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164B1 -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164B1
KR101801164B1 KR1020160061702A KR20160061702A KR101801164B1 KR 101801164 B1 KR101801164 B1 KR 101801164B1 KR 1020160061702 A KR1020160061702 A KR 1020160061702A KR 20160061702 A KR20160061702 A KR 20160061702A KR 101801164 B1 KR101801164 B1 KR 101801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unit
electrical conductivity
distilled water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갑
Original Assignee
이병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갑 filed Critical 이병갑
Priority to KR1020160061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저수조(액체 저장부)내의 액체가 증류수인지를 체크하여 증류수가 아니면 이를 외부에 통지하도록 하는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멸균장치는 액체 저장부내의 액체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감지하는 전기전도도 감지부,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알람부, 및 전기전도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알람부를 제어하여 알람 동작이 수행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Steriliz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의료용 기기(기구), 고무제품(Rubbers), 의류(수술복, 가운 등), 직물, 액체, 포장 및 비포장 제품 등의 피멸균 대상물을 고온고압에서 멸균 및 건조하는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의료용 기구는 무균처리를 해서 보관 사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약품을 사용하거나 고온의 증기를 이용해서 멸균시키는 방법, EO 가스 멸균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인체에 직접 사용되지 않는 의료기구의 경우는 약품을 사용하여 멸균을 할 수 있지만, 인체에 사용되는 의료기구의 경우는 대부분이 고온고압의 증기를 이용하거나, EO 가스 멸균 처리를 하고 있다.
통상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는 병원 등에서 행해지는 수술이나 환자의 치료를 위한 각종 의료용 기기와 수술복, 가운 등의 의류를 고압증기로 멸균 및 소독하여 무균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주로 고온고압의 증기를 사용하거나, EO 가스 멸균처리를 하고 있다.
종래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는 각종 의료용 기기와 수술복, 가운 등의 의류(이하, 피멸균 대상물이라 함)를 넣기 위한 멸균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챔버,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 챔버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증류수를 저장하는 저수조, 챔버 내의 대기압과 습증기를 낮추어 주는 진공펌프, 및 챔버로 증류수 및 수증기를 차단 및 공급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는 챔버의 멸균실에 피멸균 대상물을 넣은 후 저수조에 저장된 증류수를 멸균실로 공급한 후 히터를 가동하여 고온고압의 증기를 발생시킴으로써, 피멸균 대상물을 멸균시키게 된다.
한편 EO 가스 멸균기는 상기한 과정은 동일하지만 고압 수증기 대신에 EO(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주입하여 멸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EO(에틸렌 옥사이드)가스를 주입하기 전에, 습도조절을 위하여 고압증기멸균기와 같은 방법으로, 히터를 가동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챔버에 공급하는 과정은 동일하다.
그러므로, 저수조에는 반드시 증류수를 저장시켜야 됨에도 불구하고, 증류수 대신에 링거액을 잘못 저장하기도 한다. 링거액은 증류수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무색이어서 외관상 오인혼동하기 쉽다. 그래서, 증류수인지를 정확히 확인한 후에 저장시켜야 한다.
그런데, 잘못하여 증류수 대신에 링거액을 저수조에 저장시키게 되면, 멸균장치 내부가 오염되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멸균장치가 링거액으로 오염이 되면 처음에는 그대로 동작을 하지만 점차 증발기(액체를 증발시키는 장치, 물이 닿는 부분, 미도시)에 소금의 농도가 증가하고 급기야는 증발기의 표면이 소금으로 코팅되어, 공급라인이 막히게 되고, 수증기의 발생이 저하되고, 발생된 수증기에 소금이 혼입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렇게 되면, 마침내는 수증기가 공급되지 못하고 배관 등이 막혀 오작동의 원인이 된다. 또한 온도가 섭씨 100도에서 수증기를 발생시키지 못하고 더 높은 온도에서 수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런 링거액 주입오류는 EO(에틸렌 옥사이드)가스 멸균기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는데, 스팀을 발생시키지 못하고 오작동을 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2929호(절수형 고압증기 멸균기)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4516호(멸균기)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6012호(의료기구용 멸균장치)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0294호(고압증기 멸균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저수조(액체 저장부)내의 액체가 증류수인지를 체크하여 증류수가 아니면 이를 외부에 통지하도록 하는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멸균장치는, 액체 저장부내의 액체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감지하는 전기전도도 감지부;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알람부; 및 상기 전기전도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여 알람 동작이 수행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표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전도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표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저장부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방/폐쇄되는 배출 밸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전도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상기 배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멸균장치의 제어 방법은, 전기전도도 감지부가, 액체 저장부내의 액체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감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전기전도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알람부가, 상기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임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전도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교체하였을 때 행해질 수 있다.
표시부가, 표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는 상기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인접되게 설치시킨 배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저장부내의 액체의 전기전도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전기전도도가 증류수의 전기전도도가 아닐 경우에는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알람부를 통해 알람을 하는 등의 통지를 행함으로써, 멸균장치에 증류수가 아닌 이물질의 액체가 저장되었음을 신속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관리자 또는 멸균장치 주변의 관계자는 신속하게 상황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저장부내의 액체가 증류수가 아닌 경우에는 배출 밸브를 개방하여 액체 저장부내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혹시나 모를 사용에 따른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멸균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멸균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멸균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멸균장치는, 액체 저장부(100),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 배출 밸브(160), 전기전도도 감지부(180), 수분 발생부(200),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20), 제어부(240), 표시부(260), 알람부(280), 멸균 챔버(300)를 포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멸균장치는, 액체 저장부(100)와 수분 발생부(200)를 연결하며 액체를 이송하는 제 1 관(10), 수분 발생부(200)와 멸균 챔버(300)를 연결하며 수분을 이송하는 제 2 관(20), 및 액체 저장부(100)내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30)을 포함한다.
액체 저장부(100)는 액체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통으로서, 멸균을 여러 번 할 수 있는 정도의 액체(물)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액체(물)는 멸균된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저장부(100)에 저장된 액체(바람직하게, 증류수)는 제 1 관(10)을 통하여 수분 발생부(200)측으로 이송된다.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는 액체 저장부(100)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는 제 1 관(10)상에 형성되어 액체를 이송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이다. 여기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는 일반적인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와 인접되게 제 1 관(10)상에 설치된다.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와 함께 제 1 관(10)상의 단위 액체 저장 공간(U)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밸브이다. 즉,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와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가 동시에 닫혀 제 1 관(10)상의 단위 액체 저장 공간(U)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 역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와 동일하게 일반적인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액체 저장 공간(U)은 멸균장치에 1회당 공급될 액체의 정량 공급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멸균 공정 확정시에 1회 액체 공급량을 이 공간의 부피로 결정하기 위해 관의 길이와 내부 지름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멸균장치는 별도의 전자 제어 없이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와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 사이의 공간인 단위 액체 저장 공간(U)에 양단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1회 공급될 수 있는 액체를 정량 저장하여 수분 발생부(2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 밸브(160)는 액체 저장부(100)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배출 밸브(160)는 제 1 관(10)에 설치되되,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와는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 밸브(160)는 제어부(240)로부터의 제어신호(VC)에 의해 개방/폐쇄된다. 예를 들어, 배출 밸브(160)는 개방을 의미하는 제어신호(VC)를 입력받음에 따라 개방되어 액체 저장부(100)내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출 밸브(160)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20)와 같이 일반적인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는 액체 저장부(100)내의 액체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는 항상 전기전도도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액체 저장부(100)의 액체를 교체하였을 당시에만 전기전도도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액체 저장부(100)내의 액체가 증류수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급선무이므로, 액체 저장부(100)의 액체를 교체하였을 때 전기전도도 감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100)내의 액체를 교체한 후에 멸균장치의 도어(도시 생략)를 닫게 되면 1회 정도 전기전도도 감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충분히 액체 저장부(100)내의 액체가 증류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굳이 여러 차례 또는 계속적으로 전기전도도 감지 동작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는 주지의 전기전도도 감지센서를 이용하면 된다.
증류수의 전기전도도는 대략 0.5 ~ 1 μs/㎝ 이므로,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는 액체 저장부(100)내의 액체가 증류수이면 그에 상응하는 전기전도도를 감지할 것이다. 한편, 액체 저장부(100)내의 액체가 증류수가 아니라 링거액이라면 증류수의 전기전도도와는 상당히 차이나는 전기전도도를 감지할 것이다.
수분 발생부(200)는 액체 저장부(100)로부터 액체(예를 들어, 증류수)가 히터(204)에 의하여 일정 온도(예컨대, 100℃) 이상으로 온도가 높아진 후 수분 발생통(202)에 떨어지면 수증기 형태의 수분이 발생되는 장치이다.
수분 발생부(200)는 멸균 챔버(3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분 발생부(200)는 액체 저장부(100)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를 저장하는 수분 발생통(202), 및 수분 발생통(202)에 저장된 액체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히터(204)를 포함한다. 여기서, 히터(204)는 세라믹 시트(sheet)에 인쇄하는 형태로 하여 수분 발생통(202)의 저면에 매립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분 발생부(200)는 액체 저장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열에 의해 증발시키는 히터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20)는 수분 발생부(200)에 인접되게 제 2 관(20)상에 설치된다.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20)는 수분 발생부(200)에서 발생된 수분을 멸균 챔버(300)로 이송시키는 밸브이다.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20) 역시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20, 140)와 동일하게 일반적인 공지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표시부(260)와 알람부(280) 및 배출 밸브(16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임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제어부(240)는 배출 밸브(160)를 폐쇄시키고, 표시부(260) 및 알람부(280)는 아무런 표시 동작 및 알람 동작을 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제어부(240)는 배출 밸브(160)를 개방시키고, 표시부(260)를 통해서는 표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알람부(280)를 통해서는 알람이 행해지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배출 밸브(160)를 개방시킬 때에는 제어부(240)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후단으로의 액체 이송이 되지 않도록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폐쇄시킨다.
표시부(26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표시 메시지(예컨대, "현재 액체 저장부내에 증류수가 아닌 액체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등과 같은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알람부(28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알람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알람부(280)는 부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표시부(260)와 알람부(280)를 함께 채택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표시부(260) 및 알람부(280) 중에서 어느 하나만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멸균 챔버(300)는 피멸균물을 수납하여 진공 상태로 멸균하기 위한 멸균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로서, 병원에서 사용하는 기구 등 멸균하고자 하는 물품이 적재되는 곳이다.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멸균 챔버(300)는 피멸균물을 멸균할 때 내부 진공도를 적정 수준에 이르도록 진공 처리하는 진공 펌프와 배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멸균 챔버(300)의 내부 진공도의 적정 수준은 1 Torr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멸균 챔버(300)의 내부 진공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배관 상에는 진공 조절 밸브(도시 생략)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멸균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액체 저장부(100)의 액체를 멸균 챔버(300)로 이송하기까지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진공 펌프를 동작시켜 멸균 챔버(300)를 일정 진공으로 만들고,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닫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열며,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열고, 히터(204)의 전원을 온(on)시켜 수분 발생부(200)를 일정 온도로 승온시킨다.
이어서, 일정량의 액체를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와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 사이의 공간인 단위 액체 저장 공간(U)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열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는 닫으며,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닫는다. 이에 의해, 일정량의 액체가 단위 액체 저장 공간(U)으로 이동한다.
이후, 단위 액체 저장 공간(U)의 액체를 수분 발생부(200)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닫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열며,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닫는다. 이에 의해, 단위 액체 저장 공간(U)의 액체가 수분 발생부(200)로 이송된다.
이어서, 수분 발생부(200)에서 발생된 수분을 멸균 챔버(300)로 이송하기 위하여,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와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를 닫으며,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연다. 이에 의해, 수분 발생부(200)에서 발생된 수분이 멸균 챔버(300)로 이송된다.
멸균 챔버(300)로의 수분 이송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와 제 2 솔레노이드 밸브(140)와 제 3 솔레노이드 밸브(220)를 닫고, 히터(204)의 전원이 오프(off)된다.
이번에는, 액체 저장부(100)의 액체를 교체하였을 경우에 행해지는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액체 저장부(100)의 액체를 교체하고 나서 멸균장치의 도어(도시 생략)을 닫게 되면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는 현재 액체 저장부(100)내의 액체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감지한다(S10). 이때,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는 그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제어부(240)에게로 전송한다. 그리고, 액체 저장부(100)의 액체를 교체하였을 당시에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와 배출 밸브(160)는 폐쇄되어 있다.
이후, 제어부(240)는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로부터의 감지신호에 근거하여 표시부(260)와 알람부(280) 및 배출 밸브(16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임을 의미하는 신호이면(S20에서 "Yes") 제어부(240)는 배출 밸브(160)를 폐쇄시키고, 아무런 표시 동작 및 알람 동작을 하지 않도록 표시부(260) 및 알람부(280)를 제어할 것이다.
그러나, 전기전도도 감지부(180)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S20에서 "No") 제어부(240)는 표시부(260)를 통해 표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알람부(280)를 통해 알람이 행해지도록 한다(S30). 이에 의해, 표시부(260)는 예를 들어 "현재 액체 저장부내에 증류수가 아닌 액체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등과 같은 표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알람부(280)는 예를 들어 부저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물론, 상술한 표시 메시지 디스플레이 및 알람 중에서 어느 하나만 행해지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 메시지 디스플레이 및 알람과 함께, 제어부(240)는 배출 밸브(160)에 개방을 의미하는 제어신호(VC)를 제공하고, 배출 밸브(160)는 그에 의해 개방된다. 배출 밸브(160)가 개방됨에 따라 액체 저장부(100)내의 액체(예를 들어, 증류수가 아니라 링거액과 같은 액체)는 배출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S40). 여기서, 배출 밸브(160)를 개방시킬 때에는 제어부(240)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의 후단으로의 액체 이송이 되지 않도록 제 1 솔레노이드 밸브(120)를 폐쇄시킨다. 이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당연히 그리하여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제 1 관
20 : 제 2 관
30 : 배출관
100 : 액체 저장부
120 :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140 :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160 : 배출 밸브
180 : 전기전도도 감지부
200 : 수분 발생부
220 : 제 3 솔레노이드 밸브
240 : 제어부
260 : 표시부
280 : 알람부
300 : 멸균 챔버

Claims (7)

  1. 액체 저장부내의 액체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감지하는 전기전도도 감지부;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알람부; 및
    상기 전기전도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여 알람 동작이 수행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표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전도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표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방/폐쇄되는 배출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전도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상기 배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장치.
  4. 전기전도도 감지부가, 액체 저장부내의 액체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감지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전기전도도 감지부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알람부가, 상기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임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장치의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교체하였을 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장치의 제어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표시부가, 표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표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는 상기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장치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신호가 증류수가 아님을 의미하는 신호이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인접되게 설치시킨 배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알람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061702A 2016-05-19 2016-05-19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01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702A KR101801164B1 (ko) 2016-05-19 2016-05-19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702A KR101801164B1 (ko) 2016-05-19 2016-05-19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164B1 true KR101801164B1 (ko) 2017-11-27

Family

ID=6081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702A KR101801164B1 (ko) 2016-05-19 2016-05-19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1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821B1 (ko) 2005-08-30 2006-03-10 곽종신 의료용 멸균장치
JP4088662B2 (ja) 1996-07-03 2008-05-21 アメリカン ステリライザー カンパニー 半導体センサモジュールを用いた滅菌プロセスのモニタリングおよび制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8662B2 (ja) 1996-07-03 2008-05-21 アメリカン ステリライザー カンパニー 半導体センサモジュールを用いた滅菌プロセスのモニタリングおよび制御
KR100557821B1 (ko) 2005-08-30 2006-03-10 곽종신 의료용 멸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83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endoscope
JP5785211B2 (ja) 滅菌装置
EP08819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and control of load sterilization and parametric release
US8398932B2 (en) Culture apparatus
WO2000006211A1 (en) Real-time monitoring and control of anti-microbial processing
US202303982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Endoscope
EP3326658A1 (en) Sterilization system with independent vacuum chambers
TW201807396A (zh) 用於偵測真空腔室內濕氣之裝置及方法
KR100554443B1 (ko) 수위감지장치를 갖춘 의료용 멸균장치
KR101801164B1 (ko) 멸균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6144508A (ja) 工程試験装置とこれを備えた蒸気滅菌装置
JP2010057376A (ja) Co2インキュベータのオゾン滅菌方法およびオゾン滅菌装置
JP2018011859A (ja) 蒸気滅菌器
KR101420996B1 (ko) 의료용 고압증기 멸균기의 물 공급 및 배수 장치
KR101765048B1 (ko) 멸균기의 고온공기 공급 장치
JP5278861B2 (ja) Co2インキュベータのオゾン滅菌装置
JP4344702B2 (ja) 培養装置
EP1884250A1 (en) Low temperature steriliser using hydrogen peroxide vapour
JP2021010659A (ja) 滅菌装置および洗浄装置
JP2020031671A (ja) 洗浄・滅菌装置
KR101675059B1 (ko) 멸균장치용 멸균제 정량공급장치
JP2005160771A (ja) 高圧蒸気滅菌器
KR960011877B1 (ko) 전자동 고압멸균 소독기의 멸균 제어방법
JP2020075040A (ja) 蒸気滅菌器
JP2016097186A (ja) 蒸気滅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