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377B1 -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 Google Patents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377B1
KR101801377B1 KR1020170120883A KR20170120883A KR101801377B1 KR 101801377 B1 KR101801377 B1 KR 101801377B1 KR 1020170120883 A KR1020170120883 A KR 1020170120883A KR 20170120883 A KR20170120883 A KR 20170120883A KR 101801377 B1 KR101801377 B1 KR 101801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iquid
suction port
ball
seal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식
Original Assignee
김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식 filed Critical 김근식
Priority to KR102017012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3/00Pumps specially modified to deliver fixed or variable measured quantities
    • F04B13/02Pumps specially modified to deliver fixed or variable measured quantities of two or more fluids at the same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2Packing the free space between cylinders and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02Ball valves
    • F04B53/1015Combinations of ball valves working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에 구성되는 흡입밸브의 피스톤노즐을 구형상을 가지는 압착볼을 장착하여, 장시간 사용이 이루어져도 씰패킹과의 점접촉 상태로 인해 기밀성을 유지시키게 되고, 상기 압착볼을 세라믹으로 형성하여 이액형에 포함되는 분말알갱이에 의해 손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피스톤노즐의 내구성 향상으로 기밀성이 확보되어, 흡입밸브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액형의 액체 각각을 토출펌프로 정량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펌프의 일측에 구성되는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200)에는 제1실린더(10)의 제1행정공간(12)을 왕복 이송하면서 일정량의 액체를 토출펌프(1)로 토출시키는 제1피스톤로드(30); 및 상기 제1피스톤로드(30)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제1실린더(10)의 끝단에 구성되는 씰패킹(90)과 밀착되어 액체의 원활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피스톤노즐(200)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노즐(200)은 하우징(210); 및 상기 하우징(210)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씰패킹(90)과 항상 점접촉 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씰패킹(90)과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압착볼(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SUCK VALVE FOR TWO COMPONENT LIQUIDGROUTING PUMPING DEVICE}
본 발명은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에 구성되는 흡입밸브의 피스톤노즐을 구형상을 가지는 압착볼을 장착하여, 장시간 사용이 이루어져도 씰패킹과의 점접촉 상태로 인해 기밀성을 유지시키게 되고, 상기 압착볼을 세라믹으로 형성하여 이액형에 포함되는 분말알갱이에 의해 손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피스톤노즐의 내구성 향상으로 기밀성이 확보되어, 흡입밸브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는, 서로 종류가 다른 액상물질인 이액(異液)을 정해진 유량과 압력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고점도의 에폭시, 우레탄, 실리콘 및 도료 등과 같은 고점도의 수지의 혼합 비율의 변화가 없이 고점도의 수지를 혼합 공급하고, 주제와 경화제 등과 같이 특수 물질을 혼합시켜 토출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는 혼합되는 각종 수지 물질이나 분체되는 도료의 주제와 경화제를 정확한 양으로 혼합하여 토출하는 것으로, 토출량의 오차범위가 적고, 정량주입, 정확한 계량에 의한 혼합이 가능함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펌프(1)와, 상기 토출펌프(1)의 일단 각각에 구성되는 복수의 흡입밸브(2)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펌프(1)는 상기 복수의 흡입밸브(2) 각각에서 흡입된 이액을 혼합시켜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토출펌프(1)는 플런저펌프방식이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의 흡입밸브(2)를 통해 각각으로 흡입된 정량의 이액을 혼합시켜 토출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흡입밸브(2)는 상기 토출펌프(1)의 일단에 구성되어, 액상의 유체를 일정량 흡입하여 상기 토출펌프(1)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흡입밸브(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10)와, 제2실린더(20)와, 제1피스톤로드(30)와, 피스톤노즐(40)과, 제2피스톤로드(50)와, 제1커버(60)와, 제2커버(70)와, 이송거리조절부(80)와, 씰패킹(90) 및 제3커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린더(10)는 제1피스톤로드(30)가 이송하면서 일정량의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실린더(10)의 일단에는 흡입구(12)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피스톤로드(30)가 왕복 이송되는 제1행정공간(14)이 형성되어, 상기 제1피스톤로드(30)의 이송에 따라 흡입구(12)를 통해 액체가 흡입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0)의 타단에는 상기 제1커버(60)가 체결, 고정되어 상기 제1행정공간(14)에 저장된 일정량의 액체가 상기 제1피스톤로드(30)의 이송에 따라 토출되도록 체결부(16)가 구성된다.
상기 제1커버(60)는 상기 제1실린더(10)에 구성된 체결부(16)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제1실린더(10)의 일단을 밀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60)에는 상기 실린더(10)의 제1행정공간(14)과 연통되어 액체가 토출펌프(1)로 제공되도록 하는 토출구(62)가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커버(60)의 일단은 토출펌프(1)의 일측에 연결, 고정되는 구조 또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0)의 일단부에는 제3커버(100)가 체결, 고정되고, 이 경우, 상기 제3커버(100)와 제1피스톤로드(30) 사이를 밀폐시켜 액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기밀성이 유지시키는 패킹(16)이 구성된다.
상기 제3커버(100)는 상기 제1실린더(10)의 일단부에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패킹(16)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패킹(16)은 'V'패킹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피스톤로드(30)와 제3커버(10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2실린더(20)는 제1피스톤로드(30)의 왕복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실린더(20)는 일단에 상기 제1실린더(10)가 고정되고, 타단에 제2커버(70)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20)의 내부에는 제2피스톤로드(50)가 왕복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행정공간(2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20)의 일측에는 상기 제2피스톤로드(50)가 왕복 이송되도록 제2행정공간(22)에 연통되어 압력을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연결구(2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20)의 타단부에 제2커버(70)가 구성되어, 상기 제2커버(70)에 의해 상기 제2실린더(20)의 타단을 밀폐시켜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2커버(70)는 상기 제2실린더(20)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일측에 상기 제2실린더(20)의 제2행정공간(22)과 연통되어 상기 제2피스톤로드(50)가 왕복 이송되도록 압력을 주입 또는 배출시키는 연결구(72)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20) 및 제2커버(70) 각각에 구성된 연결구(24)(72)에 의해 상기 제2실린더(20)의 제2행정공간(22)에 위치한 제2피스톤로드(50)가 왕복 이송되도록 하는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2커버(70)의 연결구(72)에서 전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실린더(20)의 연결구(24)에서 후진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커버(70)에는 제2피스톤로드(40)의 왕복 이송거리를 조절시키는 이송거리조절부(80)가 구성된다.
상기 이송거리조절부(80)는 일단이 제2커버(70)의 중앙에 삽입되어 제2실린더(20)의 제2행정공간(22)에 위치되고 타단이 제2커버(70)의 외부로 돌출되는 조절핀(82) 및 상기 조절핀(82)의 일단, 즉,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고정되는 핸들(84)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84)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조절핀(82)의 일단이 제2커버(70)을 통해 제2실린더(20)의 제2행정공간(22)에 대한 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결국 제2피스톤로드(50)의 왕복 이송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이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흡입밸브(2)를 통해 토출펌프(1)로 주입되는 주입량을 조절할 때 사용된다.
상기 제1 및 제2피스톤로드(30)(50)는 상호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상기 제2피스톤로드(50)가 제2실린더(20)에서 작용하는 왕복 이송력에 따라 이송하면서, 상기 제1피스톤로드(30)를 왕복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제1피스톤로드(30)가 제1실린더(10)의 제1행정공간(12)을 왕복 이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피스톤로드(30)의 끝단부에는 제1커버(60)의 토출구(62)를 통해 액체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피스톤노즐(40)이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노즐(40)은 상기 제1피스톤로드(30)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도록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노즐(40)은 전체적으로 끝이 뾰쪽한 첨단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0)의 일단 즉, 제1커버(60)에 지지되는 부분에 상기 피스톤노즐(40)과 기밀한 밀착을 이루어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지지하는 씰패킹(90)이 구성된다.
상기 씰패킹(90)은 소모품으로써, 상기 피스톤노즐(40)보다 경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피스톤노즐(40)은 금속 즉, 스테인리스스틸이고, 씰패킹(9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흡입밸브(2)는 장시간 사용에 의해 피스톤노즐(40)과 씰패킹(90) 사이의 접촉되는 부분에서 씰패킹(90)의 마모가 발생되고, 이러한 상기 씰패킹(90)의 마모로 인해 기밀성이 저하됨으로써, 액체 토출량이 불규칙하여 이액형 정량 토출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3a와 같이, 최초에는 첨단모양으로 형성된 피스톤노즐(40)의 일측과 씰패킹(90)의 일측이 점접촉으로 이루어져,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에 의해 상기 피스톤노즐(40)보다 경도가 낮은 상기 씰패킹(90)의 접촉면이 점점 확대되어, 도 3b와 같이, 선접촉으로 확대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씰패킹(90)의 면접촉 부분이 불규칙한 마모면이 형성됨으로써, 결국, 상기 피스톤노즐(40)과 씰패킹(90) 사이의 선접촉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노즐(40)과 씰패킹(90)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c와 같이, 흡입밸브(2)를 통해 토출펌프(1)로 제공되는 이액형의 재료에 따라 분말 예컨대, 난연성 등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크기의 세라믹, 금속분말 등의 알갱이가 액체에 포함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액체에 포함된 알갱이가 피스톤로드(40)와 씰패킹(90) 사이의 접촉면적에 낄 경우, 상기 씰패킹(90)뿐만 아니라 피스톤노즐(40)에 마모를 발생시켜, 결국, 상기 피스톤노즐(40)과 씰패킹(90) 사이의 기밀성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알갱이에 의해 피스톤노즐(40)이 손상될 경우, 씰패킹(90) 보다 재료적, 가공적 측면에서 고가인 피스톤노즐(40)을 씰패킹(90)과 함께 교체하여야 하는 유지보수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383826호(2003.05.14.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402825호(2003.10.22.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에 구성되는 흡입밸브의 피스톤노즐을 구형상을 가지는 압착볼을 장착하여, 장시간 사용이 이루어져도 씰패킹과의 점접촉 상태로 인해 기밀성을 유지시키게 되고, 상기 압착볼을 세라믹으로 형성하여 이액형에 포함되는 분말알갱이에 의해 손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피스톤노즐의 내구성 향상으로 기밀성이 확보되어, 흡입밸브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액형의 액체 각각을 토출펌프로 정량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펌프의 일측에 구성되는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에 있어서, 흡입밸브에는 제1실린더의 제1행정공간을 왕복 이송하면서 일정량의 액체를 토출펌프로 토출시키는 제1피스톤로드; 및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제1실린더의 끝단에 구성되는 씰패킹과 밀착되어 액체의 원활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피스톤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노즐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씰패킹과 항상 점접촉 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씰패킹과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압착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스톤노즐은, 일단에 압착부가 형성되면서 일정깊이를 가지는 압입공간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1피스톤로드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일정깊이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구(球)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압착볼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상기 재료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하우징의 압입공간에 압착볼을 삽입시켜, 상기 압착볼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압착부가 위치되도록 하는 삽입단계; 및 상기 삽입단계를 통해 하우징의 일단에 압착볼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하우징의 압착부를 상기 압착볼의 외주면에 확고하게 압착시켜 상기 하우징에 압착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단계를 통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과 압착볼 사이에는, 확고한 고정력이 유지되도록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착볼은, 세라믹;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에 구성되는 흡입밸브의 피스톤노즐을 구형상을 가지는 압착볼을 장착하여, 장시간 사용이 이루어져도 씰패킹과의 점접촉 상태로 인해 기밀성을 유지시키게 되고, 상기 압착볼을 세라믹으로 형성하여 이액형에 포함되는 분말알갱이에 의해 손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피스톤노즐의 내구성 향상으로 기밀성이 확보되어, 흡입밸브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일례를 보인 흡입밸브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에 따른 피스톤노즐과 씰패킹 사이의 누수발생을 상태를 보인 확대도로서,
3a는 최초 접촉상태이고, 3b는 마모에 의한 면접촉에 의한 기밀성이 저하되는 상태이며, 3c는 액체에 포함된 분말에 의한 피스톤로드의 마모로 기밀성이 저하되는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밸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노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노즐의 제조공정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노즐과 씰패킹의 점접촉 상태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흡입밸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10)와, 제2실린더(20)와, 제1피스톤로드(30)와, 피스톤노즐(200)과, 제2피스톤로드(50)와, 제1커버(60)와, 제2커버(70)와, 이송거리조절부(80)와, 씰패킹(90) 및 제3커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노즐(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 및 압착볼(2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일단에 압착볼(220)을 압입시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일정깊이를 가지고 압착볼(220)의 일부가 삽입되는 압입공간(212)과, 상기 압입공간(212)의 일단에 상기 압착볼(220)의 외주연을 압입하는 압착부(21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타단부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제1피스톤로드(30)의 끝단에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공(216)이 형성된다.
상기 압착볼(220)은 전체적으로 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착볼(220)은 강도 및 경도가 높은 세라믹으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라믹과 강도 및 경도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액형의 액체에 포함되는 분말알갱이에 의해 손상을 받지 않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노즐(200)의 제조공정을 살펴본다.
상기 피스톤노즐의 제조공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준비단계(S1)와, 삽입단계(S2) 및 압착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재료준비단계(S1)는 일단에 일정깊이의 압입공간(212)과 끝단에 압착부(214)가 형성되고, 타단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체결공(216)이 형성된 하우징(210) 및 구형상의 압착볼(220)을 준비한다.
이 경우, 상기 압착볼(220)은 구형상을 가지면서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때,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경우, 제조의 특성 등에 의해 상기 압착볼(220)은 기성품을 사용한다.
상기 삽입단계(S2)는 상기 재료준비단계(S1)를 통해 준비된 하우징(210)의 일단에 구성된 압입공간(212)에 압착볼(220)을 삽입한다.
이 경우, 상기 압입공간(212)과 압착볼(220) 사이는 억지 끼워맞춤의 공차로 구성하여, 상기 하우징(210)에 압착볼(220)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10)의 압입공간(212)에 압착볼(220)이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210)의 압착부(214)보다 압착볼(220)이 돌출된 상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착부(214)는 상기 압착볼(220)의 수직 중심선보다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압착볼(220)의 수직 중심보다 돌출된 압착부(214)는 압착볼(220)과 씰패킹(90) 사이의 밀착상태를 간섭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압착단계(S3)는 상기 삽입단계(S2)를 통해 하우징(210)의 압입공간(212)에 압착볼(2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압착볼(220)의 수직 중심보다 일정길이 돌출된 압착부(214)를 상기 압착볼(220)의 외주면에 완전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밀착시킨다.
예컨대, 압착볼(220)이 압입된 하우징(210)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지그(232)를 구성하고, 상기 압착볼(220)의 전방에 압착과정 중 상기 압착볼(2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이탈방지지그(234)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210)의 외주연에 복수의 압착롤(236)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압착롤(236)을 하우징(210)의 압착부(214)를 점점 압착함에 따라, 사기 압착부(214)가 압착볼(220)의 외주연에 완전 밀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하우징(210)에 압착볼(220)의 고정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에 압착볼(220)의 압착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210)의 압입공간(212)에 일정량의 접착제(240)를 주입시켜, 상기 하우징(210)의 압착부(214)의 압착고정력 및 접착제(240)의 접착력에 의해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착제(240)는 핫멜트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210)에 압착볼(2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착제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접착제(240)인 고형의 핫멜트를 하우징(210)의 압입공간(212)에 일정량 투입한 후, 압착단계(S3)에서 80 ~ 120℃의 온도로 가열하면, 상기 가열온도에 의해 하우징(210)의 압착부(214)가 연한성질로 변화되어 압착롤(236)에 의해 압착볼(220)의 외주연에 좀더 확고한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210)의 압입공간(212)에 투입된 접착제인 핫멜트가 용융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210)의 압입공간(212)과 압착볼(220) 사이의 공간을 채워줌으로써, 기밀성 및 접착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노즐(20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씰패킹(90)과 구형상의 압착볼(220) 사이에 점접촉을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후,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구형상의 압착볼(220)에 의해 씰패킹(90) 사이에 마모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압착볼(220)보다 강도 및 경도가 낮은 씰패킹(90)에 마모가 발생된다.
이 경우, 도 7b와 같이, 상기 씰패킹(90)에서 마모가 발생되어도, 구형상의 압착볼(220)과 씰패킹(90) 사이에는, 구(球)이 특성에 의해 항상 점접촉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압착볼(220)과 씰패킹(90) 사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또한, 이액형의 액체에 분말 알갱이가 포함된다 하여도, 상기 압착볼(220)이 강도 및 경도가 우수한 세라믹 등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말알갱이에 의해 찢힘이나 박혀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게되어, 상기 압착볼(220)과 씰패킹(9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에 구성되는 흡입밸브(2)의 피스톤노즐(200)을 구형상을 가지는 압착볼을 장착하여, 장시간 사용이 이루어져도 씰패킹과의 점접촉상태로 인해 기밀성을 유지시키게 되고, 상기 압착볼을 세라믹으로 형성하여 이액형에 포함되는 분말알갱이에 의해 손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피스톤노즐의 내구성 향상으로 기밀성이 확보되어, 흡입밸브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피스톤노즐 210: 하우징
212: 압입공간 214: 압착부
216: 체결공 220: 압착볼

Claims (4)

  1. 이액형의 액체 각각을 토출펌프로 정량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펌프의 일측에 구성되는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에 있어서,
    상기 흡입밸브에는 제1실린더(10)의 제1행정공간(12)을 왕복 이송하면서 일정량의 액체를 토출펌프(1)로 토출시키는 제1피스톤로드(30); 및
    상기 제1피스톤로드(30)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제1실린더(10)의 끝단에 구성되는 씰패킹(90)과 밀착되어 액체의 원활한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피스톤노즐(200)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노즐(200)은 하우징(210); 및
    상기 하우징(210)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씰패킹(90)과 항상 점접촉 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씰패킹(90)과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압착볼(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노즐(200)은,
    일단에 압착부(214)가 형성되면서 일정깊이를 가지는 압입공간(212)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제1피스톤로드(30)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일정깊이의 체결공(216)이 형성되는 하우징(210) 및 구(球)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압착볼(220)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와;
    상기 재료준비단계(S1)를 통해 준비된 하우징(210)의 압입공간(212)에 압착볼(220)을 삽입시켜, 상기 압착볼(220)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210)의 압착부(214)가 위치되도록 하는 삽입단계(S2); 및
    상기 삽입단계(S2)를 통해 하우징(210)의 일단에 압착볼(2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하우징(210)의 압착부(214)를 상기 압착볼(220)의 외주면에 확고하게 압착시켜 상기 하우징(210)에 압착부(220)가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단계(S3)를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과 압착볼(220) 사이에는, 확고한 고정력이 유지되도록 접착제(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압착볼(220)은,
    세라믹;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KR1020170120883A 2017-09-20 2017-09-20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KR101801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883A KR101801377B1 (ko) 2017-09-20 2017-09-20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883A KR101801377B1 (ko) 2017-09-20 2017-09-20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377B1 true KR101801377B1 (ko) 2017-12-20

Family

ID=6093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883A KR101801377B1 (ko) 2017-09-20 2017-09-20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3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839A (ja) * 2000-09-01 2002-04-23 Heraeus Kulzer Gmbh 2つの流動性の反応成分を混合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JP2003227472A (ja) * 2002-02-05 2003-08-15 Saginomiya Seisakusho Inc 往復ポンプ
JP4025646B2 (ja) * 2000-12-11 2007-12-26 ギルソ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圧低容量ポ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9839A (ja) * 2000-09-01 2002-04-23 Heraeus Kulzer Gmbh 2つの流動性の反応成分を混合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JP4025646B2 (ja) * 2000-12-11 2007-12-26 ギルソ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圧低容量ポンプ
JP2003227472A (ja) * 2002-02-05 2003-08-15 Saginomiya Seisakusho Inc 往復ポン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688A (en) Dispensing method for epoxy encapsulation of integrated circuits
US20140231549A1 (en) Fluid dispensing system
CN107107005B (zh) 向高粘度材料混入气体的方法以及气体混入装置
EP1297897B1 (en) Discharge container
KR101801377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액형 정량 토출장치용 흡입밸브
KR101978622B1 (ko) 점성 재료 발포 장치 및 방법
US20130068330A1 (en) Flow path switching valve and discharge control apparatus for fluid material using the same
US11155399B2 (en) Dual-pump outflowing liquid container
US10987683B1 (en) Linear pump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s
JP2014163372A (ja) 液体吐出バルブ
US6394773B1 (en) Pump for concentrate packages
KR101670268B1 (ko) 고정밀 액체정량토출장치
JP7441219B2 (ja) ノズル
CN107023427B (zh) 高压燃料泵
CN210084442U (zh) 一种定量气固两相流输送装置及定量输送系统
TWI278354B (en) Paste ejection apparatus
KR200305065Y1 (ko) 액체 충진기
US11198148B1 (en) Dispense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penser assembly
KR100485381B1 (ko) 액체 충진기
JP2002061585A (ja) 揮発性成分を含む液体の圧送装置のシール構造
CN220759786U (zh) 一种双组份点胶装置
JP2014097606A (ja) 液状樹脂成形装置
CN212296741U (zh) 一种新型打料泵
JPH056453Y2 (ko)
CN106981442B (zh) 药液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