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955B1 -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955B1
KR101800955B1 KR1020160019557A KR20160019557A KR101800955B1 KR 101800955 B1 KR101800955 B1 KR 101800955B1 KR 1020160019557 A KR1020160019557 A KR 1020160019557A KR 20160019557 A KR20160019557 A KR 20160019557A KR 101800955 B1 KR101800955 B1 KR 101800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control
server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899A (ko
Inventor
최승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로
Priority to KR102016001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9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이 적재되는 상판부; 하부에 바퀴가 부착된 하판부; 상기 하판부 하면에 부착된 바퀴의 상부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에 부착되어지는 로드셀부; 상기 상판부, 하판부, 및 로드셀로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모듈장착부; 및 상기 모듈장착부에 장착되고, 로드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 혹은 상기 신호값으로부터 상기 상판에 적재된 중량물의 중량정보를 산출하여 무선통신으로 서버에 제공하는 중량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A BOGIE CAPABLE OF MEASURING AND TRANSMISSION OF WEIGH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적재하여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중량정보를 서버에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각 대차별로 실시간으로 중량물의 무게측정이 가능하여 이동 중 물체의 분실을 즉시 탐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중량정보제공모듈이 일체로 구성되어 소형화 및 저전력화가 가능하면서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위치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든 중량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발주가 이루어지면 납품업체는 필요한 물품을 납품하게 되고, 납품된 물품은 창고에 입고된다.
그리고 창고에 입고된 물품은 관리자에 의해 물류별 및 물품별로 분류되며, 제조일자, 사용여부 및 작업의 진행여부 등 필요한 정보를 작성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물류 관리는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각 물류의 물품정보를 작성 및 보관함으로써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물품의 사용내역 및 물품의 상태가 실시간에 체크되지 못하여 물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차질을 가져오게 되고, 물품의 사용 여부의 진행내역이 오기 및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물류에 대한 정확한 데이타를 획득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납품된 물품에 직접 바코드를 접착하여 관리하는 기술이 개시되었는데, 이는 바코드에 의한 정보를 스캐너를 통해 읽어 호스트컴퓨터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각 물품의 제조일자, 사용여부 및 물품의 이력사항 등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Real Time)에 얻을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종래 공개특허 10-2010-0089933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전자저울과 재고관리모듈이 탑재된 이동식 손수레장치를 이용하여 재고관리를 실시간으로 실행할 수 있어 재고관리의 정밀성과 구축비용을 저감 시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손수레장치는 저중량의 전자저울과 관리를 위한 제어패널부가 구비되지만, 각 구성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전원이 필요하며, 특히 전자저울의 경우, 종래 고정형 전저저울을 사용함에 따라, 필요 전원이 220V이다.
이에, 전원 사용량이 높아 손수레장치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원선을 길게 사용함에 따라, 다른 이동의 방해는 물론, 지속적인 전원공급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차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물품의 중량을 측정함은 물론, 전원을 저전력으로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시키고, 이동거리가 제한되지 않아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중량물을 적재하여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중량정보를 서버에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각 대차별로 실시간으로 중량물의 무게측정이 가능하여 이동 중 물체의 분실을 즉시 탐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중량정보제공모듈이 일체로 구성되어 소형화 및 저전력화가 가능하면서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위치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든 중량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중량물이 올려지는 상판부; 하부에 바퀴가 부착된 하판부; 상기 하판부 하면에 부착된 바퀴의 상부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에 부착되어지는 로드셀부; 상기 상판부, 하판부, 및 로드셀로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모듈장착부; 및 상기 모듈장착부에 장착되고, 로드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 혹은 상기 신호값으로부터 상기 상판에 적재된 중량물의 중량정보를 산출하여 무선통신으로 서버에 제공하는 중량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2) 상기 (1)에 있어서,
중량정보제공모듈은 로드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 혹은 상기 신호값으로부터 산출된 중량정보를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상기 인디케이터로부터 신호값 혹은 상기 신호값으로부터 산출된 중량정보를 수신하여 서버에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인디케이터 및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인디케이터, 통신모듈 및 로드셀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3) 상기 (1)에 있어서,
로드셀부를 구성하는 각 로드셀들은 하판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서버로부터 제어코드가 수신되면, AD모드에서 로드셀의 제어모드로 모드변경을 수행하고, 서버로부터 확인코드를 수신하면 제어모드에서 AD모드로의 모드변경을 수행하는 모드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중량정보제공모듈은 상기 하판부 상면에 그대로 부착되거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 혹은 안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6)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GPS모듈, 블루투스 모듈, 비콘 모듈, 지그비, 와이파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물을 적재하여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중량정보를 서버에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각 대차별로 실시간으로 중량물의 무게측정이 가능하여 이동 중 물체의 분실을 즉시 탐지할 수있으며, 뿐만 아니라 중량정보제공모듈이 일체로 구성되어 소형화 및 저전력화가 가능하면서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위치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든 중량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정보제공모듈의 고정부재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정보제공모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의 세부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의 구성도로써, 중량물(10)이 적재되는 상판부(20), 바퀴(40)가 장착된 하판부(30), 로드셀부(50), 모듈장착부(60), 및 중량정보제공모듈(100)을 포함한다.
상판부(20)는 중량물(10)이 적재되는 구성요소로써,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상 혹은 원형상의 판형으로 구성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금속재질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하판부(30)는 하부에 바퀴(40)가 부착되어 대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판부(20)와 동일한 형상인 사각형상 혹은 원형상의 판형으로 구성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금속재질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로드셀부(50)는 복수개의 로드셀(load cell)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로드셀은 상판부(20)에 적재되는 중량물(10)의 무게에 비례하는 전압변화 혹은 전류변화를 신호값으로 제공한다.
상기 각 로드셀은 상기 하판부(30) 하면에 부착된 바퀴(40)의 상부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상판부(20)와 하판부(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부의 하면과 하판부의 상면에 부착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드셀부(50)를 구성하는 각 로드셀들은 하판부(30)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진다.
모듈장착부(60)는 상기 상판부(20), 하판부(30), 및 로드셀부(50)에 의해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간에는 후술하는 중량정보제공모듈(100)이 장착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일실시예로 상기 모듈장착부(60)는 하판부(30)의 중앙 상면에 부착되어지며, 별도의 고정부재가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정보제공모듈(100)이 안착되는 안착홈(31)이 하판부(30) 상면에 형성된 형태이거나,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돌기(32)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돌기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안착부: 33)으로 이루어지는 수납부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중량정보제공모듈(100)은 상기 하판부(30) 상면에 그대로 부착되거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31) 혹은 안착부(33)에 삽입되어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대차의 이동 중에 흔들리지 않게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중량정보제공모듈(100)은 상기 모듈장착부(60)에 장착되고, 로드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 혹은 상기 신호값으로부터 상기 상판부(20)에 적재된 중량물(10)의 중량정보를 산출하여 무선통신으로 서버(2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중량정보제공모듈(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전원공급부(혹은 배터리)(110), 통신모듈(120), 및 인디케이터(13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110)는 상기 로드셀부(50), 통신모듈(120) 및 인디케이터(130)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한다.
중량정보제공모듈(100)을 구성하는 인디케이터(130)는 로드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 혹은 상기 신호값으로부터 산출된 중량정보를 통신모듈(120)에 제공한다. 따라서, 인디케이터(130)는 로드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 즉 전압 혹은 전류의 변화값을 그대로 통신모듈(120)에 전달하거나, 상기 신호값에 매핑되어지는 중량값을 기 저장된 DB(미도시)로부터 호출 혹은 이들 신호값을 입력으로 하여 소정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하여 중량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모듈(120)에 제공한다.
이때, 로드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을 그대로 통신모듈(120)에 전달할 경우에는 통신모듈(120)에서 중량정보를 생성하여도 좋고, 통신모듈(120)로부터 서버(200)가 상기 신호값을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아 서버에서 해당 신호값에 매핑되는 중량값을 기 저장된 DB(미도시)로부터 호출 혹은 이들 신호값을 입력으로 하여 소정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하여 중량정보를 생성하여도 좋다.
통신모듈(120)은 상기 인디케이터(130)로부터 신호값 혹은 상기 신호값으로부터 산출된 중량정보를 수신하여 서버(200)에 무선통신 예를 들어, UART, SPI, I2C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모듈(120)은 서버(200)로부터 요청신호(REQUEST)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ACK)으로 통신모듈ID 혹은 인디케이터ID와 함께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에드버타이징 혹은 약칭하여 AD라 함).
전원공급부(110)는 상기 로드셀부(50), 통신모듈(120) 및 인디케이터(130)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여 저전력화하고, 또한, 본 발명의 전원공급부(110)는 상기 통신모듈(120) 및 인디케이터(130)와 일체로 제작되어 소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원공급부(110), 통신모듈(120) 및 인디케이터(130)를 일체로 제작하여 이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구성의 단순화와 함께 외부에 별개로 장착되었을 경우 이동 중 발생하는 외부적 충격에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모듈(1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송수신부(121), 모드변환부(122), 제어코드추출부(123), 제어실행부(124), 및 응답신호생성부(125)를 포함한다. 만일 인디케이터(130)로부터 신호값을 그대로 받는 경우에는 중량으로 환산할 수 있는 중량산출부(미도시)가 추가로 구성되어질 것이다.
신호송수신부(121)는 인디케이터(130) 및 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즉, 서버(20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응답신호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모드변환부(122)는 서버(200)로부터 통신모듈ID 혹은 인디케이터ID와 함께 제어코드가 결합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AD모드에서 제어모드로 모드변경을 수행하고, 서버(200)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모드에서 AD모드로의 모드변환을 수행한다.
제어코드추출부(123)는 신호송수신부(121)에서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제어코드를 추출한다. 이 경우 제어는 로드셀의 특정 동작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영점조정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제어실행부(124)는 상기 제어코드에 매핑되어지는 로드셀(50)의 특정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되, 로드셀(50)에 대하여 직접 제어를 수행하거나, 혹은 인디케이터(130)를 매개하여 로드셀(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응답신호생성부(125)는 서버(200)의 요청신호에 대하여 단순히 통신모듈ID 혹은 인디케이터ID와 함께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 뿐만 아니라, 서버(200)가 전송한 제어코드에 따라 상기 제어실행부(124)에 의해 소정의 제어가 이루어진 경우 이에 대한 확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서버(200)는 확인정보를 통해 제어가 있었음을 확인하면,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120)에 전송하고, 신호송수신부(121)를 통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에서 다시 AD모드로의 모드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통신모듈(120)는 주기적으로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를 서버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120)은 바람직하게는 GPS모듈과 블루투스 모듈, 비콘 모듈, 지그비, 와이파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일 실시 예로, GPS모듈(126)을 탑재하여, 중량물(10)의 적재, 하적 내지 분실에 따른 중량정보의 변화가 AD모드를 통해 서버(200)에 감지되면, 서버(200)는 해당 응답신호를 받은 시점에서의 대차의 위치정보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를 통해 해당 대차에 적재된 중량물 중 일부가 어디에서 얼마만큼의 수량으로 적재되고, 하적되었는지를 기록관리할 수 있고, 분실시에도 분실위치 및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디지털 단말기,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이들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디지털 단말기 이용 가능 또는 디지털 단말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디지털 단말기 이용가능 또는 디지털 단말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디지털 단말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디지털 단말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디지털 단말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디지털 단말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중량물 20: 상판부
30: 하판부 40: 바퀴
50: 로드셀부 60: 모듈장착부
100: 중량정보제공모듈 200: 서버

Claims (6)

  1. 중량물이 적재되는 상판부; 하부에 바퀴가 부착된 하판부; 상기 하판부 하면에 부착된 바퀴의 상부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에 부착되어지는 로드셀부; 상기 상판부, 하판부, 및 로드셀로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모듈장착부; 및 상기 모듈장착부에 장착되고, 로드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 혹은 상기 신호값으로부터 상기 상판에 적재된 중량물의 중량정보를 산출하여 무선통신으로 서버에 제공하는 중량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중량정보제공모듈은 로드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값 혹은 상기 신호값으로부터 산출된 중량정보를 제공하는 인디케이터; 상기 인디케이터로부터 신호값 혹은 상기 신호값으로부터 산출된 중량정보를 수신하여 서버에 무선통신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인디케이터 및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인디케이터, 통신모듈 및 로드셀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인디케이터 및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되, 서버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응답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신호송수신부,
    서버로부터 통신모듈ID 혹은 인디케이터ID와 함께 제어코드가 결합된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AD모드에서 제어모드로 모드변경을 수행하고, 서버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모드에서 AD모드로의 모드변환을 수행하는 모드변환부,
    신호송수신부에서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신호로부터 제어코드를 추출하는 제어코드추출부,
    상기 제어코드에 매핑되어지는 로드셀의 특정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되, 로드셀에 대하여 직접 제어를 수행하거나, 혹은 인디케이터를 매개하여 로드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실행부,
    서버의 요청신호에 대하여 통신모듈ID 혹은 인디케이터ID와 함께 중량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뿐만 아니라, 서버가 전송한 제어코드에 따라 상기 제어실행부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진 경우 이에 대한 확인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서버가 확인정보를 통해 제어가 있었음을 확인하면, 확인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에 전송하고,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확인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에서 다시 AD모드로의 모드변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응답신호생성부, 및
    GPS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로드셀부를 구성하는 각 로드셀들은 하판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정보제공모듈은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 혹은 안착부에 삽입되어 고정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비콘 모듈, 지그비, 와이파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KR1020160019557A 2016-02-19 2016-02-19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KR101800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57A KR101800955B1 (ko) 2016-02-19 2016-02-19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57A KR101800955B1 (ko) 2016-02-19 2016-02-19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899A KR20170097899A (ko) 2017-08-29
KR101800955B1 true KR101800955B1 (ko) 2017-11-23

Family

ID=5976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557A KR101800955B1 (ko) 2016-02-19 2016-02-19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9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899A (ko)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0394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30412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utomatically for geo-fen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496795B1 (ko) 재고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1669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00326377A1 (en) Methods for estimating a number of workflow cycles able to be completed from a remaining battery capacity
US201700601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US10830862B2 (en) Position measuring system including a server and a plurality of beacons
US9546861B2 (en) 3D laser measuring scanning apparatus
KR20140070817A (ko) 선박 의장 공정 및 자재 관리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00955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중량측정과 전송이 가능한 대차
CN111226240B (zh) 运输操作控制设备、运输操作控制方法和其中存储有运输操作控制程序的记录介质
JP2014015295A (ja) 航空貨物輸送状態監視システム
CN116767325A (zh) 一种智能多功能拣选终端
KR20160109419A (ko) 다중검침기능이 적용된 단말기 무선검침 시스템과 단말기 무선 검침 제어방법
MX2014005118A (es) Sistemas y metodos de calibracion de vehiculos con bascula de pesaje.
CN204301825U (zh) 全自动数据采集蓝牙静态秤
JP6910902B2 (ja) 移動装置及び給電システム
US20210097455A1 (en) Transfer operation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204788563U (zh) 一种监测啤酒库存余量的智能系统
KR20180128704A (ko) 전자 장치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충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10263509A1 (en)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nveyance apparatus,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20200095425A (ko) Rfid 리더 장치 및 서버 장치
JP2017010018A (ja) 無線表示システム
US20230007733A1 (en) Measurement relay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JP201909112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