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754B1 -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병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병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754B1
KR101801754B1 KR1020170082498A KR20170082498A KR101801754B1 KR 101801754 B1 KR101801754 B1 KR 101801754B1 KR 1020170082498 A KR1020170082498 A KR 1020170082498A KR 20170082498 A KR20170082498 A KR 20170082498A KR 101801754 B1 KR101801754 B1 KR 10180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mc1704lm
plant
disease
strain
plant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우
조지현
김성호
박수혁
Original Assignee
(주)씨엠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엠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씨엠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82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01N63/02
    • C12R1/0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틴 또는 헤미셀룰로오스 세포벽을 갖는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길항력을 가지는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Lysinibacillus macroides) CMC1704LM(수탁번호: KCTC18574P) 균주,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병 방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잿빛곰팡이병, 딸기 꽃곰팡이병, 인삼 근부병, 참외 덩굴마름병, 토마토 잎곰팡이병, 고추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및 양파 흑색균핵병을 포함하는 식물병, 특히 고추 역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병 방제방법 {Lysinibacillus macroides CMC1704LM, microbial agent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 and controlling method of plant disease using it}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길항력을 가지는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의 새로운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와 식물병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병원성 곰팡이는 각종 채소, 과일, 화훼 등의 작물에 병해를 가져와 수량 및 품질저하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인삼 점무늬낙엽병균(Alternaria alternata),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딸기 꽃곰팡이병균(Cladosporium cladosporioides),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인삼 근부병균(Cylindrocarpon destructans), 참외 덩굴마름병균(Didymella bryoniai), 토마토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토마토 잎곰팡이병균(Fulvia fulvum), 벼 키다리병균(Gibberella fujikuroi),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고구마 연부병균(Rhizopus nigricans), 양파 흑색균핵병균(Sclerotium cepivorum), 토마토 점무늬병균(Stemphylium lycopersici) 등 많은 식물병원성 곰팡이가 있다.
그 중에서도 역병균은 기주식물에 대해 강한 병원성을 가지며 상처가 없어도 기주의 세포벽을 분해하여 침입하는 1차 침입자로, 대부분 파이토프토라(Phytophthora) 속에 속한다. 역병균은 병든 조직에 2차로 침입하지 않으므로 병든 식물체에서 분리된 역병균은 대부분 그 병해의 주원인이다.
특히 고추 역병은 고추 재배시 고추의 생산량을 크게 저하시키며, 고추 역병을 일으키는 고추 역병균은 물에서 진화하여 육지에 정착한 반 수생균으로 물에서 증식하고 물을 따라 전파된다. 고추 역병은 일단 발생되면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병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며, 등록약제를 예방적으로 적용하여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 이미 병이 발생된 경우에는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역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저항성 품종의 재배, 윤작 등의 방법도 행해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진 방제방법은 유기합성된 살균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방법이다. 이러한 화학적 방제로 인한 농약의 살포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고, 과다사용된 화학농약으로 인하여 식물병원균의 화학농약에 대한 저항성 획득, 화학농약의 잔류독성, 토양의 산성화, 인축에 대한 독성, 천적에 미치는 영향, 식수원의 오염, 생태계 파괴 등 그 피해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식물역병의 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독성이 낮고 환경에 대한 부작용이 적은 친환경적 농약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생물방제법은 자연계 내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에서 식물병원균의 성장을 길항하는 미생물을 분리증식시켜, 비료나 농약의 형태로 투여함으로써 식물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화학적 방제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73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401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167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1698호
본 발명은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하여 길항력을 갖는 신규의 균주인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와,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딸기 꽃곰팡이병균(Cladosporium cladosporioides), 인삼 근부병균(Cylindrocarpon destructans), 참외 덩굴마름병균(Didymella bryoniai), 토마토 잎곰팡이병균(Fulvia fulvum),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및 양파 흑색균핵병균(Sclerotium cepivorum)을 포함하는, 키틴 또는 헤미셀룰로오스 세포벽을 갖는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길항력을 가지는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Lysinibacillus macroides) CMC1704LM(수탁번호: KCTC18574P) 균주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식물병 방제를 위해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수탁번호: KCTC18574P) 균주, 이의 포자 및 배양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병은 잿빛곰팡이병, 딸기 꽃곰팡이병, 인삼 근부병, 참외 덩굴마름병, 토마토 잎곰팡이병, 고추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및 양파 흑색균핵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미생물 제제에서, 상기 식물병은 고추 역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식물 또는 식물의 주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제방법에서, 상기 식물병은 잿빛곰팡이병, 딸기 꽃곰팡이병, 인삼 근부병, 참외 덩굴마름병, 토마토 잎곰팡이병, 고추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및 양파 흑색균핵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제방법에서, 상기 식물병은 고추 역병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규한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는 다양한 식물병원성 곰팡이, 특히 세포벽이 키틴 또는 헤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잿빛곰팡이병균, 딸기 꽃곰팡이병균, 인삼 근부병균, 참외 덩굴마름병균, 토마토 잎곰팡이병균, 고추 역병균, 벼 잎집무늬마름병균, 양파 흑색균핵병균 등의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길항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의 포자 및 배양액은 잿빛곰팡이병, 딸기 꽃곰팡이병, 인삼 근부병, 참외 덩굴마름병, 토마토 잎곰팡이병, 고추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및 양파 흑색균핵병을 포함하는 식물병, 특히 고추 역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수탁번호: KCTC18574P)의 포자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16S-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계통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14종 식물병원성 곰팡이들에 대한 길항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와 대치배양한 잿빛곰팡이병균의 균사 선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와 대치배양한 고추 역병균의 균사를 정상균사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와 대조균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셀룰로오스 분해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배양기간별 셀룰로오스 분해효소의 분비양상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고추 역병균의 유주자낭 사진이다.
본 발명은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하여 길항력을 가지는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Lysinibacillus macroides) CMC1704LM(수탁번호: KCTC18574P) 균주에 관한 것이다.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는 경상남도 창녕군 시설하우스 토양시료에서 분리되었다. 상기 토양시료를 배양하여 미생물 균총을 형성한 후 식물병원성 곰팡이인 토마토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에 대하여 길항력을 갖는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계통학적 분류를 조사한 결과, 동일한 염기서열을 갖는 균주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계통학적으로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와 99% 상동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 균주를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이라 명명하고, 2017년 5월 16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18574P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는 세포벽이 키틴 또는 헤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길항력이 우수하다. 이러한 식물병원성 곰팡이에는 잿빛곰팡이병균, 딸기 꽃곰팡이병균, 인삼 근부병균, 참외 덩굴마름병균, 토마토 잎곰팡이병균, 고추 역병균, 벼 잎집무늬마름병균, 양파 흑색균핵병균 등이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는 방제가 어려운 고추 역병균에 대해서 우수한 방제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배양조건은 pH 6.5~10.5, 15~45℃이며, 바람직한 배양조건은 pH 7.0~8.0, 30℃이다. 최적 배지 조건으로 NB(Nutrient broth) 배지보다 SDB(Sabouraud Dextrose broth) 배지를 사용할 때 1.0×109 CFU/㎖ 이상의 고농도 배양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는,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의 포자 및 배양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잿빛곰팡이병, 딸기 꽃곰팡이병, 인삼 근부병, 참외 덩굴마름병, 토마토 잎곰팡이병, 고추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양파 흑색균핵병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병의 방제에 매우 효과적이다. 방제가 어려운 고추 역병의 방제에 특히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방법은, 상기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식물 또는 식물의 주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 균주의 분리
경상남도 창녕군 시설하우스 토양시료를 상온에서 풍건하고, 멸균수 90㎖에 상온에서 풍건한 토양시료 10g을 희석하여 30분간 진탕배양한 후 멸균수로 100배와 1000배로 희석하여 PDA(Potato Dextrose agar), NA(Nutrient agar) 및 BNA(Bennett's agar) 평판배지에 도말배양을 실시하였다.
미생물 균총(colony)이 형성된 후 식물병원성 곰팡이인 푸사리움 옥시스포럼(Fusarium oxysporum) 포자 현탁액(3.2×103 spores/㎖)을 분무하여 25℃에서 2일 동안 배양한 후 투명대(clear-zone)를 형성한 길항균을 선발하였다.
2. 균주의 동정
상기 분리된 균주를 동정하기 위하여, 선발된 길항균의 포자사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그람 양성, 막대 모양의 간균으로 확인되었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분리된 균주를 (주)마크로젠에 의뢰하여 16S-rRNA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16S-rRNA 염기서열은 도 2와 같다.
분석된 16S-rRNA 염기서열을 기초로 블라스트 검색(Blast search)을 실시한 결과 본 발명의 균주는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와 99%의 상동성이 있는 신규한 균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균주의 계통수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신규한 균주를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이라 명명하고, 2017년 5월 16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18574P를 부여받았다.
< 실험예 1>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길항력 테스트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길항력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길항력 시험용 식물병원성 곰팡이로는 인삼 점무늬낙엽병균(Alternaria alternata; AA),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BC), 딸기 꽃곰팡이병균(Cladosporium cladosporioides; CC),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G), 인삼 근부병균(Cylindrocarpon destructans; CD), 참외 덩굴마름병균(Didymella bryoniai; DB), 토마토 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O), 토마토 잎곰팡이병균(Fulvia fulvum; FF), 벼 키다리병균(Gibberella fujikuroi; GF),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PC),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RS), 고구마 연부병균(Rhizopus nigricans; RN), 양파 흑색균핵병균(Sclerotium cepivorum; SC) 및 토마토 점무늬병균(Stemphylium lycopersici; SL)의 총 14종을 사용하였다.
배지로는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를 사용하였고, PDA 평판배지 상에서 대치배양을 실시하였다.
식물병원성 곰팡이 Φ5㎜ 균사 블록을 PDA 평판배지의 정가운데 배치하고 25㎜ 거리에 Φ8㎜의 페이퍼 디스크(paper-disc)를 치상하고, CMC1704LM 균주 배양액을 10㎕씩 접종하여 25℃에서 배양하였다. 무처리구에는 멸균수, 대조구에는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 배양액을 접종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는 인삼 점무늬낙엽병균(AA), 고추 탄저병균(CG), 토마토 시들음병균(FO), 벼 키다리병균(GF), 고구마 연부병균(RN) 및 토마토 점무늬병균(SL)에 대한 길항력은 비교적 낮은 반면, 잿빛곰팡이병균(BC), 딸기 꽃곰팡이병균(CC), 인삼 근부병균(CD), 참외 덩굴마름병균(DB), 토마토 잎곰팡이병균(FF), 고추 역병균(PC),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S) 및 양파 흑색균핵병균(SC)에 대한 길항력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는 세포벽이 키틴성분인 곰팡이에 길항력이 있으면서도 동시에 헤미셀룰로오스 세포벽을 갖는 곰팡이(크로미스타계, Chromista)에 속하는 고추 역병균에 대한 길항력이 특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만, 딸기 꽃곰팡이병균, 인삼 근부병균, 토마토잎 곰팡이병균은 균사생장속도가 느린 곰팡이로서 상대적으로 길항력이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와 인접한 고추 역병균 균사 선단부의 투명대는 다른 곰팡이와 다르게 매우 뚜렷하고 7일 이상 배양하여도 곰팡이 균사의 생육이 완전히 정지된 양상을 보였다.
상기와 같은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식물병원성 곰팡이 균사생장 저해율(%)을 [(무처리구 균사반지름-대치배양 균사반지름)/무처리구 균사반지름×100]의 식으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곰팡이 균사생장저해율(%)
인삼 점무늬낙엽병균(AA) 8
잿빛곰팡이병균(BC) 36
딸기 꽃곰팡이병균(CC) 40
고추 탄저병균(CG) 24
인삼 근부병균(CD) 52
참외 덩굴마름병균(DB) 36
토마토 시들음병균(FO) 28
토마토 잎곰팡이병균(FF) 44
벼 키다리병균(GF) 16
고추 역병균(PC) 40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S) 32
고구마 연부병균(RN) 12
양파 흑색균핵병균(SC) 36
토마토 점무늬병균(SL) 20
< 실험예 2>
식물병원성 곰팡이 균사 생장 저해 확인
본 발명에 의한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가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균사생장을 저해하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 하에서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와 대치배양한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저해부위의 균사 선단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세포벽이 키틴성분으로 구성된 곰팡이에서는 균사 선단부의 세포분열이 억제되어 세포내용물이 가득차 부풀어오르는 현상(swelling)이 관찰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와 대치배양한 잿빛곰팡이병균의 균사 선단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와 대치배양한 고추 역병균의 균사는 선단부가 부풀어오르는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균사의 분지가 짧아져서 총생하는 양상과 세포내용물이 유출되어 속이 빈 균사가 다수 관찰되었다. 정상 고추 역병균의 균사와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에 의하여 저해받은 고추 역병균의 균사를 비교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 실험예 3>
셀룰로오스 분해능
상기 실험예 2의 결과에서,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가 세포벽이 키틴질로 구성된 일반적인 곰팡이와 달리 헤미셀룰오로스로 구성된 역병균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높은 길항력을 나타내는 것이 관찰되었으므로,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셀룰로오스 분해능을 시험하였다.
셀룰로오스 분해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CMC(Carboxy Methyl Cellulose)가 1% 함유된 NA(nutrient agar) 평판배지에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를 획선 접종하고 4일 후 0.2% 콩고레드(congo-red)로 염색하여 분해능을 확인하였다. 대조구로는 통상적으로 유기물 분해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는 셀룰로오스 분해능이 없었으며,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는 투명대가 1.2㎝로 셀룰로오스 분해능이 매우 우수하였다.
< 실험예 4>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분비양상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배양기간에 따른 셀룰로오스 분해효소의 분비양상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배양액을 배양기간별(3일, 5일 및 7일)로 채취하고, 0.22㎛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를 사용하여 멸균하였다.
CMC 평판배지 위에 φ8㎜의 페이퍼 디스크를 상치하고 멸균된 배양여액을 10㎕씩 접종하여, 30℃에서 2일간 정치배양한 후 콩고레드로 염색하여 분해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인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배양일수에 따른 CMC 분해양상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고, 셀룰로오스 분해효소의 분비양상을 도 8에 나타내었다.
구분 배양일수(days)
0 3 5 7
투명대 직경(mm) 0 9 18 23
상기 표 2와 도 8의 결과에서, 셀룰로오스 분해효소는 배양 5일차에 급증하여 배양 7일차에 최대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5>
고추 역병 방제시험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의 고추 역병 방제효과를 상토 및 육묘 트레이를 이용하여 포트에서 시험하였다.
1. 처리구 및 처리내용
106공 트레이에 파종하여 3주 육묘한 고추 유묘(왕대박)를 φ10㎝의 포트로 이식하고 처리구 당 5주씩 3반복으로 총 15주씩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배양액을 고추 역병균을 접종하기 3일 전에 처리한 처리구(-3일)와 고추 역병균을 접종하고 3일 후에 처리한 처리구(+3일)로 나누어서 φ10㎝의 포트상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 및 처리내용은 아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처리구 처리내용 희석배수 처리방법
1 CMC1704LM 100배액/ -3일 100배 25㎖/주
지제부 관주
(역병균 접종전 처리)
2 CMC1704LM 200배액/ -3일 200배
3 CMC1704LM 500배액/ -3일 500배
4 CMC1704LM 100배액/ +3일 100배 25㎖/주
지제부 관주
(역병균 접종후 처리)
5 CMC1704LM 200배액/ +3일 200배
6 CMC1704LM 500배액/ +3일 500배
7 무처리 - 멸균수 처리
2. 고추 역병균 접종
고추 역병균을 10% V8 한천배지 플레이트(agar media plate)를 사용하여 25℃에서 5일간 배양한 후, 실온에서 평판 배지의 균사체에 NUV(근자외선)를 24시간 동안 조사하여 포자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고추 역병균의 유주자낭을 도 9에 나타내었다.
고추 역병균의 유주자낭이 생성된 배지 위에 멸균수 10㎖를 분주하여 도말봉으로 배지 표면을 문질러 유주자낭을 균사로부터 탈락시킨 후 멸균된 거즈로 균사를 제거하였다. 수확한 유주자낭 현탁액을 10℃에서 10분 동안 칠링(chilling) 처리하여 유주자 나출을 유도한 후 유주자 농도가 최종 3.0×104 zoospores/㎖이 되도록 멸균수에 희석하여 고추의 지제부에 25㎖씩 관주하여 접종하였다.
3. 결과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배양액의 고추 역병 방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병원균 접종일로부터 7일째 모든 처리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이병주를 선별하였다.
전수조사는 지제부에 형성되는 병반의 진전정도와 상관없이 이병유무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역병이 진전되어 쓰러진 식물체들을 대략적으로 선별하고, 상토에서 나머지 시료들을 캐내어 멸균수로 상토를 씻어낸 후 정밀하게 관찰하여 이병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구 처리내용 발병주 수/전체 발병률(%) 방제가(%)*
1 CMC1704LM 100배액/ -3일 0/15 0 100
2 CMC1704LM 200배액/ -3일 0/15 0 100
3 CMC1704LM 500배액/ -3일 0/15 0 100
4 CMC1704LM 100배액/ +3일 4/15 26.7 69.2
5 CMC1704LM 200배액/ +3일 6/15 40.0 53.9
6 CMC1704LM 500배액/ +3일 7/15 46.7 46.1
7 무처리 13/15 86.7 -
* 방제가 = (무처리구 발병율 - 처리구 발병율)/무처리구 발병율 × 100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배양액을 고추 역병균을 접종하기 전에 처리한 처리구(-3일)에서는 희석배율에 상관없이 모두 발병률이 0%로 나타났으나 고추 역병균을 접종하고 3일차에 처리한 처리구(+3일)에서는 희석배수가 높을수록 발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는 고추 역병균을 예방하는 효과는 방제가 100%이고, 치료효과는 방제가 46.1%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574P 20170516

Claims (8)

  1.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딸기 꽃곰팡이병균(Cladosporium cladosporioides), 인삼 근부병균(Cylindrocarpon destructans), 참외 덩굴마름병균(Didymella bryoniai), 토마토 잎곰팡이병균(Fulvia fulvum),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및 양파 흑색균핵병균(Sclerotium cepivorum)을 포함하는, 키틴 또는 헤미셀룰로오스 세포벽을 갖는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길항력을 가지는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Lysinibacillus macroides) CMC1704LM(수탁번호: KCTC18574P) 균주.
  2. 삭제
  3. 식물병 방제를 위해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수탁번호: KCTC18574P) 균주, 이의 포자 및 배양액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병은 잿빛곰팡이병, 딸기 꽃곰팡이병, 인삼 근부병, 참외 덩굴마름병, 토마토 잎곰팡이병, 고추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및 양파 흑색균핵병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고추 역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6. 제3항의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를 식물 또는 식물의 주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고추 역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방법.
KR1020170082498A 2017-06-29 2017-06-29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병 방제방법 KR10180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98A KR101801754B1 (ko) 2017-06-29 2017-06-29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병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98A KR101801754B1 (ko) 2017-06-29 2017-06-29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병 방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754B1 true KR101801754B1 (ko) 2017-12-20

Family

ID=6093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498A KR101801754B1 (ko) 2017-06-29 2017-06-29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병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7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7963A (zh) * 2018-05-02 2018-09-28 山东农业大学 一株从木薯渣中筛选到的Lysinibacillus macroides及其应用
KR20230021221A (ko) * 2021-08-04 2023-02-14 (재)드림파크문화재단 유기물 분해 활성이 높은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dpcc6 및 이를 이용한 잔디의 대취 조절 방법
CN115960777A (zh) * 2022-12-06 2023-04-14 江苏省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一株假真菌样芽孢杆菌cnbg-pgpr-20及其在蔬菜疫病防治中的应用
KR20230127004A (ko) 2022-02-24 2023-08-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미생물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이즈 ijk1-3 균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17B1 (ko) 2013-07-22 2014-02-17 주식회사 해담 고추병 방제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추작물 재배방법
KR101417365B1 (ko) 2012-10-16 2014-07-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균주인 리시니바실러스 y-4b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365B1 (ko) 2012-10-16 2014-07-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균주인 리시니바실러스 y-4b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364017B1 (ko) 2013-07-22 2014-02-17 주식회사 해담 고추병 방제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추작물 재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7963A (zh) * 2018-05-02 2018-09-28 山东农业大学 一株从木薯渣中筛选到的Lysinibacillus macroides及其应用
CN108587963B (zh) * 2018-05-02 2020-07-28 山东农业大学 一株从木薯渣中筛选到的Lysinibacillus macroides及其应用
KR20230021221A (ko) * 2021-08-04 2023-02-14 (재)드림파크문화재단 유기물 분해 활성이 높은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dpcc6 및 이를 이용한 잔디의 대취 조절 방법
KR102560771B1 (ko) 2021-08-04 2023-07-27 (재)드림파크문화재단 유기물 분해 활성이 높은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dpcc6 및 이를 이용한 잔디의 대취 조절 방법
KR20230127004A (ko) 2022-02-24 2023-08-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미생물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이즈 ijk1-3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5960777A (zh) * 2022-12-06 2023-04-14 江苏省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一株假真菌样芽孢杆菌cnbg-pgpr-20及其在蔬菜疫病防治中的应用
CN115960777B (zh) * 2022-12-06 2023-09-12 江苏省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一株假真菌样芽孢杆菌及其在蔬菜疫病防治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jieghrari et al. Biological potantial of some Iranian Trichoderma isolates in the control of soil borne plant pathogenic fungi
KR100535912B1 (ko) 신규한 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페이션스 케이티지비0202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의 방제방법
Abdullah et al. Biological control of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e Bary with Trichoderma harzianum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RU2127521C1 (ru) Штамм актиномицета streptomyces lydicus для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от грибковой инфекци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защиты растений от грибковой инфекции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и растения к грибковой инфекции (варианты)
KR101801754B1 (ko) 리시니바실러스 마크로이데스 cmc1704lm 균주,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병 방제방법
Naraghi et al. Biological control of Verticillium wilt of greenhouse cucumber by Talaromyces flavus
KR20150093027A (ko)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과 효소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kr-pbs6 균주
Elshahawy et al. Field application of sclerotial mycoparasites as biocontrol agents to Stromatinia cepivora, the cause of onion white rot
KR20230052410A (ko)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신규 스트렙토마이세스 뮤리누스 js029 균주
Hassine et al. Soil-borne and compost-borne Penicillium sp. and Gliocladium spp. as potential microbial biocontrol agents for the suppression of anthracnose-induced decay on tomato fruits
Loliam et al. Biocontrol of Phytophthora infestans, fungal pathogen of seedling damping off disease in economic plant nursery
Kim et al. Biocontrol with Myxococcus sp. KYC 1126 against anthracnose in hot pepper
Mahfooz et al. Evaluation of antifungal and enzymatic potential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Cupressus torulosa D. Don
EP1294850B1 (en) A microbial pesticide active against plant fungal pathogen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Patil et al. Biological control of brinjal wilt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melongenae using soluble powder formulation of Aspergillus niger
Leung et al. Brown Root Rot Disease of Phyllanthus myrtifolius: The causal agent and two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Ruiz et al. In vitro antagonistic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strains isolated from soils of the Yucatan Peninsula against Macrophomina phaseolina and Meloidogyne incognita
Ekefan et al. Potential of Trichoderma harzianum isolates in biocontrol of Colletotrichum capsici causing anthracnose of pepper (Capsicum spp.) in Nigeria
Mejdoub-Trabelsi et al. Antagonizing impact of endophytic fungal isolates against potato black scurf (Rhizoctonia solani)
Damiri et al. Antagonism of Pseudomonas fluorescens from plant roots to Rigidoporus lignosus pathogen of rubber white roots in vitro
KR102143334B1 (ko) 식물 주요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갖는 슈도모나스 프레데릭스버겐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Rani et al.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solani causing wilt of chilli
Abada et al. Effect of combination among bioagents, compost and soil solarization on management of strawberry Fusarium wilt
Jalali et al. Biocontrol of tomato gray mold disease by Trichoderma harzianum and Bacillus subtilis.
EL-Morsi et al. Management of root rot and wilt diseases of date palm offshoots using certain biological control agents and its effect on growth parameters in the New Valley Governorate, Egyp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