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297B1 -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297B1
KR101803297B1 KR1020170136303A KR20170136303A KR101803297B1 KR 101803297 B1 KR101803297 B1 KR 101803297B1 KR 1020170136303 A KR1020170136303 A KR 1020170136303A KR 20170136303 A KR20170136303 A KR 20170136303A KR 101803297 B1 KR101803297 B1 KR 101803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sensor
air flow
insertion guide
intak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황금동
Original Assignee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 관로에 투입된 생활 폐기물을 흡입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집하장으로 수집하는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Decreasing bad smell apparatus for air intake of domestic waste auto-transferring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 관로에 투입된 생활 폐기물을 흡입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집하장으로 수집하는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쾌적하고 위생적인 생활환경 구축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개선 사업들이 실시되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있어서도 대단위 공동주거단지를 중심으로 진공흡입방식에 의한 생활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이 구축되고 있다.
도 1의 한국등록특허 제10-1408736호와 같이, 생활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은 지하에 매설된 이송 관로(10)를 통해 생활 폐기물을 자동 수거 및 처리하기 위해 이송 관로(10)를 포함한 투입 시설, 관로시설(20) 및 집하시설(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생활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은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쓰레기 투입구(폐기물 투입구)를 지하에 매설된 이송 관로(10)에 연결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쓰레기를 집하시설에서 자동으로 수거한다.
즉, 생활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은 집하시설(30) 측에 설치된 흡입 송풍기(즉, 터보 송풍기)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주택단지 및 상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또는 일반 쓰레기를 이송 관로를 따라 집하장까지 이송시킨다.
이때, 집하시설(30)에는 집수된 생활 폐기물을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이송 관로(10)에 필요한 공압을 발생시키도록 집하장 내에 설치되는 흡입 송풍기, 집진설비, 냉각설비 및 탈취설비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송 관로(10)의 하류측 말단에 설치된 탈취설비(예: 수세정 방식의 스크라바)에서 생활 폐기물에서 발생한 악취를 수집하여 한꺼번에 제거하므로 생활 폐기물이 이송 관로(10)를 따라 이송 중 발생하거나 이송 관로(10)의 오염으로 인한 악취는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악취 물질이 포함된 이송 공기가 25m/s에서 30m/s의 매우 빠른 속도로 탈취설비를 통과하므로 약품과 악취 물질의 반응시간이 매우 짧아 악취 제거 효과가 낮고 잔류 악취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므로, 여전히 오염시설로 취급되어 지역 시민들에 의한 반대에 부딧히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873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함에 따라 생활 폐기물의 이송 중에도 악취 물질을 제거하면서도 악취 제거 효과가 월등히 향상된 악취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악취의 제거가 가능하면서도, 공기 흡입시의 소음 발생을 줄이고, 공기 흡입량에 따라 약액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생활 폐기물 이송 관로의 막힘을 파악할 수 있는 악취저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는 이송 관로에 투입된 생활 폐기물을 흡입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집하장으로 수집함에 있어서, 상기 이송 관로의 상류측에 연결된 공기흡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흡입구 내로 악취제거용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장치와; 상기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약액을 약액 라인을 따라 상기 분사장치로 수송시키는 펌프; 및 레귤레이터를 포함하여 압력이 조절된 공기를 상기 분사장치에 공급함으로서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된 약액이 상기 분사장치를 통해 분무되도록 하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급된 악취제거용 약액이 상기 흡입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이송 관로의 벽면 및 생활 폐기물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펌프와 분사장치를 연결하는 약액 라인으부터 분기되며, 배출측이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된 바이패스라인과;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라인을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리턴밸브; 및 상기 약액 라인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공기흡입구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분사장치의 분무측은 상기 공기흡입구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공기흡입구의 상단부에 거치되는 거치구와; 상기 거치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공기흡입구 내에 끼워지는 삽입 가이드와; 상기 삽입 가이드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되어 흡음재; 및 상기 삽입 가이드의 내측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삽입 가이드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상기 약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분출부가 구비된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삽입 가이드의 내측부에 설치된 공기흐름센서; 및 상기 공기흐름센서의 감지량을 통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이송 관로로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을 판독하는 유량 판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장치로 약액을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분사장치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유량 판별부에서 판독한 공기 공급량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삽입 가이드의 내측부에 설치된 공기흐름센서와; 상기 공기흐름센서의 감지량을 통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이송 관로로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을 판독하는 유량 판별부; 및 상기 유량 판별부에서 판독한 공기 공급량이 기준값 미만이거나 혹은 공기가 역류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알리는 알람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흐름센서는 상기 삽입 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공기흐름센서 및 상기 삽입 가이드의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공기흐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유량 판별부는 상기 상부 공기흐름센서에서 감지한 공기 유동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부 공기흐름센서의 측정값에 가중치를 가한 후, 상기 하부 공기흐름센서의 측정값을 더하고, 상기 유량 판별부는 상기 하부 공기흐름센서에서 감지한 공기 유동량이 기준값 미만이거나 혹은 공기가 역류하는 경우 상기 하부 공기흐름센서의 측정값에 가중치를 가한 후, 상기 상부 공기흐름센서의 측정값을 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시설 중 생활 폐기물이 이송되는 이송 관로의 상류측에 구비된 공기흡입구에 악취저감장치를 설치한다. 따라서, 생활 폐기물의 이송 중에도 악취 물질을 제거하면서도 악취 제거 효과가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악취의 제거가 가능하면서도, 흡음재를 추가하여 공기 흡입시의 소음 발생을 줄이고, 공기흐름센서에서 검출된 공기 흡입량에 따라 약액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생활 폐기물 이송 관로의 막힘 현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생활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설비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는 생활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 설치 및 사용된다. 생활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은 이송 관로(10)에 투입된 생활 폐기물을 집하시설(30) 측에 설치된 흡입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집하장으로 수집 및 처리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활 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은 지하에 매설된 이송 관로(10)(흡인력이 작용하는 폐기물 이송 통로)를 통해 생활 폐기물을 자동 수거 및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이송 관로(10)를 포함한 투입시설 이외에 관로시설(20) 및 집하시설(3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술한 이송 관로(10)의 상류측 말단에 설치된 공기흡입구(1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흡입구(11)는 이송 관로(1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일 예로 이송 관로(10) 하류측 말단에 설치된 흡입 송풍기의 흡입력에 의해 외기를 흡입하여 이송 관로(1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기흡입구(11)에 본 발명의 악취저감장치를 설치하면 약액(MF: Medicinal fluid)이 이송 관로(10)를 따라 상류에서 하류까지 공급되므로 이송 관로(10) 내벽에 부착되어 부패되는 악취물질이나 유해 미생물은 물론, 이송중 및/또는 수집 완료된 생활 폐기물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생활 환경개선과 생활폐기물 집하 및 이송에 크게 기여해 온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이 악취로 인해 인근 주민들의 불만과 민원대상이 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혐오시설 혹은 오염시설이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는 분사장치(110), 저장탱크(120), 펌프(130), 공기공급장치(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송 관로(10)의 상류 말단에 설치된 공기흡입구(11)를 통해 분사된 악취제거용 약액이 흡입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이송 관로(10)의 벽면 및 생활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한다.
약액은 이송 관로(10) 벽면에 부착된 악취 물질, 유해 미생물, 생활 폐기물 자체 혹은 생활 폐기물에서 발생한 가스에 포함된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가급적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되, 강산성 및 강알카리성 소재는 피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한 분사장치(110)는 이송 관로(10)의 상류측에 연결된 공기흡입구(11) 내로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약액을 분사하는 것으로, 일 실시예로써 분사노즐(nozzle)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노즐은 공기흡입구(11)에 고정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분사장치(110) 즉, 분사노즐은 공기흡입구(11)에 관통 설치되며, 분사장치(110)의 분무측은 공기흡입구(11) 내에 위치한다. 분사장치(110)에서 분사된 약액은 흡입력에 의해 이송 라인으로 유동된다.
또한, 분사장치(110)에는 후술할 펌프(130)에 의해 양정(수송)된 약액 및 공기공급장치(140)에 의해 공급된 고압공기가 공급되며, 펌프(130)의 부하에 따라 약액 공급량이 결정되고, 고압공기의 세기에 따라 분사되는 약액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저장탱크(120)는 분사장치(110)로 공급되는 악취 물질 제거용 약액을 일정량 이상 저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저장탱크(120)에 펌프(130)의 입력측이 연결됨에 따라 펌프(130)의 힘으로 분사장치(110)까지 약액을 공급한다.
이러한 저장탱크(120)에는 수위감지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약액 부족시 관리자 등에게 약액 보충을 경고할 수 있고, 인접 설치된 별도의 보조탱크를 더 구비하여 약액 부족시 보조탱크에서 저장탱크(120)로 약액을 공급 및 보충할 수도 있다.
펌프(130)는 저장탱크(120)에 저장된 약액을 약액 라인(예: 45φ 이상의 E.L.P관)을 따라 분사장치(110)로 수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펌프(130)의 유입단은 저장탱크(120)에 연결되고 배출단은 약액 라인(131)을 통해 분사장치(110) 측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펌프(130)는 DC24[V], 60W 이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상술한 저장탱크(120)의 바닥과 같거나 그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안정적인 약액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펌프(130)는 관리자가 조작함(CT)을 통해 조작하거나 관리자가 소지한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공기공급장치(140) 역시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발명은 펌프(130)와 분사장치(110)를 연결하는 약액 라인(131)으부터 분기되며 배출측이 저장탱크(120)에 연결된 바이패스라인(132) 및 바이패스라인(132)에 설치되며 펌프(130)의 부하 크기에 따라 바이패스라인(132)을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리턴밸브(133)를 포함한다. 또한, 약액 라인(131)에 설치된 체크밸브(1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사장치(110)에 의해 펌프(130)의 부하가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리턴밸브(133)를 개방함으로써 약액 라인(131)을 따라 공급 중인 약액이 바이패스라인(132)을 통해 다시 저장탱크(120)로 수용되게 함으로써 펌프(130)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체크밸브(134)는 약액의 역류를 방지함은 물론, 약액 분사 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차압식 체크밸브(134)를 적용하는 경우 차압식 체크밸브(134) 전후단의 압력차에 따라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준비중인 약액이 즉시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약액 분사 시간을 단축한다.
공기공급장치(140)는 고압의 공기를 공기흡기구에 설치된 분사장치(110)로 공급함으로써 펌프(130)에 의해 공급된 약액이 분사장치(110)를 통해 분무되게 한다. 이를 위해, 공기공급장치(140)는 일 예로 레귤레이터(141), 공기 라인(142) 및 에어솔레노이드 밸브(143)를 포함한다.
이때 레귤레이터(air regulator)(141)는 공기 라인(142)을 통해 공급중인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펌프(130)에 의해 공급중인 약액량에 따라 선택된 정압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적용한다.
공기 라인(142)은 흡입측은 에어솔레노이드 밸브(143)에 연결되고, 배출측은 분사노즐(110)에 연결되는 공기공급 배관에 해당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약액 라인(131)과 마찬가지로 45φ 이상의 E.L.P관을 사용한다.
에어솔레노이드 밸브(143)는 전자적 방식으로 그 개폐가 조절되는 것으로, 공기압축장치(도시 생략)에서 제공된 고압 공기의 공급을 단속한다. 다만, 공기흡입구(11)에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여 2차 에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에어솔레노이드 밸브(143)는 생략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펌프(130) 및 공기공급장치(140)는 제어실에서 공기흡입구(11)의 개방(open) 신호를 입력한 후, DC 24V의 에어솔레노이드 밸브(143) 및 약액 펌프(130)를 가동함으로써 분사장치(110)에서 약액과 공기가 혼합된 미세입자가 분사되기 시작한다.
반대로, 공기흡입구(11) 개방 완료 후 작동을 정지시에는 제어실에서 공기흡입구(11)의 폐쇄(close) 신호를 입력한 후, 에어솔레노이드 밸브(143) 및 약액 펌프(130)를 정지시킴으로써 분사장치(110)에서의 분사가 정지되고, 공기흡입구(11)의 폐쇄가 완료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분사장치(110)의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사장치(110) 이외에 저장탱크(120), 펌프(130) 및 공기공급장치(140)를 포함한다. 또한, 바이패스라인(132), 리턴밸브(133) 및 체크밸브(13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도 3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장치(110) 역시 이송 관로(10)의 상류에 연결된 공기흡입구(11)에 설치되는 것으로, 거치구(111), 삽입 가이드(112), 흡음재(113) 및 분사노즐(114)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공기흐름센서(115), 유량 판별부(116) 및 알람 송신부(117)를 포함한다. 상술한 공기흐름센서(115)는 상부 공기흐름센서(115-T) 및 하부 공기흐름센서(11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거치구(111)는 공기흡입구(11)의 상단부에 걸쳐지거나 혹은 나사결합 등의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공기흡입구(11)에 거치된다. 일 예로 거치구(111)는 공기흡입구(11)의 상단 개구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치구(111)를 구비함에 따라 본 발명의 분사장치(110)는 개방된 공기흡입구(11)의 상부로부터 삽입 장착시, 거치구(111)는 공기흡입구(11)의 상단에 걸쳐지며, 후술할 삽입 가이드(112)는 공기흡입구(11) 내에 끼워진다.
삽입 가이드(112)는 이상과 같은 거치구(1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공기흡입구(11) 내에 끼워진다. 이때 공기흡입구(11)가 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그에 대응하여 삽입 가이드(112) 역시 공기흡입구(11)에 끼워지도록 원형 관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삽입 가이드(112)는 공기흡입구(11)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에 배치되기 위한 것으로, 공기흡입시 흔들림이나 공기흡입구(11)와의 접촉에 따른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기흡입구(11)의 내주면에 밀착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음재(113)는 도 3의 (b)에 도시된 분사장치(110)의 단면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삽입 가이드(112)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됨에 따라 공기흡입구(11)를 통해 공기가 흡입시 소음을 저감시킨다.
삽입 가이드(112)가 공기흡입구(11)의 내주면에 밀착 조립되는 경우 흡음재(113)는 삽입 가이드(112)이 내측벽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분사장치(110)를 공기흡입구(11)에 추가로 장착하더라도 구조 변화에 따른 소음을 방지한다.
즉, 공기흡입구(11)의 유로인 중공부에 분사장치(110)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더라도 분사장치(110)에 설치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분사노즐(114)은 삽입 가이드(112)의 내측부에 고정 설치되되, 삽입 가이드(112)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단부에는 약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분출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분사노즐(114)은 일 예로 기다란 봉(rod) 형상의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송 관로(10)의 중공부에 형성된 유로와 동축 선상에 배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분사된 약액이 이송 관로(10)의 유로 방향에 나란하게 분출되므로 실효적인 약액 이송량을 월등히 증가시킨다.
다만, 실효적인 약액 이송량을 더욱 늘리기 위해서 분사노즐(114)은 삽입 가이드(112)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설치됨으로써, 분사노즐(114)에서 분사된 약액이 삽입 가이드(112)의 벽면에 도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공기흐름센서(115)는 공기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삽입 가이드(112)의 내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입된 공기의 유량(혹은 유속)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값을 유량 판별부(116)에 제공한다.
유량 판별부(116)는 공기흐름센서(115)의 감지량을 통해 공기흡입구(11)를 통해 이송 관로(10)로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을 판독하여, 펌프(130) 및 공기공급장치(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한다.
따라서, 공기흡입구(11)로 유입되는 공기흡입량에 따라 약액을 공급하는 펌프(130)나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140)(예: 레귤레이터(141))를 제어함에 따라 약액의 낭비를 방지하고 악취 제거에 필요한 최적의 분사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공기흐름센서(115) 및 유량 판별부(116) 이외에 알람 송신부(117)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유량 판별부(116)에서 판독한 공기 공급량이 기준값 미만이거나 혹은 공기가 역류하는 경우 알람 송신부(117)를 통해 원격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게 한다.
알람 송신부(117)는 유무선 통신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송 관로(10)를 따라 이송중인 생활 폐기물의 정체에 의해 이송 관로(10)가 막힌 경우나 통로가 좁아진 경우에는 공기흡입구(11)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유동하지 않거나 유동량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흐름센서(115)를 이용하여 이송 관로(10) 내부에 문제가 생긴 경우 공기의 흐름 변동을 감지하고, 유량 판별부(116)에서는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이송 관로(10)의 막힘 등을 판별한다. 판별 경과 이상 발생시는 알람 송신부(117)에서는 관리자 등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게 한다.
다만, 이상과 같은 공기흐름센서(115)는 삽입 가이드(112)의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공기흐름센서(115-T) 및 삽입 가이드(112)의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공기흐름센서(115-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량 판별부(116)는 상부 공기흐름센서(115-T)에서 감지한 공기 유동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부 공기흐름센서(115-T)의 측정값에 가중치를 가한 후, 하부 공기흐름센서(115-B)의 측정값을 더하여 공기 유동 상황을 판단한다. 물론, 센서의 개수로 나누어 평균을 구할 수도 있다.
반면, 유량 판별부(116)는 하부 공기흐름센서(115-B)에서 감지한 공기 유동량이 기준값 미만이거나 혹은 공기가 역류하는 경우 하부 공기흐름센서(115-B)의 측정값에 가중치를 가한 후, 상부 공기흐름센서(115-T)의 측정값을 더하여 공기 유동 상황을 판단한다. 이 경우에도 센서의 개수로 나누어 평균을 구할 수도 있다.
이송 관로(10) 내부에 막힘 등이 없이 정상적인 경우라면 공기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혹은 유속)이 정상적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공기흡입구(11) 중 상부에 설치된 상부 공기흐름센서(115-T)의 검측값에 더욱 신뢰성이 있으므로 이에 가중치를 준다.
반면, 이송 관로(10) 내부에 막힘 등이 있는 경우에는 심할 경우 이송 관로(10)에서 공기흡입구(11) 측을 향해 반대로 역류하는 공기가 발생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공기흡입구(11) 중 하부에 설치된 하부 공기흐름센서(115-B)의 검출값에 더욱 신뢰성이 있으므로 이에 가중치를 주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이송 관로
11: 공기흡입구
110: 분사장치
111: 거치구
112: 삽입 가이드
113: 흡음재
114: 분사노즐
115: 공기흐름센서
116: 유량 판별부
117: 알람 송신부
120: 저장탱크(약액 저장)
130: 펌프
140: 공기공급장치

Claims (7)

  1. 이송 관로(10)에 투입된 생활 폐기물을 흡입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집하장으로 수집함에 있어서,
    상기 이송 관로(10)의 상류측에 연결된 공기흡입구(11)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흡입구(11) 내로 악취제거용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장치(110)와;
    상기 약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120)와;
    상기 저장탱크(120)에 저장된 약액을 약액 라인(131)을 따라 상기 분사장치(110)로 수송시키는 펌프(130); 및
    레귤레이터(141)를 포함하여 압력이 조절된 공기를 상기 분사장치(110)에 공급함으로서 상기 펌프(130)에 의해 공급된 약액이 상기 분사장치(110)를 통해 분무되도록 하는 공기공급장치(140);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해 공급된 악취제거용 약액이 상기 흡입 송풍기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이송 관로(10)의 벽면 및 생활 폐기물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130)와 분사장치(110)를 연결하는 약액 라인(131)으부터 분기되며, 배출측이 상기 저장탱크(120)에 연결된 바이패스라인(132)과;
    상기 바이패스라인(132)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130)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라인(132)을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리턴밸브(133); 및
    상기 약액 라인(131)에 설치된 체크밸브(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110)는 상기 공기흡입구(11)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분사장치(110)의 분무측은 상기 공기흡입구(11)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110)는,
    상기 공기흡입구(11)의 상단부에 거치되는 거치구(111)와;
    상기 거치구(11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공기흡입구(11) 내에 끼워지는 삽입 가이드(112)와;
    상기 삽입 가이드(112)의 내측벽 또는 외측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되어 흡음재(113); 및
    상기 삽입 가이드(112)의 내측부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삽입 가이드(112)보다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상기 약액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분출부가 구비된 분사노즐(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삽입 가이드(112)의 내측부에 설치된 공기흐름센서(115); 및
    상기 공기흐름센서(115)의 감지량을 통해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해 상기 이송 관로(10)로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을 판독하는 유량 판별부(116);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장치(110)로 약액을 공급하는 펌프(130) 및 상기 분사장치(110)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유량 판별부(116)에서 판독한 공기 공급량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삽입 가이드(112)의 내측부에 설치된 공기흐름센서(115)와;
    상기 공기흐름센서(115)의 감지량을 통해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해 상기 이송 관로(10)로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을 판독하는 유량 판별부(116); 및
    상기 유량 판별부(116)에서 판독한 공기 공급량이 기준값 미만이거나 혹은 공기가 역류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알리는 알람 송신부(1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센서(115)는 상기 삽입 가이드(112)의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공기흐름센서(115-T) 및 상기 삽입 가이드(112)의 하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공기흐름센서(115-B)를 포함하되,
    상기 유량 판별부(116)는 상기 상부 공기흐름센서(115-T)에서 감지한 공기 유동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상부 공기흐름센서(115-T)의 측정값에 가중치를 가한 후, 상기 하부 공기흐름센서(115-B)의 측정값을 더하고,
    상기 유량 판별부(116)는 상기 하부 공기흐름센서(115-B)에서 감지한 공기 유동량이 기준값 미만이거나 혹은 공기가 역류하는 경우 상기 하부 공기흐름센서(115-B)의 측정값에 가중치를 가한 후, 상기 상부 공기흐름센서(115-T)의 측정값을 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KR1020170136303A 2017-10-20 2017-10-20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KR101803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303A KR101803297B1 (ko) 2017-10-20 2017-10-20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303A KR101803297B1 (ko) 2017-10-20 2017-10-20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297B1 true KR101803297B1 (ko) 2017-12-01

Family

ID=6092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303A KR101803297B1 (ko) 2017-10-20 2017-10-20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2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999A (ja) 2001-10-31 2003-05-13 Fujimori Gijutsu Kenkyusho:Kk 薬液供給システム
KR100795117B1 (ko) 2007-01-04 2008-01-21 김재곤 관로 막힘 위치 탐지와 막힘 쓰레기의 제거가 가능한 쓰레기 자동 집하 장치
KR101014265B1 (ko) 2010-05-28 2011-02-16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악취제거 약품 분사장치를 구비한 음식쓰레기 수거차량
KR101044722B1 (ko) 2010-12-08 2011-06-28 주식회사 건화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68558B1 (ko) 2015-04-20 2016-10-28 이에스피 주식회사 생활폐기물자동집하시설의 음식물류폐기물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999A (ja) 2001-10-31 2003-05-13 Fujimori Gijutsu Kenkyusho:Kk 薬液供給システム
KR100795117B1 (ko) 2007-01-04 2008-01-21 김재곤 관로 막힘 위치 탐지와 막힘 쓰레기의 제거가 가능한 쓰레기 자동 집하 장치
KR101014265B1 (ko) 2010-05-28 2011-02-16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악취제거 약품 분사장치를 구비한 음식쓰레기 수거차량
KR101044722B1 (ko) 2010-12-08 2011-06-28 주식회사 건화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68558B1 (ko) 2015-04-20 2016-10-28 이에스피 주식회사 생활폐기물자동집하시설의 음식물류폐기물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095B1 (ko) 바이오커튼과 이온수를 이용하여 축사의 악취를 저감하는 방법
KR100794208B1 (ko) 악취 탈취장치
KR20110003155A (ko) 분진 및 냄새 제거장치
KR101803297B1 (ko)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악취저감장치
CN109319360B (zh) 一种楼宇垃圾处理系统
KR101044722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233758A1 (en) On-demand waste transport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with low water or water free waste disposal devices
KR102082938B1 (ko)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US20090000019A1 (en) Waste transport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with low water or water free waste disposal devices
KR101044727B1 (ko) 생활 폐기물 자동 집하장치
KR20090000523A (ko) 진공이송방식과 송풍기이송방식을 혼합한 쓰레기 수거시스템
CN204896807U (zh) 一种自动真空上料装置
KR200458264Y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악취제거 시스템
KR200401857Y1 (ko) 공기 이송방식 세대별 음식물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20190120666A (ko) 축사용 악취 제거장치
KR101061535B1 (ko) 악취처리장치
KR102063555B1 (ko) 슬러리피트 배관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돈사 액비 순환 시스템
KR20140005898A (ko) 하수도에서의 오수 처리 시스템
KR100914883B1 (ko) 소규모 수도 시설의 라돈 제거 시스템
KR102243254B1 (ko) 악취차단 및 악취처리 기능을 겸비하는 폐수중계펌프장
KR100735882B1 (ko) 수압을 이용한 잔수 및 슬러지 배출장치
KR20180054195A (ko) 물을 이용한 에어 케어 장치 및 그 방법
CN203848490U (zh) 储水式电热水器
KR101864696B1 (ko) 클린하우스용 탈취장치
CN219001317U (zh) 一种新型除味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