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581B1 -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581B1
KR101800581B1 KR1020170050790A KR20170050790A KR101800581B1 KR 101800581 B1 KR101800581 B1 KR 101800581B1 KR 1020170050790 A KR1020170050790 A KR 1020170050790A KR 20170050790 A KR20170050790 A KR 20170050790A KR 101800581 B1 KR101800581 B1 KR 101800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encoder ring
elastic
unit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정환
Original Assignee
원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정환 filed Critical 원정환
Priority to KR102017005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8/00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provided for in groups G01D1/00 - G01D15/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07Encoders, e.g. parts with a plurality of alternating magnetic po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코더링 검사 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몸체 상에 구비되는 스핀들부가 메인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단계; 상기 스핀들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콜릿부 상에 엔코더링이 안착되는 단계;프레스부가 상기 스핀들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콜릿부에 안착되는 엔코더링을 하부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핀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검사스테이지가 검사센서를 상기 콜릿부로 인접시키는 단계; 상기 검사센서가 상기 검사스테이지에 결합되는 센서본체의 하부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콜릿부에 안착되는 엔코더링의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콜릿부는, 원통형의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의 중공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엔코더링이 안착되는 안착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엔코더링을 흡착하기 위한 이상의 흡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이 안착되는 안착면 상에서 상기 엔코더링의 외주면 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방과 하방 간에 출몰 가능한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본체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검사센서는 상기 단차부에 각각 구비되어 측정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기 엔코더링의 출력 차이를 측정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엔코더링의 출력을 측정하는 검사센서가 센서 본체의 하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측정부위의 변화에 따른 엔코더링의 출력 차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출력 차이의 측정을 위한 엔코더링의 장착 과정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INSPECTION METHOD FOR ENCODER RING USING INSPECTION EQUIPMENT FOR ENCODER RING}
본 발명은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코더링의 표면에 형성되는 러버마그네트의 출력을 측정하는 검사센서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러버마그네트의 출력이 측정되도록 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축에 형성되는 휠 베어링은 엔진의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차륜의 고정과 회전시 마찰 손실을 줄여 차륜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휠 베어링은 차체에 지지 고정되는 베어링 외륜 및 상기 베어링 외륜이 내주면에 구비되어 그 외면과 상기 베어링 외륜의 내주면 사이에 베어링 볼이 장착되는 베어링 내륜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베어링 외륜 및 베어링 내륜의 결합부에는 베어링 외륜과 베어링 내륜의 사이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기 위한 엔코더링 및 외륜씰이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 외륜, 베어링내륜 및 베어링 볼의 예압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엔코더링은 상기 베어링 내륜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차축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S극 및 N극의 교번으로 이루어지는 러버마그네트는 상기 엔코더링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륜씰은 엔코더링과 대향되며 베어링 외륜의 내부면에 결합된다. 엔코더링의 표면에 형성되어 착자되는 러버마그네트의 출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엔코더링이 회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러버마그네트의 출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인접되어 러버마그네트의 출력이 측정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엔코더링 러버마그네트 출력을 검사하기 위하여, 내철의 표면에 형성되는 러버마그네트의 출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단일 개로 형성됨에 따라, 러버마그네트의 출력 측정이 단일 채널로 측정되기 때문에 진폭 및 위상에 따른 출력의 차이를 측정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고, 센서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측정 거리에 따른 출력의 차이를 측정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러버마그네트 출력의 정밀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양품의 러버마그네트 획득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57797호
본 발명은, 엔코더링의 표면에 형성되는 러버마그네트의 출력을 측정하는 검사센서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러버마그네트의 출력이 측정되도록 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엔코더링 검사 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몸체 상에 구비되는 스핀들부가 메인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단계; 상기 스핀들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콜릿부 상에 엔코더링이 안착되는 단계;프레스부가 상기 스핀들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콜릿부에 안착되는 엔코더링을 하부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핀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검사스테이지가 검사센서를 상기 콜릿부로 인접시키는 단계; 상기 검사센서가 상기 검사스테이지에 결합되는 센서본체의 하부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콜릿부에 안착되는 엔코더링의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콜릿부는, 원통형의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의 중공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엔코더링이 안착되는 안착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엔코더링을 흡착하기 위한 이상의 흡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이 안착되는 안착면 상에서 상기 엔코더링의 외주면 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방과 하방 간에 출몰 가능한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본체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검사센서는 상기 단차부에 각각 구비되어 측정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기 엔코더링의 출력 차이를 측정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의하면, 엔코더링의 출력을 측정하는 검사센서가 센서 본체의 하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측정부위의 변화에 따른 엔코더링의 출력 차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출력 차이의 측정을 위한 엔코더링의 장착 과정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따른 스핀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따른 콜릿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따른 프레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따른 프레스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사부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사부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b 및 도 11c는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모듈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1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엔코더링의 표면에 형성되는 러버마그네트의 출력을 측정하는 검사센서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러버마그네트의 출력이 측정되도록 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엔코더링 검사장치(10)는 전장박스(20)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메인전원부(11) 및 정전원 공급수단(165)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엔코더링(4)의 러버마그네트(6) 출력을 측정하게 되고, 조작패널(19)을 통해 각 과정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검사부(15)에 의한 검사 과정에서 상기 엔코더링(4)의 러버마그네트(6) 출력이 불량으로 판정되는 경우, 이를 회수하여 불량품의 제품화를 최소화하고 자원의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검사부(15)에 의한 검사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이상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이상신호발생부(18)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장진단 및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상신호발생부(18)는 램프 형태로 표시하는 색상에 따라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 이는, 검사 대기상태에서는 노란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정상적인 검사 과정에서는 초록색으로 표시되도록 하며, 이상 동작이 발생되었거나 엔코더링(4)의 러버마그네트(6) 출력이 불량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표시되도록 함과 동시에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여 작업자에 의한 고장진단 및 조치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따른 스핀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따른 콜릿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10)는, 메인전원부(11), 스핀들부(12), 콜릿부(13), 프레스부(14) 및 검사부(15)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핀들부(12) 및 프레스부(14)는 상기 메인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상기 검사부(15)는 정전원공급수단(165)으로부터 안정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스핀들부(12)는 상기 메인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결합되는 콜릿부(13)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프레스부(14)는 상기 메인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콜릿부(13)에 안착되는 엔코더링(4)을 프레스하여 정렬되도록 하며, 상기 검사부(15)는 상기 정전원공급수단(165)으로부터 안정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콜릿부(13)에 안착되는 엔코더링(4)의 출력을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코더링 검사장치(10)에는 상기 스핀들부(12), 프레스부(14) 및 검사부(15)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수동버튼부(17)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수동버튼부(17)는 상기 스핀들부(12)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스핀들부(12) 양측 각각의 수동버튼부(17)로 동시신호를 보냈을 경우에만 상기 스핀들부(12), 프레스부(14) 및 검사부(15)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엔코더링(4)을 수동으로 검사하고자 할 경우, 양 손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수동버튼부(17)를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한 손으로 장비를 조작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2에 따르면 상기 스핀들부(12)는, 상기 콜릿부(13)가 결합되고, 상기 메인전원부(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핀들부(12)가 단일로 구비되어 콜릿부(13)가 탈부착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상기 스핀들부(12)가 복수개로 구비된 상태에서, 복수의 콜릿부(13)가 탈부착되어 한번에 여러 엔코더링(4)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첨부된 도 3에 따르면 상기 콜릿부(13)는, 상기 스핀들부(1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엔코더링(4)이 안착된다. 상기 콜릿부(13)와 스핀들부(12)는 볼트너트(미도시) 또는 스크류(미도시)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핀들부(12)에는 상기 콜릿부(13)만이 탈부착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 스핀들부(12)에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을 측정하기 위한 콜릿부(13) 외에, 베어링(미도시) 및 톤휠 (미도시)의 출력을 측정하기 위한 베어링콜릿부(미도시) 및 톤휠콜릿부(미도시)가 결합되는 범위까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따른 프레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따른 프레스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상기 프레스부(14)는, 상기 스핀들부(1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콜릿부(13)에 안착되는 엔코더링(4)을 하부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정렬시키게 된다. 상기 프레스부(14)에 의해 이루어지는 정렬은, 상기 콜릿부(13)와 상기 엔코더링(4)이 동심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써, 상기 검사부(15)에 의한 엔코더링(4)의 출력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사부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사부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검사부(15)는, 상기 스핀들부(12)의 일측에 구비되어 검사센서(153)를 상기 콜릿부(13)로 인접시키는 검사스테이지(151), 상기 검사스테이지(151)에 결합되는 센서본체(152) 및 상기 센서본체(152)의 하부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콜릿부(13)에 안착되는 엔코더링(4)의 출력을 측정하는 검사센서(15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센서본체(152)는 상기 검사스테이지(151)에 의해 상기 콜릿부(13)로 인접되며, 상기 검사센서(153)는 상기 정전원공급수단(165)으로부터 정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스핀들부(12)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엔코더링(4)을 검사하게 된다. 첨부된 도 6에 따르면, 상기 검사센서(153)는 상기 센서본체(152)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을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검사센서(153)가 상기 검사스테이지(151) 및 센서본체(152)에 의해 콜릿부(13)로 인접되게 된다. 이후 상기 센서본체(152)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검사센서(153)에 의해 상기 콜릿부(13)에 안착된 엔코더링(4)의 출력이 복수 채널(a, b, c)로 측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은 상기 엔코더링(4)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위치에서 검사되느냐에 따라 진폭 및 위상의 차이가 발생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본체(152)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검사센서(153)를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이 복수 채널(a, b, c)로 측정되도록 함에 따라, 측정부위의 변화에 따른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 차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8에 따르면, 상기 센서본체(15)는 하부에 복수 개의 단차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검사센서(153)는 상기 단차부(154)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을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검사센서(153)가 상기 검사스테이지(151) 및 센서본체(152)에 의해 콜릿부(13)로 인접되게 된다. 이후 상기 센서본체(152)의 하부 단차부(154)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검사센서(153)에 의해 상기 콜릿부(13)에 안착된 엔코더링(4)의 출력이 복수 채널(d, e, f)로 측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은 상기 엔코더링(4)으로부터 어느 거리에서 검사되느냐에 따라 진폭의 차이가 발생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본체(152)의 하부 단차부(154)에 각각 형성되는 검사센서(153)를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이 복수 채널(d, e, f)로 측정되도록 함에 따라, 측정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의 차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엔코더링 검사장치(10)는 신호변환모듈(161), AD변환모듈(162), 처리모듈(163), 디스플레이모듈(164) 및 정전원공급수단(165)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1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신호변환모듈(161)은, 상기 복수 개의 검사센서(153)로 전원을 분배하고, 상기 검사센서(1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AD변환모듈(162)은 상기 신호변환모듈(161)을 통해 수신된 검사센서(153)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AD변환모듈(162)은 상기 신호변환모듈(161)로부터 입력된 복수 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게 되고, 고속 샘플링 및 복수 개의 아날로그 채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수집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처리모듈(163)은 상기 AD변환모듈(162)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수집 및 저장하고,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 및 비교하여 생성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4)은 상기 처리모듈(163)로부터 출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4)은 터치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4)을 통해 상기 조작패널(19)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모듈(164)의 터치 조작을 통해 상기 스핀들부(12)의 회전 동작, 프레스부(14)의 프레스 동작 및 검사부(15)의 검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정전원공급수단(165)은 상기 검사센서(153)로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을 측정하는 작업은 상기 엔코더링(4)을 이동시키거나 프레스시키는 작업과 달리, 미세한 전류가 사용되고 일정한 전원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전원공급수단(165)로부터 상기 검사센서(153)로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태에서 일정 값의 전류가 주기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엔코더링(4)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이상신호발생부(18)와 연계되어 상기 엔코더링 검사장치(10)의 이상동작을 감시하는 광센서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광센서부는 복수 개로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전장박스(20)에 배치되어 상기 엔코더링 검사장치(10)의 이상 동작을 감시하게 된다.
도 11a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특징이 있느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몸체(21), 상기 몸체(21) 저면에 구비되는 완충모듈(181), 상기 완충모듈(181)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211)을 더 포함한다.
콜릿부(13)는, 원통형의 제1 바디부(131)와, 상기 제1 바디부(131)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4)이 거치되는 거치부(132)와, 상기 거치부(132)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4)의 중공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부(133)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132)는, 상기 엔코더링(4)가 안착되는 안착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엔코더링(4)를 흡착하기 위한 이상의 흡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4)가 안착되는 안착면 상에서 상기 엔코더링(4)의 외주면 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방과 하방 간에 출몰 가능한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본체(152)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단차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검사센서(153)는 상기 단차부(154)에 각각 구비되어 측정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기 엔코더링(4)의 출력 차이를 측정한다. 상기 제2 바디부(133)는, 제2-1 바디부(1331)와, 상기 제2-1 바디부(1331)의 하부 구비되어 상기 엔코더링(4)의 내주면과 마주접하는 제2-2 바디부(13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2 바디부(1332)는 수평방향 상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1 바디부(1331)은 내측부재(1332a)와, 탄성수단(SP)을 매개로 상기 내측부재(1332a)로 부터 수평방향 상으로 각각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복수의 편으로 구비되는 외벽부재(1332b)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모듈(211)은 상기 완충모듈(181)의 상태(예: 초기 대비 높이, 두께, 형상 기울기 등의 변화 등)을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는 이러한 상기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엔코더링 검사장치 전반의 동작을 잠정 오프(off) 시키거나 완전하게 오프 시킨다.
도 12는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완충모듈(181)은 지면과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몸체(21)와 접하는 완충유닛(18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유닛(1811)은 상기 몸체(21)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1811c, 1811d)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어지며,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완충공간(H1)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완충공간(H1)은 상기 내부 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부(T1)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부(T2)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체(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부(T2)와 하면돌기부(T1)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체(1811h) 및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부(T2)와 상기 하면돌기부(T1)가 상기 완충공간(H1)을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돌기부(T2)와 상기 하면돌기부(T1)는 상호 형합적인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몸체(21)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b1)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 및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21)에 대한 완충을 위한 완충구(1811i)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구(1811i)는 탄성수단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도 14는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은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접촉되는 최상단상판(1811f1)과, 상기 최상단 상판과 탄성체(E2)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상단하판(1811f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상단하판(1811f2)의 저면에는 하면돌기부(T1)가 형성된다. 상기 중단 보강체(1811h)은 상기 완충공간(H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최상단 하판(1811f)과 대향하는 중단상판(1811h1)과, 상기 중단상판(1811h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중단하판(1811h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단상판(1811h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부(T2)가 형성된다.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기 완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단하판(1811h2)과 대향하는 최하단상판(1811g1)과, 상기 최하단상판(1811g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하단하판(1811g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하단상판(1811g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부(T2)가 형성된다.
도 15는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181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UT)가 형성된다.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방돌출부(DT)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방돌출부(U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고정판(1811a1)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상방돌출부(UT) 및 상기 제1고정판(1811a1)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5)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상기 하방돌출부(D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고정판(1811b2)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하방돌출부(DT)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6)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한편 상기 완충유닛(1811)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즉, 상기 상부고정판(1811a),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상기 탄성하우징(1811c)은 직육면체 또는 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1811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보다 원활한고 안정적인 완충이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완충구(1811i) 역시 상기 탄성하우징(1811c)와 함께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보다 용이한 완충이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 보강체(1811h) 역시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충진체(1811e) 상에서 상기 완충공간(H1)을 경유한채 상호 상방과 하방 간에 완충되어 접촉한다. 이때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 보강체(1811h)은 상기 상면돌기부(T2)와 상기 하면돌기부(T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여 추가적으로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완충유닛(1811)은 충격이 가해지기 전과 충격이 가해진 후를 비교 했을 때, 충격이 가해진 후의 형상은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하게 가압된 형상을 뛰게 되는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완충모듈(181)은, 지면과 접하는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상방에서 상기 몸체(21)과 접하는 완충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1811)은, 상기 몸체(21)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1811c, 1811d)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며, 상기 탄성 충진재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완충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완충공간(H1)은 상기 내부 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부(T1)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부(T2)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체(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돌기부(T3)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판(1811a) 상에는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몸체(21) 상호간에 발생되는 제1 가압힘을 측정하기 위한 제1 가압힘 측정센서(S1)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상에는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하부유닛 상호간에 발생되는 제2 가압힘을 측정하기 위한 제2 가압힘 측정센서(S2)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완충공간(H1)들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탄성충진재(1811e) 상에는 제2 완충공간(H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는 소정 형상의 지지유닛(191)이 구비된다. 상기 각 중단 보강체(1811h)은 상기 제2 완충공간(H3) 상에 위치된 채, 상기 지지유닛(191) 상에 결속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191) 상에는 구동수단(190)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각 중단 보강체(1811h)은 상기 구동수단(190)에 연동되어 동작된다. 상기 각 중단 보강체(1811h)은, 상기 구동수단(190)을 통하여 상기 제2 완충공간(H3) 상에서 길이방향 상의 일측과 타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완충유닛(181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제1 가압힘과 상기 제2 가압힘에 기반하여, 상기 중단 보강체(1811h)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 가압힘과 상기 제2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각 중단 보강체(1811h)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기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중단 보강체(1811h)을 저속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수단(190)은 상기 지지유닛(191) 상에서 일정 범위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수단(190)을 통해 상기 중단 보강체(1811h)의 높이를 조정하되, 상기 제1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190)들 중 상방 일부의 구동수단(190)을 상방으로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190)들 중 하방 일부의 구동수단(190)을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수단(190)은 상기 지지유닛(191) 상에 장착되어 토오크를 발생시키되 상기 지지유닛(191) 상에서 승하강 가능한 구동부(191)와, 상기 구동부(191) 상기 중단 보강체(1811h) 상호간을 연동시키는 실린더(193)와 피스톤(19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단 보강체(1811h)은 상기 구동부(191)의 유동 또는 상기 실린더(193)와 상기 피스톤(194)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하 좌우 등으로 유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중단 보강체(1811h)는, 높이방향 상에서 홀수열에 구비되는 홀수열 중단 보강체(1811h)와, 짝수열에 구비되는 짝수열 중단 보강체(1811h)를 포함하며, 높이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홀수열 중단 보강체(1811h)는 상기 중심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짝수열 중단 보강체(1811h)는 상기 중심축의 전후에 각각 구비된다.
도 19는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고정판(1811a) 및 상기 하부 고정판(1811b) 사이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 고정판(1811b) 상호간에 탄성력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모듈(200)과, 상기 상부 고정판(1811a) 및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의 각 단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모듈(3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모듈(300)은 상기 탄성모듈(200)에 기반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1811a) 및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을 상호간에 가압되도록 클램핑시킨다. 상기 탄성모듈(200)은, 상기 상부 고정판(1811a)과 마주 접하는 제1지지구(201)와, 상기 하부 고정판(1811b)과 마주 접하는 제2지지구(202)와, 상기 제1지지구(201)와 상기 제2지지구(202) 상호간에 결속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구(201)와 마주 접하는 상기 상부 고정판(1811a)의 제1영역 상에는 제1탄성력 감지센서(S3)가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구(202)와 마주 접하는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의 제2영역 상에는 제2탄성력 감지센서(S4)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탄성력 감지센서(S3) 및 상기 제2탄성력 감지센서(S4)에 기반하여 상기 클램핑모듈(300)의 클램핑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클램핑모듈(300)은, 소정의 중앙본체(301)와, 상기 중앙본체(301) 일방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유동체(302)와, 상기 중앙본체(301) 타방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유동체(30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구(201)는 상기 제1유동체(302) 상에 결속되어 독립적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구(202)는 상기 제2유동체(303) 상에 결속되어 독립적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유동체(302) 상에는 상기 상부 고정판(1811a)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구(201)와 대향하는 제3지지구(304)가 구비된다. 상기 제2유동체(303) 상에는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지지구(202)와 대향하는 제4지지구(305)가 구비된다. 상기 제3지지구(304)는 상기 제1유동체(302)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하여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지지구(305)는 상기 제2유동체(303)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하여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는 상기 클램핑모듈(300) 및 상기 탄성모듈의 일련의 동작을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클램핑모듈(300)과 상기 탄성모듈 상호 간에 유기적인 동작 방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은 도 11a에 따른 구성들 중 완충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부 고정판(1811a)과 하부 고정판(1811b) 사이에 제1 완충부재(40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401)는 상기 탄성하우징(1811c)과 이웃하여 형합되도록 구비되는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쇄되는 경질 유리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완충부재(401)는 복수의 열로 구비되며 복수의 열로 구비된 상기 제1 완충부재(401)들 사이에는 경질 유리 재질인 제2 완충부재(40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완충부재(402)는 상기 제1 완충부재(401)는 상이한 강도를 가진다. 상기 제1 완충부재(401) 및 상기 제2 완충부재(402)는 각각 경질 유리 재질인 제3 완충부재(401)1, 4021)가 내장되며, 상기 제3 완충부재(401)는 상기 제1 완충부재(401) 및 상기 제2 완충부재(402)와 상이한 강도를 가진다. 상기 탄성모듈(200)과 상기 탄성하우징(1811c) 사이에는 소정의 구획판(308)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판(308)과 상기 탄성하우징(1811c) 사이에는 제4 완충부재(403) 및 제5 완충부재(404)가 구비된다. 상기 제4 완충부재(403)는 상기 탄성하우징(1811c)과 형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 완충부재(404)는 상기 구획판(308)과 상기 제4 완충부재(403) 사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엔코더링 검사장치
11 : 메인전원부
12 : 스핀들부
13 : 콜릿부
14 : 프레스부
15 : 검사부
151 : 검사스테이지
152 : 센서본체
153 : 검사센서
154 : 단차부
16 : 제어부
161 : 신호변환모듈
162 : AD변환모듈
163 : 처리모듈
164 : 디스플레이모듈
165 : 정전원공급수단
17 : 수동버튼부
18 : 이상신호발생부
19 : 조작패널
20 : 전장박스

Claims (15)

  1. 엔코더링 검사 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몸체 상에 구비되는 스핀들부가 메인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단계; 상기 스핀들부의 상부에 탈부착되는 콜릿부 상에 엔코더링이 안착되는 단계; 프레스부가 상기 스핀들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콜릿부에 안착되는 엔코더링을 하부 방향으로 프레스하여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핀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검사스테이지가 검사센서를 상기 콜릿부로 인접시키는 단계; 상기 검사센서가 상기 검사스테이지에 결합되는 센서본체의 하부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콜릿부에 안착되는 엔코더링의 출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콜릿부는,
    원통형의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의 중공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엔코더링이 안착되는 안착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엔코더링을 흡착하기 위한 이상의 흡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엔코더링이 안착되는 안착면 상에서 상기 엔코더링의 외주면 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방과 하방 간에 출몰 가능한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본체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검사센서는 상기 단차부에 각각 구비되어 측정거리의 변화에 따른 상기 엔코더링의 출력 차이를 측정하되,
    제2-1 바디부는 내측부재와, 탄성수단을 매개로 상기 내측부재로부터 수평방향 상으로 각각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복수의 편으로 구비되는 외벽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바닥부로부터의 완충을 위한 완충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상방에서 상기 몸체와 접하는 완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몸체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는 상기 탄성하우징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며, 상기 탄성 충진재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완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각 완충공간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완충공간은 상기 내부 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체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부와 하면돌기부가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 상에는 상기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유닛 상호간에 발생되는 제1 가압힘을 측정하기 위한 제1 가압힘 측정센서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고정판 상에는 상기 하부고정판과 상기 하부유닛 상호간에 발생되는 제2 가압힘을 측정하기 위한 제2 가압힘 측정센서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부는,
    제2-1 바디부와,
    상기 제2-1 바디부의 하부 구비되어 상기 엔코더링의 내주면과 마주접하는 제2-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2 바디부는 수평방향 상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공간들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탄성충진재 상에는 제2 완충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 사이에는 소정 형상의 지지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각 중단 보강체는 상기 제2 완충공간 상에 위치된 채, 상기 지지유닛 상에 결속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유닛 상에는 구동수단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각 중단 보강체는 상기 구동수단에 연동되어 동작되며,
    상기 각 중단 보강체는, 상기 구동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2 완충공간 상에서 길이방향 상의 일측과 타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제1 가압힘과 상기 제2 가압힘에 기반하여, 상기 중단 보강체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제1 가압힘과 상기 제2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각 중단 보강체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기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중단 보강체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지지유닛 상에서 일정 범위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중단 보강체의 높이를 조정하되, 상기 제1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들 중 상방 일부의 구동수단을 상방으로 유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가압힘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수단들 중 하방 일부의 구동수단을 하방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 보강판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부와 상기 하면돌기부가 상기 완충공간를 경유하여 상기 중단 보강체에 접촉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의 상기 상면돌기부와 상기 하면돌기부는, 상기 중단 보강체의 돌기부와 상호 대응하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은, 상기 몸체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을 포함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판은,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판은 상기 제1고정판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은 상기 제3고정판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방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고정판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상방돌출부 및 상기 제1고정판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되며, 상기 하방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고정판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하방돌출부 및 상기 제4고정판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되며,
    상기 중단 보강체는,
    높이방향 상에서 홀수열에 구비되는 홀수열 중단 보강체와, 짝수열에 구비되는 짝수열 중단 보강체를 포함하며, 높이방향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홀수열 중단 보강체는 상기 중심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짝수열 중단 보강체는 상기 중심축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 및 상기 하부 고정판 사이에서 상기 상부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 상호간에 탄성력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모듈과, 상기 상부 고정판 및 상기 하부 고정판의 각 단부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모듈을 포함하는 가압력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력 조절수단은 상기 상부 고정판 및 상기 하부 고정판의 양측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클램핑모듈은 상기 탄성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상부 고정판 및 상기 하부 고정판을 상호간에 가압되도록 클램핑시키며,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상부 고정판과 마주 접하는 제1지지구와, 상기 하부 고정판과 마주 접하는 제2지지구와, 상기 제1지지구와 상기 제2지지구 상호간에 결속된느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구와 마주 접하는 상기 상부 고정판의 제1영역 상에는 제1탄성력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구와 마주 접하는 상기 하부 고정판의 제2영역 상에는 제2탄성력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탄성력 감지센서 및 상기 제2탄성력 감지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클램핑모듈의 클램핑 동작을 제어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모듈은,
    소정의 중앙본체와, 상기 중앙본체 일방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중앙본체 타방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구는 상기 제1유동체 상에 결속되어 독립적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지지구는 상기 제2유동체 상에 결속되어 독립적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유동체 상에는 상기 상부 고정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구와 대향하는 제3지지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유동체 상에는 상기 하부 고정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지지구와 대향하는 제4지지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3지지구는 상기 제1유동체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하여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지지구는 상기 제2유동체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하여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과 상기 하부 고정판 사이에 제1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탄성하우징과 이웃하여 형합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쇄되는 경질 유리 재질인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는 복수의 열로 구비되며 복수의 열로 구비된 상기 제1 완충부재들 사이에는 경질 유리 재질인 제2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이한 강도를 가지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 및 상기 제2 완충부재는 각각 경질 유리 재질인 제3 완충부재가 내장되며,
    상기 제3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완충부재 및 상기 제2 완충부재와 상이한 강도를 가지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과 상기 탄성하우징 사이에는 소정의 구획판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판과 상기 탄성하우징 사이에는 제4 완충부재 및 제5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4 완충부재는 상기 탄성하우징과 형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 완충부재는 상기 구획판과 상기 제4 완충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KR1020170050790A 2017-04-20 2017-04-20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KR101800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790A KR101800581B1 (ko) 2017-04-20 2017-04-20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790A KR101800581B1 (ko) 2017-04-20 2017-04-20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581B1 true KR101800581B1 (ko) 2017-12-20

Family

ID=6093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790A KR101800581B1 (ko) 2017-04-20 2017-04-20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5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0272A (ja) * 2013-07-22 2015-02-02 ナル ベタイリグン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Narr Beteiligungs GmbH 締付け装置
KR101666892B1 (ko) * 2015-06-15 2016-10-24 선진기술 주식회사 엔코더링 출력 복수 채널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0272A (ja) * 2013-07-22 2015-02-02 ナル ベタイリグング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Narr Beteiligungs GmbH 締付け装置
KR101666892B1 (ko) * 2015-06-15 2016-10-24 선진기술 주식회사 엔코더링 출력 복수 채널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4676B2 (en) Tire changer and method of measuring force variations
JP5633062B2 (ja) タイヤ試験機用の一対のリム
EP2543980B1 (en) Wheel balancer with means for determining tyre uniformity
CN104914042A (zh) 高温高压水或蒸汽环境微动磨损试验机
US9415644B2 (en) Tyre mounting and demounting apparatus with load belt apparatus
KR101447573B1 (ko) 테이퍼 롤러 베어링 토크 측정기
US8739624B2 (en) Wheel balancer with means for determining tyre uniformity
CN105627859A (zh) 可翻转的平台检测装置、球面轴承装配检测方法及其装置
KR101800581B1 (ko) 엔코더링 검사장치를 이용한 엔코더링 검사방법
KR101800580B1 (ko) 엔코더링 검사장치
US6766569B2 (en) Adjusting method and adjusting jig of button attaching apparatus
CN104057792A (zh) 具有加载带设备的轮胎安装和拆卸设备
KR20170060623A (ko)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KR101666892B1 (ko) 엔코더링 출력 복수 채널 검사장치
CN105714706A (zh) 一种带led指示灯的道路交通指示牌紧固装置
JP5265263B2 (ja) 測定装置
CN106660292A (zh) 包括具有压轮的两个压轮杆的用于旋转压力机的压轮台
JP2009034716A (ja) 素材流入量測定装置
CN113260845B (en) Device for checking a pantograph of a railway
KR101639791B1 (ko) 엔코더링 또는 베어링의 수동 출력검사장치
KR20150056178A (ko) 전동 실린더를 이용한 높이 조절형 압축 하중 측정 서포트
CN117649956A (zh) 一种控制棒导向筒开口销销孔检查装备
JPH07139997A (ja) 据置型振動計
ITRE970104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la rilevazione di anomalie negli organi delle sospensioni e dello sterzo di un veicolo
KR20010028843A (ko) 펀넬결합체의 검사장치용 기준설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