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010B1 - 복합 링크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 - Google Patents

복합 링크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010B1
KR101804010B1 KR1020147033869A KR20147033869A KR101804010B1 KR 101804010 B1 KR101804010 B1 KR 101804010B1 KR 1020147033869 A KR1020147033869 A KR 1020147033869A KR 20147033869 A KR20147033869 A KR 20147033869A KR 101804010 B1 KR101804010 B1 KR 10180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nveyor belt
support structure
bearing structu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746A (ko
Inventor
데럴 조셉 닐리
Original Assignee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4Endless load-carriers made of interwoven ropes or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3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 B65G17/083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the surface being formed by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 B65G17/08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surface being formed by the traction element specially adapted to follow a curv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Belt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는 지지 구조와 해당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베어링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베어링 구조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보다 마모에 더 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링크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 WITH COMPOSITE LINK}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복합 링크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는 제조, 선적 및 기타 처리 중에 물품의 연속 이동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산업용 컨베이어 벨트는 통상적으로 일련의 이격된 로드를 포함하고 이들 로드는 그에 용접 또는 다른 결합으로 연결된 일련의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벨트는 통상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로 지칭된다.
작은 물품을 제조하는 경우, 로드는 작은 물품이 로드 사이에서 미끄러져서 공장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와 같은 직물, 플라스틱 또는 금속 오버레이로 피복될 수 있다. 또한,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를 구성하는 링크의 구조는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벨트와 링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금속 컨베이어 벨트 링크는 통상적으로 우수한 강도 특성을 가지지만, 링크가 로드에 접촉하는 표면에 마모를 나타낸다. 다른 한편, 플라스틱 컨베이어 벨트 링크는 통상 접촉 표면에서 마모에 강하지만, 때로 금속 벨트보다 강도가 작아서 피로 및/또는 과부하에 따른 고장이 유발된다.
대체로, 금속 및 플라스틱 벨트는 통상 고장 유형이 다르지만, 비슷한 금속 및 플라스틱 벨트는 통상 유사한 수명을 갖는다. 즉, 금속 벨트는 통상 유사한 부하를 받도록 구성된 플라스틱 벨트만큼 수명이 지속되지만, 플라스틱 벨트는 통상 피로 또는 순간적인 부하 스파이크에 따라 고장이 생기는 반면, 금속 벨트는 마모에 의해 고장이 생긴다. 유사한 구조의 플라스틱 및 금속 링크의 경우, 금속 링크는 비슷한 플라스틱 링크보다 2-3배 큰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곡선 선회형 컨베이어 벨트의 여러 다른 부분들은 컨베이어 벨트의 주어진 부분에 잘 맞을 수 있는 재료가 컨베이어 벨트의 다른 부분에는 잘 맞지 않도록 달리 로딩된다.
컨베이어 벨트 및/또는 컨베이어 벨트 링크와 관련하여 이들 및 다른 문제가 존재한다.
컨베이어 벨트 엣지 링크는 강도를 제공하고 피로를 방지하는 재료와 마모를 감소시키는 재료로 형성되며, 이러한 엣지 및 다른 유사한 링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는 링크에 강도를 제공하는 금속 연결 구조와 금속간 접촉을 방해함으로써 링크의 표면에 대한 마모를 감소시키는 베어링 구조로 형성된 복합 링크이다. 이것은 링크가 금속 링크의 장점, 즉 강하고 플라스틱보다 덜 피로를 받는 장점과, 플라스틱 링크의 장점, 즉 금속 링크처럼 마모의 경향을 갖지 않는 장점 모두를 갖게 해준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에 관한 것이다. 링크는 지지 구조와 해당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베어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베어링 구조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베어링 구조는 지지 구조보다 내마모성이 더 클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세장형 연결 로드와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에 관한 것이다. 링크는 제1 재료로 형성된 지지 구조를 포함하고, 지지 구조는 복합 링크의 형태를 설정하는 외형을 포함한다. 또한, 링크는 제2 재료로 형성된 베어링 구조를 포함하고, 베어링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 부품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의 결합면 상에 위치된다. 베어링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 벨트 부품이 지지 구조의 결합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제1 링크 및 제2 링크와, 해당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서로 힌지 연결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에 관한 것이다. 제1 링크는 지지 구조와 해당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베어링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 구조는 베어링 구조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며, 베어링 구조는 지지 구조보다 내모마성이 더 크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들은 다음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의 고찰을 통해 당업자에게 분명하거나 분명해질 것이다. 해당 설명과 본 발명의 내용 내에 포함된 모든 이러한 추가의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고 이후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 및 설명을 참조로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 내의 부품들은 반드시 비율대로 작성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원리를 나타낼 때 강조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지시한다.
도 1은 예시적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곡선 선회형 컨베이어 벨트의 도면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종래 기술의 플랫 와이어형 컨베이어 벨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핑거형 컨베이어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복합 링크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절단선 8에 의해 형성된 복합 링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절단선 9에 의해 형성된 복합 링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절단선 10에 의해 형성된 복합 링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상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복합 링크의 추가 구성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컨베이어 벨트의 추가 구성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컨베이어 벨트의 추가 구성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복합 링크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의 복합 링크를 부분 절개한 사시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복합 링크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강도 모두를 갖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링크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기술한다.
기본적인 컨베이어 벨트 구조와 제조 방법의 예는 여기에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5,954,188호에서 찾을 수 있다. '188 특허의 도 1에 대응하는 첨부된 도 1은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10)를 나타낸다. 컨베이어 벨트(10)는 로드(12)를 포함하고, 해당 로드는 링크(14)에 의해 연결됨과 함께 컨베이어 벨트(10) 상에서 운반되는 물품에 대해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메쉬(16)로 커버된다.
일부의 경우, 로드(12)의 단부에 링크(14)용 정지부로서 작용하는 버튼 헤드(18)가 형성될 수 있다. 로드(12)와 링크(14) 사이에 더 강하고 확실한 연결을 위해 통상적으로 버튼 헤드(18)와 링크(14) 사이에 용접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다른 경우, 버튼이 없는 구성이 채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로드는 링크의 다리부 너머로 확실한 돌기를 형성하지 않고 링크에 용접된다.
도 2는 버튼 헤드(18)가 형성된 로드(12)를 보여주는 종래 기술의 컨베이어 벨트(10)의 일부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추가로, 도 2는 버튼 헤드(18)와 그에 따른 로드(12)를 링크(14)에 체결하는 용접부(20)도 역시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벨트"란 용어는 통상적으로 기어 메커니즘 또는 드럼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종류의 무한 트랙 또는 벨트를 지칭한다. "컨베이어 벨트"란 용어는 여기서 달리 특정되지 않으면 특정 종류의 컨베이어 벨트에 한정되는 것으로 간주돼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측방"이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전체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선에 대해 외측 방향을 말한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종방향"이란 용어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방향을 말한다. 또한, 종방향이란 용어는 컨베이어 벨트의 전후 이동 방향 모두를 말한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수직"이란 용어는 지면(地面)에 대해 상하 방향을 말한다.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은 여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종류의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모듈형 벨트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열(row)로 배치되고 종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호 결합된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 하나의 열의 모듈형 벨트는 측방으로 배치되고 예컨대 연결 로드에 의해 결합되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형 벨트 모듈은 각각의 열의 전방 또는 후방에 측방으로 정렬된 로드 홀 또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링크"란 용어는 컨베이어 벨트 열의 기본 부품을 말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개별 링크는 측방으로 반복되어 전체 열의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열 중에서 오직 2개의 링크만 (로드의 각 단부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링크가 서로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로드(rod)" 또는 "연결 로드"란 용어는 여기서 링크를 함께 결합시키는데 사용되는 길이가 긴 부재를 말한다. 결합시, 링크와 로드는 기본적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를 형성한다.
"피치(pitch)"란 용어는 여기서 컨베이어 벨트의 하나의 측방 단부로부터 반대 측방 단부로 연장되는 하나의 열의 링크를 말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치는 동일한 열의 모든 링크가 서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나의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피치는 각각의 개별 링크가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개별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피치는 연결 로드에 의해 연결된 오직 말단 링크들처럼 최소 개수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피치는 말단 링크뿐 아니라 연결 로드를 따라 말단 링크들 사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이격된 중간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말단 링크"란 용어는 여기서 피치 중 가장 측방에 배치된 링크 또는 열을 이룬 피치에 대한 종결 링크를 말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피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각 측면마다 하나씩 2개의 말단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케이지"란 용어는 여기서 유지 케이지가 컨베이어 벨트의 중심선 외측에 있는 말단 링크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말단 링크와 결합된 구조를 말한다. 다시 말해, 유지 케이지는 컨베이어 벨트의 엣지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케이지는 동작, 조립 도중 또는 임의의 시점에 연결 로드가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우연히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 로드를 고정한다.
도 3은 예시적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22)의 상면도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22)는 복수의 세장형 로드(26)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24)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선(28)은 컨베이어 벨트(22)의 대략적인 중간선을 나타낸다. 컨베이어 벨트(22)는 외측 단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여기의 설명과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외측 또는 외부"란 용어는 컨베이어 벨트(22)의 외측 단부를 향하고 중심선(28)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반대로, "내측 또는 내부"란 용어는 중심선(28)을 향하고 컨베이어 벨트(22)의 외측 단부(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목적상, "종방향"이란 용어는 중심선(28)이 배향된 방향을 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로드(26)는 모양과 크기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으며, 각각의 로드(26)는 세장형 부분의 봉상 재료로 형성된 세장형 원통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26)는 강,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티타늄, 및/또는 다른 금속 등의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로드(26)는 플라스틱, 목재, 탄소 섬유, 및/또는 다른 비금속 재료 등의 비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26)는 실질적으로 중공의 튜브 또는 파이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로드(26)는 중실체일 수 있다.
로드(26)의 내측부(중심선(28) 근처)는 예시의 목적으로 도 3에서는 절단되어 있다. 로드(26)는 다양한 물품의 지지 및 전달을 위해 임의의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26)는 원통체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직경은 컨베이어 벨트(22) 상에서 이동되는 물품의 종류, 컨베이어 벨트(22)의 폭 및/또는 기타 고려 사항 등의 여러 인자를 기초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26)는 테이퍼지거나 단이 진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6)는 링크(24)에 의해 서로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24)는 실질적으로 U-형일 수 있는데, 각각의 링크(24)는 연결 부재(36)에 의해 결합되는 내측 다리부(32)와 외측 다리부(34)를 포함하는 2개의 다리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측 다리부(32)와 외측 다리부(34)는 경면 이미지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다리부(32)와 외측 다리부(34)의 구성은 반대인 배향을 제외하면 동일하므로, 간결성을 위해 오직 외측 다리부(34)만 구체적으로 논의된다. 외측 다리부(34)는 외측으로 경사진 전이 영역(40)에 의해 직선형 하부(42)에 연결된 직선형 상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은 하나의 링크의 연결 부재(36)가 인접하는 링크의 하부(42)에 안착되는 관계로 용이하게 활주될 수 있으므로 링크(24) 간의 상호 연결을 허용하는 보다 넓은 하부 개구(44)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의 링크를 다른 링크 내에 부착하는 것은 비교적 느슨할 결합일 수 있어서, 부품들 간에 수 밀리미터의 측방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부착은 상당히 타이트할 수 있어서, 부품들 간에 단지 최소의 공간만을 남겨서 안착시 링크를 일관된 정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긴 로드를 함께 결합시키는 링크의 형태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논의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링크의 구성은 링크(24)의 구성보다 단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의 각각의 다리부는 단일의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 링크의 구성은 소정의 용례에 대해 더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링크가 링크(24)보다 더 많은 절곡부 및/또는 더 복잡한 형태를 가지는 실시예들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다리부(32)와 외측 다리부(34)는 첨부 도면에서 서로 경면 이미지를 가져서 링크(24)에 대칭을 제공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링크(24)는 비대칭일 수 있다.
각각의 로드(26)는 로드의 각 단부마다 하나씩 2개의 링크(24)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예, 용접에 의해), 피치(46)를 형성할 수 있다. 피치(46)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로드(26)는 외측 다리부(34)의 상부(38)의 개구(48)와 내측 다리부(32)의 대응하는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로드(26)가 외측 다리부(34)에 하부(42)의 개구(50) 또는 그 근처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지만, 로드(26)는 상부(38)의 개구(48)와 내측 다리부(32)의 대응하는 개구 내에서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컨베이어 벨트는 직선 이송 경로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는 "직선 구동형" 컨베이어 벨트로 부르기도 한다. 다른 경우, 컨베이어 벨트는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측방으로 선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는 "곡선 선회형" 컨베이어 벨트로 부르기도 한다. 곡선 주행을 위해,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는 종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일부 경우, 벨트의 전체 폭이 종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다른 경우, 예컨대, 벨트가 오직 일방향으로만 선회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 벨트의 일단부만 종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로드의 수용을 위해 원형 구멍 대신에 종방향으로 배향된 슬롯을 사용하는 것으로 벨트를 접을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를 접을 수 있게 하는 구조는 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22)는 접을 수 있는 종류의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벨트 피치가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종방향의 접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측 다리부(34)의 상부(38)의 개구(48)와 내측 다리부(32)의 대응하는 개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슬롯화될 수 있어서 인접하는 피치의 링크 내에서 주어진 피치(46)의 로드의 종방향 병진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22)는 양측 외측 단부(30)에서 또는 외측 단부(30) 중 하나에서 접힐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 단부(30)는 독립적으로 접힐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각각의 단부(30)가 컨베이어 벨트(22)의 반대쪽 외측 단부(30)에 독립적으로 접힐 수 있다. 이러한 독립적인 접힘은 컨베이어 벨트(22)가 선회부 주위를 따라 전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떤 선회부 주위를 따라 전진될 때, 그 선회부의 내측에 있는 컨베이어 벨트(22)의 외측 단부(30)는 종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반면, 회전부의 외측의 외측 단부(30)는 종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는 "곡선 선회형" 컨베이어 벨트로 지칭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22)는 드럼(52)과 같은 구조체에 의해 구동, 견인, 전진 및/또는 가이드될 수 있다. 드럼(52)은 컨베이어 벨트(22)의 외측 단부(30)와 접촉할 수 있는 구동 표면(54)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드럼(52)은 지정된 경로를 따라 컨베이어 벨트(22)를 단순히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별도의 구동 메커니즘이 컨베이어 벨트(22)를 추진시키고 드럼(52)은 컨베이어 벨트(22)를 지정된 경로를 따라 안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드럼(52)은 컨베이어 벨트(22)를 안내하는 것 이외에 컨베이어 벨트(22)를 추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 벨트(22)는 구동 표면(54)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럼 또는 다른 그러한 추진 또는 안내 기구의 구동 표면은 컨베이어 벨트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 표면은 예컨대 접촉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럼의 구동 표면은 고무, 플라스틱, 금속 및 기타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재료는 경질재나 연마재이거나 또는 구동 표면이 컨베이어 벨트의 외부의 접촉 용접부와 접촉하는 중에 연마재로서 작용하는 입자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컨베이어 벨트는 플랫 톱(flat top) 벨트일 수 있다. 플랫 톱 벨트는 링크의 일면 상에 지지 표면을 갖도록 제조됨으로써 그 표면은 인접하는 링크에 접해 열 또는 피치 사이에 어떤 현저한 개방 영역도 남기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벨트는 피켓형(picket) 벨트일 수 있다. 피켓형 벨트는 구형파(square wave) 수학 함수의 형태와 유사한 횡단 링크를 가진다. 피켓형 벨트 내의 링크는 연결 로드의 삽입을 허용하는 측방 정렬된 구멍 또는 슬롯을 가진다.
일부의 경우, 피켓형 벨트의 피켓 또는 "피치"는 요동하는 플랫 부재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켓형 벨트는 "플랫 와이어형" 벨트로 지칭된다. 기본적인 플랫 와이어형 컨베이어 벨트 구조 및 제조 방법의 예는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 미국 특허 제4,846,339호 및 제5,954,188호에서 찾을 수 있다. 이들 구조 및 제조 방법은 여기 설명되는 실시예의 컨베이어 벨트에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플랫 와이어형 컨베이어 벨트(60)의 2개의 피치의 개략도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랫 와이어형 벨트(60)는 다수의 로드 수용 구멍(64)을 가질 수 있는 제1 피치(62)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60)는 제2 피치(66)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치(66)도 다수의 로드 수용 구멍(68)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수용 구멍(64)이 다른 로드 수용 구멍(68)에 정렬되면, 연결 로드(7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거의 직선형의 로드 수용 경로가 제2 피치(66)를 횡단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제1 피치(62)와 제2 피치(66)를 사용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조립하기 위해, 제1 피치(62)는 제2 피치(66)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런 다음, 제1 피치 로드 수용 구멍(64)이 제2 피치 로드 수용 구멍(68)에 정렬되어 로드 수용 경로를 형성하도록 제1 피치(62)가 제2 피치(66)와 결합되거나 상호 연결된다. 로드 수용 경로는 연결 로드(70)가 제1 피치 로드 수용 구멍(64)과 제2 피치 로드 수용 구멍(68) 양자를 통해 밀어 넣어져서 제1 피치(62)와 제2 피치(66)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종류의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는 핑거형 벨트이다. 핑거형 벨트는 핑거형 돌기가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연장되고 있는 직선형 또는 지그재그형의 횡방향 리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핑거는 통상 연결 로드의 삽입을 허용하는 측방 정렬된 로드 구멍 또는 슬롯을 가진다.
도 5는 예시적인 핑거형 벨트(80)를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80)는 연결 로드(86)를 통해 제2 피치(84)에 힌지 연결되는 제1 피치(82)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80)의 각각의 피치는 지그재그형 횡방향 리브(8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각각의 피치는 교호하는 핑거형 돌기(90)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해당 돌기는 연결 로드(8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로드 수용 구멍(9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 피치의 링크는 연결 로드가 조립된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원치 않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로드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우측 및 좌측 측방 엣지 상의 말단 링크는 로드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선택된 단부 링크만이 로드 유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우측 말단 링크 또는 좌측 말단 링크만 로드 유지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벨트의 모든 피치는 동일한 엣지 상에 로드 유지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벨트의 피치는 벨트의 어떤 엣지, 즉 우측 또는 좌측 엣지가 로드 유지부를 포함하도록 교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피치가 로드 유지부를 포함하는 벨트의 우측 엣지 상에 말단 링크를 가질 수 있고, 인접하는 제2 피치가 로드 유지부를 갖는 좌측 엣지 상에 말단 링크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피치에 인접한 제3 피치가 로드 유지부를 갖는 우측 엣지 상에 말단 링크를 포함할 수 있는 등등의 경우와 같다.
도 6은 로드(220)와 해당 로드(220)에 연결되는 링크(21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200)를 나타낸다. 링크(210)는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2개의 다리부(212), 경사 섹션(214) 및 상기 2개의 다리부(212) 사이의 측방 배향된 크로스 부재(216)로 형성된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U-형 구성을 갖는다. 다리부(212)는 로드(220)를 수용하여 링크(210)를 로드(220)와 결합시키는 장공 등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210)의 다리부(212)는 인접하는 링크의 크로스 부재(216)를 수용하기 위해 이격된다. 예를 들면, 링크(210b)의 다리부(212)는 컨베이어 벨트(200)가 동작시 링크(210a)의 크로스 부재(216)를 수용하도록 적절히 이격되어 있다. 동작 중에, 링크(210a)는 크로스 부재(216), 다리부(212) 등등의 위의 접촉점을 포함하는 여러 접촉점에서 링크(210b)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210)는 해당 링크(210)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의 마모를 줄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링크에 대해 내마모성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적절한 내마모성 재료는 링크에 요구되는 인장 강도가 부족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적절한 인장 강도를 갖는 재료는 요구되는 내마모성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210)는 지지 구조와 베어링 구조로 형성되는 복합 링크일 수 있다. 지지 구조는 베어링 구조의 인장 강도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고, 베어링 구조는 지지 구조보다 내마모성이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복합 링크 구조의 구성은 원하는 성능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지지 구조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의 경우, 베어링 구조는 연결 로드, 다른 링크, 컨베이어 프레임의 고정 부품 및/또는 컨베이어 구동 메커니즘의 가동 부품과 같은 컨베이어 벨트의 다른 부품과 접촉되는 링크의 영역에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지지 구조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연결 로드로부터 베어링 구조를 통해 지지 구조로 종방향 힘이 전달되도록 연결 로드와 지지 구조의 일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링크에 인가되는 종방향 힘은 베어링 구조와 지지 구조 모두를 통해 전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는 링크가 받게 되는 거의 모든 인장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베어링 구조는 압축력만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링크가 받게 되는 인장력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링크 상의 베어링 구조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복합 링크가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내에 포함되는 위치도 전략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곡선 선회형 컨베이어 벨트는 곡률 반경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된 벨트의 단부에 장력을 인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반경 중심에 가장 가까운 벨트의 내측 단부가 받는 장력은 상당히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인장 강도의 재료가 컨베이어 벨트의 외측 단부에 있는 링크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측 단부 링크에 대해서는 베어링 구조 재료에 대한 지지 구조 재료의 비율을 높게 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구동 및/또는 가이드 메커니즘이 벨트의 중심부에 위치된 링크가 아닌 말단 링크와만 결합되므로, 말단 링크도 심한 마모를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 재료는 말단 링크에 더 일반적으로 전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지지 구조와 베어링 구조의 상대적 크기는 원하는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의 용적은 링크의 전체 용적의 50%를 넘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의 용적은 링크의 전체 용적의 50% 이하일 수 있다.
지지 구조와 베어링 구조는 전술한 상대적 특성을 갖는 재료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구조 및/또는 베어링 구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 황동, 알루미늄, 세라믹, 섬유 강화 재료, 플라스틱 및/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는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 벨트가 식품 취급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는 특히 지지 구조가 베어링 재료에 의해 일부분만 피복됨으로써 식품에 노출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인레스 강의 사용은 링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링크 재료에 의한 식품의 마킹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는 베어링 구조의 인장 강도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베어링 구조는 지지 구조보다 내마모성이 더 클 수 있다. 이들 특성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재료의 형성 공정 및/또는 이들 재료의 처리도 이들 특성의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의 강도는 단조와 같은 성형 공정에 의해 증가될 수 있고, 비금속의 강도 및/또는 내마모성은 고분자(플라스틱)의 가교 결합과 같은 성형 공정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코팅, 열처리, 급냉(quenching), 및 다른 처리와 같은 처리를 이용하여 재료에 소망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베어링 구조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구조는 내마모성을 제공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지지 구조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지지 구조 중 선택된 부분만 커버할 수 있다.
베어링 구조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지지 구조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내부 지지 구조 위에 코팅(예, 딥 코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부품이 공동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어링 구조는 예비 성형된 지지 구조 위에 오버 몰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기계적 체결부, 일체로 성형된 스냅(snap)부 및/또는 패스너와 같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 구조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지지 구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10은 복합 링크 실시예의 여러 가지 상세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210)는 복합 링크(21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복합 링크(210)는 지지 구조(310)와 베어링 구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310)는 복합 링크(210)의 형태를 설정하는 외형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지지 구조(310)는 컨베이어 벨트(200)(도 6에도시됨)의 로드(220)가 복합 링크(210)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구멍(31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구조(320)는 컨베이어 벨트(200)로부터 로드(220)를 수용하여 해당 로드(220)가 복합 링크(210)를 통과하여 복합 링크(210)와 결합되도록 하는 구멍(325)을 포함한다. 구멍(315)과 구멍(325)은 종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의 위치에(즉, 링크 다리부의 전방 및 후미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구멍(315, 325)에서 상대적 전방/후방의 배향은 반대로 할 수 있다. 복합 링크(210)는 지지 구조(310)와 로드(220) 간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형성 및/또는 구성된 베어링 구조(320)의 표면에서 로드(200)와 접촉 및 결합되도록 형성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합 링크는 베어링 구조로 통상적인 링크 구조를 피복(또는 부분 피복)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링크(210)의 형태는 도 7의 지지 구조(310)와 거의 유사함을 알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가 추가의 강도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얇거나 덜 견고한 지지 구조를 사용하여, 지지 구조와 베어링 구조의 조합이 단일 재료로 형성된 통상의 링크 구조에 상응하는 전체 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복합 링크(210)는 격자형 컨베이어 벨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및/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구멍(325)의 종류, 다리부(212) 또는 크로스 부재(216)의 형태 또는 복합 링크(210) 자체의 형태와 같은 복합 링크(210)의 크기 및 구성은 컨베이어 벨트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합 링크(210)는 곡선 선회형 벨트, 직선 구동 벨트, 강재 로드를 갖는 벨트, 플라스틱 로드를 갖는 벨트 등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구조(310) 및/또는 베어링 구조(320)를 포함하는 복합 링크(210)는 무엇보다도 자체의 의도된 용도를 기초로 적합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합 링크(210)는 베어링 구조(320)에 의해 커버되는 표면에서만 로드(220)와 접촉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310)의 선택된 표면만이 베어링 구조(320)로 오버 몰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단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베어링 구조(320)의 플라스틱 표면(327)에 의해 형성된 구멍(325)은 컨베이어 벨트(200)의 로드(220)를 수용하고 접촉할 수 있는 유일한 표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구조(310)의 결합면(317)은 구멍(325)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320)는 결합면(317)을 커버할 수 있고, 구멍(325) 내에 삽입되는 연결 로드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접촉면(327)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 구조(320)는 연결 로드가 결합면(317)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강제(鋼製) U-형 금속 링크는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피복될 수 있다. 링크와 결합되는 로드에 형태와 지지를 제공하는 강은 지지 로드와 접촉하지 않는데, 이는 금속 로드와 금속 링크 사이에 플라스틱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플라스틱은 컨베이어 벨트의 동작 중에 금속 로드와 금속 링크 간의 마찰력에 기인하여 금속 링크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로, 플라스틱은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드럼과 접촉되는 다른 링크(금속 링크에 인접한 링크 등), 또는 컨베이어 벨트의 프레임 구조와 같이 링크와 접촉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의 다른 부품과의 접촉에 기인하여 금속 링크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복합 링크(210), 지지 구조(310) 및/또는 베어링 구조(3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합 링크(210)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310)는 주조(예, 다이 캐스팅, 원심 주조, 쉘(shell) 주조, 사형(sand) 주조 등), 플라스틱 성형, 시트 금속 성형, 단조, 스탬핑, 기계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형상이 잡히고 나면, 금속 연결 구조(310)는 가공되거나 추가로 가공되어 원하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베어링 구조(320)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지지 구조(31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320)는 지지 구조(310)를 완전히 피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320)는 컨베이어 벨트(200)의 다른 부품과 접촉되는 지지 구조(310)의 표면 위에만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어링 구조(320)는 로드와 접촉하는 표면, 다른 링크와 접촉하는 표면, 드럼과 접촉하는 표면 등의 표면 위에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멍(325)과 관련된 베어링 구조가 상기 설명되었지만, 베어링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부재(21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 구조의 결합면과 같은 추가의 로드 접촉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320)의 두께는 링크의 일 섹션으로부터 다른 섹션까지 변동될 수 있다. 도 11은 두꺼운 하부 크로스 부재 섹션(705)과 두꺼운 하부 다리 섹션(704)과 같이 비교적 두꺼운 베어링 구조 섹션과 얇은 경사 섹션(703)과 얇은 상부 크로스 부재 섹션(702)과 같은 비교적 얇은 섹션을 갖는 복합 링크(210)를 나타낸다. 일부의 경우, 복합 링크(210)는 링크(210)가 컨베이어 벨트(200)의 다른 부품과 접촉되는 위치에 비교적 두꺼운 섹션을 가질 수 있고, 링크(210)가 벨트(200)의 다른 부품과 접촉되지 않는 곳에 비교적 얇은 섹션을 가질 수 있다. 일부의 경우, 강도를 희생하지 않고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의 용적은 복합 링크(210)의 일부 또는 전체에서 플라스틱의 용적보다 클 수 있다. 그 고유 비율(specific ratio)은 사용되는 컨베이어 벨트(200)의 종류, 지지 구조(310) 및/또는 베어링 구조(320)로서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 또는 다른 인자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유 비율은 지지 구조(310) 또는 베어링 구조(320)가 고장시 링크의 완전한 고장을 방지하는 비율과 같이 복합 링크(210)의 소정의 고장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일부의 경우, 두께는 이전에 사용된 링크와 관련된 이력 데이터의 분석을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은 복합 링크(210)가 예컨대 크로스 부재(216)와 로드(220)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와 같이 링크(210)의 임의의 다른 섹션에서보다 크로스 부재에서의 마모로 인해 더 파괴되기 쉬운지를 판정할 수 있다. 분석을 이용하면, 베어링 구조(320)의 하부 크로스 부재 섹션(705)의 두께가 상부 크로스 부재 섹션(702)에서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와 베어링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링크의 하나의 연속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체 재료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와 베어링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링크의 2개 이상의 불연속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320)는 로드(220) 또는 다른 링크와 접촉하는 지지 구조의 섹션들을 커버하는 다중 개별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로드(220)를 수용하는 링크(210)의 섹션에 위치된 다중 베어링 구조(320)를 포함하는 복합 링크(210)를 나타낸다. 예시의 목적으로 로드(220)는 부분 삽입된 구성으로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링크(210)의 다리부(212)는 베어링 구조(320)의 제1 섹션(812)의 피복을 포함하고, 링크(210)의 크로스 부재(216)는 베어링 구조(320)의 제2 섹션(320)의 피복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320)는 로드(220)를 링크(210)에 결합 및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3 및 도 14는 지지 구조(310)의 다양한 결합면에 다중 섹션을 갖는 베어링 구조를 포함하는 복합 링크(210)를 나타낸다. 도 13의 복합 링크(210)는 지지 구조(310)의 크로스 부재(216)를 커버하는 섹션(926)은 물론, 지지 구조(310)의 다리부(212) 내의 구멍을 커버하는 베어링 구조(320)의 섹션(922, 924)을 포함한다. 도 14의 복합 링크(210)는 크로스 부재 커버 섹션(1034) 및 다리부 커버 섹션(1032)과 같이 지지 구조(310)의 결합면을 커버하는 베어링 구조(320)의 섹션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는 컨베이어 벨트 부품이 수용 또는 유지된 연결 로드를 결합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의 결합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구성은 비용과 중량에 한계가 있을 수 있는 베어링 구조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15는 수용 또는 유지된 로드(220)를 결합하는 지지 구조(310)의 표면에만 위치된 베어링 구조(320)를 갖는 복합 링크(210)를 나타낸다. 베어링 구조(320)의 접촉면(327)은 로드(220)를 수용 및 유지하도록 구성 또는 적합화되어 무엇보다도 로드(220)와의 연결에 기인하여 복합 링크(210) 상의 마모를 방지 또는 감소시키면서 복합 링크(210)와 로드(220) 사이에 확실하고 신뢰성 있는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320)는 연결 로드(220)에 의해 지지 구조(310) 상에 유지될 수 있다.
지지 구조(310)는 컨베이어 벨트의 특성 및/또는 복합 링크(210)의 활용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베어링 구조(320) 내에 둘러싸인 지지 구조(310)를 포함하는 평판 시트 구성의 복합 링크(210)를 나타낸다. 도 17은 지지 구조(310)와 다중 베어링 구조(320)를 포함하는 라운드 와이어 구성의 복합 링크(210)를 나타낸다. 도 18은 지지 구조(310)와 다중 베어링 구조(320)를 포함하고, 각 단부에 로드(210) 결합용 후크를 구비한 단일의 종방향 부재를 갖는 복합 링크(210)를 나타낸다. 도 19는 각 단부에 로드(220) 결합용 루프를 구비하고 지지 구조(310)와 다중 베어링 구조(320)를 포함하는 단일의 종방향 부재를 갖는 복합 링크(210)를 나타낸다. 당업자에게 분명하겠지만, 복합 링크(210)로서 다른 구성, 형태, 형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구조(310)는 함께 부착 또는 형성된 다중 강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금속과 플라스틱이 교번 배치될 수 있는 등등의 경우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310)는 지지 구조(310)와 베어링 구조(320) 간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거나 강화시키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베어링 구조(320)의 플러그 또는 연장부(1615)를 수용할 수 있는 부착 구멍(1610)을 지지 구조(310) 내에 포함하는 복합 링크(210)를 나타낸다. 플러그(1615)는 베어링 구조(320)를 구멍(1610)을 통해 지지 구조(310)에 부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다른 잇점 중에서도 구조 간에 더 큰 접합 강도를 제공하는 잇점이 있다. 당업자에게 분명하겠지만, 복합 링크(210)의 조립시 다른 부착 메커니즘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어링 구조(320)는 지지 구조(310)에 기계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320)는 별개 부품으로 제조되고 이후 지지 구조(310)에 부착된다. 도 21 및 도 22는 별개 부품으로서의 베어링 구조(320)를 나타낸다. 도 21에서, 베어링 구조(320)는 지지 구조(310)의 다리부(21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다리 결합부(1711)와 링크(210)용 로드(220)를 수용 및 유지할 수 있는 로드 유지부(1710)를 포함한다. 로드(220)는 베어링 구조(320)를 지지 구조(310)의 다리부(212)에 적소에 유지할 수 있다. 도 22에서, 베어링 구조(320)는 마찬가지로 개별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다리 결합부(1711), 로드 유지부(1710) 및 구멍(1810)을 포함한다. 따라서, 베어링 구조(320)는 지지 구조(310)의 다리부(212)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어링 구조(320)는 컨베이어 벨트(200)의 소정의 부품으로서 활용되는 부분 또는 섹션을 포함한다. 도 23은 베어링 구조(320)를 갖는 복합 링크(210)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베어링 구조는 로드(220)를 수용 및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로드 유지부(1951)와 컨베이어 시스템의 벨트와 다른 부품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는 접촉면부(195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와 베어링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링크에 부착된 물품 지지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는 베어링 구조(320)를 갖는 복합 링크(210)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베어링 구조는 로드(220)를 수용 및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로드 유지부(2005)와 예컨대 벽돌식 구성에 사용되는, 컨베이어 벨트용 중앙 메쉬의 일부로서 동작하는 메쉬부(2010)를 포함한다. 즉, 복합 링크(210)는 컨베이어 벨트(200)의 로드(220)들을 함께 그리고 링크(210)에 연결 또는 결부시키도록 동작하는 제1 부분(2005)과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을 지지하고 작은 크기의 이송 물품이 로드(220) 사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메쉬 또는 그물로서 동작하는 제2 부분(20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부분(2010)은 복합 링크(210)의 일부일 수 있지만, 제2 부분(2010)은 어떤 지지 구조(310)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5는 복합 링크(210), 관련 로드(220) 및 컨베이어 벨트(2100)용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사용되는 스프로켓(2110)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곡선 선회형 컨베이어 벨트(2100)를 나타낸다. 스프로켓(2110)은 스프로켓(2110)의 회전시 링크(210)와 접촉하여 링크(210)와 로드(220)를 구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치부(2115)를 포함한다. 링크(210)는 지지 구조(310)와 하나 이상의 베어링 구조(32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링크(210)는 로드 접촉면(2121), 상부 치부 접촉면(2122), 및 하부 치부 접촉면(2124)을 포함한다. 따라서, 복합 링크(210)는 벨트(2100)의 로드(220)를 연결시키는데 지지 구조(310)를 사용하고, 스프로켓(2110) 및/또는 로드(220)와 같은 벨트(2100)의 다른 부품과 접촉시 지지 구조(310)를 보호하는데 플라스틱 베어링 표면(320)을 사용한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벨트는 드럼(2112)에 의해 구동 및/또는 가이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드럼(2112)은 마찰식 드럼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드럼(2112)의 표면은 드럼과 상호 연결되거나 맞물리지 않고 벨트의 엣지 링크와 결합되기에 충분한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스프로켓-구동식 또는 드럼-구동식 벨트는 참조로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포함된 "비절첩식 내부 엣지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 및 시스템"이란 제하의 미국 특허 제5,141,102호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드럼(2112)은 탄성 중합체 표면을 가지거나 표면의 접착성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코팅된 유연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플라스틱 베어링 표면은 엣지 링크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엣지 링크와 드럼 표면 간에 더 견고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200), 복합 링크(210), 베어링 구조(320) 및/또는 지지 구조(310)는 여기 구체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어링 구조(320)는 로드(220)로의 부착을 가능케 하여 로드(220)가 금속 링크에 직접 결합되도록 하는 섹션을 포함하거나, 베어링 구조(320)는 버튼 헤드(32)와 지지 구조(310) 사이 등등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분명하겠지만, 여기 설명되는 복합 링크(210)는 금속과 플라스틱이 아닌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합 링크(210)는 지지 구조로서 소정의 플라스틱, 목재, 세라믹 등의 다른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복합 링크(210)는 베어링 구조로서 세라믹, 수지, 직물 등의 다양한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 설명되는 특징들은 여러 상이한 종류의 컨베이어 벨트에 사용될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의 제조를 단순화하고자 의도된 다른 기술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복합 링크 개념은 로드 수용 구멍의 적절한 정렬 및 로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추가로 일단 삽입된 연결 로드를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로드 수용 구멍 정렬부와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해당 설명은 한정하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고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더 많은 실시와 구현이 가능함이 분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 등가물의 측면을 제외하고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의 특징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대표적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순서의 단계들로서 방법 및/또는 공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 또는 공정이 여기에 언급된 특정 순서의 단계에 의존하지 않는 한, 상기 방법 또는 공정은 설명된 특정 순서의 단계로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당업자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순서의 단계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특정 순서의 단계들은 청구범위에 대한 한정으로서 해석돼서는 안된다. 또한, 방법 및/또는 공정에 관한 청구항들은 기술된 순서의 단계의 성과에 한정되지 않아야 하며, 당업자는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26은 다른 실시예의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2500)를 예시한다. 도 2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2500)는 제1 링크(2510)를 포함할 수 있는 제1 피치(2505)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2500)는 제2 링크(2520)를 포함할 수 있는 제2 피치(25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2510) 및 제2 링크(2520)는 연결 로드(2522)에 의해 연결(예,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피치의 링크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링크(2510)는 제2 링크(25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논의의 목적으로 제1 링크(2510)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6에서 제1 피치(2505)와 제2 피치(2515)는 복수의 링크를 각기 구비하는 단일 구조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각 피치의 링크는 연결 로드를 측방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개별 부품일 수 있고, 따라서 링크는 연결 로드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링크(2510)는 외부 다리부(2525), 내부 다리부(2530) 및 외부 다리부(2525)와 내부 다리부(2530) 사이의 크로스 부재(2535)를 포함하는 거의 U-형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링크(2510)는 전방 구멍(2540), 내부 후방 구멍(2545) 및 외부 단부 구멍(2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멍(2540, 2545, 2550)은 연결 로드(2522)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링크(2510)는 베어링 구조(2560)와 지지 구조(256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구조(2560)와 지지 구조(2565)는 전술한 베어링 구조 및 지지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 및 재료를 가질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2510)는 말단 링크일 수 있고 베어링 구조와 지지 구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된 로드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2510)는 일단 완전히 삽입된 연결 로드(2522)의 자유 단부를 내장하도록 구성된 로드 리세스(2555)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2555) 내에 로드(2522)를 유지하고 로드(2522)가 외부 단부 구멍(255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링크(2510)는 외부 단부 구멍(2550)에 인접한 로드 유지 릿지(257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 유지 릿지(2570)는 연결 로드의 종방향 병진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측방 배향된 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제1 링크(2510)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7에서는 제1 링크(2510)의 내측 단부가 절두(truncated)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링크(2510)는 독립된 개별 링크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27은 또한 로드 유지 릿지(2570)에 관한 추가적 세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 유지 릿지는 멈춤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유지 릿지(2570)는 경사진 전방 벽부(2575)와 경사진 후방 벽부(25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벽부(2575)와 후방 벽부(2580)는 오목한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 벽부(2575) 및/또는 후방 벽부(2580)는 비교적 평면인 구성 또는 볼록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릿지(2570)는 실질적으로 반원형의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릿지(2570)는 단부 벽부(2585)에서 종료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구멍(2545)과 외부 구멍(2550)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세장형/슬롯형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구성은 삽입된 연결 로드가 구멍(2545, 2550) 내에서 종방향으로 병진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연결 로드는 로드 삽입 및 후퇴 위치에서 구멍(2550)과 그리고 내부 구멍(2545)의 전방 단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로드를 제1 링크(2510)에 고정하기 위해, 연결 로드는 로드 유지 릿지(2570) 너머로 내부 구멍(2545)의 후방 단부 측으로 종방향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구멍(2545)은 예컨대 내부 링크 다리부(2530) 내의 중심 개구에 기인하여 내부 개구(2546)과 외부 개구(2547) 등의 2개의 부품을 가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8은 제1 링크(2510)의 확대 사시도로서 일부 절개된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단부 구멍(2550)은 만곡 벽부(25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단부 벽부(255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세스(2555)가 형성될 수 있는데, 단부 벽부는 로드 유지 릿지(2570)에 의해 리세스(2555) 내에 유지시 연결 로드가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28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2510)는 외부 링크 다리부(2525)에 중심 개구(25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심 개구는 베어링 구조(2560) 및/또는 지지 구조(2565)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켜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의 로드 유지부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 유지부는 로드를 제1 링크에 견고하게 연결하는 기계적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적인 잇점 이외에, 로드(220)를 유지하는 베어링 구조(320) 내의 결합부는 다른 것 중에서도 로드(220)를 링크(210)에 용접할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로드 유지부의 실시예들은 "컨베이어 벨트 및 조립 방법"이란 제하의 미국 특허 제7,073,662호에 더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추가의 로드 유지부는 2011년 12월 6일자 출원된 "로드 유지부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 링크"란 제하의 미국 특허 출원 제13/311,773호; 제13/311,797호; 제13/311,882호; 제13/311,888호; 및 제13/311,900호의 미국 특허(번호 생략)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 언급된 각 특허 문헌은 참조로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해당 설명은 한정하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고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더 많은 실시와 구현이 가능함이 분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 등가물의 측면을 제외하고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예의 특징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6)

  1.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로서:
    지지 구조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구조의 형태를 형성하는 표면을 갖는 지지 구조; 및
    상기 지지 구조에 부착되는 베어링 구조로서, 상기 지지 구조의 형태와 독립적이고 미리 정해진 외부 형태를 갖고, 상기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링 부분을 갖는 베어링 구조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링 부분은 상기 지지 구조의 표면과 연결 로드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베어링 구조의 커버링 부분은 상기 지지 구조의 표면을 상기 연결 로드로부터 분리하는 것이며;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베어링 구조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고;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보다 큰 내마모성을 갖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를 완전히 둘러싸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 위에 오버 몰딩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 세라믹, 섬유 강화 재료, 강, 황동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 황동, 알루미늄, 세라믹, 섬유 강화 재료,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구조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의 용적은 상기 링크의 총 용적의 50%보다 큰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와 상기 베어링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링크의 하나의 연속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와 상기 베어링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링크의 2개 이상의 불연속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와 상기 베어링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링크에 부착된 물품 지지면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링크가 받게 되는 실질적으로 모든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구조는 압축력만을 받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링크가 받게 되는 인장력의 적어도 일부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 상에 오버 몰딩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전방 및 후방 단부에 로드 구멍을 각기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2개의 다리부와 상기 2개의 다리부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배향된 크로스 부재에 의해 형성된 실질적으로 U-형인 구성을 가지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종방향 슬롯으로 된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연결 로드가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로드 유지부를 형성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18. 세장형 연결 로드를 포함하는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로서:
    제1 재료로 형성되고 지지 구조의 형태를 설정하는 외형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 및
    제2 재료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 부품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상기 지지 구조의 결합면 상에 위치하는 베어링 구조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 부품은 상기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 부품이 상기 지지 구조의 상기 결합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의 형태와 독립적이고 미리 정해진 외부 형태를 갖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전방 및 후방 단부에 로드 구멍을 각기 구비하는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2개의 다리부와 상기 2개의 다리부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배향된 크로스 부재에 의해 형성된 실질적으로 U-형인 구성을 가지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의 상기 결합면은 상기 로드 구멍 중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의 상기 결합면은 상기 크로스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구멍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단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외부 단부 구멍에 인접한 로드 유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드 유지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연결 로드가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부 구멍은 상기 로드가 삽입 및 후퇴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까지 종방향으로 병진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종방향 슬롯으로 되어 있고, 상기 로드 유지부는 상기 로드의 종방향 병진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측방향으로 배향된 릿지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구조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의 상기 결합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로드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로드 접촉면은 상기 연결 로드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 메커니즘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지지 구조의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다른 링크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지지 구조의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28.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로서:
    적어도 제1 링크 및 제2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서로 힌지 연결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세장형 연결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지지 구조와 해당 지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베어링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베어링 구조보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보다 큰 내마모성을 가지고, 상기 베어링 구조의 일부는 상기 세장형 연결 로드를 상기 지지 구조와 분리하고,
    상기 지지 구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지지 구조의 형태를 형성하는 표면을 갖고,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의 형태와 독립적이고 미리 정해진 외부 형태를 갖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또한 상기 지지 구조가 인접 링크, 컨베이어의 프레임의 고정부, 및 컨베이어의 구동 부품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구멍에서 상기 로드와 상기 지지 구조 간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연결 로드에 의해 상기 지지 구조 상에 유지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연결 로드로부터 상기 베어링 구조를 통해 상기 지지 구조까지 종방향 힘이 전달되도록 상기 연결 로드와 상기 지지 구조의 일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베어링 구조와 상기 지지 구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된 로드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유지부는 상기 로드를 상기 제1 링크에 견고하게 연결하는 기계적 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부착부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는 외부 단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외부 단부 구멍에 인접하게 상기 로드 유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로드 유지부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연결 로드가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부 구멍은 상기 로드가 삽입 및 후퇴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까지 종방향으로 병진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종방향 슬롯으로 되어 있고, 상기 로드 유지부는 상기 로드의 종방향 병진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측방향으로 배향된 릿지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에 인가되는 종방향 힘은 상기 베어링 구조와 상기 지지 구조 양자를 통해 전달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39.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의 제2 결합면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 메커니즘 사이에 위치된 추가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4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 상에 오버 몰딩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4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를 완전히 둘러싸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4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 부품은 컨베이어의 프레임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4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컨베이어 벨트 부품은 컨베이어의 구동 부품을 포함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4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에 오버 몰딩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용 링크.
  4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4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구조는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되는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링크의 제1 영역에서 상기 베어링 구조의 두께는 상기 제1 링크의 제2 영역에서 상기 베어링 구조의 두께와 상이한 것인 모듈형 컨베이어 벨트.
KR1020147033869A 2012-05-15 2013-05-14 복합 링크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 KR101804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72,096 US8985318B2 (en) 2012-05-15 2012-05-15 Conveyor belt with composite link
US13/472,096 2012-05-15
PCT/US2013/040838 WO2013173263A2 (en) 2012-05-15 2013-05-14 Conveyor belt with composite l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746A KR20150027746A (ko) 2015-03-12
KR101804010B1 true KR101804010B1 (ko) 2017-12-01

Family

ID=4958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869A KR101804010B1 (ko) 2012-05-15 2013-05-14 복합 링크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85318B2 (ko)
EP (1) EP2850021A4 (ko)
JP (1) JP6156887B2 (ko)
KR (1) KR101804010B1 (ko)
BR (1) BR112014028435B1 (ko)
CA (1) CA2871775C (ko)
MX (1) MX349028B (ko)
WO (1) WO20131732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17216A1 (en) * 2016-03-15 2017-09-21 Cambridge International Inc. High temperature conveyor belt
US10577183B2 (en) * 2016-09-14 2020-03-03 Cambridge International, Inc. Edge drive mesh overlay conveyor belt
DK3369681T3 (da) 2017-03-03 2021-03-15 Cambridge Int Inc Fremføringsbånd med direkte randdrev
WO2019152339A1 (en) 2018-01-30 2019-08-08 Cambridge International, Inc. Splice system for conveyor belt
IT201900006102A1 (it) * 2019-04-18 2020-10-18 Incobra S R L Maglia di collegamento per elementi di supporto per nastri trasportatori, elementi di supporto per nastri trasportatori,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ella maglia di collegamento e dell’elemento di supporto
US11053081B2 (en) 2019-05-08 2021-07-06 Cambridge International, Inc. Direct drive spiral conveyor belt systems and methods
US11305938B2 (en) 2019-08-29 2022-04-19 Cambridge International, Inc. Active direct drive spiral conveyor belt systems and methods
JP7456617B2 (ja) 2020-09-30 2024-03-27 株式会社フロンティアエンジニアリング 飲食物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6752A (en) 1970-09-28 1972-03-07 Conveyor Specialties Co Plastic encased metal ribbed flexible conveyor chain
BE787659A (fr) 1971-06-25 1973-02-19 Baychem Corp Patin de chenille, de preference en matiere synthetique.
US4078655A (en) * 1977-02-25 1978-03-14 Ashworth Bros., Inc. Small radius conveyor belt and conveying system
JPS6121631Y2 (ko) * 1979-04-14 1986-06-28
IT8134921V0 (it) 1981-12-22 1981-12-22 Marbett S N C Di Mariani Betta Catena di trasporto con rivestimento antiusura
NL189245C (nl) * 1983-01-14 1993-02-16 Tsubakimoto Chain Co Transportketting met plat bovenvlak.
JPS59158714A (ja) * 1983-02-24 1984-09-08 Tsubakimoto Chain Co テ−ブルコンベヤチエ−ン
US4846339A (en) 1987-03-11 1989-07-11 Ashworth Bros., Inc. Flat wire conveyor with differential pitch
US5141102A (en) 1987-08-10 1992-08-25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and system with a non-collapsing inside edge
SE460355B (sv) 1988-01-08 1989-10-02 Mats Ejvin Wahren Transportkedja
US5088920A (en) 1990-11-30 1992-02-18 Glasstech, Inc. Drive mechanism for glass sheet roller conveyor of furnace
US5197591A (en) * 1992-02-11 1993-03-30 Ashworth Bros., Inc. Replaceable snap-on modular overlay for rod and link turn-curve conveyor belts
JPH0743044Y2 (ja) * 1991-10-22 1995-10-04 大和製罐株式会社 缶体表面処理装置における缶体搬送用コンベアベルト
US5439097A (en) * 1991-10-29 1995-08-08 Tsubakimoto Chain Co. Link for conveyor chains
US5271491A (en) * 1993-02-18 1993-12-21 Guy Irwin Bi-directional short radius turn conveyor belt
DE69510423T2 (de) 1994-04-15 2000-02-24 Jorgen Draebel Förderkette mit einer tragfläche aufgebaut aus kettengliedern quer zur längsrichtung dieser förderkette
DE29612735U1 (de) * 1996-07-23 1996-09-12 Wolf Montage Automationsanlage Transportkette
JPH10338326A (ja) 1997-06-09 1998-12-22 Kobayashi Seisakusho:Kk プラスチック製コンベアベル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ベア装置
US5954188A (en) 1997-06-12 1999-09-21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US6161685A (en) 1999-03-26 2000-12-19 Rexnord Corporation Thermoplastic chain link for a modular conveyor chain
US6360882B1 (en) * 1999-06-18 2002-03-26 Cambridge, Inc. Conveyor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615979B2 (en) * 2001-08-06 2003-09-09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and method of assembly
EP1407985B1 (en) * 2002-10-11 2005-12-28 Habasit AG Conveyor belt module with high friction surface
NL1024361C2 (nl) * 2003-09-23 2005-03-24 Rexnord Flattop Europe Bv Modulaire transportmat.
US7073662B2 (en) 2004-02-20 2006-07-11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and method of assembly
US20060006669A1 (en) * 2004-07-08 2006-01-12 James Nelsen Vehicle latch apparatus and method
US7530454B2 (en) * 2005-11-08 2009-05-12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NL1030625C2 (nl) * 2005-12-08 2007-06-11 Rexnord Flattop Europe Bv Modulaire transportmat en transportmatmodule.
JP2009532308A (ja) * 2006-04-03 2009-09-10 スパン テック エルエルシー 粉末コーティングを施した製品搬送用コンポーネント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US7802676B2 (en) * 2007-06-22 2010-09-28 Habasit Ag Conveyor belt module with high friction conveying surface
ITBO20070696A1 (it) * 2007-10-17 2009-04-18 Gd Spa Dispositivo di trasferimento in impianti per articoli da fumo.
EP2376353A1 (en) * 2009-01-12 2011-10-19 Laitram, LLC Metal-fused plastic conveyor belt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DK2605984T3 (en) 2010-08-19 2016-08-01 Laitram Llc A conveyor belt module of the two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28435A2 (pt) 2017-06-27
WO2013173263A2 (en) 2013-11-21
WO2013173263A3 (en) 2014-04-03
EP2850021A2 (en) 2015-03-25
CA2871775C (en) 2017-08-15
BR112014028435B1 (pt) 2020-11-10
US20130306446A1 (en) 2013-11-21
MX349028B (es) 2017-07-05
KR20150027746A (ko) 2015-03-12
JP2015516349A (ja) 2015-06-11
CA2871775A1 (en) 2013-11-21
EP2850021A4 (en) 2016-01-20
US8985318B2 (en) 2015-03-24
MX2014013869A (es) 2015-02-12
JP6156887B2 (ja)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010B1 (ko) 복합 링크를 갖는 컨베이어 벨트
US4865183A (en) Wide chain conveyor sprocket drive
EP2871144B1 (en) Variable spaced conveyor belt with clinched rod ends
EP2817249B1 (en) Abrasion resistant conveyor belt
US8678178B2 (en) Modular conveyor belt with tight radius in one curve direction
EP2368816B2 (en) Link for a conveyor chain and multi-link conveyor chain with such links
HU183982B (en) Konveyor
EP0558638A1 (en) SIDE WALL FOR SPIRAL-PLASTIC CONVEYOR BELT SYSTEM.
EP1473260A1 (en) Modular conveyor and conveyor links
EP0333309A1 (en) Wide chain conveyor assembly
EP2885229B1 (en) Link member having a curved bearing surface
WO2015088335A1 (en) Conveyor chain module
US8978881B2 (en) Pivot rod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8028825B2 (en) Handling device with flexible link chains and bars
US7954631B1 (en) Chain link conveyor for use in material handling equipment
US20080164128A1 (en) Double Side-Bar Conveyor or Digger Chain
EP2117970B1 (en) Conveyor with attachments
EP0273213A1 (en) Grill structure for a bar-chain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