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942B1 -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942B1
KR101800942B1 KR1020150183791A KR20150183791A KR101800942B1 KR 101800942 B1 KR101800942 B1 KR 101800942B1 KR 1020150183791 A KR1020150183791 A KR 1020150183791A KR 20150183791 A KR20150183791 A KR 20150183791A KR 101800942 B1 KR101800942 B1 KR 101800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scanning time
currently scanned
p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897A (ko
Inventor
펑 리우
Original Assignee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2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7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involving statistical or probabilistic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과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모바일 단말의 현재 스캐닝 시각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스캐닝 시각과 현재 스캐닝 시각이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고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이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음 -,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모바일 단말이 설정 시간 구간내의 설정 범위 구역에서 이동할 때 복수개의 주변 기지국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동시에 사용하여 기지국 위치 추적하는 것을 함께 완성하는 것을 실현하고, 위치 추적 근거를 증가하며,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위치 추적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위치 추적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전 위치 추적 네비게이션 기술은 이미 비즈니스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그중에서, 비교적 성숙된 위치 추적 기술에는 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글로벌 위치 추적 시스템) 위치 추적, Wi-Fi(Wireless Fidelity) 위치 추적, 기지국 위치 추적,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위치 추적 등을 포함한다. 이런 위치 추적 기술은 이미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소위 기지국 위치 추적은 모바일 단말이 기지국이 송신하는 하행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여 동일한 기지국의 다른 하행 파일럿 신호의 도착 시간차를 획득하고 나서, 기지국이 소재하는 위치를 결부하여 삼각 계산법을 사용하면 모바일 단말 자체가 소재하는 위치를 바로 추산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위치 추적 정밀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한번의 위치 추적은 동시에 복수의 기지국 (3개 또는 3개 이상)을 사용하여 연합 위치 추적을 행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소수의 전용 단말 (전형적으로, 단말 제조업체 내부의 공정 테스트기)만이 동시에 복수개의 기지국의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바, 시장에서 통용되는 보통 단말은 동일한 시각에 오직 신호가 가장 강한 한개의 기지국밖에 스캐닝하지 못하므로 한개의 기지국에 의거하여 기지국 위치 추적을 완성할 수 밖에 없다. 구체적인 위치 추적 방법은 모바일 단말을 당해 신호가 가장 강한 기지국이 소재한 위치까지 위치 추적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지국간의 거리가 비교적 멀 때, 상술한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위치 추적 정밀도가 조금 떨어진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기존의 단일 기지국을 기초로 한 위치 추적 방법을 최적화시켜 사람들의 날로 늘어나는 개성화, 정확화된 기지국 위치 추적의 수요를 만족시킨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을 제공하는바,
모바일 단말의 현재 스캐닝 시각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스캐닝 시각과 현재 스캐닝 시각은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고,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은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음 -;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를 제공하는바,
모바일 단말의 현재 스캐닝 시각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확정하기 위한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확정 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기 위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 확정 모듈 - 여기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스캐닝 시각과 현재 스캐닝 시각은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고,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은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음-;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기 위한 기지국 위치 추적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이 현재 스캐닝 시각에 대응되는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획득한 후, 오직 당해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에만 의거하여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의거하여 스캐닝 시각이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고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는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획득한 후,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에 동시에 의거하여 모바일 단말에 대한 기지국의 위치 추적을 완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기술 수단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이 설정 시간 구간내의 설정 범위 구역에서 이동할 때 복수개의 주변 기지국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동시에 사용하여 함께 기지국 위치 추적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을 실현하고, 위치 추적의 근거를 증가하고, 기존의 단일 기지국을 기초로 한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위치 추적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하나의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나의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나의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하나의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하나의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 방안과 장점을 보다 뚜렷하게 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 일 뿐,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외에 더 설명드려야 하는 것은,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는 전부의 내용이 아닌 본 발명과 관련되는 부분만 제시한다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토론하기 전에 언급하여야 하는 것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는 흐름도로 간주되어 묘사된 처리나 방법으로 묘사되었다는 것이다. 비록 흐름도는 각종 항목의 조작(또는 단계)을 순서대로의 처리로 설명하였으나 그중의 많은 조작은 병행하게, 한꺼번에 발생 또는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이외에, 각종 항목의 조작 순서는 새로 안배될 수 있다. 그 조작이 완성될 때 상기 처리는 중지될 수 있으나 첨부도면에 포함되지 않은 추가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처리는 방법, 함수, 규정, 서브 루틴, 서브 프로그램 등등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제공하는 하나의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당해 장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실현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자에게 기지국 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예를 들면, "XX 지도" 또는 "XX 위치 추적" 등 네비게이션류 또는 위치 추적류 응용 프로그램)에 집적되어 기지국 위치 추적 서버와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단계110, 단계120와 단계130을 포함한다.
단계 110: 모바일 단말의 현재 스캐닝 시각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확정한다.
앞(배경 기술 부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오직 소수의 전용 단말만이 주위 환경 중의 복수개의 기지국의 신호를 동시에 스캐닝할 수 있는바, 시중에서 통용되는 보통 단말은 동일한 스캐닝 시각에서 오직 한개의 기지국의 신호, 즉 단말이 현재 접근된 기지국의 신호(또는 단말이 소재한 환경 중의 신호 송신 공율이 가장 강한 기지국의 신호)밖에 스캐닝하지 못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은 구체적으로 현재 스캐닝 시각에서 모바일 단말이 스캐닝해 낸 (또는 접근된) 신호 송신 공율이 가장 강한 한개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모바일 단말이 한개의 기지국에 접근된 후, 당해 기지국이 송신하는 신호 중에 포함되는 BSIC(Base Station Identity Code, 기지국 식별 코드)를 통하여 유일하게 당해 기지국을 확정할 수 있다.
단계 120: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는 모바일 단말이 현재 스캐닝 시각 전에 스캐닝해낸 과거 기지국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는 오직 전에 스캐닝해낸 과거 기지국만 저장할 수 있고, 동시에 스캐닝 시각 및 스캐닝 시각에 대응되는 전에 스캐닝해낸 과거 기지국을 저장할 수도 있는바,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기존의 단일 기지국을 기초로 한 위치 추적 방식은 모바일 단말을 스캐닝해낸 단일 기지국이 소재한 위치에 위치 추적하는 것으로, 위치 추적 정밀도가 조금 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은 비록 동일한 스캐닝 시각에서 오직 한개의 스캐닝 기지국밖에 획득할 수 없지만,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는 모바일 단말이 전에 스캐닝했던 과거 기지국이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만약 이런 기지국 중의 스캐닝 시각이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고 기지국 위치가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설정 공간 범위에 있는 기지국을 취한다면, 변상적으로 현재 스캐닝 시각에서의 모바일 단말의 주위 환경 중의 기타 기지국을 획득한 것에 해당되는 것이다. 만약 획득한 이런 기타 기지국을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으로 하여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함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한다면, 단일 기지국을 기초로 한 위치 추적의 위치 추적 정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응하게,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은 구체적으로 상기 과거 스캐닝 테이블에 저장되고 스캐닝 시각이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으며 기지국 위치가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위치가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과거 스캐닝 테이블에 저장된 기지국을 기지국 위치 추적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통하여 기지국 위치 추적 서버가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협조하여 확정해낼 수 있고, 직접 과거 스캐닝 테이블에 저장된 기지국의 기지국 특징 또는 저장 규율에 의거하여 클라이언트가 직접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해낼 수도 있는바,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단계 130: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한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기지국 위치 추적 서버에는 각 기지국의 위치가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는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표지 정보(전형적으로, BSIC정보)를 기지국 위치 추적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로 둘러싸인 구역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바, 예를 들면, 둘러싸인 구역의 기하학적 중심을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는 것이거나, 또는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의 경위도 좌표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바, 예를 들면, 직접 각 경위도 좌표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거나 또는 설정한 가중치를 누가한 후의 각 경위도 좌표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이 현재 스캐닝 시각에 대응되는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획득한 후, 오직 당해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에만 의거하여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의거하여 스캐닝 시각이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고,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는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획득한 후,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에 동시에 의거하여 모바일 단말에 대한 기지국의 위치 추적을 완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기술 수단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이 설정 시간 구간내의 설정 범위 구역에서 이동할 때, 복수개의 주변 기지국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동시에 사용하여 함께 기지국 위치 추적을 완성하는 것을 실현하고, 위치 추적 근거를 증가하고, 기존의 단일 기지국을 기초로 한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위치 추적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실시예의 기초하에서, 만약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요구를 만족시키는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지 않았다면 단지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만 사용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 것을 완성한다.
제2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하나의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최적화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과거에 스캐닝해낸 기지국 및 그의 스캐닝 시각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것을 하기와 같이 최적화시킨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조회하는 것;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에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을 획득하고,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사이에 위치한 기지국을 확정 대기 기지국으로 하는 것 -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상기 현재 기록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타 기지국의 기록이 존재함 -,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것으로 최적화한다.
상응하게, 본 실시예의 방법은 구체적으로 하기 단계 210, 단계 220, 단계 230, 단계 240, 단계 250, 단계 260, 단계 270, 단계 280, 단계 290 및 단계 2100을 포함한다.
단계 210: 모바일 단말의 현재 스캐닝 시각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확정한다.
단계 220: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조회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과거에 스캐닝해낸 기지국 및 그의 스캐닝 시각이 저장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의 각 기지국의 저장 형식은 하기와 같이 표시된다.
(t_1,cl_1)→(t_2,cl_2)→…→(t_i,cl_i)→…→(t_n, cl_n).
여기서, t_i는 스캐닝 시각을 나타내고, t_i < t_(i+1)이며, cl_i는 t_i시각에 스캐닝해낸 기지국을 나타낸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이 과거에 스캐닝해낸 기지국은 스캐닝한 시각에 따라 순서대로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이 만족시켜야 하는 하나의 조건은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스캐닝 시각과 현재 스캐닝 시각이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우선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 중 스캐닝 시각과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이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조회한다.
전형적으로, 현재 스캐닝 시각을 T로 가정할 경우, 하나의 시간차 Δt(Δt는 실제 상황에 의거하여 사전에 설정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10분, 20분 또는 30분 등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한가지 설정된 시간 범위가 T-Δt ~ T인 것을 확정할 수 있고, 나아가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T-Δt ~ T에 위치한 전에 스캐닝한 기지국을 획득하여 조회 대기 기지국으로 할 수 있다.
단계 230: 시간의 선후 순서에 따라, 역순으로 조회 대기 기지국에 있는 하나의 기지국의 기록을 획득한다.
한 구체적인 예에서, 현재 스캐닝 시각 T는 11:20이고, Δt는 30분일 경우, 대응되는 시간 범위는 10:50~11:20이고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조회해낸 조회 대기 기지국은 시간의 선후 순서에 따라 하기와 같이 배열되었을 경우,
즉 (10:55, 기지국 A)→(11:00, 기지국 B)→(11:05, 기지국 B)→(11:10, 기지국 D)→(11:15, 기지국 A);
상기 역순으로 조회 대기 기지국에 있는 하나의 기지국의 기록을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11:15, 기지국 A)가 소재하는 위치에서 시작하여 역순으로((10:55, 기지국 A)의 방향을 향하여) 하나의 기지국의 기록을 획득하는 것을 가리킨다.
여기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이 만족시켜야 하는 다른 하나의 조건은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이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한가지 상황, 즉 조회 대기 기지국 (설정 시간 범위내에서 스캐닝해낸 기지국)에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을 포함하는 상황을 감안한다. 즉,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은, 전에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출현된 것인데, 다시 말하자면, 모바일 단말이 비교적 작은 공간 범위내에서 이동을 한 것이다. 나아가 조회 대기 기지국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사이에 위치한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또는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인접한 또는 가까운 기지국)을 확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에서, 시간의 선후 순서에 의거하여 역순으로 획득한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 중의 하나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기록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사이에 위치한 확정 대기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한다. 아울러, 이 두 기록사이에는 적어도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다른 기타 기지국의 기록이 한개 존재한다.
단계 240: 획득한 기지국의 기록이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과 일치한지를 판단하여, 만약 일치하면 단계 230으로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250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또 한가지 상황, 즉 사용자가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에서 상주하거나 느리게 이동하는 상황을 감안한다. 이때, 현재 스캐닝 시각 이전의 얼마간의 시간내에서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저장된 기지국의 기록은 모두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과 일치하다. 이때, 만약 직접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역순으로 획득한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첫번째 기록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사이의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한다면,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에는 그 어떤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인접한 또는 가까운 기타 기지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할 때 더 만족하여야 할 하나의 조건은 획득한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있는 하나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기록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기타 기지국의 기록이 존재하여야 하는 것이다.
단계 250: 당해 획득한 기지국의 기록에 대응되는 기지국을 제2 기지국으로 표지하여 단계 260을 수행한다.
단계 260: 시간의 선후 순서에 따라, 역순으로 조회 대기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의 기록을 조회 시작점으로 하는 하나의 기지국의 기록을 획득하여 단계 270을 수행한다.
단계 270: 획득한 기지국의 기록이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과 일치한지를 판단하여 만약 일치하면 단계 280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260으로 리턴한다.
단계 280: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 중 당해 획득한 기지국의 기록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사이에 위치한 기지국을 획득하여 확정 대기 기지국으로 한다.
단계 290: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직접 획득한 확정 대기 기지국을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으로 할 수 있고,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한 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할 수도 있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한 예에서,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일정한 수량의 중복 기지국을 구비한다는 것(예를 들면, 사용자 어떤 한 기지국에서 상주하거나 또는 느리게 이동함)을 감안하여,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한 다음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생성시킬 수 있다.
다른 한 예에서, 확정 대기 기지국에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일치한 기지국을 구비한다는 것 (예를 들면, 현재 스캐닝 시각에 바로 이웃인 그 앞의 한개의 스캐닝 시각에서,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저장된 기지국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이 동일함)을 감안하여,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 중의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 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생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 방식에서, 최종 기지국 위치 추적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하고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 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0: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한다.
한 구체적인 예에서, 현재 스캐닝 시각은 11:20이고,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은 기지국 A, 설정한 시간 범위는 10:50~11:20이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조회 대기 기지국은 시간의 선후 순서에 따라,
(10:55, 기지국 A)→(11:00, 기지국 B)→(11:05, 기지국 B)→(11:10, 기지국 D)→(11:15, 기지국 A)으로 배열되었으면;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확정 과정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1), (2), (3) 및 (4)를 포함한다.
(1) 역순으로 조회 대기 기지국 중의 하나의 기지국의 기록(즉, (11:15, 기지국A)에 대응되는 기지국A)을 획득하여, 당해 기지국 기록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기지국 A)이 일치하면 계속 역순으로 조회 대기 기지국 중의 하나의 기지국의 기록(즉, (11:10, 기지국D)에 대응되는 기지국 D)을 획득하고, 당해 기지국의 기록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이 다르면 기지국D를 제2 기지국으로 한다.
(2) 시간의 선후 순서에 따라 역순으로 조회 대기 기지국에서 제2 기지국을 조회 시작점으로 하는 하나의 기지국의 기록, 즉 조회 대기 기지국 서열에서 (11:10, 기지국D)를 조회 시작점으로 하여(당해 제2 기지국을 포함하지 않음) 하나의 기지국의 기록(즉, (11:05, 기지국B)에 대응되는 기지국B)을 획득하고, 당해 기지국의 기록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이 다르면 계속 역순으로 그 다음 하나의 기지국의 기록(즉, (11:00, 기지국B)에 대응되는 기지국B)을 획득하며, 당해 기지국의 기록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이 다르면 계속 역순으로 그 다음 하나의 기지국의 기록(즉, (10:55, 기지국A)에 대응되는 기지국A)을 획득하고, 당해 기지국의 기록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이 일치하면 조회를 정지한다.
(3)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 중 (10:55, 기지국A)와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즉, (11:20, 기지국A))사이의 기지국을 확정 대기 기지국으로 한다. 즉, (11:00, 기지국B)→(11:05, 기지국B)→(11:10, 기지국D)→(11:15, 기지국A).
(4)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하고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 중의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다 최종적으로 확정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은 기지국B와 기지국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우선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조회하고; 다음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에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을 획득하고,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사이에 위치한 기지국을 확정 대기 기지국으로 하며 -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상기 현재 기록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기타 기지국의 기록이 존재함 -;마지막으로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방식으로,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을 기지국 위치 추적 서버로 업로드하지 않고 오직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저장된 기지국의 관련 특성만을 통하여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해낼 수 있는 기술 효과를 실현하고, 단일 기지국을 기초로 한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위치 추적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데이터 전송 흐름양을 줄인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기초하에서,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하고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 후 생성된 목표 기지국의 기지국 수량을 확정하는 것; 만약 상기 기지국의 수량이 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상기 목표 기지국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으로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하나의 극단적인 상황, 즉 짧은 시간내에 1회의 장거리 왕복 이동(예를 들면, 차를 타고 마트에 가서 쇼핑을 하고 다시 차를 타고 돌아옴)을 하는 극단적인 상황을 감안하였기 때문이다. 이때, 본 실시예의 방법을 통하여 획득한 확정 대기 기지국에는 꼭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거리가 비교적 먼 기지국이 포함되어 있다. 이때, 만약 이런 거리가 비교적 먼 기지국을 사용하여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으로 하면 오히려 최종의 기지국 위치 추적의 위치 추적 정밀도를 떨어뜨린다. 상술한 상황을 모면하기 위하여 본 바람직한 실시방식에서, 우선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하고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 후 생성된 목표 기지국의 기지국 수량을 확정한다. 만약 기지국 수량이 설정 역치(예를 들면, 3, 4 또는 5등)보다 작으면 상기 목표 기지국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으로 하고, 만약 기지국 수량이 설정 역치보다 크고 목표 기지국에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의 거리가 비교적 먼 기지국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정하면, 오직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만을 사용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한 기지국의 위치 추적을 행하는 것을 완성한다. 이렇게 설정하는 이점은, 진일보로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적용 범위를 넓히고 위치 추적 오차를 줄인 것이다.
제3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하나의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최적화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과거에 스캐닝해낸 기지국 및 그의 스캐닝 시각이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를 하기와 같이 최적화시킨다. 즉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조회하는 것; 서버가 각 기지국이 소재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는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도록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 및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서버로 송신하는 것; 상기 서버가 피드백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수신하는 것으로 최적화한다.
상응하게, 본 실시예의 방법은 구체적으로 단계 310, 단계 320, 단계 330, 단계 340 및 단계 350을 포함한다.
단계 310: 모바일 단말의 현재 스캐닝 시각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확정한다.
단계 320: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조회한다.
단계 330: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 및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서버로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는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 및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기지국 위치 추적 서버로 송신하고, 서버는 사전에 저장된 각 기지국이 소재하는 위치에 의거하여 조회 대기 기지국 중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설정 공간 범위(예를 들면, 10미터, 20미터 또는 30미터 등)내에 있는 기지국을 확정하여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으로 한다.
단계 340: 상기 서버가 피드백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수신한다.
단계 350: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한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 및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가 피드백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수신하는 방식을 통하여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기술 수단을 통하여, 단일 기지국을 기초로 한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위치 추적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모바일 단말의 데이터 처리의 스트레스를 줄인다.
제4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하나의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최적화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 단계를 하기와 같이 최적화시킨다. 즉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지국 경위도 정보를 획득하고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한다.
상응하게, 본 실시예의 방법은 구체적으로 단계 410, 단계 420, 단계 430 및 단계 440을 포함한다.
단계 410: 모바일 단말의 현재 스캐닝 시각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확정한다.
단계 420: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한다.
단계 430: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지국 경위도 정보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는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표지 정보를 기지국 위치 추적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통하여 각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지국 경위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가 기지국 위치 추적 서버를 통하여 획득한 각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지국 경위도 정보는 각각: (x_1, y_1), (x_2,y_2), …, (x_i,y_i), …, (x_k, y_k)이다.
여기서, x_i는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경도값이고, y_i는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도값이고, k는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에 대응되는 기지국의 총수이다.
단계 440: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한다.
위의 예에 이어, 본 실시예에서, 하기 공식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경위도 정보 (x,y)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5125794097-pat00001
Figure 112015125794097-pat00002
본 실시예의 방법은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지국 경위도 정보를 획득하고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는 기술 수단을 통하여 복수개의 주변 기지국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동시에 사용하여 함께 기지국 위치 추적을 완성하는 것을 실현하고, 위치 추적 근거를 증가하고, 단일 기지국을 기초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위치 추적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기초하에서,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기 전에, 바람직하게,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에 대응되는 스캐닝 시각에 의거하여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누가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가중치 누가 책략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스캐닝 시각이 현재 스캐닝 시각에 가까울수록 스캐닝 시각에 대응되는 기지국 경위도 정보에 더 큰 가중치를 누가한다. 이렇게 설정하는 이유는 스캐닝 시각이 현재 스캐닝 시각과 가까울수록 이론적으로 당해 스캐닝 시각에서의 스캐닝 기지국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이 더 가까운 것이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모바일 단말 위치를 계산할 때 비교적 큰 가중치를 누가해야 한다. 이렇게 설정하는 이점은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위치 추적 정밀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일종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한다.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모바일 단말의 현재 스캐닝 시각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확정하기 위한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확정 모듈(51),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기 위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 확정 모듈(52) - 여기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스캐닝 시각과 현재 스캐닝 시각은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고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은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음-,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기 위한 기지국 위치 추적 모듈(5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이 현재 스캐닝 시각에 대응되는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획득한 후 오직 당해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에만 의거하여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의거하여 스캐닝 시각이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고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는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획득한 후,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에 동시에 의거하여 모바일 단말에 대한 기지국 위치 추적을 완성한다. 상술한 기술 수단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이 설정 시간 범위내의 설정 범위 구역에서 이동할 때 복수개의 주변 기지국과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동시에 사용하여 함께 기지국 위치 추적을 완성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고, 위치 추적 근거를 증가하고, 단일 기지국을 기초로 한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의 위치 추적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기초하에,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과거에 스캐닝해낸 기지국 및 그의 스캐닝 시각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조회하기 위한 조회 대기 기지국 조회 유닛;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에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을 획득하고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사이에 위치한 기지국을 확정 대기 기지국으로 하기 위한 제1 기지국 조회 유닛 -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상기 현재 기록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타 기지국의 기록이 포함되어 있음-;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기 위한 보조 기지국 확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기초하에, 상기 보조 기지국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하고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 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생성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기초하에, 상기 보조 기지국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하고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 후 생성된 목표 기지국의 기지국 수량을 확정하고;
만약 상기 기지국 수량이 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상기 목표 기지국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으로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기초하에,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과거에 스캐닝해낸 기지국 및 그의 스캐닝 시각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조회하고;
서버가 각 기지국이 소재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는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도록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 및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가 피드백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수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기초하에, 상기 기지국 위치 추적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지국 경위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지국 경위도 정보 획득 유닛,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위치 계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기초하에,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기 전에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에 대응되는 스캐닝 시각에 의거하여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누가하기 위한 가중치 누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상응한 기능 모듈을 구비하며 동일한 유익효과를 실현한다.
본 분야의 기술자들이, 상술한 본 발명의 각 모듈 또는 각 단계는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장치로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실현할 수 있는바 그들을 저장 장치에 저장하여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게 할 수 있되,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개물에 저장될 수 있고, 위에서 언급한 저장 매개물은 읽기 전용 기억 장치, 디스크 또는 CD일 수 있고; 또는 그들을 따로따로 각각의 집적회로모듈로 제조하거나, 또는 그들 중의 복수개의 모듈 또는 단계를 단일 직접회로모듈로 제조하여 실현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어떤 특정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서 상기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본 발명은 각종 변동과 변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취지와 원리내에서 행되는 모든 수정, 균등 대체, 개선 등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4)

  1.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의 현재 스캐닝 시각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스캐닝 시각과 현재 스캐닝 시각이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고,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이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음 -;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과거에 스캐닝해낸 기지국 및 그의 스캐닝 시각이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역순으로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에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을 획득하고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사이에 위치한 기지국을 확정 대기 기지국으로 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상기 현재 기록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타 기지국의 기록이 존재함 -;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하고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 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생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하고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 후 생성된 목표 기지국의 기지국 수량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수량이 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상기 목표 기지국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으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과거에 스캐닝해낸 기지국 및 그 스캐닝 시각이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조회하는 단계;
    서버가 각 기지국이 소재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는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도록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 및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서버로 송신하는단계;
    상기 서버가 피드백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지국 경위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기 전에,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에 대응되는 스캐닝 시각에 의거하여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누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7.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로서,
    모바일 단말의 현재 스캐닝 시각의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확정하기 위한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확정 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기 위한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 확정 모듈 - 여기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스캐닝 시각과 현재 스캐닝 시각이 설정 시간 범위내에 있고,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이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음 -;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의거하여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에 대해 기지국 위치 추적을 행하기 위한 기지국 위치 추적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과거에 스캐닝해낸 기지국 및 그 스캐닝 시각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역순으로 조회하기 위한 조회 대기 기지국 조회 유닛;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에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을 획득하고,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의 현재 기록사이에 위치한 기지국을 확정 대기 기지국으로 하기 위한 제1 기지국 조회 유닛 -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록과 상기 현재 기록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타 기지국의 기록이 존재함-;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의거하여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기 위한 보조 기지국 확정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지국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하고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 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생성시키기 위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지국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확정 대기 기지국에 대해 중복 제거 처리를 행하고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선별하여 제거한 후 생성된 목표 기지국의 기지국 수량을 확정하고;
    상기 기지국 수량이 설정 역치보다 작으면 상기 목표 기지국을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으로 하기 위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과거에 스캐닝해낸 기지국 및 그의 스캐닝 시각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 확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의 과거 기지국 스캐닝 테이블에서 스캐닝 시각이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과 설정 시간 범위에 있는 조회 대기 기지국을 조회하고;
    서버가 각 기지국이 소재한 위치에 의거하여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과 설정 공간 범위내에 있는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확정하도록 상기 조회 대기 기지국 및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을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가 피드백한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을 수신하기 위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위치 추적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현재 스캐닝되는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지국 경위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지국 경위도 정보 획득 유닛;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위치 계산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의 평균치를 현재 스캐닝 시각의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 하기 전에, 상기 현재 스캐닝 시각 및 상기 보조 위치 추적 기지국에 대응되는 스캐닝 시각에 의거하여 각 기지국 경위도 정보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누가하기 위한 가중치 누가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위치 추적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83791A 2015-04-29 2015-12-22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 KR101800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212995.2A CN104796984B (zh) 2015-04-29 2015-04-29 基站定位方法和装置
CN201510212995.2 2015-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897A KR20160128897A (ko) 2016-11-08
KR101800942B1 true KR101800942B1 (ko) 2017-11-23

Family

ID=5356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791A KR101800942B1 (ko) 2015-04-29 2015-12-22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089528B1 (ko)
JP (1) JP6296454B2 (ko)
KR (1) KR101800942B1 (ko)
CN (1) CN1047969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50446B (zh) * 2015-09-18 2020-07-28 北京奇宝科技有限公司 定位方法及地理位置监测设备
CN106376079A (zh) * 2016-10-28 2017-02-01 四川九洲电器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定位方法、移动设备和移动装置
CN106535102B (zh) * 2016-12-07 2019-06-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定位方法及移动终端
CN106686695B (zh) * 2016-12-07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07864477A (zh) * 2017-11-09 2018-03-30 广德宝达精密电路有限公司 一种精度为1米的伪基站定位设备
CN110996330B (zh) * 2019-11-29 2022-08-1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站的安装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015079B (zh) * 2019-12-04 2022-06-07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定位方法、装置以及系统
CN112867145B (zh) * 2021-01-08 2021-12-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站定位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TWI767712B (zh) 2021-05-19 2022-06-11 英屬維爾京群島商飛思捷投資股份有限公司 超寬頻輔助精確定位系統及方法
CN116600384B (zh) * 2023-07-17 2023-12-19 广州斯沃德科技有限公司 一种多基站定位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系统
CN117528775B (zh) * 2024-01-08 2024-04-16 智慧足迹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基站位置修正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34B1 (ko) 2007-04-13 2009-04-24 주식회사 셀리지온 무선 사설망과 연동한 이동통신 단말기 측위 시스템 및무선 사설망 연동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측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5822A1 (en) * 2000-08-18 2002-02-28 Hunzinger Jason F. Resolving ambiguous sector-level location and determining mobile location
JP2004350088A (ja) * 2003-05-23 2004-12-09 Nec Corp 無線局の位置推定システム
JP2006138732A (ja) * 2004-11-12 2006-06-01 Hitachi Ltd 無線位置検出方法
JP5425478B2 (ja) * 2006-03-06 2014-02-2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測量スティッチングを用いる位置測定方法
US8798639B2 (en) * 2007-01-17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historic network information for determining approximate position
CN101820677B (zh) * 2010-04-14 2013-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定位方法和移动定位中心
US8494554B2 (en) * 2011-06-03 2013-07-23 Apple Inc. Mobile device location estimation
JP6223302B2 (ja) * 2014-08-28 2017-11-01 株式会社Kddi総合研究所 携帯端末を所持したユーザの滞在判定が可能な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634B1 (ko) 2007-04-13 2009-04-24 주식회사 셀리지온 무선 사설망과 연동한 이동통신 단말기 측위 시스템 및무선 사설망 연동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측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6454B2 (ja) 2018-03-20
EP3089528A1 (en) 2016-11-02
JP2016212080A (ja) 2016-12-15
CN104796984B (zh) 2018-07-13
KR20160128897A (ko) 2016-11-08
EP3089528B1 (en) 2019-01-09
CN104796984A (zh)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942B1 (ko) 기지국 위치 추적 방법 및 장치
US10849092B2 (en) Local area network assisted positioning
CN103181224B (zh) 使用日志数据估计ap位置的方法及其装置和终端
US71389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ction of a terminal in a network
CN103081545B (zh) 利用无线lan信号辨别定位误差的方法和装置
EP2974397B1 (en) Crowdsourcing based on base station almanac quality
US917305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peripheral wireless LAN radio signal for positioning service
JP6254282B2 (ja) 位置決定のためにWi−Fiアクセスポイントを選択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2156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a database for wireless LAN based positioning
CN105074494A (zh) 用于wifi接入点和毫微微小区的集中辅助数据
JP2016517203A5 (ko)
EP2360982A2 (en)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g the loc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using single device based power measurements
CN102972072A (zh) 使用无线lan信号的位置定位方法和装置
CN100446623C (zh) 一种otdoa定位方法及设备
US9867003B2 (en) Method of tracking user&#39;s location
WO2013084032A1 (en) Positioning based on coverage area position information locally stored in a terminal
CN105142217A (zh) 一种基于推送和WiFi热点的MAC地址相结合进行定位的方法
KR20130031570A (ko) 기기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서비스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N104853431A (zh) 一种地理位置信息定位方法、装置
KR20120013495A (ko) 측위 시스템, 측위 장치 및 그 측위 방법
KR102297577B1 (ko) 기지국 신호의 세기를 이용한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JP5606353B2 (ja) 無線ルータおよび位置情報通知方法
CN102790946A (zh) 一种地理位置查询方法
KR100810005B1 (ko) Td-scdma 환경에서의 고 정밀도 실시간 측위 방법
KR20120010014A (ko) 측위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스템, pCell 데이터베이스 분석장치 및 그 분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