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232B1 - A generator of microbubble - Google Patents

A generator of microbub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232B1
KR101803232B1 KR1020170054251A KR20170054251A KR101803232B1 KR 101803232 B1 KR101803232 B1 KR 101803232B1 KR 1020170054251 A KR1020170054251 A KR 1020170054251A KR 20170054251 A KR20170054251 A KR 20170054251A KR 101803232 B1 KR101803232 B1 KR 101803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water
motor
discharge port
bub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청환
Original Assignee
김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환 filed Critical 김청환
Priority to KR102017005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2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2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B01F3/044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01F7/0034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or. An air inlet pipe is formed so as to protrude above the water surface at an upper end of a tubular body of which the lower side is opened and which is installed in water so as to be able to stay in water for a long time by generating fine bubbles at low pressure. A discharge port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An impeller in which a bubble generating port is formed radially and is axially coupled to a motor is installed above the discharge port in the body. As the surface in the body is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and bubbles are generated through the bubble generating port and ar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Description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A generator of microbubb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세하면서도 수중에 오래 머물 수 있는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 bubble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bubble capable of staying in the water for a long time.

마이크로 버블은 직경이 10~100㎛ 범위의 초미세기포로 기존의 기포에 비하여 여러가지 뛰어난 특성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예로, 마이크로 버블은 친수 및 경관용수의 수질 개선 및 소독, 상하수의 탈취 및 소독, 우수저장용수의 소독, 폐쇄성 수역(저수지, 댐, 하천의 정체 수역)의 수질개선 및 악화방지, 양수장의 수질 개선 및 소독, 식품 위생 산업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Micro bubbles are ultra-fine bubbles with diameters in the range of 10 to 100 μm and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because they have various excell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conventional bubbles. For example, microbubbles can be used to improve and disinfect water quality of hydrophilic and landscape water, deodorization and disinfection of water and wastewater, disinfection of excellent storage water, prevention of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n closed water bodies (reservoirs, dams, Improvement and disinfection, and food hygiene industry.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은 주로 물과 공기를 격렬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주로 발생되며, 선회액체류식, 스테이트믹서식, 아젝터식, 밴추리식, 가압용해식, 초음파식,전기분해식, 미세기공필터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된다. These micro bubbles are mainly generated when water and air are vigorously rotated. The micro bubbles are generat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circulating liquid type, state liquid type, ejector type, vane type, pressure type dissolution type, ultrasonic type, electrolysis type, Lt; / RTI >

이렇게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은 기포의 직경이 매우 작아 같은 체적의 일반 기포에 비하여 표면적이 월등히 넓어 기체 용해 능력이 탁월하고, 수중에서의 상승속도가 매우 느려 수중에서의 체류시간이 월등히 길며, 자기 가압 후 소멸에 의한 크러싱 효과에 의해 산화력을 갖는 다양한 장점이 있다. The microbubbles thus formed are very small in diameter of the bubbles, so that the surface area is much wid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bubbles of the same volume, so that the gas dissolving ability is excellent, the rising speed in the water is very slow and the residence time in the water is much longer, There are various advantages of oxidizing power by the crushing effect by extinction.

그러나, 기존의 산기방식이나 가압방식으로는 마이크로 버블을 형성하기가 어렵고 마이크로 버블이 형성되더라도 버블의 밀도가 낮아 마이크로 버블이 가지는 물리화학적 특성을 기대하기 어려워 마이크로 버블을 응용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form a micro bubble by the existing acid generation method or pressurization method,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a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a micro bubble due to a low density of the bubble even if a micro bubble is formed. .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5914 "마이크로버블발생장치"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5914 entitled "Microbubble Generator"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275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0275 entitled " Microbubble Generator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낮은 압력에서 미세한 버블을 발생시켜 수중에 오래 머물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높은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제안함에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cro bubble generator capable of generating minute bubbles at low pressure and staying in water for a long ti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하방이 개방되고 수중(水中)에 설치되는 통형인 몸체의 상단에 수면(水面) 위로 돌출되도록 공기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몸체 내부에는 모터와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방사상으로 버블발생구가 형성된 임펠라가 상기 토출구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라의 회전에 의해 몸체 내부의 수면이 낮아지면서 공기유입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버블발생구를 거쳐 버블이 생성되어 토출구를 통해 내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micro bubbl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ir inlet pipe is formed so as to protrude above a water surface at an upper end of a tubular body which is opened downward and installed in water, And an impeller having a radial bubble generating port is installed above the discharge port and a water surface inside the body is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And the bubble is generated through the bubble generation port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임펠라에는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mpe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cavities and convexities are formed down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몸체 내부에는 임펠라의 상방으로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에어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ai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formed above the impeller is installed in the body.

또한, 상기 몸체 내부에는 임펠라의 하방으로 몸체의 폭보다 폭이 작은 모터가 홀더에 의해 설치되되, 상기 홀더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otor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is provided below the impeller by a holder, and an outlet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holder.

또한, 상기 홀더는 적어도 모터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holder is provided at least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motor.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내부의 수면이 낮아지면서 공기가 유입되므로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서 미세한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므로 수중에 오래 머물 수 있으므로 양식장, 폐수처리(정화)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는 등 활용도가 높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cro-bubbles are generated at a pressure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because air is introduced while the water surface inside the body is lowered. Therefore, i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in aquaculture site, wastewater treatment (purification) .

또한,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함과 동시에 생성시 사용되는 모터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므로 모터의 가열로 인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otor used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micro bubble is effectively coo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ailure due to the heating of the mo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의 내부에 결합되는 부품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사용되는 임펠라와 에어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에 사용되는 모터와 홀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upled state diagram of component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mpeller and an air plate used in a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tor and a holder used in the micro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낮은 압력에서 미세한 버블을 발생시켜 수중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하방이 개방되고 수중(水中)에 설치되는 통형인 몸체의 상단에 수면(水面) 위로 돌출되도록 공기유입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몸체 내부에는 모터와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방사상으로 버블발생구가 형성된 임펠라가 상기 토출구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라의 회전에 의해 몸체 내부의 수면이 낮아지면서 공기유입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버블발생구를 거쳐 버블이 생성되어 토출구를 통해 내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inlet pipe is formed so as to protrude above a water surface at an upper end of a tubular body that is opened downward and is installed in water so as to generate minute bubbles at low pressure so as to stay in water for a long time, An impeller having a bubble generating port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is installed above the discharge port and a water surface inside the body is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bubbles are generated through the bubble generator, and the bubbl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icro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본 발명인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이 개방된 통형인 몸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는 도면에는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and 2, the micro bubble generator includes a cylindrical body 100 opened downward. The body 100 is shown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dra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상기 몸체(100)는 수중(水中)에 설치되나, 후술할 공기유입관(120)을 통한 공기의 유입과, 임펠라(140)를 통한 수면의 하강, 그리고 미세한 버블이 발생되어 물 속으로 배출되는 위치 등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몸체(100)의 상단이 수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body 100 is installed in the water, the inflow of air through the air inflow pipe 120, the descent of the water through the impeller 140, and a fine bubble are gener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body 100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한편,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관(120)은 외부의 공기 유입을 위해 수면(水面) 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관(120)은 몸체(100) 내부로의 공기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n air inlet pipe 120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100. The air inlet pipe 120 protrudes above the water surface for inflow of external air . 1 to 3, the air inlet pipe 120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100 in order to smoothly supply air into the body 100 Do.

또한, 상기 공기유입관(120)은 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관(120)이 별도로 형성되어 몸체(100)의 상단을 덮는 마개(170)와 결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ir inlet pipe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nd of the body 100, and the air inlet pipe 120 may be separately formed as shown in FIG. 3, And may be combined with a cap 170 that covers the top.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는 생성된 버블이 내보내지면서 물이 몸체(100)로 유입되는 토출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몸체(100) 내부의 수면이 낮아지는 것이란, 몸체(100)의 상단까지 채워져 있던 물이 토출구(110)가 형성된 지점까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110)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a discharge port 110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body 100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body 100 as the generated bubbles are discharged. The lowering of the water surface means that the water fill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100 is lowered to the point where the discharge port 110 is form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discharge ports 110 may be formed, o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또한, 상기 토출구(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된 버블이 몸체(100)의 외부로 내보내지는 역할을 하므로, 후술할 임펠라(140)가 설치된 지점과 동일하거나 상기 임펠라(140)보다 하방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생성된 버블은 임펠라(140)의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임펠라(140)가 설치된 지점보다 하방에 상기 토출구(110)가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Since the bubbl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he discharge port 110 is install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impeller 140, which is described later, or at a position below the impeller 140 . However, the generated bubbles are moved downwar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40,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ort 110 is formed below the point where the impeller 140 is installed.

한편,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30)와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임펠라(140)가 설치된다. 상기 임펠라(140)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버블발생구(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110)보다 상방에 설치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 to 4, the body 100 is provided with an impeller 140 which is axially coupled with the motor 130 and rotates. The impeller 140 has a plurality of bubble generators 141 formed radially and is installed above the discharge port 110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모터(130) 회전시, 이와 연결된 임펠라(140) 또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임펠라(140)의 회전에 의해 몸체(100)를 채우고 있던 물이 몸체(100) 외부로 유출되면서 몸체(100) 내부의 수면이 낮아진다. 수면이 낮아짐으로 인해 생기는 몸체(100) 내부 공간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상태가 되며, 이때 공기유입관(12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회전하는 임펠라(140)의 버블발생구(141)를 통해 마이크로 버블이 생성되며, 이렇게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은 토출구(110)를 통해 몸체(100)의 외부로 내보내지게 된다. When the motor 130 rotates, the impeller 140 connected to the motor 130 also rotates. When the water filled in the body 100 flows out of the body 100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40, The internal water surface is lowered. 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120 flows through the bubble generator 141 of the rotating impeller 140 into the micro- Bubbles are generated, and the micro bubble thus genera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 [

이와 같이 낮은 압력에서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은 수중에서 오래 머물 수 있으므로 양식장, 폐수처리(정화)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장소에서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러한 마이크로 버블은 고유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음로 이를 응용한 다양한 기술 개발 또한 가능하다. Since microbubbles produced at such a low pressure can stay in water for a long time, they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farm site and wastewater treatment (purification), and the microbubbles have inherent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t is also possible to develop various applied technologies.

한편, 상기 임펠라(140)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요철(凹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생성된 버블이 내보내지는 토출구(110)가 형성된 방향인 임펠라(140)의 하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버블발생구(141)를 통해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은 토출구(110)를 향해 몸체(100)의 하방 및 측면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임펠라(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더 작은 크기의 마이크로 버블로 잘려지게 된다. 2 to 4, the impeller 140 may hav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concavity and convexity is preferably formed below the impeller 140, which is a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110 through which the generated bubble is discharged. The micro bubbles generated through the bubble generator 141 are moved toward the discharge port 110 from the lower side and the side of the body 100 so that the micro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irregulariti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impeller 140, It will be cut into bubbles.

한편,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라(140)의 상방으로 에어플레이트(1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플레이트(150)에는 다수의 통기공(151)이 형성되어 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물로 고압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바, 미세한 버블 발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2 to 4, an air plate 150 may be installed above the impeller 140 in the body 100. The air plate 1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51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is injected with high pressure into the water. As a result, fine bubbles are effectively generated.

또한, 에어플레이트(150)에 형성된 통기공(151)은 임펠라(140)의 회전에 의해 버블발생구(14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The vent hole 151 formed in the air plate 150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bubble generator 141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40.

따라서, 통기공(151)과 버블발생구(141)의 크기 및 모양 등을 변경시킴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 활용도에 따른 버블의 밀도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microbubbles of various sizes can be generated by chang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vent hole 151 and the bubble generator 141, and the density of the bubble depending on the utilization can be controlled.

한편, 몸체(100)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라(140)와 축결합되어 상기 임펠라(140)를 회전시키는 모터(130)가 포함될 수 있는데, 몸체(100) 내부에서의 물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였을 때, 상기 모터(130)는 임펠라(140)의 하방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몸체(100)의 폭보다 폭이 작도록 형성되어 몸체(100)와 모터(130) 사이의 공간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2 and 3, a motor 130 may be included in the body 100 to rotate the impeller 140 by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impeller 140, as shown in FIGS. 2 and 3. In the body 100, The motor 130 is installed below the impeller 140 and is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10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motor 130 So that water can flow into the space.

이때, 상기 모터(130)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60)에 의해 몸체(10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홀더(16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배출구(161)가 형성되어 배출구(161)를 통해 몸체(100)의 하방으로 물이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61)은 하나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다수 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출되는 물은 모터(130)와 몸체(100) 사이를 지나며 회전에 의해 가열된 모터(130) 또는/및 몸체(100)를 냉각시킨다.2, 3, and 5, the motor 130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100 by a holder 160, and a discharge port 161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holder 160 And wa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1. Although one outlet 161 may b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outlet 161 are formed. In this process, the water discharged between the motor 130 and the body 100 cools the motor 130 and / or the body 100 heated by the rot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함과 동시에 생성시 사용되는 모터(130)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모터(130)의 가열로 인한 고장 또는 마이크로 버블의 생성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ool the motor 130 used in the generation of the micro bubble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ailure due to the heating of the motor 130 or a change in the micro bubble generation condition .

또한, 상기 홀더(160)는 한 개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130)를 몸체(100) 내부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어 모터(130)의 상단과 하단을 몸체(100) 내부에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홀더(16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 배출구(161)가 형성되어 모터(130)를 냉각시키면서 몸체(100)의 외부로 물이 빠져나가도록 한다. One of the holders 160 may be provided to fix the motor 130 inside the body 100. At least two of the holders 16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tor 130, (10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holder 160 has the discharge port 161 at the edge thereof to allow the water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while cooling the motor 130.

100 : 몸체 110 : 토출구
120 : 공기유입관 130 : 모터
140 : 임펠라 141 : 버블발생구
150 : 에어플레이트 151 : 통기공
160 : 홀더 161 : 배출구
170 : 마개
100: Body 110:
120: air inlet pipe 130: motor
140: Impeller 141: Bubble generator
150: air plate 151: air vent
160: holder 161: outlet
170: Plug

Claims (5)

하방이 개방되고 수중(水中)에 설치되는 통형인 몸체(100)의 상단에 수면(水面) 위로 돌출되도록 공기유입관(120)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토출구(110)가 형성되되,
상기 몸체(100) 내부에는 모터(130)와 축결합되어 회전하며 방사상으로 버블발생구(141)가 형성된 임펠라(140)가 상기 토출구(110)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라(140)의 회전에 의해 몸체(100) 내부의 수면이 낮아지면서 공기유입관(12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버블발생구(141)를 거쳐 버블이 생성되어 토출구(110)를 통해 내보내지고,
상기 임펠라(140)에는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생성된 버블이 잘리며 내보내지며,
상기 몸체(100) 내부에는 임펠라(140)의 상방으로 다수의 통기공(151)이 형성된 에어플레이트(150)가 설치되어, 미세 버블 발생이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0) 내부에는 임펠라(140)의 하방으로 몸체(100)의 폭보다 폭이 작은 모터(130)가 홀더(160)에 의해 설치되되,
상기 홀더(16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배출구(161)가 형성되어, 배출구(161)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모터(130)의 냉각이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160)는 적어도 모터(13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어 몸체(100) 내부에 모터(13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An air inlet pipe 12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a cylindrical body 100 opened downward and installed in water and a water outlet 110 is formed at a side of the body 100 Formed,
An impeller 140 having a bubble generator 141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body 100 above the discharge port 110,
The water surface inside the body 100 is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40 so that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pipe 120 and bubbles are generated through the bubble generator 141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0 under,
The impeller 140 is form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down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generated bubbles are cut off,
An air plate 150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51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impeller 140 is installed in the body 100 to generate fine bubbles,
A motor 130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100 is installed below the impeller 140 by a holder 160 in the body 100,
The holder 16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61 along an edge thereof so that the motor 130 is cooled by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1,
Wherein the holder (160) is provided at least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tor (130) to fix the motor (130) inside the body (1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54251A 2017-04-27 2017-04-27 A generator of microbubble KR1018032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251A KR101803232B1 (en) 2017-04-27 2017-04-27 A generator of microbub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251A KR101803232B1 (en) 2017-04-27 2017-04-27 A generator of microbub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3232B1 true KR101803232B1 (en) 2017-11-29

Family

ID=6081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251A KR101803232B1 (en) 2017-04-27 2017-04-27 A generator of microbub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23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306B1 (en) * 2019-06-21 2019-12-02 박승훈 Micro bubble product devic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CN114749043A (en) * 2022-06-13 2022-07-15 四川环钻星空能源科技有限公司 Foam generator for drilling fluid in oil fiel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600A (en) * 2007-08-06 2009-02-26 Reo Laboratory Co Ltd Ultra-fine bubble production device
KR100997446B1 (en) * 2008-05-27 2010-11-30 (주)서원에스엠 Fine bubble generating Submersible Aerator and Wastewater process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KR101570385B1 (en) * 2013-11-15 2015-11-19 한국기계연구원 Fine air bubble generator for high speed cut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600A (en) * 2007-08-06 2009-02-26 Reo Laboratory Co Ltd Ultra-fine bubble production device
KR100997446B1 (en) * 2008-05-27 2010-11-30 (주)서원에스엠 Fine bubble generating Submersible Aerator and Wastewater processing facilities having the same
KR101570385B1 (en) * 2013-11-15 2015-11-19 한국기계연구원 Fine air bubble generator for high speed cut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306B1 (en) * 2019-06-21 2019-12-02 박승훈 Micro bubble product devic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CN114749043A (en) * 2022-06-13 2022-07-15 四川环钻星空能源科技有限公司 Foam generator for drilling fluid in oil fie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232B1 (en) A generator of microbubble
JP4392540B1 (en) Production equipment for fine bubble dispersed water
JP4678617B2 (en) Additional device for swirling microbubble generator
JP3958346B1 (en) Microbubble generator
TW200904554A (en)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9136864A (en) Microbubble generator
JP2014097449A (en) Through-flow pump ultrafine bubble flow supply device
JP2022525596A (en) Immersible nanobubble generation devices and methods
KR101125851B1 (en) Nano-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101163089B1 (en) Air dossoving tube and dissolved air injection type flotation tank
JP2010167329A (en) Aeration agitator
JP7396624B2 (en) Micro bubble generator
KR101191562B1 (en) System to decrease residual ozone gas and to increase dissolved ozone in the water
KR100577830B1 (en) Swirling Fine-Bubble Generator
CN112591870A (e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urifier
JP6797424B2 (en)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ine cell mixture
KR101874897B1 (en) swirl type micro buble generating device
KR102040275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nano bubble
KR101196995B1 (en) Water-Circulating Apparatus of Water Supply Utility using Draft Tube
KR100978220B1 (en) The fluidal heating method which uses a swirl cavitation and system
KR101962903B1 (en) micro bubble generator
JP2013081880A (en) Gas dissolving apparatus
JP4067385B2 (en) Water storage purification device
ES2662693B2 (en) Agitator and diffuser system of a gas in liquids
JP6832589B2 (en) Ultra fine bubble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