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001B1 - 협잡물 건조장치 및 협잡물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협잡물 건조장치 및 협잡물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001B1
KR101799001B1 KR1020170042969A KR20170042969A KR101799001B1 KR 101799001 B1 KR101799001 B1 KR 101799001B1 KR 1020170042969 A KR1020170042969 A KR 1020170042969A KR 20170042969 A KR20170042969 A KR 20170042969A KR 101799001 B1 KR101799001 B1 KR 101799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drying
rotating body
dry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심산업
Priority to KR102017004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사 협잡물 건조장치 및 침사 협잡물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협잡물이 투입되는 로터리 킬른 형태의 회전체에 구비되는 건조용공기공급관을 구비하며,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운동 하는 내부유동관을 통해 협잡물의 하부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협잡물의 건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협잡물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물 혼합체의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침사 협잡물의 수분을 감량시키고 침사 협잡물을 매립 가능한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침사 협잡물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협잡물 건조장치 및 협잡물 건조방법{A concomitant drying device and dry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협잡물 건조장치 및 협잡물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리킬른(rotary kiln) 형태의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 내부에 구비되는 건조기내부공급관과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과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운동 하는 내부유동관을 통해 침사 협잡물 하부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침사 협잡물의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협잡물 건조장치 및 협잡물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펌프장, 하수처리장 및 대등의 개수로에는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어 부유하는 스티리폼, 나무토막 등의 협잡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에 원활한 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협잡물 제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침사 협잡물이란 나뭇가지를 비롯하여 각종 폐기물 및 다량의 유기물, 무기물이 혼합되는 형태를 띠며, 유입 하수, 폐수 중에 포함되어 중계 펌프장 및 하수, 폐수 처리장의 유입펌프에 유입 되는 협잡물 및 침사 등을 일컫는다.
침사 협잡물은 별도의 처리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단순히 탈수에 의하여 처리장 외부로 배출 되므로 경제적인 처리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침사 협잡물은 다량의 무기물 및 씨앗 등이 포함되어 있어 퇴비로서의 가치 또한 매우 낮다.
침사 협잡물 소각시 다이옥신등 2차 환경오염 물질을 생성하며, 소각로의 부식 및 마모를 진행 시킬 수 있다.
또한, 침사 협잡물은 탈수에 의하여 감량 가능한 수분량은 10% 내외로 경제성이 매우 낮으며, 유기물 함량 및 수분 함량이 높아 부패가 쉽고, 폐기물 처리시 다량의 수분으로 톤당 10만원이 넘는 비용이 소요되어 환경 처리시설 운영비 상승 요인 중 하나이다.
또한, 침사 협잡물은 고수분 및 고유기물질로서 매립이 불가능하며, 전량 소각 처리되어야 하므로 2차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침사 협잡물의 수분을 건조 시킬 수 있으며, 환경오염의 염려를 낮출 수 있는 침사 협잡물 건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041520 (공개일자 2013년 04월 2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조기내부공급관 내측에 구비되며, 상하운동 하는 내부유동관을 통해 건조 공기 공급을 침사 협잡물의 하부로부터 이루어지게 하여 침사 협잡물의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유기물 혼합체의 발열작용을 통해 침사 협잡물의 수분을 감량시켜 침사 협잡물을 매립이 가능한 형태로 전환 시킬 수 있는 침사 협잡물 건조장치 및 침사 협잡물 건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부 일측에 협잡물투입구(211)를 구비하는 제1고정체(210); 상기 바닥부(100)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2고정체(220); 상기 제1고정체(210) 및 제2고정체(220) 사이에 구비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300); 상기 바닥부(100)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300)에 면압을 주어 상기 회전체(300)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구동롤러(400); 상기 제1고정체(210), 회전체(300) 및 제2고정체(220)의 정면 및 후면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회전하는 관 형상의 건조용공기공급관(500); 및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 외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일측면에 장축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홀(511)이 구비된 다수의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회전체(300)의 측면에 구비되되,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는 내측에 다수의 결합돌기(311, 3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다수의 구동롤러(400)을 통해 상기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가 면압을 받아 상기 회전체(300)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건조기내부공급관(510)은 내측에 상하운동 하며, 일측면에 장축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대응홀(512a)이 형성된 내부유동관(51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511)은 배열간격(L)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대응홀(512a)은 배열간격(ℓ)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511)의 배열간격(L)은 상기 대응홀(512a)의 배열간격(ℓ)과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회전체(300)의 회전에 따라 다수의 대응홀(512a)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홀(511)과 대응하여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하향 이동하면 다수의 대응홀(512a)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홀(511)과 대응하여 연통되며,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상향 이동하면 상기 대응홀(512a)이 상기 홀(511)과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511) 및 대응홀(512a)은 홀필터(511a) 및 대응홀필터(512a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체(300)는 내측 원주면에 다수의 혼합돌기(3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협잡물 건조장치의 침사 협잡물을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협잡물투입구를 통해 회전체에 침사 협잡물을 투입하는 단계;
b) 침사 협잡물을 투입한 뒤 건조용공기공급관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c) 건조용공기공급관 내측에 구비된 내부유동관을 통해 침사협잡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d) 협잡물투입구에 고농도 유기물 혼합체를 투입하는 단계;
e) 상기 유기물 혼합체의 호흡에 의한 발열작용을 통해 7 내지 10일간 호기성 발효를 하는 단계; 및
f) 상기 협잡물을 협잡물 건조장치에서 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협잡물 건조방법은 e) 상기 유기물 혼합체의 호흡에 의한 발열작용을 통해 7 내지 10일간 호기성 발효를 하는 단계; 이후 발효 생성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협잡물 건조방법은 c) 건조용공기공급관 내측에 구비된 내부유동관을 통해 침사협잡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에서 주입되는 건조 공기의 온도가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건조장치는 로터리 킬른 형태의 회전체로 구비됨에 따라 침사 협잡물을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 내측에 다수의 혼합돌기를 구비하여 침사 협잡물을 고르게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내부에 건조기내부공급관을 구비하여 협잡물에 건조 공기를 용이하게 공급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 내측에는 상하운동 하는 내부유동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유동관을 통해 협잡물에 건조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 및 내부유동관의 일측면에는 홀 및 대응홀이 구비될 수 있어 상기 홀 및 대응홀의 위치가 일치됨에 따라 침사 협잡물에 건조 공기를 공급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및 대응홀에는 홀필터 및 대응홀필터가 구비될 수 있어 건조기내부공급관으로의 침사 협잡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유동관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상부에서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유동관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이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하부에서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공기 공급이 침사 협잡물 하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침사 협잡물에 유기물 혼합체를 투입하여 유기물 발효를 통한 감량으로 평균 25%의 감량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침사 협잡물 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유기물 혼합체를 투입함으로써 생물학적 발효열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생물학적 발효열을 사용함에 따라 소요되는 추가 에너지 소모가 없어 비용 절감에 용이하다.
또한, 호기성 발효작용을 통해 수분을 감량할 수 있으며, 유기물이 안정화가 이루어져 침사 협잡물을 매립이 가능한 물질로 전환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매립이 불가능 했던 침사 협잡물을 매립 가능한 물질로 전환 시켜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의 공기 호흡에 의한 발열 작용으로 건조기 내부는 최고 60℃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증발 효과로 수분을 방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건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건조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건조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건조장치의 건조용 공기공급관 및 건조기내부공급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내부유동관이 작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홀과 대응홀이 연통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또는 “내장하다”또는 “구비하다”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 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협잡물’이란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주로 침사 협잡물을 다룬다.
‘침사 협잡물’이란 나뭇가지를 비롯하여 각종 폐기물(비닐, 금속, 돌, 씨앗 등) 다량의 유, 무기물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를 띤다.
‘로터리킬른(rotary kiln)’이란 회전로라고도 하며, 내부를 내화 벽돌 붙임으로 한 강철제의 회전 원통 내에 원료를 넣고 열풍이나 불꽃을 불어 넣어 가열하는 노를 의미하며, 로터리 킬른 회전체를 통해 건조, 연소, 소결의 조작을 동일한 노에서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발효열’이란 미생물의 발효작용의 결과로 발생하는 열로 호기적 조건과 혐기적 조건 하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일측 끝단’이란 사물의 한쪽 끝을 의미한다.
‘타측 끝단’이란 사물의 다른 한쪽 끝을 의미한다.
‘방사상’이란 중앙의 한 점을 중심으로 거미줄이나 바큇살 모양으로 뻗어나간 모습을 의미한다.
‘외측’이란 물체의 바깥쪽을 의미한다.
‘일측면’이란 물체의 측면의 어느 한 면을 의미한다.
‘장축방향’이란 본 발명에서 상대적으로 긴 축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건조기내부공급관과 내부유동관의 상대적으로 긴 축을 의미한다.
‘연통’이란 본 발명에서 홀과 대응홀이 대응되어 홀의 중심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관통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건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건조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바닥부(100)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100) 일측 끝단 및 타측 끝단에는 제1고정체(210) 및 제2고정체(2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체(210) 및 제2고정체(220) 사이에는 회전하는 로터리 킬른(rotary kiln) 형식의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3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300)는 상기 바닥부(100)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구동롤러(400)가 상기 회전체(300)에 면압을 주어 상기 회전체(30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300)는 도 1에서와 같이 측면에 구비되되,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는 내측에 다수의 결합돌기(311, 321)를 구비할 수 있어, 상기 결합돌기(311, 321)를 통해 상기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와 회전체(3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00)의 측면에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구동롤러(400)을 통해 상기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가 면압을 받아 회동되어 상기 결합돌기(311, 321)와 결합되는 회전체(300)가 회전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고정체(210)의 상부 일측에는 협잡물투입구(21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협잡물투입구(211)는 꺾인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300)의 내부로 협잡물이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잡물투입구(21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11a)을 더 구비할 수 있어 상기 뚜껑(211a)을 열어 협잡물을 더 넣을 수 있고 상기 뚜껑(211a)을 닫아 협잡물들의 냄새가 밖으로 새 나가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협잡물 건조장치는, 상기 제1고정체(210), 회전체(300) 및 상기 제2고정체(220)의 정면 및 후면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회전하는 관 형상의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협잡물 건조장치의 내부 사시도를 통해 본 발명에서의 협잡물 건조장치와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고정체(210)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협잡물투입구(211)는 꺾은 형으로 구비되며, 경사를 지니고 있어 상기 회전체(300)에 협잡물을 용이하게 투입시킬 수 있다.
상기 협잡물투입구(211)가 꺾은 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회전체(300)의 정면 및 후면이 막힌 구조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회전체(300)가 회전할 때, 회전체(300)의 일부가 협잡물투입구(211)에 걸리는 부분이 생겨 회전을 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체(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체(300)는 정면이 개방되거나, 정면 및 후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체(300)의 정면이 뚫린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고정체(210)에 회전되는 원형상의 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300)가 상기 원형상의 홈에 삽입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로는, 상기 제1고정체(210)의 원형상의 홈에 회전체(300)의 원기둥 형태가 일부 삽입되어 상기 원형상의 홈을 통해 상기 회전체(300)가 회전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고정체(310)를 통해 회전체(300)의 뚫려 있는 정면을 막을 수 있어 협잡물이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300)가 상기 제1고정체(210)에 구비된 원형상의 홈을 통해 회전함으로써, 협잡물투입구(211)의 간섭을 받지 않으며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300)는 정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어 회전체(300)가 협잡물투입구(211)의 간섭을 받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협잡물 건조장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의 외측에 다수의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 내부공급관(510)의 장축방향 일측면에는 다수의 홀(5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측면 평면도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의 협잡물 건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체의 일측 상부에 위치한 협잡물투입구(211)은 꺾인 구조로 상기 협잡물투입구(211)의 일부가 회전체(300)에 유입되는 구조로 구비되며,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어 회전체(300)에 협잡물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은 상기 제1고정체(210), 회전체(300) 및 제2고정체(220)의 정면과 후면을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300)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 일측 끝단에는 건조용공기투입구(520)가 구비될 수 있어 상기 건조용공기투입구(520)를 통해 건조 공기를 투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건조용공기투입구(520)는 ‘ㄱ’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공기 차단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건조용공기투입구(520)에 공기를 공급한 뒤 주입된 공기가 다시 밖으로 새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건조 공기는 상기 건조용공기투입구(520)를 통해 건조용공기공급관(500)으로 이동한 후,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 외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건조기내부공급관(51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후 건조 공기는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유동관(512)의 상하운동에 따라 협잡물에 건조 공기를 공급해 줄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협잡물 건조장치의 정면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회전체(300)는 바닥부(100)의 상부에 위치한 구동롤러(400)가 상기 회전체(300)에 면압을 주어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롤러(400)는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300)에 면압을 줄 수 있어 상기 회전체(300)가 회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300)는 결합돌기(311, 321)를 통해 결합되는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롤러(400)는 상기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에 면압을 주어 상기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311, 321)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회전체(300)에 회전력을 주어 상기 회전체(3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3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혼합돌기(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300)의 내측에 혼합돌기(330) 더 구비됨으로써, 침사 협잡물의 혼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을 사시도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 외측에는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5에서 도시한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개수보다 더 많은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은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과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연결되는 부분은 관통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은 표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은 나사결합, 돌림 끼움구조 및 볼트-너트 체결 구조 등의 결합 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상기 관통공의 주변에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은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에 구비되는 결합 수단과 동일한 결합부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 장축방향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홀(5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홀(511)은 건조 공기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같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은 내측에 상하운동 하며, 장축방향 일측면에 다수의 대응홀(512a)이 구비된 내부유동관(51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511)과 대응홀(512a)은 건조 공기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같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협잡물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에 홀(511)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유동관(512)에 대응홀(512a)이 구비됨에 따라 협잡물에 작용하는 공기의 흐름 및 공기 공급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에 구비되는 내부유동관(512)이 작동하는 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통해 건조 공기가 협잡물에 공급되는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서는 화살표를 통하여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에 공급되는 건조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건조공기가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및 내부유동관(512)을 통해 건조 공기가 흘러가는 흐름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자중에 의하여 상하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내부공급관(510)과 유사하게 일단이 폐쇄되어 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건조용공기공급관(500)으로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과 관통된 다수의 대응홀(512a)을 가져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정해진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에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내에서 중력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의 길이가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일정 이상 짧은 것이 좋다.
상기 내부유동관(512)의 직경 또한 마찬가지의 이유로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직경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나, 건조 공기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너무 작은 직경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좋게는 상기 내부유동관(512)의 상하운동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건조기내부공급관(51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내부유동관(512)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에 위치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해야한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과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연결되는 곳의 지름을 내부유동관(512)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비하여 내부유동관(512)이 각각의 건조기내부공급관(510)에서만 상하운동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과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연결되는 곳에 차단막을 두어 상기 내부유동관(512)이 각각의 건조기내부공급관(510)에서만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차단막은 완전히 밀폐된 형태를 갖는 것이 아니라 공기가 공급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는 망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회전체(300)의 회전ㄴ에 따라 중력에 의해 상하운동하면서 다수의 대응홀(512a)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홀(5111)과 대응하여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하향 이동하면 다수의 대응홀(512a)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홀(511)과 대응하여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상향 이동하면 상기 대응홀(512a)이 상기 홀(511)과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상향의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 유동관(512)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홀(511)과 상기 내부유동관(512)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대응홀(512a)은 연통되지 않아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상향에 위치하게 될 때, 자연스럽게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내벽이 대응홀(512a)을 폐쇄하게 되어 공기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하향의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홀(511)과 상기 내부유동관(512)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대응홀(512a)이 연통되어 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511) 및 대응홀(512a)이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홀(511)과 인접한 다른 홀(511)과의 배열간격(L)은 각각 모두 같은 거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응홀(512a)과 인접한 다른 대응홀(512a)과의 배열간격(ℓ)은 각각 모두 같은 거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511)의 배열간격(L)은 상기 대응홀(512a)의 배열간격(ℓ)과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 일단에서 첫 번째 홀(511)까지의 간격과 상기 내부유동관(512) 일단에서 첫 번재 대응홀(512a)까지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잡물 건조장치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으며, 도 7에서 하기 [식 1]에 기재된 간격들을 도시하였다.
[식 1]
|h1-h2|≠L×n (h1≠h2, L=ℓ)
(L : 홀(511)과 인접한 또 다른 홀(511)까지의 간격, ℓ : 대응홀(512a)과 인접한 또 다른 대응홀(512a)가지의 간격, h1 : 최하향에 위치한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최상향 홀(511) 중심으로부터 최상향에 위치한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최하향 홀(511) 중심까지의 간격, h2 : 하향에 위치한 내부유동관(512)의 최상향 대응홀(512a) 중심으로부터 상향에 위치한 내부유동관(512) 최하향 대응홀(512a) 중심까지의 간격을 의미하고, n : 정수이며, 모든 간격은 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다.)
만일, 본 발명에서의 협잡물 건조장치가 상기 [식 1]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로 |h1-h2|=L×n인 경우,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상향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홀(511)과 대응홀(512a)은 일부 또는 전부가 연통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회전체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며, 수증기의 포화도를 상승시켜 협잡물의 건조 효율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반면, 협잡물 건조장치가 상기 [식 1]을 만족하게 되는 경우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상향에 위치할 때, 상기 홀(511)과 대응홀(512a)은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하향에 위치할 때, 상기 홀(511)과 대응홀(512a)은 연통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어 협잡물에 건조 공기를 용이하게 공급해 줄 수 있다.
상기 홀(511) 및 대응홀(512a)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하향에 오는 경우에만 연통되어 공기가 공급됨에 따라 건조 공기는 침사 협잡물의 하부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협잡물의 건조를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511)과 상기 대응홀(512a)의 직경은 건조 공기를 협잡물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같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응홀(512a)이 상기 홀(511)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회전체(300)의 상향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대응홀(512a)과 상기 홀(511)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이 생길 수 있어 회전체(300)의 상향에서 건조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대응홀(512a)이 상기 홀(51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회전체(300)의 하향에 위치하여 협잡물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 상기 대응홀(512a)보다 상기 홀(511)의 직경이 작아 공기 공급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홀(511) 및 대응홀(512a)은 같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유동관(512)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내측에서 상하운동 할 수 있도록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높이는 상기 내부유동관(512)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높이가 상기 내부유동관(512)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길어야 상기 내부유동관(512)이 여유 공간을 통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은 회전체(300)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어 상기 회전체(300)가 회전함에 따라, 건조용공기공급관(500)과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 외측에 구비되는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또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조용공기투입구(520)는 일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과 상기 제1고정체(210) 및 제2고정체(220)가 만나는 곳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고정된 건조용공기투입구(520)와 회전되는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이 회전에 의한 서로 어떠한 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결합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베어링이란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軸)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계요소를 의미한다.
베어링은 미끄럼베어링(sliding bearing)과 구름베어링(rolling bearing) 두 종류로 분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구름베어링을 적용시켜 회전체를 회전할 수 있다.
구름베어링의 종류로는 볼베어링과 롤러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베어링은 높은 내구성(내열성 및 수명)을 가지며, 높은 회전을 견딜 수 있다.
롤러베어링은 볼베어링에 볼이 들어가는 부분에 원통형의 롤러가 들어가며, 내구성이 좋고 큰 중량을 잘 버틸 수 있다.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은 베어링을 통한 결합뿐만 아니라 회전할 수 있는 결합이라면 어느 구조로든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과 회전체(300)는 고정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체(300)는 구동롤러(400)에 의해 면압을 받아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은 회전모터를 달아 상기 회전체(30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건조용공기투입구(520)는 고정되고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은 회전될 수 있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거나 상기 건조용공기투입구(520)는 일직선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용공기투입구(520)에 건조 공기를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내부유동관(512)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내부유동관(512)이 상하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직경은 상기 내부유동관(51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및 내부유동관(512)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홀(511) 및 대응홀(512a)에는 홀필터(511a) 및 대응홀필터(512a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확대도면을 통해 상기 홀(511) 및 대응홀(512a)에 필터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상기 홀(511) 및 대응홀(512a)에 홀필터(511a) 및 대응홀필터(512ab)가 구비됨에 따라 협잡물이 홀(511) 및 대응홀(512a)을 통해 건조용공기공급관(500)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홀필터(511a) 및 대응홀필터(512ab)는 에어 필터로 구비될 수 있는데 에어 필터의 종류로는 프리필터(Pre-filter), 미디움필터(Medium filter), 백필터(Bag filter) 및 헤파 필터(Hepa filter)로 구비될 수 있다.
프리필터는 큰 입자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로 주요 재질은 부직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미디움필터는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로 주요 재질은 미세 유리섬유로 구비될 수 있다.
백필터는 포켓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유림섬유 및 합성섬유로 구비될 수 있다.
헤파 필터는 초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로 주요 재질은 초미세 유리섬유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 건조장치를 이용하는 침사 협잡물의 건조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a) 협잡물투입구를 통해 회전체에 침사 협잡물을 투입하는 단계; b) 침사 협잡물을 투입한 뒤 건조용공기공급관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c) 건조용공기공급관 내측에 구비된 내부유동관을 통해 침사협잡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d) 협잡물투입구에 고농도 유기물 혼합체를 투입하는 단계; e) 상기 유기물 혼합체의 호흡에 의한 발열작용을 통해 7 내지 10일간 호기성 발효를 하는 단계; 및 f) 상기 협잡물을 협잡물 건조장치에서 꺼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잡물 건조방법은 e)상기 유기물 혼합체의 호흡에 의한 발열작용을 통해 7 내지 10일간 호기성 발효를 하는 단계; 이후 발효 생성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물 혼합체의 발열작용 후 암모니아와 같은 기타 부산물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발효 생성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협잡물 건조방법은 c)건조용공기공급관 내측에 구비된 내부유동관을 통해 침사협잡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에서 주입되는 건조 공기의 온도가 20 내지 5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건조 공기의 온도가 20℃ 미만인 경우 협잡물을 건조하는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건조 공기의 온도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유기물에 의한 호흡 작용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건조 공기의 온도는 20 내지 50℃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 공기는 공급 온도에 따라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대습도를 10RH%이하로, 더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RH%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협잡물 건조장치의 회전체(300)에 연결되어 건조공기를 순환 시킬 수 있는 제습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침사 협잡물 건조방법에 있어서, 유기물 혼합체를 침사 협잡물에 투입하는 단계를 통하여 유기물이 침사 협잡물과 섞이며, 호흡에 의하여 발열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의 발열 작용을 통하여 건조기 내부는 최고 60℃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증발 효과로 수분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건조장치에서 약 7 내지 10일간의 호기성 발효 작용을 통하여 수분이 감량 될 수 있으며, 유기물이 안정화가 이루어져 침사 협잡물들은 매립이 가능한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침사 협잡물 건조방법은 생물학적 발효열을 활용하므로 건조에 소요되는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협잡물 건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유동관(512)을 통해 공기의 흐름을 협잡물의 하부로 유도하여 협잡물에 원활한 공기 공급을 할 수 있다.
종래의 공기공급관의 구성은 회전체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하부의 폐기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상부의 빈 공간으로 대부분의 공기가 공급되어 실제적인 폐기물의 공기 공급이 미미했었다.
또한, 종래의 생물학적 건조장치는 공기 공급이 상부의 빈 공간으로만 유도 되어 원활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효율이 매우 낮았다.
반면, 본 발명의 협잡물 건조장치는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내측에 내부유동관(512)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자중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해 지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하향에 위치할 때에 홀(511)과 대응홀(512a) 연통되어 침사 협잡물의 공기 공급이 하부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생물학적 건조 및 유기물 발효를 통한 감량으로 평균 25% 정도의 감량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생물학적 건조 및 유기물 발효를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바닥부
200 : 고정체
210 : 제1고정체
211 : 협잡물투입구
220 : 제2고정체
300 : 회전체
310 : 제1회동부
311 : 제1회동부결합돌기
320 : 제2회동부
321 : 제2회동부결합돌기
311, 321 : 결합돌기
330 : 혼합돌기
400 : 구동롤러
500 : 건조용공기공급관
510 : 건조기내부공급관
511 : 홀
511a:홀필터
512 : 내부유동관
512a : 대응홀
512ab : 대응홀필터
520 : 건조용공기투입구

Claims (13)

  1.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부 일측에 협잡물투입구(211)를 구비하는 제1고정체(210);
    상기 바닥부(100)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제2고정체(220);
    상기 제1고정체(210) 및 제2고정체(220) 사이에 구비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체(300);
    상기 바닥부(100)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체(300)에 면압을 주어 상기 회전체(300)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구동롤러(400);
    상기 제1고정체(210), 회전체(300) 및 제2고정체(220)의 정면 및 후면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며 회전하는 관 형상의 건조용공기공급관(500); 및
    상기 건조용공기공급관(500) 외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일측면에 장축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홀(511)이 구비된 다수의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을 구비하되,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은
    내측에 상하운동 하며, 일측면에 장축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대응홀(512a)이 형성된 내부유동관(51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건조장치는
    상기 회전체(300)의 측면에 구비되되,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는
    내측에 다수의 결합돌기(311, 3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다수의 구동롤러(400)을 통해 상기 제1회동부(310) 및 제2회동부(320)가 면압을 받아 상기 회전체(300)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건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511)은
    배열간격(L)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홀(512a)은
    배열간격(ℓ)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건조장치.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홀(511)의 배열간격(L)은
    상기 대응홀(512a)의 배열간격(ℓ)과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회전체(300)의 회전에 따라 다수의 대응홀(512a)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홀(511)과 대응하여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건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동관(512)은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하향 이동하면 다수의 대응홀(512a)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의 홀(511)과 대응하여 연통되며, 상기 건조기내부공급관(510)이 상향 이동하면 상기 대응홀(512a)이 상기 홀(511)과 연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건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511) 및 대응홀(512a)은
    홀필터(511a) 및 대응홀필터(512a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건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00)는
    내측 원주면에 다수의 혼합돌기(3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건조장치.
  11. 제 1항에 따른 협잡물 건조장치를 이용한 침사 협잡물의 건조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a) 협잡물투입구를 통해 회전체에 침사 협잡물을 투입하는 단계;
    b) 침사 협잡물을 투입한 뒤 건조용공기공급관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c) 건조용공기공급관 내측에 구비되고 상하운동을 하며, 일측면에 장축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대응홀(512a)이 형성된 내부유동관을 통해 침사협잡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d) 협잡물투입구에 고농도 유기물 혼합체를 투입하는 단계;
    e) 상기 유기물 혼합체의 호흡에 의한 발열작용을 통해 7 내지 10일간 호기성 발효를 하는 단계; 및
    f) 상기 협잡물을 협잡물 건조장치에서 꺼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협잡물 건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건조방법은
    e) 상기 유기물 혼합체의 호흡에 의한 발열작용을 통해 7 내지 10일간 호기성 발효를 하는 단계; 이후 발효 생성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협잡물 건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건조방법은
    c) 건조용공기공급관 내측에 구비된 내부유동관을 통해 침사협잡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에서 주입되는 건조 공기의 온도가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 협잡물 건조방법.
KR1020170042969A 2017-04-03 2017-04-03 협잡물 건조장치 및 협잡물 건조방법 KR101799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69A KR101799001B1 (ko) 2017-04-03 2017-04-03 협잡물 건조장치 및 협잡물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69A KR101799001B1 (ko) 2017-04-03 2017-04-03 협잡물 건조장치 및 협잡물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001B1 true KR101799001B1 (ko) 2017-11-17

Family

ID=6080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969A KR101799001B1 (ko) 2017-04-03 2017-04-03 협잡물 건조장치 및 협잡물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344A (ko) * 2018-06-29 2020-01-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여과막과 담체를 포함하는 회전식 스크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64Y1 (ko) * 2003-05-26 2003-09-02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밀폐형 호기성 발효조
KR200367307Y1 (ko) * 2004-08-06 2004-11-09 장영선 유기물의 발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64Y1 (ko) * 2003-05-26 2003-09-02 (주)한국환경엔지니어링 밀폐형 호기성 발효조
KR200367307Y1 (ko) * 2004-08-06 2004-11-09 장영선 유기물의 발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344A (ko) * 2018-06-29 2020-01-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여과막과 담체를 포함하는 회전식 스크린 장치
KR102124653B1 (ko) 2018-06-29 2020-06-19 대한민국 여과막과 담체를 포함하는 회전식 스크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81471A2 (de) Kläranlage
KR10096615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04275343B (zh) 垃圾干化、除臭及渗滤液的处置系统及方法
KR20180015001A (ko) 슬러지와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와 음폐수의 교반 소멸장치
CN208928828U (zh) 一种静态覆膜槽式发酵生化装置
KR101799001B1 (ko) 협잡물 건조장치 및 협잡물 건조방법
CN105727733A (zh) 一种低浓度有机废气流化塔
KR101046492B1 (ko) 오니 건조 장치
KR100874161B1 (ko)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조합형 유기폐수 처리장치
KR100801964B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JP2007038122A (ja) 生ゴミ処理装置
WO2017108637A2 (de) Wabenkörper und deren verwendung
KR101347301B1 (ko) 직접가열 열풍건조기
EP0486578A1 (de) Verfahren zur reinigung und aufbereitung von verunreinigtem gut.
KR20100065656A (ko) 슬러지 건조 장치
JP2010022946A (ja) 汚水処理装置
CN107902841A (zh) 基于工业废弃污水的高效处理装置
KR100667012B1 (ko) 여상 회전 순환식 오수여과장치
KR101248066B1 (ko) 회전형 혐기소화장치
CN105366913B (zh) 高效污泥脱水干燥处理系统
CN110510820A (zh) 一种垃圾渗滤液好氧处理装置
KR200394610Y1 (ko) 슬러지 분배기
CN206666257U (zh) 一种垃圾废水处理系统
KR10068686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54765B1 (ko) 비점오염정화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