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299B1 -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299B1
KR101804299B1 KR1020150157419A KR20150157419A KR101804299B1 KR 101804299 B1 KR101804299 B1 KR 101804299B1 KR 1020150157419 A KR1020150157419 A KR 1020150157419A KR 20150157419 A KR20150157419 A KR 20150157419A KR 101804299 B1 KR101804299 B1 KR 101804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urved surface
alignment
dial gaug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809A (ko
Inventor
천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2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5/21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for measuring radius of curv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2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곡면을 가지는 피처리물에 대하여 다축 구동되는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피처리물에 대하여 다축 구동되는 제 2지지대를 포함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제 1지지대에 대한 제 2지지대의 곡면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는 상기 제 1지지대에 지지되어 기준점을 형성하는 기준축, 상기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기준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 2지지대를 향해 연장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 곡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 1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모듈을 포함하므로,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ALIGNMENT MEASURING APPARATUS FOR SEPARATED MULTI-AXIS AND ALIGNMENT MEASURING METHOD OF SEPARATED MULTI-AXIS}
본 발명은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면을 가지는 피처리물의 일면에 대하여 다축 구동되는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피처리물의 이면에 대하여 다축 구동되는 제 2지지대를 포함하는 다축 장비의 상기 제 1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에 형성된 곡면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축 장비는 피처리물을 가공, 조립 등의 처리를 위하여 복수의 툴이 필요한자동화 제조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항공기 날개와 같이 곡면을 가지는 피처리물의 가공 및 조립시, 다축 장비는 항공기 날개의 일면과 이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다축 구동되는 복수의 툴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 제조 장비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항공기 날개를 조립 및 가공하는 다축 장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항공기 날개(1)를 조립 및 가공하는 다축 장비(10)는 항공기 날개(1)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 빔(21)과, 수평 빔(21)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수직 빔(23)으로 이루어지는 갠트리(gatry;20)를 포함한다.
한쌍의 수직 빔(23)에는 항공기 날개(1)의 일면을 향해 배치되는 제 1지지대(31)와, 항공기 날개(1)의 이면을 향해 배치되는 제 2지지대(32)가 지지될 수 있다. 제 1지지대(31)에는 제 1툴(41)이 지지되고 제 2지지대(32)에는 제 2툴(42)이 지지된다. 제 1툴(41)은 항공기 날개(1)에 홀을 형성하는 드릴링 장치일 수 있으며, 제 2툴(42)은 항공기 날개(1)에 형성된 홀에 리벳을 체결하는 리벳팅 장치일 수 있다. 제 1지지대(31)와 제 2지지대(32)는 항공기 날개(1)의 곡면을 따라 제 1툴(41)과 제 2툴(42)의 위치가 자유롭게 가변될 수 있도록 다축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툴(41)과 제 2툴(42)은 항공기 날개(1)에 형성된 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얼라인 된 상태에서 해당 작업을 수행되어야 하므로, 장비의 가동 이전에 제 1툴(41)과 제 2툴(42)을 각각 지지하는 제 1지지대(31)와 제 2지지대(32)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은 다축 장비는 각 구동축의 오차 및 구동축 간의 오차 등 많은 기하학적인 오차를 포함하고, 이러한 오차들이 상호 간에 복잡하게 합성되어, 최종 결과물에 대하여 자세 오차를 생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오차의 발생여부를 정확하게 측정 가능해야 하며, 기존에는 기계에 대한 성능 검증 및 오차 확인을 위하여, 간접적으로 기계의 기하학적 오차의 측정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한 오차 측정 장비로는 주로 레이저 간섭계, 볼바, 정전용량센서, 오토콜리미네이터, PSD 등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회전축을 포함하는 다축기계에 대해서는 측정의 복잡성으로 인해 현재 다양한 측정 방법들이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간접 측정에 의한 오차측정 방법은 여전히 오차를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내포하고 있어,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가공 및 조립 장비에서 낮은 정밀도로 인해 품질이 불균일해져 신뢰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 반복되는 보정작업을 실행하면서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작업자의 작업 피로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99386호 (2011.09.0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면이 형성된 피처리물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다축 구동되도록 서로 분리된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를 포함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상태를 직접 방식으로 측정하도록 한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곡면을 가지는 피처리물에 대하여 다축 구동되는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피처리물에 대하여 다축 구동되는 제 2지지대를 포함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제 1지지대에 대한 제 2지지대의 곡면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는 상기 제 1지지대에 지지되어 기준점을 형성하는 기준축, 상기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기준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 2지지대를 향해 연장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 곡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 1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을 향해 스핀들이 돌출되는 다이얼 게이지일 수 있다.
상기 회전바는 상기 측정모듈이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전장이 신축될 수 있다.
한편, 곡면을 가지는 피처리물에 대하여 다축 구동되는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피처리물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피처리물에 대하여 다축 구동되는 제 2지지대를 포함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제 1지지대에 대한 제 2지지대의 곡면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은 상기 제 1지지대에 기준축을 설치하여 기준점을 형성하는 기준점 형성단계 및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회전바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바의 끝단부에 설치된 측정모듈에 의해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 곡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 1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에 스핀들이 접촉되지 않을 때 최소값을 나타내고, 상기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이 가까울수록 큰 값을 나타내는 다이얼 게이지이며, 상기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은 상기 기준점 형성단계와 상기 회전바 회전단계의 사이에, 상기 다이얼 게이지에 표시되는 값이 상기 최소값보다 큰 값이 표시되도록 상기 다이얼 게이지의 위치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측정위치 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은 상기 기준값과 상기 다이얼 게이지에 표시되는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 1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의 얼라인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은 상기 다이얼 게이지에 표시되는 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크게 나타나는 경우, 상기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은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은 상기 다이얼 게이지에 표시되는 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게 나타나는 경우, 상기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은 멀게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피처리물에 대한 정밀 가공, 정밀 조립 등이 가능하여 피처리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은 작업 시간의 단축,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등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항공기 날개를 조립 및 가공하는 다축 장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의 다이얼 게이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100)는 제 1지지대(31)에 대한 제 2지지대(32)에 형성된 곡면(33)(이하, '제 2지지대 곡면'이라 함.)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제 1지지대(3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100)는 제 1지지대(31)에 지지되는 기준축(1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축(110)은 제 1지지대(31)에 대한 제 2지지대 곡면(33)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점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 1지지대(31)에 형성되는 기준점은 제 2지지대 곡면(33)의 중심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 2지지대 곡면(33)이 제 1지지대(31)에 대해 얼라인 된 상태가 양호하다면, 제 2지지대 곡면(33)은 기준점과의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다.
기준축(110)은 제 1지지대(3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하여 넓은 지지면을 형성하는 지지판(111)과, 지지판(111)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기둥(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기둥(113)의 외경부에는 회전축(130)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130)은 돌출기둥(113)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중공(131)이 형성되어 돌출기둥(113)에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축(130)은 돌출기둥(113)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정밀한 측정을 위하여 돌출기둥(113)의 외주면과 회전축(130)의 내주면은 허용오차범위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연마되어야 한다.
회전축(130)의 외경부에는 체결블럭(150)이 결합되고, 체결블럭(150)에는 회전바(170)가 결합된다. 체결블럭(150)은 회전축(130)과 회전바(170)를 간편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회전바(170)는 제 1지지대(31)와 제 2지지대(32)의 거리에 따라 그 전장이 신축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바(170)의 끝단부에는 측정모듈이 결합될 수 있다. 측정모듈은 회전바(170)와 함께 회전되며, 제 2지지대(32)의 곡면에 접촉되어 기준점에 대한 제 2지지대 곡면(33)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모듈로는 다이얼 게이지(19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의 다이얼 게이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이얼 게이지(190)는 제 2지지대(32)의 곡면에 접촉하여 제 2지지대(32)의 곡면을 따라 직선 이송되는 스핀들(spindle;191), 스핀들(191)의 측면에 정밀 연마된 래크(rack;191a), 래크(191a)에 물려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pinion;192)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192)의 회전운동은 피니언(192)과 같은 축에 고정되어 있는 제 1치차(193)와, 장치침(194a)이 부착된 지침피니언(194)에 의해서 확대된다. 다음 이 장치침(194a)에 의해 원형의 눈금판(195)에 이동량이 지시된다. 지침피니언(194)의 회전운동은 이에 물려 있는 제 2치차(196)를 회전시켜 장지침(194a)이 1회전할 때 제 2치차(196)에 고정된 단지침(미도시)이 1눈금 회전하도록 하여 넓은 범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치차(196) 축에 감겨져 있는 헤어스프링(Hair spring;197)은 측정시 항상 측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동시에 치차를 항상 동일한 치면에 백래쉬(Backlash)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후퇴오차를 최소화하는 작용을 한다. 스핀들(191)에 부착된 가이드 핀(198)은 몸체에 있는 가이드 홈(Spindle guide)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어 스핀들(191)이 회전하는 것을 막아 래크(191a)와 피니언(192)이 정확하게 물리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100)는 제 1지지대(31)에 기준점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다이얼 게이지(190)를 확인하며 제 1지지대(31)에 대한 제 2지지대 곡면(33)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은 기준점 형성단계(S11), 측정위치 설정단계(S13) 및 측정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점 형성단계(S11)는 제 1지지대(31)에 기준축(110)을 설치하여 기준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제 1지지대(31)에 지지판(111)를 고정하고, 돌출기둥(113)에 회전축(130)을 결합한다. 그리고 회전축(130)에 회전바(170)가 결합된 체결블럭(150)을 체결한다.
측정위치 설정단계(S13)는 측정을 위한 다이얼 게이지(190)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다이얼 게이지(190)는 스핀들(191)이 제 2지지대 곡면(33)에 접촉되지 않을 때 최소값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다이얼 게이지(190)의 스핀들(191)이 제 2지지대(32)의 곡면이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서 측정이 시작된다면, 다이얼 게이지(190)는 제 2지지대 곡면(33)의 얼라인 상태를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바(170)의 전장을 신장시키거나, 제 1지지대(31)와 제 2지지대(32)의 거리를 좁혀 다이얼 게이지(190)의 스핀들(191)을 제 2지지대 곡면(33)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스핀들(191)이 제 2지지대 곡면(33)에 접촉된 위치에서 다이얼 게이지(190)에 표시되는 값을 기준값으로 하여, 기준점에 대한 제 2지지대 곡면(33)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스핀들(191)이 제 2지지대(32)의 곡면에 접촉되지 않은 위치에 있다면, 다이얼 게이지(190)에는 '0'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이얼 게이지(190)에 '0'이 표시되는 위치에 스핀들(191)이 위치한다면, 제 2지지대 곡면(33)에 스핀들(191)이 접촉되지 않은 것이므로, 정확한 측정을 진행할 수 없다.
따라서 다이얼 게이지(190)에 '0'이상의 숫자, 바람직하게는 다이얼 게이지(190)에 표시되는 최대 값의 중간 값이 표시되도록, 즉 다이얼 게이지(190)의 스핀들(191)이 소정의 압력을 받은 상태로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회전바(170)의 전장을 신장시키거나, 제 1지지대(31)와 제 2지지대(32)의 거리를 좁혀 측정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측정단계(S15)는 기준점을 중심으로 회전바(170)를 회전시키고, 회전바(17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바(170)의 끝단부에 결합된 측정모듈이 제 2지지대 곡면(33)에 접촉되어 제 1지지대(31)에 대한 제 2지지대 곡면(33)의 얼라인 상태가 측정되는 단계이다.
좀 더 상세하게, 상술된 바와 같이 측정위치 설정단계(S13)에서 스핀들(191)이 측정위치에 설정되고, 스핀들(191)이 다이얼 게이지(190)에 표시되는 최대 값의 중간 값이'5'라고 가정한다면, 측정이 시작될 때 다이얼 게이지(190)에는 '5'가 표시될 수 있다.
기준점에 대한 제 2지지대 곡면(33)의 얼라인 상태가 양호하다면, 기준점과 제 2지지대 곡면(33)의 거리는 동일하므로 회전바(170)가 회전된다 하더라도, 다이얼 게이지(190)에는 계속해서'5'가 표시될 것이다.
반면, 기준점에 대한 제 2지지대 곡면(33)의 얼라인 상태가 불량하다면, 다이얼 게이지(190)에는 '5'가 아닌 다른 숫자가 표시된다. 즉, 다이얼 게이지(190)에 표시되는 숫자가'5'보다 작다면, 기준점과 제 2지지대 곡면(33)의 거리가 멀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다이얼 게이지(190)에 표시되는 숫자가 '5'보다 크다면, 기준점과 제 2지지대 곡면(33)의 거리가 가까워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다이얼 게이지(190)에 표시되는 숫자를 확인하며, 실시간으로 기준점에 대한 제 2지지대 곡면(33)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항공기 날개 10 : 다축 장비
20 : 갠트리 21 : 수평 빔
23 : 수직 빔 31 : 제 1지지대
32 : 제 2지지대 33 : 제 2지지대 곡면
41 : 제 1툴 42 : 제 2툴
100 :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110 : 기준축 130 : 회전축
150 : 체결블럭 170 : 회전바
190 : 다이얼 게이지

Claims (8)

  1. 항공기의 날개를 조립 및 가공을 위해 다축 구동되는 제 1지지대에 지지되어 기준점을 형성하는 기준축;
    상기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기준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지지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항공기 날개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항공기 날개에 대하여 다축 구동되는 제 2지지대를 향해 연장되는 회전바;및
    상기 회전바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 곡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 1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을 향해 스핀들이 돌출되는 다이얼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는 상기 측정모듈이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전장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4. 항공기의 날개를 조립 및 가공을 위해 다축 구동되는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항공기 날개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항공기 날개에 대하여 다축 구동되는 제 2지지대 중 상기 제 1지지대에 기준축을 설치하여 기준점을 형성하는 기준점 형성단계;및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회전바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바의 끝단부에 설치된 측정모듈에 의해 상기 기준점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 곡면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 1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의 얼라인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에 스핀들이 접촉되지 않을 때 최소값을 나타내고, 상기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이 가까울수록 큰 값을 나타내는 다이얼 게이지이며,
    상기 기준점 형성단계와 상기 회전바 회전단계의 사이에,
    상기 다이얼 게이지에 표시되는 값이 상기 최소값보다 큰 값이 표시되도록 상기 다이얼 게이지의 위치를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측정위치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과 상기 다이얼 게이지에 표시되는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 1지지대에 대한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의 얼라인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게이지에 표시되는 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크게 나타나는 경우, 상기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은 가깝게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게이지에 표시되는 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작게 나타나는 경우, 상기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곡면은 멀게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방법.
KR1020150157419A 2015-11-10 2015-11-10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804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419A KR101804299B1 (ko) 2015-11-10 2015-11-10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419A KR101804299B1 (ko) 2015-11-10 2015-11-10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809A KR20170054809A (ko) 2017-05-18
KR101804299B1 true KR101804299B1 (ko) 2017-12-04

Family

ID=5904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419A KR101804299B1 (ko) 2015-11-10 2015-11-10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2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9931A (en) 1972-12-30 1975-08-19 Akashi Seisakusho Kk Dial indicator for sensing surface variations
JP2000329504A (ja) 1999-05-18 2000-11-30 Fuji Electronics Industry Co Ltd コイルギャップ測定装置
KR100952360B1 (ko) * 2008-10-13 2010-04-09 류만열 곡면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9931A (en) 1972-12-30 1975-08-19 Akashi Seisakusho Kk Dial indicator for sensing surface variations
JP2000329504A (ja) 1999-05-18 2000-11-30 Fuji Electronics Industry Co Ltd コイルギャップ測定装置
KR100952360B1 (ko) * 2008-10-13 2010-04-09 류만열 곡면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809A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9974B1 (en) Process for qualifying accuracy of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ing system
JP6419575B2 (ja) 工作機械およびワークピース測定方法
US9316476B2 (en) Profile measuring instrument, adjusting method for profile measuring instrument, and profile measuring method
JP2006231509A (ja) プログラム制御の工作機械を測定する方法
US8939686B2 (en) Gear machining method
JP2006194739A (ja) 被測定物の振れ測定装置及び方法
US10422620B2 (en) Contact-type position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US10119848B2 (en) Inspection machine and attachment jig therefor
TWI695964B (zh) 運動量測方法及其系統
CN105773610A (zh) 一种机器人校正装置
WO2014133697A1 (en) Automated inspection system
EP2149775A2 (en) Profile measuring instrument and profile measuring method
US7096751B2 (en) Measuring apparatus and accuracy analyz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272598B2 (ja) 加工装置の治具座標特定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加工装置
JP2011206862A (ja) 多軸加工機における回転工具の位置合わせ方法
JP5854661B2 (ja) 形状測定用測定子の校正方法
TWI580513B (zh) Method of Simultaneous Error Measurement of Linear and Rotating Shaft of Machine Tool
JP2018169180A (ja) 内径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内径測定方法
KR101804299B1 (ko) 분리된 다축 장비의 얼라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1664163B1 (ko) 펀칭 기능을 갖는 공작물 셋업 공구 및 그것을 이용한 공작물 셋업 및 펀칭 방법
JP2016173320A (ja) ワーク円筒部の形状測定方法および形状測定装置
JP2008281468A (ja) 角度割り出し精度測定装置、及び角度割り出し精度測定方法
KR101842104B1 (ko) 분리된 다축 장비의 각도 측정 장치
CN111506015A (zh) 用于确定机床表面形状的方法
CN110936229A (zh) 一种卡盘校正机构、机床同心校正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