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571B1 - 총알 장전기 - Google Patents

총알 장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571B1
KR101799571B1 KR1020170043921A KR20170043921A KR101799571B1 KR 101799571 B1 KR101799571 B1 KR 101799571B1 KR 1020170043921 A KR1020170043921 A KR 1020170043921A KR 20170043921 A KR20170043921 A KR 20170043921A KR 101799571 B1 KR101799571 B1 KR 101799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s
magazine
bullet
alignment
ra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성
Original Assignee
박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성 filed Critical 박종성
Priority to KR102017004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57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82Reloading or unloading of magazines
    • F41A9/83Apparatus or tools for reloading magazines with unbelted ammunition, e.g. cartridge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1Magazines
    • F41A9/64Magazines for unbelted ammu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총기의 탄창에 총알을 장전할 시 하나 이상의 탄창에 총알을 일렬로 가지런히 정렬하여 신속, 용이하게 총알 장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총알 장전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총알 장전기는 베이스프레임(1) 일측에 형성되어 총알이 장전되는 탄창을 안치하기 위한 둘 이상의 탄창결합부(4)와, 상기 탄창결합부(4)에 각각 연결되고, 탄창 내부로 투입되기 직전의 총알들이 일렬로 가지런히 배열되도록 하며, 상부에는 총알이 탄창 내부로 안내될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부(3a)가 형성되는 투입레일(3)과, 상기 탄창결합부와 연결되는 투입레일(3)의 단부에 설치되어 장전되는 총알의 개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센서(15)와, 상기 투입레일(3)을 통해 정렬된 총알을 탄창으로 밀어서 투입하기 위한 푸싱부(9)와 손잡이부(10)를 가진 푸셔(5)와, 상기 탄창결합부(4)의 반대편에서 각각의 투입레일(3)에 연결되며, 투입레일 내부로 투입하기 전에 다수개의 총알을 정렬할 수 있도록 넓게 하나로 형성된 정렬공간부(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총알 장전기{Bullet Charger}
본 발명은 총알 장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각종 총기의 탄창에 총알을 장전할 시 하나 이상의 탄창에 총알을 일렬로 가지런히 정렬하여 신속, 용이하게 총알 장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총알 장전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총기의 탄창에 총알을 장전코자 할 시는 작업자가 총알보관통에 수납된 총알을 하나씩 잡아 탄창에 탄두 결합방향을 확인한 후 손으로 하나씩 밀어 넣어 장전을 하고 있다.
즉, 다수개의 총알이 수납된 총알보관통에서 총알을 하나씩 집어내서 탄창에 결합하는 총알의 탄두 방향을 확인하고 하나씩 장전을 함으로써 하나의 탄창에 총알 수십개를 장전하는데는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고, 전시와 같이 긴급상황이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기에는 문제점이 많았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코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113338에서는 탄환 장전 장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다수의 탄환을 카트리지에 수납하고, 수납된 탄환을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카트리지를 통과하면서 탄창에 순차적으로 장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여, 탄창에 장전되는 다수의 탄환이 카트리지의 투입홀을 통해 수납부재에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탄환의 장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은 총기관리가 엄격히 규제되고 있는 나라이며, 따라서 실탄 관리도 엄격하다. 이에 대부분의 군부대와 경찰서는 실탄대장을 갖춰 실탄의 구매, 사용, 잔여량 등을 기록해야 하는 것을 의무화 하고 있으나 상기의 종래 기술로는 탄창에 삽입되는 실탄의 정확한 개수를 사용자의 수기나 기억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평상시 군부대 등에서 삽탄상태로 근무에 투입되고 있어서 장기간 삽탄시 탄창내 스프링탄성이 경감되므로 사격시 탄창내 삽입된 마지막 1~2발을 밀어내내지 못하는 사례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전방에서는 탄창의 스프링회복 및 탄수량 확인을 위해 주1회 실탄을 빼고 재장전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장전 시간과 실탄 관리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수의 탄창에 동시에 실탄을 장전할 수 있으면서도 노력과 시간이 대폭 경감되고, 실탄관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신규한 총알장전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KR 실용신안공보 1992-0000392 KR 공개특허 10-2011-0113338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각종 총기의 탄창에 총알을 장전할 시에 다수개의 총알을 탄창에 결합되는 탄두 방향에 맞추어 일렬로 가지런히 정렬을 한 후 복수개의 총알을 동시에 탄창에 밀어서 장전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 정확한 장전작업이 가능토록 한 총알 장전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총알을 사전에 정렬하여 장전을 위한 일렬로 정렬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총알 장전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탄창으로 장전되는 총알의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도록 한 총알 장전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별도로 기술하지는 않았으나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청구범위를 감안하여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또 다른 목적들도 본 발명의 전체 과제에 포함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총알 장전기는 베이스프레임(1) 일측에 형성되어 총알이 장전되는 탄창을 안치하기 위한 둘 이상의 탄창결합부(4)와,
상기 탄창결합부(4)에 각각 연결되고, 탄창 내부로 투입되기 직전의 총알들이 일렬로 가지런히 배열되도록 하며, 상부에는 총알이 탄창 내부로 안내될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부(3a)가 형성되는 투입레일(3)과,
상기 탄창결합부와 연결되는 투입레일(3)의 단부에 설치되어 장전되는 총알의 개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센서(15)와,
상기 투입레일(3)을 통해 정렬된 총알을 탄창으로 밀어서 투입하기 위한 푸싱부(9)와 손잡이부(10)를 가진 푸셔(5)와,
상기 탄창결합부(4)의 반대편에서 각각의 투입레일(3)에 연결되며, 투입레일 내부로 투입하기 전에 다수개의 총알을 정렬할 수 있도록 넓게 하나로 형성된 정렬공간부(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공간부(2) 안에 설치 또는 형성되며, 정렬공간부(2)에 위치한 다수의 총알들을 탄두 부위를 한방향으로 하면서 단위 개수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수단(6)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셔의 저부에는 복수개의 로울러 또는 강구로 이루어진 볼이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는 베이스프레임에 다수개의 총알을 투입하여 정렬수단으로 정렬할 수 있는 정렬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렬공간부에서 정렬수단에 의해 단위 개수로 탄두 방향이 맞도록 정렬된 단위 개수의 총알을 탄창결합부상에 안치된 탄창으로 밀어서 투입할 수 있는 투입레일과 푸셔를 구비하여 신속, 용이하게 다수개의 단위 총알을 다수개의 탄창에 동시에 장전할 수 있다.
또한 탄창에 장전되는 총알의 정확한 개수와 누적개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실탄관리가 정확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좌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우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의 정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에 있어서, 총알 정렬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에 있어서, 총알 정렬수단의 일 실시예를 보인 작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에 있어서, 총알 정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총알 장전기에 있어서, 푸셔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총알 장전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는 각종 총기의 탄창에 총알의 탄두 결합방향을 따라 총알을 장전코자할 시 탄창에 맞는 단위 개수의 총알을 정렬공간부로 투입하여 정렬할 수 있도록 하고, 탄두방향이 정렬이 이루어진 총알을 탄창으로 밀어서 장전하기 위해 투입레일이 구비되며, 투입레일에 일렬로 가지런히 정렬된 총알을 푸셔(pusher)를 사용하여 한 번에 탄창 규격에 맞는 단위 총알 개수를 밀어서 장전이 가능토록 한 총알 장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총알 장전기는 투입레일에 정렬된 총알이 탄창에 장전되는 개수를 정확하게 카운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총알의 장전작업 중 분실이나 장전 불량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총알 장전기의 전체 구성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및 평면도, 정면도 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총알 장전기는 개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1) 상부에 요입형으로 이루어져 총알을 레일(3) 내부로 투입하기 전에 다수개의 총알을 정렬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된 정렬공간부(2)를 일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정렬공간부(2)와 연결되어 총알을 탄창에 결합시 탄두 결합방향에 맞게 하나씩 가지런히 일렬로 정렬하여 탄창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레일(3)이 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각 투입레일(3)의 끝에는 총알을 장전코자 하는 탄창을 걸림되게 안치시킬 수 있는 탄창결합부(4)가 각각 형성된다.
탄창결합부(4)는 30발용 탄창이 안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되, 20발용 탄창을 사용할 경우 탄창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바(20)를 탄창결합부의 바닥에 결합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레일(3)에 일렬로 가지런히 정렬된 총알을 탄창으로 밀어서 장전하기 위한 푸셔(5)가 구비된다.
도시한 예의 총알 장전기는 다수개의 총알을 정렬할 수 있는 정렬공간부(2) 하나에 투입레일(3)이 2개 구비되어 2개의 탄창에 총알을 동시에 장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투입레일(3) 및 탄창결합부(4)는 3개 이상으로 병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렬공간부(2)는 총알수납통에 수납된 총알을 적정량 부어서 탄창에 결합되는 총알의 탄두방향을 정렬하여 투입레일(3)로 인입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실탄들을 보다 용이하게 정렬시키고 한눈에 실탄들의 개수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 정렬수단(6)을 더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별도로 제작된 격자형태의 정렬틀(6a)을 제작하되, 하나의 공간 안에 실탄이 5개 내지 10개 단위의 실탄이 딱 들어맞게 형성하여 탄두방향을 동일하게 정렬하면서 총 투입될 총알의 개수를 한눈으로 쉽게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정렬이 완료되면 정렬틀(6a)을 들어올린 다음 삽탄할 수량의 총알들을 밀어서 투입레일 안으로 안내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총알 장전기에 있어서, 정렬수단(6)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및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정렬수단(6)은 총알의 탄두를 일정방향으로 일렬로 가지런히 정렬하기 위해 5발 또는 10발 정도의 총알을 정위치에서 정렬하기 위한 정렬홈(7)을 투입레일(3)의 앞쪽으로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정렬홈(7)의 탄두측 형상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탄의 탄두 곡면에 부합되게 형성하도록 하면 총알(17)의 후미가 탄두측으로 위치하도록 놓일 때 총알의 후미가 정렬홈의 곡면에 의해 상부로 약간 들리게 되어 작업자가 총알(17)을 손쉽게 잡아 탄두 방향을 정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정렬틀(6a)를 사용할 경우에는 틀 내부로 총알을 개별적으로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이와같이 정렬홈(7)을 형성하면 작업자가 손으로 총알들을 정렬홈 내부로 굴리기만 하면 일정량의 실탄들이 내입되게 되므로 작업이 보다 수월하다.
또한 정렬홈이 형성된 경우 바닥의 약간 기울어져 있더라도 정렬된 총알이 옆으로 굴러 흐트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단위수량만큼 뭉쳐져 정렬공간부(2)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상기 정렬홈(7)의 하부로 스프링(7a)에 상방으로 탄력지지된 승강부재(7b)가 설치한 정렬수단(6)을 도시한 것으로, 정렬공간부 외측에 버튼(19)을 구비하고 버튼을 누름에 따라 승강부재(7b)가 승하강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버튼을 눌러 승강부재(7b)를 하향시킨 상태에서 실탄들을 정열하면 정렬홈(7)의 깊이가 보다 깊어진 상태이므로 단위수량의 총알들을 보다 용이하게 홈 내부로 투입하여 정렬할 수 있고, 정렬이 끝나면 버튼(19)을 눌러 승강부재(7b)를 승강시킨 후 투입레일 쪽으로 투입하면 정렬과 투입되는 총알의 개수 파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레일(3)은 가지런히 정렬된 총알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투입될 수 있도록 총알의 길이방향 치수 보다 약간의 공차를 두도록 형성하고, 투입레일(3)의 형상은 상부가 개방되고 총알의 길이방향 전후 부위는 이탈하지 않는 전후 걸림턱부(3a)를 갖도록 구성하며, 투입레일(3)에 일렬로 가지런히 정렬된 총알을 탄창으로 밀어 넣기 위한 푸셔(5)는 투입레일(3)의 개수에 맞게 단면 형상이 투입레일(3)의 단면 형상과 부합하도록 형성된 푸싱부(9)와 작업자가 푸셔(5)를 손으로 잡고 총알을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상기 푸싱부(9) 사이에 손잡이부(10)를 갖도록 제작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레일(3)이 2개로 제작된 총알 장전기의 경우 푸셔(5)에 형성되는 푸싱부(9) 역시 투입레일(3)의 개수에 맞게 2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푸셔(5)의 저면부에는 총알을 밀어 넣을 때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름운동을 할 수 있는 복수개의 로울러(11)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로울러(11)는 강구로 제작된 볼(ball)로 대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푸셔(5)는 미사용 시에 보관을 위해 베이스프레임(1) 상부 일측에 자석(12)을 내입시켜 자력에 의해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푸셔(5)에도 자석(13) 또는 자력에 감응하는 자력감응체 등을 내입고정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입레일(3)에는 가지런히 정렬된 총알의 개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총알 개수 측정용 눈금(1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눈금(14)은 정렬된 총알의 개수를 5, 10, 15, 20, 25, 30개 단위로 눈금(14)을 표시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단위 식별이 가능토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눈금(14)은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야광이나 형광으로 인쇄 또는 스티커 등을 사용하여 부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레일(3)의 전방에는 탄창으로 장전되는 총알의 개수를 자동으로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센서(15)를 설치한다.
카운팅센서(15)로는 정렬된 총알과 총알 사이의 탄두가 형성하는 개략 삼각형의 공간을 센싱하는 포토센서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탄두가 지나가면서 볼을 터치하여 감지하는 볼타입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운팅센서(15)를 적용할 경우 한 번의 장전으로 장전된 총알의 개수는 물론 다수개의 탄창에 총알을 연속적으로 장전할 시 총 장전되는 총알의 수량을 리셋하기 전 까지 카운팅할 수 있어서 엄격한 실탄관리를 해야 하는 관리담당자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은 이동 및 보관의 용이성을 위해 1/3 정도의 길이에서 힌지(16) 등을 사용하여 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휴대성과 보관성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총알 장전기는 각종 총기의 총알을 다수개의 탄창에 한 번의 동작으로 신속, 용이하게 장전할 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용방법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총알 장전기를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1)을 책상 등 평탄한 바닥면에 안치시킨 후 하나 이상의 탄창결합부(4)에는 탄창(18)을 안치시킨다. 이때 탄창(18)의 총알이 투입되는 개구는 투입레일(3)의 전방으로 향하게 안치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 일측에 형성된 정렬공간부(2)에는 총알수납통에 수납된 총알(17)을 다수개 투입시킨 후 정렬공간부(2)에 설치된 정렬수단(6)을 사용하여 총알(17)을 탄두 방향이 한방향으로 향하도록 개수를 5개 단위 등으로 단위 정렬토록 한다.
즉, 도 6,7과 같이 정렬부재(7b)가 스프링(7a)에 상방으로 탄력지지된 정렬홈(7)을 갖는 정렬수단(6)을 적용한 경우 정렬홈(7)에 탄력설치된 정렬부재(7b) 상부로 총알(17)을 밀어 넣으면서 한손으로 누르게 되면 스프링(7a)의 탄성을 극복하고 정렬부재(7b)가 하강하여 총알(17)이 정렬부재(7b) 상부에 정렬홈(7)에 가지런히 안치상태로 전환되는데 정렬홈(7)에 총알(17)이 단위 개수만큼 투입 완료되면 작업자는 투입된 단위 개수의 총알(17) 중 탄두가 다른 방향으로 된 총알(17)만 방향을 전환시킨 후 단위 정렬된 총알(17)을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거나 버튼(19)을 누르면 스프링(7a)의 복원탄성에 의해 정렬부재(7b)가 상승하게 되며, 이때 작업자가 총알(17)이 투입레일(3)에 정확히 투입될 수 있도록 손으로 안내, 밀어 총알들을 투입레일(3)로 투입시킨다.
한편, 상기 정렬홈(7)의 탄두측 형상이 실탄의 탄두 곡면에 부합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총알(17)의 후미가 탄두측으로 위치하도록 놓이게 되면, 총알(17)의 탄두 반대쪽 부분이 탄두정렬홈(8)에 의해 상부로 약간 올라오게 되므로 작업자가 총알(17)을 손쉽게 잡아 탄두 방향을 정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나의 탄창(18)에 20개의 총알(17)이 장전되는 경우 5개의 단위수량으로 총알(17)을 정렬할 수 있는 정렬수단(6)을 사용할 경우 총 4번의 정렬과정을 거쳐 투입레일(3)에 20개의 총알(17)이 일렬로 가지런히 정렬이 이루어지게 되고, 작업자는 눈금(14)을 통해 20개의 총알(17)이 투입레일(3)에 정렬이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차기로 푸셔(5)의 손잡이부(10)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투입레일(3)의 입구측에서 출구측 방향으로 푸셔(5)를 밀어주면 투입레일(3)에 정렬되어 있던 총알(17)이 순차적으로 투입레일(3) 전방에 안치된 탄창(18)의 개구를 통해 하나씩 순차 투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탄창(18)이 20개의 총알(17)을 장전할 수 있는 탄창(18)이고 20개의 총알(17)이 장전 완료되면 해당 장전 완료된 탄창(18)은 탄창결합부(4)에서 인출하고, 차기로 장전코자 하는 새 탄창(18)을 탄창결합부(4)에 안치시켜 전기와 같은 순서로 총알(17)을 연속 장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총알 장전기는 정렬공간부(2)에서 정렬수단(6)을 사용하여 정렬된 총알(17)을 투입레일(3)에 가지런히 투입, 정렬 후 1번의 푸셔(5)의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단위 개수의 총알(17)이 장전될 시 투입레일(3) 전방에 있는 카운팅센서(15)가 장전되는 총알(17)의 개수를 자동으로 카운팅하게 된다.
특정일에 총알(17)을 장전하는 탄창(18)의 개수가 20개이고, 하나의 탄창(18)에 20개의 총알(17)이 장전된다고 할 경우, 총 장전할 총알(17)의 개수는 400개가 되는데, 연속적인 장전 작업에 의해 20개의 탄창(18)에 총알(17)을 모두 장전했을 경우 카운팅센서(15)가 센싱한 총알(17)의 개수도 400개가 될 것이며, 다음날 총알 장전 작업을 할 경우에는 카운팅센서(15)를 리셋시켜 다시 해당 작업일의 총알 장전 개수를 카운팅토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총알 장전기는 베이스프레임(1)에 다수개의 총알을 투입하여 정렬수단(6)으로 정렬할 수 있는 정렬공간부(2)를 구비하고, 상기 정렬공간부(2)에서 정렬수단(6)에 의해 단위 개수로 탄두 방향이 맞도록 정렬된 단위 개수의 총알을 탄창결합부(4)상에 안치된 탄창으로 밀어서 투입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투입레일(3)과 푸셔(5)를 구비하여 한 번의 동작으로 다수개의 단위 총알을 다수의 탄창으로 장전할 수 있으며, 탄창에 장전되는 총알의 정확한 개수와 누적개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실탄관리가 정확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베이스프레임 2: 정렬공간부 3: 투입레일 3a: 걸림턱부
4: 탄창결합부 5: 푸셔 6: 정렬수단
7: 정렬홈 7a: 스프링 7b: 정렬부재
8: 탄두정렬홈 9: 푸싱부 10: 손잡이부 11: 로울러
12: 자석 13: 자석 14: 눈금 15: 카운팅센서 16: 힌지
17: 총알 18: 탄창 19: 버튼 20: 서포트바

Claims (5)

  1. 베이스프레임(1) 일측에 형성되어 총알이 장전되는 탄창을 안치하기 위한 둘 이상의 탄창결합부(4);
    상기 탄창결합부(4)에 각각 연결되고, 탄창 내부로 투입되기 직전의 총알들이 일렬로 가지런히 배열되도록 하며, 상부에는 총알이 탄창 내부로 안내될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부(3a)가 형성되는 투입레일(3);
    상기 탄창결합부와 연결되는 투입레일(3)의 단부에 설치되어 장전되는 총알의 개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센서(15);
    상기 투입레일(3)을 통해 정렬된 총알을 탄창으로 밀어서 투입하기 위해 투입레일(3)의 개수에 맞게 형성된 푸싱부(9)와 상기 푸싱부(9) 사이에 형성된 손잡이부(10)를 가진 푸셔(5);
    상기 탄창결합부(4)의 반대편에서 각각의 투입레일(3)에 연결되며, 투입레일 내부로 투입하기 전에 다수개의 총알을 정렬할 수 있도록 넓게 하나로 형성된 정렬공간부(2);를 구비하되,
    상기 푸셔(5)의 저부에는 복수개의 로울러(11) 또는 강구로 이루어진 볼이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정렬공간부(2)에는, 단위 개수의 총알을 수납할 수 있는 정렬홈(7)과, 상기 정렬홈(7) 하부에서 스프링(7a)에 의해 상방으로 탄력설치된 정렬부재(7b)와, 정렬공간부 외측에 설치되는 버튼(19)을 구비하여 버튼(19)을 누름에 따라 승강부재(7b)가 승하강 작동하도록 구성된 정렬수단(6)을 더 형성하여,
    정렬공간부(2)에 위치한 다수의 총알들의 탄두를 한 방향으로 정렬하면서 단위 개수로 배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알 장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베이스프레임(1) 일측에 형성되어 총알이 장전되는 탄창을 안치하기 위한 둘 이상의 탄창결합부(4);
    상기 탄창결합부(4)에 각각 연결되고, 탄창 내부로 투입되기 직전의 총알들이 일렬로 가지런히 배열되도록 하며, 상부에는 총알이 탄창 내부로 안내될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부(3a)가 형성되는 투입레일(3);
    상기 탄창결합부와 연결되는 투입레일(3)의 단부에 설치되어 장전되는 총알의 개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팅센서(15);
    상기 투입레일(3)을 통해 정렬된 총알을 탄창으로 밀어서 투입하기 위해 투입레일(3)의 개수에 맞게 형성된 푸싱부(9)와 상기 푸싱부(9) 사이에 형성된 손잡이부(10)를 가진 푸셔(5);
    상기 탄창결합부(4)의 반대편에서 각각의 투입레일(3)에 연결되며, 투입레일 내부로 투입하기 전에 다수개의 총알을 정렬할 수 있도록 넓게 하나로 형성된 정렬공간부(2);를 구비하되,
    상기 푸셔(5)의 저부에는 복수개의 로울러(11) 또는 강구로 이루어진 볼이 구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정렬공간부(2)에는,
    단위 개수의 총알을 수납할 수 있는 정렬홈(7)과, 상기 정렬홈(7)의 탄두측에는 실탄의 탄두 곡면에 부합되게 곡면으로 이루어진 탄두정렬홈(8)으로 구성된 정렬수단(6)을 더 형성하여,
    정렬공간부(2)에 위치한 총알들의 탄두를 한 방향으로 정렬하면서 단위 개수로 배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알 장전기.
KR1020170043921A 2017-04-04 2017-04-04 총알 장전기 Active KR101799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921A KR101799571B1 (ko) 2017-04-04 2017-04-04 총알 장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921A KR101799571B1 (ko) 2017-04-04 2017-04-04 총알 장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571B1 true KR101799571B1 (ko) 2017-11-27

Family

ID=6081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921A Active KR101799571B1 (ko) 2017-04-04 2017-04-04 총알 장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1215A (zh) * 2018-08-17 2018-12-18 江苏莱福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放射性粒子弹夹自动装填装置
KR102205204B1 (ko) 2020-08-11 2021-01-20 팔월삼일 주식회사 너클홀 구조를 적용하여 안정적 파지자세를 구현한 수동형 삽탄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9077B2 (en) * 2001-09-10 2006-06-13 Guy Tal Heavy duty magazine loader
US20170089653A1 (en) 2015-09-29 2017-03-30 Christopher Andrew Plate Ammunition magazine loa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9077B2 (en) * 2001-09-10 2006-06-13 Guy Tal Heavy duty magazine loader
US20170089653A1 (en) 2015-09-29 2017-03-30 Christopher Andrew Plate Ammunition magazine loa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1215A (zh) * 2018-08-17 2018-12-18 江苏莱福医疗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放射性粒子弹夹自动装填装置
KR102205204B1 (ko) 2020-08-11 2021-01-20 팔월삼일 주식회사 너클홀 구조를 적용하여 안정적 파지자세를 구현한 수동형 삽탄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571B1 (ko) 총알 장전기
KR101352656B1 (ko) 약제 카트
US5532888A (en) Cartridge magazine with cartridge processing status indicator
US2885811A (en) Follower latch for cartridge magazines
US5247406A (en) Tape cartridge magazine
EP2792619B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Einrichtung zum Lagern und Bereitstellen von in Gurtspulen aufgenommenen elektrischen Bauelementen
DE102013111478A1 (de) Halterung für ein mobiles Telekommunikationsendgerät
US10126077B1 (en) Cartridge magazine loader
US10274275B1 (en) Firearm magazine speedloader
JPS62501946A (ja) 加工物連続供給装置
JP2014032658A (ja) 貨幣カセット補充装置
US2981024A (en) Cartridge loader for a tubular magazine
CN107614398A (zh) 智能库存存储系统
JPS59231899A (ja) 集積回路パツケ−ジマガジン及び収納容器
US2542842A (en) Cartridge dispenser
EP0332824A2 (de) Vorrichtung zum Aufbewahren, Ein- und Ausgeben von Behältern
US4950203A (en) Coin counter and wrapper loading device
US20160047437A1 (en) Automatic Dispenser for Balancing Weights
AT524336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m Handhaben und Überprüfen von Transportgestellen für eine Auslieferung von Waren
CN111372872B (zh) 用于临时储存货物的装置
TWM518218U (zh) 小型物料倉儲設備
CN215664451U (zh) 一种设有抽拉结构的质控品存放盒
CN214770158U (zh) 一种内存卡的组装设备
EP2745996B1 (de) Einrichtung zum Lagern von in Gurtspulen aufgenommenen elektrischen Bauelementen
CN111284975B (zh) 药瓶推进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