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656B1 -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656B1
KR101802656B1 KR1020160072768A KR20160072768A KR101802656B1 KR 101802656 B1 KR101802656 B1 KR 101802656B1 KR 1020160072768 A KR1020160072768 A KR 1020160072768A KR 20160072768 A KR20160072768 A KR 20160072768A KR 101802656 B1 KR101802656 B1 KR 101802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ne dust
exhaust
harmful gas
nitrogen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지원
Original Assignee
엄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지원 filed Critical 엄지원
Priority to KR1020160072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04Removing only nitrogen compounds
    • B01D53/9409Nitrogen oxides
    • B01D53/9413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B01D53/9427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for removing nitrous 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04Removing only nitrogen compounds
    • B01D53/9409Nitrogen oxides
    • B01D53/9431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4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carbon making use of oxidation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1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nitrous oxide (N2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전구의 빛과 파장을 이용하여 유해가스인 질소산화물을 물과 질소로 분해하고, 냉각장치를 통과시켜 포함하고 있는 수분을 물로 만들어 외부로 배출 제거하며, 유해가스를 포함한 가스나 대기를 포집필터를 통과시켜 차량의 배기가스 및 대기 등에서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 일반적인 정화장치는 삼원촉매 장치로서, 일산화탄소 ,탄화 수소 등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질소산화물이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미세먼지 등의 차량의 배기가스와 대기 중의 유해가스에서 분해, 제거 분리하여 청정의 대기 중에서 생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A Device That Removing Harmful gas and Fine dust}
본 발명은 LED전구의 빛과 파장을 이용하여 유해가스인 질소산화물을 물과 질소로 분해하고, 냉각장치를 통과시켜 포함하고 있는 수분을 물로 만들어 외부로 배출 제거하며, 유해가스를 포함한 가스나 대기를 포집필터를 통과시켜 차량의 배기가스 및 대기 등에서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은 유해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배기계통에 마련되어 배기가스나 대기 중의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배기계통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제거하고, 배기가스에 함유된 유해성 가스인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납산화물을 정화하여 정화된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유해가스 정화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정화장치는 삼원촉매 장치로서, 일산화탄소 ,탄화 수소 등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질소산화물이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미세먼지 등의 차량의 배기가스와 대기 중의 유해가스에서 분해, 제거 분리하여 청정의 대기 중에서 생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질소산화물은 고온에서 암모니아를 만나면 물과 질소로 분해되나, 삼원촉매방식의 정화장치와 병행하여 설치가 어렵고, 암모니아 가스를 계속해서 공급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저온에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하며, 매연 등과 같은 입자가 0.3미크론에서 0.6미크론까지의 작은 미세입자들이 대기 중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포집 백이나 초미세공이 설치된 판형 필터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흐르는 유체가 포함하고 있는 수분을 제거해야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 질소산화물은 고온에서 암모니아를 만나면 물과 질소로 분해되나, 저온에서는 태양의 빛에 의해 분해되므로, 태양의 빛을 L.E.D 전구의 파장으로 구현하고, 포집백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가 가진 수분을 냉각하여 물로 만들어 제거하며, 포집백의 막힘 정도를 압력스위치의 신호로 점검하여 교체하여, 유체에서 유해가스를 효율적으로 분해 및 분리 제거를 하도록 하였다.
또한, 주행도중이나 필연적으로 연속으로 사용을 할 필요가 있을 때, 분배관을 사용하여 유체의 방향을 변화시켜 예비 장치로 유입시켜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킨다.
1. 질소산화물올 물과 질소로 분해하여, 유해한 가스 상의 물질을 안전한 물질로 분해한다.
2. 매연이나 미세한 물질을 생활공간의 대기로 배출을 방지한다.
3. 포집 백 내부에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버리므로 대기로 방출되지 않는다.
4. 대기오염을 방지한다.
5. 매연을 재 연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드시 필요한 발명이다.
제1도 : 본 발명의 장치 내의 유체 흐름도.
제2도 : 본 발명의 장치를 연속적으로 사용 할 때의 설명도.
제3도 : 본 발명의 압력스위치 "가"부 상세도 및 부품 입체도.
제4도 : 보 발명의 내부 단면 및 부품 입체도.
* 도면의 주요한 부호에 대한 설명
11) 냉각 관 12) 감속 컵 13) 열 교환 판
14) 가속 컵 15) 송풍기몸체 16) 분배 관
17) 방출 관
21) 원통돌기 부 22) 압력피스톤 23) 통전체
24) 전원단자 25) 스토퍼 26) 스프링
31) 임펠러 33) 모터 55) 고전압방전 체
65) LED 전구 66) 조정 판 77) 경광등
98) 포집 백 99) 필터 통
화살표는 유체흐름도와 회전방향지시임.
표시 없는 공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면표시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 제1도에서 제4도까지의 제시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배기가스나 대기에서 유해가스가 분해, 분배, 그리고 냉각되어 물로 배출 되는 과정을 위해서 설치한 장치들을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의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삼원촉매 장치를 통과하여 배기관을 통하여 본 발명의 관으로 유입되면 제2도의 고전압방전체(55)의 방전현상에 의하여 연소되지 않은 기름성분이 재 연소 되고; 상기 재 연소 가스가 흐름 조정 판(66)에 의해 개관된 관을 따라 흐르고 LED전구(65)가 내부의 원주면을 따라 설치 된 관내로 유입된다.[여기부터 배기가스를 유해가스를 포함한 공기로 유체라고 표현함]
이어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에 열전달 판이 설치된 냉각관(11)내에 감속 컵(12), 열 교환 판(13), 가속 컵(14)이 내장 설치된 송풍기 몸체(15)가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고,
유체는 상기 설치된 장치의 순차적으로, 내부공간으로 흐르며 유체가 가지고 있는 온도보다 냉각되어, 온도 변화에 의해 유체 내에 존재한 수분이 물로 만들어져 하부에 만들어진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유체는 모터(33)의 힘에 의하여 회전되는 임펠러(31)에 의해 송풍기 몸체(15)내부로 이송되어져 분배 관(16)을 통과하여 방출 관(17)에 설치된 포집 백(98)올 통과하며, 필터 통(99)의 외부로 배출 된다.
이때, 미세먼지는 포집 백(98)의 내부에 남게 되고, 청정유체만 대기로 배출되고, 미세먼지에 의해 포집 백(98)이 막혀 분배 관(16)내부에 압력이 형성되면, 압력 피스톤(22)의 이동으로 통전 체(23)가 단락된 전원단자(24)를 연결하면, 경광등(77)이 켜짐과 동시에 조정 판(66)이 회전하여 반대쪽 입구를 밀봉하게 되어 예비 장치의 내부로 유체가 이송하게 설치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제1도에서 제4도까지 제시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젤 엔진에서 발생된 연소가스 중 유해가스의 주범인 질소산화물은 빛의 파장에 의하여 물과 질소로 분해된다.
즉, 태양 빛과 유사한 LED 전구(65)에서 나오는 파장에 의해 발생 되는 빛에 의해 질소 산화물은 물과 질소로 분해된다.
이때, 발생된 물과 유체에 증기형태로 포함되어 흐르는 수분들이 감속 컵(12), 열 교환 판(13), 가속 컵(14)에 설치 된 미세 공을 통과하면서 물로 변하여 냉각 관(11)과 송풍기 몸체(15)에 설치된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는 포집 백(98)이 수분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포집 백(98)이 미세먼지에 의해 막혀 유체의 통과 율이 낮아져 장치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경광등(77)이 켜지게 되면, 사용자는 필터 통(99)을 분리하여 포집 백(98)을 교체하여 사용한다.
이때, 포집 백(98)과 필터 통(99)을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 할 수 있으나, 미세먼지는 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파이프 형태의 배기통 외면에 열전달 리브가 설치된 냉각관(11)내에 미세공이 설치 된 감속 컵(12)과, 열 교환 판(13), 가속 컵(14)이 내장 설치된 송풍기 몸체(15)가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 냉각부의 설치 수단과,
    삼원 촉매장치 이후의 배기가스관의 중간부에 고압방전 체(55)가 설치되고, 냉각부와 다른 냉각부의 입구를 분배 관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고, 분배관의 중심부에 조정 판(66)이 설치되며, 관의 내면에 LED전구(65)가 설치되는 재 연소 및 분해 부 설치수단과,
    모터(33)의 힘에 의하여 회전되는 임펠러(31)가 분배 관(16)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고, 방출 관(17)에 분배된 원통 나사파이프 돌기 부 외면에 포집 백(98)을 끼워 설치하며, 필터 통(99)을 나사조립을 통하여 설치하는 포집부 설치수단과,
    통 전체(23)가 단락된 전원단자(24)를 연결하는 신호로 경광등(77)이 켜지는 압력스위치가 설치되는 수단이 특징인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기가스 중간부에 고압방전 체(55)가 나선형으로 설치되고, 필터 통(99)에 설치된 초미세공이 0.3미크론 이하로 설치되는 수단과, 포집 백(98)의 틈새가 0.3미크론 이하로 설치되고, 재질이 종이, 면, 난연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설치된 것이 특징인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LED전구(65)의 파장 주파수가 적외선, 빨, 주, 노, 초, 파, 남, 보, 자외선 등의 색이 발생되는 파장으로 분리하여 설치하고, 원통돌기 부(21)에 자력센서, 압력센서가 대치되어 설치된 것이 특징인 유해가스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160072768A 2016-06-09 2016-06-09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1802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68A KR101802656B1 (ko) 2016-06-09 2016-06-09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68A KR101802656B1 (ko) 2016-06-09 2016-06-09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656B1 true KR101802656B1 (ko) 2017-11-28

Family

ID=6081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768A KR101802656B1 (ko) 2016-06-09 2016-06-09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876B1 (ko) 2018-07-26 201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옥외 냉각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20190089316A (ko) * 2018-01-22 2019-07-3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2차 미세먼지 생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6222A (ja) 2000-03-07 2001-09-11 Toshiba Corp 脱臭装置
KR100829500B1 (ko) 2006-12-26 2008-05-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배기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KR101055791B1 (ko) 2011-05-12 2011-08-09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백필터의 에어퍼징 기능을 갖는 분진 진공 흡입 청소차
KR101125704B1 (ko) 2011-12-20 2012-03-27 이텍산업 주식회사 필터성능 향상을 위한 분진 자동제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6222A (ja) 2000-03-07 2001-09-11 Toshiba Corp 脱臭装置
KR100829500B1 (ko) 2006-12-26 2008-05-1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배기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KR101055791B1 (ko) 2011-05-12 2011-08-09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백필터의 에어퍼징 기능을 갖는 분진 진공 흡입 청소차
KR101125704B1 (ko) 2011-12-20 2012-03-27 이텍산업 주식회사 필터성능 향상을 위한 분진 자동제거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316A (ko) * 2018-01-22 2019-07-3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2차 미세먼지 생성 장치
KR102073342B1 (ko) 2018-01-22 2020-02-0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2차 미세먼지 생성 장치
KR101991876B1 (ko) 2018-07-26 2019-06-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옥외 냉각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9248A (en) Anti-pollution system
AU671750B2 (en) Heat isolated catalytic reactor
EP1341594B1 (en) Filter, regeneration and soot-removing systems and applications
KR100228324B1 (ko) 유체 원심분리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젤엔진 배기시스템 및 고체와 유체의 분리장치
EP2444606A1 (en)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for diesel engine
CN1619119A (zh) 微粒去除装置及具有该装置的柴油车
KR101850045B1 (ko) 유지 비용 절감 기능을 갖는 선박용 매연 저감 장치
KR101802656B1 (ko) 유해가스 저감 및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72334B1 (ko) 자동차 매연 저감을 위한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머플러
CN108316990B (zh) 一种汽车尾气处理装置
JP2004162552A (ja) 内燃機関の排出ガス浄化装置
KR20130005357U (ko) 매연 저감 장치
KR20140129531A (ko) 차량용 배기가스 여과장치
TWM524389U (zh) 車輛排放黑煙及廢氣淨化處理裝置
CN202659311U (zh) 改进的车辆排放黑烟燃烧净化处理装置
CN203822418U (zh) 排烟净化处理装置
CN205445737U (zh) 一种内燃机废气净化器
CN215672402U (zh) 一种金属柴油机尾气炭烟微粒过滤净化器
KR101850046B1 (ko) Dpf의 효율 향상 기능을 갖는 선박용 매연 저감 장치
KR20130017833A (ko) 매연 저감 장치
KR101389777B1 (ko) 급가속 대응용 경유 차량 매연 저감 장치
KR940000469Y1 (ko) 배기가스 살수장치
KR20190101137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신호등
TWI807924B (zh) 用於過濾設備且可替換之過濾輔件
CN216878411U (zh) 一种橡胶密炼废气烟气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