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259B1 -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259B1
KR101799259B1 KR1020160082658A KR20160082658A KR101799259B1 KR 101799259 B1 KR101799259 B1 KR 101799259B1 KR 1020160082658 A KR1020160082658 A KR 1020160082658A KR 20160082658 A KR20160082658 A KR 20160082658A KR 101799259 B1 KR101799259 B1 KR 10179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jewelry
reflection
decorative jewelry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효정
Original Assignee
백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효정 filed Critical 백효정
Priority to KR1020160082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보석이 크게 보이도록 하는 장신구용 난집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장식보석이 고정된 난집 외주면 둘레에 반사부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반사부는 난반사를 일으키도록 상면이 커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심미감을 배가시키기 위해 큰 사이즈의 장식보석을 구매하지 않아도 장식보석(난집)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반사부의 난반사와 장식보석의 빛반사가 어우러져 작은 장식보석도 커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Stone hous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jewel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식보석이 크게 보이도록 하는 장신구용 난집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장식보석이 고정된 난집 외주면 둘레에 반사부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반사부는 난반사를 일으키도록 상면이 커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심미감을 배가시키기 위해 큰 사이즈의 장식보석을 구매하지 않아도 장식보석(난집)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반사부의 난반사와 장식보석의 빛반사가 어우러져 작은 장식보석도 커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신석기 시대의 유적에서 옥석을 갈아 만든 관옥이나 짐승뼈로 만든 목걸이 장식이 발견되며,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서 한층 더 다양해졌다. 삼국시대에는 공예기술이 고도로 발달하여 화려한 금, 은, 금동제의 장신구가 제작되어 널리 쓰이게 되었는데, 특히 신라에서는 금속 세공 기술이 크게 발달하여 가락지, 귀고리, 목걸이 등이 훌륭한 예술품을 창조해 냈다. 조선시대에도 금은, 보석류의 세공 기술이 장신구를 중심으로 발달했다. 장신구의 종류로는 관모, 과대, 노리개, 목걸이, 귀고리, 가락지, 비녀, 첩지와 떨잠, 동곳, 뒤꽂이, 주머니 등이 있으며 장도, 침통, 바늘집, 빗치개 등 실용성을 겸한 것도 있다.
상기한 장신구는 과거에 비해 사람들의 삶이 풍요로워 짐에 따라 희소성이 높은 이유로 아무나 가질 수 없어 높은 시세를 형성하던 탓에, 의식주 외에 부가적인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팔찌, 반지, 귀걸이, 목걸이 등의 다양한 금속 및 비금속을 이용한 악세사리 산업이 활성화되어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보석, 큐빅 등의 장식보석을 부착하여 추가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기에 이르렀으며, 장신구에 장식보석이 붙여지는 곳을 난집이라 하고, 보석이나 큐빅등의 장식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을 난집발이라 일컫는다.
난집이란 '란(卵)'자와 그것을 보관하는 '집(housing)'이라는 라는 용어로써 팔찌, 반지, 귀걸이, 목걸이 등의 귀금속을 가공하거나 제조하는 것을 당업으로 삼는 사람들 사이에서 흔히 사용하는 관용어로써, '란'은 보석이나 큐빅 등의 장식부를 지칭하는 것이며 '집'은 하우징의 의미로 사용된다.
많은 사람들이 난집이 결합된 반지, 팔찌 및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를 사용하여 보석으로 인한 추가적인 심미감을 돋보이게 한다.
이에,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54175호(등록일: 2013.04.08.)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을 통해 장신구와 난집을 결합하여 동적 심미감을 가미하는 형태의 발명이 있었다.
하지만, 크기가 작은 장식보석 고유의 심미감을 더욱 가미시키기 위해서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고 더욱 큰 장식보석을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식보석이 고정된 난집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반사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반사부는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되 상면이 커팅되어 난반사를 일으킬 수 있어서, 사용자는 비싼 값을 지불하고 커다란 장식보석을 구매하지 않아도 장식보석 외주면을 감싸는 반사부의 난반사로 인해 작은 장식보석의 크기가 커보이게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난집발은 외주면에 난반사를 위한 커팅이 형성되어 있어서 반사부 및 장식보석의 빛감과 어우러지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반사부가 고정부의 고정발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반사부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는 상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는 하측에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외주면 둘레에 반사부(110)가 일체로 구비되되 다수의 난집발(120)이 형성되는 난집(100)을 제작하는 제1공정(S100); 상기 난집(100)의 반사부(110) 상면에 난반사를 위한 커팅부(111)를 형성하는 제2공정(S200); 상기 난집(100)에 장식보석(200)을 넣고 난집발(120)을 내측으로 굽혀 장식보석을 고정시키는 제3공정(S300); 외주면에 다수의 고정발(310)이 구비되는 고정부(300)를 제작한 후 고정부 상에 난집(100)을 얹어 고정발을 굽혀 난집을 고정하는 제4공정(S400);으로 반지나 팔지, 목걸이, 귀걸이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난집발(120)은 외주면에 난반사를 위한 커팅(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0)는 상면에 고정돌기(320)가 형성되고 상기 난집(100)의 반사부(110)는 하측에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11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한 공정 중 어느 한 공정에 의해 난집이 제조된다.
이에, 본 발명은 장식보석이 고정된 난집 외주면 둘레에 반사부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반사부는 난반사를 일으키도록 상면이 커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크기가 큰 장식보석을 구매하지 않아도 장식보석(난집)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반사부의 난반사와 장식보석의 빛 반사가 어우러져 작은 장식보석도 커보이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난집발은 외주면에 난반사를 위한 커팅이 형성되어 있어서 반사부 및 장식보석의 빛감과 어우러지져 심미감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는 상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반사부는 하측에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반사부가 고정부의 고정발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반사부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제조방법의 단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집체가 분해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집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정(S100), 제2공정(S200), 제3공정(S300) 및 제4공정(S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공정(S100)은 외주면 둘레에 반사부(110)가 일체로 구비되되 다수의 난집발(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난집발(120)은 외주면에 난반사를 위한 커팅(121)이 형성되어 있어서 반사부(110) 및 장식보석(200)의 빛감을 저해하지 않고 동화되어 어우러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공정(S200)은 난집(100)의 반사부(110) 상면에 커팅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부(110)는 커팅부(111)로 인해 빛을 난반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공정(S300)은 난집(100)에 장식보석(200)을 넣고 난집발(120)을 내측으로 굽혀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제4공정(S400)은 외주면에 다수의 고정발(310)이 구비되는 고정부(300)를 제작한 후 고정부 상에 난집(100)을 얹어 고정발을 굽혀 고정하고 반지나 팔지, 목걸이, 귀걸이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300)는 상면에 고정돌기(320)가 형성되고 상기 난집(100)의 반사부(110)는 하측에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112)이 형성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고정부(300) 상면에 고정돌기(320)가 형성되고 상기난집(100)의 반사부(110)는 하측에는 고정돌기(320)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반사부가 고정부의 고정발(31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반사부(11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공정(S100) 내지 제4공정(S400)에 의해 제작되는 난집이 형성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장식보석(200)이 고정된 난집(100) 외주면 둘레에 반사부(110)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반사부는 난반사를 일으키도록 상면이 커팅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크기가 큰 장식보석을 구매하지 않아도 작은 장식보석으로도 크기가 큰 장식보석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난집 110 ... 반사부
111 ... 커팅부 112 ... 고정홈
120 ... 난집발 200 ... 장식보석
300 ... 고정부 310 ... 고정발
320 ... 고정돌기

Claims (4)

  1. 외주면 둘레에 반사부(110)가 일체로 구비되되 다수의 난집발(120)이 형성되는 난집(100)을 제작하는 제1공정(S100); 상기 난집(100)의 반사부(110) 상면에 난반사를 위한 커팅부(111)를 형성하는 제2공정(S200); 상기 난집(100)에 장식보석(200)을 넣고 난집발(120)을 내측으로 굽혀 장식보석을 고정시키는 제3공정(S300); 외주면에 다수의 고정발(310)이 구비되는 고정부(300)를 제작한 후 고정부 상에 난집(100)을 얹고 고정발을 굽혀 난집을 고정하는 제4공정(S400);으로 반지나 팔지, 목걸이, 귀걸이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여 사용하며,
    상기 난집발(120)은 외주면에 난반사를 위한 커팅(1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면에 고정돌기(320)가 형성되고 상기 난집(100)의 반사부(110)는 하측에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상기 청구항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KR1020160082658A 2016-06-30 2016-06-30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9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658A KR101799259B1 (ko) 2016-06-30 2016-06-30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658A KR101799259B1 (ko) 2016-06-30 2016-06-30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259B1 true KR101799259B1 (ko) 2017-11-20

Family

ID=6080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658A KR101799259B1 (ko) 2016-06-30 2016-06-30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925A (ko) * 2020-07-13 2022-01-20 김민주 보석 세팅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석 제품
KR20230087793A (ko) *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골드지기 주얼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238Y1 (ko) * 1999-07-01 2000-02-15 나인균 장식보석홀더의구조
JP3147398B2 (ja) * 1991-03-20 2001-03-19 スズキ株式会社 冷却水パイプの形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398B2 (ja) * 1991-03-20 2001-03-19 スズキ株式会社 冷却水パイプの形状
KR200163238Y1 (ko) * 1999-07-01 2000-02-15 나인균 장식보석홀더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925A (ko) * 2020-07-13 2022-01-20 김민주 보석 세팅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석 제품
KR102395951B1 (ko) * 2020-07-13 2022-05-09 김민주 보석 세팅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석 제품
KR20230087793A (ko) * 2021-12-10 2023-06-19 주식회사 골드지기 주얼리
KR102660036B1 (ko) * 2021-12-10 2024-04-24 주식회사 씨에스앤코 주얼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2191A1 (ja) 身飾品
US9412249B2 (en) Lovely life costume and designer jewelry for emergency alert devices
KR101799259B1 (ko) 장식보석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난집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71171B1 (ko) 장식보석의 심미감이 개선된 난집
KR101905545B1 (ko) 복층 난집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0485425Y1 (ko) 개선된 심미감과 디자인 패턴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장신구용 체인
US20050188721A1 (en) Combined pearl and precious gem jewelry
US8820116B2 (en) Accessory having decorative coin ornaments and connectors
KR100477614B1 (ko)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KR200476010Y1 (ko)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KR101657456B1 (ko)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KR102210833B1 (ko) 장신구용 장식구의 카멜레온 세팅방법
KR101485406B1 (ko)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CN216363955U (zh) 一种首饰及一种首饰套件
JP3242390U (ja) リング状装身具
KR200488746Y1 (ko) 쥬얼리 장신구
KR101446593B1 (ko) 내장된 장식용 보석이 유동되는 목걸이용 메달
KR102307660B1 (ko) 단일품 다 디자인 구조의 착시형 장식구
KR102187413B1 (ko) 장식구 고정구
KR200229321Y1 (ko) 장신구용 체인
KR200443979Y1 (ko) 고(高) 난반사 보석체를 갖는 귀금속장식구
KR200451626Y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
KR101959518B1 (ko) 매듭장식구 결합형 액세서리
KR200352870Y1 (ko) 생화가 부착된 장신구
KR200336056Y1 (ko) 장식용 체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