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729B1 -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729B1
KR101799729B1 KR1020170044878A KR20170044878A KR101799729B1 KR 101799729 B1 KR101799729 B1 KR 101799729B1 KR 1020170044878 A KR1020170044878 A KR 1020170044878A KR 20170044878 A KR20170044878 A KR 20170044878A KR 101799729 B1 KR101799729 B1 KR 101799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ember
filter member
filter
base fram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인선
이광규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주)한독크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독크린텍 filed Critical (주)한독크린텍
Priority to KR102017004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2Cores or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4Heating or cooling
    • B29C53/845Heating or cooling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4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감김되어 구비되는 미분진 제거용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에 있어서, 필터부재와 코어부재가 각각 독립되게 공급되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게 구비되어 필터부재를 잡고 당겨 공급하는 홀더;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코어부재를 하나씩 잡아 필터부재 측으로 공급하는 그립퍼; 그립퍼에 의해 공급된 코어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코어부재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제 1 지지롤러; 및 제 1 지지롤러에 구비된 코어부재에 필터부재의 일단부를 접촉시켜 열융착으로 고정시키고 코어부재에 감김된 필터부재의 타단부를 열융착으로 고정시키는 제 1 히팅기;를 포함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micro particle filter}
본 발명은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필터부재를 자동으로 감아 성형한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포함한 정수법을 기초로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정수기에는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다양한 필터가 구비되는데, 필터는 수돗물에 함유된 철, 녹 및 유기물 등의 각종 불순물을 걸러내는 기능과 세균을 살균하고 바이러스를 비활성화시키는 등의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필터 중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20457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는, 원주면에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물이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유동로가 형성되는 코어부재와,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감김되어 구비되는 미분진 제거용 필터소재를 포함하는 미분진제거 필터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미분진제거 필터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탄소부재의 중앙부에 끼워져 구비되고, 탄소부재는 필터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수용된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필터 하우징으로 유입된 물이 탄소부재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여과된 물이 미분진제거 필터를 통과하면서 미분진 제거용 필터소재에 의해 물에 포함된 탄소입자 등의 미분진과 함께 세균이 여과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미분진제거 필터는 미분진 제거용 필터소재를 수작업으로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감아 구비하거나 또는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감김된 필터소재를 수작업으로 접합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로 인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으로 인해 여과성능이 우수한 미분진제거 필터임에도 불구하고 대량 생산이 어려워 저변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정수기용 필터 및 미분진제거 필터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2045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필터부재를 자동으로 감아 구비할 수 있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감김된 필터부재를 자동으로 열융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는,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감김되어 구비되는 미분진 제거용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에 있어서, 필터부재와 코어부재가 각각 독립되게 공급되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게 구비되어 필터부재를 잡고 당겨 공급하는 홀더;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코어부재를 하나씩 잡아 필터부재 측으로 공급하는 그립퍼; 그립퍼에 의해 공급된 코어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코어부재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제 1 지지롤러; 및 제 1 지지롤러에 구비된 코어부재에 필터부재의 일단부를 접촉시켜 열융착으로 고정시키고 코어부재에 감김된 필터부재의 타단부를 열융착으로 고정시키는 제 1 히팅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필터부재가 감김된 코어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코어부재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제 2 지지롤러; 및 제 2 지지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코어부재에 감김된 필터부재의 양단부를 열융착으로 접합 고정시키는 제 2 히팅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히팅기가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판; 고정판에 결합 고정되어 돌출되게 구비되는 댐퍼바; 댐퍼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이동체; 댐퍼바에 끼워져 구비되는 한편 이동체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이동체에 결합 고정되어 이동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판;을 포함하여, 제 2 히팅기가 코어부재에 감김 고정된 필터부재의 양단부에 탄력적으로 접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에는 필터부재를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밀착시키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지지블록은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대응한 원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코어부재에 열융착된 필터부재를 컷팅하는 커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립퍼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블록; 및 베이스블록과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블록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부재는 나노 섬유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2 지지롤러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는 종동풀리; 각 종동롤러와 벨트로서 각각 연결되는 구동풀리; 구동풀리에 각각 연결되어 각 구동풀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벨트에 각각 접하여 회전되면서 각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셔너;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에 따르면, 차례로 공급되는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필터부재를 자동으로 감아 구비하는 한편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감김된 필터부재를 자동으로 열융착하여 코어부재에 고정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어 미분진 필터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우수한 여과성능을 갖는 미분진 필터를 저변화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서 베이스프레임을 제거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서 베이스프레임을 제거한 저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 중 코어부재 공급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 중 필터부재 공급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필터부재의 컷팅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 중 히팅기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 중 성형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코어부재와 필터부재가 공급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에서 공급된 필터부재를 코어부재에 열융착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에서 필터부재가 감김된 코어부재를 이동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에서 코어부재가 안착블록에 안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에서 코어부재가 제 2 지지롤러 측으로 공급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부에서 코어부재에 감김된 필터부재의 양측 단부를 열융착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 필터 및 이의 성형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 필터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코어부재(400)와,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감김되어 구비되는 필터부재(200)를 포함한다.
코어부재(400)는 그 표면에 다수의 입수공(401)이 천공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물이 유동하는 유로(4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는 필터부재(200)가 감김되어 구비되고, 필터부재(200)는 나노 섬유(일명, 나노 파이버(nano fiber)라고도 함)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필터부재(200)를 이루는 나노 섬유는 지름이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에 불과한 초극세실로 형성된 섬유로서,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여과성능이 우수하여 필터로서 적합하다.
이와 같은 필터부재(200)는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3∼4회에 걸쳐 감김되어 구비됨으로써 미분진 필터의 여과성능이 극대화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필터부재(200)가 감김된 코어부재(400)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부캡(미도시)과 하부캡(미도시)이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부캡의 중앙부에는 코어부재(400)의 유로(402)와 연통되어 필터부재(20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공이 형성된다.
물론, 상부캡과 하부캡은 코어부재(400)를 종래와 같이 중공의 탄소부재에 삽입하여 끼운 후, 코어부재(4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코어부재(400)는 그 양단부에 필터부재(200)가 감김되지 않은 여백이 존재하는데, 이 여백은 코어부재(400)에 결합되는 상부캡 및 하부캡과 필터부재(200) 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코어부재(400)의 양단부에 결합된 상부캡과 하부캡은 코어부재(400)의 양단부에 핫멜트로서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핫멜트로 접착 고정된 양 캡과 코어부재(400)는 견고하게 밀봉됨으로써 원수는 모두 필터부재(200)를 통해서만 상부캡의 출수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미분진 필터의 여과성능 및 여과효율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미분진 필터를 성형하는 성형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함체의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전단부에 구성되는 공급부와, 베이스프레임(110)의 중앙부에 구성되는 성형부와,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단부에 구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다수의 프레임이 수직 및 수평으로 연결되어 다층 구조로 된 함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10)은 총 3개층으로 구성되고, 하부의 1층에는 필터부재(200)를 공급하는 필터부재 공급부와 컷팅부가 구성되며, 중간의 2층에는 코어부재(400)를 공급하는 코어부재 공급부와 성형부가 구성되고, 상부의 3층에는 성형장치(1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유닛(300)이 구성된다.
공급부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재(400)를 공급하는 코어부재 공급부와, 필터부재(200)를 공급하는 필터부재 공급부로 나뉜다.
코어부재 공급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구비되어 코어부재(400)가 투입되는 투입관(120)과, 투입관(120)에서 배출되는 코어부재(400)를 성형부로 공급하는 그립퍼(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투입관(12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중간 선단부에 외측에서 베이스프레임(11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코어부재(400)가 일렬로 삽입되어 하나씩 차례로 투입관(120)의 하단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그립퍼(130)는 투입관(120)과 이격된 베이스프레임(110)의 중간 선단부에 구비되어, 투입관(120)의 하단부로 배출된 코어부재(400)의 외주면을 파지하여 다음 공정인 성형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그립퍼(130)는 양 집게가 유압수단에 의해 서로 오므려지고 벌려지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코어부재(400)를 파지하고 놓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그립퍼(130)는 베이스블록(13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베이스블록(131)에는 그립퍼(130)를 베이스블록(131)의 외측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132)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베이스블록(131)은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베이스블록(131)의 양단부에는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베이스블록(131)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133)이 구비된다.
한편, 회전유닛(133)은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고정자와, 고정자에 정.역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베이스블록(131)에 결합 고정되는 회전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자가 고정자에서 회전됨에 따라 베이스블록(131)이 회전되고, 이와 같이 회전되는 베이스블록(131)에 의해 그립퍼(130)는 180도 회전되어 반전된다. 이때,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은 통상의 모터와 기어수단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부재 공급부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구비되어 롤형태의 필터롤이 구비되는 공급롤러(210)와, 공급롤러(210)에서 인출되는 필터부재(200)를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와, 인출되는 필터부재(200)를 잡아 당겨 성형부로 공급하는 홀더(140)를 포함한다.
공급롤러(21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공급롤러(210)에는 필터롤이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공급롤러(210)는 모터와 벨트로서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롤러(210)에 구비되는 필터롤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공급롤러(210)와 같이 회전되면서 필터부재(200)를 인출시킬 수도 있고, 또는 후술될 홀더(140)의 상승에 의해 필터롤과 공급롤러(210)가 회전되면서 홀더(140)의 상승폭만큼 필터부재(200)가 인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는 전자의 모터가 필터롤을 감는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필터롤에서 인출되는 필터부재(200)를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수의 가이드롤러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일정 간격마다 서로 다른 높이로 엇갈리게 구비되고, 필터롤에서 인출되는 필터부재(200)는 각 가이드롤러에 접한 상태로 가이드되어 인출됨으로써 필터부재(200)의 과도한 인출을 방지할 수 있고, 인출되는 필터부재(20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홀더(14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실린더(142)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홀더(140)는 필터부재(200)가 그 사이를 관통하도록 복수의 판으로 구비되고, 홀더(140)를 이루는 복수의 판 중 일측의 판은 하부실린더(142)의 로드에 고정되고, 타측의 판에는 일측의 판을 향해 직선 왕복 이동되어 면밀착되게 접하거나 또는 이격되게 하는 작동실린더(141)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홀더(140)는 필터부재(200)를 잡은 상태로 상승되어 필터부재(200)를 상부의 성형부로 공급하고, 공급 후에는 홀더(140)가 벌어져 필터부재(200)의 홀딩을 해제한 상태로 하강되어 필터부재(200)의 하부를 다시 잡아 공급할 수 있는 준비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홀더(140)를 승강시키는 하부실린더(142)와 근접한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성형부로 공급된 필터부재(200)를 일정한 길이로 컷팅하는 커터(150)가 구비된다.
커터(150)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그 일단부가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커터(150)를 힌지부(150a)를 축으로 회전시켜 필터부재(200)를 컷팅하게 하는 회전실린더(151)가 구비된다.
회전실린더(151)는 그 후단부가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커터(150)와 결합된 로드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실린더(151)에서 로드가 출입됨에 따라 커터(15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공급된 필터부재(200)를 일정한 길이로 컷팅하게 된다.
이때, 커터(150)의 컷팅 작동은 홀더(140)가 하강하여 인출된 필터부재(200)의 하부를 홀딩하고, 후술될 지지블록(176)이 필터부재(200)의 상단부를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면밀착되게 누른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부재(20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블록(176)과 홀더(140)로서 잡아 고정한 상태에서 필터부재(200)를 컷팅해야만 컷팅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컷팅시 필터부재(200)의 임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성형부는 도 3 및 도 4,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에 바닥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구비되는 마운팅플레이트(160)와, 마운팅플레이트(160)의 양측에 마운팅플레이트(16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비되는 지지판(164)을 토대로 구성된다.
마운팅플레이트(1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전,후 방향(투입부와 배출부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마운팅플레이트(160) 상부의 베이스프레임(110)에는 복수의 가이드바(162)가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구비되고, 마운팅플레이트(160)의 상면에는 가이드바(162)가 각각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볼록(161)이 구비된다.
그리고, 마운팅플레이트(160) 후방부의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이동실린더(163)가 구비되고, 이동실린더(163)의 선단부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는 마운팅플레이트(160)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이동실린더(163)에서 로드가 출입됨에 따라 마운팅플레이트(160)가 그 상부의 가이드바(162)와 가이드블록(161)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되면서 이동된다.
한편, 양 지지판(164)은 마운팅플레이트(160) 상에서 좌,우 방향(마운팅플레이트(160)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마운팅플레이트(160)의 상면에는 지지판(164)과 대향되는 가이드블록(161a)이 각각 구비되고, 이 가이드블록(161a)에는 각각의 가이드바(162a)가 관통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가이드바(162a)는 마운팅플레이트(160) 상부의 양 지지판(164)에 각각 결합 고정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마운팅플레이트(160)의 하면에는 지지판(164)의 하부에 구비되는 후술될 연장판(169)을 가이드하는 또 다른 가이드바가 구비된다.
따라서, 마운팅플레이트(160)의 양측에 구비되는 양 지지판(164)과 연장판(169)은 가이드바(162a)와 가이드블록(161a)에 의해 마운팅플레이트(16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양 지지판(164)의 하단부에는 연장판(169)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양 연장판(169)의 전,후부에는 제 1,2 지지롤러(170)(171)(172)(173)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제 1,2 지지롤러(170)(171)(172)(173)는 도 9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각각 서로 마주하는 암,수 한쌍으로 구비된다.
즉, 일측 연장판(169)의 전,후부에는 그 단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수 지지롤러(170)(172)가 각각 구비되고, 수 지지롤러(170)(172)에 대향되는 타측 연장판(169)의 전,후부에는 그 단부에 함몰된 홈이 형성된 암 지지롤러(171)(173)가 각각 구비된다.
이와 같은 암,수 한쌍의 각 지지롤러(170)(171)(172)(173) 사이에는 그 외측면에 필터부재(200)가 감김된 코어부재(400)가 구비되어, 코어부재(400)의 일단부에는 수 지지롤러(170)(172)의 단부에 돌출된 돌출부가 삽입되고, 코어부재(400)의 타단부는 암 지지롤러(171)(173)의 홈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제 1,2 지지롤러(170)(171)(172)(173)의 암 지지롤러(171)(173) 또는 수 지지롤러(170)(172) 중 어느 한쪽에는 종동풀리(170a)(172a)가 구비되고(이하에서는 종동풀리(170a)(172a)가 수 지지롤러(170)(172)에 구비된 것을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 종동풀리(170a)(172a)는 지지판(16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이에 연결된 수 지지롤러(170)(172)와 같이 일체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종동풀리(170a)(172a)에는 각 구동모터(165)(166)가 각 종동풀리(170a)(172a)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바, 각 구동모터(165)(166)에는 구동풀리(165a)(166a)가 각각 결합되어 구비되고, 이 구동풀리(165a)(166a)와 종동풀리(170a)(172a)는 벨트(167)(168)로서 연결된다.
구동모터(165)(166)는 각각 마운팅플레이트(160) 상부의 지지판(164)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구동풀리(165a)(166a)는 종동풀리(170a)(172a)와 마찬가지로 지지판(164)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구동모터(165)(166)의 작동에 의해 지지판(164)의 외측에서 회전 구동된다. 여기서, 구동모터(165)(166)를 마운팅플레이트(160) 상부의 지지판(164)에 고정되게 구비함으로써 구동모터(165)(166)를 다른 부품과의 간섭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지판(164)에는 구동풀리(165a)(166a)와 종동풀리(170a)(172a)를 연결하는 벨트(167)(168)의 외측면에 접하여 벨트(167)(168)의 장력을 조절하여 긴장되게 유지시키는 텐셔너(174)(175)가 구비되어, 구동모터(165)(166)의 동력이 구동풀리(165a)(166a)와 벨트(167)(168), 종동풀리(170a)(172a)를 통해 수 지지롤러(170)(172)에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65)(166)가 작동되면, 코어부재(400)를 클램핑한 제 1,2 지지롤러(170)(171)(172)(173)가 회전되고, 이에 코어부재(400) 역시도 제 1,2 지지롤러(170)(171)(172)(173)에 클램핑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코어부재(400)는 제 1 지지롤러(170)(171)에서 그 외측면에 일정 길이의 필터부재(200)를 감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텐셔너(174)(175)는 각 지지판(164)에 관통되게 구비되고, 텐셔너(174)(175)가 구비되는 지지판(164)에는 텐셔너(174)(17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슬릿(164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텐셔너(174)(175)는 슬릿(164a)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벨트(167)(168)의 장력을 독립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롤러(170)(171)와 이격된 마운팅플레이트(160)의 하면에는 상부실린더(177)가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부실린더(177)의 하단부에는 로드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며, 로드의 하단부에는 필터부재(200)를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으로 눌러 면밀착시키는 지지블록(176)이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블록(176)은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대응한 곡률을 갖는 원주면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블록(176)이 필터부재(200)를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으로 눌러 면밀착시킨 상태로 코어부재(40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게 됨으로써 제 1 지지롤러(170)(171)에 의해 롤링(회전)되는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필터부재(200)를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고 견고하게 감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2 지지롤러(170)(171)(172)(173) 후방의 마운팅플레이트(160) 하면에는 제 1,2 히팅기(178)(180)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이동실린더(179)(181)가 각각 구비된다.
각 이동실린더(179)(181)의 선단부와 후단부에는 각각의 로드가 출입가능하게 구비되고, 각 로드의 단부에는 제 1,2 히팅기(178)(180)가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어, 로드가 이동실린더(179)(181)에 출입됨에 따라 제 1,2, 히팅기(178)(180)가 각각 직선 왕복 이동된다.
이러한 제 1,2 히팅기(178)(180)는 필터부재(200)와 접촉되는 부위에 열선이 내장되어 있고, 내장된 열선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되어 필터부재(200)를 코어부재(400)에 열융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제 1 히팅기(178)는 필터부재(200)를 코어부재(400)에 감기 위해, 필터부재(200)의 일측을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축방향으로 열융착하여 고정시키고, 필터부재(200)를 코어부재(400)에 감은 후에는 필터부재(200)의 타측을 코어부재(400)에 감김된 필터부재(200)에 축방향으로 열융착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제 2 히팅기(180)는 코어부재(400)에 감김된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를 열융착하여 코어부재(400)에 접합 고정시킴으로써 감김된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들뜸을 방지하여 정확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 2 히팅기(180)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의 제 2 히팅기(180)는 도 8에서와 같이 하나의 고정판(182) 전면에 각각 고정되어 구비되며, 이 고정판(182)의 전면 양측에는 고정판(182)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댐퍼바(183)가 각각 구비되고, 각 댐퍼바(183)에는 이동체(184)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양 댐퍼바(183)에 끼워져 각 이동체(184)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85)가 구비되고, 양 이동체(184)에는 이동실린더(181)의 로드에 결합된 이동판(187)의 결합 고정되어 이동체(184)와 같이 일체로 이동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댐퍼바(183)의 선단부에는 탄성부재(18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186)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고, 탄성부재(185)는 댐퍼바(183)에 용이하게 구비할 수 있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실린더(181)에 의해 이동판(187)이 코어부재(400) 측으로 당겨져 이동되면, 이동판(187)과 결합된 양 이동체(184)가 댐퍼바(183)에 끼워져 있는 탄성부재(185)에 접하고, 탄성부재(185)는 댐퍼바(183) 상에서 이동체(184)와 스톱퍼(186)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185)에 의해 댐퍼바(183)가 이동체(184)와 같이 이동되며, 이러한 이동 과정은 고정판(182)에 구비된 제 2 히팅기(180)가 코어부재(400)에 감김된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접촉되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히팅기(180)가 접한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코어부재(400)의 롤링시 필터부재(200)의 불균일한 두께로 인해 제 2 히팅기(180)가 댐퍼바(183) 상의 탄성부재(185)를 압축시키면서 후진 이동되었다가 탄성부재(185)의 복원력(인장력)에 의해 다시 전진 이동됨으로써 제 2 히팅기(180)는 일정 압력 이상으로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접하여 열융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필터부재(200)가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정확히 감기지 못하고 삐둘어져 감김된 경우,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경사진 층이 형성되고, 이 층으로 인해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는 원주 방향의 두께가 일정치 않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제 2 히팅기(180)가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접하여 열융착할 시 롤링(회전)되는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의 두께가 일정치 않아 계속 변하게 되므로 제 2 히팅기(180)가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붙었다 떨어졌다 하여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를 균일하게 열융착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층이 발생되어도 이에 접촉되는 제 2 히팅기(180)가 롤링되는 필터부재(200)의 두꺼운 두께와 접촉될 시는 탄성부재(185)를 압축시키며 후진 이동되었다가 얇은 두께가 접촉되면 탄성부재(185)의 인장력에 의해 전진 이동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제 2 히팅기(180)가 층진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접하게 되므로 층진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가 불균일한 두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균일하게 열융착하여 접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 2 지지롤러(172)(173)의 전진 이동시 제 2 지지롤러(172)(173)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승강실린더(191)가 고정되어 구비되고, 승강실린더(191)의 상단부에서 상하로 출입되는 로드의 단부에는 필터부재(200)가 감김된 코어부재(400)가 안착되는 안착블록(190)이 구비된다.
이 안착블록(190)은 제 1 지지롤러(170)(171)에 의해 필터부재(200)가 감김된 코어부재(40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안착블록(190) 상에 위치되면 상승되어 제 1 지지롤러(170)(171)로부터 코어부재(400)를 받아 하강되고, 제 2 지지롤러(172)(173)가 전진 이동되어 안착블록(190) 상에 위치되면 안착블록(190)이 다시 상승되어 제 2 지지롤러(172)(173) 사이로 코어부재(400)를 공급한 후 하강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도 5의 윗 도면에서와 같이, 투입관(120)으로 투입된 다수의 코어부재(400)는 투입관(120)의 하단부로 하나씩 차례로 배출되어 노출되고, 이와 같이 노출된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을 베이스블록(131)에서 전진한 그립퍼(130)가 잡은 후 베이스블록(131) 측으로 다시 후진 이동된다.
이후, 베이스블록(131)이 회전유닛(133)에 의해 180도 회전되어 그립퍼(130)의 위치가 도 5의 아랫 도면에서와 같이, 전방을 향하던 방향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반전된다.
이 상태에서 그립퍼(130)는 베이스블록(131)으로부터 인출되어 후방의 성형부 측으로 코어부재(400)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프레임(110) 하부의 공급롤러(210)에서 인출된 필터부재(200)는 도 6에서와 같이 홀더(140)에 홀딩된 상태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고, 이와 같이 이동된 필터부재(200)의 전면에는 그립퍼(130)에 의해 공급된 코어부재(400)가 도 9에서와 같이 접하여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코어부재(400)의 양측 단부에 위치한 암수 한쌍의 제 1 지지롤러(170)(171)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1 지지롤러(170)(171)의 수 지지롤러(170)는 코어부재(400)의 일단부에 끼임되어 고정되고, 암 지지롤러(171)는 코어부재(400)의 타단부를 그 내부로 수용한 상태로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 1 지지롤러(170)(171)에 의해 코어부재(400)가 고정되면, 도 10에서와 같이 필터부재(200) 후방의 제 1 히팅기(178)가 전진 이동되면서 필터부재(200)의 상부를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열융착하여 필터부재(200)를 코어부재(400)의 축방향으로 접착 고정시킨 후, 제 1 히팅기(178)가 다시 후진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열융착을 마친 제 1 히팅기(178)가 후진됨과 동시에 필터부재(200)를 홀딩하고 있던 홀더(140)는 필터부재(200)의 홀딩을 해제한 상태 그대로 하강되고, 하강된 홀더(140)는 도 7에서와 같이 필터부재(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다시 필터부재(200)를 홀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홀더(140)의 필터부재(200)의 하부를 홀딩하면, 도 7 및 도 11에서와 같이 커터(150)가 작동되어 홀더(140) 상부의 필터부재(200)를 컷팅한 후 원상태로 복귀되고, 컷팅된 일정 길이의 필터부재(200)는 코어부재(400)에 감김되게 된다.
한편, 필터부재(200)의 컷팅과 동시에 코어부재(400)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블록(176)이 하강되고, 하강된 지지블록(176)은 도 11에서와 같이 코어부재(400)에 대응한 곡률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필터부재(200)의 상단부를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눌러 지지하게 된다.
이후, 마운팅플레이트(160) 상면의 제 1 구동모터(165)가 작동되면, 제 1 구동모터(165)의 동력이 구동풀리(165a), 벨트(167), 종동풀리(170a)를 통해 제 1 지지롤러(170)(171)의 수 지지롤러(170)로 전달되어 제 1 지지롤러(170)(171)가 그 사이에 코어부재(400)를 고정한 상태로 코어부재(400)와 일체로 롤링(회전)된다.
따라서, 제 1 지지롤러(170)(171) 사이에서 롤링되는 코어부재(400)에는 일정 길이로 컷팅된 필터부재(200)가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감김되고,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필터부재(200)를 감으면서 성형부 전체가 후진 이동되며, 필터부재(200)의 감김이 완료되면 제 1 히팅기(178)가 재차 전진 이동되어 필터부재(200)의 하단부를 열융착하여 코어부재(400)에 접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제 1 히팅기(178)는 다시 후진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되고, 성형부의 이동이 정지된 후에는 필터부재(200)가 감김된 코어부재(400)가 안착블록(190) 위에 위치된다.
그러면, 안착블록(190)이 상승되어 코어부재(400)의 하면을 받쳐 지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 1 지지롤러(170)(171)는 양측으로 벌어져 코어부재(400)의 고정을 해제하며, 코어부재(400)가 제 1 지지롤러(170)(171)로부터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안착블록(190)이 하강되어 도 12에서와 같이 코어부재(400)를 하부로 하강시키게 된다.
이후, 성형부는 다시 전진 이동하게 되고, 하강된 코어부재(400)의 상부에는 제 2 지지롤러(172)(173)가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착블록(190)이 다시 상승하여 도 13에서와 같이 제 2 지지롤러(172)(173) 사이에 코어부재(400)를 위치시키고, 제 2 지지롤러(172)(173)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암수 구조를 갖는 제 2 지지롤러(172)(173)가 제 1 지지롤러(170)(171)에서와 마찬가지로 코어부재(400)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지지롤러(172)(173) 사이에서 코어부재(400)가 고정되면, 안착블록(190)은 다시 하강되어 원위치로 복귀되고, 도 14에서와 같이 제 2 지지롤러(172)(173) 사이에 고정된 코어부재(400)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던 복수의 제 2 히팅기(180)가 전진 이동되면서 코어부재(400)에 감김된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제 2 히팅기(180)가 각각 접하게 된다.
제 2 히팅기(180)가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에 접함과 동시에 제 2 구동모터(166)가 작동되어, 구동풀리(166a), 벨트(168), 종동풀리(172a)를 통해 제 2 구동모터(166)의 동력이 제 2 지지롤러(172)(173)로 전달됨으로써 제 2 지지롤러(172)(173)는 그 사이에서 필터부재(200)가 감김된 코어부재(400)를 롤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롤링되는 코어부재(400)에 의해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가 제 2 히팅기(180)에 접한 상태로 회전되면서 열융착되어 도 14에서와 같이 코어부재(400)에 견고하게 접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코어부재(400)에 감김된 필터부재(200)는 코어부재(400)에 열융착으로 견고하게 접착 고정될 뿐 아니라 감김된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를 재차 열융착으로 접착함으로써 적층된 필터부재(200) 간의 들뜸이 방지되어 미분진 필터가 우수한 여과성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성형부의 후단부에서 코어부재(400)에 감김된 필터부재(200)의 양측 단부를 열융착하는 작동시엔 성형부 전방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지지롤러(170)(171) 사이에 고정된 코어부재(400)의 외측면에 필터부재(200)를 감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성형부의 후진 이동으로 인해 제 1 지지롤러(170)(171)가 안착블록(190) 위에 위치될 때, 제 2 지지롤러(172)(173)에서 성형된 미분진 필터는 베이스프레임(11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성형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20 : 투입관 130 : 그립퍼
131 : 베이스블록 132 : 이동실린더
133 : 회전유닛 140 : 홀더
141 : 작동실린더 142 : 하부실린더
150 : 커터 150a : 힌지부
151 : 회전실린더 160 : 마운팅플레이트
161,161a : 가이드블록 162,162a : 가이드바
163 : 이동실린더 164 : 지지판
164a : 슬릿 165,166 : 구동모터
165a,166a : 구동풀리 167,168 : 벨트
169 : 연장판 170,171,172,173 : 지지롤러
170a,172a : 종동풀리 174,175 : 텐셔너
176 : 지지블록 177 : 상부실린더
178,180 : 히팅기 179,181 : 이동실린더
182 : 고정판 183 : 댐퍼바
184 : 이동체 185 : 탄성부재
186 : 스톱퍼 187 : 이동판
190 : 안착블록 191 : 승강실린더
200 : 필터부재 210 : 공급롤러
300 : 컨트롤유닛 400 : 코어부재
401 : 입수공 402 : 유로

Claims (9)

  1.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필터부재를 자동으로 감아 성형한 미분진 필터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에 있어서,
    필터부재와 코어부재가 각각 독립되게 공급되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필터부재를 잡고 당겨 공급하는 홀더;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코어부재가 하나씩 차례로 배출되는 투입관;
    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되어 투입관으로 배출되는 코어부재를 하나씩 잡아 필터부재 측으로 공급하는 그립퍼;
    그립퍼에 의해 공급된 코어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코어부재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제 1 지지롤러; 및
    제 1 지지롤러에 구비된 코어부재에 필터부재의 일단부를 접촉시켜 열융착으로 고정시키고 코어부재에 감김된 필터부재의 타단부를 열융착으로 고정시키는 제 1 히팅기;를 포함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필터부재가 감김된 코어부재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코어부재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제 2 지지롤러; 및
    제 2 지지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코어부재에 감김된 필터부재의 양단부를 열융착으로 접합 고정시키는 제 2 히팅기;를 더 포함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2 히팅기가 고정되어 구비되는 고정판;
    고정판에 결합 고정되어 돌출되게 구비되는 댐퍼바;
    댐퍼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이동체;
    댐퍼바에 끼워져 구비되는 한편 이동체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이동체에 결합 고정되어 이동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판;을 포함하여,
    제 2 히팅기가 코어부재에 감김 고정된 필터부재의 양단부에 탄력적으로 접할 수 있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에는 필터부재를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밀착시키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지지블록은 코어부재의 외측면에 대응한 원주면으로 형성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코어부재에 열융착된 필터부재를 컷팅하는 커터를 더 포함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그립퍼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베이스블록; 및
    베이스블록과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블록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필터부재는 나노 섬유로 구비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제 1,2 지지롤러에 각각 고정되게 구비되는 종동풀리;
    각 종동롤러와 벨트로서 각각 연결되는 구동풀리;
    구동풀리에 각각 연결되어 각 구동풀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벨트에 각각 접하여 회전되면서 각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셔너;를 포함하는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KR1020170044878A 2017-04-06 2017-04-06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KR101799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878A KR101799729B1 (ko) 2017-04-06 2017-04-06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878A KR101799729B1 (ko) 2017-04-06 2017-04-06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729B1 true KR101799729B1 (ko) 2017-11-21

Family

ID=6080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878A KR101799729B1 (ko) 2017-04-06 2017-04-06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7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1041A (zh) * 2019-04-10 2019-07-12 福州森百德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玻纤缠绕机使用的平行连杆机构加热装置
KR20190128350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수평배수재의 필터 접합장치
CN117464351A (zh) * 2023-07-25 2024-01-30 上海韦地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核工业用过滤器芯生产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33B1 (ko) 2008-05-03 2008-12-26 박범철 필터에 수지를 씌우는 장치
JP2010274209A (ja) * 2009-05-29 2010-12-09 Mitsuboshi Belting Ltd フィルタ成形体用不織布巻付け装置及びフィルタ成形体用不織布巻付け方法
KR101448196B1 (ko) 2013-02-21 2014-10-08 조영숙 관형상의 부직포 필터 제조장치
KR101559390B1 (ko) 2009-07-14 2015-10-12 박용호 정수기용 두루마리형 필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533B1 (ko) 2008-05-03 2008-12-26 박범철 필터에 수지를 씌우는 장치
JP2010274209A (ja) * 2009-05-29 2010-12-09 Mitsuboshi Belting Ltd フィルタ成形体用不織布巻付け装置及びフィルタ成形体用不織布巻付け方法
KR101559390B1 (ko) 2009-07-14 2015-10-12 박용호 정수기용 두루마리형 필터 제조방법
KR101448196B1 (ko) 2013-02-21 2014-10-08 조영숙 관형상의 부직포 필터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350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수평배수재의 필터 접합장치
KR102056280B1 (ko) * 2018-05-08 2020-01-22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수평배수재의 필터 접합장치
CN110001041A (zh) * 2019-04-10 2019-07-12 福州森百德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玻纤缠绕机使用的平行连杆机构加热装置
CN117464351A (zh) * 2023-07-25 2024-01-30 上海韦地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核工业用过滤器芯生产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729B1 (ko) 미분진 필터 성형장치
US9283727B2 (en) Method for producing hollow fiber membrane sheet-like object, method for produc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device for producing hollow fiber membrane sheet-like object
CN205442155U (zh) 一种用于ro膜自动卷膜的纱布自动张紧机构
JP5736754B2 (ja) 中空糸膜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263172B1 (ko) 부직포 필터 제조방법 및 그 장치
EP2043766B1 (en) Capillary membrane filtration module
JP5087558B2 (ja) エアフィルタおよびかかるエア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5273863B2 (ja) フィルタ成形体用不織布巻付け装置及びフィルタ成形体用不織布巻付け方法
JP4978674B2 (ja) 合成樹脂製袋の玉シール部製造装置及び玉シール部製造方法
CN216961637U (zh) 一种全自动kf94口罩机
CN114474692A (zh) 一种具有夹持功能的超滤膜生产用拉伸装置
CN113954434A (zh) 一种用于生产塑料编织袋的高效除膜装置
CN114799445A (zh) 一种微细热电偶丝的自动焊接穿管装置及使用方法
JP6007539B2 (ja) 線状物束の包装装置および包装方法
JP4957907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CN209973855U (zh) 一种电加热换接料装置
JP7380351B2 (ja) 成形活性炭への包装材巻き付け装置及び包装材巻き付け方法
KR20100130281A (ko) 중공사막 모듈 제조 장치
JP6288303B2 (ja) 中空糸膜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及び中空糸膜シート状物の製造装置
CN220242436U (zh) 一种小型ppr管焊接装置
CN117655621B (zh) 基于空心金属套筒的防变形焊接设备
CN220409696U (zh) 一种滤水膜的专用导流布切割焊接一体化设备
CN217869676U (zh) 一种导流布焊接装置
CN117800145A (zh) 多层膜片全自动折叠设备及其控制方法
JP6667831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用濾過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