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168B1 -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168B1
KR101802168B1 KR1020150090779A KR20150090779A KR101802168B1 KR 101802168 B1 KR101802168 B1 KR 101802168B1 KR 1020150090779 A KR1020150090779 A KR 1020150090779A KR 20150090779 A KR20150090779 A KR 20150090779A KR 101802168 B1 KR101802168 B1 KR 101802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questionnaire data
questionnaire
lei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170A (ko
Inventor
장윤정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0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168B1/ko
Priority to PCT/KR2016/003302 priority patent/WO2016208855A1/ko
Publication of KR2017000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가 통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게임 요소를 도입하여, 개인의 여가 통행 정보를 수집하여 여가 교통 수요 예측을 위한 기초 DB로 활용할 수 있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SNS와 연계하여 개인의 여가 통행 정보를 타인과 공유하여 경쟁심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적극적인 조사를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광범위한 DB를 구축할 수 있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 및 방법{Location-based game leisure pass scheme applied research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게임 방식을 적용하여 여가통행을 조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게임 형식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여가통행설문을 작성할 때 흥미를 유발하여 여가 통행 조사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동기를 고취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2011년부터 주40시간 근무제가 전면 시행 되면서 여가 및 관광 활동의 수요 증가와 함께 수요 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은 여가 및 관광 정책 관리 측면에서도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여가, 관광 계획 및 관련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여가, 관광 활동과 관련된 활동 자료의 수집과 DB구축은 필수적이나 여전히 관련 분야의 조사는 조사원에 의한 전통적인 설문 조사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개인이나 가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여가, 관광, 쇼핑, 친교 등과 같은 여가, 관광 통행은 불규칙적인 통행 발생과 다수의 목적지 경로 선택 등으로 인해 기존의 여가, 관광 통행 자료 수집을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데이터 구축 단계에서부터 한계점을 지닌다. 특히 여가, 관광 통행은 비일상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여가 활동 패턴의 다양한 목적 및 활동이 발생하는 시간적 범위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실제 조사원에 의한 설문 조사 방식은 한정된 조사 기간과 피조사자의 협조 의식 저하로 인해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받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해 여가, 관광 통행과 같은 비일상적 활동에 대한 통행 발생, 목적지 선택 예측, 여가, 관광 통행 수요 등 에 대한 사항은 아직 활동 예측 모델링 측면에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부문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77467호 (등록일 2011.10.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가 통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게임 요소를 도입하여, 개인의 여가 통행 정보를 수집하여 여가 교통 수요 예측을 위한 기초 DB로 활용할 수 있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SNS와 연계하여 개인의 여가 통행 정보를 타인과 공유하여 경쟁심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적극적인 조사를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광범위한 DB를 구축할 수 있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가통행조사 방법은,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개인특성에 관한 제1 설문 데이터, 거주환경에 관한 제2 설문 데이터 및 통행정보에 관한 제3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통행자가 이동하는 제1 이동 경로에 대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데이터 연산부로부터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제3 설문 데이터 및 제4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가 응답한 설문에 따라서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출력부로부터 부여된 상기 점수를 이용하여, 통행자가 이동한 여가 통행 조사에서 획득한 총합 점수 및 출발지 또는 도착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설문 데이터는, 성별, 연령, 이름, 이메일, SNS계정, 월평균 소득, 거주지 주소 운전 면허 소지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문 데이터는, 대중 교통 만족도, 상업 시설 만족도, 여가 시설 만족도, 공원 및 녹지 만족도, 거주 면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설문 데이터는, 항공 이용 여부, 통행 수단, 통행 목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통행자의 GPS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여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설문 각각에 기설정된 척도에 따라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여된 상기 점수를 합하여 총합 점수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통행자가 획득한 상기 총합 점수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행자의 여가 통행 활동의 히스토리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에 의해 상기 총합 점수를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및 총합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추가 정보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통행자가 이동하는 제2 이동 경로에 대한에 대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정보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가통행조사 서버는,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개인특성에 관한 제1 설문 데이터, 거주환경에 관한 제2 설문 데이터 및 통행정보에 관한 제3 설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통행자가 이동하는 제1 이동 경로에 대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설문 데이터를 획득 받는 단계;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제3 설문 데이터 및 제4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가 응답한 설문에 따라서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통신부로부터 부여된 상기 점수를 이용하여, 통행자가 이동한 여가 통행 조사에서 획득한 총합 점수를 복수의 단말기로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설문 데이터는, 성별, 연령, 월평균 소득, 거주지 주소, 운전 면허 소지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문 데이터는, 대중 교통 만족도, 상업 시설 만족도, 여가 시설 만족도, 공원 및 녹지 만족도, 거주 면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설문 데이터는, 항공 이용 여부, 통행 수단, 통행 목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는, 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통행자의 GPS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여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설문 각각에 기설정된 척도에 따라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여된 상기 점수를 합하여 총합 점수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가통행조사 시스템은, 개인특성에 관한 제1 설문 데이터, 거주환경에 관한 제2 설문 데이터 및 통행정보에 관한 제3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통행자가 이동하는 제1 이동 경로에 대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제3 설문 데이터 및 제4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가 응답한 설문에 따라서 점수를 부여하는 데이터 연산부; 부여된 상기 점수를 이용하여, 통행자가 이동한 여가 통행 조사에서 획득한 총합 점수 및 출발지 또는 도착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설문 데이터는, 성별, 연령, 월평균 소득, 거주지 주소, 운전 면허 소지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문 데이터는, 대중 교통 만족도, 상업 시설 만족도, 여가 시설 만족도, 공원 및 녹지 만족도, 거주 면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설문 데이터는, 항공 이용 여부, 통행 수단, 통행 목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는, 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통행자의 GPS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는 정보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는,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여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받고,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설문 각각에 기설정된 척도에 따라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여된 상기 점수를 합하여 총합 점수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복수의 통행자가 획득한 상기 총합 점수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통행자의 여가 통행 활동의 히스토리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총합 점수를 서버와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및 총합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가 통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게임 요소를 도입하여, 개인의 여가 통행 정보를 수집하여 여가 교통 수요 예측을 위한 기초 DB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SNS와 연계하여 개인의 여가 통행 정보를 타인과 공유하여 경쟁심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적극적인 조사를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광범위한 DB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가 통행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시스템이 실행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설문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설문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설문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에서 획득한 점수가 공유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에서 획득한 점수의 히스토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정보를 입력하는 선택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시스템은 일례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SNS와 연동되는 서버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은 제어부(110)와 데이터베이스(120), 입력부(130) 및 출력부(140)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110)는 데이터 검출부(112), 데이터 연산부(113), 데이터 통신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과 통신하는 SNS와 연동되는 서버(400)를 포함하며, 이는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데이터 입력부(130) 및 출력부(140)는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등 터치 패널에 의한 입력과 디스플레이에 의한 출력이 가능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 구비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만족하지 않더라도 입력과 출력할 수 있는 단말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단말 또는 디바이스 외에도 데이터 입력부(130) 및 출력부(140)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데이터 입력부(130)는 통행자로부터 통행자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으로, 통행자 데이터는 크게 통행자의 개인 특성에 관한 정보인 제1 설문 데이터, 거주 환경에 관한 제2 설문 데이터, 통행 정보에 관한 제3 설문 데이터 및 여가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인 제4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집하는 통행자 데이터인 제1, 2, 3, 4 설문 데이터는 후술하는 다양한 조사에 활용될 수 있다.
통행자 데이터 중 제1 설문 데이터는 성별, 연령, 이름, 이메일, SNS계정, 월평균 소득, 거주지 주소 운전 면허 소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행자는 데이터 입력부(130)를 통해 설문 또는 직접 입력 형식으로 제1 설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가 통행 조사뿐만 아니라 거주 환경 조사, 여객 통행 실태 조사와 같은 특수한 목적의 조사의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130)는 상술한 설문뿐만 아니라 개인의 거주 환경 데이터, 주말 통행 데이터 등 다양한 조사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설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제2 설문 데이터는 통행자에 거주 환경에 관한 설문을 수집한다. 제2 설문 데이터에는 대중교통 만족도, 상업시설만족도, 여가시설만족도, 공원 및 녹지 만족도, 거주 면적 정보를 설문 또는 직접 입력 형식으로 통행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설문 데이터에서 거주 면적을 제외한 문항은 매우 불만족 1점, 불만족 2점, 보통 3점, 만족 4점, 매우 만족 5점의 만족도 척도로, 설문할 수 있다. 거주 면적은 15평 미만 1점, 15~18평 미만 2점, 18평~24평 3점, 24평~32평 미만 4점, 32~42평 미만 5점, 42평 이상 6점의 척도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제1 설문 데이터 및 제2 설문 데이터가 통행자 개인 전반에 해당하는 정보였다면, 제3 설문 데이터 및 제4 설문 데이터는 여가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제3 설문 데이터는 항공이용 여부, 통행수단, 통행(여가)목적 및 이동 시간을 설문 또는 직접 입력 형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고, 제4 설문 데이터는 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설문 또는 직접 입력 형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제3 설문 데이터에서 통행 수단에 대한 점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보 및 자전거 1점, 대중교통 2점, 택시 및 기타 3점, 자가용 승용차 4점, 항공 이용 4점의 척도로 점수를 부여 할 수 있다. 또한, 여가 목적을 입력하면 1점을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동에 걸리는 시간에 따라 점수를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즉 멀리 오래 이동할수록 높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시간에 따른 점수는 소요시간 30분 미만 1점, 30분 이상 1시간 미만 2점,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 3점, 2시간 이상 3시간 미만 4점, 3시간 이상 5점의 척도로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본 발명에서 입력받는 정보들은 설문 형태로 입력될 수 있어, 응답한 설문의 개수에 따라 점수를 획득하는 게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점수를 획득하는 과정 및 구성은 도 2 및 도3을 통해 후술한다.
수집된 통행자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차후에 본 시스템을 구동할 시 기 저장된 통행자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이는 통행자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수집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120)에 기 저장된 통행자 데이터 활용할 수도 있다. 즉 통행자가 출발지 및 목적지를 입력하고 차후에 동일한 출발지 또는 목적지를 재방문하는 경우, 입력할 필요 없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불러올 수도 있다. 또한, 유명한 유적지, 건물, 청사, 공원, 학교, 전철역 등 공공의 장소는 데이터베이스(120)에 기저장될 수 있어, 출발지 또는 목적지로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검출부(112)는 상술한 데이터 입력부(130)로 입력된 통행자 데이터가 유효한 정보인지 검출한다. 우선, 제어부(110)는 통행자가 제4 설문 데이터를 입력하는 시점의 제4 설문 데이터가 입력되는 단말 또는 디바이스의 현재 GPS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데이터 검출부(112)는 수집된 GPS와 제4 설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입력한 출발지 또는 목적지와 실제 GPS상의 출발지 또는 목적지의 오차가 기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유효한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행자가 입력한 출발지는 서울 시청이고, 목적지는 부산의 해운대이나, GPS에서 감지된 출발지는 울산인 경우 통행자가 허위로 출발지를 입력한 것으로 파악하여 점수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한 출발지인 서울 시청에서 1km 이내에 위치에서 현재 GPS가 감지되었다면, GPS의 오차로 파악하여 유효한 정보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1km 이내가 아니더라도 획득하는 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오차라면, 유효한 정보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차 범위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통행자 데이터를 검출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특성이 게임 형식의 여가 통행 조사가 통행자들에게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SNS로 공유하여 통행자 간 경쟁심을 유발함으로써 여가 통행 조사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하기 위한 점에서 있다. 이는 통행자가 단순히 점수를 획득하기 위해 거짓된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여 실제 여가 통행을 하지 않았음에도 점수를 획득하는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가 통행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된 여가 통행 정보에는 통행자가 출발지를 입력한 시간(510), 여가통행을 종료한 시간(520)과 입력된 출발지 위치(530), 도착지 위치(540) 및 이동 거리(550)가 기록되며, 출발지 위치(530) 및 도착지 위치(5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형태로 기록된다. 또한, 제어부(110)에서 획득한 출발지 GPS(560) 및 도착지 GPS(570)가 좌표 형태로 기록된다.
데이터 검출부(112)는 출발지 위치(530) 및 도착지 위치(540)를 출발지 GPS(560) 및 도착지 GPS(570)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범위 이내의 오차이면 유효한 정보로 판단한다.
데이터 연산부(113)는 통행자가 입력한 설문 각각에 점수를 부여하고, 제어부(110)의 명령에 의해 출력부(140)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통행자 데이터 연산부(140)는 다양한 통행자의 여가 통행 정보를 수집하여 축적된 여가 통행 정보가 여가 통행 경로의 교통량을 예측할 수 있는 파라미터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여가 통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통행자가 입력한 설문 즉 통행자 데이터 각각에 점수를 부여하는 것에 대한 설명은 하기의 여가통행조사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점수가 부여된 통행자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부(114)를 통해 서버(40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해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서버에 구현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SNS와 연동되는 서버에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이 어디에 구현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구현되는 것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상술한 실시예의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서버(400)는 복수개의 단말기(스마트폰)(410), (420), (430)로부터 통행자 데이터를 획득한다. 서버(400)는 프로세서(401)와 통신부(402)로 구성되며, 프로세서(401)는 복수의 단말기 각각 식별하고, 단말기 각각에 대응하는 통행자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하는 통행자 데이터는 상술한 통행자 데이터 통행자 데이터 검출부(112)와 동일하다. 프로세서(401)는 검출된 통행자 데이터 각각에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통행자 개인이 획득한 점수를 합하여 총합 점수로 연산한다. 점수를 부여하는 기준은 데이터 연산부(113)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합산된 점수는 도 10과 같이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합산된 점수는 통신부(402)에 의해 각각의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SNS상에 공유될 수 있다. 즉 도 1의 데이터 통신부(114)는 서버(400)에게 점수를 전송할 수도 있고, 본인 또는 타인의 점수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이때, 점수뿐만 아니라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를 통신함으로써, 통행자 단말의 지도상에 타인의 여가 통행 경로(출발지, 목적지), 여가 통행에서 획득한 총점을 출력부(140)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타인의 단말기에 본인의 여가 통행 경로 및 총점을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하기에서는 게임 방식이 진행되는 과정 및 여가통행조사 방법과 이를 활용하여 확장된 조사를 수행하는 실시예에 대해 기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방법은 크게 통행자 데이터 획득(S210), 통행자 데이터 검출(S220), 점수 부여(S230)로 이루어진다. 통행자 정보 등록은 상기 데이터 입력부(130)에서 수집하는 통행자 데이터를 수집한다(S210). 이때 통행자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수집된 통행자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차후에 기 저장된 통행자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수집된 통행자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가 유효한 데이터인지 검출한다(S220). 이는 상술한 통행자 데이터 통행자 데이터 검출부(112)에서 통행자가 입력한 출발지와 GPS에 감지된 위치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는 통행자 데이터를 필터링 하는 것이다.
이후 검출된 통행자 데이터에 점수를 부여한다(S230). 통행자 데이터에 점수가 부가되는 데이터는 제1, 2, 3, 4 설문 데이터이며 상술한 데이터 연산부(113)에 의해 점수가 부가되고 총합 점수로 연산 된다. 총합 점수는 데이터 통신부(114)를 통해 서버(400)에게 전송되며, 출력부(140)을 통해 출력된다(S240). 이때, 서버(400)에게 총합 점수 및 출발지,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으며, 타인의 총합 점수 및 출발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타인이 획득한 총합 점수 및 여가 통행 경로를 출력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여가 통행 조사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따르면, 통행자 정보 입력은 제1 설문 데이터 및 2 설문 데이터를 데이터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받는다(S310). 이후 여가와 관련된 정보인 제3 설문 데이터 및 제4 설문 데이터를 수집한다. 제4 설문 데이터에서 출발지에 대해 입력받기 전에 출발지 위치의 기등록 여부를 파악하고(S320),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출발지를 입력받는다(S330). 출발지가 등록되어 있다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불러 올 수 있다. 그리고 제3 설문 데이터의 통행 수단을 입력받는데, 통행 수단은 도보, 자전거, 자가용, 대중 교통, 택시, 항공, 기타의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이다(S340).
이후 제3 설문 데이터의 통행 목적을 입력받는이데, 통행 목적은 쇼핑복합형, 관광형, 행락형, 취미형, 자연형, 휴양형, 사교형, 기타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이다(S350). 그리고 제4 설문 데이터의 목적지 위치가 기등록된 여부를 파악하고(S360),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목적지를 입력받는이다(S370). 목적지가 등록되어 있다면, 데이터베이스(120)에서 불러 올 수 있다.
목적지까지 입력함으로써 여가 통행 조사에 필요한 모든 정보는 입력하였다. 이때 도 12와 같이 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거나, 새로운 여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선택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에서 YES를 클릭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종료되고 NO를 클릭하면 초기 화면이 출력되어 통행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시스템 및 방법이 구동되어 통행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점수를 부여하는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시스템이 실행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의 (a)는 상기 시스템이 스마트폰에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실행된 것을 나타낸다. (b)는 SNS계정으로 로그인 하는 것을 도시하며, (c)는 로그인 이후 표시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낸다. (d)는 통행자 데이터를 수집하는 설문 팝업을 나타내며, (d)는 통행자 데이터 중 제1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선택형 또는 직접 입력으로 수집할 수 있다.
도 7은 제2 설문 데이터 및 제3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a)와 같이 메인 화면에서 표시된 부분의 거주 환경 조사를 클릭하면 (b)의 팝업이 생성되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설문 데이터인 거주 환경 조사 팝업이 생성된다. 다시 메인 화면에서 (c)와 같이 통행 정보를 클릭하면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설문 데이터인 통행 정보 조사 팝업이 생성된다. 도 7의 (b)는 거주 환경 조사 설문으로 대중교통 만족도, 상업시설만족도, 여가시설만족도, 공원 및 녹지 만족도, 거주 면적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7의 (d)는 통행 정보 조사로 항공이용여부, 통행수단, 통행목적을 입력받는이다. 각 설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답을 입력받는 것으로, 복수 응답 또한 가능하며, 도면에 표시된 문항 외에도 문항을 추가하여 설문 받을 수 있다.
도 8은 제4 설문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8의 (a)에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는 버튼이 표시되고 (b)와 같이 출발지를 클릭하면, 출발지를 입력할 수 있다. (c)에 표시된 부분은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공유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d)에 표시된 부분은 출발지를 직접 입력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여가 통행 정보 중 목적지를 입력하는 설문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9의 (a)에서 목적지를 클릭하면, (b)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공유하거나, (c)와 같이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도 10은 여가 통행 설문을 수행하여 획득한 보상이 표시된 도면으로, 통행자가 응답한 설문을 통행자 데이터 연산부(113)에서 점수를 부여하여 합산된 점수가 출력부(140)에 의해 지도상에 표시된 실시예 이다. 이전 과정에서 데이터 통신부(114)는 서버(400)에게 총합 점수 및 출발지,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 할 수 있으며, 타인의 총합 점수 및 출발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타인이 획득한 총합 점수 및 여가 통행 경로를 출력부(140)로 출력할 수 있음을 설명한 바 있다. 도 10과 같이 본인이 획득한 점수 및 타인이 획득한 점수가 표시된 지도는 SNS에 공유하여 통행자간 경쟁을 유도하여, 많은 통행자들이 여가 통행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고취시킬 수 있다. 이때 합산된 점수는 통행자가 최종적으로 도착한 목적지 상에 표시되어 통행자가 어느 곳으로 여가 활동을 했는지 SNS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에서 획득한 점수의 히스토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과 같이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여 통행자 개인이 획득한 점수를 볼 수 있으며, 통행 날짜, 출발지 및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고, 공유를 허락한 상대방이 획득한 점수 및 여가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어 여가 통행에 대한 동기를 더욱 고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통행조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7)

  1. 통행자 데이터를 입력과 출력이 가능한 단말 또는 디바이스의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개인특성에 관한 제1 설문 데이터, 거주환경에 관한 제2 설문 데이터 및 통행정보에 관한 제3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통행자가 이동하는 제1 이동 경로에 대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단말 또는 디바이스의 데이터 연산부로부터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제3 설문 데이터 및 제4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가 응답한 설문에 따라서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또는 디바이스의 출력부로부터 부여된 상기 점수를 이용하여, 통행자가 이동한 여가 통행 조사에서 획득한 총합 점수 및 출발지 또는 도착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및 제3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및 제3 설문 데이터에서 유효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유효정보를 SNS를 통해 설문 참여 통행자들과 공유하는 데이터 검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여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여가통행조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문 데이터는, 성별, 연령, 이름, 이메일, SNS계정, 월평균 소득, 거주지 주소 운전 면허 소지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문 데이터는, 대중 교통 만족도, 상업 시설 만족도, 여가 시설 만족도, 공원 및 녹지 만족도, 거주 면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설문 데이터는, 항공 이용 여부, 통행 수단, 통행 목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는,
    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통행자의 GPS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설문 각각에 기설정된 척도에 따라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여된 상기 점수를 합하여 총합 점수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가통행조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복수의 통행자가 획득한 상기 총합 점수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통행자의 여가 통행 활동의 히스토리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또는 디바이스의 통신부에 의해 상기 총합 점수를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및 총합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추가 정보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통행자가 이동하는 제2 이동 경로에 대한에 대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정보 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 또는 디바이스의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방법.
  11.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개인특성에 관한 제1 설문 데이터, 거주환경에 관한 제2 설문 데이터 및 통행정보에 관한 제3 설문 데이터를 획득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통행자가 이동하는 제1 이동 경로에 대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설문 데이터를 획득 받는 단계;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제3 설문 데이터 및 제4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가 응답한 설문에 따라서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통신부로부터 부여된 상기 점수를 이용하여, 통행자가 이동한 여가 통행 조사에서 획득한 총합 점수를 복수의 단말기로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및 제3 설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및 제3 설문 데이터에서 유효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유효정보를 SNS를 통해 설문 참여 통행자들과 공유하는 데이터 검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여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여가통행조사 서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문 데이터는, 성별, 연령, 월평균 소득, 거주지 주소, 운전 면허 소지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문 데이터는, 대중 교통 만족도, 상업 시설 만족도, 여가 시설 만족도, 공원 및 녹지 만족도, 거주 면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설문 데이터는, 항공 이용 여부, 통행 수단, 통행 목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서버.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는,
    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서버.
  14. 제 13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통행자의 GPS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는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서버.
  15. 삭제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설문 각각에 기설정된 척도에 따라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여된 상기 점수를 합하여 총합 점수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가통행조사 서버.
  17. 개인특성에 관한 제1 설문 데이터, 거주환경에 관한 제2 설문 데이터 및 통행정보에 관한 제3 설문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통행자가 이동하는 제1 이동 경로에 대한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설문 데이터를 입력 받고,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제3 설문 데이터 및 제4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자가 응답한 설문에 따라서 점수를 부여하는 데이터 연산부;
    부여된 상기 점수를 이용하여, 통행자가 이동한 여가 통행 조사에서 획득한 총합 점수 및 출발지 또는 도착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 및
    상기 총합 점수를 서버와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제1 설문 데이터, 제2 설문 데이터 및 제3 설문 데이터에서 유효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유효정보를 SNS를 통해 설문 참여 통행자들과 공유하는 데이터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는,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여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받고, 상기 기등록된 위치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받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문 데이터는, 성별, 연령, 월평균 소득, 거주지 주소, 운전 면허 소지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설문 데이터는, 대중 교통 만족도, 상업 시설 만족도, 여가 시설 만족도, 공원 및 녹지 만족도, 거주 면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설문 데이터는, 항공 이용 여부, 통행 수단, 통행 목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설문 데이터는,
    출발지, 경유지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20. 제 17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위치 정보가 상기 통행자의 GPS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지 않는 정보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21. 삭제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설문 각각에 기설정된 척도에 따라 상기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여된 상기 점수를 합하여 총합 점수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복수의 통행자가 획득한 상기 총합 점수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통행자의 여가 통행 활동의 히스토리 정보에 대한 디스플레이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25. 삭제
  26.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출발지 정보, 목적지 정보 및 총합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여가통행조사 시스템.
  27. 제1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90779A 2015-06-25 2015-06-25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80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79A KR101802168B1 (ko) 2015-06-25 2015-06-25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6/003302 WO2016208855A1 (ko) 2015-06-25 2016-03-31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79A KR101802168B1 (ko) 2015-06-25 2015-06-25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170A KR20170001170A (ko) 2017-01-04
KR101802168B1 true KR101802168B1 (ko) 2017-11-28

Family

ID=5758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779A KR101802168B1 (ko) 2015-06-25 2015-06-25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2168B1 (ko)
WO (1) WO2016208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11B1 (ko) * 2020-10-26 2022-04-01 재단법인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시민 만족도 예측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3264A (ja) * 2010-08-20 2012-03-01 Ntt Docomo Inc コメント評価装置、コメント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369B1 (ko) * 2003-09-29 2005-12-02 김상철 온라인 여론게임을 통한 여론조사 수행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2944A (ko) * 2007-07-31 2009-02-0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평가역량 정보를 고려한 다면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77467B1 (ko) 2011-01-17 2011-10-27 팅크웨어(주) 사용자 활동 지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256652B1 (ko) * 2013-01-23 2013-04-19 장준호 관광객의 관광행동패턴 예측시스템 및 그 예측방법
KR20140113797A (ko) * 2013-03-14 2014-09-2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여정맵을 작성하는 웹사용성 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3264A (ja) * 2010-08-20 2012-03-01 Ntt Docomo Inc コメント評価装置、コメント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855A1 (ko) 2016-12-29
KR20170001170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785B1 (en) Continuously updatable computer-generated routes with continuously configurable virtual bus stops for passenger ride-sharing of a fleet of ride-sharing vehicles and computer transportation systems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use thereof
US8914079B2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mobile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N104156778B (zh) 预测性运输计算
JP6322048B2 (ja) 混雑予測装置及び混雑予測方法
US2014012219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on and selection of a resource among available resources
WO20140023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2832577A2 (en) Detecting sobriety or driving condition using a mobile device
JP2013509639A (ja) プローブデータを用いて着目地点を解析する方法
CN108225357B (zh) 用户引导系统
Sevtsuk et al. Predicting pedestrian flow along city streets: A comparison of route choice estimation approaches in downtown San Francisco
KR20140122645A (ko) 여행 일정 제작 및 관리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10367B1 (ko) Lbs 기반 문화관광축제 평가 시스템 및 방법
Parker et al. Capturing volunteered information for inclusive service design: potential benefits and challenges
Tsiaras et al. parkitsmart: Minimization of cruising for parking
CN111627236B (zh) 处理装置、处理方法及程序
Wahdiniwaty et al. Application model for travel recommendations based on android
KR101802168B1 (ko) 위치 기반 게임 방식을 적용한 여가 통행 조사 시스템 및 방법
JP2019124587A (ja) 車椅子利用者支援マップシステム
JP603512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213342281U (zh) 乘客信息处理系统
Valdes et al. Extracting relevant Points of Interest from Open Street Map to support E-Mobility Infrastructure Models
JP2013242712A (ja) 移動端末装置
Beed et al. A study on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ourism
JP201622471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出力データ、および記憶媒体
Parmar et al. Development of an android application for smart par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