko) 2017-01-09 2017-01-09 유리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4395B1 (ko)
WO (1) WO201812833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2445B (zh) * 2018-12-30 2019-12-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取料机构及具有其的液晶屏装配装置
CN109531616B (zh) * 2018-12-30 2020-10-23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装配机构及具有其的液晶屏装配装置
CN109721224B (zh) * 2019-02-21 2022-02-08 四川涪盛科技有限公司 热弯机
CN113654357B (zh) * 2021-07-29 2022-10-21 扬州美德莱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人造牙烧结炉及其烧结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4519A (ja) * 2009-04-24 2010-11-11 Konica Minolta Opto Inc ガラス成形体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成形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1888B2 (ja) * 1993-06-28 2001-08-27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素子の製造方法
EP0635459A3 (en) * 1993-07-19 1995-06-14 Corning Inc Method and device for pressing glass objects.
KR200183941Y1 (ko) * 1999-12-09 2000-06-01 세향산업주식회사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WO2014051014A1 (ja) * 2012-09-28 2014-04-03 東芝機械株式会社 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4519A (ja) * 2009-04-24 2010-11-11 Konica Minolta Opto Inc ガラス成形体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成形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8332A3 (ko) 2018-08-30
WO2018128332A2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395B1 (ko) 유리 성형 장치
JP5934801B2 (ja) 成形装置
KR101206328B1 (ko) 일측 또는 양측에 곡면부를 갖는 핸드폰용 커버글래스 성형장치
US9657992B2 (en) System for maintaining interior volume integrity in an induction vacuum furn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30138832A (ko) 흑연화로 및 흑연의 생성 방법
KR101904825B1 (ko) 유리 성형 장치
KR101804393B1 (ko) 유리 성형 장치
KR20130074145A (ko) 트레이교환모듈,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KR20190022013A (ko) 브라운 가스를 이용한 입체유리 성형장치
KR101804394B1 (ko) 유리 성형 장치
KR101625478B1 (ko) 수직 적층식 히터를 구비한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증착 방법
KR101931533B1 (ko) 유리 성형 장치
US20060233908A1 (en) Single station thermo-forming machine
KR101762359B1 (ko) 유리 성형 장치 및 유리 성형 방법
KR101365181B1 (ko) 연속 제품 주조 장비 및 연속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479302B1 (ko) 기판 소성 장치
KR101884777B1 (ko) 유리 성형 장치
KR101902415B1 (ko) 유리 성형 장치
KR101884778B1 (ko) 유리 성형 장치
KR101778232B1 (ko) 성형 장치
KR100600398B1 (ko) 유리성형 장치
KR101902413B1 (ko) 유리 성형 장치
KR101884780B1 (ko) 유리 성형 장치
KR20020081053A (ko) 기판 열처리 장치
KR101015389B1 (ko) 기판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