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276B1 - 컵 캐리어 - Google Patents

컵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276B1
KR101800276B1 KR1020170027835A KR20170027835A KR101800276B1 KR 101800276 B1 KR101800276 B1 KR 101800276B1 KR 1020170027835 A KR1020170027835 A KR 1020170027835A KR 20170027835 A KR20170027835 A KR 20170027835A KR 101800276 B1 KR101800276 B1 KR 10180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upport
handle
fold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훈
민면식
Original Assignee
홍성훈
민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훈, 민면식 filed Critical 홍성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5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comprising a plurality of articles held together only partially by packaging elements formed otherwise than by folding a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와 같은 음료를 운반하기 위한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를 형성한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90°의 각으로 접었다 펴지는 접이식접철부; 상기 지지체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접이식접철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컵이 끼워지는 링 형상의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컵 캐리어{A cup carrier}
본 발명은 컵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출로 용이하게 제작하여 제작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훼손 걱정 없이 간편히 사용하여 소비자에게 음료를 신속하게 포장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의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홍보효과를 낼 수 있고, 음료컵의 크기에 관계 없이 복수 개의 음료를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세척을 통한 재사용과 더불어 폐기처분시 재활용을 통해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컵 캐리어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페에서 직접 추출한 커피나 차 등의 음료를 일회용 컵에 담아 테이크 아웃(take-out)할 경우, 뜨겁거나 찬 음료가 든 일회용 컵에 음료의 온도가 손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홀더를 끼운다.
이러한 테이크 아웃 방식의 커피판매점에서는 고객의 주문에 따라서 한 컵 이상의 커피를 고객에게 판매하고 있는데, 한 사람이 둘 이상의 음료를 운반하기 어렵기 때문에 컵 캐리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일회용 컵 캐리어(Disposable Cup Carrier)는 판지를 풀이나 접착제 등으로 붙인 상자형이나 쟁반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계란판 등을 만드는 방법으로, 펄프를 틀형에 부어 굳힌 쟁반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제작에 필요한 원재료의 원가 비중이 높고, 제작공정이 복잡하여 공정에 따른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완성품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그 자체의 포장비, 운반비 및 보관비 등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컵 캐리어는 컵을 넣고 빼기 쉽도록 컵이 끼워지는 부분이 컵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컵이 흔들릴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기도 하였으며, 일회용 컵은 용량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제작되며 테이크 아웃하는 다수의 음료 용량이 항상 같지는 않기 때문에, 컵 캐리어는 모든 용량의 컵이 모두 홀딩(holding)될 수 있도록 대용량의 컵에 맞춰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컵이 컵 캐리어 안에서 흔들리는 경우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곤 하였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4967호와 같은 일회용 컵 캐리어가 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4967호
그러나, 전술한 일회용 컵 캐리어는 접철된 상태로 관리되는바,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개하고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였는데, 그 과정이 복잡하여 소비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매장 직언의 숙련도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일회용 컵 캐리어가 종이로 제작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접철된 일회용 컵 캐리어를 전개 및 조립하는 과정에서 찢어져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였을뿐만 아니라, 음료를 흘릴 경우 캐리어가 젖게 됨은 물론, 색상이 변하게 되어 포장용기로 사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으며, 재사용이 불가하여 1회 사용 후, 폐기처분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혀 있는 홀더를 펴는 동작만으로 제품의 훼손 걱정 없이 간편히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음료를 신속하게 포장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어서 포갤 수 있음과 동시에 손가락홀을 이용하여 걸어서 보관할 수 있어 많은 양을 원하는 곳에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고, 링 형상의 홀더 내부를 꽉 채우도록 형성된 손잡이의 광고를 통해 접어서 보관하는 상태에서도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는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가 90°의 한정된 각으로만 펼쳐지게 하는 접이식접철부를 통해 손쉬운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받침돌부와 받침홈부의 결합을 통해 접이식접철부 및 홀더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조립할 수 있으며, 손가락홀에 손가락을 끼워 넣는 것으로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료의 운반을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고, 홀더가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음료컵의 크기에 관계 없이 사용이 가능한 컵 캐리어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음료의 제공 및 운반과정에서 음료가 묻는다 하더라도 물에 씻겨내는 것만으로 용이한 세척이 가능하여 깨끗한 상태로 재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폐기처분 시에는 재활용품으로 분류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컵 캐리어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사출로 용이한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힌지공에 힌지결합되는 접이식접철부가 결합부의 하단에 구성된 받침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여 음료의 무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체의 전, 후방에 선택적으로 추가 결합되는 접이식접철부를 통해 2 ~ 4개 음료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컵 캐리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손잡이를 형성한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하부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90°의 각으로 접었다 펴지는 접이식접철부; 상기 지지체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접이식접철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컵이 끼워지는 링 형상의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르르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컵 캐리어를 이용하면, 접혀 있는 홀더를 펴는 동작만으로 제품의 훼손 걱정 없이 간편히 사용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음료를 신속하게 포장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어서 포갤 수 있음과 동시에 손가락홀을 이용하여 걸어서 보관할 수 있어 많은 양을 원하는 곳에 용이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고, 링 형상의 홀더 내부를 꽉 채우도록 형성된 손잡이의 광고를 통해 접어서 보관하는 상태에서도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가 90°의 한정된 각으로만 펼쳐지게 하는 접이식접철부를 통해 손쉬운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받침돌부와 받침홈부의 결합을 통해 접이식접철부 및 홀더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히 조립할 수 있으며, 손가락홀에 손가락을 끼워 넣는 것으로 안정적인 지지를 할 수 있으므로 음료의 운반을 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고, 홀더가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음료컵의 크기에 관계 없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음료의 제공 및 운반과정에서 음료가 묻는다 하더라도 물에 씻겨내는 것만으로 용이한 세척이 가능하여 깨끗한 상태로 재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폐기처분 시에는 재활용품으로 분류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사출 제작을 통해 용이하게 만들 수 있어 제작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힌지공에 힌지결합되는 접이식접철부가 결합부의 하단에 구성된 받침대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음료의 무게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며, 지지체의 전, 후방에 선택적으로 추가 결합되는 접이식접철부를 통해 2 ~ 4개 음료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컵 캐리어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컵 캐리어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티커로 제작된 광고가 손잡이의 부착홈에 부착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링 형상의 홀더에 크기가 다른 컵이 끼워지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돌기가 구성된 접이식접철부가 힌지공이 형성된 결합부에 힌지결합되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힌지공을 형성하여 지지체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결합부와, 접이식접철부에 구성되는 힌지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돌기가 구성된 접이식접철부가 힌지공이 형성된 결합부에 힌지결합되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체에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접이식접철부가 추가로 힌지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전문점과 같은 곳에서 복수의 음료를 테이크 아웃할 때에 이를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해 사용하는 컵 캐리어(50)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11)를 형성한 지지체(10); 상기 지지체(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90°의 각으로 접었다 펴지는 접이식접철부(20); 상기 지지체(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접이식접철부(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컵이 끼워지는 링 형상의 홀더(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지지체(10)와, 접이식접철부(20)와, 홀더(30)로 이루어진 컵 캐리어(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지지체(10)는 사용자가 음료를 운반하기 위한 지지부로서, 상측에 손잡이(11)를 형성하도록 사출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1)는 접이식접철부(20)에 의해 접혀지는 링 형상의 홀더(30)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컴팩트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잡이(11)의 상측에는 사용자가 음료를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홀(12)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11)에는 손가락홀(12)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곳 즉, 손가락홀(12)의 하측에는 광고(40)가 새겨지도록 함으로써 각종 문구나 도형으로 홍보를 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홍보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상기 손잡이(11)를 원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접혀진 링 형상의 홀더(30) 내부를 손잡이(11)로 하여금 꽉 채우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을 컴팩트하게 제작한다 하더라도 광고문구나 도형을 크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광고(40)는 지지체(10)의 사출제작시 손잡이(11)에 새겨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광고(40)의 다중화 및 제작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광고(40)가 스티커로 제작되어 부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고(40)가 삐뚤어지지 않을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11)에는 광고(40)가 부착되는 부착홈(1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둘째, 접이식접철부(20)는 음료컵이 수납되는 홀더(30)를 접었다 펴는 작동을 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체(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힌지(21)결합되어 90°의 각으로 접혔다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접철부(20)는 지지체(10)의 사출시 동시에 제작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접이식접철부(20)는 지지체(10)의 하부에 힌지(21)결합됨으로써 접혀졌을 시에는 상기 지지체(1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포개지고, 펼쳐졌을 시에는 상기 지지체(10)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컵을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위해, 펼쳐지는 접이식접철부(20)의 일면과 마주하는 지지체(10)의 일면은 서로 밀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이식접철부(20)의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상기 지지체(10)의 양측 하부에는 접이식접철부(20)를 지지하는 받침돌부(14)가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접이식접철부(20)에는 지지체(10)와 접이식접철부(20)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펼쳐진 상태의 홀더(30)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도록 받침돌부(1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받침돌부(14)에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홈부(2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에 따르면, 상기 받침돌부(14)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되는 부수적인 장점도 가지게 된다.
셋째, 홀더(30)는 상기 접이식접철부(20)와 동시 사출되는 구성으로, 이와 같은 사출제작을 통해 상기 지지체(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접이식접철부(20)와 일체로 제작되며, 크기에 관계없이 다양한 컵이 끼워질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에서는 상기 지지체(10)와 접이식접철부(20) 및 홀더(30)가 한 번의 사출로 제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10)가 개별 사출제작되고, 상기 지지체(10)와는 별도로 접이식접철부(20)와 홀더(30)가 일체로 사출제작되어 힌지결합을 통해 유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체(10)의 하부 양측에 접이식접철부(20)를 힌지결합하기 위한 힌지공(16)이 형성된 결합부(17)를 전후방향으로 이격시켜 한 쌍으로 구성하고, 상기 접이식접철부(20)에는 결합부(17)의 힌지공(16)에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26)를 더 포함시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접이식접철부(20)는 지지체(10)의 결합부(17)에 구성된 힌지공(16)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되, 전, 후로 이격되어 서로 분리 형성된 후,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홀더(30)의 탄성력에 의해 접이식접철부(20)의 이격거리의 조절이 이루어지게 하는 바람직하며, 상기 접이식접철부(20)에 형성되어 힌지공(16)에 힌지결합되는 결합돌기(26)는 단면이
Figure 112017021797985-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힌지공(16)과의 힌지결합을 쉽게 이룰 수 있음은 물론, 탈착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접이식접철부(20)에 구성된 결합돌기(26)를 지지체(10)의 힌지공(16)에 끼워넣는 것으로 힌지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되므로, 개별로 사출제작된 본 발명의 용이한 조립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작되어 조립되었을 때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홀더(30)의 각이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음료의 무게로 인한 파손이 생기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운반되는 음료가 바닥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성은, 상기 결합부(17)의 하단에 힌지결합된 접이식접철부(20)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19)를 더 포함하여 구성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접이식접철부(20)를 통해 지지체(10)의 양측에 결합되는 홀더(30)를 상기 지지체(10)의 전, 후 방향에도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지지체(10)의 하부 전, 후방에 힌지공(16) 및 받침대(19)가 형성된 결합부(17)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체(10)의 하부, 전, 후방에 추가로 구성되는 결합부(17)에는 지지체(10)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결합부(17)를 서로 연결하는 통상의 연결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홀더(30)의 간섭 방지 및 용이한 접철을 위하여 상기 결합부(17)가 지지체(10)의 하부 전, 후 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종업원은 2개의 홀더(30)가 설치된 본 발명을 접어서 보관하다가, 음료의 주문 개수에 따라 상기 지지체(10)의 힌지공(16)에 홀더(30)가 일체로 구성된 접이식접철부(20)를 선택적으로 힌지결합하여 주문한 개수의 음료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컵 캐리어(50)를 이용하여 2 ~ 4개의 음료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성수지 재질로 본 발명의 컵 캐리어(50)를 사출제작 한 다음, 접은 상태로 포개어 좁은 곳에 많은 양을 보관하거나, 손가락홀(12)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걸어서 보관한다.
그러면, 주변의 사람이 본 발명의 홀더(30)를 통해 보여지는 손잡이(11)의 광고(40)를 쉽게 볼 수 있게 되어 원하고자하는 홍보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음료가 준비되면, 종업원은 보관된 본 발명의 컵 캐리어(50)를 꺼낸 다음, 홀더(30)를 접이식접철부(20)의 힌지(21)를 중심으로 90° 회전시켜 펼치는 동작만으로, 지지체(10)의 받침돌부(14)와 접이식접철부(20)의 받침홈부(24)의 견고한 결합을 이루어 음료 컵을 상기 홀더(30)에 담을 준비를 마치고, 이후, 상기 홀더(30)에 음료가 담긴 컵을 끼워넣는 것으로 간단하게 세팅을 완료한다.
따라서, 숙련도가 없는 종업원이라 할지라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음료 컵을 손쉽게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홀더(30)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컵의 크기에 관계없이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획일화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종업원의 편의성이 높아져 결국 소비자의 대기시간이 줄어들게 되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비자는 손가락홀(12)을 통해 본 발명의 컵 캐리어(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음료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음료의 운반과정에서 음료를 흘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음료의 운반과정에서 음료가 컵 캐리어(50)에 묻는다 하더라도, 상기 컵 캐리어(50)가 물기로 인해 찢어지는 등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음료를 떨어트릴 걱정 없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컵 캐리어(50)를 보관 또는 운반도중에 음료가 묻을 경우에도, 물로 씻어내는 것만으로 용이한 세척이 가능하므로 1회 사용으로 버리는 낭비 없이 깨끗하게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립금 등을 통해 사용한 컵 캐리어(50)의 수거를 유도할 수 있어 불필요한 폐기처분으로 인한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도 있으며, 폐기처분이 요구될 때에는 재활용품으로 분류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이 사출제작되는 지지체(10)와는 별도로 접이식접철부(20)와 홀더(30)가 일체로 사출제작되어 조립을 통하여 유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을 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컵 캐리어(50)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졌을 때에는, 종업원이 홀더(30)가 일체로 형성된 접이석접철부(20)를 지지체의 힌지공(16)에 선택적으로 힌지결합시키는 것을 통해, 하나의 컵 캐리어(50)를 사용하여 2 ~ 4개의 음료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작용효과를 더 포함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즉, 종업원이 보관된 본 발명의 컵 캐리어(50)를 꺼낸 다음, 양측에 구성된 홀더(30)를 지지체(10)의 결합부(17)에 형성된 힌지공(16)을 중심으로 90°회전시켜 펼치고, 이 후, 주문한 음료의 개수에 따라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접이식접철부의 결합돌기를 상기 지지체의 하부 전, 후방에 구성된 결합부의 힌지공에 힌지결합시켜 펼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업원은 본 발명의 컵 캐리어(100)에 설치된 홀더(30)의 개수에 맞게 음료를 담아 포장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컵 캐리어(50)를 이용하여 2 ~ 4개의 음료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10 : 지지체 11 : 손잡이 12 : 손가락홀 13 : 부착홈 14 : 받침돌부 16 : 힌지공 17 : 결합부 19 : 받침대
20 : 접이식접철부 21 : 힌지 24 : 받침돌부 26 : 결합돌기
30 : 홀더 40 : 광고
50 : 컵 캐리어

Claims (9)

  1. 손잡이(11)를 형성한 지지체(10);
    상기 지지체(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90°의 각으로 접었다 펴지는 접이식접철부(20);
    상기 지지체(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접이식접철부(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컵이 끼워지는 링 형상의 홀더(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체(10)와 접이식접철부(20)와 홀더(30)는 합성수지 재질로 한 번에 사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의 손잡이(11)는 접이식접철부(20)가 접혀졌을 시 링 형상의 홀더(30)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11)의 상측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손가락홀(12)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접혀진 링 형상의 홀더(30) 내부를 꽉 채우며,
    상기 손가락홀(12)의 하측에는 광고(40)가 새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40)는 스티커로 제작되어 손잡이(11)에 형성되는 부착홈(13)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의 양측에는 받침돌부(14)가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지지체(10)에 힌지결합되는 접이식접철부(20)에는 상기 받침돌부(1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받침돌부(14)에 끼워져 결합되는 받침홈부(2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6. 삭제
  7. 손잡이(11)를 형성한 지지체(10);
    상기 지지체(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90°의 각으로 접었다 펴지는 접이식접철부(20);
    상기 지지체(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접이식접철부(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컵이 끼워지는 링 형상의 홀더(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체(10)의 하부 양측에는 힌지공(16)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17)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접이식접철부(20)에는 결합부(17)의 힌지공(16)에 대응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26)가 더 포함구성되어 상기 접이식접철부(20)가 지지체(10)의 결합부(17)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결합부(17)의 하단에는 힌지결합된 접이식접철부(20)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대(19)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접철부(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접이식접철부(20)에 형성되어 힌지공(16)에 힌지결합되는 결합돌기(26)는 단면이
    Figure 112017021797985-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0)의 하부 전, 후방에는 결합부(17)가 추가 구성됨으로써, 접이식접철부(20)가 지지체(10)의 전, 후 방향에 선택적으로 힌지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캐리어.
KR1020170027835A 2016-11-30 2017-03-03 컵 캐리어 KR101800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259 2016-11-30
KR20160161259 2016-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276B1 true KR101800276B1 (ko) 2017-11-22

Family

ID=6081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835A KR101800276B1 (ko) 2016-11-30 2017-03-03 컵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266B1 (ko) * 2023-01-30 2023-11-17 주식회사 다산에프엔씨 접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컵 캐리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906B1 (ko) * 1994-04-20 1999-06-15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용기 운반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906B1 (ko) * 1994-04-20 1999-06-15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용기 운반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266B1 (ko) * 2023-01-30 2023-11-17 주식회사 다산에프엔씨 접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컵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770B1 (ko) 테이크 아웃용 컵 홀더
US20050274639A1 (en) Bottle case
CN102606866A (zh) 可折叠伞座
TWI620693B (zh) 用於外賣杯的環保紙杯提
JP2010532732A (ja) 包装材を兼ねる使い捨てコ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50038246A1 (en) Repeatedly Collapsible Retail Stand Toy
CN210842533U (zh) 折叠式纸杯
KR101800276B1 (ko) 컵 캐리어
US20180178961A1 (en) Eco-friendly paper carrier for takeout cups
US20090159605A1 (e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
KR100922687B1 (ko) 일회용 포장 종이컵
US20060266752A1 (en) Disposable multi-liner garbage container
KR20130002457A (ko) 포장용 봉투
US20090090642A1 (en) Foldable beverage receptacle
KR20180110563A (ko) 음료용기의 고정이 가능하며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US20060244278A1 (en) Container holder
CN204528004U (zh) 一种包装袋结构
KR20210102659A (ko)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한 파우치
JP4408427B2 (ja) ペットボトル
FR2771912A1 (fr) Vase a fleurs repliable
KR200315970Y1 (ko) 수박 전시 및 운반용기
CN215205873U (zh) 一种易于携带的环保型餐具包装盒结构
US20110174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sposable cup
KR200491122Y1 (ko) 사용후 재활용 가능한 테이크 아웃용 음료 홀더
CN202312613U (zh) 一种便携式饮料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